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977B1 - 연료도어 하우징 - Google Patents

연료도어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977B1
KR102335977B1 KR1020170043688A KR20170043688A KR102335977B1 KR 102335977 B1 KR102335977 B1 KR 102335977B1 KR 1020170043688 A KR1020170043688 A KR 1020170043688A KR 20170043688 A KR20170043688 A KR 20170043688A KR 102335977 B1 KR102335977 B1 KR 10233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ealing
opening
fuel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515A (ko
Inventor
양승준
김학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9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Arrangements for sealing the fuel inlet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저부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는 바닥부 및 측벽을 가지며, 상기 제2하우징의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바닥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위하는 실링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실링구조는 차량용 패널의 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도어 하우징{FUEL DOOR HOUSING}
본 발명은 차량의 패널 측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고,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도어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주입장치(fuel filler apparatus)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주입장치는 연료탱크로부터 차량의 패널까지 연장된 퓨얼 필러 튜브(fuel filler tube)과, 퓨얼 필러 튜브의 개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퓨얼 캡과, 퓨얼 필러 튜브를 지지하도록 차량의 패널에 설치된 연료도어 하우징과, 연료도어 하우징을 개폐하는 연료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료도어 하우징은 관통홀을 가지며, 연료도어 하우징의 관통홀에는 퓨얼 튜브(fuel filler tube)의 자유단부가 관통하여 지지될 수 있다. 연료도어 하우징의 관통홀 주변은 차량의 패널 측에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도어 하우징의 관통홀 주변과 차량의 패널 사이에는 링 형상의 실링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체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실링플레이트가 압착됨으로써 연료도어 하우징과 차량의 패널 사이의 실링성능(sealing)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은 금속재질의 체결구를 통해 차량의 패널 측에 설치됨에 따라 그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그 조립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은 금속재질의 체결구에서 녹(rust)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녹 발생으로 인해 체결구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될 뿐만 아니라 연료도어 하우징의 외관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패널 측에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고,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연료도어 하우징은,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저부에 결합되며, 바닥부 및 측벽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이 개구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위하고, 상기 차량용 패널의 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실링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구조는, 제2하우징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에 대해 이격되고, 상기 제1실링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는 네크부(neck portion)를 통해 상기 제1실링부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실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제1실링부의 폭 및 상기 제2실링부의 폭 보다 얇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의 측면에는 제2하우징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는 제3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바닥부의 저면에는 차량용 패널을 향해 돌출하는 제1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부의 상면에는 차량용 패널을 향해 돌출하는 제2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퓨얼 필러 튜브가 관통하는 제1개구 및 우레아 필러 튜브가 관통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은 차량의 외측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차량의 내측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구조는 내측패널의 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패널의 개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네크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도어 하우징의 바닥부에 실링구조를 구성하고, 이러한 실링구조는 차량의 패널 측에 밀봉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그 조립성 및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주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F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실링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실링구조(sealing structure)가 내측패널의 개구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실링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실링구조가 내측패널의 개구에 장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를 저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이 장착되는 내측 패널의 개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 주입장치(10)는, 연료탱크(미도시)로부터 차량의 쿼터패널(5)까지 연장된 퓨얼 필러 튜브(11, fuel filler tube)를 포함할 수 있다.
퓨얼 필러 튜브(11)의 자유단(free end)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퓨얼 필러 튜브(11)의 개구에는 퓨얼 캡(13, fuel cap)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퓨얼 필러 튜브(11)의 자유단은 연료도어 하우징(20)를 관통하고, 퓨얼 필러 튜브(11)이 연료도어 하우징(20)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도어 하우징(20)은 차량의 패널(3, 4)에 설치될 수 있다.
외측패널(3)의 내측에는 쿼터패널(quater panel)로 지칭되는 내측패널(5, inner panel)이 배치될 수 있고, 내측패널(5)은 외측패널(3, outer panel)에 연결될 수 있다.
연료도어 하우징(20)의 외측가장자리는 외측패널(3)에 결합될 수 있고, 연료도어 하우징(20)의 내측 일부는 내측패널(5)에 결합됨으로써 연료도어 하우징(20)은 외측패널(3)과 내측패널(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연료도어 하우징(20)에는 연료 도어(15)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연료도어 하우징(20)의 상부가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연료도어(15)에 의해 연료도어 하우징(20) 내에 위치한 퓨얼 필러 튜브(11)의 자유단 및 퓨얼 캡(13) 등이 보호될 수 있다.
