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329B1 - 멀티미터 - Google Patents

멀티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329B1
KR101959329B1 KR1020130072698A KR20130072698A KR101959329B1 KR 101959329 B1 KR101959329 B1 KR 101959329B1 KR 1020130072698 A KR1020130072698 A KR 1020130072698A KR 20130072698 A KR20130072698 A KR 20130072698A KR 101959329 B1 KR101959329 B1 KR 10195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le
shutter plate
selection terminal
convex portion
rotar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759A (ko
Inventor
토시오 헤이시
요시유키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히오끼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오끼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오끼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38Arrangements for altering the indicating characteristic, e.g. by modifying the air g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002Switches for altering the measuring range or for multites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편하고 공간 절약형인 착오 삽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멀티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미터(1)는, 측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로터리 스위치(3)와,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는 공통 단자 구멍(20)과,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꽂는 선택 단자 구멍(21), (22), (23)과, 선택 단자 구멍(21) 내지 (23)을 선택적으로 개구시키는 셔터판(4), (5)을 구비하고, 로터리 스위치(3)가, 그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볼록부(32), (33)를 가지며, 셔터판(4)이 공통 단자 구멍(20)에 대응하는 구멍(41)을 가지고 공통 단자 구멍(20)의 중심을 회전축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동시에, 볼록부(32)에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42)를 가지고 볼록부(32)의 이동으로 선택 단자 구멍(21) 및 선택 단자 구멍(22) 중 어느 한쪽을 개구시키도록 회전가능하고, 셔터판(5)이 볼록부(33)에 걸어맞춤 가능한 오목부(52)를 가지고, 볼록부(33)의 이동으로 선택 단자 구멍(23)을 개폐하도록 회전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터{MULTIMETER}
본 발명은, 측정 기능을 선택하는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에 따라,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는 복수의 선택 단자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구시키는 멀티미터에 관한 것이다.
전압 측정, 전류 측정, 저항 측정 등의 복수의 측정 기능을 지니는 측정기인 멀티미터("테스터"라고도 지칭됨)가 각종 측정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멀티미터는, 흑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기 위한 공통 단자 구멍 및 적색의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기 위한 복수의 선택 단자 구멍을 지니고 있다. 측정자는, 로터리 스위치를 회전시켜서 소망의 측정 기능을 선택하는 동시에, 선택한 측정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 단자 구멍에 적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고, 공통 단자 구멍에 흑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아서 측정을 행한다.
그런데, 측정자가 잘못된 선택 단자 구멍에 테스트 프로브를 꽂아서 사용한 경우, 멀티미터의 내부회로나 퓨즈를 파손시켜 버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측정용의 선택 단자 구멍에는 흘릴 수 있는 최대전류의 규정이 있으므로, 다른 측정 기능 시, 착오로 전류 측정용의 선택 단자 구멍을 사용해 버리면, 과대한 전류가 흘러서 퓨즈가 파손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으로 셔터판을 이동시키고, 측정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 단자 구멍을 개구시키도록 한 착오 삽입 방지 기구 부착 멀티미터가 알려져 있다.
JP 3522030 B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낸 멀티미터에서는,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을, 종동차나 톱니바퀴기구를 개재해서 셔터판에 전달시키고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해서,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상기 문헌의 도 12에 나타낸 멀티미터에서는, 종동차 등을 이용하고 있지 않아 구조적으로 간편하지만, 셔터판에 형성된 둥근 구멍이 선택 단자 구멍에 맞도록 셔터판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둥근 구멍보다도 큰 셔터판이 필요해서, 구조적으로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멀티미터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화하거나, 고기능화에 의한 내부회로의 복잡화에 대응하거나, 디자인성을 높이거나 하기 위하여, 셔터판 등의 착오 삽입 방지 기구를 공간 절약형인 것으로 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공간 절약형이며 구조적으로 간편한 셔터판 등의 착오 삽입 방지 기구를 구비한 멀티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양상에 