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62B1 -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62B1
KR102117862B1 KR1020180093503A KR20180093503A KR102117862B1 KR 102117862 B1 KR102117862 B1 KR 102117862B1 KR 1020180093503 A KR1020180093503 A KR 1020180093503A KR 20180093503 A KR20180093503 A KR 20180093503A KR 102117862 B1 KR102117862 B1 KR 102117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simulation
engagement
situation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934A (ko
Inventor
박선희
배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토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토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토비즈
Priority to KR102018009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의훈련시스템에 있어서,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서버와, 서버의 모의훈련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서버를 통해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와 서버를 통해 모의훈련 영상 출력 및 훈련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를 포함하되, 모션컨트롤러는 모의훈련 영상 출력 및 착용이 가능한 VR과 VR을 통해 출력되는 모의훈련 영상에 따라 훈련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리모콘과 VR과 리모콘을 활용하여 유도탄 및 포탄을 포격할 수 있도록 훈련이 가능한 곡사화기를 더 포함하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조종술 향상을 위해 AR 및 동작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훈련방식이 가능한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협소한 훈련 공장 및 과다한 훈련준비 시간으로 인한 개별실습시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교육생의 무기체계를 사용한 훈련에 대한 안전사고 감소 및 훈련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대민피해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유도탄의 조준, 사격, 유도 과정을 쉽게 훈련할 수 있고, 사수들에게 훈련시키기 위하여 실제유도탄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 및 위험상황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The combat simulation trainig thereof method using AR VR MR}
본 발명은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와;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와;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와;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른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 훈련, 전쟁 게임 또는 서바이벌 게임 등에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모의적인 교전 훈련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교전 훈련은 실제 전투와 동일한 전장 효과 및 무기의 성능을 모사하여 행해지게 된다.
현대에는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군사무기도 더욱 발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공중의 비행 물체을 감지하고 적군인가 아군인가를 식별한 후 적군일 경우에만 요격할 수 있는 레이더와 유도탄 발사의 기술이 많은 발전이 있었다.
군에서 아무리 훌륭하고 좋은 장비가 있다 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조작할 요원이 없으면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한 번 조작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실전 훈련으로 조작병들을 훈련시킬 수는 없게 된다.
종래의 무기 체계에 대한 모의 훈련은 사수의 총에 레이저 발생모듈을 장착하여 스크린 상에 출현되는 적군과같은 오브젝트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한편, 스크린 측의 레이저 발생기를 통해 사수측으로 발사되는 레이저를 피하면서 양방향으로 사격 전술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모의사격 전술훈련하는 방식으로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137249호 '레이저 트래킹 알고리즘을 이용한 쌍방향 모의교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수의 총에 레이저 발생모듈을 장착하여 스크린 상에 출현되는 적군과 같은 오브젝트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한편, 스크린 측의 레이저 발생기를 통해 사수측으로 발사되는 레이저를 피하면서 양방향으로 사격 전술훈련을 실시할 수 있으며, 사수의 레이저 발생모듈로부터 발사되어 스크린 상의 오브젝트에 포인팅된 레이저 좌표 및 상기 스크린 측의 레이저 발생기로부터 발사되어 사수에 포인팅된 레이저 좌표를 산출하여 사격 점수로 환산함으로써, 각 개인의 사격 점수 및 각 부대별 사격 점수를 통계적으로 관리 및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또한,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2-22033호의 '모의 교전 시스템'이 제안되는바, 전술한 특허에 따른 모의 교전시스템은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곡사화기를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하여, 복잡한 D-CODE를 삽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피폭 위치 및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복잡한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실제의 유탄 발사기는 곡사화기이므로 언덕이나 장애물을 넘어가서 목표물에 투하될 수 있으나,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에서 발사된 레이저는 직진하게 되므로 언덕이나 장애물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실제와는 다른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만들어 낸 가공의 상황이나 환경을 사람의 감각기관을 통해 사용자가 몰입감을 느끼고 상호작용하게 하는 기술로서,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여 현실과 유사한 또 다른 현실을 창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지각할 수 있는 대상물에 대해서 컴퓨터가 더 많은 정보를 부가하여 제시하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과, 가상 공간의 영상에 현실 세계의 영상을 덧붙여서 제시하는 융합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MR) 기술이 있다 상기 융합 또는 혼합 현실(MR: Mixed Reality) 기술은 현실(Live) 세계와 가상(Virtual) 세계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 보여줌으로써, 현실감을 극대화시키는 최첨단 가상 현실 기술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탄 발사기 등에 대한 모의 훈련을 위한 시스템 개발에만 집중된 무기 교육 콘텐트를 현재 급성장중인 AR VR MR 및 동작인식 기술이 적용된 다양하고 현실적인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체험교육으로 전환하여 무기 체계 및 전술의 훈련효과를 증대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3162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2-220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735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AR VR MR 및 동작인식 기술이 적용된 다양하고 현실적인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체험교육으로 전환하여 무기 체계 및 전술의 훈련효과를 증대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훈련공간 및 과다한 훈련 준비 시간으로 인한 개별 실습시간 부족 문제 해결이 가능한 작전테마 콘텐츠 및 동작인식 기반 AR VR MR 무기훈련체계를 개발하여 우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전 모의 훈련 방법에 있어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및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는 교관통제과정을 강화한 점에 특징이 있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사용하는 무기사용(조종술 등)향상을 위해 AR 및 동작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훈련방식이 가능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교육생의 무기체계를 사용한 훈련에 대한 안전사고 감소 및 훈련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대민피해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의 교전 훈련에 대한 무기 체계의 일 실시로서의 유도탄의 조준, 사격, 유도 과정을 쉽게 훈련할 수 있고, 사수들에게 훈련시키기 위하여 