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431B1 -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431B1
KR101965431B1 KR1020170153206A KR20170153206A KR101965431B1 KR 101965431 B1 KR101965431 B1 KR 101965431B1 KR 1020170153206 A KR1020170153206 A KR 1020170153206A KR 20170153206 A KR20170153206 A KR 20170153206A KR 101965431 B1 KR101965431 B1 KR 10196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tank
groove
coup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태홍
백승종
고세훈
기광택
서경진
이민규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70153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06Storage means for substances, e.g. tanks or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33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설치된 부품을 커버하기 위해 부품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탱크의 외면에 결합된 제1 프로텍터; 및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형상이며, 일측은 제1 프로텍터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탱크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탱크에 타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프로텍터와 함께 부품을 커버링하는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TANK PROTECTO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는 요소수 탱크의 외면을 보호하는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에 관한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특히, 차량의 경우 친환경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가솔린이나 디젤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이 대부분이며,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러한 대세는 유지될 것을 보인다.
다만, 환경오염 등의 문제에 따라 디젤 차량도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개발되고 있다. 디젤 차량의 배기가스는 주로 질소산화물과 미세입자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중에서 디젤 차량의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기 위하여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SCR 기술은 요소수를 분사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기술로, 요소수에 열이 가해지면 암모니아(NH3)가 발생하고, 이러한 암모니아가 질소산화물(NOx)과 화학반응하여 물과 질소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요소수 탱크, 펌프 등의 요소수 저장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어야 하고, 차량에 탑재된 요소수 탱크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가 필요하다.
다만, 요소수 탱크에 프로텍터를 조립한 후 요소수 펌프 등으로부터 요소수 라인 및 전선 등을 외부로 연결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요소수 탱크와 프로텍터를 조립함에 있어서 부품 수가 과도하고, 이에 따른 조립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766127 B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요소수 탱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터가 단순하게 조립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설치된 부품을 커버하기 위해 부품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탱크의 외면에 결합된 제1 프로텍터; 및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형상이며, 일측은 제1 프로텍터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탱크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탱크에 타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프로텍터와 함께 부품을 커버링하는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한다.
제2 프로텍터의 일측에는 제1 프로텍터 측으로 연장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는 복수의 체결돌기로 구성되며, 제1 프로텍터에는 제2 프로텍터 측을 향하는 단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돌기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의 단부 외면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고, 만입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리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2 프로텍터의 체결돌기는 관통홀을 관통한 후 고정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체결돌기의 단부에는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걸림부에 의해 걸려 체결돌기가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만입홈의 외면은 돌기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체결돌기는 관통홀을 관통한 후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고, 체결돌기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면 및 내면 측으로 각각 절삭되어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는 가이드돌기 및 복수의 체결돌기로 구성되고, 복수의 체결돌기는 가이드돌기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돌기는 체결돌기가 관통홀로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돌기부의 내면에는 돌기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홈이 형성되고, 제1 회전홈은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일 수 있다.
돌기부의 외면에는 제1 회전홈과 나란한 제2 회전홈이 형성되고, 제2 회전홈의 반경은 제1 회전홈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프로텍터에는 만입홈과 나란하게 제2 프로텍터 측으로 연장된 돌기지지부가 형성되고, 돌기지지부의 외면은 돌기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제1 프로텍터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를 강화섬유로 강화한 복합재일 수 있다.
탱크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제1 프로텍터 또는 제2 프로텍터에 의해 커버되는 요소수 펌프;를 더 포함하고, 탱크는 내부에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일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를 외부로 연결하는 요소수 라인이 통과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의 단부는 요소수 라인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를 외부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는 탱크의 하면을 커버하고, 제2 프로텍터의 일측은 제1 프로텍터의 가장 낮은 면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 또는 제2 프로텍터에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에 하부로 단차지게 비드가 형성되고, 비드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의 타측에는 탱크 측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마련되고, 탱크에는 돌출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돌출핀이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가 탱크에 결합된
삽입홈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핀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는 탱크의 하면 및 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1 프로텍터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결합홀을 통해 탱크의 측면에서 탱크와 결합되고, 제2 프로텍터는 하면에 형성된 하면결합홀을 통해 탱크의 하면에서 탱크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가 제1 프로텍터 측면 일부를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와 제1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 사이에는 충격흡수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만입홈 및 고정부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에 따르면, 프로텍터 간의 접이식 개폐구조를 통해 요소수 펌프의 전선 및 요소수 라인을 조립하기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 간의 단순한 조립 구조를 통해 필요한 부품의 수가 줄어드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프로텍터의 조립을 위한 부품들을 조립하는 과정이 단순해짐에 따라 소요 시간이 감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에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에 제1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및 제1 프로텍터와 분리된 제2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의 힌지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c의 AA'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의 결합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에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에 제1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및 제1 프로텍터와 분리된 제2 프로텍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의 차량의 탱크에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가 결합된 상태를 위아래가 반대가 되도록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는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A)에 설치된 부품을 커버하기 위해 부품(B)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탱크(A)의 외면에 결합된 제1 프로텍터(100); 및 부품(B)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형상이며, 일측은 제1 프로텍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부품(B)의 나머지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탱크(A)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탱크(A)에 타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프로텍터(100)와 함께 부품(B)을 커버링하는 제2 프로텍터(200);를 포함한다.