의한 멀티미터는, 측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로터리 스위치와,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는 공통 단자 구멍과, 다른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꽂는 복수의 선택 단자 구멍과, 해당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으로 구동되어서 해당 선택 단자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구시키는 셔터판을 포함하는 멀티미터로서, 해당 로터리 스위치가, 그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제1볼록부 및 제2볼록부를 갖고 있고, 상기 셔터판으로서 제1셔터판 및 제2셔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셔터판이, 상기 공통 단자 구멍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지고 해당 공통 단자 구멍의 중심을 회전축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볼록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오목부를 해당 제1볼록부의 이동으로 제1선택 단자 구멍 및 제2선택 단자 구멍 중 어느 한쪽이 개구되도록 왕복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제2볼록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오목부를 가지고 해당 제2볼록부의 이동으로 제3선택 단자 구멍을 개폐하도록 왕복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에 의한 멀티미터는, 상기 제1양상에 기재된 것으로, 상기 제2셔터판이 상기 제3선택 단자 구멍을 개구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선택 단자 구멍을 차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양상에 의한 멀티미터는, 상기 제1 또는 제2양상에 기재된 것으로, 상기 제1셔터판 및 상기 제2셔터판의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티미터는, 제1 및 제2셔터판 등의 구조가 간편하고, 공간절약형이다. 특히, 제2셔터판이 제3선택 단자 구멍을 개폐시킬 뿐만 아니라, 제2선택 단자 구멍도 개폐시키는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간편한 구조이면서, 제1 내지 제3선택 단자 구멍 중 어느 하나만을 개구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셔터판의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등의 외력의 영향이 있었다고 해도 선택 단자 구멍의 개폐 상태를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멀티미터의 일부를 잘라내어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셔터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셔터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셔터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다른 멀티미터의 일부를 잘라내어 구조의 개요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셔터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멀티미터(1)를 도 1에 나타낸다. 멀티미터(1)는, 일 례로서 휴대형의 디지털 멀티미터이며, 하우징 박스(2), 로터리 스위치(3), 제1셔터판(4), 제2셔터판(5), 화장 패널(6), 공통 단자 구멍(20), 제1선택 단자 구멍(21), 제2선택 단자 구멍(22), 제3선택 단자 구멍(23) 및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패널(7)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 박스(2)의 정면측(도면의 관찰면 측)에, 로터리 스위치(3), 제1셔터판(4) 및 제2셔터판(5)이 부착되어 있어서, 로터리 스위치(3)의 베이스부(날밑부(31), 외주의 볼록부(32), (33), 절결부(35))나 셔터판(4), (5)이 화장 패널(6)에 의해 덮여서 은폐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착오 삽입 방지 기구로 되는 로터리 스위치(3)나 셔터판(4), (5)의 구조를 알 수 있도록, 그 부분의 화장 패널(6)을 잘라내어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 박스(2)는, 측정자가 한쪽 손으로 쥐기 쉬운 크기로 형성된 절연 수지제의 중공 케이스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하우징 박스(2)의 양측에, 충격보호용의 쿠션부재(18)가 부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 박스(2)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부 박스와 하부 박스의 2개로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내부에 측정용의 전기 회로 기판이나 전지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하우징 박스(2)에는,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도시 생략)를 꽂기 위한 공통 단자 구멍(20), 및, 다른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도시 생략)를 선택적으로 꽂기 위한 제1선택 단자 구멍(21), 제2선택 단자 구멍(22), 제3선택 단자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면의 오른쪽에서부터 선택 단자 구멍(21), 공통 단자 구멍(20), 선택 단자 구멍(22), 선택 단자 구멍(23)이 이 순서로, 등간격으로 일렬(직선 형상)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공통 단자 구멍(20)이나 선택 단자 구멍(21), (22), (23)의 안쪽에는, 테스트 프로브와의 접속용의 커넥터(C)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 박스(2)에는, 셔터판(4)의 회전축으로 되는 원통벽(24), 셔터판(4)의 위치 유지벽(26), (27), 셔터판(5)의 회전축으로 되는 원기둥(25) 및 셔터판(5)의 위치 유지벽(28)이, 하우징 박스(2)의 정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우징 박스(2)와 일체적으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벽(24)은, 공통 단자 구멍(20)의 구멍 둘레에, 공통 단자 구멍(20)의 중심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원통벽(24)의 내벽이 공통 단자 구멍(20)으로 되고 있다. 