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43B1 -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43B1
KR101959543B1 KR1020170155367A KR20170155367A KR101959543B1 KR 101959543 B1 KR101959543 B1 KR 101959543B1 KR 1020170155367 A KR1020170155367 A KR 1020170155367A KR 20170155367 A KR20170155367 A KR 20170155367A KR 101959543 B1 KR101959543 B1 KR 101959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aerial
game
laser
aerial vehicl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6Computing the motion of game characters with respect to other game characters, game objects or elements of the game scene, e.g. for simulating the behaviour of a group of virtual soldiers or for path f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10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 G05D1/101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 G05D1/104Simultaneous 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hree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involving a plurality of aircrafts, e.g. formation fl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1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 A63F2009/2454Output devices visual using illumination, e.g. with lamps with 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발생기와 감지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투기 조종사들의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게임화시킴으로써 게임 참가자들은 물론 관중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Air combat simulation system using UAVs and its application for games}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발생기와 감지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투기 조종사들의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게임화시킴으로써 게임 참가자들은 물론 관중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 비행체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무선전파 유도에 의해 비행과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뜻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주로 드론(Drone)이라는 명칭으로 불려진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애초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최근에는 고공영상·사진 촬영과 배달, 기상정보 수집, 농약 살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그 보급 또한 꾸준히 증가되어 무인 비행체를 취미로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로 인해, 최근에는 국제 드론 스포츠대회가 개최되는 등 드론이 하나의 스포츠 영역으로 발전되고 있는데, 기존의 드론을 이용한 시합들은 주어진 코스를 빠른 시간 내에 완주하는 방식의 속도 위주의 경주가 대부분이어서 그 방식이 제한적이고, 그에 따라 경기에 참가하는 사람들만이 즐기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525호에는 멀티콥터 형 비행로봇을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방법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IR 송수신부가 구비된 멀티콥터형 비행로봇과, 사용자 PC, 무선조작기 및 웹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오프라인 방식으로 비행전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들만이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 게임을 관람하는 관중들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요소가 결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IR 신호를 포함한 게임 아이템을 이용하여 전투를 수행하고, 전투 내용 및 결과를 사용자들만이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 사용하는 IR신호는 일반 빛처럼 퍼지기도 하고,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게임 외적인 환경이 많이 개입되어 전투 게임용 무기로는 사용이 부적절한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9525호(2015. 05. 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와 감지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고, 무인 비행체와 컨트롤 센터 및 몰입형 가시장비가 서로 연동되는 온라인 모드를 통해 실제 전투비행과 유사한 환경을 모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종사들이 공중전의 기본 기동을 숙지함과 동시에 상황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게임화시킴으로써 참가자들은 물론 관중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와 레이저 감지기 및 카메라가 설치되어 공중전을 수행하는 두 대 이상의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조종하기 위한 무선 조종기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시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인 비행체에는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고 무인 비행체들의 비행을 통제하는 컨트롤 센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인 비행체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회수를 세팅 및 관리하고 가시장비에 현시하는 전투제어부와, 상기 무선 조종기의 조종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제어부와, 상기 무인 비행체들의 전투 상황에 따라 LED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회수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잔존수명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 표시부는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의 피격 상태, 피격 회수 및 격추 상태를 표시하는 제3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감지기는 무인 비행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감지기의 수신감도 또는 설치 수에 따라 공중전의 난이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장비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몰입형 가시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3축 구동이 가능한 짐벌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짐벌은 몰입형 가시장비를 착용한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과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센터는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는 채점부와, 무인 비행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각 무인 비행체들에 초기 격발 가능 회수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무기관리부 및 공중전 유형을 설정하고,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중전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는 공중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공중전 게임 방법은,
