KR101965849B1 -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849B1
KR101965849B1 KR1020170028999A KR20170028999A KR101965849B1 KR 101965849 B1 KR101965849 B1 KR 101965849B1 KR 1020170028999 A KR1020170028999 A KR 1020170028999A KR 20170028999 A KR20170028999 A KR 20170028999A KR 101965849 B1 KR101965849 B1 KR 10196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torigenin
composition
present
xylosylglucosi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2403A (ko
Inventor
이보영
조호성
송순란
이원경
최창일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2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849B1/ko
Priority to US16/491,780 priority patent/US11090324B2/en
Priority to PCT/KR2017/007716 priority patent/WO2018164324A1/ko
Priority to JP2018518647A priority patent/JP7384511B2/ja
Priority to CN201780087912.9A priority patent/CN110381954B/zh
Publication of KR2018010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849B1/ko
Priority to JP2022016457A priority patent/JP733743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 중, 특히 발한, 안면홍조 및/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신속한 효과가 있으므로, 종래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lieving menopausal symptom comprising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본 발명은 여성의 갱년기 증상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여성의 갱년기 증상 중 특히 안면홍조, 및/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폐경(menopause)이란 태어난 후 약 50년에 이르는 유전적으로 이미 결정된 난소의 기능이 수명을 다 함으로써 나타나는 월경의 중단 현상으로, 생식능력의 소실을 의미하며 병적 현상이 아닌 생리적인 변화이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수명은 81.2세(2011년:통계청)로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규정한 한국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을 50세로 가정한다면 여성 일생의 약 1/3 이상을 여성호르몬이 고갈된 상태로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약학정보원, 김성철)
여성은 폐경을 맞이하면서 여성 호르몬의 분비 불균형 및 감소로 인해 혈관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기계 및 뇌신경 등 신체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일어난다. 즉 혈관 운동성증상과 심리적 증상인 안면 홍조, 야간 발한, 수면 장애, 피로감, 우울증, 불안감, 집중력 장애, 그리고 기억 장애와 비뇨생식계 위축에 의한 성교통, 빈뇨, 교원질 감소에 의한 피부탄력의 소실, 유방의 처짐, 그리고 심혈관 및 근골격계 증상, 치매 등의 다양한 질환 등이 동반된다(비특허문헌 1). 갱년기 증상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갱년기 증상을 많이 경험할수록,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여성의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을 뿐만(비특허문헌 2) 아니라, 갱년기 증상은 신체적인 노화와 함께 만성 질환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갱년기 증상의 치료에는 호르몬 요법, 약물 요법, 운동 요법, 식이요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의학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여성 호르몬 치료는 유방암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시에는 자궁암, 혈전혈관질환, 담낭질환, 고혈압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때문에 최근 들어서는 에스트로겐 요법과 기타 약물 요법 등의 대체를 위하여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비특허문헌 3).
자연 폐경을 경험한 여성의 89%는 폐경 증상 중 적어도 하나를 경험하며, 갱년기 증상도 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반적인 갱년기 증상 완화와 갱년기로 인한 안면홍조와 골다공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였고,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1. J Korean Soc Menopause, 2012, 18: 94-99 2. Women health Noursing, Hyunmoonsa, 1997 3.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6, 16(5), 533~54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여성 갱년기 증상 중 발한, 안면홍조 및/또는 골다공증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성 갱년기 증상 치료, 완화 효과 발현이 지속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텍토리게닌(tectorigenin), 텍토리딘(tectorid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는 아직까지 갱년기 증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알려진 바가 없다.
