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474B1 -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474B1
KR101045474B1 KR1020070100932A KR20070100932A KR101045474B1 KR 101045474 B1 KR101045474 B1 KR 101045474B1 KR 1020070100932 A KR1020070100932 A KR 1020070100932A KR 20070100932 A KR20070100932 A KR 20070100932A KR 101045474 B1 KR101045474 B1 KR 10104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reaker
inlet
breaker cas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902A (ko
Inventor
카토 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010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4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92Transparent window or opening, e.g. for allowing visual inspection of contact position or contact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차단기 케이스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부하측 단자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한다.
단상 3선식 전기회로에 사용하는 회로 차단기(1)에 있어서, 얇은 상자형의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3)를 설치한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세 개의 부하측 단자(4)와 전원측 단자(5)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전선(9)을 부하측 단자(4)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7)를 설치한다. 단자인입구(7)의 위쪽에 전선(9)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1)을 형성한다. 단자인입구(7)의 아래 쪽에 계기의 측정 단자를 속결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끼움홈(12)을 설치한다. 확인창(11)의 배후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 표시 기구를 설치한다.
회로차단기, 콤팩트, 소형, 박형

Description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분전반 등에 설치되는 두께가 얇은 형태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하측 단자 주변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전반 내에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차단기 케이스의 폭을 얇게 한 회로 차단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복수의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한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 종래 부하측 단자에 전선의 접속이 용이한 속결단자를 채용한 회로 차단기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 근방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하로 긴 표시부재를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전선이 속결단자 전극에 올바르게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표시부재의 회동 위치에 의해서 표시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부하측 단자를 가리는 단자 커버에, 끼움홈과 덮개를 단자인입구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하고, 끼움홈에 계기의 측정 단자를 찔러넣어 도통 시험이나 절연 저항 측정 시험 등을 실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부하측 단자측의 전기회로에 흐르는 전압을 차단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한 슬라이드식의 손잡이로서 케이스 내부의 스위치 기구를 개입시켜 절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7-12594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 2005-353380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평 7-50127호 공보
[특허 문헌 4] 특개 2004-8724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회로 차단기는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대한 전선의 접속 상태를 상하로 긴 표시부재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부하측 단자를 차단기 케이스의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하는 경우에는 표시부재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차단기 케이스 내에 표시부재를 좌우로 나란히 설치할 필요가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가 두꺼워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3의 회로 차단기는 측정 시험용의 끼움홈을 단자인입구와 직각의 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분전반 내에서 회로 차단기를 나란히 설치했을 경우에 문의 개폐나 측정 단자의 삽입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문헌 4의 회로 차단기는 전압 전환용의 스위치 기구를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케이스의 두께가 더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단기 케이스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도 부하측 단자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회로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를 설치하고, 단자인입구의 위쪽에 전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며, 단자인입구의 아래 쪽에 계기의 측정 단자를 속결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끼움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와 전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선의 끝단에 의해 이동되는 미끄럼부재와, 상기 미끄럼부재를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미끄럼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표시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표시부재에 확인창과 대향하는 표시면을 형성하여, 표시부재의 회 동에 따라 표시면의 일부가 확인창으로부터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표시부재를 원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차단기 케이스에 표시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형의 수용부를 설치하며, 표시부재의 편심 부위에 미끄럼부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기재의 회로 차단기.
(4)표시부재를 속결단자 전극의 위쪽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축선 주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또는 (3) 기재의 회로 차단기.
(5)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와, 계기의 측정 단자를 속결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끼움홈 및 상기 끼움홈을 개폐 가능하게 가리는 커버 부재를 설치하여, 커버 부재를 차단기 케이스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커버 부재에 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의 양쪽 모두가 동시에 노출 가능한 길이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커버 부재가 개구부로부터 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의 양쪽 모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개구부로부터 단자인입구만을 노출시키는 폐쇄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기재의 회로 차단기.
(7)커버 부재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 기재의 회로 차단기.
