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78B1 -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78B1
KR101959578B1 KR1020137015769A KR20137015769A KR101959578B1 KR 101959578 B1 KR101959578 B1 KR 101959578B1 KR 1020137015769 A KR1020137015769 A KR 1020137015769A KR 20137015769 A KR20137015769 A KR 20137015769A KR 101959578 B1 KR101959578 B1 KR 101959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salt
delete delete
re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336A (ko
Inventor
웨이 리
로버트 용신 자오
Original Assignee
이뮤노젠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뮤노젠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이뮤노젠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3012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2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or sulphur atoms
    • C07D213/32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05/00Esters of sulfuric acids
    • C07C305/02Esters of sulfur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sulf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 C07C305/04Esters of sulfur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sulf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305/06Hydrogeno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4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wo doubly-bound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5
    • C07D207/44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wo doubly-bound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5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e.g. maleimide
    • C07D207/45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wo doubly-bound oxy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5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e.g. maleimide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hetero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2Oxygen or sulfur atoms
    • C07D213/70Sulfur atoms
    • C07D213/71Sulfur atoms to which a second hetero atom is attach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설폰산 모이어티를 담지하는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절차는 또한 얻어지는 생성물을 실질적으로 단일 염 형태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CHARGED CROSSLINKERS}
본 발명은 설폰산-담지 가교제(sulfonic acid-bearing crosslinker)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폰산 모이어티(sulfonic acid moiety)는 유리 산 또는 염 또는 유리산과 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들 링커는 두 단위체(entity)를 함께 공유 부착함으로써 컨쥬게이트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데, 여기서, 하나의 단위체는 아미노기 혹은 하이드록실기를 포함하고, 다른 쪽 단위체는 티올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가교제의 설폰산 모이어티는 얻어지는 컨쥬게이트의 수 용해도를 향상시킨다.
티올-담지 모이어티와 아민-담지 모이어티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 화합물은 세포독성제, 형광단 또는 금속 킬레이트제를 예컨대, 항체, 성장인자 또는 비타민 등의 세포 결합제에 또는 리포솜 등과 같은 대형 복합체 등에 연결하는 등과 같은 많은 광범위한 용도에서의 용도를 확인한 바 있다(미국 특허 제5,208,020호; 제5,416,064호; 제5,846,545호; 제6,340,701호; 제6,716,821호; 제7,217,819호; 제7,276,497호; 제7,388,026호; 제7,598,290호 및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20100203007호 참조). 이러한 링커의 예로는 SPP, SPDP, SPDB 및 SMCC를 포함한다(도 1)(미국 특허 제4,563,304호; 제6,913,748호; 제7,276,497호; 및 Widdison et al., 2006, J. Med. Chem., 49, 4392-4408; Phillips et al., 2008 Cancer Res., 68, 9280-9290 참조). 함께 연결될 단위체들 중 한쪽 혹은 둘 모두는 흔히 얻어지는 컨쥬게이트의 불량한 수 용해도를 초래하는 단지 제한된 수중 용해도를 지닌다.
최근, 항체-약물 컨쥬게이트(여기서,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은 하전된 가교제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음), 특히 설폰산 치환체를 포함하는 것들은 비하전된 링커로 제조된 대응하는 컨쥬게이트에 비해서 수개의 이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도 2). 이들 이점은 a) 항체-약물 컨쥬게이트의 보다 큰 수 용해도, b) 항체에 대한 약물 부하를 증가시키는 한편 용해도 및 모노머 함량을 유지시키는 능력 및 c) 특히 다제 내성 세포를 향한 보다 큰 치료 활성을 포함한다(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90274713호 및 제20100129314호 참조). 설폰산 치환체를 포함하는 설포-SPDB 가교제[도 2, 화합물 V]로 제조된 항체-약물 컨쥬게이트의 개선된 임상전 효능이 또한 현재 보고되어 있다(Kovtun et al., 2010 European J. Cancer, Suppl, 8, p76, Abstract # 235). 설포-SPDB의 단지 보고된 합성은 6가지 화학적 단계를 포함하는 길고도 비효율적인 공정이다(도 3,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090274713호 참조).
이와 같이 해서, 설폰산기를 포함하는, 설포-SPDB 등과 같은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를 위한 간단하고도 가변적인(scalable)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 이들 및 그 밖의 요구는 본 발명에서 다루어진다.
본 발명은 설폰산-담지 헤테로이작용성 링커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이들 링커는 세포독성 약물 등과 같은 하나의 성분을 다이설파이드 결합 또는 티오에스터 결합을 통해서 연결하는 티올-반응성 모이어티(thiol-reactive moiety)와, 세포결합제 등과 같은 제2성분을 아마이드 또는 에스터 결합을 통해서 연결하는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반응성 모이어티를 담지한다. 이들 링커의 설폰산 모이어티는 아민 혹은 하이드록실-반응성 모이어티를 담지하는 탄소에 대해서 알파 탄소 상에 위치되어, 유리 설폰산으로서 혹은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리 산 혹은 바람직하지 않은 염 형태의 설폰산을 나트륨염 혹은 칼륨염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특별히 바람직한 염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앞서 기재된 비하전된 링커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설포-SPDB 및 설포-SPDB로 제조된 항체-약물 컨쥬게이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설포-SPDB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새로운 방법을 이용한 설포-SPDB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다이설파이드-함유 α-설폰산 가교제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J는 H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이온임);
도 6은 말레이미드-함유 α-설폰산 가교제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J는 H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이온임);
도 7은 할로아세트아미도-함유 α-설폰산 가교제의 합성을 도시한 도면(J는 H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양이온임);
도 8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1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1의 TGA 프로파일 및 DSC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1의 GSV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2a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2a의 TGA 프로파일 및 DSC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2a의 GSV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3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3의 TGA 프로파일 및 DSC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3의 GSV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화합물 V의 결정체 형태 2b의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기와 반응가능한 티올 반응기, 설폰산 치환체 및 카복실산 혹은 카복실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II 또는 그들의 염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1
식 중,
Q는 티올-반응성 모이어티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Q는 알킬 다이설파이드, 페닐 다이설파이드,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2,4-다이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나이트로피리딜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이설파이드기; 말레이미도기, 할로아세틸기 또는 할로아세트아미도기이다. 바람직하게는, Q는 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나이트로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말레이미도, 브로모아세트아미도 또는 아이오도아세트마이도기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Q는 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또는 말레이미도기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Q는 피리딜 다이설파이드이다.
E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O, N 혹은 S로부터 선택된 1, 2 혹은 3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또는 5 혹은 6원 헤테로방향족 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E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또는 피페리딘기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E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형 알킬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E는 -CH2CH2-로 표시된다.
F는 E와 동일한 정의를 지니는 선택적 모이어티이다. 바람직하게는, F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F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G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F와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3 내지 7원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헥실기이다.
G는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G'-(OCH2CH2)n- 또는 -G'-(CH2-CH2-O)n-을 나타내되, 여기서 n은 0 또는 1 내지 24의 정수이고; G'는 존재하지 않거나, -C(=O)NR2- 또는 -NR2C(=O)-이며; R2는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G는 -C(=O)NR2-(CH2CH2O)n이되, 여기서 n은 0또는1 내지 5의 정수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H 또는 Me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n은 2 또는 4이다. 대안적으로, G는 -(AA)m-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단위이며, 여기서 AA는 아미노산 잔기이고; m은 0 또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m이 1일 경우, AA는 바람직하게는 글라이신 또는 알라닌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은 2 또는 3이다. 바람직하게는, G는 gly-gly 또는 gly-gly-gly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G는 존재하지 않는다.
R1은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알케닐 혹은 알키닐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거나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R1은 H이다.
C(=O)L은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나이트로페닐 에스터, 테트라플루오로 페닐 에스터,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티오피리딜 에스터, 티오나이트로페닐 에스터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성 에스터기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III의 화합물에 대해서, G 및 F는 둘 모두 존재하지 않으며, E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담지하는, 즉,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E는 -CH2-CH2-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III의 화합물에 대해서, G는 존재하지 않고, F와 R1은 함께 3 내지 7원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알킬기는 사이클로헥실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E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E는 -CH2-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되, 해당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2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선택적으로 염기의 존재 하에,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화학식 II]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3
식 중, Q, E, G, F 및 R1의 정의는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및 삼산화황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 또는 트라이부틸 아민 등과 같은 트라이알킬아민, 또는 4-메틸몰폴린 등과 같은 4-알킬몰폴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b)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물을 정제시키는 단계. 정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결정화를 포함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의 적절한 형태는, 고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중간 압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예컨대 정상, 역상, 이온쌍 및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초임계 크로마토그래피 및 액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형태, 예를 들어,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점적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원심 분할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이들의 임의의 순서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되, 해당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선택적으로 염기의 존재 하에,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화학식 II]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4