특히, 상기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는 안면홍조 예방, 치료 또는 개선 용도로 알려진 바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서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안면홍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서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발한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텍토리게닌(tectorigenin), 텍토리딘(tectoridin),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를 함께 사용할 때 체내 지속시간을 높여, 효능 지속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의 화학식은 C27H30O15 이고, 분자량은 594.52 으로서, 아래 화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2808013-pat00001
본 발명의 텍토리게닌의 화학식은 C16H12O6 이고, 분자량은 300.26 으로서, 아래 화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22808013-pat00002
본 발명의 텍토리딘의 화학식은 C22H22O11 이고, 분자량은 462.40 으로서, 아래 화학식 3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22808013-pat00003
본 발명에 따른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3종 화합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갱년기 증상'이란, '갱년기 증후군' 또는 '폐경기 증상' 이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갱년기 증상 중 발한,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발한, 안면홍조 및 골다공증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발한, 안면홍조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안면홍조' 란, 폐경 여성의 75%가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는 혈관운동증상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얼굴 목 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자기 붉게 변하면서 전신의 불쾌한 열감과 발한이 동반되는 것을 말한다. 갱년기의 호르몬 변화에 의해 시상하부에서 thermoneutral zone이 좁아짐으로써 갱년기 혈관운동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이 조금만 상승하더라도 열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발한'이란, 피부의 땀샘에서 땀이 분비되는 현상으로, 급작스럽게 열이 오르면서 땀을 흘리는 증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골다공증' 이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유전적 요인, 조기 폐경, 약제 또는 흡연 등이 원인이 된다. 따라서, 여성의 폐경 등에 의하여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갱년기 골다공증'일 수 있다. 갱년기 골다공증이란 폐경기 여성에게서 호르몬 생산의 감소로 인해 뼈 형성에 관여하는 조골세포와 조직의 파괴와 흡수에 관여하는 파골세포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골다공 증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 또는 질병을 호전시키거나 사라지게 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목적하는 증상을 투여 전 보다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또는 혼합물의 함량은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유효량'은 발한,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거나, 이미 나타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화합물 또는 혼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혼합물의 함량은 발한,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면 다양한 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3종의 합은 갱년기 여성 일일섭취량 기준으로 10 ~ 500mg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1일 1회 섭취할 때, 1회 제공되는 제제 내에 포함되는 조성물에 상기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은 10 ~ 500mg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1 : 0.5~20 : 0.5~20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 0.8~15 : 0.8~15의 중량비로, 더 바람직하게는 1 : 1.5~10 : 1.5~10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각 유효성분이 하한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발한, 안면홍조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효능이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한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안전성에 우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또는 의약외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또는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의 혼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루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갱년기 장애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의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제형은 분말, 과립, 정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액, 멸균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 경로로는 예를 들어, 경피, 비강, 복강, 근육, 피하 또는 정맥 등의 여러 가지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갱년기 장애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식품,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ee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천연 소재의 가공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또는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추가로 업계에서 식품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약효 성분 및/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으로서 티아민(비타민B1), 리보플라빈, 아스코르브산, 니아신, 및 비타민B6를 포함할 수 있고, 지방산으로서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약산 성분으로서는 글리콜산 및 초산을 포함할 수 있고, 아미노산으로서 트레오닌, 발린, 메티오닌, 이소루신, 루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및 리신의 필수아미노산 8종을 비롯하여, 아스파르트산, 세린, 글루탐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테인, 티로신, 히스티딘, 알지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본 발명의 유효 성분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즈,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즈,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하이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발한, 안면홍조 및/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에 신속한 효과가 있으므로, 종래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사용되는 호르몬 대체 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발한, 안면홍조, 골다공증에 대한 종래의 치료제와 달리 세포 독성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 사용될 정도로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므로, 종래 여성의 폐경기 이후 나타나는 발한 증상, 안면홍조, 골다공증에 대한 치료제로 그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혼합물을 포함하여, 체내 지속시간을 증가시켜 효능 지속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안면홍조, 발한 억제 시간을 더 늘리고, 뼈 흡수율 감소에도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혼합물의 혈관운동증상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혼합물의 골 흡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시료 준비]
