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565B1 -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565B1
KR101964565B1 KR1020180125675A KR20180125675A KR101964565B1 KR 101964565 B1 KR101964565 B1 KR 101964565B1 KR 1020180125675 A KR1020180125675 A KR 1020180125675A KR 20180125675 A KR20180125675 A KR 20180125675A KR 101964565 B1 KR101964565 B1 KR 10196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cking
unit
suppor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중
Original Assignee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피티 주식회사, 박효중 filed Critical 엘피티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 B24B29/005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글라스의 외곽 측면 테두리부위를 정밀하게 대량으로 단시간에 고효율 연마가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의 적층 글라스의 정렬과 각 장치에 자동화로 공급 및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글라스에 대한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의 가장자리의 테두리면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있어서, 수개의 글라스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에 적층 시켜 각 글라스 좌, 우, 전, 후를 균일하게 정렬시키는 글라스 정렬장치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를 통해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은 각 글라스의 테두리면이 연마되도록 테두리면 연마장치에 도킹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라스 정렬장치를 통해 대량으로 균일하게 글라스를 적층하여 전,후,좌,우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으로 균일한 연마품질을 기대와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The Polishing system of glass fram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글라스의 외곽 측면 테두리부위를 정밀하게 대량으로 단시간에 고효율 연마가 가능할 뿐 아니라 다량의 적층 글라스의 정렬과 각 장치에 자동화로 공급 및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량의 글라스에 대한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제조의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에 사용되고 있는 평면 또는 곡면형태로 글라스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소재는, 기본적으로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고, 쉽게 오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청소도 용이하여 박판 강화유리의 사용이 휴대폰 패널의 보호커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 휴대폰용 글라스의 보호패널은, 초경 다이아몬드 휠, 텅스텐 카바이드 절단휠, 워터제트컷팅, 레이저 절단 등으로 이루어진 유리컷팅수단에 의해 낱장 글라스 여러 장을 잘라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하기 위해 장치를 통해 제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한 예로 국내 등록신용신안공보 제20-0485458호(공개일자: 2018.01.05)에서는 “석션홀(102)을 구비한 평판 형태의 베이스(101)와,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101)의 양측에 체결되는 측부프레임(103)과, 합성수지를 소재로 성형되어 상기 베이스(101)의 전,후단에 체결되는 단부프레임(110)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101) 상부에 커버 글라스(1)를 고정하는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단부프레임(110)의 베이스 방향 모서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에지안착부(112); 상기 에지 안착부(112)의 하부에 홈 형태로 형성된 배수구(114); 및 초경합금을 소재로 성형되고, 체결수단으로 상기 에지 안착부(112)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어 상면이 베이스(101) 표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에지부(1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94228호(공개일자: 2017.11.07)에서는 “양극 산화 방식 아노다이징 공정을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표면이 착색과정에서 발생 되는 산화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휴대폰 케이스(C)의 외곽 테두리 상, 하측에는,
횡방향 왕복운동을 통해 사람이 직접 문지르는 왕복동작을 기능을 수행하여 수작업으로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자주 왕복형 워크장치(1)와, 상기 자주 왕복형 워크장치(1)의 편 측에는 휴대폰 케이스(C)의 외곽 테두리 상, 하, 곡면 면의 산화물 형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는 자주형 사상장치(2)를 구성한 것과, 상기 자주 왕복형 워크장치(1)는, 메인테이블(M)의 중앙으로 길이방향 상측으로 장공레일(M3)을 구비하되 그 양측으로 이동레일(M3-1)을 구비하고, 상기 장공레일(M3)의 저면 편 측에는 이동모터(M1)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횡나사축봉(M1-1)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횡나사축봉(M1-1)에 의해 장공레일(M3)에 따라 좌, 우 횡 방향으로 이동되는 횡이동블럭(M1-2)을 구비하며, 상기 횡이동블럭(M1-2)의 상단에는 상기 휴대폰 케이스(C)를 파지하는 클램프유닛(10)과 상기 휴대폰 케이스(C)를 반전회전시키는 위크 스테이지유닛(30)을 구비한 이동테이블(T)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테이블(T)의 양측에는 횡가이드블럭(M1-3)이 상기 이동레일(M3-1)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산용 휴대폰 케이스 외곽 테두리 사상장치”이 있고,
또,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9924호(공개일자: 2014.04.29)에서는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의 가장자리 4곳의 에지면에 대한 연마가 가능한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A)에 있어서,
일측에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수의 글라스를 일괄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된 글라스 에지면의 연마를 위한 연마용 브러시휠(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다발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는,
상,하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개 글라스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 동시적인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하기 편한 별도의 장소에서 글라스를 사전에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연마기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측과 하측끝에 상,하 도킹부를 포함한 착탈식 클램프(110)가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110)가 도킹될 위치의 연마기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110)측 상,하 도킹부가 맞물림 되어 안전한 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기측 상,하단 도킹부(120, 1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이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98447호(공개일자: 2017.08.31)에서는 “글라스(1)의 상호 대응하는 양측과 전후방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를 연마하는 글라스 보강 CNC 연마를 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글라스(1)가 올려지는 공급 트레이(21)가 적층되는 장입트레이(22)를 포함하는 글라스 공급부(2)와;
글라스 공급부(2)에서 공급된 글라스(1)가 올려져 이송되는 제1 이송테이블(31)과, 제1 이송테이블(31)에 올려진 글라스(1)를 정렬시키는 제1 정렬장치(32)와, 제1 이송테이블(31)의 이송에 따라 글라스(1)의 일 측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제1 분사장치(33)와, 글라스(1)를 픽업하여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1 흡착 이송장치(34)와, 제1 흡착 이송장치(34)에 의하여 이송된 글라스(1)의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면을 경화시키는 제1 UV 경화장치(35)와, 제1 흡착 이송장치(34)에 의하여 다시 픽업된 후 180도 회전한 글라스(1)가 올려져 이송되는 제2 이송테이블(36)과, 제2 이송테이블(36)에 올려진 글라스(1)를 정렬시키는 제2 정렬정치(37)와, 제2이송테이블(36)의 이송에 따라 글라스(1)의 일 측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제2 분사장치(38)와, 글라스(1)를 픽업하여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2 흡착 이송장치(39)와, 제2 흡착 이송장치(39)에 의하여 이송된 글라스(1)의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면을 경화시키는 제2 UV 경화장치(40)와, 제2 흡착 이송장치(39)에 의하여 다시 픽업된 후 90도 회전한 글라스(1)가 올려져 이송되는 제3 이송테이블(41)과, 제3 이송테이블(41)에 올려진 글라스(1)를 정렬시키는 제3 정렬정치(42)와, 제3 이송테이블(41)의 이송에 따라 글라스(1)의 일 측면에 광경화성 수지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제3 분사장치(43)와, 글라스(1)를 픽업하여 이동 및 회전시키는 제3 흡착 이송장치(44)와, 제3 흡착 이송장치(44)에 의하여 이송된 글라스(1)의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면을 경화시키는 제3 UV 경화장치(4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글라스 보강장치(3)와; 3개의 측면에 광경화성 수지가 도포 및 경화된 글라스(1)의 상하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모따기 공정부(5)와; 상기 글라스(1)의 모따기가 완료된 부분을 미세하게 연마하는 미세연마 공정부(6)와; 미세연마를 마친 글라스(1)를 세척하는 세척부(71)와 건조하는 건조부(72)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세척 및 건조공정부(7)와; 가공된 글라스(1)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부(8)와; 가공된 글라스(1)가 올려지는 배출 트레이(91)가 적층되는 반출트레이(92)를 포함하는 글라스 배출부(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보강 CNC 연마를 하기 위한 시스템.”