실제유도탄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 및 위험상황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에 따르면, 교전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의훈련방법에 있어서,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S1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S20)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S3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S4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른 사격절차준비훈련이 가능한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교관통제과정단계(S20)는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및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상황전시과정단계(S30)는 교전모의훈련 시 영상을 출력하고, 교전모의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교육생의 훈련 과정 등을 외부로 교육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이 가능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전모의과정단계(S40)는 무기 체계의 모의교전훈련이 가능하고, 모의교전시 상황을 영상으로 출력 및 모의교전훈련 상황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는 무기 체계의 훈련이 가능한 무기설치훈련,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 장착훈련과,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무기 발사 전 유의해야 하는 확인사항을 확인하게 하는 교전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AR 및 동작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다양한 훈련방식이 가능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협소한 훈련 공간 및 과다한 훈련준비 시간으로 인한 개별실습시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교육생의 무기체계에 대한 훈련에 대한 안전사고 감소 및 훈련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대민피해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양한 무기체계 및 전술에 있어서 모의 교전 훈련에 대한 무기 체계의 일 실시로서의 유도탄의 조준, 사격, 유도 과정을 교육생들이 쉽게 훈련할 수 있고, 사수들에게 훈련시키기 위하여 실제유도탄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 및 위험상황을 감소하기 위한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훈련시스템을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훈련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모의훈련방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발사대설치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조준기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피아식별기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유도탄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교전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모의훈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S1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S20)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S3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S4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교관통제과정단계(S20)는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및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는 곡사화기의 발사대설치 훈련이 가능한 발사대설치훈련, 곡사화기의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유도탄 장착 훈련이 가능한 유도탄장착훈련 및 발사지역확인 및 발사 전 유의해야하는 확인사항을 확인 가능한 교전훈련을 포함하게 된다.
발사대 설치지역에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발사대 설치지역 평탄화작업단계(S100)와 조준기를 분리하는 조준기분리단계(S110)와, 멜빵을 분리하는 멜빵분리단계(S120)와 삼각대를 설치하는 삼각대설치단계(S130)와, 보조손잡이 조정하는 보조손잡이조정단계(S140)와 의자를 조정하는 사수의자조정단계(S150)와,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정치단계(S16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170)의 발사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발사대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조준기를 발사대에 결합하는 조준기발사대결합단계(S200)와 보호 덮개를 연결구에 결합하는 보호덮개연결구결합단계(S210)와, 조준기를 연결자에 연결하는 조준기연결자연결단계(S22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230)의 조준기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조준기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저장용기 덮개를 여는 저장용기덮개오픈단계(S300)와 송수신기를 장착대에 결합하는 송수신기장착대결합단계(S310)와 상기 장착대에 결합한 송수신기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송수신연결단계(S320)와 피아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장치대에 설치하는 피아식별기안테나장치대설치단계(S33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구에서 덮개를 제거하는 송수신연결구덮개제거단계(S340)와 확성기를 회전지주에 설치하는 확성기회전지주설치단계(S35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자에서 보호덮개를 분리하는 송수신기연결자보호덮개분리단계(S360)와 배터리를 송수신기에 설치하는 배터리송수신기설치단계(S370) 및 암호저장기를 송수신기와 결합하고 연결하는 암호저장기송수신기결합단계(S380)의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를 포함한다.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유도탄 용도(작전용, 추적훈련용, 모의훈련용)에 따라 유도탄을 일치시키는 유도탄용도일치여부확인단계(S400)와 상기 유도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여부를 판단 및 확인하는 유도탄육안확인 및 배터리 냉각장치사용여부확인단계(S410)와 무장손잡이의 위치가 안전한지를 확인하는 무장손잡이안전위치확인단계(S420)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를 장착시에 유도탄의 질소가스 주입구에 이물질 유무를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장착시 유도탄 질소가스 주입구이물질 확인단계(S430) 및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용여부를 색상으로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 색상확인단계(S440)의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발사지역을 확인하는 발사지역확인단계(S50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화염 노출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화염노출위험지역확인단계(S51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후폭풍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후폭풍위험지역확인단계(S520)와 교전시 후방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탄두위험을 판단 및 확인하는 탄두위험확인단계(S530)와 교전시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에 장애물을 확인하는 진행방향장애확인단계(S540)의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를 포함하되, 교전시 발사전 확인사항을 숙지할 수 있는 발사전확인사항단계(S60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을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인원철수확인단계(S61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장비들의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철수확인단계(S620)와 상기 발사대의 일정 조작범위를 준수하고 조작범위를 설정하는 발사대조작범위준수단계(S630)와 상기 발사대 사수의 헬멧을 착용하는 사수헬멧착용단계(S640) 및 발사대 사수의 헤드셋을 착용하는 사수헤드셋착용단계(S650)의 발사전준비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 및 발사전준비단계 훈련 종료 후에 표적형태에 따른 교전모의훈련이 진행될 수 있으며, 표적의 형태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형태확인단계(S700)와 상기 표적의 위치 및 접근상태 등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접근확인단계(S710)와 상기 표적의 퇴각 상태 및 상황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퇴각확인단계(S720); 및 상기 표적의 퇴각완료 및 파괴 또는 모의전시상황 종료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교전완료단계(S730)의 표적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S1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S20)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S3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S4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른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관통제과정단계(S20)는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및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는 곡사화기의 발사대설치 훈련이 가능한 발사대설치훈련, 곡사화기의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유도탄 장착 훈련이 가능한 유도탄장착훈련 및 발사지역확인 및 발사 전 유의해야하는 확인사항을 확인 가능한 교전훈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사대 설치지역에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발사대 설치지역 평탄화작업단계(S100)와;