식 중, Q, E, G, F 및 R1의 정의는 위에서 표시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및 삼산화황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DIPEA) 혹은 트라이부틸 아민 등과 같은 트라이알킬아민, 또는 4-메틸몰폴린 등과 같은 4-알킬몰폴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b) 선택적으로, 상기 생성물을 정제시키는 단계. 정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결정화를 포함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의 적절한 형태는 고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예컨대, 정상, 역상, 이온쌍 및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초임계 크로마토그래피 및 액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형태, 예를 들어,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점적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원심 분할 크로마토그래피, 고속 향류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상기 기재된 것들의 임의의 수순으로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생성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c) 화학식 III의 생성물 또는 그의 염의 카복실산 모이어티를, 커플링 시약의 존재 하에,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나이트로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또는 티오피리딘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실 또는 머캅토 화합물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제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제는 EDC이다.
d) 위에서 열거된 방법에 의한 결정화 및/또는 크로마토그래프 방법에 의해 얻어진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정제시키는 단계.
이 방법의 단계들의 개략적 표현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5
여기서, 정의는 위에서와 같으며; X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나이트로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또는 티오피리딘으로부터 선택되며; J는 H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염 양이온이다.
제3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IV]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6
a)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2a) 또는 그의 염을, 선택적으로 염기의 존재 하에,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틸 아민 또는 트라이부틸 아민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7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합물(2a) 또는 그의 염과 설폰화제의 반응은 1,2-다이(피리딘-2-일)다이설판(PySSPy)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화합물 2a에 대해서 약 0.1 내지 약 5.0 당량(equivalent),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당량의 양의 PySSPy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당량(예컨대, 0.4, 0.5, 0.6 당량)의 PySSPy가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8
대안적으로, PySSPy는, 반응 후 또는 반응의 워크업(workup) 동안, 예컨대, 반응 혼합물로부터 생성물의 추출 동안 첨가될 수 있다.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2a)은 당업계에 공지된 절차, 예컨대, 문헌[Widdison WC et al. Semisynthetic Maytansine analogues for the targeted treatment of cancer. J Med Chem. 2006;49:4392-4408]에 기재된 것들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문헌의 전체 교시 내용은 그의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b)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결정화에 의한 선택적 정제 단계.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의 적절한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위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크로마토그래피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리용 용매 혹은 용매들을 이용하는 실리카겔 칼럼 상에서 정제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용리용 용매로서 물과 1종 이상의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실리카 칼럼 상에서 정제된다. 예를 들어, 용리용 용매는, 선택적으로 소량의 산, 예컨대, 아세트산과 함께,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리용 용매는 물, 아세토나이트릴 및 아세트산의 1:10:0.01의 부피비의 혼합물이다.
제4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V]
Figure 112013054138975-pct00009
a)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2a) 또는 그의 염을, 선택적으로 염기의 존재 하에,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 또는 그의 염을 제공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이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 또는 트라이부틸 아민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합물(2a) 또는 그의 염과 설폰화제와의 반응은 1,2-다이(피리딘-2-일)다이설판(PySSPy)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화합물(2a)에 대해서 약 0.1 내지 약 5.0 당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당량의 양의 PySSPy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0.5 당량(예컨대, 0.4, 0.5 또는 0.6 당량)의 PySSPy가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PySSPy는 반응 후 또는 반응의 워크업 동안, 예컨대, 반응 화합물로부터 생성물의 추출 동안 첨가될 수 있다.
b)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결정화에 의한 선택적 정제 단계.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의 적절한 형태는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위에서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정제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것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적절한 용리용 용매를 이용하는 실리카 칼럼 상에서 정제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용리용 용매로서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실라카 칼럼 상에서 정제된다. 예를 들어, 용리용 용매는, 선택적으로 소량의 산, 예컨대, 아세트산과 함께,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리용 용매는 물, 아세토나이트릴 및 아세트산의 1:10:0.01의 부피비의 혼합물이다.
c)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카복실산 모이어티를, 커플링 시약의 존재 하에,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S)와 반응시켜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제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제는 EDC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의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 혹은 트라이부틸 아민 등과 같은 트라이알킬아민, 또는 4-메틸몰폴린 등과 같은 4-알킬몰폴린으로부터 선택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d) 위에서 열거된 방법에 의한 결정화 및/또는 크로마토그래프 방법에 의한 얻어진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선택적 정제 단계.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크로마토그래프 방법에 의해 정제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용리용 용매를 이용하는 실리카 칼럼 상에서 정제된다. 용리용 용매는 선택적으로 소량의 비친핵체성 염기를 함유하며, 이 염기는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 혹은 트라이부틸 아민 등과 같은 트라이알킬아민, 또는 4-메틸몰폴린 등과 같은 4-알킬몰폴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온 교환 칼럼은, 특히 염기가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NHS와의 반응에 이용될 경우 또는 비친핵체성 염기가 반응 후 워크업 동안 또는 화합물 V의 정제 동안 첨가될 경우 실리카 칼럼 상에서의 정제 후에 화학식 V의 화합물을 더욱 정제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양이온 교환 칼럼, 예를 들어,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혹은 수펠코(Supelco) 카탈로그에 기재된 것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이온 교환 수지는 앰버리스트(Amberlyst)(등록상표) 15 또는 도웩스(Dowex)(등록상표) 50WX4-200 수지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결정화에 의해 정제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정화는 친수성 용매 또는 용매들 중에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나서, 얻어진 용액을 감소된 온도, 예를 들어, 약 0℃ 내지 약 10℃, 0℃ 이하, 약 -10℃ 내지 약 0℃, 약 -20℃ 내지 약 -10℃, 약 -30℃ 내지 약 -20℃, 약 -10℃, 약 -20℃ 또는 약 -30℃에 배치함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온도는 약 -20℃이다. 임의의 적절한 친수성 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친수성 용매는 아세톤,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DMF),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MSO),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용매는 아세톤 또는 아세토나이트릴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의 결정화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유기 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용매는 수 혼화성 용매, 예컨대 아세톤, DMF, DMSO,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정화 용매는 아세톤과 물의 혼합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세톤과 물의 비율은 약 80:20 v/v 내지 약 99:1 v/v이다. 훨씬 더 구체적으로는, 아세톤 대 물의 부피비는 90:10 또는 95:5이다. 결정화는 용매 혼합물 중에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나서, 얻어진 용액을 감소된 온도에서, 예를 들어, 약 0℃ 내지 약 10℃, 0℃ 이하, 약 -10℃ 내지 약 0℃, 약 -20℃ 내지 약 -10℃, 약 -30℃ 내지 약 -20℃, 약 -10℃, 약 -20℃ 또는 약 -30℃에서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소된 온도는 약 -20℃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화학식 IV의 화합물의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의 반응이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된 경우 또는 비친핵체성 염기가 반응 후, 반응의 워크업 동안 또는 화합물 V의 정제 동안 첨가된된 경우, 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트라이에틸아민 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 염 또는 4-메틸몰폴린 염,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염이다. 화합물의 중성 형태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이온 교환 칼럼을 통해 염을 통과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의 중성 형태는 소량의 산의 존재 하에 유기 용매 또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전술한 염의 결정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산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산은,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TFA), HCl 및 H2SO4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산은 HCl 또는 H2SO4이다. 임의의 적절한 양의 산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0.1 내지 5 당량의 산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5 당량의 산이 이용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당량의 산이 이용된다. 결정화는 적절한 유기 용매 혹은 유기 용매들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유기 용매는 아세톤, DMF, DMSO 및 아세토나이트릴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혹은 아세토나이트릴은 결정화를 위하여 이용된다. 대안적으로, 결정화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세톤/물, DMF/물, DMSO/물 및 아세토나이트릴/물 혼합물이 결정화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0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새로운 결정체 형태, 예컨대,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결정체 형태 1, 2a, 2b 및 3에 관한 것이다. US2009/0274713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서 제조된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비정질 고체이고, 고도로 흡습성이다. 결정체 형태 1, 2a, 2b 및 3, 특히, 결정체 형태 1, 2a 및 2b는 비정질 고체보다 상당히 덜 흡습성이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의 결정체 형태
결정체 형태 1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적어도 특정 중량%는 해당 화합물의 결정체 형태 1이다. 특정 중량%는 70%, 72%, 75%, 77%, 80%, 82%, 85%,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9.5%, 99.9%, 100%이거나, 또는 70% 내지 100% 사이의 백분율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결정체"는 고도로 규칙적인 화학적 구조를 지니는 고체를 지칭한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의 특정 중량%가 특정 결정체 형태인 경우, 나머지는 특정된 그 특정 형태 이외의 하나 이상의 결정체 형태 및/또는 비정질 형태의 몇몇 조합이다.