가 알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 위한 다양한 연마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485458호의 경우 휴대폰 커버 글라스 연마용 지그형태로 이루어지는 지그는 가공대 상단에 다수개의 연마패드와 지그를 구비하여 연마패드의 회전에 따라 지그에 고정된 커버 글라스의 연마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량으로 균일한 연마품질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연마시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게다가 생산성이 떨어져 다수개의 커버 글라스 연마에는 생산효율 증가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위 등록특허공보 제10-1794228호의 경우에는 휴대폰 케이스 외곽 테두리 사상장치를 제공하고 있으나 대량으로 신속하게 테두리를 연마하기에는 그 수량이 제한되어 있어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 하나의 지그체에 휴대폰 케이스 를 상,하로 클램핑하여 좌,우 연마 사상장치에 의해 연마되는 구성은 연마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위 본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제10-1389924호의 경우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나, 다단 적층된 글라스를 수작업을 통해 클램핑하여 공브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제대로 정렬되지 못한 글라스로 인해 제품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 다량 적재된 글라스를 한꺼번에 작업자가 수잡업으로 작업공간에 도킹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글라스가 적층된 상태에서 입출에 따른 작업시간의 증가에 따라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위 등록특허공보 제10-1798447호의 경우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사각의 유리판 형상을 가진 글라스 모서리를 모따기 하기전에 광경화성 수지를 도포하여 가공중에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광경화서 수지를 도포할 때 외곽 측면에 설치되는 마스킹 페이퍼 공정에서 발생되는 불량율에 의해 광경화성 수지가 상면 또는 하면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불량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또, 특히 글라스 컷팅수단으로 절단하면 잘려 진 가장자리의 단면(이하, "테두리면"이라 약칭함)에는, 글라스의 균열이나 크랙(crack)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파손을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글라스 가장자리의 테두리면에 연마에서 발생되는 불안요소를 최소화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여 글라스 테두리 연마를 효율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와 작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글라스 정렬장치를 구비하여 글라스 정렬 정밀성을 높여 글라스 테두리 연마 정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 각 장치별 글라스가 클림핑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의 공급과 배출을 수행하는 글라스 입출유닛을 구비하여 안전사고와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또,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에 의해 글라스 테두리 연마가 완료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글라스 반전장치를 구비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의 가장자리의 테두리면에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있어서, 수개의 글라스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에 적층 시켜 각 글라스 좌, 우, 전, 후를 균일하게 정렬시키는 글라스 정렬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를 통해 공급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은 균일한 휴대폰 테두리면의 연마가 이루어지는 테두리면 연마장치가 도킹되어 연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글라스 정렬장치를 통해 대량으로 균일하게 글라스를 적층하여 전,후,좌,우를 정렬할 수 있도록 하여 대량으로 균일한 연마품질을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연마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연마비용을 절감하고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다단 적층된 글라스를 입출유닛을 통해 비중이 나가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을 쉽게 장치와 장치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효율성을 높이고 안적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 정렬장치를 통해 글라스의 정렬상태를 높여 글라스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또, 별도로 테두리면 외부에 손상방지를 위한 수지도포 필요성이 없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글라스를 연마하여 이동시켜 낱장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글라스 반전장치를 구비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된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의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 개념도
도 3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글라스를 정렬장치의 도면 및 실시 상태 예시도
도 8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글라스 입출유닛의 도면 및 실시 상태 예시도
도 12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착탈식 클램프 유닛의 도면 및 단면 예시도
도 15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장치의 도면 및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
도34내지 도40은 본 발명의 글라스 반전장치의 도면 및 작동실시 상태 예시도임.
도41내지 도42는 본 발명의 착탈식 클램프 유닛의 또 다른 응용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43은 본 발명의 도킹부 가이딩수단에 적용되는 다각레일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44는 본 발명의 도킹부 가이딩수단에 적용되는 자바라구조를 나타낸 응용실시 상태예시도
본 발명의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은 도 1 내지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G)의 가장자리의 테두리면(T)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글라스(G)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적층 시켜 각 글라스(G) 좌, 우, 전, 후를 균일하게 정렬시키는 글라스 정렬장치(B)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도 15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공급된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각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이 연마되도록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도킹되도록 구비한다.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는,도 8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과 배출작업을 수행하는 글라스 입출유닛(C)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일측에는, 도34 내지 도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면 연마장치(A)를 통해 연마가 완료된 글라스(G)가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배출시킨 후 반전회전시켜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클램프 된 수개의 글라스(G)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글라스 반전장치(D)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는, 도15 내지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에 의해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시키는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 된 글라스(G) 테두리면(T) 연마를 위한 연마용 브러시휠(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액 분사노즐(300)의 후측 편측 고정지지체(195)에는 양측핀(A-1)에 끼워져 클램프 프레임(113)을 갖는 클램프 결합부(114)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는, 도23 및 도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다단으로 다수 개 글라스(G)가 적층 되어 클램핑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 동시적인 클램핑 동작되는 장치로서,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글라스(G)가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될 수 있도록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테두리면 연마장치(A)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글라스(G)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측과 하측 끝에는 상, 하 도킹부(120)(130)를 구비하여 그 상,하 도킹부(120)(130) 사이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하 도킹체결부(115)(116)에 맞물림 되어 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윗면과 저 면에는 상기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적층 한 후,