연료도어 하우징(20)은 제1하우징(21)과 제1하우징(21)에 결합된 제2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21)은 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강체 하우징(rigid housing)일 수 있고, 제1하우징(21)의 외측 가장자리(21a)가 외측패널(3)에 밀봉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의 일측에는 연료도어(15)가 피벗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21c, mounting portion)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22)은 고무, 합성수지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하우징(flexible housing)일 수 있고, 제2하우징(22)은 제1하우징(21)의 저부 및 적어도 일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21)과 제2하우징(22)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에, 스냅결합 또는 체결구 등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22)이 제1하우징(21)에 대해 인서트 사출 등을 통해 동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하우징(22)은 바닥부(22a) 및 측벽(22b)을 가질 수 있고, 제2하우징(22)의 바닥부(22a)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개구(23, 24)는 퓨얼 필러 튜브(11)가 관통하는 제1개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23, 24)는 퓨얼 필러 튜브(11)가 관통하는 제1개구(23) 및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 urea filler tube)가 관통하는 제2개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우레아 필러 튜브는 우레아 탱크에 연결될 수 있고, 우레아 탱크 내에 요소수가 주입될 수 있다. 우레아 탱크는 SCR 등과 같이 배기가스에 요소수(urea solution)을 분사하는 장치에 요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개구(23) 및 제2개구(24)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우레아 필러 튜브의 직경이 퓨얼 필러 튜브(11)의 직경 보다 작으므로 제2개구(24)의 직경이 제1개구(23)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개구(23, 24)를 형성함으로써 퓨얼 필러 튜브(11) 및 우레아 필러 튜브를 차량의 특정한 위치에 함께 위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연료주입 및 우레아 주입을 매우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퓨얼 필러 튜브(11)의 자유단은 제2하우징(22)의 제1개구(23)를 통과하여 제1개구(23) 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제2하우징(22)은 그 바닥부(22a)의 개구(23, 24)를 포위하는 실링구조(30)를 가질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실링구조(30)는 제2하우징(22)의 바닥부(22a)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개구(23) 및 제2개구(24)를 함께 포위하는 오발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패널(5)에는 제2하우징(22)이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개구(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내측패널(5)의 개구(6)에 밀봉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내측패널(5)의 개구(6)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발형(oval shape)의 실링구조(30)에 부합하는 오발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링구조(30)는 제1실링부(31, first sealing portion) 및 제1실링부(31)에 대해 수직방향(V)으로 이격되는 제2실링부(32, second sealing portion)를 가질 수 있다. 제1실링부(31) 및 제2실링부(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링부(31)의 단부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제1실링부(31)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를 향해 돌출하고(도 2의 화살표 A방향 참조), 제2실링부(32)의 상면이 내측 패널(5)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제2실링부(32)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도 2의 화살표 B방향 참조).
제1실링부(31)와 제2실링부(32) 사이에는 네크부(33, neck portion)가 형성될 수 있고, 네크부(33)는 제1실링부(31) 및 제2실링부(32)의 폭 보다 얇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3과 같이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내측패널(5)의 개구(6) 측에 결합될 때 네크부(33)의 피벗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네크부(33)의 일면(33a)은 내측패널(5)의 개구(6)와 면할 수 있고, 네크부(33)의 타면(33b)은 퓨얼 필러 튜브(11)와 면할 수 있다.
제2실링부(32)의 측면에는 제3실링부(34)가 형성될 수 있고, 제3실링부(34)의 단부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제3실링부(34)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도 2의 화살표 A방향 참조).
