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631B1 -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 Google Patents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631B1
KR100872631B1 KR1020070079694A KR20070079694A KR100872631B1 KR 100872631 B1 KR100872631 B1 KR 100872631B1 KR 1020070079694 A KR1020070079694 A KR 1020070079694A KR 20070079694 A KR20070079694 A KR 20070079694A KR 100872631 B1 KR100872631 B1 KR 10087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neck
sealing
fuel tube
do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동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통해 외부의 빗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바디의 쿼터판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튜브넥과 연료도어하우징 사이의 실링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쿼터 판넬 내측으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도어 하우징(50)의 저면부를 이루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연료튜브 입구(I)가 관통되도록 관통부(1)가 형성되며 하우징(50)에 삽입된 연료튜브넥(53)에 접촉하여 1차실링을 하도록 접촉부(2)가 형성된 안착부(3)와, 상기 안착부(3)에 고정됨과 아울러 관통부(1)와 일치되도록 관통부(4)가 형성된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 고정판(5)과, 상기 고정판(5)과 안착부(3)를 관통하여 연료튜브넥(53)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연료도어하우징,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Description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SEALING STRUCTURE OF FUEL NECK OF FUEL DOOR HOUSING}
본 발명은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도어 하우징을 통해 외부의 빗물등과 같은 이물질이 바디의 쿼터판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하기 위해 차량 외부로 연료튜브가 연장됨과 아울러 이를 외부와 보호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한 연료 필러 리드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연료 튜브의 종단이 결합되어 고정됨과 아울러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디의 쿼터 판넬측에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하우징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연료 필러 리드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연료 필러 리드는 운전석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연료튜브와 연료도어 하우징은 견고하게 결합되어 연료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 및 빗물등이 쿼터 판넬 내측으로 유입 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도어 하우징(50)의 저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복수의 제1결합공(51)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플레이트(52)와, 상기 플레이트(52)와 밀착되도록 연료튜브(T)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공(51)과 대응되도록 제2결합공(미 도시)이 형성된 연료튜브넥(53)과, 상기 제1, 2결합공(51)에 삽입되어 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54)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연료튜브(T)의 넥부분이 플레이트(52)에 고정된 상태에서, 연료도어 하우징(5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으로서, 연료필러도어(미 도시)를 닫게 되면 연료튜브(T)의 종단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인 플레이트와 연료넥을 밀착시키고 고정볼트로 이를 고정시키게 되면, 플레이트가 플라스틱 재질이기 때문에 강한힘으로 고정볼트를 조일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플레이트와 연료튜브넥의 실링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되고 하우징 내부로 외부의 이물질 및 빗물등이 들어왔을 때 쿼터판넬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튜브넥과 연료도어하우징 사이의 실링 성능을 대폭 향상시켜 쿼터 판넬 내측으로 외부 이물질 및 빗물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도어 하우징의 저면부를 이루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연료튜브 입구가 관통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삽입된 연료튜브넥에 접촉하여 1차실링을 하도록 접촉부가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한 안착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관통부와 일치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 고정판과, 상기한 고정판과 안착부를 관통하여 연료튜브넥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료도어하우징의 저면을 고무재질인 안착부로 형성함과 아울러 여기에 강도가 강한 재질로 제작된 고정판을 설치하고, 상기한 안착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연료튜브넥을 접촉시켜 1차실링하며 쿼터판넬과 안착부의 실링돌기로 2차실링함으로써, 실링 효과를 극대화시켜 쿼터판넬 내측으로 이물질 및 빗물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와 A 부분의 확대도로서, 연료도어 하우징(50)의 저면부를 이루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연료튜브 입구(I)가 관통되도록 관통부(1)가 형성되며 하우징(50)에 삽입된 연료튜브넥(53)에 직접 접촉하도록 접촉부(2)가 형 성된 안착부(3)와, 상기한 안착부(3)에 고정됨과 아울러 관통부(1)와 일치되도록 관통부(4)가 형성된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제작된 고정판(5)과, 상기한 고정판(5)과 안착부(3)를 관통하여 연료튜브넥(53)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6)로 구성되어 있다.
즉, 쿼터 판넬(Q)에 하우징(50)의 안착부(3)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촉부(2)가 연료튜브넥(53)과 접촉되면서 1차 실링을 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고정볼트(6)를 조일 때 단단한 재질인 고정판(5)에 고정하게 됨으로써, 고정볼트(6)를 비교적 큰 힘으로 조일 수 있게 되어 고정판(5), 안착부(3), 연료튜브넥(53)의 결합력을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고정판(5)의 내측에는 연료튜브(T)의 입구부분(I)과 밀착되도록 밀착판(7)이 형성되어 있고, 쿼터판넬(Q)과 안착부(3)를 실링하도록 안착부(3)에 실링돌기(8)가 형성되어 2차실링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연료도어하우징(50)에 연료튜브(T)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료튜브넥(53)을 쿼터판넬(Q)의 저면에서 밀착시킴과 아울러 연료튜브넥(53)이 안착부(3)의 내측면에 형성된 접촉부(2)와 밀착되도록 한다.
접촉부(2)와 연료튜브넥(53)이 밀착되면 이 부분에서 1차 실링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한 연료튜브넥(53)과 안착부(3)가 밀착되면 고정판(5)에서 고정볼트(6)를 삽입하여 연료튜브(T)와 하우징(5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고정볼트(6)를 매우 강하게 조일 수 있게 됨으로써, 하우 징(50)과 쿼터판넬(Q) 및 연료튜브넥(53)이 강하게 결합되어 수밀 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안착부(3)와 쿼터판넬(Q)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실링돌기(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실링돌기(8)가 쿼터판넬(Q)과 압착되면서 2차실링을 하게 됨으로써 연료튜브넥(53)과 쿼터판넬(Q) 및 하우징(50)의 안착부(3)와의 실링효과가 향상되면서 쿼터판넬(Q) 내측으로의 이물질 및 빗물등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연료튜브넥(53)과 접촉부(2)가 압착되면서 1차실링을 하게 됨과 아울러 실링돌기(8)와 쿼터판넬(Q)이 압착되면서 2차실링을 하게 되는 바, 실질적으로 연료튜브넥(53), 안착부(3), 쿼터판넬(Q)의 실링 효과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4는 일반적인 자동차에서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관통공 2: 접촉부
3: 안착부 5: 고정판
6: 고정볼트 7: 밀착판
8: 실링돌기 I: 연료튜브입구
T: 연료튜브 50: 연료도어하우징