게임에 참가할 무인 비행체들을 준비하는 게임준비단계와, 레이저 발생기와 레이저 감지기 및 카메라가 설치된 무인 비행체들이 공중전을 수행하는 게임진행단계 및 상기 게임진행단계에서 진행된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고 평가하는 게임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게임준비단계는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 수를 고려하여 게임모드를 설정하는 게임모드 설정단계와, 게임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난이도 설정단계 및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각 무인 비행체에서 사용될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와 레이저 감지기의 착용 개수를 설정하여 장착하는 무기장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진행단계는 준비된 무인 비행체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와, 무인 비행체들이 비행 도중 레이저를 이용하여 공중전을 수행하는 공중전 수행단계 및 공중전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체들의 상태를 LE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전투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게임평가단계는 게임진행단계 완료 후 각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여 표시하는 점수화 단계와, 게임에 참가한 무인 비행체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무인 비행체 점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에 의해 레이저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종사들이 공중전의 기본 기동을 숙지함과 동시에 상황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게임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전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체들의 실시간 상황을 관중들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의 흥미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무인 비행체와 컨트롤 센터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인 비행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무인 비행체와 컨트롤 센터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인 비행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레이저 발생기와 감지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투기 조종사들의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게임화시킴으로써 게임 참가자들은 물론 관중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이하, '공중전 시스템'이라 한다)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무인 비행체(100), 무선 조종기(200) 및 가시장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100)는 무선 조종기(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비행하여 훈련 또는 게임을 목적으로 하는 공중전을 포함한 전투비행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론 형태의 무인 비행체나 고정익 형태의 무인 비행체 등 모든 형태의 무인 비행체(100)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인 비행체(100)에는 레이저 발생기(110)와 레이저 감지기(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레이저 발생기(110)는 무인 비행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레이저를 이용하여 훈련 또는 게임에 참가한 다른 무인 비행체(100)를 공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레이저 감지기(120)는 무인 비행체(100)의 후방을 포함한 취약부에 주로 설치되어 다른 무인 비행체(100)의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생된 레이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인 비행체(100)는 레이저를 공격용 무기로 사용하여 공중전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레이저는 공중전을 관람하는 관중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저출력 레이저를 사용한다. 또한, 아주 짧은 펄스를 갖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레이저가 지속적으로 관중의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관중들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 감지기(120)의 경우, 무인 비행체(100)의 취약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레이저 감지기(120)의 설치 개수에 의해 공중전, 즉 훈련 또는 게임의 난이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무인 비행체(100)의 조종에 숙달된 사용자들의 경우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되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를 적게 하고, 무인 비행체(100)의 조종이 미숙한 사용자들의 경우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되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를 많게 하는 등,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되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를 달리 하여 훈련 또는 게임이 보다 박진감 있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공중전을 관람하는 관중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공중전의 난이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되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 이외에도 상기 레이저 감지기(120)의 감도 조절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무인 비행체(100)에는 카메라(132)가 구비되는데, 상기 카메라(13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후술할 가시장비(300)로 전송되어 현시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132)는 3축 구동, 즉 피칭, 요잉 및 롤링 구동이 가능한 짐벌(gimbal)(130) 상에 설치되는데, 상기 짐벌(130)은 후술할 가시장비(300)를 착용한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무인 비행체(100)에는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140)가 구비되는데, 상기 LED 표시부(140)는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표시부(142)와 제2표시부(144) 및 제3표시부(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표시부(142)는 다수 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무인 비행체(10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표시부(142)를 구성하는 LED의 점등을 통해 무인 비행체(100)에서 발사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표시함으로써 공중전을 관람하는 관중들이 제1표시부(142)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의 격발 가능 횟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제2표시부(144)는 공중전을 진행 중인 무인 비행체(100)의 잔존 수명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다수 개의 LED로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100)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즉, 공중전을 시작하기 전에는 상기 제2표시부(144)에 구비된 LED가 모두 켜진 상태에 있다가 전투 진행 도중 상대 무인 비행체(100)에 의해 피격되거나, 시간 경과에 따른 연료 또는 전력의 소모 등에 의해 LED가 순차적으로 꺼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제2표시부(144)에 구비된 LED가 모두 꺼지게 되면 해당 무인 비행체(100)가 더 이상 비행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제3표시부(146)는 공중전 진행 도중 무인 비행체(100)의 피격 상태, 피격 회수 및 격추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 개의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3표시부(146)는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100)가 피격될 경우 깜빡거림에 의해 피격되었음을 표시하고, 점등된 LED의 개수를 통해 피격된 횟수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준 횟수 이상으로 피격되어 격추상태가 될 경우 제3표시부(146)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해당 무인 비행체(100)가 격추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LED 표시부(140)에 의한 무인 비행체(100)의 구체적인 상태 표시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써, 상기와 대응되는 유사한 방식을 이용하여 LED 표시부(140)를 통해 게임에 참가 중인 무인 비행체(100)의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무인 비행체(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투제어부(160), 비행제어부(170), 표시제어부(180) 및 제1통신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먼저 상기 전투제어부(160)는 무인 비행체(100)의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후술하겠지만, 무인 비행체(100)들은 훈련 또는 게임 시작 전에 훈련 또는 게임에서 발사 가능한 레이저의 횟수를 설정하고, 공중전 도중에는 설정된 횟수만큼의 레이저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전투제어부(160)는 무인 비행체(100)에서 사용 가능한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세팅 및 관리하고 그 내용을 후술할 가시장비(300)에 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100)가 기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피격되어 피격된 것으로 간주될 경우 상기 전투제어부(160)는 피격된 무인 비행체(100)에서 더 이상의 레이저가 격발될 수 없도록 제어하게 된다.
