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939A -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939A
KR20240014939A KR1020220092730A KR20220092730A KR20240014939A KR 20240014939 A KR20240014939 A KR 20240014939A KR 1020220092730 A KR1020220092730 A KR 1020220092730A KR 20220092730 A KR20220092730 A KR 20220092730A KR 20240014939 A KR20240014939 A KR 20240014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energization
tes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2009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939A/ko
Publication of KR20240014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8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using electro-op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선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테스트 전원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일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1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1 권취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타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2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2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2 권취부, 상기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테스트 전원부, 상기 제2 멀티 단자부 및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로 이루어진 전류 루프를 흐르는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는 통전 감지부 및 상기 통전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변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배선에 대한 통전 테스트 과정에서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테스트 단자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통전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테스트 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ELECTRIC CURRENT TEST DEVIC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선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로서, 자동차용 배선에 대한 통전 테스트 과정에서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테스트 단자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통전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테스트 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압 측정, 전류 측정, 저항 측정 등의 복수의 측정 기능을 지니는 측정기인 멀티미터가 각종 측정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멀티미터에는 흑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기 위한 공통 단자 구멍 및 적색의 테스트 프로브의 커넥터를 꽂기 위한 복수의 선택 단자 구멍이 구비되고, 측정자는 로터리 스위치를 회전시켜서 원하는 측정 기능을 선택하는 동시에, 선택한 측정 기능에 대응하는 선택 단자 구멍에 적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고, 공통 단자 구멍에 흑색의 테스트 프로브를 꽂아서 측정을 행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르면, 통전 테스트의 결과 정보를 부저음만을 통해 출력하기 때문에, 소음이 심한 작업 환경에서는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게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전 환경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보유하는 테스터기가 이 환경에 맞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작업자의 테스트 봉의 직경이 측정체의 홀보다 큰 경우, 작업자의 2개의 테스트 봉의 합산 길이가 통전 테스트의 대상인 두 접촉 지점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경우, 작업자는 테스트기를 교체하지 않는 한 통전 테스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9430호(공개일자: 2008년 04월 03일, 명칭: 디지털 멀티미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1759호(공개일자: 2014년 01월 07일, 명칭: 멀티미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차용 배선에 대한 통전 테스트 과정에서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테스트 단자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통전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테스트 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선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테스트 전원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일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1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1 권취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타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2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2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2 권취부, 상기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테스트 전원부, 상기 제2 멀티 단자부 및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로 이루어진 전류 루프를 흐르는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는 통전 감지부 및 상기 통전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변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는 상기 통전 테스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청각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통전 테스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시각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멀티 단자부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1 권취부는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멀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1 권취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멀티 단자부가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 단자부와 상기 제2 멀티 단자부는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형 단자, 상기 클립형 단자, 상기 수 터미널형 단자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배선에 대한 통전 테스트 과정에서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테스트 단자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통전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의 기능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멀티 단자부를 권취하는 권취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멀티 단자부가 통전 테스트를 위해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고, 통전 테스트가 종료된 후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1)의 기능적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멀티 단자부를 권취하는 권취부의 예시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멀티 단자부가 통전 테스트를 위해 하우징(10) 외부로 인출되고, 통전 테스트가 종료된 후 하우징(10) 내부로 인입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자동차용 배선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1)로서, 하우징(10), 테스트 전원부(20), 제1 멀티 단자부(30), 제1 권취부(40), 제2 멀티 단자부(50), 제2 권취부(60), 통전 감지부(70), 통전 테스트 제어부(80), 청각 정보 제공부(90) 및 시각 정보 제공부(1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1)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되거나 