(8)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 하기 위한 단자인입구와 단자인입구를 선택적으로 가리는 봉인 커버를 설치하고, 봉인 커버가 단자인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접합하는 접합부를 갖추어 차단기 케이스에 접합부를 거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걸림부에 의해 삽입부를 단자인입구에 빠뜨려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9)차단기 케이스가 좌우 한 벌의 분할체를 갖추어, 분할체의 앞쪽 테두리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좌우의 분할체를 조립한 상태에서, 걸림부가 차단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접합부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기재의 회로 차단기.
(10)부하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세 개 배열하여, 하나의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를 봉인 커버로 선택적으로 가리고 나머지 두 개의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를 통해 전선을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 또는 (9) 기재의 회로 차단기.
상기 (1)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와 접속 확인용의 확인창 및 측정 시험용의 끼움홈을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상하로 배열했으므로, 차단기 케이스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부하측 단자의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2)~(4)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단자인입구와 확인창을 설치하고 확인창의 배후에서 표시부재를 전선에 의해 미끄럼부재를 개입시켜 회동하므로, 부하측 단자 전극의 표시 기구를 상하의 단자인입구의 사이에 조립하여 차단기 케이스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5)~(7)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단자인입구와 측정 시험용의 끼움홈을 설치하고 끼움홈을 커버 부재로 개폐 가능하게 가렸으므로, 회로 차단기를 분전반 내에 나란히 설치했을 경우에 측정 시험을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평소에 커버 부재로 끼움홈을 덮어서 전선의 오접속이나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8)~(10)의 회로 차단기에 의하면, 단자인입구를 봉인 커버로 막아 봉인 커버의 삽입부를 차단기 케이스에 빠뜨려 고정했으므로, 전압 전환 기구를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집약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단자인입구를 봉인 커버로 확실히 폐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단상 3선식 전기회로용의 회로 차단기에 구체화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2는 실시예 1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내고, 도 13~도 16은 실시예 2의 회로 차단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회로 차단기(1)는 합성 수지제의 차단기 케이스(2)를 갖추고 있다. 차단기 케이스(2)는 좌우 한 벌의 분할체(2a, 2b)를 조합해 사각 상자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상면에는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3)가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과 배면에는 각각 세 개의 부하측 단자(4)와 전원측 단자(5)가 상 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과전류 검지 기구와 차단기구가 설치되어(도시 생략), 과전류를 검지했을 때에, 전원측 단자(5)와 부하측 단자(4)와의 사이의 전기회로를 차단하게 되어 있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측 단자(5)는 플러그 인 방식의 단자이며, 차단기 케이스(2)의 후단 절결부의 안쪽에 단자 전극(6)을 설치하여 분전반 내의 도체 바나 분기 바(도시하지 않음)에 원터치로 접속된다.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은 위쪽까지 후퇴하는 경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경사면에 세 개의 부하측 단자(4)가 배열되어 있다. 각 부하측 단자(4)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단자인입구(7)가 설치되고 단자인입구(7)의 안쪽에 속결단자 전극(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부하 배선의 전선(9)이 단자인입구(7)에 삽입되어 속결단자 전극(8)의 파지부(10)에 접속된다.
단자인입구(7)의 위쪽에는 속결단자 전극(8)에 대한 전선(9)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11)이 형성되어 있다. 단자인입구(7)의 아래 쪽에는 도통 시험이나 절연 저항 측정 시험 등에 즈음하여 각종 계기의 측정 단자(도시 생략)를 찔러넣기 위한 끼움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홈(12)과 대향하도록 속결단자 전극(8)의 전단에는 절곡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측정 단자가 끼움홈(12)에 삽입되어 절곡부(13)와의 접촉을 매개하여 속결단자 전극(8)의 파지부(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3에서는 단자인입구(7)와 확인창(11) 및 끼움홈(12)을 명료하게 나타내 보이기 위해서 도 1과는 달리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으로부터 단자 커버(17)와 커버부재(18)가 생략되어 있다.