조준기를 분리하는 조준기분리단계(S110)와, 멜빵을 분리하는 멜빵분리단계(S120)와;
삼각대를 설치하는 삼각대설치단계(S130)와, 보조손잡이 조정하는 보조손잡이조정단계(S140)와;
의자를 조정하는 사수의자조정단계(S150)와,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정치단계(S16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170)의 발사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사대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조준기를 발사대에 결합하는 조준기발사대결합단계(S200)와;
보호 덮개를 연결구에 결합하는 보호덮개연결구결합단계(S210)와, 조준기를 연결자에 연결하는 조준기연결자연결단계(S22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230)의 조준기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준기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저장용기 덮개를 여는 저장용기덮개오픈단계(S300)와;
송수신기를 장착대에 결합하는 송수신기장착대결합단계(S310)와;
상기 장착대에 결합한 송수신기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송수신연결단계(S320)와;
피아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장치대에 설치하는 피아식별기안테나장치대설치단계(S33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구에서 덮개를 제거하는 송수신연결구덮개제거단계(S340)와;
확성기를 회전지주에 설치하는 확성기회전지주설치단계(S35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자에서 보호덮개를 분리하는 송수신기연결자보호덮개분리단계(S360)와;
배터리를 송수신기에 설치하는 배터리송수신기설치단계(S370); 및 암호저장기를 송수신기와 결합하고 연결하는 암호저장기송수신기결합단계(S380)의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유도탄 용도(작전용, 추적훈련용, 모의훈련용)에 따라 유도탄을 일치시키는 유도탄용도일치여부확인단계(S400)와;
상기 유도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여부를 판단 및 확인하는 유도탄육안확인 및 배터리 냉각장치사용여부확인단계(S410)와;
무장손잡이의 위치가 안전한지를 확인하는 무장손잡이안전위치확인단계(S420)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를 장착시에 유도탄의 질소가스 주입구에 이물질 유무를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장착시 유도탄 질소가스 주입구이물질 확인단계(S430); 및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용여부를 색상으로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 색상확인단계(S440)의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발사지역을 확인하는 발사지역확인단계(S50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화염 노출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화염노출위험지역확인단계(S51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후폭풍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후폭풍위험지역확인단계(S520)와;
교전시 후방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탄두위험을 판단 및 확인하는 탄두위험확인단계(S530)와;
교전시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에 장애물을 확인하는 진행방향장애확인단계(S540)의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를 포함하되,
교전시 발사전 확인사항을 숙지할 수 있는 발사전확인사항단계(S60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을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인원철수확인단계(S61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장비들의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철수확인단계(S620)와;
상기 발사대의 일정 조작범위를 준수하고 조작범위를 설정하는 발사대조작범위준수단계(S630)와;
상기 발사대 사수의 헬멧을 착용하는 사수헬멧착용단계(S640); 및 발사대 사수의 헤드셋을 착용하는 사수헤드셋착용단계(S650)의 발사전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 및 발사전준비단계 훈련 종료 후에 표적형태에 따른 교전모의훈련이 진행될 수 있으며, 표적의 형태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형태확인단계(S700)와;
상기 표적의 위치 및 접근상태 등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접근확인단계(S710)와;
상기 표적의 퇴각 상태 및 상황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퇴각확인단계(S720); 및 상기 표적의 퇴각완료 및 파괴 또는 모의전시상황 종료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교전완료단계(S730)의 표적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훈련시스템을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훈련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모의훈련방법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발사대설치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조준기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피아식별기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유도탄장착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의 교전훈련모듈에 따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의훈련시스템(1)은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서버(100)와, 서버(100)의 모의훈련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400)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모의훈련 영상 출력 및 훈련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300)를 포함한다.
모의훈련시스템(1)은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교육자가 교육하고자 하는 훈련을 서버(100)를 통해 설정하면 해당 훈련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0)를 통해 전송되어 해당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실행되고, 교육생은 모션컨트롤러(300)를 착용하고 훈련 영상을 출력받아 확인하며, 영상에 따른 모의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모션컨트롤러(300)는 모의훈련 영상 출력 및 착용이 가능한 VR(310)과, 상기 VR(310)을 통해 출력되는 모의훈련 영상에 따라 훈련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리모콘(320) 및 상기 VR(310)과 리모콘(320)을 활용하여 유도탄 및 포탄을 포격할 수 있도록 훈련이 가능한 곡사화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곡사화기(330)는 서버(100) 내에 교전모의부(140)와 사격준비절차훈
련부(150)의 교전 모의 훈련을 하기 위해 VR(310)과 리모콘(320)을 활용하여 훈련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40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장비를 통칭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핸드폰, 모니터, TV, 빔프로젝터, 패드 및 VR 디바이스 등 다양한 영상장비가 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100)는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부(110)와 상기 임무편집부(110)의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부(120)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부(130)와, 상기 임무편집부(110)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부(140)와, 상기 임무편집부(110)의 훈련상황에 따른 사격준비절차훈련이 가능한 사격준비절차훈련부(150)를 포함한다.