결정체 형태 1은, Cu Kα 방사선을 이용해서 얻어진, 표 1에 열거된 바와 같은 2θ 각 및 상대 강도의 값을 지니는 한편 도 8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1은 4.2°, 12.6°, 12.8°, 13.8°, 15°, 20.1°, 23°, 25.5° 및 37.5°의 2θ 각에서 1, 2, 3, 4, 5, 6, 7, 8 또는 9개의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1은 12.6, 12.8, 15 및 23의 2θ 각에서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특정된 2θ각이란 특정 값 ±0.1°를 의미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1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주 XRPD 피크"란 10%보다 큰 상대 강도를 지니는 XRPD 피크를 지칭한다. 상대 강도는 관심 대상 피크의 피크 강도 대 최대 피크의 피크 강도의 비로서 계산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1은 도 9에 도시된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프로파일에 있어서 99.7℃±0.5℃에서 단일의 흡열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파일은 온도의 함수로서 열 유량을 도시한다. DSC는 25℃ 내지 240℃에서 10℃/분의 스캐닝 속도를 이용해서 샘플에 대해서 수행된다.
결정체 형태 1은 또한 도 9에 도시된 열 중량 분석(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온도의 함수로서 샘플의 중량 손실 퍼센트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온도 변화 속도는 분위기 온도 내지 350℃에서 10℃/분이다. 상기 프로파일은 샘플의 온도가 40℃에서 200℃까지 변화됨에 따라서 대략 3.7%의 중량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형태 1이 1수화물인 것을 나타낸다.
형태 1은 또한 도 10에 도시된 중력 증기 흡착(gravitational vapor sorption: GVS)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한다. 이 프로파일은, 환경의 상대 습도(relative humidity: RH)가 25℃에서 10% RH 간격에서 0% 내지 90% 사이에서 변화함에 따른 샘플의 중량 변화를 나타낸다. 흡착 프로파일은 40%RH와 90%RH 사이에서 매우 소량(1.6%)의 중량 이득을 도시한다. 탈착 프로파일은 90%RH와 0%RH 사이에서 1.9% 중량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탈수소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1은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결정화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적절한 유기 용매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세톤과 물의 혼합물은 결정화를 위하여 이용된다. 아세톤과 물의 부피비는 80:20 내지 99:1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비는 95:5이다. 결정화는 감소된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결정체 형태 2a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적어도 특정 중량%는 해당 화합물의 결정체 형태 2a이다. 특정 중량%는 70%, 72%, 75%, 77%, 80%, 82%, 85%,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9.5%, 99.9%, 100%이거나, 또는 70% 내지 100% 사이의 백분율을 포함한다.
결정체 형태 2a는, Cu Kα 방사선을 이용해서 얻어진, 표 2에 열거된 바와 같은 2θ 각 및 상대 강도의 값을 지니는 한편 도 11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8.6, 11.9, 16.5 및 24의 2θ 각에서 1, 2, 3, 4 또는 5개의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11.9, 16.4 및 24의 2θ 각에서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2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도 121에 도시된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프로파일에 있어서 201.9℃±0.5℃에서 단일 흡열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형태 2a는 또한 도 12에 도시된 열 중량 분석(TGA)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샘플의 온도가 40℃에서 90℃까지 변화됨에 따라서 대략 0.9%의 중량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형태 2a가 무수물인 것을 나타낸다.
형태 2a는 또한 도 13에 도시된 중력 증기 흡착(GVS)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한다. 이 흡착 프로파일은 40%RH와 90%RH 사이에서 매우 소량(1.8%)의 중량 이득을 도시하며, 이는 수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탈착 프로파일은 90%RH와 0%RH 사이에서 2.4% 중량 손실을 도시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은 친수성 용매 혹은 용매 중에서의 화합물 V의 결정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20℃ 등과 같은 감소된 온도에서 아세톤 중에서의 결정화에 의해 제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a는 DIPEA 염 등과 같은 화합물 V의 염으로부터 염 양이온을 제거함으로써, 양이온 교환 칼럼을 통해 염을 통과시킴으로써, 또는 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아세톤 혹은 아세토나이트릴 등과 같은 친수성 용매 중에서의 결정화는 형태 2a를 부여한다.
결정체 형태 3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적어도 특정 중량%는 해당 화합물의 결정체 형태 3이다. 특정 중량%는 70%, 72%, 75%, 77%, 80%, 82%, 85%,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99.5%, 99.9%, 100%이거나, 또는 70% 내지 100% 사이의 퍼센트이다.
결정체 형태 3은, Cu Kα 방사선을 이용해서 얻어진, 표 3에 열거된 바와 같은 2θ 각 및 상대 강도의 값을 지니는 한편 도 14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3은 10.4°, 11.3°, 12.2°, 14.7°, 17,6°, 22.5°, 26.3°, 27.2°, 28.8° 및 29.8°의 2θ 각에서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3은 10.4°, 1.3°, 12.2°, 17.6°, 22.5°, 26.3°, 27.2° 및 28.8°의 2θ 각에서 주 XRPD 피크들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3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3은 도 15에 도시된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프로파일에 있어서 45.2℃±0.5℃, 93.3℃±0.5℃ 및 177.2℃±0.5℃에서 흡열 전이를 특징으로 한다. 형태 3은 또한 도 15에 도시된 열 중량 분석(TGA)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프로파일은 샘플 온도가 실온에서 180℃까지 변화됨에 따라 대략 4.48%의 중량 손실을 도시하며, 이는 형태 3이 1수화물인 것을 나타낸다.
형태 3은 또한 도 16에 도시된 중량 증기 흡착(GVS) 프로파일을 특징으로 한다. 이 흡착 프로파일은 40%RH와 90% RH 사이에서 25%의 중량 이득을 표시한다. 이 탈착 프로파일은 90%RH 내지 0%RH 사이에서 29.4%의 중량 손실을 표시한다. 제2흡착 프로파일은 0%RH 내지 40%RH 사이에서 0.4% 중량 이득을 표시하며, 이는 탈수소화가 탈착 동안 일어난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3은 소량의 산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물 중에서 염(예컨대, DIPEA 염)을 결정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적절한 유기 용매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기 용매는 아세톤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대 물의 부피비는 약 80:20 내지 약 99:1이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이 비는 약 90:10 내지 약 95:10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적절한 산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산은 HCl 또는 H2SO4이다. 염에 대해서 약 0.1 내지 약 5 당량의 양의 산이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 0.1 내지 약 1.5 당량의 산,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1.0 당량의 산이 이용될 수 있다. 결정화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감소된 온도에서, 예를 들어, 약 -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결정체 형태 2b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정체 형태 3은, 탈수소화 또는 진공 하 건조에 의해, 무수 결정체 형태인 결정체 형태 2b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탈수소화는 건조제로서 P2O5를 이용해서 0%RH에서 수행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결정체 형태 2b는 30℃에서 진공 하 24시간 동안 결정체 형태 3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결정체 형태 2b는, Cu Kα 방사선을 이용해서 얻어진, 표 4에 열거된 바와 같은 2θ 각 및 상대 강도의 값을 지니는 한편 도 17에 도시된 X-선 분말 회절(XRPD) 패턴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b는 8.5°, 11.9°, 16.4°, 24° 및 31.7°의 2θ 각에서 1, 2, 3, 4 또는 5개의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b는 31.7°의 2θ 각에서 주 XRPD 피크 그리고 8.5°, 11.9°, 16.4° 및 24°의 2θ 각에서 1, 2, 3 또는 4개의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태 2b는 11.9, 16.4, 24 및 31.7°의 2θ 각에서 주 XRPD 피크를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4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는 화학식 III(식 중, Q는 다이설파이드 모이어티를 나타냄) 또는 I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대안적인 방법을 개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화학식 3 또는 I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화학식 4의 락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유리 혹은 복합체화된 형태, 예컨대,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피리딘 혹은 트라이에틸 아민으로 예시되는 아민과 복합체화된 형태의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이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유리 형태의 삼산화황이다.
b)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선택적으로 염기및/또는 산 또는 루이스산의 존재 하에, 황-담지 친핵체와 반응시키는 단계(Fujita et al., 1978 Tetrahedron Letters, 52, 5211; Kelly et. al., 1977, Tetrahedron Letters, 49, 3859). 바람직하게는, 황-함유 친핵체는 황화수소, 또는 그의 염, 티오유레아, 티오아세트산, 2-(트라이메틸실릴)에탄티올 또는 티오페놀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황-함유 친핵체는 티오유레아, 티오아세트산 또는 티오페놀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염기, 산 또는 루이스산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n-부틸 리튬, 리튬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틸 아민 또는 트라이에틸 아민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n-부틸 리튬이다. 염기는, 이들 경우에, 이용된다면, 티올-담지 친핵체와 미리 혼합되고 나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염기는, 이용된 경우, 화학식 5의 화합물과 티올-담지 친핵체의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기는 티올-담지 친핵체와 미리 혼합되고 나서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산 또는 루이스산은, 이용된다면, 4-톨루엔 설폰산, 삼염화알루미늄, 삼불화붕소 또는 사염화티타늄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산 또는 루이스산은, 이용된다면, 4-톨루엔 설폰산 또는 삼염화알루미늄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반응은 강염기가 이용되지 않을 경우 다이클로로메탄 혹은 1,2-다이클로로에탄 등과 같은 용매 중에서 분위기 온도에서 수행된다. 강염기가 이용되는 경우, 반응은 전형적으로 -40 내지 25℃에서 수행된다.
c) 선택적 탈보호에 의해 유리 티올을 유리시키는 단계. 탈보호는 수 개의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티오에스터 혹은 티오우로늄 염은 NaOH 또는 Na2CO3 등과 같은 염기에 의해 가수분해될 수 있다(Zervas et. al., 1963, J. Am. Chem. Soc. 85, 1337). 트라이메틸실릴 에탄올 에스터는 또한 불화수소 또는 불화 테트라부틸암모늄 등과 같은 불화물 함유 제제를 이용해서 탈보호될 수 있고(Hamm et. al., 2004, Org. Lett. 6, 3817), 티오페놀 부가물은 전해에 의해 혹은 아세트산팔라듐에 의해 탈보호될 수 있다(Chung et al, 2004, J. Chem. Soc. 126, 7386). 바람직하게는, 탈보호는 NaOH 혹은 KOH 등과 같은 염기를 이용한 가수분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반응은, 분위기 온도에서, 선택적으로 물-혼화성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THF 등과 혼합된 수성 NaOH 혹은 KOH 용액 중에서 수행된다.
d)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혼합된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3 또는 IV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혼합된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 4,4'-다이티오다이피리딘, 2,2'-다이티오비스(5-피리딘), 4-나이트로페닐다이설파이드, S-메틸 메탄티오설포네이트 또는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혼합된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이다. 다른 적절한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문헌[Aslam and Dent, 2000, Bioconjugation: Protein coupling techniques for the biomedical sciences, MacMillan, London] 참조).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5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Ra, Rb, Rc, Rd 및 Re는 모두 H이다.
3 또는 IV를 제조하는 더욱 직접적인 방법은 티오락톤의 알파 설폰화에 이어서 얻어지는 생성물의 가수분해 및 다이설파이드 형성제와의 반응일 것이다.
제6실시형태는 화학식 3 또는 I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화학식 7의 티오락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유리 혹은 복합체화된, 예컨대,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피리딘 혹은 트라이에틸 아민으로 예시되는 아민과 복합체화된 형태의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이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제는 유리 형태의 삼산화황이다;
b)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가수분해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는 NaOH 또는 KOH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c)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 4,4'-다이티오다이피리딘, 2,2'다이티오비스(5-피리딘), 4-나이트로페닐다이설파이드, S-메틸 메탄티오설포네이트 또는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이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6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Ra, Rb, Rc, Rd 및 Re는 모두 H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5 및 제6실시형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과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Ia]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7