차단기 케이스(2)의 분할체(2 a, 2 b)에는, 전면측 테두리(14)의 내면에 전후 2 개의 취부홈(15), 16(도 5 참조)이 기울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취부홈(15)에는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단자 커버(17)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뒤쪽의 취부홈(16)에는 부하측 단자(4)의 끼움홈(12)을 개폐하는 커버부재(18)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단자 커버(17)는 커버부재(18)의 전면에 접합하고, 단자 커버(17)의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편(19)이 차단기 케이스(2)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횡설되어 있다(도 4 참조).
도 6,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8)는 합성 수지제의 얇은 판자로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아래 쪽의 개방위치(도 8 참조)와 위쪽의 폐쇄위치(도 9 참조) 사이에서 슬라이드한다. 커버부재(18)에는 부하측 단자(4)와 같은 수량의 개구부(2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0)의 길이는 단자인입구(7)와 끼움홈(12)이 동시에 노출 가능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선(9)을 부하측 단자(4)에 접속한대로의 상태에서 커버부재(18)를 상하로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커버부재(18)를 개방위치로 슬라이드했을 때에는 단자인입구(7)와 끼움홈(12)의 양쪽 모두가 개구부(20)로부터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으로 노출된다(도 8 참조). 커버부재(18)를 폐쇄위치로 슬라이드했을 때에는 끼움홈(12)이 폐쇄되어 단자인입구(7)와 확인창(11)의 양쪽 모두가 개구부(20)로부터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으로 노출된다(도 9 참조). 커버부재(18)의 좌우 양측 테두리에는 취부홈(16) 의 오목부(도시 생략)에 끼워맞추는 볼록부(21)가 형성되어(도 6 참조), 볼록부(21)에 의해 커버부재(18)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커버(17)는 합성 수지제의 얇은 판자로 커버부재(18)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단자 커버(17)의 중앙부에는 상기 단자 커버(17)를 슬라이드 조작할 경우에 손가락 끝을 거는 손가락걸이(22)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 커버(17)의 좌우 한쪽 중 측면 테두리에는 깊이 째어진 절개부(23)에 의해 탄성 걸림편(24)이 형성되어 탄성 걸림편(24)의 하단에 취부홈(15)의 오목부(도시 생략)에 끼워맞춰지는 돌기(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 커버(17)에서 세 개의 단자인입구 (7)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그 폐쇄위치를 돌기(25)에 의해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자 커버(17)의 표면에는 상단부에「100V」의 표시(26), 하단부에「200V」의 표시(27)가 구비되어 있다. 부하측 단자(4)는 중앙의 단자가 중성극단자, 상하의 단자가 전압극단자로서 사용된다. 100V의 전압을 얻을 때는 위 또는 아래의 단자인입구(7)와 중앙의 단자인입구(7)에 전선(9)을 삽입하고, 사용하지 않는 단자인입구(7)를 단자 커버(17)로 폐쇄하여, 「200V」의 표시(27)를 피복편(19)으로 숨긴다(도 8 참조). 200V의 전압을 얻을 때는, 상하의 단자인입구(7)에 전선(9)을 접속하고, 사용하지 않는 중앙의 단자인입구(7)를 단자 커버(17)로 폐쇄하여, 「100V」의 표시(26)를 피복편(19)으로 숨긴다(도 9 참조).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개의 부하측 단자(4)의 위쪽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속결단자 전극(8)에 대한 전선(9)의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기구(機構; 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 기구(31)는 전선(9)의 끝단에 의해 이동되는 미끄럼부재(32)와 상기 미끄럼부재(32)를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33)(도 11 참조) 및 상기 미끄럼부재(32)에 연동해 회동하는 표시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미끄럼부재(32)는 측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속결단자 전극(8)의 상면에 전선(9)의 삽입 방향(기울기 전후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부재(32)의 후단에는 전선(9)의 끝단이 맞닿는 당접편(35)이 형성되어 미끄럼부재(32)의 전단에 받침축(36)이 돌설되어 있다. 받침축(36)과 당접편(35)의 사이에는 스프링(33)을 수용하는 오목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3)의 후단은 차단기 케이스(2)의 돌기(38)에 걸고 전단은 오목부(37)의 돌기(39)에 걸어서 이 스프링(33)의 탄발력으로 미끄럼부재(32)가 전방으로 부세되어 있다.
