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865B1 -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865B1
KR101960865B1 KR1020187010636A KR20187010636A KR101960865B1 KR 101960865 B1 KR101960865 B1 KR 101960865B1 KR 1020187010636 A KR1020187010636 A KR 1020187010636A KR 20187010636 A KR20187010636 A KR 20187010636A KR 101960865 B1 KR101960865 B1 KR 10196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temperature sensor
communication board
battery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855A (ko
Inventor
타케히로 니시무라
요시 사토
마사유키 미쓰에
테루히사 나카오카
Original Assignee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filed Critical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5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8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5/00Axle-boxes
    • B61F15/20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9/00Railway vehicle profile gauges; Detecting or indicating overheating of components; Apparatus on locomotives or cars to indicate bad track sections; General design of track recording vehicles
    • B61K9/04Detectors for indicating the overheating of axle bearings and the like, e.g. associated with the brake system for applying the brakes in case of a fau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81On-board diagnosis 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24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 G01K13/08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solid bodies in rotary mov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은,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디지털 온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가지는 변환 기판과, 상기 변환 기판에 탑재되며 상기 디지털 온도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대측으로 간격을 띄워 배치되는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통신 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전지를 수용하고, 상기 상자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보드는, 상기 회전체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보드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전지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철도 차량 등의 베어링의 온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유닛(센서 부착 베어링 장치)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센서유닛은, 온도센서에서 검출된 온도 정보를 무선으로 출력하는 통신장치와, 그 통신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을 구비하기 때문에, 해당 유닛으로부터 차체로 신호선 및 전원선을 배선할 필요가 없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3-307228호 공보
그런데 철도차량의 대차에서는, 비석(飛石)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을 수용하는 축상자로부터 센서유닛이 돌출되는 양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단순히 센서유닛의 돌출량을 억제하려고 하면, 센서유닛의 설치 면적이 커져, 축상자에 대한 센서유닛의 설치 자유도가 저하된다. 또한, 철도 차량용 대차에서는, 축상자 이외에 기어 박스 및 모터에도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대차의 회전체를 수용한 상자에 장착되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에서, 비석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상자에 대한 설치 자유도의 저하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은, 철도 차량용 대차의 회전체를 수용한 상자에 장착되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으로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디지털 온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가지는 변환 기판과, 상기 변환 기판에 탑재되며 상기 디지털 온도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대측으로 간격을 띄워 배치되는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통신 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전지를 수용하고, 상기 상자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보드는, 상기 회전체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보드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전지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판 형상의 무선 통신 보드가 회전체(예를 들면, 베어링)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상자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전지가 온도센서와 무선 통신 보드 사이에 배치되어, 온도센서와 전지와 무선 통신 보드가 무선 통신 보드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겹쳐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설치 면적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비석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상자에 대한 설치 자유도의 저하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 차량용 대차의 회전체를 수용한 상자에 장착되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에서, 비석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상자에 대한 설치 자유도의 저하도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철도 차량용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을 가지는 축상자 장치의 일부 단면화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축상자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의 무선 통신 보드 및 전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철도 차량이 주행하는 방향으로서 차체가 연장되는 방향을 '차량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그것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을 '차폭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차량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차폭 방향은 '좌우 방향'이라고도 칭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철도 차량의 대차(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도 차량의 대차(1)는, 공기 스프링(2)을 통해서 차체(100)를 지지하는 대차 프레임(3)을 구비한다. 대차 프레임(3)은, 차폭 방향 양측에서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 빔(4)과, 한 쌍 사이드 빔(4)을 서로 연결하여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크로스 빔(도시하지 않음)을 가져, 평면에서 바라볼 때 'H' 형상을 이룬다. 대차 프레임(3)의 차량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차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차축(6)이 배치된다. 차축(6)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에는, 차륜(7)이 각각 고정된다. 차축(6)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차륜(7)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서 차축(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8)이 설치된다. 베어링(8)은, 내륜(도시하지 않음)과, 외륜(8a)(도 2 참조)과, 내륜과 외륜(8a) 사이에 끼워진 전동체(轉動體)(도시하지 않음)를 가진다. 베어링(8)은, 축상자 장치(10)의 축상자(11)에 수용된다.