다음, 상기 비행제어부(170)는 무선 조종기(200)를 이용한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행 동역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게임 중인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표시제어부(180)는 공중전 수행 도중 무인 비행체(100)의 상황에 따라 LED표시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3표시부(142,144,146)를 구성하는 다수 개의 LED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공중전을 관람하는 관중들이 무인 비행체(100)들의 실시간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표시제어부(180)에는 후술할 컨트롤센터(400)의 채점부(420) 역할을 하는 점수화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공중전 진행 도중 무인 비행체(100)들이 공격에 의해 획득하는 점수를 실시간으로 연산하여 제1통신부(150)를 통해 후술할 가시장비(300) 및 컨트롤센터(4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제1통신부(150)는 외부기기 즉, 후술할 가시장비(300) 및 컨트롤 센터(40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통신부(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세부적인 사항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무선 조종기(200)는 무인 비행체(100)들의 비행을 사용자가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무선 비행체(100)의 비행을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과 레이저 발생기(110)를 통해 레이저를 발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무선 조종기(200)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가시장비(300)는 훈련 또는 게임 참가자 즉, 무선 조종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된 카메라(13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평판형 가시장비(미도시) 또는 몰입형 가시장비(300)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평판형 가시장비는 훈련 또는 게임 참가자의 전방에 설치되어 참가자가 카메라(132)에 의해 촬영되는 비행 중인 무인 비행체(100)의 시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모니터 또는 스크린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몰입형 가시장비(300)는 훈련 또는 게임 참가자가 직접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고글 형태로 이루어져 참가자에게 보다 생생한 화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시장비(300)를 통해서는 레이저의 목표 범위 및 레이저 격발 가능 회수 등이 표시되어 참가자들이 게임에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시장비(30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은 공중전을 진행하는 경기장에 구비되는 대형스크린에 동시에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공중전을 관람하는 관중들의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몰입형 가시장비(300)에는 자이로 센서가 구비되어 몰입형 가시장비(300)를 착용한 훈련 또는 게임 참가자의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참가자의 헤드 트래킹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되는 카메라(132)가 설치되는 짐벌(130)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몰입형 가시장비(300)를 착용한 참가자의 헤드 트래킹에 의해 카메라(132)의 촬영 방향, 즉 시야가 변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은 무인 비행체(100)들의 공중전 결과 및 추가될 수 있는 임무 수행 결과를 점수화하고 공중전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체(100)들의 비행을 전반적으로 통제하는 컨트롤 센터(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컨트롤 센터(400)는 채점부(420), 제2통신부(410), 무기관리부(430) 및 공중전제어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채점부(420)는 무인 비행체(100)들이 훈련 또는 게임 도중 수행하는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점수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의 공중전 진행 결과 피격에 의해 격추되지 않은 무인 비행체(100)들이 존재할 경우 채점부(420)에서 점수화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승패를 결정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통신부(410)는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되는 제1통신부(150) 및 무선 조종기(200)와 가시장비(300)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통신부(410)는 훈련 또는 게임 도중 제1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되는 피격 내용이나 임무 수행 결과 등을 수신하여 채점부(420)에서 점수화할 수 있도록 하고, 비행 시작 전 제1통신부(15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에서 사용할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전송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다음, 상기 무기관리부(430)는 훈련 또는 게임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의 레벨에 따라 각 무인 비행체(100)들에게 전송할 격발 가능 횟수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무기관리부(430)를 통해 참가자들의 레벨에 따른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할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 또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공중전제어부(440)는 훈련 또는 게임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의 수에 따라 공중전 유형을 설정하고, 훈련 또는 게임 도중 제2통신부(410)를 통해 수신되는 무인 비행체(100)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중전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공중전제어부(440)는 참가자들의 수 또는 레벨에 따라 공중전 모드를 1 대 1 배틀, 1 대 다수 배틀, 다수 대 다수 배틀 중의 하나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공중전 도중 각 무인 비행체(100)들의 무장상태 및 파손상태 등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훈련 