탱크(A)는 내부에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일 수 있다. 요소수 탱크는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탑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탱크(A)의 하부를 커버링하는 형상으로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100, 200)가 결합될 수 있다.
탱크(A)에 설치된 부품(B)은 요소수 펌프가 될 수 있다. 요소수 펌프(B)는 요소수 탱크(A)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요소수 펌프(B)는 제1 프로텍터(100) 또는 제2 프로텍터(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요소수 펌프(B)는 탱크(A)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남은 요소수를 완전히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탱크(A)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한 요소수 펌프(B)는 요소수 라인(C) 및 전선(미도시)이 외부로 연결되어야 한다. 요소수 라인(C)은 요소수를 통과시키는 튜브를 의미할 수 있고, 전선(미도시)은 요소수 펌프(B)의 전선 커넥터(D)를 외부로 연결하는 전기가 흐르는 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프로텍터(100, 200)는 부품(B)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탱크(A)의 외면에 결합된 제1 프로텍터(100) 및 부품(B)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형상이며 일측이 제1 프로텍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2 프로텍터(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로텍터(100)를 탱크(A)에 먼저 결합한 후 요소수 펌프(B)를 외부로 연결하는 요소수 라인(C) 및 전선(미도시)을 정리하고, 이들을 각각 제2 프로텍터(200)에 마련된 홈 등에 위치시킨 후, 제1 프로텍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프로텍터(200)를 탱크(A)에 결합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제1 프로텍터(100)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를 강화섬유로 강화한 복합재일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를 기준으로 제2 프로텍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는 점에서 제2 프로텍터(200)는 일부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일 수 있고, 폴리아미드 계열의 PA66일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는 탱크(B)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을 GF30(Glass Fiber 30) 등의 강화섬유로 강화한 복합재일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B)를 외부로 연결하는 요소수 라인(C)이 통과하는 고정홈(26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60)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260)의 단부는 요소수 라인(C)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소수 라인(C)이 고정홈(260)에 끼워진 후에는 요소수 라인(C)이 고정홈(260)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B)를 외부로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통과하는 전선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미도시)은 요소수 펌프(B)에 마련된 전선 커넥터(D, D')를 외부에 연결될 수 있고, 전선 커넥터(D, D') 및 전선(미도시) 등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선홈(270)도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의 타측에는 탱크(A) 측으로 돌출된 돌출핀(290)이 마련되고, 탱크(A)에는 돌출핀(290)에 대응되는 삽입홈(E)이 마련되어, 돌출핀(290)이 삽입홈(E)에 삽입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200)가 탱크(A)에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홈(E)의 내부에는 탄성부재(E')가 마련되어, 탄성부재(E')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핀(290)이 삽입홈(E)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핀(290)과 삽입홈(E)의 결합으로 제2 프로텍터(200)가 탱크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결합은 추후의 관통홀 등을 통한 나사결합 등으로 추가 결합을 위한 일시적인 고정을 위한 결합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는 탱크(A)의 하면을 커버하고, 제2 프로텍터(200)의 일측은 제1 프로텍터(100)의 가장 낮은 면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탱크(A)의 하면에 요소수 펌프(B) 등의 부품(B)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는 탱크(A)의 하면에 위치한 부품(B)을 커버하도록 탱크(A)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부품(B)은 제1 프로텍터(100)의 가장 낮은 위치의 면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제2 프로텍터(200)는 부품(B)의 일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제1 프로텍터(100)의 가장 낮은 면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 또는 제2 프로텍터(200)에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150, 28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에 형성된 드레인홀(150)은 제1 프로텍터(100)의 가장 낮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홀(150, 281)은 탱크에서 흘러나오는 유체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체는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성질이 있는 점에서 가장 낮은 면에 형성됨에 따라 배출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제2 프로텍터(200)에는 하부로 단차지게 비드(280)가 형성되고, 비드(280)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281)이 형성될 수 있다. 비드(280)는 제2 프로텍터(200)의 강성 등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탱크(A)에서 흘러나오는 유체가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비드(280)로 흐를 것이므로, 비드(280)에 드레인홀(281)이 형성되는 것이 유체 배출에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는 탱크(A)의 하면 및 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1 프로텍터(100)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결합홀(140, 140')을 통해 탱크(A)의 측면에서 탱크(A)와 결합되고, 제2 프로텍터(200)는 하면에 형성된 하면결합홀(250)을 통해 탱크(A)의 하면에서 탱크(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의 측면에는 측면결합홀(140, 140')이 복수 개 형성되고, 측면결합홀(140, 140')을 통해 탱크로 나사결합, 핫스너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가 탱크(A)의 측면에 결합됨에 따라 상하 방향의 결합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측면결합홀(140, 140')은 동일한 축을 갖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동일한 축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제1 프로텍터(100)가 해당 축을 