축상자(11)는, 축상자 본체부(12)와, 축 빔부(13)(연결부)와, 스프링 받침부(14)를 가진다. 축상자 본체부(12)는 베어링(8)을 수용한다. 축 빔부(13)는 대차 프레임(3)에 연결된다. 축 빔부(13)는, 축상자 본체부(12)로부터 일체적으로 대차(1)의 차량 길이 방향 중앙을 향해서 차량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것의 선단부가 고무 부시(15)를 통해서 사이드 빔(4)에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 받침부(14)는, 축상자 본체부(12)의 상부에 설치된다. 사이드 빔(4)의 차량 길이 방향 단부(4a)와 축상자(11)의 스프링 받침부(14) 사이에는, 연직 방향으로 신축하는 코일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축상자(11)의 하부에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이 장착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대차(1)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을 가지는 축상자 장치(10)의 일부 단면화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상자 장치(10)는, 축상자(11)와,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과, 한 쌍의 탄성 장치(21)를 구비한다. 축상자(11)는,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의 상부 영역(제1 영역)을 덮는 상부 축상자 요소(17)(제1 축상자 요소)와,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의 하부 영역(제2 영역)을 덮는 하부 축상자 요소(18)(제2 축상자 요소)를 가진다.
상부 축상자 요소(17)에는, 축상자 본체부(12)의 한 부분과, 축 빔부(13)와, 스프링 받침부(14)가 설치된다. 하부 축상자 요소(18)에는, 축상자 본체부(12)의 다른 한 부분이 설치된다. 상부 축상자 요소(17)가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을 덮는 면은, 하부 축상자 요소(18)가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을 덮는 면보다 크다. 상부 축상자 요소(17)의 하단은, 베어링(8)의 회전 축선(X)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하부 축상자 요소(18)는, 상부 축상자 요소(17)보다 연직 방향 치수가 작다. 하부 축상자 요소(18)는, 볼트(B)에 의해 상부 축상자 요소(17)에 아래쪽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은, 베어링(8)의 외륜(8a)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하부 축상자 요소(18)에 장착된다.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하면)과 하부 축상자 요소(18) 사이에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을 수용하는 유닛 수용 공간(S)이 형성된다.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은, 유닛 수용 공간(S)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 축상자 요소(18)의 바닥 벽부(18a)에 형성된 개구(18b) 통하여 하부 축상자 요소(18)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즉,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하단부는, 하부 축상자 요소(18)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축상자(11)의 외부로 노출된다.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은, 한 쌍의 탄성 장치(21)를 통해 하부 축상자 요소(18)에 장착된다. 한 쌍의 탄성 장치(21)는, 유닛 수용 공간(S)에 수용되며, 커버(41)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탄성 장치(21)는, 탄성체(21a)와, 탄성체(21a)의 상면에 설치된 금속제의 상부 장착구(21b)와, 탄성체(21a)의 하면에 설치된 금속제의 하부 장착구(21c)를 가진다. 상부 장착구(21b)와 하부 장착구(21c)는, 탄성체(21a)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서로 연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 가능하다. 탄성 장치(21)는, 탄성체(21a)가 연직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설치되어,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이 외륜(8a)을 베어링(8)의 회전 축선(X)(중심)을 향해 밀어붙일 수 있도록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을 탄성 가압한다. 