또는 게임 외적 요소에 의해 특정 무인 비행체(10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공중전을 중단시키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은 전술한 공중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중석이 구비된 경기장에서 공중전을 포함한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게임준비단계(S10), 게임진행단계(S20) 및 게임평가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게임준비단계(S10)는 게임에 참가할 무인 비행체(100)들을 준비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게임모드 설정단계(S12), 난이도 설정단계(S14) 및 무기장착단계(S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게임모드 설정단계(S12)는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 수를 고려하여 게임모드를 설정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컨트롤 센터(400)의 공중전제어부(440)에서는 게임 참가자 수에 따라 게임모드를 1 대 1 배틀 또는 다수 대 다수 배틀 중의 하나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중전제어부(440)에서는 게임 참가자의 레벨을 고려하여 게임모드를 1 대 다수 배틀로 설정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난이도 설정단계(S14)는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들의 수준, 즉 게임 참가자의 레벨을 고려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게임의 난이도 설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되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개수 또는 감도 조절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게임 참가자들의 레벨이 서로 다른 경우 무인 비행체(10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 조절을 통해 게임 난이도를 조절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 조절은 무인 비행체(100)의 전투제어부(160) 또는 컨트롤 센터(400)의 무기관리부(4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난이도 설정단계(S14)에서는 게임 참가자의 레벨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에 장착되는 레이저 발생기(11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 레이저 감지기(120)의 설치 개수 및 레이저 감지기(120)의 감도가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다음, 상기 무기장착단계(S16)는 난이도 설정단계(S14)에서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각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된 레이저 발생기(110)에서 사용될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 및/또는 레이저 감지기(120)의 착용 개수를 설정하여 장착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난이도 설정단계(S14)에서 결정된 난이도에 따라 게임에 참가하는 각 무인 비행체(100)들의 레이저 격발 가능 횟수, 레이저 감지기(120)의 설치 개수 및 레이저 감지기(120)의 감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공중전 시스템에 컨트롤 센터(40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된 전투제어부(160)에서 직접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세팅함으로써 난이도를 조절하고, 공중전 시스템에 컨트롤 센터(400)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컨트롤 센터(400)의 무기관리부(430)에서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세팅하여 제2통신부(41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게임준비단계(S10)는 카메라 설치단계(S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카메라 설치단계(S18)는 게임에 참여하는 무인 비행체(100)의 전방 단부 또는 하부에 3축 구동이 가능한 짐벌(130)을 설치하고, 상기 짐벌(130) 상에 카메라(132)를 설치하는 단계에 관한 것이다.
즉,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100)의 시야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게임 참가자는 가시장비(300)를 통해 확인하고 관중들은 경기장에 설치되는 대형 스크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인 비행체(100)의 전방 단부 또는 하부에 카메라(132)를 3축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보다 박진감 넘치는 게임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게임을 관람하는 관중들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 설치단계(S18)에서는 게임 참가자가 몰입형 가시장비(300)를 착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132)가 고정 설치되는 짐벌(130)이 게임 참가자의 헤드 트래킹에 의해 연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데, 이와 같은 연동 기술은 자이로 센서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미 로봇 등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게임진행단계(S20)는 게임준비단계(S10)에서 준비가 완료된 무인 비행체(100)들이 이륙하여 경기장 내에서 공중전을 포함한 게임을 수행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S22), 공중전 수행단계(S24) 및 전투 표시단계(S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S22)는 게임준비단계(S10)에서 준비된 무인 비행체(100)들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게임 참가자들은 게임 시작 전에 무인 비행체(100)의 비행 성능,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의 레이저 발사, 레이저 감지기(120)에서의 레이저 수신, 카메라(132) 촬영 영상의 전송 및 몰입형 가시장비(300)와 짐벌(130)의 연동 등을 일정시간 동안 테스트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S22)에서 테스트용으로 격발되는 레이저는 상기 상기 무기장착단계(S16)에서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공중전 수행단계(S24)는 테스트가 완료된 무인 비행체(100)들을 이용하여 공중전을 포함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게임 참가자들은 가시장비(300)를 통해 현시되는 무인 비행체(100)의 시야 영상을 보면서 무선 조종기(200)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100)를 조종하면서 공중전을 수행하게 된다.