임무편집부(110)는 모의훈련에 대한 시나리오를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하고 모의훈련 장소 및 지역을 선택 및 관리하며 모의훈련시 교전 대상이 되는 표적을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모의훈련시 기상 상태를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임무편집부(110)는 시나리오 명칭을 입력하고, 훈련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훈련시간은 시분초, 일자 및 오전오후 등으로 표현하여 설정할 수 있다.
훈련지형 및 기상을 선택하고 훈련난이도를 선택하여 교육생의 역량 또는 계급에 맞게 훈련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관통제부(120)는 모의훈련을 통제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을 운용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기상을 운용, 모의훈련에 훈련 및 교육을 받는 교육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모의훈련 후 교육생을 평가도 가능한 것이다.
평가관리모듈(125)은 모의훈련 시 교육자는 교육생들의 훈련 상태, 참여도, 습득 능력 등을 판단하여 평가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평가항목은 모의훈련 형태 및 전시 시나리오에 따라 항목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200)를 통해 저장되고, 모의훈련시마다 비교분석하여 교육생의 훈련 습득 능력 및 필요한 부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황전시부(130)는 교전모의훈련 시 영상을 디스플레이(400)로 출력할 수 있고, 사격준비절차훈련 시 영상을 디스플레이(400)로 출력할 수 있어 외부로 교육자가 교육생의 훈련 상황 및 절차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교전모의부(140)는 곡사화기의 탄두방향 및 경로 등을 파악하는 모의교전훈련이 가능하고 유도탄 모의교전훈련이 가능하며, 상기 모션컨트롤러(300)를 통해 모의교전시 상황을 영상으로 출력 및 모의교전훈련 상황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교전모의부(140)는 적군의 유도탄 및 탄두를 예측하여 요격할 수 있는 요격모의모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요격모의모듈은 적진영에서 발사되는 유도탄을 감지하는 레이더감지모의훈련, 감지되는 유도탄을 요격하는 요격모의훈련 등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사격준비절차훈련부(150)는 곡사화기의 발사대설치 훈련이 가능한 발사대설치훈련과, 곡사화기의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유도탄 장착 훈련이 가능한 유도탄장착훈련 및 발사지역확인 및 발사 전 유의해야하는 확인사항을 확인 가능한 교전훈련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 모의훈련시스템에 있어서,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S1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S20)와,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S3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S4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른 사격절차준비훈련이 가능한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임무편집과정단계(S10)는 모의훈련에 대한 시나리오를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하고 모의훈련 장소 및 지역을 선택 및 관리하며 모의훈련시 교전 대상이 되는 표적을 선택 및 관리가 가능한 단계이다.
상기 교관통제과정단계(S20)는 교관통제부(120)를 통하여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및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는 과정이다.
상기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는 모의훈련 시 교육자는 교육생들에게 훈련상황을 확인시켜주고, 훈련 시 잘못된 방향 또는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 또는 훈련시 교육생들을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운용될 수 있도록 지도 전달이 가능하며, 상황 설정 및 상황 지시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에 따른 교육자가 교육생들의 훈련방법, 태도 및 상황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교육생별 특징, 특기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훈련의 강도, 교육진행의 진척 정도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통제 및 모니터링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의훈련 시 교육자는 교육생들에게 훈련 상황 또는 시나리오에 따른 표적의 종류 및 수 등을 선택하거나 훈련 도중에 새로운 상황에 대한 표적을 새로 추가 및 삭제 등 다양한 패턴으로 훈련상황을 조절 및 제어 가능하도록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모의훈련 시 교육자는 교육생들에게 훈련 상황 또는 시나리오에 따른 기상환경을 설정할 수 있고 훈련 도중에 새로운 상황에 대한 기상환경을 변경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조절 및 제어 가능하도록 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의훈련 시 교육자는 교육생들의 모의훈련에 따른 태도, 습득 능력 및 상태 등을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며 각각 교육생들의 훈련에 따른 데이터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을 비교분석하여 비교데이터를 통한 교육생들의 훈련 상황을 수치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각 교육생들을 평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평가항목은 모의훈련 형태 및 전시 시나리오에 따라 항목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저장되고, 모의훈련시마다 비교분석하여 교육생의 훈련 습득 능력 및 필요한 부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황전시과정단계(S30)는 교전모의훈련 시 영상을 출력하고, 교전모의훈련을 진행하고 있는 교육생의 훈련 과정 등을 외부로 교육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이 가능한 단계이다.