배치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작업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통전 테스트 작업을 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스트 전원부(20)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으며 통전 테스트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테스트 전원부(2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제1 멀티 단자부(30)는 일 종단이 테스트 전원부(20)의 일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1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1 멀티 단자부(30)의 타 종단에는 복수의 단자가 연결되고, 이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종단인 일 종단이 테스트 전원부(20)의 일 단자인 양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 단자부(30)는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를 포함하고, 이들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통전 테스트 환경을 확인한 후, 적합한 테스트 단자를 선택하여 다양한 통전 테스트 환경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1 권취부(40)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1 멀티 단자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1)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1 멀티 단자부(3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제1 권취부(40)는 이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멀티 단자부(30)의 전선 부분이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2)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 작업자가 제1 멀티 단자부(30)에 대한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제1 권취부(40)는 탄성력에 의해 이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멀티 단자부(30)의 전선 부분이 제1 권취부(40)에 권취되어 하우징(10)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멀티 단자부(50)는 일 종단이 테스트 전원부(20)의 타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2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2 멀티 단자부(50)의 타 종단에는 복수의 단자가 연결되고, 이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선의 종단인 일 종단이 테스트 전원부(20)의 타 단자인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멀티 단자부(50)도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를 포함하고, 이들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가 통전 테스트 환경을 확인한 후, 적합한 테스트 단자를 선택하여 다양한 통전 테스트 환경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2 권취부(60)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으며 제2 멀티 단자부(5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 및 도 3의 예시를 참조하면, 1)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2 멀티 단자부(5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제2 권취부(60)는 이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멀티 단자부(50)의 전선 부분이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고, 2)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 작업자가 제2 멀티 단자부(50)에 대한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제2 권취부(60)는 탄성력에 의해 이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멀티 단자부(50)의 전선 부분이 제2 권취부(60)에 권취되어 하우징(10)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전 감지부(70)는 제1 멀티 단자부(30), 테스트 전원부(20), 제2 멀티 단자부(50) 및 통전 테스트 대상체로 이루어진 전류 루프를 흐르는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여 통전 테스트 제어부(8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전 테스트 제어부(80)는 통전 감지부(7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변동 신호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청각 정보 제공부(90)와 시각 정보 제공부(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청각 정보 제공부(90)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시각 정보 제공부(100)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는, 통전 테스트 대상체를 확인한 작업자가 제1 멀티 단자부(30)와 제2 멀티 단자부(50)에서 통전 테스트 환경에 적합한 단자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제1 멀티 단자부(30)와 제2 멀티 단자부(50)는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를 포함하고, 이들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통전 테스트 환경을 확인한 후, 적합한 테스트 단자를 선택하여 다양한 통전 테스트 환경에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단계 S20에서는, 작업자가 제1 멀티 단자부(30)에서 선택된 제1 단자와 제2 멀티 단자부(50)에서 선택된 제2 단자를 하우징(10)에서 인출하여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두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예를 들어,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1 멀티 단바주와 제2 멀티 단자부(50)에 각각 외력을 가하는 경우, 제1 권취부(40)와 제2 권취부(60)는 각각 이들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멀티 단자부(30)와 제2 멀티 단자부(50)의 전선 부분이 하우징(10)으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30에서는, 통전 감지부(70)가 전류 변동을 모니터링하여 통전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40에서는, 통전 감지부(70)가 전류 변동 신호를 통전 테스트 제어부(80)로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50에서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80)가 통전 감지부(70)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변동 신호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청각 정보 제공부(90)와 시각 정보 제공부(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단계 S60에서는, 청각 정보 제공부(90)가 통전 테스트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70에서는, 시각 정보 제공부(100)가 통전 테스트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단계 S80를 통해 통전 테스트가 동료된 경우, 단계 S90으로 전환되어 제1 멀티 단자부(30)와 제2 멀티 단자부(50)를 하우징(10) 내부로 인입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예를 들어,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 작업자가 제1 멀티 단자부(30)와 제2 멀티 단자부(50)에 대한 외력을 각각 해제하는 경우, 제1 권취부(40)는 탄성력에 의해 제1 멀티 단자부(30)에 가해지던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멀티 단자부(30)의 전선 부분이 제1 권취부(40)에 권취되어 하우징(10)으로 인입되고, 제2 권취부(60)도 탄성력에 의해 제2 멀티 단자부(50)에 가해지던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 멀티 단자부(50)의 전선 부분이 제2 권취부(60)에 권취되어 하우징(10)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배선에 대한 통전 테스트 과정에서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 및 시각적으로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작업자가 통전 여부를 명확하고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와 규격을 갖는 테스트 단자를 적용함으로써, 작업자가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고, 통전 테스트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테스트 단자에 연결된 전선 부분을 필요에 따라 하우징에서 인출하여 작업하고 작업 완료 후에는 다시 인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편의성과 휴대성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다.