즉, 게임 참가자들은 무선 조종기(200)를 이용한 무인 비행체(100)의 조종을 통해 상대방 무인 비행체(100)의 뒤쪽으로 이동하여 상대방 무인 비행체(100)에 설치된 레이저 감지기(120)를 조준하여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레이저를 발사하게 되고, 상대방 무인 비행체(100)는 발사된 레이저를 회피하는 방식에 의해 공중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게임이 진행되는 경기장에는 무인 비행체(100)들이 게임 도중 통과해야 하는 장애물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공중전 수행단계(S24)에서는 무인 비행체(100)들이 공중전을 수행하면서 장애물 통과 등의 추가 임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게임을 관람하는 관중들의 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중전 수행단계(S24)에서의 추가 임무 수행결과는 후술할 게임평가단계(S30)에서 반영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전투표시단계(S26)는 공중전 수행단계(S24) 도중 무인 비행체(100)들의 상태를 LED 표시부(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게임을 관람하는 관중들이 게임 진행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LED 표시부(140)를 통해서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 무인 비행체(100)의 수명 및 무인 비행체(100)의 피격상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된 LED 표시부(140)를 구성하는 제1표시부(142)에서는 레이저 발생기(110)로부터 발사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가 표시되는데, 관중들은 점등되는 LED의 개수를 통해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게임 참가자들은 전투제어부(160)에 의해 가시장비(300)에 현시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ED 표시부(140)의 제2표시부(144)에서는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100)들의 잔존 수명을 표시하게 되는데, 게임이 시작되면 제2표시부(144)에 구비된 다수의 LED가 모두 점등되고,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무인 비행체(100)가 레이저에 맞거나 연료가 소모되면 표시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기정해진 비율로 LED가 소등되어 게임을 관람하는 관중들이 실시간으로 무인 비행체(100)의 잔존 수명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인 비행체(100)들의 잔존수명은 가시장비(300)에도 현시되어 게임 참가자들은 가시장비(30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의 잔존수명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LED 표시부(140)의 제3표시부(146)에서는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100)들의 피격 상태, 피격 횟수 및 격추 상태가 표시되는데, 다수 개의 LED로 구성된 제3표시부(146)는 게임 초기에 소등된 상태로 있다가 무인 비행체(100)가 피격되는 경우 제3표시부(146)에 구비된 다수의 LED가 깜빡거림으로써 관중들이 피격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게임에서 무인 비행체(100)가 n번 피격당했을 때 격추된 것으로 설정된 경우 무인 비행체(100)가 1번 피격되면 제3표시부(146)를 구성하는 LED의 1/n이 점등되어 무인 비행체(100)의 피격 횟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인 비행체(100)가 n번 피격되어 격추되면 제3표시부(146)를 구성하는 LED들은 모두 점등되어 해당 무인 비행체(100)가 격추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게임진행단계(S20)는 온라인 모드와 오프라인 모드로 구분될 수 있는데, 먼저 온라인 모드는 무인 비행체(100)와 컨트롤 센터(400) 및 몰입형 가시장비(300)가 서로 연동되어 컨트롤 센터(400)에서 게임 중인 무인 비행체(100)들의 상태정보를 취합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게임에 참가한 참가자들의 몰입형 가시장비(300)로 전송함으로써 참가자들이 컨트롤 센터(400)를 통해 게임 진행상황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컨트롤 센터(400)의 제2통신부(410)는 게임 도중 각각의 무인 비행체(100)에 구비된 제1통신부(150)를 통해 무인 비행체(100)들의 위치, 무장 상태, 피격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고, 이를 각 참가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몰입형 가시장비(300)로 전송하여 현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참가자들이 몰입형 가시장비(300)를 통해 자신의 무인 비행체(100)의 상태정보는 물론 다른 무인 비행체(100)들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몰입형 가시장비(300)가 실제 유인 전투기에서 사용되는 HUD(Head Up Display)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온라인 모드에서는 게임 진행을 위한 장비가 보다 복잡하게 구성되지만, 게임 참가자들이 보다 현실감 있고 박진감 있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다음, 상기 오프라인 모드는 게임 참가자들이 육안 또는 몰입형이 아닌 일반 모니터와 같은 가시장비를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것으로, 참가자들이 느끼는 실재감은 온라인 모드보다 떨어질 수 있으나, 게임 진행을 위한 기본 장비가 단순하므로 보다 적은 비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다음, 상기 게임평가단계(S30)는 게임이 완료된 후 게임진행단계(S20)에서 진행된 무인 비행체(100)들의 공중전 수행 결과를 점수화하고 평가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점수화 단계(S32) 및 무인 비행체 점검단계(S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점수화 단계(S32)는 게임 종료 후 각 무인 