위치 유지벽(26)에는 측벽에 원호 형상의 움푹한 부분(26a), (26b)이 형성되어 있고, 위치 유지벽(27)에는 측벽에 원호 형상의 움푹한 부분(27a), (27b)이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25)은 선택 단자 구멍(23)의 주변에서 로터리 스위치(3) 측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 유지벽(28)에는 측벽에 원호 형상의 움푹한 부분(28a), (28b)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위치(3)는 측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로터리 스위치(3)의 노브(knob)(30)의 선단의 위치에서, 측정 기능이 선택된다. 이 예에서는, 로터리 스위치(3)는 전원 스위치도 겸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3)는, 일례로서, 전원 오프(OFF)의 위치(12a)로부터 시계방향 순으로, 교류 전압 측정 기능(위치(12b)), 직류 전압 측정 기능, 도통 측정 기능, 다이오드 극성 측정 기능, 저항 측정 기능, 용량 측정 기능(위치(12c)),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 A(암페어)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측정 기능이, 로터리 스위치(3)를 22.5도 회전시킬 때마다 전환되도록, 선택 위치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스위치(3)가 전원 오프의 위치(12a) 내지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 위치(12f)의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범위 규제 기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 스위치(3)로 선택된 측정 기능에 의해, 교류 전압 측정 기능(위치(12b)) 내지 용량 측정 기능(위치(12c))에서는, 선택 단자 구멍(21)을 사용한다.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 및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에서는, 선택 단자 구멍(22)을 사용한다.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에서는, 선택 단자 구멍(23)을 사용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화장 패널(6)에도 선택 단자 구멍(21) 내지 (23)이나 공통 단자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어서, 선택 단자 구멍(21) 내지 (23) 부근에는, 대응하는 측정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 기호, 마크 등이 표시되어 있고, 공통 단자 구멍(20) 부근에는, 공통 단자인 것을 나타내는 문자 등(예를 들어 「COM」)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터(1)에서는, 선택 단자 구멍(21)을 공통으로 사용하는 전류 측정 기능 이외의 측정 기능(교류 전압 측정 기능 내지 용량 측정 기능)의 그룹을, 로터리 스위치(3)의 회전 범위의 개시 단부 측(위치(12a)(b)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측정 기능의 선택 위치를 순서대로 배치한다. 그리고, 공통 단자 구멍(20)의 한쪽 측(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오른쪽)에 선택 단자 구멍(21)을 배치한다. 또한, 전류 측정 기능(㎂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의 그룹을, 로터리 스위치(3)의 회전 범위의 종단 측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회전 범위의 최후 측에 순서대로,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을 최종단으로 해서, 선택 위치를 배치한다. 그리고, 공통 단자 구멍(20)의 다른 쪽 측(도면에서는 일례로서 왼쪽)의 바로 옆에, 선택 단자 구멍(22)을 배치하고, 또한 그 옆에 선택 단자 구멍(23)을 배치한다.
로터리 스위치(3)는, 그 베이스부에 원반 형상의 날밑부(31)을 가지고 있다. 이 날밑부(31)는, 로터리 스위치(3)의 회전축심과 동심의 원반으로 되도록, 로터리 스위치(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밑부(31)의 원반의 판 두께는, 셔터판(4), (5)의 판 두께와 같거나 그것보다도 두꺼운 판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날밑부(31)의 측면(원호 형상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셔터판(5)과 슬라이딩(摺動)한다.
또, 날밑부(31)에는, 그 원반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제1볼록부(32) 및 제2볼록부(3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2)가 셔터판(4) 측에 위치하고, 볼록부(33)가 셔터판(5) 측에 위치하도록, 볼록부(32)와 볼록부(33)가 서로 날밑부(31)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32) 쪽이 볼록부(33)보다도 원반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도록, 서로의 돌출량을 다르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2)는, 전류 측정 기능 이외의 측정 기능(위치(12c))으로부터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으로 전환될 때, 및,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으로부터 전류 측정 기능 이외의 측정 기능(위치(12c))으로 전환될 때에, 후술하는 셔터판(4)의 오목부(42)와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 관계로 날밑부(31)(로터리 스위치(3))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볼록부(33)는,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으로부터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으로 전환될 때, 및,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으로부터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으로 