상기 상, 하 양방향으로 스페이서(S)를 끼운 다음 그 상, 하측으로 각각 누르고 받치는 가압지지판(111a)(112a)을 구비한 상클램프 조절유닛(111)과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을 구비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상단 도킹부(120)에는, 도 19 내지 도 24 와 도 41 내지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용 구동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정, 역회전하되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홈(115-1)(1121)과 삽입홈(115-2)(112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1120)와 맞대응 체결 도킹되도록 걸림턱(171)과 삽입턱(172)을 구비한 클램프 구동축(170)이 일정 반경으로 턴(turn) 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클램프 구동축(170) 상방 일측에는 상기 클램프 구동축(170)의 승,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승하강수단(180)이 구비되는 동시에 그 승하강수단(180)을 전, 후측 이동시키는 전후이송수단(190)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하단 도킹부(130)의 저면에는, 도 19 내지 도 29와 도 44 내지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회전이 가능한 클램프 공회전축(191)이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공회전축(191)의 하측에는 전후이송수단(190)에 의해 상단 도킹부(120)가 전, 후측으로 이동될 때 그 유동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상방으로는, 도 20 내지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시 구동용 회전모터(21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브러시 샤프트(220)가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 샤프트(220)에는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승, 하강 동작은 물론 좌, 우측으로의 이동하는 브러시 승하강수단(230)과 브러시 좌,우이송수단(240)이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는, 도 3내지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테두리면(T) 연마작업 수행하기 전에 수개의 다발 적층 글라스(G)를 균일하게 좌, 우, 전, 후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정렬본체(501)의 상면 중심에는 상, 하측으로 상, 하단 정렬도킹부(510)(520)를 설치한 정렬지지체(530)를 구성한 것과,
상기 정렬지지체(530)의 상단 정렬도킹부(510)에는,
실린더(531)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압축봉(532)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축봉(532)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와 맞대응 체결 도킹 되도록 정렬걸림턱(533)과 정렬삽입턱(534)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정렬지지체(530)의 하단 정렬도킹부(520)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와 체결 도킹 되도록 가이드홈(535)을 구비한 정렬핀(536)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상단 정렬도킹부(510)와 하단 정렬도킹부(520) 양측에는,
상기 정렬본체(501)의 상단에 정렬실린더(502)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정렬실린더(502)에는 왕복형 링크바(503)를 상하 대칭으로 구비하되, 그 링크바(503)의 편 측에는 정렬지지체(530)에 힌지 회전되도록 상,하 링크바(503)에 연결되는 가이드바(504)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바(503)의 편측 내측으로는 돌출형 수지재 탄성 소재로 구비된 전,후밀판(505)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밀판(505)의 반대 측에는 상지 정렬지지체(530)에 고정설치되는 전,후지지편(506)을 구비한 전,후 정렬유닛(B-1)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전,후 정렬유닛(B-1)의 앞쪽 편측에는 가압실린더(540)에 의해 작동되는 좌,우밀판(541)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밀판(541)의 앞쪽 타측에는 상기 정렬지지체(530)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지지편(542)를 구비한 좌, 우 정렬유닛(B-2)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는, 도 8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고정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몸체(60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몸체(601)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좌, 우 이동수단(620)을 구비하며,
상기 좌, 우 이동수단(620)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전, 후 이동수단(610)을 구비하고,
상기 전, 후 이동수단(610)의 상단에는 이동블럭(62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수직체(622)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체(622)의 편 측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수동 또는 모터의 동력인 인가받아 이동되는 승하강유닛(630)에 설치되는 지지대(63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631)의 상,하측에는 수평으로 가로지지대(63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지지대(632)의 타측 끝에는 걸림대(633)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대(633)의 내측 상측 가로지지대(632)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되어 유지될 수 있는 걸림바(634)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라스 반전장치(D)는, 도 34내지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몸체(801)의 상단 편 측에는 회전축봉(852)이 축삽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한 반전지지몸체(851)을 구비하고,
상기 반전지지몸체(851)의 외 측에는 피니언(853)을 구비하되, 그 피니언(853)은 외부 반전실린더(859)에 의해 슬라이딩 전, 후 작동되는 랙을 구비한 이동바(854)와 맞물려 가이드레일(858)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이동바(854)의 외 측에는 전, 후 측에 쇼바(856)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완충판(855)을 구비한 것과,
상기 회전축봉(852)의 타 측에는 회전방지홈(874a)을 구비한 회전방지브라켓(874)이 설치된 수직브라켓(87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브라켓(871)의 상, 하측에는 상측대(872)와 하측대(873)을 구비하며,
상기 상측대(872)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도킹체결부(115)가 걸림되도록 가이드레일(875)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875)의 전측에는 레바형태 조절되도록 걸림 되는 걸림레바(876)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대(873)의 상측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가 받침홈(877a)에 걸림 되어 고정되는 받침브라켓(877)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는, 도3내지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고정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몸체(60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몸체(601)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좌, 우 이동수단(620)을 구비하며,
상기 좌, 우 이동수단(620)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전, 후 이동수단(610)을 구비하고,
상기 전, 후 이동수단(610)의 상단에는 이동블럭(621)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럭(621)에는 3축 이상 다관절 로봇팔(P)을 구비하여 다양한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3축 이상 다관절 로봇팔(P)의 편 측에는 걸림대(633)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대(633)의 내측 상측 가로지지대(632)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 되어 유지될 수 있는 걸림바(634)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에는 회전관(111c)을 구비한 회전몸체(111d)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111d)의 상측 중심으로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1b)과 스냅링에 의해 상도킹체결부(115)와 가압지지판(111a)이 체결회전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상도킹체결부(115)의 상측에는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 내면에는 나사홈(112f)을 구비한 지지블럭(112h)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12h)의 중심에는 나사홈(112f)과 맞대응되는 조절홈(112g)을 구비하되, 그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2b)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구비된 승강 조절블럭(112c)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는 수작업으로 가압지지판(112)을 수직으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의 저면은 중심에 도킹홈(112e)를 구비한 볼트(112d)가 나사 체결된 하도킹체결부(116)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도 41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상면에는 관체 형태의 돌출형 지지관(1104)을 구비한 지지블럭(1103)이 축삽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103)의 중심 내면에는 나사결합홈(1106)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결합홈(1106)에는 나사면(1107)을 구비한 도킹지지관(1108)을 구비하되, 그 상측으로 연결회전체(1109)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회전체(1109)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축봉(1121)과 그 상측에는 걸림홈(1121)과 삽입홈(1122)을 갖는 상도킹체결부(1120)을 구비하며,