기준으로 탱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 및 내구성에 불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제2 프로텍터(200)는 하면에 형성된 하면결합홀(250)을 통해 탱크(A)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는 돌출핀(290)이 삽입홈(E)에 삽입됨에 따른 가조립 이후, 가조립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하면결합홀(250)을 통해 탱크(A)의 하면에 상하 방향으로 나사결합 또는 핫스너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로텍터(100)는 XY평면에서 탱크와 결합하고, 제2 프로텍터(200)는 Z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의 측면 일부가 제1 프로텍터(100) 측면 일부를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가 측면까지 연장됨에 따라 탱크(A)의 측면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의 측면 일부가 겹쳐짐에 따라 제1 프로텍터(100) 및 제2 프로텍터(200)가 측면결합홀(140, 140') 및 하면결합홀(250)을 통하여 탱크(A)에 결합되는 결합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는 제1 프로텍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하부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내측(상부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아야 하는 점에서 제2 프로텍터(200)의 측면 일부는 제1 프로텍터(100)의 측면 일부를 외부에서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 프로텍터(200)의 측면 일부와 제1 프로텍터(100)의 측면 일부 사이에는 충격흡수패드(300)가 마련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3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고, 스펀지 등과 같이 충격 흡수에 적절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300)에 의하여 제2 프로텍터(200)의 측면 일부와 제1 프로텍터(100)의 측면 일부 사이의 충격에 의한 소음(Noise), 진동(Vibration), 손상(Harshness)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와 제2 프로텍터의 힌지결합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c의 AA'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4c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프로텍터(200)의 일측에는 제1 프로텍터(100) 측으로 연장된 돌기부(210)가 형성되고, 돌기부(210)는 복수의 체결돌기(211)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에는 제2 프로텍터(200) 측을 향하는 단부에 복수의 관통홀(110)이 형성되고, 체결돌기(211)는 관통홀(110)을 관통한 상태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프로텍터(100)의 단부 외면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120)이 형성되고, 만입홈(12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관통홀(110)을 구비하는 고리 형상의 고정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0)은 만입홈(120)과 고정부 (130)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의 체결돌기(211)는 관통홀(110)을 관통한 후 고정부(13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체결돌기(211)의 단부에는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11)는 관통홀(110)을 관통한 상태에서 걸림부(220)에 의해 걸려 체결돌기(211)가 관통홀(110)로부터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체결돌기(21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만입홈(120)의 외면은 돌기부(210)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체결돌기(211)는 관통홀(110)을 관통한 후 고정부(130)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체결돌기(211)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면 및 내면 측으로 각각 절삭되어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돌기(211)의 단부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관통홀(110)에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될 수 있으나, 체결돌기(211)가 관통홀(110)을 관통한 후에는 걸림부(220)에 의해 이탈이 저지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돌기부(210)는 가이드돌기(212) 및 복수의 체결돌기(211)로 구성되고, 복수의 체결돌기(211)는 가이드돌기(212)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돌기(212)는 체결돌기(211)가 관통홀(110)로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212)는 단부에 걸림부(220)가 형성되지 않고, 단부 끝단이 외면 또는 내면으로 절삭되지 않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돌기(211)가 관통홀(110)로 직선으로 진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돌기부(210)의 내면에는 돌기부(210)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홈(230)의 중심은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제1 회전홈(230)이 돌출부(210)의 내면에 형성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200)는 제1 프로텍터(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1 프로텍터(100)의 외측으로만 회전 가능하고 내측으로는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돌기부(210)의 외면에는 제1 회전홈(230)과 중심이 나란한 제2 회전홈(240)이 형성되고, 제2 회전홈(240)의 반경은 제1 회전홈(230)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회전홈(230)보다 반경이 작은 제2 회전홈(240)이 형성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회전홈(230)를 기준으로 제1 프로텍터(100)의 외측으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제1 회전홈(230) 및 제2 회전홈(240)은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만입홈(120) 외면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홈(230) 및 제2 회전홈(240)은 만입홈(120)의 외면을 커버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로텍터의 결합 연장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프로텍터(100)에는 만입홈(120)과 나란하게 제2 프로텍터(200) 측으로 연장된 돌기지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지지부(120')의 외면이 돌기부(210)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돌기지지부(120')는 제2 프로텍터(20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홈(230) 및 제2 회전홈(240)은 만입홈(120)에서 연장된 돌기지지부(120')의 외면을 커버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2 프로텍터(200)가 제1 프로텍터(100)의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를 제조하는 방법은 제1 프로텍터(1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만입홈(120) 및 고정부(130)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다.
