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555B1 -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555B1
KR101468555B1 KR1020130039699A KR20130039699A KR101468555B1 KR 101468555 B1 KR101468555 B1 KR 101468555B1 KR 1020130039699 A KR1020130039699 A KR 1020130039699A KR 20130039699 A KR20130039699 A KR 20130039699A KR 101468555 B1 KR101468555 B1 KR 10146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dust cover
panel
d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162A (ko
Inventor
홍성종
박문천
Original Assignee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55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2Shafts;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는, 격벽 패널에 결합되는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고 대시 패널에 결합되는 이너 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격벽 패널과 상기 아우터 커버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면서 조립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 사이에 소음차단판이 형성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Dust cover for steering apparatu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고, 엔진룸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는 조향 휠(Steering wheel)이 장착되는 조향 축과,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연결되는 인텀샤프트(인터미디어트 샤프트: Intermediate shaft)와, 상기 조향축과 상기 인텀 샤프트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상기 인텀 샤프트의 외주에 결합되고 대시패널에 고정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인텀 샤프트의 하단은 조향 기어기구에 결합된다.
상기 더스트 커버는, 엔진룸으로부터의 소음 및 이물질이 실내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인텀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일측에 확장 형성되어 상기 대시패널에 결합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와 상기 커버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더스트 커버의 원통부는 상기 대시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격벽패널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대시패널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종래의 상기 더스트 커버는, 조립시 상기 원통부와 상기 격벽패널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여 조립 불량이 생기기 쉬우며, 상기 엔진룸 측의 소음이 상기 원통부를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633951호에서는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더스트커버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는, 대시패널과 격벽패널을 관통하는 아우터 통부와, 상기 아우터 통부에서 상기 대시패널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시패널에 맞대어지는 아우터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으로 인텀 샤프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이너 통부와, 상기 이너 통부에서 상기 아우터 플랜지부의 외측에 맞대어지도록 연장 형성된 이너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이너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너 커버는, 상기 이너 통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소음차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차단판은 상기 이너 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음차단판들은 각각,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이너 통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이너 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아우터 통부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패널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가 상기 결합홀에 끼워진 후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는, 격벽 패널에 결합되는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커버의 내부에 삽입되고 대시 패널에 결합되는 이너 커버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격벽 패널과 상기 아우터 커버 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면서 조립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 사이에 소음차단판이 형성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소음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음차단판들이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보다 길게 형성되어, 소음차단판들의 끝단부가 휘어지면서 상기 아우터 커버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실링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의 하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아우터 커버의 조립시 조립이 보다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커버는, 대시패널과 격벽 패널에 결합되는 부분이 각각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대시패널 결합부와 아우터 부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패널들에 보다 잘 밀착되어, 들뜸 현상이 방지되고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본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E-E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아우터 부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스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방향에서 본 더스트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30)는, 대시 패널(2)과 격벽패널(4)사이에 결합되고, 조향 축(미도시)과 유니버셜 조인트(10)로 결합되는 인텀 샤프트(12)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더스트 커버(30)는, 아우터 커버(40)와 이너 커버(50)를 포함한다. 아우터 커버(40)와 이너 커버(50)는 모두 탄성재질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커버(40)와 이너 커버(50)는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아우터 커버(4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아우터 플랜지부(41), 아우터 통부(42) 및 손잡이부(43)를 포함한다.
아우터 플랜지부(41)는 대시패널(2)에 맞대어져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아우터 플랜지부(41)는 아우터 통부(42)에서 대시패널(2)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아우터 플랜지부(41)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관통하는 관통홀(41a)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통홀(41a)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3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관통홀(41a)에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기부들(41b)이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부들(41b)은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관통홀(4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관통홀(41a)은 후술하는 체결홀(51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아우터 통부(42)는 대시패널(2)과 격벽패널(4)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아우터 플랜지부(41)의 후방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아우터 통부(42)의 하부는 격벽패널(4)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아우터 통부(42)의 하부 외주면에는 격벽패널(4)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격벽패널(4)에는 아우터 통부(42)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격벽패널(4)의 결합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형성된 걸림홈(44)이다.
손잡이부(43)는, 아우터 통부(42)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43)는,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손잡이부(43)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홀들(43a)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잡이부(43)를 잡고 당겨서, 아우터 통부(42)를 격벽패널(4)의 결합홀에 끼우고, 상기 결합홀과 상기 걸림홈(44)이 걸리도록 한다.