상기 상도킹체결부(1120)의 하부 축봉(1121) 중심에 축삽고정되는 회전판(1102)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지지관(1104)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보호커버(110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1105)의 중심에는 글라스 가압지지판(1101)이 고정설치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도 41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프레임(113)에 고정 설치되도록 중심 저면에는 축관(1301)을 구비하고,
상기 축관(1301)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302)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회전축봉(1303)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1303)의 상측에는 걸림홈(1304)과 삽입홈(1305)을 구비하되, 그상측에는 가압지지판(130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1303)의 하측에는 하걸림홈(1307)과 하삽입홈(1308)을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은, 도 43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구획된 공간(S) 내부에서 전, 후진시에 수분 및 연마재 침투로 인한 LM 가이드레일(192a)의 부식 및 가이드레일 내부 볼(미도시) 터짐을 방지하고, 가공에 의한 연마가루와 연마재로 인한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다각레일구조(R) 및 자바라구조(J)을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다각레일구조(R)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바닥(M)의 상면일측에 지지레임몸체(1501)을 구비하되, 그 전,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 사이에 구비된 8각레일바(1506)를 구비하며,
상기 8각레일바(1506) 다각외면에 맞물려 회전되는 가이드롤러(1507)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롤러(1507)는 나사결합형태의 회전축봉(1515)이 경사면(1504a)(1504b)에 나사결합되는 측판(1504)을 구비하여 상기 8각레일바(1506)을 따라 전, 후 이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바라구조(J)는,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레임몸체(1501)의 전,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의 사이에 전,후 이동용 측판(1504)을 구비하며,
상기 측판(1504)의 양측에는 이물질 차단을 위한 신축자바라(1601)를 체결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8각레일바(1506)은,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4각, 6각 또는 원형형태의 레일바(1506a)(1506b)(1506c)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은,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의 각 구성요소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에 첨부된 바와 같이 수개의 글라스(G)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각, 글라스 정렬장치(B), 테두리면 연마장치(A), 글라스 입출유닛(C)와 글라스 반전장치(D)에 정렬, 공급, 연마, 배출, 분리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대량의 글라스(G) 테두리면(T) 연마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3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에서 휴대폰 글라스(G)를 대량으로 적층 하여 클램핑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개의 다발 적층 글라스(G)에 균일화된 좌, 우, 전, 후로 정렬할 수 있도록 정렬본체(501)의 상면 중심에는 상, 하측으로 상, 하단 정렬도킹부(510)(520)를 설치한 정렬지지체(530)을 구비하여 그 정렬지지체(530) 사이에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끼워져 글라스(G)가 스페이서(S)에 의해 일정수량 적층되어 클램핑 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쉽게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도킹 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상기 도킹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정렬지지체(530)의 상단 정렬도킹부(510)에는,
상기 실린더(531)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압축봉(532)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축봉(532)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와 맞대응 체결 도킹 되는 정렬걸림턱(533)과 정렬삽입턱(534)을 구비하여 정밀하면서도 균일한 글라스(G)의 테두리 면 연마를 위한 정렬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상단 정렬도킹부(510)의 하단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와 체결되어 도킹 되도록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홈(535)에 그 중심에 정렬핀(536)을 구비한 정렬도킹부(520)에 의해 신속하면서고 간단하게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단을 도킹시킬 수 있도록 작동되며,
상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정렬장치(B)에 글라스(G)가 클램핑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글라스 입출유닛(C)을 구비하는데,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은,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또는 고정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몸체(601)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좌, 우 이동수단(620)과,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전, 후 이동수단(610)을 구비하여 좌,우, 전, 후 이동이 용이하도록 작동하여 글라스 정렬장치(B), 테두리면 연마장치(A), 글라스 입출유닛(C)와 글라스 반전장치(D)에 각각 공급 및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사용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은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구비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전, 후 이동수단(610)의 상단에는 수직체(622)를 구비한 이동블럭(621)에 설치되는 수동손잡이(639) 또는 모터의구동력(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승하강유닛(630)에 의해 지지대(631)가 위, 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안전하게 걸림되어 글라스 정렬장치(B), 테두리면 연마장치(A), 글라스 입출유닛(C)와 글라스 반전장치(D)에 원활하게 도킹 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621)에 3축 이상 다관절 로봇팔(P)을 구비하여 다양한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적용시켜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공급되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구비된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 하 도킹부(120)(130)에 공급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는,
도11 내지 도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는, 상, 하 다단으로 적층된 다수개 글라스(G)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 동시적인 클램핑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하기 편한 별도의 장소에서 글라스(G)를 사전에 글라스 정렬장치(B)에 의해 정렬된 상태로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연마기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테두리면 연마장치(A)로 공급 및 배출되도록 하여 글라스(G)의 테두리 면에 대한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측과 하측끝에 상,하 도킹부(120)(130)를 포함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가 도12 내지 도17과 도41 내지 도42에 같이 구비되어 설치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도킹될 위치의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측과 하측 끝에는 상, 하 도킹부(120)(130)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 도킹부(120)(130) 사이에는 상,하 도킹체결부(115)(116)에 맞물림 되어 안전한 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도 13 과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기측 상단 도킹부(120)의 상부에는 턴용 구동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일정한 반경으로 턴(tun)되는 클램프 구동축(160)이 설치되는 데,