표시부재(34)는 일부를 잘라낸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기 케이스(2)의 원형의 수용부(40)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표시부재(34)의 편심 부위에는 미끄럼부재(32)의 받침축(36)에 연결되는 연결구멍(41)이 형성되어 미끄럼부재(32)의 이동에 의해 표시부재(34)가 수용부(40)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선의 주위에서 회동된다. 표시부재(34)의 주위면에는 차단기 케이스(2)의 확인창(11)과 대향하는 표시면(42)(원통면)이 형성되어 표시면(42)의 일부가 소정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부재(34)의 회동에 따라 표시면(42)의 일부가 확인창(11)으로부터 노출되어 전선(9)의 접속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 차단기(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로 확인창(11)과 끼움홈(12)을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서 세로로 일렬로 배열하였으므로 회로 차단기(1)를 얇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부하측 단자(4)에 표시 기능과 측정 시험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b) 단자인입구(7)와 확인창(11)을 상하로 나란히 늘어놓아 확인창(11)의 배후에서 미끄럼부재(32)를 전선(9)에 의해 전후로 이동시켜 미끄럼부재(32)에 의해 표시부재(34)를 회동시키므로 표시 기구(31)를 상하의 단자인입구(7) 사이에 조립하여 차단기 케이스(2)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c) 원판상의 표시부재(34)를 원형의 수용부(40)에 수용하여 표시부재(34)의 편심 부위에 마련한 연결구멍(41)을 미끄럼부재(32)와 일체로 된 받침축(36)에 연결했으므로 표시 기구(31)를 소수의 부품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다.
(d) 표시부재(34)를 상하 방향의 축선 주위에서 회동시키므로 부하측 단자(4)의 배열 간격을 단축하여 차단기 케이스(2)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e)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단자인입구(7)와 끼움홈(12)을 상하로 나란히 늘어놓아 끼움홈(12)을 커버부재(18)로 개폐 가능하게 덮었으므로 복수의 회로 차단기(1)를 분전반 내에 나란히 설치했을 경우에 측정 시험을 차단기 케이 스(2)의 전면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시험을 실시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커버부재(18)로 끼움홈(12)을 막아 전선(9)의 오접속이나 먼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다.
(f) 커버부재(18)에 단자인입구(7)와 끼움홈(12)의 양쪽 모두가 노출 가능한 길이의 개구부(20)를 형성했으므로 커버부재(18)의 개방위치에서 단자인입구(7)와 끼움홈(12)의 양쪽 모두를 노출시켜 측정 시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커버부재(18)의 폐쇄위치에서 단자인입구(7)만을 노출시켜 전선(9)의 끼움홈(12)에 오접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g) 볼록부(21)에 의해 커버부재(18)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회로 차단기의 실시예 2를 도 13~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의 회로 차단기(51)는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가리는 부재의 구성에 대해 실시예 1의 회로 차단기(1)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 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 케이스(2)의 분할체(2a, 2b)의 전단 사이에는 부하측 단자(4)의 끼움홈(12)을 개폐하는 커버부재(18)와 단자인입구(7)를 선택적으로 가리는 봉인 커버(52)가 장착되어 있다. 봉인 커버(52)는 선택된 하나의 단자인입구(7)에서 끄집어낼 수 있게 삽입되는 삽입부(53)와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접합하는 접합부(54)를 갖추고 있으며 두가지 다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도 16 참조).