제1 프로텍터(10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관통홀(110)을 형성하기 위한 만입홈(120) 및 고정부(130)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만으로 사출하는 경우에는 고정부(130)를 성형하여 관통홀(1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정부(130) 내측의 만입홈(120)에 관통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관통부가 형성되는 경우, 제1 프로텍터(100)와 제2 프로텍터(200)의 결합시, 제2 프로텍터(200)의 돌기부(210)가 이러한 관통부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관통부의 형성 없이 만입홈(120) 및 고정부(130)를 성형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프로텍터(200)도 제1 프로텍터(100)와 별도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A : 탱크 B : 요소수 펌프
C : 요소수 라인 D, D' : 전선 커넥터
E : 삽입홈 E' : 탄성부재
100 : 제1 프로텍터 200 : 제2 프로텍터
300 : 충격흡수패드 110 : 관통홀
120 : 만입홈 120' : 돌기지지부
130 : 고정부 140, 140' : 측면결합홀
150, 281: 드레인홀
210 : 돌기부 211 : 체결돌기
212 : 가이드돌기 220 : 걸림부
230 : 제1 회전홈 240 : 제2 회전홈
250 : 하면결합홀 260 : 고정홈
270 : 전선홈 280 : 비드
290 : 돌출핀

Claims (23)

  1. 내부에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에 설치된 부품을 커버하기 위해 부품의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탱크의 외면에 결합된 제1 프로텍터; 및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는 형상이며, 일측은 제1 프로텍터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부품의 나머지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탱크 외면에 체결됨으로써, 탱크에 타측이 체결된 상태에서 제1 프로텍터와 함께 부품을 커버링하는 제2 프로텍터;를 포함하고,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는 탱크의 하면 및 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제1 프로텍터는 측면을 통해 탱크의 측면에서 탱크와 결합되고, 제2 프로텍터는 하면을 통해 탱크의 하면에서 탱크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일측에는 제1 프로텍터 측으로 연장된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는 복수의 체결돌기로 구성되며, 제1 프로텍터에는 제2 프로텍터 측을 향하는 단부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체결돌기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의 단부 외면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만입홈이 형성되고, 만입홈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며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리 형상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제2 프로텍터의 체결돌기는 관통홀을 관통한 후 고정부에 걸림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체결돌기의 단부에는 돌출된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체결돌기가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걸림부에 의해 걸려 체결돌기가 관통홀로부터 이탈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만입홈의 외면은 돌기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체결돌기는 관통홀을 관통한 후 고정부에 걸림 고정되고, 체결돌기의 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외면 및 내면 측으로 각각 절삭되어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돌기부는 가이드돌기 및 복수의 체결돌기로 구성되고, 복수의 체결돌기는 가이드돌기의 양 측면에 위치하며 가이드돌기는 체결돌기가 관통홀로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7. 청구항 2에 있어서,
    돌기부의 내면에는 돌기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홈이 형성되고, 제1 회전홈의 중심은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돌기부의 외면에는 제1 회전홈과 중심이 나란한 제2 회전홈이 형성되고, 제2 회전홈의 반경은 제1 회전홈의 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에는 만입홈과 나란하게 제2 프로텍터 측으로 연장된 돌기지지부가 형성되고, 돌기지지부의 외면은 돌기부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제2 프로텍터가 제1 프로텍터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축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 재질이고, 제1 프로텍터는 폴리아미드 계열의 플라스틱을 강화섬유로 강화한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탱크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되고, 제1 프로텍터 또는 제2 프로텍터에 의해 커버되는 요소수 펌프;를 더 포함하고,