1: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10: 하우징
20: 테스트 전원부
30: 제1 멀티 단자부
40: 제1 권취부
50: 제2 멀티 단자부
60: 제2 권취부
70: 통전 감지부
80: 통전 테스트 제어부
90: 청각 정보 제공부
100: 시각 정보 제공부

Claims (6)

  1. 자동차용 배선의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테스트 전원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일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1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1 권취부;
    일 종단이 상기 테스트 전원부의 타 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 종단에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제2 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제2 멀티 단자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멀티 단자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자를 제외한 전선을 권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하는 제2 권취부;
    상기 제1 멀티 단자부, 상기 테스트 전원부, 상기 제2 멀티 단자부 및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로 이루어진 전류 루프를 흐르는 전류의 변동을 감지하는 통전 감지부; 및
    상기 통전 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류 변동 신호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통전 테스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테스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청각 정보 제공부; 및
    상기 통전 테스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시각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제1 멀티 단자부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제1 권취부는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멀티 단자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테스트 대상체의 통전 여부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어 상기 작업자가 상기 외력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제1 권취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외력에 대응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멀티 단자부가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 단자부와 상기 제2 멀티 단자부는 봉형 단자, 클립형 단자, 수 터미널형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 단자, 상기 클립형 단자, 상기 수 터미널형 단자는 각각 상이한 규격을 갖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KR1020220092730A 2022-07-26 2022-07-26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KR20240014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30A KR20240014939A (ko) 2022-07-26 2022-07-26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730A KR20240014939A (ko) 2022-07-26 2022-07-26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939A true KR20240014939A (ko) 2024-02-02

Family

ID=8990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730A KR20240014939A (ko) 2022-07-26 2022-07-26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9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30A (ko) 2006-09-29 2008-04-03 박남수 디지털 멀티미터
KR20140001759A (ko) 2012-06-28 2014-01-07 히오끼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멀티미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430A (ko) 2006-09-29 2008-04-03 박남수 디지털 멀티미터
KR20140001759A (ko) 2012-06-28 2014-01-07 히오끼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멀티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68821A (ja) 複数電気線用導通試験器
JP3217195U (ja) 4線式測定ケーブル及びインピーダンス測定システム
US20240039175A1 (en) Wire Nut Electrical Connector
KR20240014939A (ko) 자동차용 통전 테스트 장치
JP2015025775A (ja) 通電試験システム、通電試験装置および通電試験方法
JP2977189B2 (ja) 導電接触ピン
JP2008107088A (ja) 試験プラグ
CN208125876U (zh) 一种三极管开尔文测试组件
CN215180606U (zh) 电气检测辅助工具
CN110857953A (zh) 一种测量通电回路中导体连接点电阻的测试仪及测量方法
CN211374847U (zh) 测试工具的延长测试探头及测试工具
US783305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zeroing a test instrument
JP2002257888A (ja) 多芯ケーブル検査方法および多芯ケーブル検査装置
CN208270635U (zh) 多功能测试设备
KR102626581B1 (ko) 적어도 하나의 전기 케이블의 절연 및/또는 비단선을 모니터링하는 디바이스 및 연관된 모니터링 방법
CN109521278B (zh) 一种同轴电缆内外导体电阻的测试工装及方法
CN212255644U (zh) 一种检测线束通断和线序的装置
JPH0129590Y2 (ko)
CN217639205U (zh) 端子排试验插销
CN218383106U (zh) 用于测试电子电气部件的开关集成装置、测试系统及车辆
JP2002142018A (ja) ユニバーサル型回線試験器
CN217181062U (zh) 一种电动汽车非车载充电机绝缘电阻测试装置
CN215219100U (zh) 一种电源模块测试装置
CN210155230U (zh) 一种防爆插头安全验电装置
CN110531208A (zh) 用于电缆的自动寻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