전환될 때에, 후술하는 셔터판(5)의 오목부(52)와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 관계로 날밑부(3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밑부(31)에는, 볼록부(33)의 셔터판(5) 측(볼록부(32)의 반대쪽)의 바로 옆에,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5)는, 셔터판(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클리어런스(clearance)를 확보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5)는, 셔터판(5)의 회전 시 원호벽(56)으로부터 날밑부(31)가 밀리는 범위를, 적어도 절결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4)은, 베이스 판(40)에, 제1차폐 아암(43) 및 제2차폐 아암(44)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평탄한 1매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폐 아암(43)은 선택 단자 구멍(21)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차폐 아암(44)은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 판(40)은, 공통 단자 구멍(20)에 대응하는 구멍(41)을 지니고 있다. 이 구멍(41)은, 하우징 박스(2)의 원통벽(24)에 정확히 들어맞아, 원통벽(24)에 슬라이딩하는 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벽(24)에 구멍(41)이 들어맞음으로써(즉, 끼워맞춤됨으로써), 베이스 판(40)이 공통 단자 구멍(20)의 중심을 회전축심으로 해서 왕복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40)에는, 로터리 스위치(3)의 볼록부(32)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40)은, 로터리 스위치(3)의 볼록부(33)와는 걸어맞춤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위치(3)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한 볼록부(32)의 이동으로, 오목부(42)에 볼록부(32)가 걸어맞춤하여 베이스 판(40)이 왕복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40)의 왕복 회전으로, 셔터판(4)은 시소와 같이 움직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43)이 선택 단자 구멍(21)을 개구시켜 차폐 아암(4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차폐(폐쇄)하는 제1위치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43)이 선택 단자 구멍(21)을 차폐해서 차폐 아암(4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구시키는 제2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되는 위치 관계로, 볼록부(32), 베이스 판(40), 오목부(42), 차폐 아암(43), (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판(40)의 대체로 중앙부에 구멍(41)이 형성되어 있어서, 베이스 판(40)의 한쪽 측에 차폐 아암(43)이 형성되고, 다른 쪽 측에 차폐 아암(44)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 아암(43)과 차폐 아암(44)은, 소정 각도를 지니도록 베이스 판(40)에 형성되어 있다. 차폐 아암(43), (44)은, 선택 단자 구멍(21), (22)을 차폐가능한 필요 최소한의 크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예를 들어, 선택 단자 구멍(21)이 완전히 개구되도록, 차폐 아암(43)에는, 원호 형상의 절결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셔터판(4)의 회전 각도 등이나 선택 단자 구멍(21), (22) 등의 위치를 고려해서 차폐 아암(43), (44)의 각도나 형상 등이 결정되고 있다.
또 셔터판(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유지벽(26), (27)에 휘면서 슬라이딩하는 탄성 아암(45), (46)을 일체적으로 지니고 있다. 이 위치 유지벽(26) 및 탄성 아암(45)의 조, 위치 유지벽(27) 및 탄성 아암(46)의 조가 각각 셔터판(4)의 위치 유지 기구로 된다. 상기 제1위치에서, 탄성 아암(45)의 원호 형상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6a)에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탄성 아암(46)의 원호 형상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7a)에 끼워맞춤되어서 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제2위치에서 탄성 아암(45)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6b)에 끼워맞춤되는 동시에 탄성 아암(46)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7b)에 끼워맞춤되어서 위치가 유지되는 위치 관계로 탄성 아암(45), (46) 및 위치 유지벽(26), (27)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5)은, 베이스 판(50)에, 제3차폐 아암(53) 및 제4차폐 아암(54)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1매의 판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폐 아암(53)은 선택 단자 구멍(23)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차폐 아암(54)은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53)의 선두를 연장한 연장 부분을 차폐 아암(54)으로 함으로써, 구조, 형상이 간편해지고, 공간절약형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차폐 아암(53)과 차폐 아암(54)을 개별의 아암으로서 설치해도 된다.