식 중, Ra, Rb, Rc, Rd, Re, L 및 Q'는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카복실산 및/또는 설폰산 또는 기타 산성 작용기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은 상기 화합물을 적절한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염기는 알칼리 금속염(특히 나트륨 및 칼륨), 알칼리 토금속염(특히 칼슘 및 마그네슘), 알루미늄염 및 암모늄 염, 테트라알킬 암모늄염(테트라메틸 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등)뿐만 아니라, 트라이메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및 등과 같은 유기 염기로부터 제조된 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염은 Na+염 또는 K+염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예컨대, 화학식 I, IIIV의 화합물) 내의 설폰산 모이어티는 유리 산 또는 그의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의 주어진 배취는 실질적으로 Na+, K+, Me4 + 등과 같은 단일 염 형태로 혹은 유리 산으로서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이하를 포함하지만 이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수개의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화학식 I, III 또는 V의 화합물은 이온을 교환하기 위하여 관심 대상인 상대 이온을 함유하는 완충액 혹은 완충액/용매 혼합물과의 용액 혹은 현탁액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 후, 관심 대상 양이온(J)을 담지하는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 혹은 염은 수개의 방식으로 혼합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물 및 용매를 증발시키고, 목적으로 하는 화합물을 유기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나서, 여과시켜 임의의 무기 염을 제거한다. 이러한 여과는 통상의 필터를 통해서 또는 규조토, 실리카 혹은 알루미나 등(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비교적 소량의 필터 보조제를 통해서 행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학식 I, III 또는 V의 화합물의 용액은 관심 대상 양이온으로 조건 조절된 양이온 교환 물질을 통해서 용리된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의 용액은 관심 대상 양이온으로 조건 조절된 양이온 교환 물질과 "배취 모드"(batch mode)로 혼합되어 교환을 완료할 수 있고, 이어서 이온교환 물질을 여과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화합물의 용액은 음이온 교환 물질 상에 포획되고 나서, 목적으로 하는 양이온을 함유하는 용매로 배취 혹은 크로마토그래픽 모드에서 용리시킴으로써 유리된다.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포획에 이은 관심 대상 양이온의 치환은 양이온이 트라이에틸 아민 혹은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틸 아민 등과 같이 휘발성인 경우 가장 유리하다. 이 용도에 적합한 이온 교환 물질의 예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고, 도웩스 1, 도웩스 50 등과 같은 도웩스 수지, DEAE 수지 혹은 앰버라이트(Amberlite)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III 또는 V의 화합물의 용액을 냉동시키고 냉동된 용액을 냉동 건조로서도 알려진 동결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용도에 적합한 용매 혹은 용매들의 혼합물은 화학식 I, III 또는 V의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어야 하고, 용매 혹은 용매들은 동결건조 과정에서 이용되는 진공 조건 하에서 휘발성이어야만 한다. 용매 혹은 용매계는 또한 동결건조 과정 동안 냉동된 채로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용매 혹은 용매계는 물, 1,4-다이옥산, tert-부탄올,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의 용액, 물과 메탄올의 용액, 1,4-다이옥세이트와 tert-부탄올의 용액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단일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의 각각은 또한 동결건조 조건 하에 휘발성인 산성 혹은 염기성 첨가제를 함유한다. 이 용도에 적합한 산성 혹은 염기성 첨가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틸 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는 화합물의 합성 반응식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설포-SPDB)의 합성을 도시한다.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되었다(Widdison et al, 2006, J. Med. Chem., 49, 4392-44080).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DIPEA)의 존재 하에 클로로설폰산에 의한 직접 설폰화는 C2 위치에서 설폰화를 유발하여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을 제공한다. EDC의 존재 하에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NHS)와의 반응은 목적으로 하는 설포-SPDB 가교제를 제공하였다.
이 직접 설폰화 반응은 카복실산으로부터 많은 α-설포카복실산을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카복실산으로부터의 이러한 다양한 화합물의 합성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카복실산 화합물은 티올-함유 제제와의 반응을 가능하게 하는 다이설파이드(도 5), 말레이미드(도 6), 할로아세틸 또는 할로아세트아미도(도 7) 등과 같은 티올 반응기를 함유한다. 얻어지는 설포-카복실산은, EDC 등과 같은 커플링제의 존재 하에, 머캅토 화합물의 하이드록실을 이용해서, 실시예들 및 도 4에 도시된 설포-SPDB와 유사한 방식으로 활성 에스터로 전환되어 이작용성 가교제를 제공할 수 있다. 활성 에스터 모이어티는 아미노 혹은 하이드록실기를 담지하는 세포결합제 혹은 세포독성 화합물 또는 표지와 반응하는 한편, 다이설파이드, 말레이미드, 할로아세틸 혹은 할로아세트아미도 모이어티는 티올기를 담지하는 세포결합제 또는 세포독성 화합물 또는 표지와 반응하므로, 세포결합제를 세포독성 화합물 혹은 표지와 연결시킨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포화 직쇄 혹은 분지쇄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1-프로필, 2-프로필, 1-부틸, 2-메틸-1-프로필, --CH2CH(CH3)2), 2-부틸, 2-메틸-2-프로필, 1-펜틸, 2-펜틸, 3-펜틸, 2-메틸-2-부틸, 3-메틸-2-부틸, 3-메틸-1-부틸, 2-메틸-1-부틸, 1-헥실, 2-헥실, 3-헥실, 2-메틸-2-펜틸, 3-메틸-2-펜틸, 4-메틸-2-펜틸, 3-메틸-3-펜틸, 2-메틸-3-펜틸, 2,3-다이메틸-2-부틸, 3,3-다이메틸-2-부틸, 1-헵틸, 1-옥틸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직쇄 혹은 분지쇄 알케닐"이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부위, 즉,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지니는,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혹은 분지쇄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케닐 라디칼은 "시스" 및 "트랜스" 배향, 또는 대안적으로, "E" 및 "Z" 배향을 지니는 라디칼을 포함한다. 그 예는 에틸레닐 또는 비닐(--CH=CH2), 알릴(--CH2CH=CH2)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키닐"이란,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부위, 즉,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지니는,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혹은 분지쇄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그 예는 에티닐, 프로피닐, 1-부티닐, 2-부티닐, 1-펜티닐, 2-펜티닐, 3-펜티닐, 헥시닐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환식 알킬", "환식 알케닐", "환식 알키닐"이란 용어는, 단환식 고리로서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이환식 고리로서 7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1가의 비방향족,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고리를 지칭한다. 7 내지 10개의 원자를 지니는 이환식 탄소환은, 예를 들어, 바이사이클로 [4,5], [5,5], [5,6] 혹은 [6,6]계로서 배열될 수 있고, 9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지니는 이환식 탄소환은 바이사이클로 [5,6] 혹은 [6,6]계로서, 또는 바이사이클로[2.2.1]헵탄, 바이사이클로[2.2.2]옥탄 및 바이사이클로[3.2.2]노난 등과 같은 가교된 계로서 배열될 수 있다. 단환식 탄소환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1-사이클로펜트-1-에닐, 1-사이클로펜트-2-에닐, 1-사이클로펜트-3-에닐,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스-1-에닐, 1-사이클로헥스-2-에닐, 1-사이클로헥스-3-에닐, 사이클로헥사다이에닐,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노닐, 사이클로데실, 사이클로운데실, 사이클로도데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는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1가의 포화 단환식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알킬은 고리 내에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및 사이클로헵틸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이란 용어는 위에서 기재된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을 지칭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호환적으로 이용되며, 3 내지 6개의 고리 원자의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즉,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이중 및/또는 삼중 결합을 지님) 탄소환식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리 원자는 질소, 산소, 인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이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C이며, 이때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는 선택적으로 이하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완전 포화되어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고리원(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단환식일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문헌[Paquette, Leo A.; "Principles of Modern Heterocyclic Chemistry" (W. A. Benjamin, New York, 1968), 특히 챕터 1, 3, 4, 6, 7 및 9; "The Chemistry of Heterocyclic Compounds, A series of Monograph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50년에 제시), 특히 제13, 14, 16, 19 및 28권; 및 J. Am. Chem. Soc. (1960) 82:5566)]에 기재된 복소환이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는 아지리딘, 피롤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다이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다이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피페리디노, 몰폴리노, 티오몰폴리노, 티옥사닐, 피페라지닐, 호모피페라지닐, 아제티디닐, 옥세타닐, 티에타닐, 옥세파닐, 티에파닐, 옥사제피닐, 다이아제피닐, 티아제피닐, 2-피롤리디닐, 3-피롤리디닐, 인돌리닐, 2H-피라닐, 4H-피라닐, 다이옥사닐, 1,3-다이옥솔라닐, 피라졸리닐, 다이티아닐, 다이티올라닐, 다이하이드로피라닐, 다이하이드로티에닐, 다이하이드로퓨라닐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헤테로방향족 기"란 용어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개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내지 12원의 단환식 혹은 이환식 고리의 1가 방향족 라디칼을 지칭하며, 여기서, 1개 이상의 고리 원자는 선택적으로 이하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독립적으로 치환된다. 바람직하게는, 헤테로방향족 기는 5 또는 6원 단환식 고리이다. 헤테로방향족 기의 예는 피리디닐(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피리디닐을 포함), 이미다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피리미디닐(예를 들어, 4-하이드록시피리미디닐을 포함), 피라졸릴, 트라이아졸릴, 피라지닐, 테트라졸릴, 퓨릴, 티에닐, 아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아이소티아졸릴, 피롤릴이다.
예로써 또한 제한없이, 질소 결합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혹은 헤테로방향족은 아지리딘, 아제티딘, 피롤, 피롤리딘, 2-피롤린, 3-피롤린, 이미다졸, 이미다졸린, 2-이미다졸린, 3-이미다졸린, 피라졸, 피라졸린, 2-피라졸린, 3-피라졸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 인돌린, 1H-인다졸의 1번 위치, 아이소인돌 혹은 아이소인돌린의 2번 위치, 몰폴린의 4번 위치, 및 카바졸 혹은 O-카볼린의 9번 위치에서 결합된다.
헤테로원자기 혹은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중에 존재하는 헤테로원자는 NO, SO 및 SO2 등과 같은 산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환식,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페닐, 헤테로방향족 기는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적절한 치환체는 할로겐, -OH, 알킬, 알콕시, 할로알킬, 알콕시알킬, -NH2, 알킬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서 치환기 내의 알킬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비치환된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이다. 헤테로방향족 기 및 페닐기는 또한 -CN 및/또는 -NO2기로 치환될 수 있다.
"알콕시"란 용어는 산소 연결 원자를 통하여 부착된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콕시"는 또한 -O-알킬로서 표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소 연결 원자에 부착된 알킬 라디칼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다. 알콕시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부톡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할로알킬"이란 용어는 1개 이상(예컨대, 2, 3, 4, 5 혹은 6개)의 할로겐 기로 치환된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할로알킬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다.
"알킬아미노"란 용어는 -NH 연결기를 통해서 부착된 알킬 라디칼을 지칭한다. "알킬아미노"는 또한 -NH-알킬로서 표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아미노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다.
"다이알킬아미노"란 용어는 -N(알킬)(알킬)로서 표기되는 기를 지칭한다. 바람직하게는, -N(알킬)(알킬) 중에 표기된 각 알킬은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다.
"할로" 또는 "할로겐"이란 용어는 F, Cl, Br 또는 I를 지칭한다.
펩타이드란 용어는, N-알킬, N-아릴 등(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과 같은, 변성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천연 혹은 비천연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2개 이상의 순차적으로 연결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모이어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아미노산의 각각은 L-입체 배치, D-입체 배치 또는 라세미체일 수 있다.
"아미노산 잔기"란 용어는 말단의 카복시 및 아미노기, 즉, -NHCH(R)C(=O)O-(R은 곁사슬기임)로부터 수소 원자가 제거된 아미노산을 지칭한다.