축상자(11)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회전 축선(X) 주위의 변위를 소정 범위로 규제하는 스토퍼 부(46)를 가진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축상자(11)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커버(41)를 분리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무선 통신 보드(35) 및 전지(36)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은, 도 3과는 상하 거꾸로 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및 도 4에서는 스페이서(49)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은, 하우징(31)과, 열전도 시트(32)와, 온도센서(33)와,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와, 전지(36)와, 단열재(37)와, 스페이서(49)를 구비한다. 온도센서 유닛(20)은, 온도 검출 기능과, 무선통신기능과, 전원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31)은, 열전도 시트(32)와, 온도센서(33)와,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와, 전지(36)와, 단열재(37)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하우징(31)은, 접촉 부재(38)와, 열전도 시트(39)와,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커버(41)를 가진다. 접촉 부재(38) 및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열전도성을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열전도 시트(39)는, 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열전도성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커버(41)는, 비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유리섬유 강화 수지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커버(41)는, 단면 오목형상의 수용부(41a)와, 수용부(41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플랜지부(41b)를 가진다. 수용부(41a)는,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풀어오른 돔(dome)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부(41aa)와, 바닥판부(41aa)의 외주연으로부터 플랜지부(41b)를 향해서 연장되는 통 형상의 측판부(41ab)를 가진다. 측판부(41ab)는, 원통 형상이다. 플랜지부(41b)에는, 나사(52)가 나사 결합할 금속제의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매설된다.
접촉 부재(38)는,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에 면접촉 하는 원호 형상의 수열면(受熱面)(38c)(상면)이 형성된 수열부(38a)와, 수열부(38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축상자 장착부(38b)를 가진다. 열전도 시트(39)는, 접촉 부재(38)와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의해서 압축 상태로 끼워진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본체부(40a)와, 본체부(40a) 주위에 설치된 커버 장착부(40b)와, 커버 장착부(40b)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축상자 장착부(40c)를 가진다. 본체부(40a)는, 커버 장착부(40b)보다 두껍다. 본체부(40a)는, 열전도 시트(32)와, 온도센서(33)와,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와, 전지(36)와, 단열재(37)를 붙들어 유지한다.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열전도 시트(39)와 마주보는 면에는 오목부(40d)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오목부(40d)에 열전도 시트(39)가 위치를 정한 상태로 수용된다. 접촉 부재(38) 및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축상자 장착부(38b, 40c)는, 탄성 장치(21)를 통해 하부 축상자 요소(18)에 장착된다. 커버(4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커버 장착부(40b)에 나사(52)로 장착된다. 커버(41)는, 열전도 시트(32)와, 온도센서(33)와,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와, 전지(36)와, 단열재(37)를 아래쪽에서 덮는다.
열전도 시트(32)는, 절연성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온도센서(33)에 의해서 압축 상태로 끼워진다. 즉, 온도센서(33)의 검출부는, 열전도 시트(32)에 밀어 붙여진다.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본체부(40a)의 온도센서(33)와 마주보는 면에는 오목부(40e)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오목부(40e)에 열전도 시트(32)가 위치를 정하여 수용된다. 열전도 시트(32)는, 절연성, 탄성 및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열전도성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베어링(8)의 외륜(8a)의 열은, 접촉 부재(38), 열전도 시트(39), 베이스 플레이트(40), 열전도 시트(32) 및 온도센서(33) 순으로 전달된다.