베이스 판(50)은, 원기둥(25)에 정확히 들어맞고, 원기둥(25)에 슬라이딩하는 크기의 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원기둥(25)에 구멍(51)이 끼워맞춤됨으로써, 베이스 판(50)이 원기둥(25)을 회전축심으로 해서 왕복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50)에는, 로터리 스위치(3)의 볼록부(33)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는 구멍(51)의 한쪽 측(도면의 위쪽)에 형성되고, 차폐 아암(53), (54)은 구멍(51)의 다른 쪽 측(도면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위치(3)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한 볼록부(33)의 이동으로, 오목부(52)에 볼록부(33)가 걸어맞춤하여 베이스 판(50)이 왕복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베이스 판(50)의 왕복 회전으로, 셔터판(5)은 시소와 같이 움직이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53)이 선택 단자 구멍(23)을 차폐해서 차폐 아암(5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구시키는 제3위치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53)이 선택 단자 구멍(23)을 개구시켜 차폐 아암(5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차폐하는 제4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되는 위치 관계로, 볼록부(33), 베이스 판(50), 오목부(52), 차폐 아암(53), (54)이 형성되어 있다. 셔터판(5)의 회전 시, 셔터판(4)과 셔터판(5)이 간섭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판(4)에 원호 형상의 절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셔터판(5)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유지벽(28)에 휘면서 슬라이딩하는 탄성 아암(55)을 일체적으로 지니고 있다. 이 위치 유지벽(28) 및 탄성 아암(55)의 조가 셔터판(5)의 위치 유지 기구로 된다. 상기 제3위치에서, 탄성 아암(55)의 원호 형상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8a)에 끼워맞춤되어 위치가 유지되고, 상기 제4위치에서 탄성 아암(55)의 선단부가 움푹한 부분(28b)에 끼워맞춤되어서 위치가 유지되는 위치 관계로 탄성 아암(55) 및 위치 유지벽(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판(5)은, 날밑부(31)과 거의 같은 원호 직경으로 형성되어서, 날밑부(31)에 슬라이딩 가능한 원호벽(56)(위치 유지 기구의 다른 예)을 베이스 판(50)에 지니고 있다. 이 원호벽(56)은, 셔터판(5)이 도 1에 나타낸 제3위치일 때에, 로터리 스위치(3)(날밑부31)와 동심으로 되도록 베이스 판(50)에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벽(56)은, 제3위치일 때, 로터리 스위치(3)의 회전 중심과 원기둥(25)의 중심를 연결하는 가상 직선(도시 생략)을 조금이라도 가로지르도록 베이스 판(50)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박스(2), 로터리 스위치(3), 셔터판(4), (5)은, 서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슬라이딩성이나 내구성 양호한, 예를 들어, 변성 폴리페닐렌에터(PPE)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E는 탄성(가요성)도 지니므로, 탄성 아암(45), (46)이나 탄성 아암(55)을 지니는 셔터판(4), (5)에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멀티미터(1)의 동작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측정자가, 도 1에 나타낸 노브(30)을 잡아서 로터리 스위치(3)를 회전시키면, 볼록부(32) 및 볼록부(33)도 함께 로터리 스위치(3)의 외주를 돌도록 이동한다.
로터리 스위치(3)(노브(30))가 전원 오프(위치(12a))로부터 용량 측정 기능(위치(12c)) 범위를 회전할 때에는, 볼록부(32)가 셔터판(4)의 오목부(42)에 걸어맞춤하지 않고, 볼록부(33)가 셔터판(5)의 오목부(52)에 걸어맞춤하지 않으므로, 셔터판(4), (5)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셔터판(4)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아암(43)이 선택 단자 구멍(21)을 개구시키고, 차폐 아암(4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차폐하는 제1위치를 유지하는 동시에, 셔터판(5)은, 차폐 아암(53)이 선택 단자 구멍(23)을 차폐해서 차폐 아암(5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구시키는 제3위치를 유지한다.
셔터판(4)은, 탄성 아암(45), (46)이 위치 유지벽(26), (27)(2조의 위치 유지 기구)에서 유지되므로, 진동 등으로 움직이지 않고, 확실하게 위치가 유지된다. 또, 1조의 위치 유지 기구에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셔터판(5)은, 탄성 아암(55)이 위치 유지벽(28)으로 유지되므로, 진동 등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셔터판(5)은, 회전시키고자 하는 외력이 작용해도 원호벽(56)의 오목부(52) 측의 단부가 날밑부(31)에 밀려서 닿으므로, 셔터판(5)의 회전이 저지되어서, 제3위치에 한층 유지된다.
로터리 스위치(3)를, 도 1에 나타낸 용량 측정 기능(위치(12c))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로 전환할 때에, 볼록부(32)가 오목부(42)에 걸어맞춤한다. 볼록부(32)는, 로터리 스위치(3)의 회전과 함께 이동해서, 걸어맞춤한 오목부(42)의 내벽을 회전 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셔터판(4)이 원통벽(24)(공통 단자 구멍(20))을 축으로 해서 회전한다. 이 셔터판(4)의 회전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이 되었을 때에, 셔터판(4)은, 차폐 아암(43)이 선택 단자 구멍(21)을 차폐해서 차폐 아암(4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개구시키는 제2위치로 된다. 셔터판(4)은, 탄성 아암(45), (46) 및 위치 유지벽(26), (27)에 의해 제2위치에서 유지된다.
볼록부(33)의 돌출량은 작기 때문에, 볼록부(33)는 셔터판(4)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로터리 스위치(3)를, 도2에 나타낸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으로 회전시켜도, 볼록부(33)는, 오목부(52)에 걸어맞춤하지 않고 오목부(52)를 밀지 않으므로, 셔터판(5)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셔터판(5)은 제2위치를 유지한다.