한편, 이너 커버(50)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너 플랜지부(51), 이너 통부(52) 및 소음차단판(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너 플랜지부(51)는, 아우터 플랜지부(41)에 맞대어져 대시패널(2)에 아우터 플랜지부(41)와 함께 결합된다. 이너 플랜지부(51)는 아우터 플랜지부(4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너 플랜지부(51)에는 관통홀(41a)에 대응되고, 상기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홀(51a)이 형성된다.
이너 통부(52)는 이너 플랜지부(51)의 후방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너 통부(52)는 아우터 통부(42)의 내측에 삽입된다. 이너 통부(52)의 내주면으로 인텀 샤프트(12)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너 통부(52)와 인텀 샤프트(12)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너 통부(52)는 적어도 일부분은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너 통부(52)는, 그 중심축(C2)이 아우터 통부(42)의 중심축(C1)과 소정각도(θ)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소음차단판(53)은, 이너 통부(52)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소음차단판(53)은, 이너 통부(52)의 외주면과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공간을 차폐하여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소음차단판(53)은 이너 통부(5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음차단판(53)은 3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너 통부(52)의 외주면과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 사이의 이격공간은 원주방향을 따라 크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소음차단판(53)은 이너 통부(52)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t1,t2)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소음차단판들(53)은,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과 이너 통부(52)의 외주면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게 돌출 형성되어, 이너 통부(52)가 아우터 통부(42)에 삽입될 때 소정의 길이만큼 휘어져서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된다. 소음차단판(53)은, 이너 통부(52)와 일체로 형성되고 이너 통부(52)와 동일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휘어져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우터 커버(40)를 대시패널(2)측에서 격벽패널(4)을 향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대시패널(2)과 격벽패널(4)사이에 장착한다. 이 때, 사용자가 아우터 커버(40)의 손잡이부(43)를 잡고 하측으로 당기면, 아우터 통부(42)의 걸림홈(44)과 격벽패널(4)의 결합홀이 걸림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아우터 커버(40)는 탄성재질의 고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아우터 통부(42)의 걸림홈(44)과 격벽패널(4)과의 결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기 결합 구조로 인해, 아우터 통부(42)의 걸림홀(44)과 격벽패널(4)이 걸림 결합되어, 아우터 커버(40)와 격벽패널(4)사이의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불량이 해소되고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40)에 손잡이부(43)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조립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아우터 커버(40)의 장착이 완료되면, 아우터 커버(40)의 내부에 이너 커버(50)를 결합한다. 이너 커버(50)를 대시패널(2)에서 격벽패널(4)을 향한 방향으로 아우터 통부(42)에 삽입하면, 상기 소음차단판들(53)의 끝단이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휘어진다. 소음차단판들(53)이 휘어지면서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아우터 통부(42)의 내주면과 소음차단판들(53)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음차단판들(53)이 아우터 통부(42)와 이너 통부(52) 사이의 이격공간을 가리게 되어, 엔진룸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소음차단판(53)이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써, 소음이 단계적으로 차단되어, 소음차단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너 커버(50)를 아우터 커버(40)의 내부에 삽입한 후, 이너 플랜지부(51)와 아우터 플랜지(41)를 맞댄 후, 이너 커버(50)의 체결홀(51a)에 볼트를 체결한다. 상기 볼트를 체결하면, 이너 플랜지부(51), 아우터 플랜지(41) 및 대시 패널(2)이 일체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더스트 커버(30)는 아우터 커버(40)와 이너 커버(50)로 구성됨으로써, 대시패널(2)과 격벽패널(4)에 각각 견고하게 조립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편하고, 소음 차단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D-D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E-E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격벽패널 결합부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60)는, 아우터 커버(70)와 이너 커버(8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커버(70)는 아우터 통부(71), 아우터 플랜지부(72) 및 대시패널 결합부(73)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통부(71)의 끝단에 아우터 부시(BUSH)(90)가 결합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아우터 통부(71)와 상기 아우터 플랜지부(7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우터 통부(71), 상기 아우터 플랜지부(72) 및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는 인서트 사출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는 상기 아우터 플랜지부(72)의 외주에서 상기 이너 커버(80)의 이너 플랜지부(82)와 맞대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는 상기 이너 플랜지부(82)와 함께 상기 대시패널(2)에 체결된다.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에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홀(73a)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홀(73a)의 내주면은 경사면(73b)을 이룬다. 