온도센서(33)는, 센서 기판(34)의 상면에 탑재된다. 센서 기판(34)은, 온도센서(33)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후술하는 변환 기판(42)에 출력하는 센서 회로를 가진다. 센서 기판(34) 및 무선 통신 보드(35)는, 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센서 기판(34) 및 무선 통신 보드(35)는, 그 주면(主面)이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을 마주보는 자세로 배치된다. 무선 통신 보드(35)는, 변환 기판(42)과, 무선 통신 모듈(43)을 가진다. 변환 기판(42)은, 온도센서(33)로부터의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디지털 온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가진다. 무선 통신 보드(35)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변환 기판(42) 및 센서 기판(34) 중 어느 한쪽은, 다른 한쪽을 포함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면, 변환 기판(42)과 센서 기판(34)은, 서로 동일한 윤곽 형상을 가져, 무선 통신 보드(35)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의 윤곽이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변환 기판(42)과 센서 기판(34)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넥터(47, 48)를 통해 접속된다. 무선 통신 모듈(43)은, 변환 기판(42)에 탑재되어, 변환 기판(42)으로부터의 디지털 온도 신호를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외부(예를 들면, 철도 차량의 무선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전지(36)는, 온도센서(33), 센서 기판(34) 및 무선 통신 보드(35)에 전력을 공급한다. 변환 기판(42)의 무선 통신 모듈(43)이 탑재된 면과 반대쪽의 면에는, 양극 또는 음극 중 어느 한쪽인 제1 전극(44)과, 양극 또는 음극 중 다른 한쪽인 제2 전극(45)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36)는, 무선 통신 보드(35)의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무선 통신 보드(35)를 따르는 방향의 치수가 길다. 예를 들면, 전지(36)는, 버튼 전지이다. 제1 전극(44)은, 전지(36)의 한쪽 면의 전극에 접촉하고, 제2 전극(45)은, 전지(36)의 다른 한쪽 면의 전극에 접촉한다. 제2 전극(45)은, 변환 기판(42)으로부터 돌출되는 세로 판부(45a)와, 세로 판부(45a)로부터 전지(36)의 다른 한쪽 면을 따라서 돌출되는 가로 판부(45b)를 가진다. 전지(36)는, 제2 전극(45)의 가로 판부(45b)와 제1 전극(44)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져 유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전극(45)이 전지(36)를 수납하는 홀더의 역할을 담당한다.
전지(36)로부터의 전력은,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5)을 통해서 무선 통신 보드(35)에 급전되고, 무선 통신 보드(35)로부터 센서 기판(34) 및 온도센서(33)에 급전된다. 단열재(37)는, 센서 기판(34)과 전지(36) 사이에 설치되며, 전지(36)보다 면적이 크다. 스페이서(49)는,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 기판(34)과 무선 통신 보드(35)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스페이서(49)는, 비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진다. 스페이서(49)는, 센서 기판(34)의 구멍(34a)을 통해서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본체부(40a)의 구멍(40f)에 압입하여 고정된다. 스페이서(49)에는, 변환 기판(42)의 구멍(42a)을 통해서 나사(50)가 고정된다. 단열재(37)의 외주 부분에는, 스페이서(49)가 끼워지는 절결부(37a)가 형성된다. 전지(36) 및 단열재(37)는, 스페이서(49)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에 있어서는, 접촉 부재(38), 열전도 시트(39), 베이스 플레이트(40), 열전도 시트(32), 온도센서(33), 센서 기판(34), 단열재(37), 전지(36) 및 무선 통신 보드(35)가, 그 순서대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줄지어 배치된다. 즉, 무선 통신 보드(35)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온도센서(33)와 센서 기판(34)과 단열재(37)와 전지(36)와 무선 통신 보드(35)가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 커버(41)는, 그것의 플랜지부(41b)를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커버 장착부(40b)에 씰 부재(51)(예를 들면, O-링)를 사이에 두고 나사(52)로 체결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0b)에 고정된다. 그 고정 상태에서는, 커버(4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두꺼운 본체부(40a)에 바깥쪽으로부터 끼워 맞춰진다.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이 축상자(1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커버(41)의 수용부(41a) 중 적어도 바닥판부(41aa)가 개구(18b)를 통하여 축상자(11)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부(41aa)와 측판부(41ab)의 일부분이 개구(18b)를 통하여 축상자(11)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판형의 무선 통신 보드(35)가 베어링(8)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축상자(11)로부터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전지(36)가 온도센서(33)와 무선 통신 보드(35) 사이에 배치되어, 온도센서(33)와 전지(36)와 무선 통신 보드(35)가 무선 통신 