로터리 스위치(3)를, 도 3에 나타낸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으로 회전시킬 때에, 볼록부(33)가 오목부(52)에 걸어맞춤해서 밀기 때문에, 셔터판(5)을 밀어서 돌린다. 이 회전으로, 셔터판(5)은, 차폐 아암(53)이 선택 단자 구멍(23)을 개구시키고 차폐 아암(54)이 선택 단자 구멍(22)을 차폐하는 제4위치로 된다. 셔터판(5)은, 탄성 아암(55)이 위치 유지벽(28)에 의해 유지되므로, 제4위치에서 유지되어서, 진동 등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볼록부(32)가, 볼록부(33)와 함께 셔터판(5)을 밀도록 걸어맞춤하여, 셔터판(5)을 회전시켜도 된다.
이 도 3으로부터 도 4로의 셔터판(5)의 회전 시, 원호벽(56)의 오목부(52) 측의 단부는, 날밑부(31)에 밀려서 닿지 않아 절결부(35)를 통과하므로, 셔터판(5)의 회전은 저지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한다.
공통 단자 구멍(20)은 도 1 내지 도 4 중 어느 상태이더라도 개구된 채이다.
로터리 스위치(3)를, 반대로 회전시켜서, 도 4에 나타낸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e))에 회전시킬 때에는, 볼록부(33)가 오목부(52)에 걸어맞춤해서 미는 것에 의해, 셔터판(5)이 회전해서 도 3에 나타낸 제3위치로 된다.
로터리 스위치(3)를, 도 2에 나타낸 ㎂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d))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 측정 기능(위치(12c))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볼록부(32)가 오목부(42)에 걸어맞춤해서 미는 것에 의해, 셔터판(4)이 회전해서 도 1에 나타낸 제1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3)에 형성된 볼록부(32)의 이동에 의해 셔터판(4)이 왕복으로 회전하고, 볼록부(33)의 이동에 의해 셔터판(5)이 왕복으로 회전함으로써, 로터리 스위치(3)의 위치에 따라서, 선택 단자 구멍(31) 내지 (33) 중 어느 한쪽만이 선택적으로 개구된다. 볼록부(32), (33) 및 셔터판(4), (5)의 구성은 간편해서, 이들의 배치에 필요한 공간은 절약된다.
다음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다른 멀티미터(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멀티미터(1a)는, 차폐 아암(53)만을 갖고 차폐 아암(54)을 가지고 있지 않은 셔터판(5a)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전술한 멀티미터(1)와는 다르다. 멀티미터(1a)의 다른 구성은 멀티미터(1)의 구성과 같다.
멀티미터(1a)는, 차폐 아암(54)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3)가 A 수준의 전류 측정 기능(위치(12f))에 위치하고 있을 때, 선택 단자 구멍(22) 및 선택 단자 구멍(23)이 개구된다. 로터리 스위치(3)가 다른 측정 기능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멀티미터(1)와 마찬가지로, 선택 단자 구멍(21), (22) 중 어느 하나가 개구된다.
전술한 멀티미터(1)와 같이, 선택 단자 구멍(21) 내지 (23) 중 어느 한쪽만을 개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성을 간략화해서, 이 멀티미터(1a)와 같이, 특정 측정 기능 시 2개의 선택 단자 구멍(22), (23)을 개구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멀티미터(1), (1a)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셔터판(4), (5)의 위치 유지 기구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고, 클릭부나 돌기 등에 의해 유지하도록 해도 되고, 공지의 각종 위치 유지용의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또, 위치의 전환을 분명하게 하는 구조를 추가해도 된다.
또한, 공통 단자 구멍(20)의 오른쪽에 전압 측정 기능 등으로 사용하는 선택 단자 구멍(21)을 배치하고, 공통 단자 구멍(20)의 왼쪽에 전류 측정 기능으로 사용하는 선택 단자 구멍(22), (23)을 배치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반대의 배치로서, 공통 단자 구멍(20)의 왼쪽에 선택 단자 구멍(21)을 배치하고, 공통 단자 구멍(20)의 오른쪽에 선택 단자 구멍(22), (23)을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각단자 구멍(20) 내지 (23)의 위치나 개폐 상태에 대응시켜서, 볼록부(32), (33)의 위치나 셔터판(4), (5)의 위치 및 형상, 차폐 아암(43), (44)의 형상이나 각도, 차폐 아암(53), (54)의 형상이나 각도 등을 적절하게 변경한다.