비행체(100)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는 것으로, 컨트롤 센터(400)는 게임 도중 제1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되는 피격 내용이나 임무 수행 결과 등을 제2통신부(410)를 통해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내용은 채점부(420)로 전송되어 레이저의 격발 횟수, 피격 횟수, 장애물 등의 임무 수행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게임 결과를 점수화하고, 점수화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게임의 승패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 시스템이 컨트롤 센터(40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각의 무인 비행체(100)에서 게임 도중 레이저에 의해 피격된 횟수를 저장하고, 게임 종료 후 저장된 피격 횟수의 비교를 통해 승패를 결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무인 비행체 점검단계(S34)는 게임이 완료된 후 게임에 참가한 무인 비행체(100)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에 관한 것으로, 게임 진행을 위해 장착했던 장비들을 무인 비행체(100)로부터 분리하고 무인 비행체(100)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에 의해 레이저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100)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종사들이 공중전의 기본 기동을 숙지함과 동시에 상황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레벨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무인 비행체(100)를 이용한 게임을 쉽게 즐길 수 있음과 동시에, 공중전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체(100)들의 실시간 상황을 관중들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게임의 흥미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발생기와 감지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모사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투기 조종사들의 훈련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중전 결과를 채점하여 게임화시킴으로써 게임 참가자들은 물론 관중들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포츠 산업으로 발전될 수 있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무인 비행체 110 : 레이저 발생기
120 : 레이저 감지기 130 : 짐벌
132 : 카메라 140 : LED 표시부
142 : 제1표시부 144 : 제2표시부
146 : 제3표시부 150 : 제1통신부
160 : 전투제어부 170 : 비행제어부
180 : 표시제어부 200 : 무선 조종기
300 : (몰입형) 가시장비 400 : 컨트롤 센터
410 : 제2통신부 420 : 채점부
430 : 무기관리부 440 : 공중전제어부
S10 : 게임준비단계 S12 : 게임모드 설정단계
S14 : 난이도 설정단계 S16 : 무기장착단계
S18 : 카메라 설치단계 S20 : 게임진행단계
S22 :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 S24 : 공중전 수행단계
S26 : 전투표시단계 S30 : 게임평가단계
S32 : 점수화 단계 S34 : 무인 비행체 점검단계

Claims (13)

  1. 저출력 단펄스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발생기와 레이저 감지기 및 카메라가 설치되어 공중전을 수행하는 두 대 이상의 무인 비행체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조종하기 위한 무선 조종기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가시장비 및
    상기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고 무인 비행체들의 비행을 통제하는 컨트롤 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무인 비행체는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표시부와,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회수를 세팅 및 관리하고 가시장비에 현시하고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가 피격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무인 비행체에서 더 이상의 레이저가 격발될 수 없도록 제어하는 전투제어부와, 비행 동역학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무선 조종기의 조종에 의해 무인 비행체의 비행을 제어하는 비행제어부와, 상기 무인 비행체들의 전투 상황에 따라 LED 표시부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고 점수화모듈이 구비되어 공중전 진행 도중 무인 비행체들이 공격에 의해 획득하는 점수를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표시 제어부 및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LED 표시부는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회수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잔존수명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 및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의 피격 상태, 피격 회수 및 격추 상태를 표시하는 제3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이저 감지기는 무인 비행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감지기의 수신감도 또는 설치 개수에 따라 공중전의 난이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장비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몰입형 가시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3축 구동이 가능한 짐벌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짐벌은 