보드(35)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겹쳐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설치면적도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비석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축상자(11)에 대한 설치 자유도의 저하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접촉 부재(38)의 원호 형상의 수열면(38c)이, 베어링(8)의 외륜(8a)의 외주면에 면접촉 하기 때문에, 외륜(8a)으로부터 접촉 부재(38)로의 열전달이 안정되어, 온도센서(33)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4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커버(41)가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의해서 열전도성과 강성을 확보하면서도, 커버(41)에 의해서 부품 보호 와 무선 통신 안정성의 확보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절연성의 열전도 시트(32)가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온도센서(33)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온도센서(33)에 양호하게 열을 전달하면서도, 금속제의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온도센서(33) 사이의 전기 절연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열전도 시트(32)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오목부(40e)에 수용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0)의 두께 방향에 대한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치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 시트(32)가 오목부(40e)에서 위치를 정하기 때문에, 대차(1)의 진동에 의해서 베이스 플레이트(40)에 대해 열전도 시트(32)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온도센서(33)가 탑재되는 센서 기판(34)이 무선 통신 보드(35)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편, 센서 기판(34)이 온도센서(33)와 전지(36)와 무선 통신 보드(35)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돌출량 및 설치 면적의 억제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전지(36)는, 스페이서(49)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서, 무선 통신 보드(35)에 설치된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5)(홀더)에 끼워져서 수납되기 때문에,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콤팩트하게 전지(36) 등의 각종의 요소를 배치할 수가 있다. 또한, 전지(36)는, 무선 통신 보드(35)의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무선 통신 보드(35)를 따르는 방향의 치수가 길기 때문에,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의 돌출량 및 설치 면적의 억제에 기여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41)는, 수용부(41a)의 바닥판부(41aa)가 돔 형상이기 때문에, 비석 등의 장해물이 커버(41)의 바닥판부(41aa)에 부딪히더라도, 해당 장애물을 슬쩍 받아넘길 수 있어, 커버(41)의 파손을 매우 적절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41)는, 수용부(41a)의 측판부(41ab)가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측판부(41ab)도 축상자(11)로부터 노출될 경우에는, 더욱 적절하게 커버(41)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구성을 변경,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부재(38)와 베이스 플레이트(40) 사이의 열전도 시트(39)를 없애고 접촉 부재(38)를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에 외륜(8a)과 면접촉 하는 수열면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전지(36)는, 무선 통신 보드(35)에 장착되지 않고, 센서 기판(34)에 장착되어도 좋다. 단열재(37)는 폐지하여도 좋다. 또한,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20)은, 대차(1)의 기어 박스나 모터에 장착하여도 좋다.
1 : 대차
6 : 차축
8 : 베어링(회전체)
8a : 외륜
11 : 축상자
20 :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31 : 하우징
32 : 열전도 시트
33 : 온도센서
34 : 센서 보드
35 : 무선 통신 보드
36 : 전지
38c : 수열면
40 : 베이스 플레이트
40e : 오목부
41 : 커버
42 : 변환 기판
43 : 무선 통신 모듈
44 : 제1 전극
45 : 제2 전극(홀더)
49 : 스페이서

Claims (8)

  1. 철도 차량용 대차의 회전체를 수용한 상자에 장착되는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으로서,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디지털 온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가지는 변환 기판과, 상기 변환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디지털 온도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가지고,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회전체의 반대측으로 간격을 띄워 배치되는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무선 통신 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전지를 수용하고, 상기 상자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통신 보드는, 상기 회전체의 접선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무선 통신 