상기 체결부재는 탭(TAP) 스터드 볼트가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체결홀(73a)은 상기 스터드 볼트의 나사골 부분에 밀착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부시(9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우터 부시(90)는 상기 아우터 통부(71)의 하단 외주에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아우터 통부(71)에는 상기 아우터 부시(90)에 형성된 돌기(90a)가 끼워지도록 돌기홈(7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부시(90)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71)의 하단 외주에 형성된 후크부(71b)가 끼움 결합되도록 후크홀(90b)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부시(9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격벽패널(4)에 형성된 결합홀도 이에 대응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부시(9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격벽패널(4)의 결합홀에 끼워진 후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부시(90)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71)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91)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60)는, 상기 아우터 커버(7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대시패널 결합부(7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대시패널(73)에 보다 잘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커버(70)의 하단에 상기 아우터 부시(9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아우터 커버(70)와 상기 격벽패널(4)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으므로,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차단 효과도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대시패널 4: 격벽패널
12: 인텀 샤프트 30,60: 더스트 커버
40,70: 아우터 커버 41,73: 아우터 플랜지부
42,71: 아우터 통부 43: 손잡이부
50,80: 이너 커버 51,82: 이너 플랜지부
52,81: 이너 통부 53,83: 소음차단판

Claims (7)

  1. 대시패널과 격벽패널을 관통하는 아우터 통부와, 상기 아우터 통부에서 상기 대시패널의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대시패널에 맞대어지는 아우터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아우터 커버와,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내주면으로 인텀 샤프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이너 통부와, 상기 이너 통부에서 상기 아우터 플랜지부의 외측에 맞대어지도록 연장 형성된 이너 플랜지부로 이루어진 이너 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 커버는,
    상기 이너 통부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소음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음차단판은 상기 이너 통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소음차단판들은 각각, 상기 아우터 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이너 통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상기 이너 통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는,
    상기 아우터 통부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절개홀이 형성된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벽패널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우터 통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통부가 상기 결합홀에 끼워진 후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이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6. 삭제
  7. 삭제
KR1020130039699A 2013-04-11 2013-04-11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KR10146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99A KR101468555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99A KR101468555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880A Division KR101822596B1 (ko) 2014-08-11 2014-08-11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62A KR20140123162A (ko) 2014-10-22
KR101468555B1 true KR101468555B1 (ko) 2014-12-04

Family

ID=5199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99A KR101468555B1 (ko) 2013-04-11 2013-04-11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728A (ko) 2015-09-23 2017-03-31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152A1 (ja) * 2002-09-10 2004-03-25 Nsk Ltd. 車両用ホールカバー
KR100633951B1 (ko) * 2005-03-03 200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더스트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5152A1 (ja) * 2002-09-10 2004-03-25 Nsk Ltd. 車両用ホールカバー
KR100633951B1 (ko) * 2005-03-03 200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더스트커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5728A (ko) 2015-09-23 2017-03-31 남양공업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162A (ko)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8044B2 (en)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US9216759B2 (e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468555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KR10182259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KR101819143B1 (ko) 베어링이 구비된 일체형 더스트 커버
JP5046059B2 (ja) エンジンカバー
KR101736092B1 (ko)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JP5299112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KR20180020710A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 장치
JP6831671B2 (ja) グロメ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8345B1 (ko) 차량용 유압튜브 커넥터
JP5914233B2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JP2013079023A (ja) ラックアンドピニオン式の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ブッシュ
JP2018144618A (ja) 車両側部構造
KR20180068066A (ko) 서스펜션 부시
KR100435273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JP5742573B2 (ja) グロメット
KR101988598B1 (ko) 휠가드 조립구조
JP5550763B2 (ja) グロメット
JP5829239B2 (ja) 防振装置
KR20100106733A (ko) 부시 일체형 튜브 및 그 제조방법
CN211107270U (zh) 一种组合开关安装组件及车辆转向机构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JP5270117B2 (ja) グロメット
JP6457375B2 (ja) 液体封入式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