상기 교전모의과정단계(S40)는 곡사화기의 탄두방향 및 경로 등을 파악하는 모의교전훈련 및 유도탄 모의교전훈련이 가능하고, 모의교전시 상황을 영상으로 출력 및 모의교전훈련 상황 등을 제어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는 곡사화기의 발사대설치 훈련이 가능한 발사대설치훈련, 곡사화기의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유도탄 장착 훈련이 가능한 유도탄장착훈련 및 발사지역확인 및 발사 전 유의해야하는 확인사항을 확인 가능한 교전훈련을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에 있어서, 발사대 설치의 모든 절차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교육생이 정확한 동작을 하였을 시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형성한다.
발사대설치를 위한 발사대설치단계 훈련을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한다.
발사대 설치지역에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발사대 설치지역 평탄화작업단계(S100)와, 조준기를 분리하는 조준기분리단계(S110)와, 멜빵을 분리하는 멜빵분리단계(S120)와, 삼각대를 설치하는 삼각대설치단계(S130)와, 보조손잡이 조정하는 보조손잡이조정단계(S140)와, 의자를 조정하는 사수의자조정단계(S150)와,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정치단계(S16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170)의 발사대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임무편집부(110)의 시나리오관리모듈(111)과 훈련지역관리모듈(112)에서 훈련장소가 설정된다. 설정된 훈련장소에 따라 발사대 설치지역으로 설정되고 교육생은 훈련장소에 따라 발사대 설치지역 일대를 평탄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모션컨트롤러(300)를 통해 평탄화 액션을 취하면 발사대 설치지역이 평탄화된다.(S100)
평탄화작업 후에는 모션컨트롤러(300)의 곡사화기(330) 장비를 활용하여 조준기 및 멜빵을 분리하고 평탄화장소에 삼각대를 설치한다.(S110,S120,S130)
사수는 보조손잡이 및 의자를 조정한다.(S140,S150)
또한, 사수는 방위각을 측정하도록 방위각 정치를 하고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것으로 발사대설치 훈련을 종료한다.(S160,S170)
조준기장착훈련모듈(152)은 상기 발사대설치훈련이 종료되면 조준기 설치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교육생이 정확한 동작을 하였을 시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조준기장착훈련모듈(152)은 조준기를 발사대에 결합하는 조준기발사대결합단계(S200)와, 보호 덮개를 연결구에 결합하는 보호덮개연결구결합단계(S210)와, 조준기를 연결자에 연결하는 조준기연결자연결단계(S22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230)의 조준기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사대설치훈련모듈(151)을 통한 발사대설치단계 훈련이 종료되면 곡사화기(330)를 활용하여 표적을 조준하도록 하는 조준기를 장착하는 훈련이 진행된다.
훈련장소에 설치한 발사대에 조준기를 결합함에 있어서, 교육생은 VR(310)을 통해 교육화면을 응시하고 리모컨(320)을 곡사화기(330)에 근접함으로써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S200)
조준기를 발사대에 결합하고, 보호 덮개를 연결구에 결합한다.(S210)
조준기를 연결자에 연결하고, 이마보호대를 다시 조정한다.(S220,S230)
조준기가 발사대에 잘 결합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조준기장착훈련이 종료되는 것이다.
피아식별기장착훈련모듈(153)은 피아식별기 설치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교육생이 정확한 동작을 하였을 시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형성한다. 피아식별기가 장착됨에 따라 향후 피아식별에 영향을 주는 등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피아식별기장착훈련모듈(153)은 저장용기 덮개를 여는 저장용기덮개오픈단계(S300)와, 송수신기를 장착대에 결합하는 송수신기장착대결합단계(S310)와, 상기 장착대에 결합한 송수신기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송수신연결단계(S320)와, 피아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장치대에 설치하는 피아식별기안테나장치대설치단계(S33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구에서 덮개를 제거하는 송수신연결구덮개제거단계(S340)와, 확성기를 회전지주에 설치하는 확성기회전지주설치단계(S350)와,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자에서 보호덮개를 분리하는 송수신기연결자보호덮개분리단계(S360)와, 배터리를 송수신기에 설치하는 배터리송수신기설치단계(S370) 및 암호저장기를 송수신기와 결합하고 연결하는 암호저장기송수신기결합단계(S380)의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조준기장착훈련모듈(152)을 통한 조준기설치단계 훈련이 종료되면 피아식별장착훈련모듈(153)을 통한 피아식별장착훈련 단계가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교육생은 VR(310)을 통해 교육화면을 응시하고 리모컨(320)을 곡사화기(330)에 근접함으로써 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용기덮개를 열고, 송수신기를 장착대에 결합한다.(S300,S310)
장착대에 송수신기와 송수신이 연동될 수 있도록 연결 및 페어링을 진행하고, 피아식별이 가능한 안테나를 장치대에 설치한다.(S320,S330)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구에 덮개를 제거하며, 확성기를 회전지주에 설치한다.(S340,S350)
상기 송수신기의 연결자에 보호덮개를 분리하고 송수신기의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설치한다.(S360,S370)
송수신기에 암호화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암호저장기를 결합하는 것으로 피아식별장착 훈련이 종료된다.(S380)
유도탄장착훈련모듈(154)은 유도탄 장착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교육생이 정확한 동작을 하였을 시 다음 단계로 진행되도록 형성한다. 1인 모드 또는 2인모드에 따라서 절차가 다소 달라질 수 있으며, 사수와 부사수의 역할을 각각 정하여 진행되도록 한다.