보드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전지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가 서로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자에 장착되며, 상기 온도센서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와 상기 전지를 덮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커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온도센서 사이에 끼워지며, 절연성을 가지는 열전도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온도센서와 마주보는 면에서 상기 열전도 시트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탑재되며, 상기 아날로그 온도 신호를 상기 변환 회로에 출력하는 센서 회로를 가진 센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센서 기판은,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전지 사이에서 상기 무선 통신 보드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무선 통신 보드의 법선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센서 기판과 상기 전지와 상기 무선 통신 보드가 서로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기판과 상기 무선 통신 보드 사이에 배치된 비도전성의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지는,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서, 상기 무선 통신 보드에 설치된 홀더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상기 무선 통신 보드의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상기 무선 통신 보드를 따르는 방향의 치수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차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상기 상자는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축상자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온도센서에 열을 전달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의 외주면에 면접촉 하는 원호 형상의 수열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KR1020187010636A 2015-10-08 2016-09-01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KR101960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00002A JP6484156B2 (ja) 2015-10-08 2015-10-08 鉄道車両用台車の無線通信機能付き温度センサユニット
JPJP-P-2015-200002 2015-10-08
PCT/JP2016/003989 WO2017061069A1 (ja) 2015-10-08 2016-09-01 鉄道車両用台車の無線通信機能付き温度センサ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855A KR20180055855A (ko) 2018-05-25
KR101960865B1 true KR101960865B1 (ko) 2019-07-17

Family

ID=5848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636A KR101960865B1 (ko) 2015-10-08 2016-09-01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93171B2 (ko)
JP (1) JP6484156B2 (ko)
KR (1) KR101960865B1 (ko)
CN (1) CN107851371B (ko)
SG (1) SG11201802899UA (ko)
TW (1) TWI619096B (ko)
WO (1) WO2017061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158B2 (ja) * 2015-10-08 2020-04-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用台車の温度センサユニット付き軸箱装置及び温度検出装置
EP3354532B1 (en) * 2017-01-26 2020-05-27 Rail Vision Europe Ltd Vehicle mounted monitoring system
CN107621607B (zh) * 2017-08-21 2020-11-13 中山市卓的电子科技有限公司 电池性能测试方法、测试终端、可读存储介质及测试系统
US11592499B2 (en) 2019-12-10 2023-02-28 Barnes Group Inc. Wireless sensor with beacon technology
JP7438624B2 (ja) 2020-02-12 2024-02-27 川崎車両株式会社 昇温検知センサ、昇温検知システム、及び昇温検知ユニット
JP7227639B2 (ja) * 2021-02-25 2023-02-22 株式会社ミヤワキ 計測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645A (ja) 2007-07-12 2007-12-20 Ntn Corp 車両用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7045A (en) * 1970-12-28 1973-04-10 Minnesota Mining & Mfg Sensing system and device
JP3203788B2 (ja) * 1992-07-24 2001-08-27 オムロン株式会社 物理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3856888B2 (ja) * 1997-01-31 2006-12-13 Ntn株式会社 鉄道車両軸受異常検出装置
JP2003307228A (ja) 2002-04-12 2003-10-31 Nsk Ltd センサ付軸受装置
JP4963006B2 (ja) * 2002-09-09 2012-06-27 Ntn株式会社 ワイヤレスセンサシステムおよびワイヤレスセンサ付車輪用軸受装置
JP4521594B2 (ja) * 2002-12-10 2010-08-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回転センサ付き転がり軸受装置
US7869909B2 (en) * 2004-07-26 2011-01-11 Harold Harrison Stress monitoring system for railways
JP2006106917A (ja) * 2004-10-01 2006-04-20 Jtekt Corp 駆動軸用ワイヤレスユニット、ベアリングカップグリース注入孔用蓋、及び駆動軸監視システム