이 클램프 구동축(170) 상방의 어느 일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승, 하강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수단(180)이 구비되는 동시에 전, 후측으로의 유동 가능하도록 전후이송수단(190)도 더불어 구성되어 작동되고,
또, 상기 기기측 상단 도킹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기기측 하단 도킹부(130)의 저면에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클램프 공회전축(191)이 구성되는데,
이 클램프 공회전축(191)의 하측에는 전후 이송수단(190)에 의해 상단 도킹부(120)가 전,후측으로 이동될 때 그 유동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이 또한 추가 구비되어 작동되며,
이때, 상기 승하강수단(180)과 전후이송수단(190) 및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은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푸시용 실린더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유기적으로 조합시킨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 상기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은, 도43 내지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구획된 공간(S) 내부에서 전, 후진시에 수분 및 연마재 침투로 인한 LM 가이드레일(192a)의 부식 및 가이드레일 내부 볼(미도시) 터짐을 방지하고, 가공에 의한 연마가루와 연마재로 인한 습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각레일구조(R)과 자바라구조(J)을 구비할 수 있는데,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각레일구조(R)는, 본체바닥(M)의 상면 일측에 지지레임몸체(1501)을 구비하되, 그 전, 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 사이에는 다각형태의 8각레일바(1506)을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고정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8각레일바(1506) 다각 외면에는 맞물려 회전되는 하나이상 상,하 대칭으로 가이드롤러(1507)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롤러(1507)는 나사결합형태의 회전축봉(1515)이 경사면(1504a)(1504b)에 나사 결합되는 측판(1504)을 구비하여 상기 8각레일바(1506)을 따라 전, 후 이동되도록 작동하고,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바라구조(J)는 지지레임몸체(1501)의 전,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롤러(1507)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측판(1504)을 구비하며,
상기 측판(1504)의 양측에는 이물질 차단을 위한 신축자바라(1601)를 체결되도록 고정하여 길이방향 전,후 이동 작동에도 내부로 이물질이나 절삭유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도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8각레일바(1506)는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4각, 6각 또는 원형형태의 레일바(1506a)(1506b)(1506c)형태로 구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연마기에 구성되어 있는 기기 측 상단 도킹부(120)와 기기측 하단 도킹부(130) 사이에 용이하게 셋팅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연마 과정에서 필요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턴 동작도 가능한 것은 물론 전, 후측으로의 자유로운 위치이동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12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에는 회전관(111c)을 구비한 회전몸체(111d)에 상측 중심으로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1b)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상도킹체결부(115)와 가압지지판(111a) 삽설되어 체결회전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상도킹체결부(115)의 상측에는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하여 균일한 상측 가압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또한, 도41 내지 도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상면에는 관체 형태의 돌출형 지지관(1104)을 구비한 지지블럭(1103)이 축삽 고정되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럭(1103)의 중심 내면에는 나사결합홈(1106)을 구비하여, 그 나사결합홈(1106)에는 나사면(1107)을 구비한 도킹지지관(1108)을 구비하되, 그 상측으로 연결회전체(1109)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회전체(1109)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축봉(1121)과 그 상측에는 걸림홈(1121)과 삽입홈(1122)을 갖는 상도킹체결부(1120)을 구비하며,
상기 상도킹체결부(1120)의 하부 축봉(1121) 중심에 축삽고정되는 회전판(1102)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지지관(1104)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보호커버(110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1105)의 중심에는 글라스 가압지지판(1101)이 고정설치되어 구비하여 균일한 상측 가압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며,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 내면에는 나사홈(112f)을 구비한 지지블럭(112h)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12h)의 중심에는 나사홈(112f)과 맞대응되는 조절홈(112g)을 구비하되, 그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2b)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구비된 승강 조절블럭(112c)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는 수작업으로 가압지지판(112)을 수직으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의 저면은 중심에 도킹홈(112e)를 구비한 볼트(112d)가 나사 체결된 하도킹체결부(116)을 구비하여 균일한 하측 가압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또,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클램프 프레임(113)에 고정 설치되도록 중심 저면에는 축관(1301)을 구비하고,상기 축관(1301)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302)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회전축봉(1303)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1303)의 상측에는 걸림홈(1304)과 삽입홈(1305)을 구비하되, 그상측에는 가압지지판(130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1303)의 하측에는 하걸림홈(1307)과 하삽입홈(1308)을 구비하여 균일한 하측 가압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에는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가 상기 상단 도킹부(120)의 걸림턱(171)과 삽입턱(172)을 구비한 클램프 구동축(170)과 맞물려 임의각도로 턴용 구동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정, 역회전 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에는 도킹홈(112e)를 구비하되 그 중심에 볼트(112d)가 나사 체결되는 하도킹체결부(116)가 상기 하단 도킹부(130)의 공회전축(191)과 맞물려 임의각도로 턴용 구동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정, 역회전 되도록 작동되며,
또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 된 글라스(G) 테두리면의 연마를 위한 연마용 브러시휠(200)을 통해 테두리면(T)의 균일한 연마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작동되며,
한편,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은,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를 통해 고정되어 있는 글라스(G)의 4방향 테두리면(T)에 밀착되면서 연마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상측에는 브러시 구동용 회전모터(21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브러시 샤프트(220)가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 샤프트(220)의 상측에는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승, 하강동작은 물론 좌,우측으로의 이동하는 브러시 승하강수단(230)과 브러시 좌,우이송수단(240) 또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에 형성되어 있는 브러시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지만, 특히 유연하면서도 질기고 강한 나이론(nylons) 재질을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브러시 승하강수단(230)과 브러시 좌,우이송수단(240) 역시 위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푸시용 실린더와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 블럭을 유기적으로 조합시킨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에 의해 연마용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간에 마찰에 의한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균일한 연마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작동되고,