하기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는 Tokiwa에서, 텍토리게닌(tectorigenin)과 텍토리딘(tectoridin)은 Sigma-Aldrich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Tectorigenin 7-O- xylosylglucoside , tectorigenin , tectoridin의 에스트로겐수용체 활성 평가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 3종의 에스트로겐수용체에 대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ERE(estrogen response element) reporter assay를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으며,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은 하기 표 1의 비율로 3종의 합이 10ppm이 되도록 처리하였다. 음성 대조군의 측정값을 기준(1.0)으로 하여 실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율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Fold induction
1 0 0 1 34
2 1 1 1 66
3 1 0.5 0.5 54
4 1 0.5 5 46
5 1 0.5 20 37
6 1 5 0.5 68
7 1 5 5 75
8 1 5 20 42
9 1 20 0.5 66
10 1 20 5 60
11 1 20 20 5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 3종을 함께 처리한 경우 에스트로겐수용체 활성이 더욱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 3종의 처리 비율에 따라 활성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 의 중량 비율을 1 : 0.5~20 : 0.5~20 벗어났을 때에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혈관운동 증상 개선 효과
혈관 운동 증상은 폐경 여성의 75%가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안면홍조(hot flush)가 대표 증상으로, 얼굴, 목, 머리, 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작스럽게 붉게 변하면서 불쾌한 열감이 동반되는 것을 말한다. 혈관운동 증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피부온도 변화를 지표로 평가할 수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rat 꼬리의 피부표면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평가 가이드, '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11~12주령 암컷 Sprague-Dawley rats을 이용하여 1군 10마리는 가장수술(sham operation), 2~6군 50마리(군당 n=10)는 난소절제술 (ovariectomy, OVX)를 실시하였다. 표 2와 같이 군을 나누어서 수술 일주일 후부터 각 rat에 몸무게 g당 0.01ml씩 매일, 4주간 약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17β-estradiol(E2)을 투여해 주었고, 시험군은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을 1:5:5 혼합하여 투여하였다. 투여 4주 후 적외선 체온측정기를 사용하여 꼬리의 시작부터 2 cm 지점에서 온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수술 투여 시료
1군 Sham 식수
2군 OVX 식수
3군 OVX 17β-estradiol(E2), 0.5mg/kg/day
4군 OVX T3*, 5mg/kg/day
5군 OVX T3*, 10mg/kg/day
6군 OVX Tectorigenin, 10mg/kg/day
7군 OVX Tectoridin, 10mg/kg/day
8군 OVX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10mg/kg/day
*T3: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을 1:5:5 혼합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혼합물을 투여한 결과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꼬리온도상승 작용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1군 2군 3군 4군 5군 6군 7군 8군
꼬리 피부온도(℃) 27.5 28.8 27.4 27.9 27.5 28.6 28.7 28.0
구체적으로,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중에서,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에 비해서는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을 투여했을 때 꼬리 온도 상승이 가장 억제되었다. 한편,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을 함께 투여한 4군 및 5군에서 꼬리 피부 온도의 상승이 가장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골흡수 개선 효과
골흡수 관련 지표인 CTX (C-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측정을 위해 실시예3과 동일한 rats에서 시료를 8주간 경구투여 후 혈청을 수집하였다. 혈청에서의 CTX 농도는 Rat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ELISA Kit(MyBioSource)를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제공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 및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 3종 혼합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OVX군 대비 CTX농도가 유의적으로 낮아진 확인하였고, 뼈의 흡수가 줄어들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1군 2군 3군 4군 5군 6군 7군 8군
CTX (ng/ml) 42.3 78.2 52.6 60.7 49.1 71.5 70.4 58.4
구체적으로,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 중에서, 텍토리게닌 및 텍토리딘에 비해서는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을 투여했을 때 뼈의 흡수가 가장 억제되었다. 한편,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tectorigenin, tectoridin의 3종을 함께 투여한 5군에서 뼈의 흡수가 가장 억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3)

  1.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tectorigenin), 텍토리딘(tectoridin),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발한, 및 골다공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및 골다공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조성물 내에 일일복용량 10 ~ 500mg 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텍토리게닌, 텍토리딘, 및 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1 : 0.5~20 : 0.5~20 의 중량비(텍토리게닌:텍토리딘:텍토리게닌 7-O-자일로실글루코시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의약품, 식품 또는 의약외품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28999A 2017-03-07 2017-03-07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KR10196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99A KR101965849B1 (ko) 2017-03-07 2017-03-07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US16/491,780 US11090324B2 (en) 2017-03-07 2017-07-18 Composition, for remedying female climacteric syndrome symptoms, comprising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PCT/KR2017/007716 WO2018164324A1 (ko) 2017-03-07 2017-07-18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JP2018518647A JP7384511B2 (ja) 2017-03-07 2017-07-18 テクトリゲニン-7-0-キシロシルグルコシドを含む女性更年期症状緩和用組成物