삽입부(53)는 원통형에 형성되어 단자인입구(7)를 폐쇄하는 플러그로서 기능한다. 접합부(54)는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 폭보다 좁고, 단자인입구(7)와 확인창(11) 및 끼움홈(12)을 가릴 수 있는 길이의 긴 직사각형 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접합한 상태에서 접합부(54)는 삽입부(53)의 끝단이 속결단자 전극(8)에 접촉되지 않는 위치로 유지시키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체(2a, 2b)의 전단 테두리(14)의 내면에는 커버부재(18)를 취부하는 취부홈(16)과 봉인 커버(52)를 취부하는 취부홈(15) 및 봉인 커버(52)의 접합부(54)를 끼워맞추는 걸림부(55)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55)는 접합부(54)의 전면을 덮도록 전단 테두리(14)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체(2a, 2b)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우의 걸림부(55)가 차단기 케이스(2)의 전방에서 접합부(54)의 좌우 양측 테두리를 걸어 삽입부(53)를 단자인입구(7)에 빠뜨려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2의 회로 차단기(51)에 있어서, 100V의 전압을 얻는 경우에는 도 14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인 커버(52)로 아래 쪽 또는 위쪽의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덮고 나머지 두 개의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통해 전선(9)을 속결단자 전극(8)에 접속한다. 200V의 전압을 얻는 경우에는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인 커버(52)로 중앙의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덮고 상하 두 개의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통해 전선(9)을 속 결단자 전극(8)에 접속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로 차단기(51)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h) 세 개의 부하측단자(4)의 전압 전환 기구를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집약하여 회로 차단기(51)를 소형이면서 얇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i) 사용하지 않는 부하측 단자(4)의 단자인입구(7)를 봉인 커버(52)로 폐쇄하여 전선(9)의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다.
(j) 봉인 커버(52)를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에 달았으므로 회로 차단기(51)를 분전반으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전압 전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k) 봉인 커버(52)의 접합부(54)를 걸림부(55)에 의해 차단기 케이스(2)의 전방에서 걸었으므로, 분전반 또는 회로 차단기(51)의 설치 각도와 관계없이 봉인 커버(52)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부의 구성을 적당하게 변경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도 1에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1)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 전면의 위쪽 또는 아래 쪽의 부하측 단자(4)를 중성극으로서 사용하는 것.
(2) 도 3에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1)에 있어서, 부하측 단자(4)를 2 단자로 구성하고, 각각 두 개의 단자인입구(7)와 확인창(11) 및 끼움홈(12)을 상하 방 향으로 배열하는 것.
(3) 도 5에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1)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2)의 전면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부하측 단자(4)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것.
(4) 도 7에 나타내는 단자 커버(17)에 있어서, 「100V」의 표시(26)와「200V」의 표시(27)를 각각 다른 색으로 착색하는 것.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회로 차단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그 회로 차단기의 부하측 단자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그 회로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그 회로 차단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그 회로 차단기의 커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그 회로 차단기의 단자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100V출력시에 있어서의 회로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200V출력시에 있어서의 회로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5의 B-B선단면도이다.
도 12는 부하측 단자의 표시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봉인 커버에 의한 전압 전환 방법을 나타내는 회로 차단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봉인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회로차단기(실시예 1), 2 -- 차단기 케이스,
3 -- 조작 레버, 4 -- 부하측 단자,
5 -- 전원측 단자, 7 --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
8 -- 속결단자 전극, 9 -- 전선,
11 --확인창, 12 -- 끼움홈,
17 -- 단자 커버, 18 -- 커버 부재,
20 --개구부, 31 -- 표시 기구,
32 -- 미끄럼부재, 33 --스프링,
34 -- 표시부재, 40 -- 수용부,
42 -- 표시면, 51 -- 회로 차단기(실시예 2),
52 -- 봉인 커버, 53 --삽입부,
54 --접합부, 55 --걸림부.