Claims (2)

  1. 연료도어 하우징의 저면부를 이루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연료튜브 입구가 관통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되며 하우징에 삽입된 연료튜브넥에 접촉하여 1차실링을 하도록 접촉부가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관통부와 일치되도록 관통부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안착부를 관통하여 연료튜브넥과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는 연료튜브의 입구부분과 밀착되도록 형성된 밀착판과, 쿼터판넬과 안착부를 실링하도록 안착부에 형성되어 2차 실링을 하는 실링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2. 삭제
KR1020070079694A 2007-08-08 2007-08-08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KR10087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94A KR100872631B1 (ko) 2007-08-08 2007-08-08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694A KR100872631B1 (ko) 2007-08-08 2007-08-08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631B1 true KR100872631B1 (ko) 2008-12-09

Family

ID=4037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694A KR100872631B1 (ko) 2007-08-08 2007-08-08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515A (ko) * 2017-04-04 2018-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하우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1430A (en) * 1981-03-12 1982-09-18 Nissan Motor Co Ltd Structure for peripheral part of fuel-supply port of automobile
JPH0467115U (ko) * 1990-10-17 1992-06-1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1430A (en) * 1981-03-12 1982-09-18 Nissan Motor Co Ltd Structure for peripheral part of fuel-supply port of automobile
JPH0467115U (ko) * 1990-10-17 1992-06-15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515A (ko) * 2017-04-04 2018-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하우징
KR102335977B1 (ko) * 2017-04-04 2021-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도어 하우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US10046624B2 (en) Vehicle back door
US10508447B2 (en) Sealing cover for concrete anchor
KR100872631B1 (ko) 연료도어 하우징의 연료넥 실링 구조
JP2005096738A (ja) 車両用バッテリーの固定構造
KR100951786B1 (ko) 방수구조를 가진 차량 후진 경고용 부재
KR100747201B1 (ko) 차량용 연료도어
JP2012028075A (ja) 防水コネクタ
KR101894809B1 (ko) 자동차용 연료필러 하우징 판넬 접합구조
DE10328470A1 (de) Bauteil für ein Kraftfahrzeug
KR0182486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조립체
KR100187415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의 누수방지구조
KR102550191B1 (ko) 정션블록
KR100946965B1 (ko) 윈드실드 기구
KR102335977B1 (ko) 연료도어 하우징
KR0139415Y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KR200497768Y1 (ko) 차량용 연료 충전 커버 결합구조체
JP5136448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KR101037275B1 (ko) 연료펌프 체결장치
KR101619652B1 (ko) 차량용 트렁크의 록마운팅 구조
KR102359912B1 (ko) 복합 도어 래치 모듈
KR950001207B1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 덮개힌지 고정장치
JP2514126Y2 (ja) コンクリ―トブロックの止水接合装置
JP2006017250A (ja) 固定構造
JP2009073333A (ja) インレットボックス用意匠カバー及び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