CN201780087912.9A CN110381954B (zh) 2017-03-07 2017-07-18 包含鸢尾黄素-7-o-木糖葡萄糖苷的女性更年期症状缓和用组合物
JP2022016457A JP7337435B2 (ja) 2017-03-07 2022-02-04 テクトリゲニン-7-0-キシロシルグルコシドを含む女性更年期症状緩和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999A KR101965849B1 (ko) 2017-03-07 2017-03-07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815A Division KR102125740B1 (ko) 2019-03-29 2019-03-29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03A KR20180102403A (ko) 2018-09-17
KR101965849B1 true KR101965849B1 (ko) 2019-04-04

Family

ID=6344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999A KR101965849B1 (ko) 2017-03-07 2017-03-07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90324B2 (ko)
JP (2) JP7384511B2 (ko)
KR (1) KR101965849B1 (ko)
CN (1) CN110381954B (ko)
WO (1) WO2018164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967B1 (ko) * 2018-10-02 2020-1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갈화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4869B1 (ko) * 2018-10-02 2021-11-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84B1 (ko) 2006-03-02 2007-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02631363A (zh) 2012-04-11 2012-08-15 李超生 鸢尾苷在制备防治骨质疏松症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2204A1 (de) * 1998-03-19 1999-11-04 Plantamed Arzneimittel Gmbh Verwendung von Extrakten aus Cimicifuga racemosa und Belamcanda sinensis als estrogenartiges organselektives Arzneimittel ohne uterotrope Wirkung
JP2005037278A (ja) * 2003-07-16 2005-0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管理システム
JP5027502B2 (ja) 2004-03-04 2012-09-19 学校法人近畿大学 骨粗鬆症予防または治療剤
JP2006206556A (ja) 2005-01-31 2006-08-10 Ota Isan:Kk 脳記憶機能低下症状回復剤及びその調製方法
CN100381435C (zh) * 2005-03-24 2008-04-16 深圳海王药业有限公司 射干总黄酮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其在药物制备中的应用
JP2009126853A (ja) 2007-11-27 2009-06-11 Tsujido Kagaku Kk 治療剤
US8748177B2 (en) * 2008-09-30 2014-06-10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Compositions for proliferation of cells and related methods
JP5768230B2 (ja) * 2009-04-27 2015-08-26 学校法人東京女子医科大学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
CN101797265A (zh) * 2010-04-09 2010-08-11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射干总异黄酮或异黄酮类化合物在制备防治妇女病的药物或食品中的应用
JP5842640B2 (ja) 2012-01-31 2016-01-13 株式会社東洋新薬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3阻害剤
KR101964841B1 (ko) * 2017-03-07 2019-08-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84B1 (ko) 2006-03-02 2007-07-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CN102631363A (zh) 2012-04-11 2012-08-15 李超生 鸢尾苷在制备防治骨质疏松症的药物中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ARMACOLOGY & PHARMACY, 2013, 4, 255-260
Phytomedicine, 11(5), 392-403, 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7435B2 (ja) 2023-09-04
US20200030350A1 (en) 2020-01-30
JP2022051835A (ja) 2022-04-01
CN110381954B (zh) 2023-08-08
WO2018164324A1 (ko) 2018-09-13
JP2020509990A (ja) 2020-04-02
CN110381954A (zh) 2019-10-25
US11090324B2 (en) 2021-08-17
JP7384511B2 (ja) 2023-11-21
KR20180102403A (ko) 201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3128B2 (ja) 女性更年期症状改善用組成物
JP7337435B2 (ja) テクトリゲニン-7-0-キシロシルグルコシドを含む女性更年期症状緩和用組成物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EP1629837A1 (en) Antistress agent
KR20190034180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125740B1 (ko) 텍토리게닌 7-0-자일로실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
CA2897833A1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almitoylethanolamide and cytidine-disphosphocholine
AU2003298180B2 (en) Film coated tablet compris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KR20210110450A (ko) iLet(innovative Low excipient tablet) 기술을 이용한 정제사이즈 축소를 통해 복용편의성이 증가된 종합비타민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JP2006213628A (ja) 抗ストレス剤
KR101454361B1 (ko) 플루옥세틴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추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JP2013079218A (ja) 更年期障害改善用医薬組成物ならびに飲食物
KR20180034123A (ko) 에스쿨린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KR102081003B1 (ko) 수베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6082941B2 (ja) 更年期障害改善用医薬組成物ならびに飲食物
JP6742123B2 (ja) 癌細胞遊走抑制剤
KR20220026802A (ko) 알피늄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6713A (ko) 곤드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또는 골다공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43125A (ko) 호프 및 진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20130025926A (ko)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Compound K,또는 인삼유래 사포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9206519A (ja) 夜間頻尿の予防又は改善剤
KR20200042284A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20200042283A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