Claims (10)

  1.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를 설치하고, 단자인입구의 위쪽에 전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며, 단자인입구의 아래쪽에 계기의 측정 단자를 속결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끼움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2.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와 전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창을 형성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전선의 끝단에 의해 이동되는 미끄럼부재와 미끄럼부재를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미끄럼부재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표시부재를 설치하며, 표시부재에 확인창과 대향하는 표시면을 형성하여, 표시부재의 회동에 따라 표시면의 일부가 확인창으로부터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를 원판형상으로 형성하고, 차단기 케이스에 표시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형의 수용부를 형성하며, 표시부재의 편심 부위에 미끄럼부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재를 속결단자 전극의 위쪽에 대해 상하 방향의 축선 주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5.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 계기의 측정 단자를 속결단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끼움홈, 그리고 끼움홈을 개폐 가능하게 가리는 커버 부재를 설치하여, 커버 부재를 차단기 케이스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을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하고, 커버 부재에 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의 양쪽 모두가 동시에 노출 가능한 길이의 개구부를 형성하며, 커버 부재가 개구부로부터 단자인입구와 끼움홈의 양쪽 모두를 노출시키는 개방위치와 개구부로부터 단자인입구만을 노출시키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커버 부재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8. 차단기 케이스의 상면에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조작 레버를 설치하고,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과 배면에 각각 부하측 단자와 전원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한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전선을 부하측 단자의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입구와 상기 단자인입구를 선택적으로 가리는 봉인 커버를 설치하며, 봉인 커버가 단자인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차단기 케이스의 전면에 접합하는 접합부를 갖추어 차단기 케이스에 접합부를 거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걸림부에 의해 삽입부를 단자인입구에 빠뜨려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케이스가 좌우 한 벌의 분할체를 갖추어, 분할체의 앞쪽 테두리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좌우의 분할체를 조립한 상태에서, 걸림부가 차단기 케이스의 전방에서 접합부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측 단자를 상하 방향으로 세 개 배열하여, 하나의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를 봉인 커버로 선택적으로 가리고 나머지 두 개의 부하측 단자의 단자인입구를 통해 전선을 속결단자 전극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070100932A 2007-10-08 2007-10-08 회로 차단기 KR10104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32A KR101045474B1 (ko) 2007-10-08 2007-10-08 회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32A KR101045474B1 (ko) 2007-10-08 2007-10-08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02A KR20090035902A (ko) 2009-04-13
KR101045474B1 true KR101045474B1 (ko) 2011-06-30

Family

ID=4076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32A KR101045474B1 (ko) 2007-10-08 2007-10-08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4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42Y1 (ko) * 1991-11-18 1997-04-23 금성계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인출부 단자 커버
JP2005353380A (ja) 2004-06-09 2005-12-2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JP2006032319A (ja) 2004-06-16 2006-02-0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JP2006339081A (ja) 2005-06-03 2006-12-14 Kawamura Electric Inc 配線用遮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42Y1 (ko) * 1991-11-18 1997-04-23 금성계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인출부 단자 커버
JP2005353380A (ja) 2004-06-09 2005-12-2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JP2006032319A (ja) 2004-06-16 2006-02-02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
JP2006339081A (ja) 2005-06-03 2006-12-14 Kawamura Electric Inc 配線用遮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902A (ko) 200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5153B1 (en) Switching device having terminal cover and method
US8581131B2 (en) Modular terminal, particularly an isolating terminal
KR101959329B1 (ko) 멀티미터
US20030102944A1 (en) Electrical circuit interrupter
KR20090077725A (ko) 회로 차단기용 전자 트립 장치 케이스, 전자 트립 장치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045474B1 (ko) 회로 차단기
BR0010761B1 (pt) Relé de proteção e conjunto de comando protegidos de cabeamento frontal
CA2811944A1 (en) Meter socket with current bypass
JP2001028810A (ja) 分電盤
US7923650B2 (en) Ganged auxiliary switch configuration for use in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1409182B (zh) 电路断开器
JPH04128658A (ja) 単相二線式電力量計
JP4813957B2 (ja) 配線用遮断器
JP4965857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6349220B2 (ja) 分電盤
JP3414187B2 (ja) 回路遮断器及びこれを備えた分電盤
JP6700094B2 (ja) プラグ
JP2003036778A (ja) 回路遮断器
JP2003331707A (ja) 回路遮断器
JP7187376B2 (ja) 配線用遮断器
JP2006351557A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JP4136408B2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JP2009158271A (ja) 回路遮断器
JPH09270226A (ja) 回路遮断器及びこれを備えた分電盤
JPH1145650A (ja) 回路遮断器および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