상기 유도탄장착훈련모듈(154)은 유도탄 용도(작전용, 추적훈련용, 모의훈련용)에 따라 유도탄을 일치시키는 유도탄용도일치여부확인단계(S400)와, 상기 유도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여부를 판단 및 확인하는 유도탄육안확인 및 배터리 냉각장치사용여부확인단계(S410)와, 무장손잡이의 위치가 안전한지를 확인하는 무장손잡이안전위치확인단계(S420)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를 장착시에 유도탄의 질소가스 주입구에 이물질 유무를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장착시 유도탄 질소가스 주입구이물질 확인단계(S430) 및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용여부를 색상으로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 색상확인단계(S440)의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교육생은 VR(310)을 통해 교육화면을 응시하고 리모컨(320)을 곡사화기(330)에 근접함으로써 훈련이 진행이 됨에 있어서, 상기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발사대를 훈련장소에 설치하고 조준기 및 피아식별을 장착 훈련이 종료되면 유도탄을 장착하는 훈련단계를 진행한다.
유도탄장착훈련은 1인모드 또는 2인모드로 진행가능하며 예를 들어 1인모드를 선택했을 시에는 혼자유도탄을 장착하도록 훈련이 진행되고 2인모드를 선택했을 시에는 사수, 부사수를 설정한 후 유도탄을 장착하도록 훈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유도탄 장착 훈련은 유도탄의 용도에 따라 작전용, 추적훈련용, 모의훈련용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훈련형태에 따라 유도탄을 일치시키는 훈련이 진행된다.
훈련형태에 따른 유도탄을 일치시켰을 경우 다음단계로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S400)
상기 유도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유도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여부를 판단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10)
유도탄을 확인 후 무장손잡이의 위치가 안전한 상태인지 안전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배터리 냉각장치를 장착 후 유도탄의 질소가스 주입구에 이물질 유무를 확인하여 유도탄 발사 전 문제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20,S430)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용여부 유무를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배터리 냉각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을 결합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훈련을 종료한다.(S440)
교전훈련모듈(155)은 발사지역확인은 1인 또는 2인 상황에 따라 다르며, 부사수는 사수의 지시에 따라서 후방확인 및 좌우확인을 하는 등에 절차를 진행하고, 발사전 확인 사항은 모든 절차의 최종 프로세스이며, 마무리시에는 교전모의부(140)의 교전모의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표적형태에 따른 교전모의훈련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전훈련모듈(155)은 발사지역을 확인하는 발사지역확인단계(S50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화염 노출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화염노출위험지역확인단계(S51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후폭풍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후폭풍위험지역확인단계(S520)와, 교전시 후방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탄두위험을 판단 및 확인하는 탄두위험확인단계(S530)와, 교전시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에 장애물을 확인하는 진행방향장애확인단계(S540)의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를 포함하고, 교전시 발사전 확인사항을 숙지할 수 있는 발사전확인사항단계(S600)는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을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인원철수확인단계(S610)와,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장비들의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철수확인단계(S620)와, 발사대의 일정 조작범위(고각 +00도 이내/ -00도 이내)를 준수하고 조작범위를 설정하는 발사대조작범위준수단계(S630)와, 발사대 사수의 헬멧을 착용하는 사수헬멧착용단계(S640) 및 발사대 사수의 헤드셋을 착용하는 사수헤드셋착용단계(S650)를 발사전준비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전훈련모듈(155)은 표적형태에 따른 교전모의훈련이 진행될 수 있으며, 표적의 형태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형태확인단계(S700)와, 상기 표적의 위치 및 접근상태 등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접근확인단계(S710)와, 상기 표적의 퇴각 상태 및 상황을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퇴각확인단계(S720) 및 상기 표적의 퇴각완료 및 파괴 또는 모의전시상황 종료를 확인 및 보고하는 표적교전완료단계(S730)의 표적확인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 및 발사전준비단계는 유도탄 장착훈련 후 교전훈련모듈(155)을 통해 교전훈련이 진행된다.
교육생은 VR(310)을 통해 교육화면을 응시하고 리모컨(320)을 곡사화기(330)에 근접함으로써 훈련이 진행이 됨에 있어 교전훈련 역시 1인 또는 2인 상황에 따라 훈련이 진행될 수 있으며, 1인모드를 선택했을 시에는 사수 혼자 표적을 확인하고 교전이 가능한 훈련모드이고 2인모드를 선택했을 시에는 사수, 부사수를 설정한 후 표적을 확인하고 교전이 가능한 훈련모드로 훈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교전훈련은 발사지역을 확인하고 교전 시 일정거리 이내에 화염 노출 위험지역, 후폭풍 위험지역 및 탄두위험을 판단 및 확인한다.(S500,S510,S520,S530)
또한, 교전시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장애물을 확인하도록 한다.(S540)
발사지역의 일정거리 이내의 위험지역 및 장애물을 판단하여 탄두를 발사할 지점이 설정되면 탄두 발사전 숙지해야하는 확인사항을 확인한다.(S600) 확인사항은 VR(310)을 통해 사수 및 부사수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숙지사항을 확인했으면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들을 철수시키고 철수여부를 확인하고, 모든 장비들을 철수시키고 철수여부를 확인한다.(S610,S620)
장비 및 인원의 철수를 확인하면 발사대의 일정 조작범위를 준수하여 조작범위를 설정하고 사수는 헬멧 및 헤드셋을 착용한다.(S630,S640,S650)
이어 탄두가 발사되면서 훈련이 종료가 된다.