또, 차폐 아암(43)이 하나의 선택 단자 구멍(21)을 차폐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1의 선택 단자 구멍(21)보다도 오른쪽에 또 다른 선택 단자 구멍을 형성하고, 별도로 형성된 선택 단자 구멍을 선택 단자 구멍(43)과 함께 차폐 아암(43)으로 차폐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각 단자 구멍(20) 내지 (23)을, 직선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적절하게 형상을 변형시킨 차폐 아암(43), (44), (53), (54)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치이면, 곡선 형상으로 나열하여 배치해도 되고, 그 배치는 임의이다.
셔터판(4), (5)을 평탄한 1매의 판체로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베이스 판(40), (50)을 두꺼운 판체로 형성하고, 차폐 아암(43), (44)이나 차폐 아암(53), (54)을 얇은 판체로 형성해도 된다. 셔터판(4), (5)의 형상, 판 두께 등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또, 하우징 박스(2)에 회전축용의 원통벽(24)을 형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베이스 판(40)의 이면 쪽에 원통벽을 형성하고, 이 원통벽을 공통 단자 구멍(20)에 끼워맞춤하여 베이스 판(40)을 회전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판(40), (50)의 회전축의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1, 1a: 멀티미터 2: 하우징 박스
3: 로터리 스위치 4: 제1셔터판
5, 5a: 제2셔터판 6: 화장 패널
7: 표시 패널 12a 내지 12f: 위치
18: 쿠션부재 20: 공통 단자 구멍
21: 제1선택 단자 구멍 22: 제2선택 단자 구멍
23: 제3선택 단자 구멍 24: 원통벽
25: 원기둥 26, 27, 28: 위치 유지벽
26a, 26b, 27a, 27b, 28a, 28b: 움푹한 부분
30: 노브(knob) 31: 날밑부
32: 제1볼록부 33: 제2볼록부
35: 절결부 40: 베이스 판
41: 구멍 42: 제1오목부
43: 제1차폐 아암 44: 제2차폐 아암
45, 46: 탄성 아암 48, 49: 절결부
50: 베이스 판 51: 구멍
52: 제2오목부 53: 제3차폐 아암
54: 제4차폐 아암 55: 탄성 아암
56: 원호벽 C: 커넥터

Claims (3)

  1. 측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로터리 스위치와,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는 공통 단자 구멍과, 다른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꽂는 복수의 선택 단자 구멍과, 해당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으로 구동되어서 해당 선택 단자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구시키는 셔터판을 포함하는 멀티미터로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는, 해당 로터리 스위치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제1볼록부 및 제2볼록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셔터판으로서 제1셔터판 및 제2셔터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셔터판은, 상기 공통 단자 구멍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지고 해당 공통 단자 구멍의 중심을 회전축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볼록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1오목부를 가지고, 해당 제1볼록부의 이동으로 제1선택 단자 구멍 및 제2선택 단자 구멍 중 어느 한쪽이 개구되도록 왕복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제2볼록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제2오목부를 가지고 해당 제2볼록부의 이동으로 제3선택 단자 구멍을 개폐하도록 왕복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판은 상기 제3선택 단자 구멍을 개구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선택 단자 구멍을 차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셔터판 및 상기 제2셔터판의 각각의 위치를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터.
KR1020130072698A 2012-06-28 2013-06-24 멀티미터 KR101959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5706A JP5912919B2 (ja) 2012-06-28 2012-06-28 マルチメータ
JPJP-P-2012-145706 201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59A KR20140001759A (ko) 2014-01-07
KR101959329B1 true KR101959329B1 (ko) 2019-03-18

Family

ID=4977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98A KR101959329B1 (ko) 2012-06-28 2013-06-24 멀티미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1759B2 (ko)
JP (1) JP5912919B2 (ko)
KR (1) KR101959329B1 (ko)
CN (1) CN103529264B (ko)
TW (1) TWI5740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23959S1 (en) 2013-06-19 2015-03-10 Danaher (Shanghai) Industrial Instrumentation Technologies R&D Co., Ltd. Digital multimeter
USD724454S1 (en) * 2013-06-19 2015-03-17 Danaher (Shanghai) Industrial Instrumentation Technologies R&D Co., Ltd. Digital multimeter
USD766117S1 (en) * 2015-06-30 2016-09-13 Klein Tools, Inc. Digital multimeter
CN105137143A (zh) * 2015-09-11 2015-12-09 成都华兴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多转角表位探测点显示的无线万用表