US8430363B2 (en) * 2004-12-06 2013-04-30 Progress Rail Services Corp Train wheel bearing temperature detection
US7698962B2 (en) * 2006-04-28 2010-04-20 Amsted Rail Company, Inc. Flexible sensor interface for a railcar truck
JP5015612B2 (ja) * 2007-01-11 2012-08-29 理想計測株式会社 鉄道車両の異常検知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RU2472130C2 (ru) * 2008-03-05 2013-01-10 Аб Скф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к вращающейся части вагонной оси
US8244411B2 (en) * 2008-05-27 2012-08-14 Baker David A Orientation-based wireless sensing apparatus
SE534724C2 (sv) * 2009-12-07 2011-11-29 Eric Berggren Förfarande för att bestämma rälernas spänningsfria temperatur och/eller spårets sidomotstånd
IT1399071B1 (it) * 2010-03-23 2013-04-05 Torino Politecnico Dispositivo per diagnostica di carrelli ferroviari mediante l'applicazione di una vite di misura e trasmissione ad autonomia energetica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US9365223B2 (en) 2010-08-23 2016-06-14 Amsted Rail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ailcar performance
JP2012189187A (ja) * 2011-03-14 2012-10-04 Ntn Corp 回転センサ付軸受
SE537691C2 (sv) * 2011-10-26 2015-09-29 Creator Teknisk Utveckling Ab Trådlös sensoranordning för en högspänningsmiljö och systeminnefattande sådan
WO2013129255A1 (ja) * 2012-02-28 2013-09-0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鉄道車両のエネルギ回生装置及び鉄道車両の駆動アシスト装置
CN104335023A (zh) 2012-04-24 2015-02-04 Skf公司 轴承监控方法和系统
DE112013006872T5 (de) * 2013-03-27 2015-12-24 Aktiebolaget Skf Nabeneinheit
ITTO20130625A1 (it) * 2013-07-23 2015-01-24 Skf Ab Sistema di misura della temperatura di un cuscinetto di rotolamento in una boccola ferroviaria e metodo associato
CA2935094C (en) 2013-12-24 2018-10-16 Amsted Rail Compan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perational anomalies in train consists and railcars
CN107851623B (zh) * 2015-06-25 2021-04-16 积水保力马科技株式会社 导热片
IT201600094177A1 (it) * 2016-09-20 2018-03-20 Ecm S P A Dispositivo di copertura di una boccola d’assile comprendente un generatore elettri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7645A (ja) 2007-07-12 2007-12-20 Ntn Corp 車両用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3171B2 (en) 2020-10-06
TWI619096B (zh) 2018-03-21
CN107851371A (zh) 2018-03-27
JP2017072498A (ja) 2017-04-13
JP6484156B2 (ja) 2019-03-13
SG11201802899UA (en) 2018-05-30
KR20180055855A (ko) 2018-05-25
US20180290670A1 (en) 2018-10-11
CN107851371B (zh) 2020-04-07
TW201729168A (zh) 2017-08-16
WO2017061069A1 (ja)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865B1 (ko) 철도 차량용 대차의 무선통신기능이 달린 온도센서 유닛
CN107785512B (zh) 电池组件和具有这种电池组件的车辆
TWI646003B (zh) 鐵道車輛用台車之軸承溫度檢測裝置
CN105675299B (zh) 具有安装装置的传感器装置
ES2917878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l desgaste
US8174168B2 (en) Piezoelectric power generating device
EP2757605A2 (en)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US10793170B2 (en) Temperature sensor unit-equipped axle box device and temperature detecting device of railcar bogie
KR20130004885A (ko) 접촉안내부재의 상태에 관한 최소한 하나의 특성적 물리량을 감시하는 감시 모듈
JP2011069402A (ja) 発電機能付き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軸受装置
US9377347B2 (en) Sens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nsor arrangement
US11038237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hand tool
US9628689B2 (en) Image pickup element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with heat generating member
JP6011460B2 (ja) 電子装置
WO2017061068A1 (ja) 鉄道車両用台車の温度センサユニット付き軸箱装置及び温度検出装置
JP2023164253A (ja) 車両、特に単車のコンポーネントにおいて位置固定するための位置固定装置を備えた通信ユニット
US20230358577A1 (en) Detection device for securing to or in a vehicle component for detecting physical and/or chemical variables
JP5166793B2 (ja) 振動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