몰입형 가시장비를 착용한 사용자의 헤드 트래킹(head tracking)과 연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센터는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점수화하는 채점부와, 무인 비행체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부와, 참가자들의 레벨에 따라 각 무인 비행체들의 초기 격발 가능 회수, 레이저 감지기의 개수 또는 레이저 감지기의 감도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무기관리부 및 참가자들의 수 또는 레벨에 따라 공중전 유형을 설정하고 공중전 도중 무인 비행체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중전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는 공중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10. 제 1항, 제 7항, 제 8항 및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임에 참가할 무인 비행체들을 준비하는 게임준비단계와,
    레이저 발생기와 레이저 감지기 및 카메라가 설치된 무인 비행체들이 공중전을 수행하는 게임진행단계 및
    상기 게임진행단계에서 진행된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컨트롤 센터의 채점부를 이용하여 점수화하고 평가하는 게임평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게임준비단계는 컨트롤 센터의 공중전제어부를 이용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참가자 수를 고려한 게임모드를 설정하는 게임모드 설정단계와,
    컨트롤 센터의 무기관리부를 이용하여 게임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의 수준에 따라 무인 비행체에 장착되는 레이저 감지기의 개수 또는 감도 조절을 하거나 무인 비행체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조절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난이도 설정단계와,
    설정된 난이도에 따라 각 무인 비행체에서 사용될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와 레이저 감지기의 착용 개수 또는 감도를 설정하여 무인 비행체에 구비된 전투제어부 또는 컨트롤 센터의 무기관리부에 의해 장착하는 무기장착단계 및
    게임에 참여하는 무인 비행체의 전방 단부 또는 하부에 3축 구동이 가능한 짐벌을 설치하고, 상기 짐벌 상에 카메라를 설치하는 카메라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게임진행단계는 게임 시작 전에 준비된 무인 비행체들의 비행 성능, 레이저 발생기로부터의 레이저 발사, 레이저 감지기에서의 레이저 수신, 제1통신부를 통한 카메라 촬영 영상의 전송 및 몰입형 가시장비와 짐벌의 연동을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들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무인 비행체 테스트단계와,
    가시장비를 통해 현시되는 무인 비행체의 시야 영상을 보면서 무선 조종기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들을 조종함과 동시에 상대방 무인 비행체에 설치된 레이저 감지기를 조준하여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저출력 단펄스 레이저를 발사하여 공중전을 수행하는 공중전 수행단계 및
    공중전을 수행하는 무인 비행체들의 상태를 무인 비행체에 구비된 LE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여 관중들이 게임 진행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전투 표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전 수행단계는 무인 비행체와 컨트롤 센터 및 몰입형 가시장비가 서로 연동되어 컨트롤 센터의 제2통신부에서 게임 도중 각각의 무인 비행체에 구비된 제1통신부를 통해 무인 비행체들의 위치, 무장 상태, 피격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취합하고, 이를 각 참가자들이 착용하고 있는 몰입형 가시장비로 전송하여 현시함으로써 각 참가자들이 몰입형 가시장비를 통해 자신의 무인 비행체의 상태정보는 물론 다른 무인 비행체들의 위치 및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모드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투표시단계에서는 무인 비행체에 구비된 LED 표시부를 구성하는 제1표시부를 통해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사되는 저출력 단펄스 레이저의 격발 가능 횟수를 표시하고,
    LED 표시부를 구성하는 제2표시부에 구비된 다수의 LED가 모두 점등된 상태에서,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무인 비행체가 레이저에 맞거나 연료가 소모되면 표시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기정해진 비율로 LED를 소등하여 무인 비행체의 잔존 수명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며,
    LED 표시부를 구성하는 제3표시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LED가 모두 소등된 상태에서,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가 피격되는 경우 제3표시부에 구비된 다수의 LED가 깜빡거리도록 하고, 무인 비행체의 피격 횟수를 제3표시부에 구비된 다수의 LED의 점등 비율로 표시하며, 무인 비행체가 격추되면 제3표시부를 구성하는 모든 LED들을 점등하여 게임 도중 무인 비행체들의 피격 상태, 피격 횟수 및 격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평가단계는 무인 비행체들의 제1통신부를 통해 전송되는 레이저의 격발 횟수, 피격 횟수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들의 공중전 결과를 컨트롤 센터의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를 게임진행단계 완료 후 컨트롤 센터의 채점부에서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점수화 단계와,
    게임 진행을 위해 장착했던 장비들을 무인 비행체로부터 분리하고 무인 비행체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무인 비행체 점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을 활용한 게임 방법.