US10056203B2 (en) * 2016-10-14 2018-08-21 Brymen Technology Corporation Multimeter with protection mechanism of charge switching
CN107894525A (zh) * 2017-11-23 2018-04-10 长兴曼尔申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矿用电子式测量万用表
TWI683109B (zh) * 2018-11-16 2020-01-21 瑞星科技股份有限公司 電表測試棒及使用該電表測試棒之電表組合
JP7228261B2 (ja) * 2020-05-01 2023-02-24 共立電気計器株式会社 データ転送機能付きマルチメータ、マルチメータ本体、及びプログラム
KR102296457B1 (ko) * 2020-05-28 2021-09-02 울산과학기술원 전자 계측 장치
USD946430S1 (en) * 2020-07-28 2022-03-22 Chauvin Arnoux Power energy logger
KR20240014939A (ko) 2022-07-26 2024-02-02 (주)티에이치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830A (ja) 2006-09-18 2010-02-04 佳▲菁▼ 臧 測定機能自動選択のデジタル・マルチメーター
US20120103765A1 (en) 2007-08-14 2012-05-03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improved rotary switch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030A (en) 1975-06-24 1977-01-08 Furukawa Electric Co Ltd Reinforcement for concrete
JP2797430B2 (ja) * 1989-05-19 1998-09-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マルチメータ
DE4027801C2 (de) * 1990-09-01 1994-05-26 Metrawatt Gmbh Multimeter mit mindestens drei Eingangsanschlüssen
JPH04118669U (ja) * 1991-04-05 1992-10-23 横河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測定器の入力保護機構
JPH0633070U (ja) * 1992-10-05 1994-04-28 宗正 李 マルチメータのプローブ連結指示装置
KR950006889Y1 (ko) * 1993-04-20 1995-08-22 엘지정밀 주식회사 디지탈 멀티메타의 입력 플러그 오삽입 방지 및 경보장치
JP3522030B2 (ja) 1995-01-19 2004-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誤入力防止機構付きマルチメータ
US6218824B1 (en) * 1998-05-07 2001-04-17 Tektronix, Inc. Simplified user interface and control system for a multimeter
CN2445332Y (zh) * 2000-09-16 2001-08-29 深圳华谊仪表有限公司 数字万用表机械防误操作装置
CN1786719A (zh) * 2005-12-02 2006-06-14 熊向阳 电工测量仪表电子防误操作装置及用途
DE102005062624B8 (de) * 2005-12-23 2008-07-24 Gmc-I Gossen-Metrawatt Gmbh Multimeter
US7654857B2 (en) * 2007-08-14 2010-02-02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sealed input jack detection arrangement
US7911200B2 (en) * 2007-08-14 2011-03-22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case panel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830A (ja) 2006-09-18 2010-02-04 佳▲菁▼ 臧 測定機能自動選択のデジタル・マルチメーター
US20120103765A1 (en) 2007-08-14 2012-05-03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improved rotary swi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29264B (zh) 2017-05-17
CN103529264A (zh) 2014-01-22
KR20140001759A (ko) 2014-01-07
JP2014010007A (ja) 2014-01-20
TWI574016B (zh) 2017-03-11
US20140002059A1 (en) 2014-01-02
US8981759B2 (en) 2015-03-17
JP5912919B2 (ja) 2016-04-27
TW201405134A (zh) 201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329B1 (ko) 멀티미터
EP1612824A1 (en) Illuminated disconnecting handle for use with CDM
GB2486366A (en) Multimeter rotary switch assembly
JPWO2014010110A1 (ja) スイッチギヤ
JPH10246737A (ja) 誤入力防止機構付きマルチメータ
CN103378522A (zh) 适配器
KR101664320B1 (ko) 누설전류의 상시 검출이 가능한 접지 단자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JP5568435B2 (ja) マルチメータ
US9455099B2 (en) Power-switch with internal voltage measurement
US20160156161A1 (en) Touch-safe bus connection slider circuit breaker panel
JP6811420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EP1612825A1 (en) Disconnecting handle with auxiliary contacts for use with cdm
KR102551599B1 (ko) 어댑터
JP5975757B2 (ja) マルチメータ
US9824830B2 (en) Switch, in particular load interrupter switch
US9595405B2 (en) Circuit break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tact for tapping a voltage
JPS6239333Y2 (ko)
JP2013175349A (ja) スイッチ装置
KR101045474B1 (ko) 회로 차단기
CN220120950U (zh) 一种旋钮霍尔开关的测试工装
JP2017058209A (ja) 携帯型検査装置
CN219085878U (zh) 指示机构和开关
JP2018190560A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6851019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CN210897051U (zh) 一种断路器与隔离开关互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