"설폰화제"란 용어는 화합물 중에 설폰산 모이어티를 도입할 수 있는 제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설폰화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미국 특허 제1,926,422호; 문헌[W. Thaler 1953, Macromolecules 16; 623-628; Truce and Olson, 1953, J.Am.Chem Soc, 75, 1651-1653] 참조), 유리 혹은 복합체화된 형태, 예를 들어,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또는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와 복합체화된, 피리딘 혹은 트라이에틸아민 등과 같은 아민과 복합체화된 형태의 삼산화황을 포함한다. 설폰화제는 또한 클로로설폰산 및 플루오로설폰산 등과 같은 할로설폰산일 수 있다. 알킬설페이트, 산 설파이트, 설파이트 및 설퍼릴 클로라이드가 또한 이용될 수 있다(Kharasch and Read 1939, J. Am. Chem. Soc, 61, 3089-3092). 또한 락톤이 삼산화황에 의해 알파-설폰화될 수 있는 것을 시사하는 보고도 있다(특허 DE800410).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폰화 반응은 1,4-다이옥산, THF, 에터 또는 폴리-에터, 아세토나이트릴, DMF 및 할로겐화 용매 등과 같은 용매 중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설폰화 반응은 할로겐화 용매, 예컨대,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및 1,2-다이클로로에탄, 더 바람직하게는 1,2-다이클로로에탄 중에서 수행된다. 클로로설폰산을 이용하는 설폰화는 할로겐화 용매 중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순수한 클로로설폰산 중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설폰화는 클로로설폰산이 설폰화제로서 이용될 경우 25 내지 110℃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설폰화는 5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에서 수행된다. 삼산화황이 설폰화제로서 이용되는 경우, 반응은 전형적으로 -40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에서 수행된다.
"커플링 시약"이란 용어는 아마이드 및 에스터 형성을 향하여 카복실산 기를 활성화시키는 시약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커플링 시약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커플링 시약의 예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으로 이들 커플링은 비프로톤성 용매 중 분위기 온도에서 행해지며,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수개의 적절한 용매는 다이클로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다이메틸 포름아마이드이다. 커플링 방법 및 조건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문헌[Benoiton, 2006, Chemistry of Peptied Synthesis, CRC Press, Florida] 참조).
"티올 반응기"란 용어는 티올-함유 화합물 중에서 티올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티올 반응기는 다이설파이드기 또는 말레이미드, 할로아세틸 또는 할로아세트아미도, 비닐설폰, 비닐설폰아마이드, 비닐피리딘, 옥시란 또는 아지리딘일 수 있다.
"아민 또는 하이드록실-반응기"란 용어는 아민기 또는 하이드록실기로 용이하게 교체되는 이탈기를 함유하는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를 나타낸다.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반응성 에스터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프탈이미딜 에스터, 나이트로페닐 에스터, 테트라플루오로 페닐 에스터,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티오피리딜 에스터 티오나이트로페닐 에스터일 수 있다. 기타 아민 및 하이드록실-반응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문헌[Aslam and Dent, 2000, Bioconjugation: Protein coupling techniques for the biomedical sciences, MacMillan, London] 참조).
"황-담지 친핵체"란 용어는 황 원자가 이탈기를 교체시키거나 개별의 화합물 상에 개환을 유발할 수 있는 황 원자를 담지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락톤의 경우에, 황 친핵체 공격은 개환을 유발시켜 카복실산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실온에서 혹은 상승된 온도, 예컨대, 25 내지 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 반응은 첨가제 없이 용액 중에서 일어날 수 있었거나, 또는 교체는 산, 루이스산 혹은 염기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적절한 황 친핵체의 예는, 황화수소, 수황화나트륨(sodium hydrosulfide), 티오유레아 및 티오아세트산을 포함한다. 기타 예 및 적절한 반응 조건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문헌[Cremlyn, 1996, An introduction to organosulfur chemistry, Wiley, New York; Jerry March & Michael B. Smith, 2007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Wiley, New York] 참조).
""이란 용어는 카복실산 혹은 설폰산 작용기, 및 무기 혹은 유기 염기 등과 같은 산성 작용기를 지니는 본 발명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적절한 염기는, 예컨대, 나트륨, 칼륨 및 리튬 등과 같은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칼슘 및 마그네슘 등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알루미늄 및 아연 등과 같은 기타 금속의 수산화물; 암모니아, 및 비치환된 혹은 하이드록시-치환된 모노-, 다이- 또는 트라이알킬 아민 등과 같은 유기 아민;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트라이부틸 아민; 트라이에틸 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DIPEA) 또는 트라이부틸 아민, 피리딘; 4-메틸몰폴린 등과 같은 4-알킬몰폴린; N-메틸,N-에틸아민; 다이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모노-, 비스- 또는 트리스-(2-하이드록시-저급 알킬 아민), 예컨대, 모노-, 비스- 또는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민, 2-하이드록시-tert-부틸아민, 또는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메틸아민, N,N-다이-저급 알킬-N-(하이드록시 저급 알킬)-아민, 예컨대, N,N-다이메틸-N-(2-하이드록시에틸)아민 또는 트라이-(2-하이드록시에틸)아민; N-메틸-D-글루카민; 및 아미노산,예컨대, 아르기닌, 라이신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염"이란 용어는 또한 아민 작용기 등과 같은 염기성 작용기를 지니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 혹은 유기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적절한 산은 황산수소, 시트르산, 아세트산, 옥살산, 염화수소산(HCl), 브롬화수소(HBr), 요오드화수소(HI), 질산, 이황화수소, 인산, 락트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바이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말레산, 베실산, 푸말산, 글루콘산, 글루가론산, 포름산, 벤조산, 글루탐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및 p-톨루엔설폰산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ClSO3H는 "클로로설폰산", "클로로황산" 또는 "설푸로클로리드산"(sulfurochloridic acid) 또는 당업자가 ClSO3H를 나타내는 것으로 용이하게 인지하게 되는 기타 명칭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상기 설명된 방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염기, 산 또는 루이스산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염기이다. 적절한 염기의 예는 n-부틸리튬, 리튬 다이아이소프로필아민,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부틸아민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산 및 루이스산의 예는 벤조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황산,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삼염화알루미늄 및 사염화티타늄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공보 및 비특허 문헌은 그들의 전문이 참조로 특별히 병합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카복실산의 α-설폰화를 위한 일반적인 방법
무수 1,2-다이클로로에탄(~ 0.2M) 중 카복실산 화합물 산의 교반된 용액에 클로로설폰산(5 당량)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75℃ 오일욕 중에서 3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가열욕을 제거하고, 혼합물은 분위기 온도로 냉각되도록 방치하고 나서, 얼음에 부었다. 이 혼합물을 10% NaOH의 첨가에 의해 pH 10 내지 11로 만들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5% HCl로 pH 5로 조정하고, 이 혼합물을 분액 깔때기로 옮겼다. 유기층을 탈이온수로 추출하고, 수층들을 합하여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무기 염이 플라스크의 벽에 나타나기 시작할 때까지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나머지는 CH3CN으로 희석시키고, 형성된 두 층을 분액 깔때기로 옮겼다. 아래쪽의 밝은 갈색 층을 분리하여, 소량의 탈이온수, CH3CN 및 포름산(H2O/CH3CN/HCOOH, 10:1:1)으로 희석시켰다. 이것을 C18 칼럼 상에 장입하고 정제시켜(CH3CN/H2O로 용리: 2% CH3CN, 0 내지 5분; 2% 내지 28% CH3CN, 5 내지 20분; 28 내지 90% CH3CN, 20-20:30분; 90% CH3CN, 20:30 내지 25:30분; 90 내지 2% CH3CN, 25:30 내지 26분; 2% CH3CN, 26 내지 28분) 밝은 갈색 오일로서 목적으로 하는 설포-SPDB 산 3을 얻었다. 위쪽의 CH3CN층은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H2O 및 HCOOH(10:1)로 희석 후, C18 칼럼 상에 장입하여 CH3CN/H2O로 용리시켜 더 많은 설포네이트화된 생성물 산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8
반응에 염기의 첨가 없이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의 제조.
무수 1,2-다이클로로에탄(20㎖) 중에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2a)(804㎎, 3.51 m㏖)의 교반된 용액에 클로로설폰산(1.4㎖, 21 m㏖)을 신속하게 주사기를 통해서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5℃ 오일욕 중에서 가열하고 73 내지 78℃에서 27분 동안 교반하였다. 가열욕과 반응 혼합물을 분위기 온도로 방냉시키고 나서, 이 반응 혼합물을 얼음 상에 부었다. 이 혼합물을 10% NaOH로 pH 10으로 만들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5% HCl로 pH 5로 조정하고, 이 혼합물을 분액 깔때기 내로 옮겼다. 아래쪽의 유기층을 분액하고 탈이온수로 추출하였다. 수층들을 합하여,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슬러리가 얻어질 때까지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이 슬러리를 아세토나이트릴(100㎖)로 희석시키고, 모든 염이 용해되어 두 층이 형성될 때까지 소량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였다. 이들 층을 분액 깔때기로 옮겼다. 아래쪽의 밝은 갈색 층은 단리시켜 탈이온수로 희석시키고, 이 용액 1㎖를 취하여 CH3CN(0.1㎖) 및 포름산(0.1㎖)으로 희석시키고, 250×21㎜ 10 마이크론 C18 칼럼 상에 장입하였다. 탈이온수 및 아세토나이트릴에 의한 용리(2% 아세토나이트릴 0 내지 5분; 선형 구배 2% 아세토나이트릴 내지 50% 아세토나이트릴 5 내지 23분)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Rt = 11분)을 얻었다. 진공 하에 용매를 증발시켜 목적으로 하는 생성물 288㎎을 밝은 갈색 오일로서 얻었다. 상부의 CH3CN층은 하부의 갈색층보다 덜 깨끗하였지만 추가의 생성물을 다음과 같이 상부층으로부터 단리할 수 있었다. 용매를 진공 하에 제거하고, 잔사를 CH3CN, H2O 및 HCOOH(10:10:1)으로 추출하여, 250×21㎜ 10 마이크론 C18 칼럼 상에 장입하였다. 이 칼럼을 CH3CN/H2O로 용리시켜(2% CH3CN, 0 내지 5분; 선형 구배 2% 내지 28% CH3CN, 5 내지 20분; 28 내지 90% CH3CN, 20-20:30분; 90% CH3CN, 20:30 내지 25:30분; 90 내지 2% CH3CN, 25:30 내지 26분; 2% CH3CN, 26 내지 28분) IV를 추가로 79㎎ 수득하였다. 1H NMR (400 Hz, D2O): δ 8.55 (d, J = 6.0 Hz, 1H), 8.31 (t, J = 8.0 Hz, 1H), 8.16 (d, J = 8.4 Hz, 1H), 7.71 (t, J = 7.2 Hz, 1H), 3.83 (dd, J1 = 9.2 Hz, J2 = 5.2 Hz, 1H), 3.01-2.87 (m, 2H), 2.34-2.21 (m, 2H); 13C NMR (100 Hz, D2O): 170.8, 155.8, 145.6, 142.7, 125.8, 124.1, 64.0, 35.9, 27.3. MS (ESI) m/z 307.7 (M-1).
실시예 3. 반응에 염기의 첨가와 함께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의 대안적인 합성.
Figure 112013054138975-pct00019
4-(2-피리딜다이티오)부탄산(2a)(102㎎, 0.45 m㏖)을 1,2-다이클로로에탄(2×6㎖)과 공증발시키고, 1,2-다이클로로에탄 6㎖ 중에 재용해시킨 후, 미리 예열된 75℃ 오일욕 상에 배치하였다. 클로로설폰산(100㎕, 1.34 m㏖) 및 N-에틸-N-아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117㎕, 0.67 m㏖)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75℃에서 15분 동안 교반 하에 가열하였다. 클로로설폰산(80㎕, 1.19 m㏖)의 또 다른 분획 및 DIPEA(63㎕, 0.36 m㏖)를 이어서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추가로 20분 동안 75℃에서 가열하였다. HPLC에 의한 분석은 반응이 완결된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 혼합물을 빙욕 중에서 냉각시키고, 농축 후 수성 Na2CO3를 가하여 pH 11로 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나서, H3PO4로 pH 7.0으로 중화 후, 농축시키고, 100% 물(0.5% 아세트산) 내지 75% 물(0.5% 아세트산)/25%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C-18 칼럼 상에서 정제시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67㎎, 0.217 m㏖, 수율: 48.7%)을 수득하였다. 1H NMR (D2O) 8.41 (dd, 1H, J = 1.5, 4.9 Hz), 7.91~7.86 (m, 2H), 7.33~7.30 (m, 1H), 3.75 (dd, 1H, J = 5.1, 9.6), 3.00~2.94 (m, 1H), 2.86~2.79 (m, 1H), 2.33~2.26 (m, 2H); 13C NMR 176.60, 160.28, 150.60, 140.27, 123.39, 122.92, 69.07, 37.56, 29.45; ESI MS m/z- 307.8 (M-H).
실시예 4.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V)(설포-SPDB)의 제조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0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탄산(IV)(245㎎, 0.792 m㏖), EDC-HCl(345㎎, 2.222 m㏖) 및 1-하이드록시피롤리딘-2,5-다이온(120㎎, 1.043 m㏖)을 DMA(8㎖) 중에서 하룻밤 교반하고 증발시켰다. 이 생성물을 MeOH/CH2Cl2/HOAc(1:10:0.5% 내지 1:5:0.5%)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켜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V)(설포-SPDB)를 수득하였다(258㎎, 0.635 m㏖, 수율: 80%).
실시예 5.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 나트륨염(Vb)(설포-SPDB Na염)의 제조.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1