나아가,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 사이에는 연마시의 면취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일정한 연마제의 연속적인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이 설치되는데, 이 연마액은 특히 글라스(G)에 발생된 미세한 흠집이나 스크래치를 비롯한 잔 기스 및 미세 자국에 대하여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2미크론 이하의 산화세륨 연마제를 액상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면 유리하며,
상술된 바와 같이, 평판 글라스(G)의 테두리면(T)과 그 테두리면(T)의 상,하 모서리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결함요소(크고 작은 상처, 요철, 스크래치, 기스, 이물질, 심하게 각진 부위 등)에 대한 효과적인 연마가 가능할 뿐 아니라,
그 연마시 한번에 여러 장의 글라스(G)를 동시에 클램핑한 상태에서 일괄적인 동시 연마작업이 되도록 작동되고,
도 19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후 측의 고정지지체(195)에는 양측핀(A-1)에 끼워져 상기 클램프 프레임(113)이 상기 고정용 클램프장치(100)의 상,하 도킹체결부(115)(116)에 의해 클램프된 후 연마공정에서 상기 클램프프레임(113)이 고정되어 스스로 움직이거나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용이한 도킹 결합성을 제공하는 클램프 결합부(114)를 구비되어 균일하고 안전한 작업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동되며,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구조는, 피가공물인 글라스(G)의 윗면과 저면을 상, 하 양방향에서 상, 하 도킹부(120)(130)에 의해 각각 누르고 받치는 조작에 의해 용이한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대칭으로 글라스(G)와 스페이서(S)가 함께 끼워진 클램프 프레임(113)에 구비되는 가압지지판(111a)(112a)을 구성하여 견고하게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상기 가압지지판(111a)(112a)의 외측으로는 베어링(111b)(112b)에 의해 공회전 되도록 구비된 상, 하측 클램프 조절유닛(111)(112)에 구비하여 상기 상, 하 도킹부(120)(130)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상, 하측 클램프 조절유닛(111)(112)을 구비하여 상,하측 클램프 조절유닛(111)(112)의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111b)(112b)(1107)(1302)에 의해 공회전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과 하클램프 조절유닛(112) 사이에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가 구성되고, 중앙에 대한 간섭의 회피가 최대한 고려된 클램프 프레임(113)을 구비하여 여기에 인접하는 연마기의 고정 지지체에 용이한 결합성을 제공하는 양측핀(A-1)에 끼워져 구비되는 클램프 결합부(114)에 의해 상기 프레임(113) 상, 하측 중심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상, 하측 클램프 조절유닛(111)( 112) 각각의 상측 끝단과 저면부 끝단에 각각 구성되는 클램프측 상, 하 도킹체결부(115,116)에 의해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하 도킹체결부(120)(130)이 맞물려 지도록 작동되고,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작업으로 가압지지판(112)을 수직으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승강 조절블럭(112c)에 의해 작업자가 글라스(G)를 스페이서(S)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설치하여 외부에서 렌치 또는 수 공구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저면 중심에 도킹홈(112e)를 구비한 볼트(112d)가 나사 체결되는 하도킹체결부(116)가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클램프 프레임(113)의 승강 조절블럭(112c)의 외면으로는 나사홈(112f)에 맞대응되는 조절홈(112g)이 구비된 지지블럭(112h)에 내부에 구비된 승강 조절블럭(112c)이 승하강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적층 된 글라스(G) 양측에는 정렬본체(501) 상단에는 정렬실린더(502)를 구비된 왕복형 링크바(503)와 가이드바(504)에 의해 작동으로 인해 상기 링크바(503)에는 돌출형 수지재 탄성 소재로 구비된 전,후밀판(505)과, 전,후지지편(506)을 구비한 전,후 정렬유닛(B-1)에 의해 글라스(G)의 전면부를 가압시켜 전,후 정렬상태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편 측 정렬지지체(530) 상단에는 가압실린더(540)에 의해 작동되는 좌,우밀판(541)이 정렬지지체(530)에 고정설치된 좌우지지편(542)과 좌,우 정렬이 되도록 구비한 좌, 우 정렬유닛(B-2)에 의해 글라스(G)D의 좌,우 정렬이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지지대(631)의 상,하측에는 수평으로 가로지지대(632)와 걸림대(633)를 구비하되, 그 상측 편 측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가 삽설되어 걸림고정되도록 내부에 장공형태로 구비하고 그 양측에 대칭으로 걸림바(634)길이방향으로 구비하여 쉽고 간편하게 걸림되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글라스 반전장치(D)는, 고정 또는 이동형으로 구비되는 반전몸체(801)에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임의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글라스 반전장치(D)과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고정시키는 클램핑유닛(870)에 의해 신속하게 수직에서 수평으로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회전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글라스 반전장치(D)은 반전몸체(801)의 상단 편 측에는 회전축봉(852)이 축삽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한 반전지지몸체(851)에 의해 그 편측과 타측에는 피니언(853)과 ,반전실린더(859)에 의해 슬라이딩 전, 후 작동되는 랙을 구비한 이동바(854)와 맞물려 가이드레일(858)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가이드레일(875)과 받침브라켓(877)에 의해 수직으로 도킹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가 수평으로 회전될 때 상기 반전실린더(859)에 설치된 랙을 구비한 이동바(854)가 가이드레일(875)따라 이동될 가해 지는 충격을 상기 이동바(854)의 외 측에 구비된 완충판(855)이 상기 반전몸체(801)의 상단 전, 후측에 설치된 쇼바(856)에 의해 회전작동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되어 정밀하게 연마된 글라스(G)가 균일하게 연마될 수 있도록 작동되며,
또한, 상기 회전축봉(852)의 타 측에는 회전방지홈(874a)을 구비한 회전방지브라켓(874)이 설치된 수직브라켓(871)을 구비하되, 그 상,하측에는 상측대(872)와 하측대(873)에 의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가 도킹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대(872)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도킹체결부(115)가 걸림되도록 가이드레일(875)과, 걸림레바(876)에 의해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부가 끼워진 다음 이탈되지 않도록 탈착형으로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작동되고,
상기 하측대(873)의 상측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가 받침홈(877a)에 걸림 되어 고정되는 받침브라켓(877)을 구비하여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부가 고절설치되도록 작동되며,
또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는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하나 이상 동시에 구비하여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연속적으로 글라스(G)가 구비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으로 부터 공급받도록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 설치된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를 공급 및 배출이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글라스 입출유닛(C)를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구비하며 작동되록 하며,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를 통해 완료된 테두리면(T)이 완료된 글라스(G)는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를 배출하여 외부에서 쉽게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설치된 글라스(G)를 배출할 수 있는 글라스 반전장치(D)를 하나 이상 구비되어 작동 될 수 있도록 한다.
A: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장치 A-1: 양측핀
B: 글라스 정렬장치 C: 글라스 입출유닛
D: 글라스 반전장치 G: 글라스
S: 스페이서 100: 글라스 고정용 클램프장치
110: 착탈식 클램프 유닛 111,112: 상, 하측 클램프 조절유닛
111a,112a: 가압지지판 112: 가압지지판
111b,112b: 베어링 112c: 조절블럭
112e: 도킹홈 112d: 볼트
112f: 나사홈 112g: 조절홈
112h: 지지블럭 113: 클램프 프레임
114: 클램프 결합부 115: 상도킹체결부
115-1: 걸림홈 115-2: 삽입홈
116: 하도킹체결부 195: 고정지지체
120,130: 상, 하 도킹부 200: 연마용 브러시휠
300: 연마액 분사노즐

Claims (20)

  1. 초경 다이아몬드 절삭 휠로 절단(컷팅)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라스(G)의 가장자리의 테두리면(T) 연마가 가능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에 있어서,