제1실링부(31)와 제3실링부(34)는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V)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링부(31)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상측 외면과 접촉하며, 제3실링부(33)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하측 외면과 접촉할 수 있으므로, 제1실링부(31) 및 제3실링부(34)에 의해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은 수직방향을 따라 2중으로 실링될 수 있으므로 그 실링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제2하우징(22)의 바닥부(22a)의 저면에는 제1립부(35, first lip portion)가 내측패널(5)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제1립부(35)가 내측패널(5)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2실링부(32)의 상면에는 제2립부(36, second lip portion)가 내측패널(5)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제2립부(36)가 내측패널(5)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립부(35)와 제2립부(36)는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H)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립부(35)가 내측패널(5)의 상면과 접촉하며, 제2립부(36)가 내측패널(5)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립(35) 및 제2립부(36)에 의해 내측패널(5)이 수평방향을 따라 2중으로 실링될 수 있으므로 그 실링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링부(31), 제2실링부(32), 제3실링부(33)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내측패널(5)의 개구(6) 측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같이 실링구조(30)의 네크부(33)가 내측패널(5)의 개구(6)의 내경방향(도 3(a)의 화살표 C방향 참조)으로 피벗되면, 3(b)와 같이 실링구조(30)의 제2실링부(32) 및 네크부(33)를 내측패널(5)의 개구(6)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에, 퓨얼 필러 튜브(11)를 제2하우징(22)의 개구(23)에 삽입하면 네크부(33)가 내측패널(5)의 개구(6)의 외경방향(도 3(c)의 화살표 CC방향 참조)으로 피벗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2 및 도 3(c)와 같이 퓨얼 필러 튜브(11)의 외면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에 제1실링부(31) 및 제3실링부(32)가 접촉함과 더불어, 내측패널(5)에 제1립부(35) 및 제2립부(36)가 접촉함으로써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퓨얼 필러 튜브(11)와 내측패널(5)에 대한 실링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내측패널(5)의 개구(6)에 인접한 가장자리에는 일정 길이의 플랜지(7)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7)는 실링구조(30)의 제2실링부(32)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
실링구조(30)는 제1실링부(31, first sealing portion) 및 제1실링부(3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실링부(32, second sealing portion)를 가질 수 있다. 제1실링부(31) 및 제2실링부(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링부(31)의 단부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제1실링부(31)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 24)를 향해 돌출하고(도 4의 화살표 A방향 참조), 제2실링부(32)의 상면이 내측 패널(5)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제2실링부(32)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 24)의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B방향 참조).
제1실링부(31)와 제2실링부(32) 사이에는 네크부(33, neck portion)가 형성될 수 있고, 네크부(33)는 제1실링부(31) 및 제2실링부(32)의 폭 보다 얇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도 5와 같이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내측패널(5)의 개구(6) 측에 결합될 때 네크부(33)의 피벗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네크부(33)의 일면(33a)은 내측패널(5)의 플랜지(7)와 면할 수 있고, 네크부(33)의 타면(33b)은 퓨얼 필러 튜브(11)와 면할 수 있다. 네크부(33)는 내측패널(5)의 플랜지(7)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네크부(33)는 내측패널(5)의 플랜지(7)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실링부(32)의 측면에는 제3실링부(34)가 형성될 수 있고, 제3실링부(34)의 단부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제3실링부(34)는 제2하우징(22)의 개구(23)를 향해 돌출할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A방향 참조).
제1실링부(31)와 제3실링부(33)는 수직방향을 따라 일정간격(V)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링부(31)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상측 외면과 접촉하며, 제3실링부(33)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하측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실링부(31) 및 제3실링부(33)에 의해 퓨얼 필러 튜브(11)의 외면은 수직방향을 따라 2중으로 실링될 수 있으므로 그 실링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제2하우징(22)의 바닥부(22a)의 저면에는 제1립부(35)가 내측패널(5)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이에 제1립부(35)가 내측패널(5)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립부(35)와 내측패널(5)의 플랜지(7)는 수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H2)으로 이격될 수 있고, 실링구조(30)의 네크부(32)가 내측패널(5)의 플랜지(7)와 중첩하도록 장착되면, 제1립부(35)가 내측패널(5)의 상면과 접촉하며, 내측패널(5)의 플랜지(7)는 제2실링부(32)의 상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립(35) 및 내측패널(5)의 플랜지(7)에 의해 내측패널(5)이 수평방향을 따라 2중으로 실링될 수 있으므로 그 실링성능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요컨대, 내측패널(5)의 플랜지(7)는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의 제2림부(36)와 유사한 실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링부(31), 제2실링부(32), 제3실링부(33)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래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가 내측패널(5)의 플랜지(7) 측에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와 같이 실링구조(30)의 네크부(33)가 내측패널(5)의 개구(6)를 향해 피벗되면(도 5(a)의 화살표 C방향 참조), 5(b)와 같이 실링구조(30)의 제2실링부(32) 및 네크부(33)를 내측패널(5)의 플랜지(7)의 내측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에, 퓨얼 필러 튜브(11)를 제2하우징(22)의 개구(23)에 삽입하면 네크부(33)가 내측패널(6)의 개구(6)의 외경방향(도 5(c)의 화살표 CC방향 참조)으로 피벗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4 및 도 5(c)와 같이 퓨얼 필러 튜브(11)의 외면 및/또는 우레아 필러 튜브(미도시)의 외면에 제1실링부(31) 및 제3실링부(34)가 접촉하고, 내측패널(5)에 제1립부(35)가 접촉함과 더불어 제2실링부(32)의 상면에는 내측패널(5)의 플랜지(7)가 접촉할 수 있으며, 실링구조(30)의 내크부(33)는 내측패널(5)의 플랜지(7)와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하우징(22)의 실링구조(30) 및 내측패널(5)의 플랜지(7)가 퓨얼 필러 튜브(11) 및 내측패널(5)에 대한 실링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외측패널 5: 내측패널