냉 DMA(0.5㎖) 중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생성된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24㎎, 0.059 m㏖)의 용액에 수성 NaH2PO4(1.0M, 2㎖, pH 5.5)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얼음 상에서 2 내지 3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 하에 증발시켰다. 얻어진 고체를 3㎖의 DMA(3㎖) 중에 현탁시키고, 100% DMA로 용리시키는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분획을 풀링시키고(pooled), 증발시킨 후, MeOH/EtOH/톨루엔/헥산으로 결정화시켜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의 나트륨염(18㎎, 0.042 m㏖, 수율: 71.2%)을 수득하였다. 1H NMR (DMF-d7) 8.49 (d, 1H, J = 4.0Hz), 7.88 (m, 2H), 7.27 (m, 1H), 4.05 (dd, 1H, J = 5.0, 9.4 Hz), 3.17 ~ 3.08 (m, 2H), 2.92 (s, 4H), 2.56 (m, 1H), 2.46 (m, 1H); 13C NMR 171.16, 166.61, 160.65, 150.66, 138.81, 122.14, 120.37, 62.61, 36.63, 26.60; ESI MS m/z- 404.7 (M -Na).
실시예 6. N-숙신이미딜 4-(2'-피리딜다이티오)-2-설포부타노에이트(V)(설포-SPDB)의 제조
1. 2-설포-PBA의 합성:
75℃에서 DCE(1,2-다이클로로에탄) 15㎖ 중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산(725㎎, 3.16 m㏖) 및 1,2-다이(피리딘-2-일)다이설판(700㎎, 3.18 m㏖)의 용액에 클로로황산(300㎕, 4.51 m㏖)을 첨가하였다. 75℃에서 20분 동안 교반 후, 클로로황산(300㎕, 4.51 m㏖)의 다른 부분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75℃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나서, 클로로황산(200㎕, 3.0 m㏖)의 또 다른 부분을 첨가하였다. 재차 25분 후, 클로로황산(200㎕, 3.0 m㏖)의 최종 부분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더욱 2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빙욕에서 즉시 냉각시키고, 1M NaOH로 pH ~7로 증화시키고 나서, EtOAc/헥산(1:1)으로 희석 후, 분액시키고, 유기층을 순수한 물(3 ×25㎖)로 세척하는 한편, 각 생성된 수층을 EtOAc/헥산(1:1, 35㎖)로 세척하였다. 수층들을 합하여 HCl/HOAc로 pH 3 내지 4로 산성화시키고 나서, 10㎖로 농축시키고, MeCN(100㎖)으로 희석시킨 후, 1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혹은 신속하게 교반)하고, 여과 후 얻어진 펠릿을 물/MeCN(1:10)로 세척하였다. 이 용액을 이어서 농축시키고, 물/MeCN/HOAc(1:10:0.01)로 용리시키는 SiO2 카트리지(40g) 상에서 정제시켰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풀링되 분획에, DMF(~5㎖)를 첨가하고, 건조 상태로 증발시켜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2-설포부탄산(295㎎, 0.954 m㏖, 수율: 30.2%)을 수득하였다.
2. 설포-SPDB 링커의 합성:
DMA(8㎖) 중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2-설포부탄산(0.292㎎, 0.944 μ㏖)의 용액에 1-하이드록시피롤리딘-2,5-다이온(0.120㎎, 1.043 μ㏖) 및 N1-((에틸이미노)메틸렌)-N3,N3-다이메틸프로판-1,3-다이아민(EDC, 0.647㎎, 4.17 μ㏖)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교반하고, 증발시키고 나서, 아세톤/DCM/HOAc(4:1:0.01)의 혼합물로 용리시키는 SiO2 카트리지(40g) 상에서 정제시켰다. 생성물 함유 분획을 풀링시키고, 증발시킨 후 EtOH/Tol/헥산으로 고형화시켜 1-(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옥시)-1-옥소-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2-설폰산(설포-SPDB, 0.270㎎, 0.664 μ㏖, 수율: 70.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2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산(102㎎, 0.445 m㏖)을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1,2-다이클로로에탄(2×6㎖)과 공증발시키고, 1,2-다이클로로에탄 6㎖ 중에 재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이어서 예열된 오일욕(75 내지 80℃) 중에 배치하였다. 이 용액에, 설푸로클로리드산(100㎕, ~ 3 당량)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5 내지 8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생성물을 석출시키기 위하여) DIPEA(117㎕, 1.5 당량)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설푸로클로리드산의 다른 부분(40㎕, 1.33 당량)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 15분 동안 교반하고 나서 DIPEA(63㎕, 0.81 당량)의 첨가 후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설푸로클로리드산의 제3부분(40㎕, 1.33 당량)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15 내지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오일욕으로부터 제거하고, (빙욕 상에서) 냉각시켰다. 수성 NaOH(0.5M) 또는 농축된 Na2CO3를 첨가하여 pH ~12로 상승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상을 분리시켜, 물(2×10㎖)로 세척 후 H3PO4로 pH 7로 중화시켰다. 이어서 유기상을 ~ 5㎖로 농축시키고, HCl로 pH ~4로 산성화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을 100% 물(0.5% HAc 함유) 내지 75% 물(0.5% HAc 함유)/25%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C-18 칼럼을 통과시킴으로써 정제시켰다. 목적으로 하는 생성물(5 내지 10%의 MeOH에서 용리됨)을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시키고, 증발시켜,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2-설포부탄산(67㎎, 0.217 m㏖, 수율: 48.7%)을 수득하였다. 1H NMR (D2O) 8.41 (dd, 1H, J = 1.5, 4.9 Hz), 7.89 (m, 2H), 7.31 (m, 1H), 3.75 (dd, 1H, J = 5.1, 9.6), 2.97 (m, 1H), 2.82 (m, 1H), 2.28 (m, 2H); 13C NMR 176.60, 160.28, 150.60, 140.27, 123.39, 122.92, 69.07, 37.56, 29.45; ESI MS m/z- 307.8(M-H).
대안적인 절차: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산(106㎎, 0.462 m㏖)을 1,2-다이클로로에탄(2×5㎖)으로 공증발시키고, 1,2-다이클로로에탄 5㎖ 중에 용해시키고 나서, 예열된 75℃ 오일욕에 배치하였다. 이 용액에, 설푸로클로리드산(154㎕, 2.311 m㏖) 및 N-에틸-N-아이소프로필프로판-2-아민(161㎕, 0.924 m㏖)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45분 동안 미리 예열된 75℃ 오일욕 속에 배치하였다. 설푸로클로리드산(45㎕, 0.675 m㏖)의 나머지 부분을 첨가하고, 이 반응물을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HPLC에 의해 모니터링됨) 1시간 이상 동안 75℃에서 가열하였다. 이 혼합물에 pH 11이 될 때까지 농축된 Na2CO3를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H3PO4로 pH 7.5로 중화시키고 나서 농축시켰다. 조질의 생성물은 100% 물(0.5% HAc) 내지 80% 물(0.5% HAc)/20% MeOH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C-18 칼럼 상에서 HPLC에 의해 정제시켜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2-설포부탄산(63㎎, 0.204 m㏖, 수율: 44.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3
4-(피리딘-2-일다이설파닐)-2-설포부탄산(245㎎, 0.792 m㏖), N1-((에틸이미노)메틸렌)-N3,N3-다이메틸프로판-1,3-다이아민(345㎎, 2.222 m㏖) 및 1-하이드록시피롤리딘-2,5-다이온(120㎎, 1.043 m㏖)의 혼합물을 DMA 8㎖ 중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증발시키고, 잔사를, 용리용 용매로서 0.5%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MeOH/CH2Cl2(1:10 내지 1:5)를 이용하는 실리카 칼럼 상에서 정제시켜, 1-(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옥시)-1-옥소-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2-설폰산(258㎎, 0.635 m㏖, 수율: 8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4
SiO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MeOH/CH2Cl2/HAc 1:10:0.5% 내지 1:5:0.5%로 용리됨)로부터 얻어진 1-(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옥시)-1-옥소-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2-설폰산(24㎎, 0.059 m㏖)에 차가운 DMA 0.5㎖ 및 1.0M NaH2PO4 2㎖(pH 5.5)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빙욕 상에서 2 내지 3분 교반하고 오일 펌프를 이용해서 증발시켰다(열은 가하지 않고, 자유 건조 스타일). 얻어진 고체를 DMA 3㎖ 중에 현탁시키고, 100% DMA로 용리시키는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시켰다. 분획들을 풀링시키고, 증발시킨 후, MeOH/EtOH/톨루엔/헥산으로 결정화시켜, 나트륨 1-(2,5-다이옥소피롤리딘-1-일옥시)-1-옥소-4-(피리딘-2-일다이설파닐)부탄-2-설포네이트(18㎎, 0.042 m㏖, 수율: 71.2%)를 수득하였다. 1H NMR (DMF-d7) 8.49 (d, 1H, J = 4.0Hz), 7.88 (m, 2H), 7.27 (m, 1H), 4.05 (dd, 1H, J = 5.0, 9.4 Hz), 3.17 ~ 3.08 (m, 2H), 2.92 (s, 4H), 2.56 (m, 1H), 2.46 (m, 1H); 13C NMR 171.16, 166.61, 160.65, 150.66, 138.81, 122.14, 120.37, 62.61, 36.63, 26.60; ESI MS m/z- 404.7 (M -Na);
실시예 8. 기기 및 방법
1. X-선 분말 회절(XRPD)
X-선 분말 회절 패턴은 Cu Kα 방사선(40㎸, 40㎃), θ-2θ 측각기, V4의 발산 및 수용 슬릿, Ge 모토크로메이터 및 린아이 검출기(Lynxeye detector)를 이용해서 브루커 D8 회절계(Bruker D8 diffractometer) 상에서 수집되었다. 기기는 공인된 커런덤 표준(certified Corundum standard)(NIST 1976)을 이용해서 성능 체크된다. 데이터 수집에 이용된 소프트웨어는 디프랙 플러스(Diffrac Plus) XRD 코멘더(Commander) v2.5.0였고, 데이터는 디프랙 플러스(Diffrac Plus) EVA v11.0.0.2 또는 v13.0.0.2를 이용해서 분석되고 제시되었다.
샘플은, 입수된 바와 같은 분말을 이용해서 평판 시편으로서 분위기 조건 하에서 운용되었다. 이 샘플은 연마된 제로-배경(510) 실리콘 웨이퍼 내로 커트된 공동 내로 알맞게 충전되었다. 이 샘플은 분석 동안 그의 자체의 평면에서 회전되었다. 데이터 수집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5
각도 범위: 2 내지 42 °2θ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6
스텝 크기: 0.05°2θ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7
수집 시간: 0.5 초/스텝
결정체 형태 3에 대해서, 각도 범위는 3 내지 30°2θ였다.
2. 시차 주사 열량측정법(DSC)
DSC 데이터는 34 위치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메틀러(Mettler) DSC 823e 상에서 수집되었다. 기기는 공인된 인듐을 이용해서 에너지 및 온도에 대해서 교정되었다. 전형적으로 0.5 내지 2.0㎎의 각 샘플이, 핀-홀 형성된 알루미늄 팬에서, 25℃에서 240℃까지 10℃/분으로 가열되었다. 50 ㎖/분에서의 질소 퍼지가 샘플에 대해서 유지되었다. 기기 제어 및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는 STARe v9.20이었다.
3. 열-중량 분석(TGA)
TGA 데이터는 34 위치 오토샘플러가 장착된 메틀러(Mettler) TGA/SDTA 851e 상에서 수집되었다. 기기는 공인된 인듐을 이용해서 온도 교정되었다. 전형적으로 각 샘플 5 내지 10㎎이 칭량전 알루미늄 도가니 상에 장입되어, 분위기 온도에서 350℃까지 10℃/분에서 가열되었다. 50 ㎖/분에서의 질소 퍼지는 샘플에 대해서 유지되었다. 기기 제어 및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는 STARe v9.20이었다.
4. 중량측정 증기 흡착(Gravimetric Vapour Sorption: GVS)
흡착 등온선은 DVS 고유 제어 소프트웨어(Intrinsic Control software) vl.0.0.30에 의해 제어되는 SMS DVS 고유 수분 흡착 분석기(Intrinsic moisture sorption analyser)를 이용해서 얻었다. 샘플 온도는 기기 제어에 의해 25℃엥서 유지되었다. 습도는 200 ㎖/분의 총 유량으로 건조 및 습윤 질소의 기류를 혼합하여 제어되었다. 상대 습도는 샘플 부근에 위치된 교정된 로트로닉 프로브(Rotronic probe)(다이나믹 범위 1.0 내지 100%RH)에 의해 측정되었다. %RH의 함수로서의 샘플의 중량 변화(질량 완화)는 마이크로밸런스(정확도 ± 0.005㎎)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었다.
전형적으로 샘플 10㎎을 분위기 조건 하에 무게를 공제한 메쉬 스테인레스 강제 바스킷에 배치하였다. 샘플은 40%RH 및 25℃(전형적인 실온)에서 장입 및 비장입되었다. 수분 흡착 등온선 측정은 이하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행되었다(2회 스캔이 1 완전 사이클을 부여함). 표준 등온선 측정은 0 내지 90%RH 범위에 걸쳐서 10%RH 간격에서 25℃에서 수행되었다. 데이터 분석은 DVS 분석 슈트(Analysis Suite) v6.0.0.7을 이용해서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착수되었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8
샘플은 등온선의 완성 후 회수되었고, XRPD에 의해 재분석되었다.
5.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
데이터는 IC 넷(Net) 소프트웨어 v2.3을 이용해서 메트롬 861 애드밴스트 컴팩트 IC(Metrohm 861 Advanced Compact IC)(음이온용) 상에서 수집하였다. 정확하게 칭량된 샘플을 적절한 용해 용액 중에 스톡 용액으로서 제조하고, 테스트 전에 적절하게 희석시켰다. 정량화는 분석 중인 이온의 기지의 농도의 표준 용액과의 비교에 의해 달성되었다.
Figure 112013054138975-pct00029
실시예 9. 결정체 형태 1, 2a, 2b 및 3에 대한 결정화 절차
1. 결정체 형태 1
설포-SPDB의 DIPEA 염(설포-SPDB
Figure 112013054138975-pct00030
0.6DIPEA) 531㎎을 아세톤/H2O(95/5 v/v) 1㎖ 중에 슬러리화시키고, 약 -20℃에서 16시간 동안 자기 교반하였다. 상기 샘플을 0.45㎛ 왓트만 오토컵(Whatman Autocup) 상에서 여과시키고, 아세톤 2㎖로 세척하였다. 이 샘플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칭량하였다. 결정체 형태 1을 113㎎ 회수하였다(수율: 35%).
2. 결정체 형태 2a
a) 양이온 교환 매체를 이용해서 설포-SPDB DIPEA 염으로부터 DIPEA를 제거.
약 -20℃에서 아세톤 20㎖ 중 설포-SPDB의 DIPEA 염(설포-SPDB
Figure 112013054138975-pct00031
0.6DIPEA) 5.92g의 결정화로부터 1.09g의 결정체 형태 1이 얻어졌다. 결정체 형태 1을 여과시키고(수율: 29%), 이 용액을 조심해서 회수하였다(용액 1).
용액 1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비정질 설포-SPDB DIPEA 염 4.84g을 얻었다. 이 염을 아세토나이트릴 50㎖ 중에 용해시키고, 아세토나이트릴 약 220㎖와 함께 앰버리스트(등록상표) 15(Sigma-Aldrich, 216380 - 건조, 수분 ≤ 1.5%, 8당량) 13.7g 상에서 용리시켰다(용액 2). 얻어진 수지는 초기에 세척하고 아세토나이트릴과 물 속에서 평형화시키고 나서 사용 전에 아세토나이트릴로 평형화시켰다.
용액 2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비정질 설포-SPDB 1.37g을 얻었다(수율: 37%).
b) 결정화 절차
비정질 설포-SPDB(1.37g)를 아세톤 10㎖ 중에 희석시키고, 21㎎의 결정체 형태 1로 파종하고(seeded) -20℃에서 3시간 동안 자기 교반 하에 배치하였다. 상기 샘플을 0.45㎛ 왓트만 오토컵 상에서 여과시키고, 바이알을 아세톤 150㎖ 및 TBME 150㎖로 세척하였다. 이 샘플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칭량하였다. 결정체 형태 2a를 722㎎ 회수하였다(수율: 64%).
3. 결정체 형태 3
공급된 설포-SPDB의 DIPEA 염(설포-SPDB
Figure 112013054138975-pct00032
0.6DIPEA) 79㎎을 아세톤/H2O(90/10 v/v) 200㎕ 중에 슬러리화시켰다. 이 슬러리에 실온에서 아세톤/H2O(90/10) v/v(1.0 당량) 중 HCl의 스톡 용액 110㎕를 첨가하였다. 이 샘플은 밝은 슬러리로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20℃에서 16시간 동안 자기 교반 하에 배치하였다. 상기 샘플을 0.45㎛ 왓트만 오토컵 상에서 여과시키고, 아세톤 1㎖로 세척하였다. 이 샘플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칭량하였다. 결정체 형태 3을 43㎎ 회수하였다(수율: 84%).
실시예 10. 결정체 형태 3으로부터 결정체 형태 2b의 제조
결정체 형태 2b는 또한 건조제로서 P2O5를 이용해서 0%RH에서 탈수소화에 의해 또는 3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하에 건조시킴으로써 결정체 형태 3으로부터 얻어졌다.