    수개의 글라스(G)를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적층 시켜 각 글라스(G) 좌, 우, 전, 후를 균일하게 정렬시키는 글라스 정렬장치(B)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각 글라스(G)의 테두리면(T)이 연마되도록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도킹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정렬장치(B)와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 과 배출작업을 수행하는 글라스 입출유닛(C)를 구성한 것과,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일측에는 테두리면 연마장치(A)를 통해 연마가 완료된 글라스(G)가 적층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을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배출시킨 후에 반전회전시켜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클램프 된 수개의 글라스(G)를 낱장으로 분리하는 글라스 반전장치(D)를 구성한 것과,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는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에 의해 다수개의 글라스(G)가 정렬되어 적층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에 고정시키는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를 설치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다단으로 적층된 글라스(G) 테두리면(T) 연마를 위한 연마용 브러시휠(200)을 설치한 것과;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찰되는 상기 브러시휠(200)과 글라스(G) 사이에 산화세륨과 같은 연마액을 뿌릴 수 있도록 하는 연마액 분사노즐(300)을 구비한 것과;
    상기 연마액 분사노즐(300)의 후측 편측 고정지지체(195)에는 양측핀(A-1)에 끼워지는 클램프 프레임(113)을 갖는 클램프 결합부(114)를 구성한 것과;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는,
    상, 하 다단으로 다수 개 글라스(G)가 적층 되어 클램핑 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괄 동시적인 클램핑 동작되는 장치로서,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를 통해 글라스(G)가 정렬된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이 글라스 입출유닛(C)에 의해 테두리면 연마장치(A)에 공급될 수 있도록 클램핑 하여두었다가,
    연마작업이 실시될 때 테두리면 연마장치(A)로 옮겨와 도킹에 의한 셋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글라스(G) 연마작업시 필요한 피가공물에 대한 공정대응이 가능토록,
    상기 글라스 클램프장치(100)의 상측과 하측 끝에는 상, 하 도킹부(120)(130)를 구비하여 그 상,하 도킹부(120)(130) 사이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하 도킹체결부(115)(116)에 맞물림 되어 도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은,
    상기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윗면과 저 면에는 상기 피가공물인 글라스(G)를 적층 한 후,
    상기 상, 하 양방향으로 스페이서(S)를 끼운 다음 그 상, 하측으로 각각 누르고 받치는 가압지지판(111a)(112a)을 구비한 상클램프 조절유닛(111)과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상단 도킹부(120)에는,
    턴용 구동모터(150)의 동작에 따라 정, 역회전하되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홈(115-1)(1121)과 삽입홈(115-2)(112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1120)와 맞대응 체결 도킹되도록 걸림턱(171)과 삽입턱(172)을 구비한 클램프 구동축(170)이 일정 반경으로 턴(turn) 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클램프 구동축(170) 상방 일측에는 상기 클램프 구동축(170)의 승,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는 승하강수단(180)이 구비되는 동시에 그 승하강수단(180)을 전, 후측 이동시키는 전후이송수단(19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하단 도킹부(130)의 저면에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클램프 공회전축(191)이 구성되고, 상기 클램프 공회전축(191)의 하측에는 전후이송수단(190)에 의해 상단 도킹부(120)가 전, 후측으로 이동될 때 그 유동과 동시에 움직일 수 있도록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상방으로는,
    브러시 구동용 회전모터(21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브러시 샤프트(220)가 구성되고,
    상기 브러시 샤프트(220)에는 상기 연마용 브러시휠(200)의 승, 하강 동작은 물론 좌, 우측으로의 이동하는 브러시 승하강수단(230)과 브러시 좌,우이송수단(240)이 각각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정렬장치(B)는,
    글라스 테두리면(T) 연마작업 수행하기 전에 수개의 다발 적층 글라스(G)를 균일하게 좌, 우, 전, 후 정렬되도록 하기 위해서,

    정렬본체(501)의 상면 중심에는 상, 하측으로 상, 하단 정렬도킹부(510)(520)를 설치한 정렬지지체(530)를 구성한 것과,

    상기 정렬지지체(530)의 상단 정렬도킹부(510)에는,
    실린더(531)에 의해 승, 하강하는 가압축봉(532)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축봉(532)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한 상도킹체결부(115)와 맞대응 체결 도킹 되도록 정렬걸림턱(533)과 정렬삽입턱(534)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정렬지지체(530)의 하단 정렬도킹부(520)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와 체결 도킹 되도록 가이드홈(535)을 구비한 정렬핀(536)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상단 정렬도킹부(510)와 하단 정렬도킹부(520) 양측에는,
    상기 정렬본체(501)의 상단에 정렬실린더(502)를 다단으로 구비하고,
    상기 정렬실린더(502)에는 왕복형 링크바(503)를 상하 대칭으로 구비하되, 그 링크바(503)의 편 측에는 정렬지지체(530)에 힌지 회전되도록 상,하 링크바(503)에 연결되는 가이드바(504)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바(503)의 편측 내측으로는 돌출형 수지재 탄성 소재로 구비된 전,후밀판(505)를 구비하며,
    상기 전,후밀판(505)의 반대 측에는 상지 정렬지지체(530)에 고정설치되는 전,후지지편(506)을 구비한 전,후 정렬유닛(B-1)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과,

    상기 전,후 정렬유닛(B-1)의 앞쪽 편측에는 가압실린더(540)에 의해 작동되는 좌,우밀판(541)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밀판(541)의 앞쪽 타측에는 상기 정렬지지체(530)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지지편(542)를 구비한 좌, 우 정렬유닛(B-2)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는,
    이동 또는 고정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몸체(60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몸체(601)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좌, 우 이동수단(620)을 구비하며,
    상기 좌, 우 이동수단(620)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전, 후 이동수단(610)을 구비하고,
    상기 전, 후 이동수단(610)의 상단에는 이동블럭(621)을 구비하되, 그 편측에는 수직체(622)를 구비하며,
    상기 수직체(622)의 편 측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수동손잡이(639) 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승하강유닛(630)에 설치되는 지지대(63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631)의 상, 하측에는 수평으로 가로지지대(632)를 구비하며,
    상기 가로지지대(632)의 타측 끝에는 걸림대(633)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대(633)의 내측 상측 가로지지대(632)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되어 유지될 수 있는 걸림바(63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반전장치(D)는,
    반전몸체(801)의 상단 편 측에는 회전축봉(852)이 축삽되어 힌지 회전되도록 구비한 반전지지몸체(851)을 구비하고,
    상기 반전지지몸체(851)의 외 측에는 피니언(853)을 구비하되, 그 피니언(853)은 외부 반전실린더(859)에 의해 슬라이딩 전, 후 작동되는 랙을 구비한 이동바(854)와 맞물려 가이드레일(858)에 의해 슬라이딩 되도록 구비하며,
    상기 이동바(854)의 외 측에는 전, 후 측에 쇼바(856)에 의해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완충판(855)을 구비한 것과,

    상기 회전축봉(852)의 타 측에는 회전방지홈(874a)을 구비한 회전방지브라켓(874)이 설치된 수직브라켓(87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브라켓(871)의 상, 하측에는 상측대(872)와 하측대(873)을 구비하며,
    상기 상측대(872)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상도킹체결부(115)가 걸림되도록 가이드레일(875)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레일(875)의 전측에는 레바형태 조절되도록 걸림 되는 걸림레바(876)을 구비하며,
    상기 하측대(873)의 상측에는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하도킹체결부(116)가 받침홈(877a)에 걸림 되어 고정되는 받침브라켓(877)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입출유닛(C)는,
    이동 또는 고정형태로 구비되는 이동몸체(601)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몸체(601)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좌, 우 이동수단(620)을 구비하며,
    상기 좌, 우 이동수단(620)의 상단에는 LM가이드레일과 블럭에 의해 이동되는 전, 후 이동수단(610)을 구비하고,