KR1020170155367A 2017-11-21 2017-11-2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KR10195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67A KR101959543B1 (ko) 2017-11-21 2017-11-2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67A KR101959543B1 (ko) 2017-11-21 2017-11-2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9543B1 true KR101959543B1 (ko) 2019-03-18

Family

ID=6594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67A KR101959543B1 (ko) 2017-11-21 2017-11-21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5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522A (zh) * 2019-07-23 2019-09-24 佛山市鼎辰盛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战车模拟测试系统
CN110928200A (zh) * 2019-12-17 2020-03-27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一种面向无人机的虚实联动仿真试验系统及方法
CN112327927A (zh) * 2020-11-25 2021-02-05 北京理工大学 基于网格规划算法的编队无人机多角度打击航迹规划方法
KR20210106139A (ko) * 2020-02-20 2021-08-30 오상민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CN114371729A (zh) * 2021-12-22 2022-04-19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战略评估咨询中心 一种基于距离优先经验回放的无人机空战机动决策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65Y1 (ko) * 2001-03-29 2001-10-10 김홍만 스포츠 게임용 완구
KR20040053389A (ko) * 2001-11-29 2004-06-23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원격 제어 완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송신기 및 이동 기계
KR20090088045A (ko) * 2008-02-14 2009-08-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조종 비행기 시스템
KR20110101794A (ko) * 2010-03-09 2011-09-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KR101519525B1 (ko) 2013-10-25 2015-05-13 주식회사 바이로봇 멀티콥터 형 비행로봇을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565Y1 (ko) * 2001-03-29 2001-10-10 김홍만 스포츠 게임용 완구
KR20040053389A (ko) * 2001-11-29 2004-06-23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원격 제어 완구 시스템과 이를 위한 송신기 및 이동 기계
KR20090088045A (ko) * 2008-02-14 2009-08-1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전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조종 비행기 시스템
KR20110101794A (ko) * 2010-03-09 2011-09-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KR101519525B1 (ko) 2013-10-25 2015-05-13 주식회사 바이로봇 멀티콥터 형 비행로봇을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행 전투 게임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JI 고글 헤드 트래킹 설정하기", 네이버 블로그 게시글(2017.07.28.)*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522A (zh) * 2019-07-23 2019-09-24 佛山市鼎辰盛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战车模拟测试系统
CN110928200A (zh) * 2019-12-17 2020-03-27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一种面向无人机的虚实联动仿真试验系统及方法
KR20210106139A (ko) * 2020-02-20 2021-08-30 오상민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KR102361694B1 (ko) * 2020-02-20 2022-02-09 오상민 드론 기반의 서바이벌 사격 게임 제공 시스템
CN112327927A (zh) * 2020-11-25 2021-02-05 北京理工大学 基于网格规划算法的编队无人机多角度打击航迹规划方法
CN112327927B (zh) * 2020-11-25 2021-11-26 北京理工大学 基于网格规划算法的编队无人机多角度打击航迹规划方法
CN114371729A (zh) * 2021-12-22 2022-04-19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战略评估咨询中心 一种基于距离优先经验回放的无人机空战机动决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543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원격 공중전 모의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게임 방법
CA2282088C (fr) Simulateur de tir de missiles avec immersion du tireur dans un espace virtuel
US20100178966A1 (en) A method of recognizing objects in a shooter game for remote-controlled toys
US2015032109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ojectile hits on a surface
CN107008010B (zh) 一种模拟实战的游戏系统
KR101903678B1 (ko) 무인 비행기용 마일즈 시스템
US20070243914A1 (en) Toy combat gaming system
US20030118971A1 (en) War game complex and method of playing the game
JP2004511748A5 (ko)
CN114450074A (zh) 具有协调发射器和接收器的战斗无人机
KR20090088045A (ko) 전투 기능을 가지는 무선 조종 비행기 시스템
CN110667848A (zh) 一种无人机投弹娱乐系统
RU2709562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роном и систе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17862B1 (ko)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US20030228914A1 (en) Electronic competition system, electronic competitio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RU84959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KR102583169B1 (ko) 드론을 이용한 사격 게임 장치
CN110732132A (zh) 一种机车空地对抗娱乐系统
RU2287189C1 (ru) Система имит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боя
CN211132961U (zh) 一种机车空地对抗娱乐系统
Hobbs Psychological research on flexible gunnery training
CN114353581A (zh) 一种便携式导弹模拟训练方法及系统
CN109453525B (zh) 一种基于沉浸式机器人的娱乐互动系统及方法
RU27495U1 (ru) Спортивн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военной игры
RU28632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военной игр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