상기 표적확인단계는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 및 발사전준비단계 훈련 종료 후에 상기 교전훈련모둘(155)은 표적형태에 따른 교전모의훈련도 가능하며 표적의 형태를 확인 및 보고한다.(S700)
상기 표적의 형태 및 종류를 확인하면 표적의 위치 및 접근 상태를 확인하여 보고하고 교전을 진행한다.(S710)
교전 상태에 따라 표적의 퇴각 상태 및 교전상황을 계속적으로 보고하도록 한다.(S720)
교전 중 표적이 퇴각을 완료하거나 교전에 의해 파괴 또는 교전상황 종료를 확인하고 보고하여 교전 및 전시상황을 종료한다.(S730)
전시상황이 종료함으로써 모든 훈련이 종료되고 상기 교관통제부(120)의 교육생관리모듈(124) 및 평가관리모듈(125)을 통해 교육 훈련에 따른 평가 및 훈련 성과에 따른 평가를 교육자가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VR(310)을 통해 교육생은 훈련의 성과 또는 성적을 확인할 수 있고 재훈련시에는 훈련 숙련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화염노출위험지역확인단계(S510)는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의 화염노출이 가능한 위험지역을 확인함에 있어서, 일정경도 및 위도를 파악 및 설정하고 10m 이내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폭풍위험지역확인단계(S520)는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의 포격 및 폭탄에 의한 후폭풍의 위험지역을 확인함에 있어서, 일정경도 및 위도를 파악 및 설정하고 30m 이내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두위험확인단계(S530)는 교전시 후방 일정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의 탄두낙하에 따른 탄두위험지역을 확인함에 있어서, 일정경도 및 위도를 파악 및 설정하고 반경 400m 이내 지역을 위험지역으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원철수확인단계(S610)은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에게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일정거리는 반경 40m 내의 인원을 철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비철수확인단계(S620)는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장비들의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함에 있어서, 일정거리는 반경 10m 내의 장비를 철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탄 조종술 향상을 위해 AR 및 동작인식 기술을 적용하여 작전테마 콘텐츠를 통한 다양한 훈련방식이 가능하고 협소한 훈련 공장 및 과다한 훈련준비 시간으로 인한 개별실습시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교육생의 무기체계를 사용한 훈련에 대한 안전사고 감소 및 훈련 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대민피해 발생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며, 유도탄의 조준, 사격, 유도 과정을 쉽게 훈련할 수 있고, 사수들에게 훈련시키기 위하여 실제유도탄을 사용하지 않아 비용절감 및 위험상황을 감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서버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모션컨트롤러 310 : VR
320 : 리모콘 330 : 곡사화기
400 : 디스플레이

Claims (4)

  1.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서버(100)와, 서버(100)의 모의훈련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0)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모의훈련에 대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400)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모의훈련 영상 출력 및 훈련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모션컨트롤러(300)를 구비하고,
    모의훈련에 대한 훈련 시나리오 및 상황을 설정하는 임무편집과정단계(S1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에 설정된 상황을 변칙적으로 변경 및 평가관리가 가능한 교관통제과정단계(S20)와;
    상기 교관통제과정단계(S20)는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를 실시하고 모의훈련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표적 운용, 훈련상황시 발생될 수 있는 날씨의 변화를 적용하는 기상 운용, 교육생의 신상정보에 따른 특징, 교육이수 수준을 점검하는 교육생 관리 및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를 실시하되,
    상기 모의훈련에 대한 통제는 모의훈련 시 교육생들에게 훈련상황을 확인시켜주고, 모의훈련시 잘못된 방향 또는 상황을 통제하고 교육생들이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수행되도록 지도 전달 및 상황 지시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교육이수에 따른 교육생 평가는 모의훈련 시 교육생들의 모의훈련에 따른 태도, 습득 능력 및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을 비교분석하여 비교데이터를 통한 교육생들의 훈련 상황을 수치화하여 교육생들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모의훈련에 따른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는 상황전시과정단계(S3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라 모의교전이 가능한 교전모의과정단계(S40)와;
    상기 임무편집과정의 훈련상황에 따른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를 포함하되,
    상기 교전절차체험과정단계(S50)는 곡사화기의 발사대설치 훈련이 가능한 발사대설치훈련, 곡사화기의 조준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조준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피아식별기 장착 훈련이 가능한 피아식별기장착훈련과, 곡사화기의 유도탄 장착 훈련이 가능한 유도탄장착훈련, 발사지역확인 및 발사 전 유의해야하는 확인사항을 가능하게 하는 교전훈련을 포함하며,
    피아식별장치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유도탄 용도(작전용, 추적훈련용, 모의훈련용)에 따라 유도탄을 일치시키는 유도탄용도일치여부확인단계(S400)와;
    상기 유도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여부를 판단 및 확인하는 유도탄육안확인 및 배터리 냉각장치사용여부확인단계(S410)와;
    무장손잡이의 위치가 안전한지를 확인하는 무장손잡이안전위치확인단계(S420)와;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를 장착시에 유도탄의 질소가스 주입구에 이물질 유무를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장착시 유도탄 질소가스 주입구이물질 확인단계(S430);
    및 상기 배터리 냉각장치의 사용여부를 색상으로 확인하는 배터리 냉각장치 사용 색상확인단계(S440)의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탄 및 배터리 냉각장치 설치단계 훈련 종료 후에 발사지역을 확인하는 발사지역확인단계(S50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화염 노출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화염노출위험지역확인단계(S510)와;