    상기 전, 후 이동수단(610)의 상단에는 이동블럭(621)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블럭(621)에는 3축 이상 다관절 로봇팔(P)을 구비하여 다양한 공정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3축 이상 다관절 로봇팔(P)의 편 측에는 걸림대(633)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대(633)의 내측 상측 가로지지대(632)에는 상기 착탈식 클램프 유닛(110)의 걸림 되어 유지될 수 있는 걸림바(63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에는 회전관(111c)을 구비한 회전몸체(111d)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몸체(111d)의 상측 중심으로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1b)과 스냅링에 의해 상도킹체결부(115)와 가압지지판(111a)이 체결회전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상도킹체결부(115)의 상측에는 걸림홈(115-1)과 삽입홈(115-2)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상측 중심 내면에는 나사홈(112f)을 구비한 지지블럭(112h)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12h)의 중심에는 나사홈(112f)과 맞대응되는 조절홈(112g)을 구비하되, 그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12b)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구비된 승강 조절블럭(112c)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는 수작업으로 가압지지판(112)을 수직으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상기 승강 조절블럭(112c)의 저면은 중심에 도킹홈(112e)를 구비한 볼트(112d)가 나사 체결된 하도킹체결부(116)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클램프 조절유닛(111)은,
    클램프 프레임(113)의 중심 상면에는 관체 형태의 돌출형 지지관(1104)을 구비한 지지블럭(1103)이 축삽 고정되도록 구비하고,
    상기 지지블럭(1103)의 중심 내면에는 나사결합홈(1106)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결합홈(1106)에는 나사면(1107)을 구비한 도킹지지관(1108)을 구비하되, 그 상측으로 연결회전체(1109)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회전체(1109)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축봉(1121)과 그 상측에는 걸림홈(1121)과 삽입홈(1122)을 갖는 상도킹체결부(1120)을 구비하며,
    상기 상도킹체결부(1120)의 하부 축봉(1121) 중심에 축삽고정되는 회전판(1102)을 구비하되, 그 외면에는 상기 지지관(1104)을 감싸도록 구비하는 보호커버(1105)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커버(1105)의 중심에는 글라스 가압지지판(1101)이 고정설치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클램프 조절유닛(112)은,

    클램프 프레임(113)에 고정 설치되도록 중심 저면에는 축관(1301)을 구비하고,
    상기 축관(1301)의 중심 길이방향에는 베어링(1302)과 스냅링에 의해 회전위치가 유지되는 회전축봉(1303)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봉(1303)의 상측에는 걸림홈(1304)과 삽입홈(1305)을 구비하되, 그상측에는 가압지지판(1306)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봉(1303)의 하측에는 하걸림홈(1307)과 하삽입홈(1308)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도킹부 가이딩수단(192)은,
    상기 테두리면 연마장치(A)의 구획된 공간(S) 내부에서 전, 후진시에 수분 및 연마재 침투로 인한 LM 가이드레일(192a)의 부식 및 가이드레일 내부 볼(미도시) 터짐을 방지하고, 가공에 의한 연마가루와 연마재로 인한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다각레일구조(R) 및 자바라구조(J)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레일구조(R)는,
    본체바닥(M)의 상면일측에 지지레임몸체(1501)을 구비하되, 그 전,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 사이에 구비된 8각레일바(1506)를 구비하며,
    상기 8각레일바(1506) 다각외면에 맞물려 회전되는 가이드롤러(1507)를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롤러(1507)는 나사결합형태의 회전축봉(1515)이 경사면(1504a)(1504b)에 나사결합되는 측판(1504)을 구비하여 상기 8각레일바(1506)을 따라 전, 후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바라구조(J)는,
    지지레임몸체(1501)의 전,후측에 받침판(1502)(150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판(1502)(1503)의 사이에 전,후 이동용 측판(1504)을 구비하며,
    상기 측판(1504)의 양측에는 이물질 차단을 위한 신축자바라(1601)를 체결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8각레일바(1506)은,
    작업환경과 조건에 따라 4각, 6각 또는 원형형태의 레일바(1506a)(1506b)(1506c)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0125675A 2018-01-03 2018-10-22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KR101964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03911.8 2018-01-03
CN201810003911.8A CN109986434B (zh) 2018-01-03 2018-01-03 手机用玻璃边框抛光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565B1 true KR101964565B1 (ko) 2019-04-01

Family

ID=6610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675A KR101964565B1 (ko) 2018-01-03 2018-10-22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4565B1 (ko)
CN (1) CN10998643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64B1 (ko) * 2020-11-04 2022-04-19 엘피티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브러쉬 품질유지장치
CN115213813A (zh) * 2022-07-25 2022-10-21 江西华创工艺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玻璃加工的传输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461B (zh) * 2019-08-09 2022-05-31 惠州市健达通电子有限公司 一种触摸屏玻璃基板加工装置
CN111633516B (zh) * 2020-05-20 2022-03-29 东莞市友利餐具制品有限公司 一种方形茶盘凹槽的双向打磨装置
CN111993258B (zh) * 2020-08-19 2022-02-08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抛光治具、抛光装置和手机中框的抛光方法
CN114290237B (zh) * 2021-12-30 2022-10-28 深圳市悦目光学器件有限公司 一种用于磨边机的玻璃盖板装夹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3824A (ja) * 2010-06-18 2012-01-0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基板積層体用ワークホルダ、及びこのワークホルダを用いた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磁気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
KR20140144045A (ko) *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레이시스 유리 기판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831205U (zh) * 2014-03-12 2014-09-17 邱瑛杰 连续式玻璃研磨机结构
CN203833261U (zh) * 2014-03-12 2014-09-17 邱瑛杰 玻璃堆叠及移动装置
CN104973763B (zh) * 2014-04-11 2018-02-27 深圳市远东皓星科技有限公司 玻璃叠合机及玻璃叠合方法
KR101925616B1 (ko) * 2016-03-17 2019-02-27 (주)이티에스 적층시트 연마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적층시트 연마장치
CN107186570B (zh) * 2017-06-30 2023-11-17 江西星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的磨边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3824A (ja) * 2010-06-18 2012-01-0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基板積層体用ワークホルダ、及びこのワークホルダを用いた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で製造された磁気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
KR20140144045A (ko) * 2013-06-10 2014-12-18 주식회사 어드밴스드레이시스 유리 기판 가공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864B1 (ko) * 2020-11-04 2022-04-19 엘피티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평판 글라스 테두리면 폴리싱장치의 브러쉬 품질유지장치
CN115213813A (zh) * 2022-07-25 2022-10-21 江西华创工艺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玻璃加工的传输机构
CN115213813B (zh) * 2022-07-25 2024-01-12 江西华创工艺玻璃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玻璃加工的传输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86434A (zh) 2019-07-09
CN109986434B (zh)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565B1 (ko) 휴대폰용 글라스 테두리면 연마시스템
US6796886B2 (en) Apparatus for grinding rigid materials
CN210413899U (zh) 全自动高精度玻璃磨边系统
CN110670140B (zh) 一种大尺寸单晶硅圆棒拼接方法
WO200006959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olissage double face
KR20150084357A (ko) 톱 양면 자동 연마기의 소재 공급장치
KR100932110B1 (ko) 디스플레이용 박판유리 블록의 연마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5609458B (zh) 一种建筑工程用钢材抛光装置
CN111906663A (zh) 半导体硅棒自动磨削加工机床
CN106181609B (zh) 一种圆柱类芯轴磨床的上下料装置
KR101795780B1 (ko) 차량용 루프바의 자동 버핑장치
KR101389924B1 (ko) 평판 글라스의 에지면 연마장치
CN214771006U (zh) 一种玻璃边缘打磨装置
CN109531317B (zh) 机械臂式全自动六面木板砂光机
CN114800080B (zh) 一种打磨装置
JP3727300B2 (ja) 板材の面取装置
CN215433101U (zh) 一种抛光设备
CN212496962U (zh) 一种玻璃倒棱机
CN210147723U (zh) 一种渐变可选式免换轮全自动磨床装置
CN208977524U (zh) 一种双工位多面打砂机
CN213470544U (zh) 一种具有自定心夹持机构的轴承加工磨床
JP2016078132A (ja) 加工装置
CN212527248U (zh) 半导体硅棒自动磨削加工机床
CN220660347U (zh) 一种便于调节的宽带砂光机
CN216542689U (zh) 一种数控磨床用的传动进给上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