10: 연료주입장치 11: 퓨얼 필러 튜브
13; 퓨얼 캡 15: 연료도어
20: 연료도어 하우징 21: 제1하우징
22: 제2하우징 23: 제1개구
24: 제2개구 30: 실링구조
31: 제1실링부 32: 제2실링부
33: 네크부 34: 제3실링부
35: 제1립부 36: 제2립부

Claims (12)

  1. 연료도어가 피벗가능하게 설치된 연료도어 하우징으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저부에 결합되며, 바닥부 및 측벽을 가지고, 상기 바닥부에는 하나 이상이 개구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위하고, 차량용 패널의 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실링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구조는,
    제2하우징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는 제1실링부; 및
    상기 제1실링부에 대해 이격되고, 상기 제1실링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는 연료도어 하우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는 네크부(neck portion)를 통해 상기 제1실링부에 대해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제1실링부 및 상기 제2실링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제1실링부의 폭 및 상기 제2실링부의 폭 보다 얇은 폭을 가지는 연료도어 하우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의 측면에는 제2하우징의 개구를 향해 돌출하는 제3실링부가 형성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차량용 패널을 향해 돌출하는 제1립부가 형성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의 상면에는 상기 차량용 패널을 향해 돌출하는 제2립부가 형성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퓨얼 필러 튜브가 관통하는 제1개구 및 우레아 필러 튜브가 관통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연료도어 하우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 및 제2개구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연료도어 하우징.
  11.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차량의 외측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차량의 내측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실링구조는 내측패널의 개구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는 연료도어 하우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내측패널의 개구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네크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연료도어 하우징.
KR1020170043688A 2017-04-04 2017-04-04 연료도어 하우징 KR10233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88A KR102335977B1 (ko) 2017-04-04 2017-04-04 연료도어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88A KR102335977B1 (ko) 2017-04-04 2017-04-04 연료도어 하우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515A KR20180112515A (ko) 2018-10-12
KR102335977B1 true KR102335977B1 (ko) 2021-12-07

Family

ID=63876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88A KR102335977B1 (ko) 2017-04-04 2017-04-04 연료도어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9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31B1 (ko) * 2007-08-08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JP2010241286A (ja) 2009-04-07 2010-10-28 Toyota Motor Corp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のシール構造
JP2012102843A (ja) 2010-11-12 2012-05-31 Nok Corp 密封装置
US20160325621A1 (en) * 2014-01-20 2016-11-10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for filling at least one tank,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ystem
JP2017043310A (ja) 2015-08-28 2017-03-02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801A (ko) * 2015-09-08 2017-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및 요소수의 선택적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631B1 (ko) * 2007-08-08 2008-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JP2010241286A (ja) 2009-04-07 2010-10-28 Toyota Motor Corp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のシール構造
JP2012102843A (ja) 2010-11-12 2012-05-31 Nok Corp 密封装置
US20160325621A1 (en) * 2014-01-20 2016-11-10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for filling at least one tank,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uch a system
JP2017043310A (ja) 2015-08-28 2017-03-02 フタバ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515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US7390048B2 (en) Shield member
CN207080483U (zh) 嵌入螺母及紧固系统
US8955899B2 (en) Integrated floating overmolded snap-ring and seal for a plastic fuel housing assembly
KR20160044495A (ko) 주입식 밀봉재를 구비하는 캡
KR20120065449A (ko) 클립
US9981548B2 (en) Filler neck housing or charging housing
US20120268062A1 (en) Charging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2014069595A (ja) フューエルインレットボックスのシール構造
US20150266514A1 (en) Opening-closing body structure for vehicle
KR102335977B1 (ko) 연료도어 하우징
JP6329420B2 (ja) 車両後部ドア
CN204476022U (zh) 尿素罐锁盖及尿素罐
KR100747201B1 (ko) 차량용 연료도어
RU2243105C1 (ru) Узел люка для горловины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в крыле кузова
JP6636187B2 (ja) フィラーパイプ用スリーブ体、及び給油部構成装置
KR20180068758A (ko) 요소수 캡
RU109700U1 (ru) Узел люка заливной горловины топливного ба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70117774A (ko) 차량용 루프 안테나의 체결구조
CN107217926B (zh) 具有可枢转锁部件的机动车锁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CN108556620A (zh) 一种塑料油箱燃油管卡的安装结构
KR102440797B1 (ko) 차량용 전방 트렁크의 밀폐구조
KR100872631B1 (ko)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CN209956076U (zh) 车辆前机盖总成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