    교전시 후방 좌우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후폭풍 위험 지역을 판단 및 확인하는 후폭풍위험지역확인단계(S520)와;
    교전시 후방 일정 경도 및 위도에 따른 일정거리 이내에 탄두위험을 판단 및 확인하는 탄두위험확인단계(S530)와;
    교전시 진행하고자하는 방향에 장애물을 확인하는 진행방향장애확인단계(S540)의 발사지역위험확인단계를 포함하고,
    교전시 발사전 확인사항을 숙지할 수 있는 발사전확인사항단계(S60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인원을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인원철수확인단계(S610)와;
    상기 발사대 반경 일정거리 내의 모든 장비들의 철수명령을 내리고 철수 여부를 확인하는 장비철수확인단계(S620)와;
    상기 발사대의 일정 조작범위를 준수하고 조작범위를 설정하는 발사대조작범위준수단계(S630)와;
    상기 발사대 사수의 헬멧을 착용하는 사수헬멧착용단계(S640); 및 발사대 사수의 헤드셋을 착용하는 사수헤드셋착용단계(S650)의 발사전준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발사대 설치지역에 평탄화 작업을 진행하는 발사대 설치지역 평탄화작업단계(S100)와;
    조준기를 분리하는 조준기분리단계(S110)와, 멜빵을 분리하는 멜빵분리단계(S120)와;
    삼각대를 설치하는 삼각대설치단계(S130)와, 보조손잡이 조정하는 보조손잡이조정단계(S140)와;
    의자를 조정하는 사수의자조정단계(S150)와, 방위각을 측정하는 방위각정치단계(S160); 및 이마보호대를 조정하는 이마보호대조정단계(S170)의 발사대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KR1020180093503A 2018-08-10 2018-08-10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KR10211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03A KR102117862B1 (ko) 2018-08-10 2018-08-10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03A KR102117862B1 (ko) 2018-08-10 2018-08-10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34A KR20200017934A (ko) 2020-02-19
KR102117862B1 true KR102117862B1 (ko) 2020-06-02

Family

ID=6966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03A KR102117862B1 (ko) 2018-08-10 2018-08-10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53B1 (ko) 2022-01-11 2023-02-06 최준석 모의 전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10B1 (ko) * 2013-12-03 2015-03-09 대한민국 가상환경 내 캐릭터와 훈련자 동작연동을 통한 전술 모의훈련 장치, 모의훈련 연동방법 및 모의훈련 모니터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1290346A1 (en) 2000-09-18 2002-03-26 Standard Laser System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engagement
KR100833162B1 (ko) 2006-06-29 2008-05-28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유탄 발사기 모의 장치 및 유탄 발사기 모의 시스템
KR100914274B1 (ko) * 2007-11-02 2009-08-27 주식회사 코리아일레콤 곡사화기 사격 모의 훈련 시스템
KR101653735B1 (ko) 2014-04-11 2016-09-06 에이알비전 (주)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10B1 (ko) * 2013-12-03 2015-03-09 대한민국 가상환경 내 캐릭터와 훈련자 동작연동을 통한 전술 모의훈련 장치, 모의훈련 연동방법 및 모의훈련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34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872B1 (ko) 작전테마 콘텐츠를 이용한 ar vr mr 교전 모의 훈련 시스템
US6296486B1 (en) Missile firing simulator with the gunner immersed in a virtual space
US105393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ooting simulation
US20230113472A1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hoo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470805B1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17862B1 (ko) Ar vr mr을 이용한 교전 모의 훈련 방법
CN113834373A (zh) 真人演绎虚拟现实室内室外攻防对抗作战训练系统及方法
RU2472095C1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RU2465534C1 (ru) Тренажер операторов пушечно-ракетного вооружения
RU152571U1 (ru) Имитатор переносного зенитного раке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US3522667A (en) Firing training simulators for remotely - controlled guided missiles
US11359887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n optical system
KR20140062408A (ko) 실내 훈련용 곡사화기 사격술 모의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RU259202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реальности при подготовке военнослужащих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и тренажер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84959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RU2483271C2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танкового вооружения
RU120209U1 (ru) Мишенный комплекс
RU2478897C2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высокоточного оружия
RU2381435C2 (ru) Тренажер наводчиков-операторов установок пуска ракет
CN111486746A (zh) 一种榴弹发射虚拟训练平台及训练方法
RU2179698C2 (ru) Тренажер наводчиков-операторов установок пуска ракет или стрельбы из орудий и пулеметов
US11662178B1 (en) System and method of marksmanship training utilizing a drone and an optical system
RU2561851C2 (ru)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операторов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RU2205346C2 (ru) Зенитный тренажер
RU2612083C1 (ru) Комплекс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подготовки минометных подраздел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