Claims (104)

  1.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II]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0

    [화학식 II]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1

    식 중,
    Q는 알킬 다이설파이드, 페닐 다이설파이드,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2,4-다이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및 나이트로피리딜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설파이드기를 나타내고,
    E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을 나타내며;
    F는 존재하지 않으며;
    G는 존재하지 않으며,
    R1은 -H,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V]
    Figure 112017117705665-pct00102

    [화학식 2a]
    Figure 112017117705665-pct00103
    .
  6.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4

    [화학식 II]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5

    [화학식 III]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6

    식 중,
    Q는 알킬 다이설파이드, 페닐 다이설파이드,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2,4-다이나이트로페닐 다이설파이드, 피리딜 다이설파이드 및 나이트로피리딜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다이설파이드기를 나타내고,
    E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을 나타내며;
    F는 존재하지 않고;
    G는 존재하지 않으며,
    C(=O)L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에스터, 나이트로페닐 에스터, 테트라플루오로 페닐 에스터, 펜타플루오로페닐 에스터, 티오피리딜 에스터 및 티오나이트로페닐 에스터로부터 선택되는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를 나타내고,
    R1은 -H,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인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상기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 간의 반응은 커플링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및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에스터는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터인 것인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F는 존재하지 않으며 E는 -CH2-CH2-인 것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와 R1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원자와 함께 사이클로헥실기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15. 하기 화학식 V 또는 그의 염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V]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7

    [화학식 2a]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8

    [화학식 IV]
    Figure 112018048624186-pct00109
    .
  16. 제5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인 것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인 것인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 반응은 PySSPy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상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간의 반응은 커플링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및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간의 반응은 염기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클로로설폰산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EDC의 존재 하에,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상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간의 반응은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DIPEA)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정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실리카 칼럼을 이용해서 정제되는 것인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정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칼럼 또는 결정화에 의해 정제되는 것인 방법.
  28. 하기 화학식 V 또는 그의 염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염기의 존재 하에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산의 존재 하에서 결정화에 의해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V]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0

    [화학식 2a]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1

    [화학식 IV]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2
    .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또는 삼산화황인 것인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인 것인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 반응은 PySSPy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PySSPy은 약 0.5 당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과 상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간의 반응은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N,N'-다이아이소프로필 카보다이이미드(DIC) 및 1-에톡시카보닐-2-에톡시-1,2-다이하이드로퀴놀린(EEDQ)으로부터 선택되는 커플링제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인 것인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인 것인 방법.
  36. 제28항에 있어서,
    a)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클로로설폰산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의 존재 하에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산의 존재 하에서 결정화에 의해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정제하여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2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HCl인 것인 방법.
  38. 제2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는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물 내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39. 제2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는 아세톤 및 물의 혼합물 내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40. 제28항에 있어서,
    a) 하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1,2-다이(피리딘-2-일)다이설판(PySSPy)와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화학식 1a]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3

    b) 상기 화학식 2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클로로설폰산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1-에틸-3-(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다이이미드(EDC)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의 존재 하에서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아세톤과 물의 혼합물의 존재 하에서 결정화에 의해 상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의 염을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과 수산화나트륨을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4
  42.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4의 락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황-담지 친핵체와 반응시키고, 선택적으로 이어서 탈보호를 행하여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5