    탱크는 내부에 요소수를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를 외부로 연결하는 요소수 라인이 통과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고정홈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홈의 단부는 요소수 라인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타측 단부에는 요소수 펌프를 외부로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 및 제2 프로텍터는 탱크의 하면을 커버하고, 제2 프로텍터의 일측은 제1 프로텍터의 가장 낮은 면의 일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 또는 제2 프로텍터에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에 하부로 단차지게 비드가 형성되고, 비드에는 유체가 통과하는 드레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타측에는 탱크 측으로 돌출된 돌출핀이 마련되고, 탱크에는 돌출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마련되어, 돌출핀이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제2 프로텍터가 탱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삽입홈의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핀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20. 삭제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가 제1 프로텍터 측면 일부를 외부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제2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와 제1 프로텍터의 측면 일부 사이에는 충격흡수패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23. 청구항 3의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프로텍터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고, 만입홈 및 고정부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제조방법.
KR1020170153206A 2017-11-16 2017-11-16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06A KR101965431B1 (ko) 2017-11-16 2017-11-16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06A KR101965431B1 (ko) 2017-11-16 2017-11-16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431B1 true KR101965431B1 (ko) 2019-04-03

Family

ID=6616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06A KR101965431B1 (ko) 2017-11-16 2017-11-16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28B1 (ko) 2019-12-12 2021-05-14 (주)동희산업 차량용 탱크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878U (ko) * 1995-11-15 1997-06-18 자동차 연료탱크의 보호커버장치
JP3178299B2 (ja) * 1995-04-27 200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ヒンジ構造
JP3426438B2 (ja) * 1996-06-27 2003-07-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タンクの保護構造
KR20170014637A (ko) * 2015-07-30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펌프 모듈
KR101766127B1 (ko) 2016-03-15 2017-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저장 탱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299B2 (ja) * 1995-04-27 2001-06-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ヒンジ構造
KR970021878U (ko) * 1995-11-15 1997-06-18 자동차 연료탱크의 보호커버장치
JP3426438B2 (ja) * 1996-06-27 2003-07-1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タンクの保護構造
KR20170014637A (ko) * 2015-07-30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펌프 모듈
KR101766127B1 (ko) 2016-03-15 2017-08-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요소수 저장 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428B1 (ko) 2019-12-12 2021-05-14 (주)동희산업 차량용 탱크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386B2 (en) Injection device for a reducing agent and corresponding exhaust line
US7730997B2 (en) Air intake noise reducing dev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fitted with the same and structure for fitting the same 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009260B2 (ja) 排気浄化装置
KR101965431B1 (ko) 차량의 탱크 프로텍터 및 그 제조방법
CN105579699A (zh) 燃料喷射装置用喷嘴板的安装构造
KR101965432B1 (ko) 차량의 탱크
JP6297080B2 (ja) フィラーパイプ
KR101149806B1 (ko) 연료펌프모듈용 플랜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0551B1 (ko) 펌프 프로텍터가 결합된 자동차용 요소수 탱크
KR101776835B1 (ko) 연료도어의 개폐구조
US20150098815A1 (en) Connector for coupling exhaust manifold with turbocharger housing
KR101965433B1 (ko)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9682A (ko) 차량 요소수 탱크의 주유부 연결구조
KR101731959B1 (ko) 요소수 탱크용 배플
KR101994270B1 (ko) 차량용 요소수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335977B1 (ko) 연료도어 하우징
WO2015046029A1 (ja) 燃料噴射装置用ノズルプレートの取付構造
CN107539120A (zh) 带有用于固定在汽车的车身处的悬挂装置的排气设备
KR101468555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CN201872598U (zh) 一种燃料箱盖防丢失结构
KR102258478B1 (ko) 요소수 탱크의 구조
KR20180068758A (ko) 요소수 캡
KR100837932B1 (ko) 차량의 주유 도어 어셈블리
KR100920057B1 (ko) 커버조립체
CN110848056A (zh) 油箱和油泵配合结构、油泵、油箱以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