    [화학식 4]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6

    [화학식 5]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7

    [화학식 6]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8

    식 중,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이고;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고,
    n은 0, 1, 2, 3 또는 4임.
  43.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4의 락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5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황-담지 친핵체와 반응시키고, 선택적으로 이어서 탈보호를 행하여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a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a]
    Figure 112018048624186-pct00119

    [화학식 4]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0

    [화학식 5]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1

    [화학식 6]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2

    [화학식 3]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3

    식 중,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이고;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며;
    n은 0, 1, 2, 3 또는 4이며;
    C(=O)L은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임.
  44. 제42항 및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a, Rb, Rc, Rd 및 Re는, 모두 H인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황-담지 친핵체는 황화수소 또는 그의 염, 티오유레아, 티오아세트산 및 2-(트라이메틸실릴)에탄티올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 4,4'-다이티오다이피리딘, 2,2'-다이티오비스(5-피리딘), 4-나이트로페닐다이설파이드, S-메틸 메탄티오설포네이트 및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7.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7의 티오락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하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4

    [화학식 7]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5

    [화학식 8]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6

    [화학식 6]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7

    식 중,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이고;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고;
    n은 0, 1, 2, 3 또는 4임.
  48.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하기 화학식 7의 티오아세톤을 설폰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8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으로 가수분해시키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다이설파이드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Ia]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8

    [화학식 7]
    Figure 112018048624186-pct00129

    [화학식 8]
    Figure 112018048624186-pct00130

    [화학식 6]
    Figure 112018048624186-pct00131

    [화학식 3]
    Figure 112018048624186-pct00132

    식 중,
    Q'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 페닐, 오쏘 혹은 파라-나이트로페닐, 다이나이트로페닐, 피리딜 또는 나이트로피리딜이고;
    Ra, Rb, Rc, Rd 및 Re는, 각각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지니는 직쇄, 분지쇄 혹은 환식 알킬이며;
    n은 0, 1, 2, 3 또는 4이며;
    C(=O)L은 반응성 에스터 또는 티오에스터기임.
  49. 제47항 및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a, Rb, Rc, Rd 및 Re는, 모두 H인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설폰화제는 클로로설폰산 및 삼산화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51.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설파이드 화합물은 2,2'-다이티오다이피리딘, 4,4'-다이티오다이피리딘, 2,2'-다이티오비스(5-피리딘), 4-나이트로페닐다이설파이드, S-메틸 메탄티오설포네이트 및 다이메틸 다이설파이드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2. 제43항 및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 또는 머캅토 화합물은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N-하이드록시 설포-숙신이미드, 테트라플루오로페놀, 나이트로페놀, 다이나이트로페놀 및 티오피리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KR1020137015769A 2010-12-09 2011-12-08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 KR1019595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135710P 2010-12-09 2010-12-09
US61/421,357 2010-12-09
PCT/US2011/063944 WO2012078868A1 (en) 2010-12-09 2011-12-08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charged crosslink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336A KR20130124336A (ko) 2013-11-13
KR101959578B1 true KR101959578B1 (ko) 2019-03-18

Family

ID=4620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769A KR101959578B1 (ko) 2010-12-09 2011-12-08 하전된 가교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5) US8598362B2 (ko)
EP (2) EP2648510B1 (ko)
KR (1) KR101959578B1 (ko)
CN (2) CN103260406B (ko)
CY (1) CY1121055T1 (ko)
DK (1) DK3153504T3 (ko)
ES (2) ES2702926T3 (ko)
HR (1) HRP20182026T1 (ko)
HU (1) HUE041699T2 (ko)
IL (3) IL226795A (ko)
LT (1) LT3153504T (ko)
PL (1) PL3153504T3 (ko)
PT (1) PT3153504T (ko)
RS (1) RS58033B1 (ko)
SG (3) SG10202005580RA (ko)
SI (1) SI3153504T1 (ko)
TR (1) TR201819440T4 (ko)
WO (1) WO2012078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3153504T (lt) 2010-12-09 2019-02-11 Immunogen, Inc. Įkrautų skersinių jungčių agentų gavimo būdas
JP6026305B2 (ja) * 2013-02-04 2016-1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標識抗体の製造方法
WO2014210267A1 (en) 2013-06-28 2014-12-31 Immunogen, Inc. Purification of intermediat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heterobifunctional linkers
US10208125B2 (en) 2013-07-15 2019-02-19 University of Pittsburgh—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Anti-mucin 1 binding agents and uses thereof
US10464955B2 (en) 2014-02-28 2019-11-05 Hangzhou Dac Biotech Co., Ltd. Charged linkers and their uses for conjugation
CN104892748B (zh) * 2014-03-04 2018-12-21 深圳翰宇药业股份有限公司 人类松弛素-2衍生物以及由其制备人类松弛素-2的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713A1 (en) * 2008-04-30 2009-11-05 Immunogen Inc. Cross-linkers and their us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6422A (en) 1930-12-29 1933-09-12 Fred C Armbruster Pipe joint
DE800410C (de) 1948-10-02 1950-11-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ctonsulfonsaeuren
US2822387A (en) * 1955-12-07 1958-02-04 Universal Oil Prod Co Method of producing sulfonated alkanes
US3418290A (en) * 1965-10-18 1968-12-24 Du Pont Sulfonated caprolactones and polymerization with 2,2-dialkyl-3-propiolactones
US4244885A (en) * 1977-12-08 1981-01-1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α-Substituted-3-(halomethyl)-4-hydroxybenzeneacetic acids
US4563304A (en) 1981-02-27 1986-01-07 Pharmacia Fine Chemicals Ab Pyridine compounds modifying proteins, polypeptides or polysaccharides
US5208020A (en) 1989-10-25 1993-05-04 Immunogen Inc. Cytotoxic agents comprising maytansinoids and their therapeutic use
ES2149768T3 (es) 1992-03-25 2000-11-16 Immunogen Inc Conjugados de agentes enlazantes de celulas derivados de cc-1065.
CA2130723C (en) * 1993-09-03 2006-01-31 Wilhelm Quittmann Process for preparing y-mercaptocarboxylic acid derivatives
DE19609338A1 (de) * 1996-03-11 1997-09-18 Hoechst Ag Benzothioxanthen-Farbstoff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60032633T2 (de) 1999-11-24 2007-10-04 Immunogen Inc., Cambridge Zytotoxische mittel, die taxane enthalten und ihre therapeutische anwendung
US6716821B2 (en) 2001-12-21 2004-04-06 Immunogen Inc. Cytotoxic agents bearing a reactive polyethylene glycol moiety, cytotoxic conjugates comprising polyethylene glycol linking group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756397B2 (en) 2002-04-05 2004-06-29 Immunogen, Inc. Prodrugs of CC-1065 analogs
AU2003225305A1 (en) 2002-05-08 2003-11-1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idine-based thyroid receptor ligands
US6913748B2 (en) 2002-08-16 2005-07-05 Immunogen, Inc. Cross-linkers with high reactivity and solubility and their use in the preparation of conjugates for targeted delivery of small molecule drugs
US7276497B2 (en) 2003-05-20 2007-10-02 Immunogen Inc. Cytotoxic agents comprising new maytansinoids
EP1688415A1 (en) 2004-12-07 2006-08-09 Aventis Pharma S.A. Cytotoxic agents comprising new C-2 modified taxanes
AU2009243009B2 (en) 2008-04-30 2014-09-11 Immunogen, Inc Potent conjugates and hydrophilic linkers
SG10201706294VA (en) 2009-02-05 2017-09-28 Immunogen Inc Novel benzodiazepine derivatives
LT3153504T (lt) * 2010-12-09 2019-02-11 Immunogen, Inc. Įkrautų skersinių jungčių agentų gavimo būd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74713A1 (en) * 2008-04-30 2009-11-05 Immunogen Inc. Cross-linkers and their 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19440T4 (tr) 2019-01-21
SI3153504T1 (sl) 2019-03-29
EP3153504B1 (en) 2018-09-26
US9663492B2 (en) 2017-05-30
SG190214A1 (en) 2013-06-28
CN107011253A (zh) 2017-08-04
RS58033B1 (sr) 2019-02-28
IL226795A (en) 2015-08-31
LT3153504T (lt) 2019-02-11
EP3153504A1 (en) 2017-04-12
US20120165537A1 (en) 2012-06-28
US20160272616A1 (en) 2016-09-22
US8598362B2 (en) 2013-12-03
CN107011253B (zh) 2021-01-15
SG10202005580RA (en) 2020-07-29
CN103260406A (zh) 2013-08-21
EP2648510A4 (en) 2014-05-07
PL3153504T3 (pl) 2019-04-30
ES2702926T3 (es) 2019-03-06
IL240200A (en) 2017-02-28
PT3153504T (pt) 2018-12-27
IL240201A0 (en) 2015-09-24
US20170327486A1 (en) 2017-11-16
US20150166482A1 (en) 2015-06-18
US20140135502A1 (en) 2014-05-15
HRP20182026T1 (hr) 2019-02-22
HUE041699T2 (hu) 2019-05-28
EP2648510B1 (en) 2016-08-31
ES2602118T3 (es) 2017-02-17
CY1121055T1 (el) 2019-12-11
WO2012078868A1 (en) 2012-06-14
SG10201509886YA (en) 2016-01-28
US10112925B2 (en) 2018-10-30
CN103260406B (zh) 2016-10-19
DK3153504T3 (en) 2019-01-07
US8921566B2 (en) 2014-12-30
KR20130124336A (ko) 2013-11-13
US9242936B2 (en) 2016-01-26
IL240200A0 (en) 2015-09-24
EP2648510A1 (en)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2925B2 (en)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charged crosslinkers
RU2709473C9 (ru) Тиофе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JP2021521163A (ja) 標的タンパク質分解化合物、その抗腫瘍応用、その中間体および中間体の応用
AU2021203148B2 (en) Methods of preparing cytotoxic benzodiazepine derivatives
TW201602084A (zh) 纖維母細胞生長因子受體抑制劑
RU2436790C2 (ru) Способы конвергентного синтеза производных калихимицина
EP2831059A1 (en) Processes for preparing tubulysin derivatives and conjugates thereof
RU2738844C2 (ru) Содержащее заместитель, представляющий собой бутан, в гетероциклическом кольце производное пиридона для лечения фиброза и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KR20100040301A (ko) Fmoc-기재 가수분해성 링커의 제조 방법
IT9022268A1 (it) Derivati della partricina
JP3723585B2 (ja) イミダゾールの含硫黄誘導体の新製造法及び得られる新中間体
JP6940480B2 (ja) Fgfr阻害剤の合成方法
KR101932824B1 (ko) 칼리케아미신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한, 중간체 및 방법
CN116437917A (zh) Atx抑制剂氘代衍生物及其应用
EA038176B1 (ru) Производные пирроло-[1,2,5]бензотиадиазеп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я, вызванного вирусом гепатита 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