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999B1 - 복근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근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999B1
KR101958999B1 KR1020170092094A KR20170092094A KR101958999B1 KR 101958999 B1 KR101958999 B1 KR 101958999B1 KR 1020170092094 A KR1020170092094 A KR 1020170092094A KR 20170092094 A KR20170092094 A KR 20170092094A KR 101958999 B1 KR101958999 B1 KR 10195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ist
pulley
abdomin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006A (ko
Inventor
양해동
김서윤
Original Assignee
양해동
김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해동, 김서윤 filed Critical 양해동
Priority to KR102017009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9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은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허리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허리 지지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후측면 일측에 배치되고, 제1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되, 상기 제1 연결끈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제1 강도 조절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후측면 타측에 배치되고, 제2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되, 상기 제2 연결끈에 부하를 발생시키는 제2 강도 조절유닛; 및 상기 제1 연결끈의 단부와 상기 제2 연결끈의 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유닛;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전자력 부하장치를 통해 강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복근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외를 비롯하여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즐겁게 복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복근 운동기구{EQUIPMENT FOR ABDOMINAL MUSCLES SPORTING}
본 발명은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부 부위의 근육에 운동부하를 집중시켜 복부의 근육을 발달시키는 복근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경우, 운동부족과 과도한 좌식업무로 인해 대표적인 몸통 근육인 복근과 척추 기립근이 약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만성적인 요통 및 척추질환과 복부 비만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복근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요통 및 척추질환과 복부 비만을 치유하기 위한 대표적인 복근 운동법으로서 데드 리프트와 백 익스텐션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운동법들은 트레이너의 지도가 필요하다. 즉 트레이너의 정확한 지도 없이 복근 운동을 진행하면 부상의 위험이 따를 수 있다.
이에, 대다수의 사람들은 가장 간편한 복근 운동법으로서 윗몸일으키기를 선호한다. 윗몸일으키기는 트레이너 없이도 진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복근 운동법으로서, 양발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신체의 복근을 이용해 상체의 자중을 극복함으로써 운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윗몸일으키기가 복근 운동에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윗몸일으키기는 매트에 누운 상태에서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예컨대, 실외나 야외에서, 혹은 회사 내에서는 실시하기가 곤란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최근에는 윗몸일으키기와 같이 복근 운동을 집중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윗몸일으키기를 대체할 수 있는 여러 복근 운동기구들이 개발되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종래의 복근 운동기구들은 비교적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거나 부피가 커서 제조 및 구매 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또한 취급 또는 핸들링이 쉽지 않아 개인이 간편하게 수시로 사용하기에 번거롭고 곤란하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복근 운동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2-00193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4-000168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6-003627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8-00036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복근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외를 비롯하여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즐겁게 복근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복근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는, 사용자 허리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허리 지지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외측면 후방 일측에 배치되고, 제1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도록 형성되며,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끈의 풀림과 감김에 대한 마창을 발생시키는 제1 강도 조절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외측면 후방 타측에 배치되고, 제2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도록 형성되며,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연결끈의 풀림과 감김에 대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제2 강도 조절유닛; 및 상기 제1 연결끈의 단부와 상기 제2 연결끈의 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유닛;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과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 모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끈 및 제2 연결끈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상기 제1 연결 끈 및 제2 연결끈이 풀렸을 시 다시 감기도록 하는 태엽스프링; 상기 드럼의 측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1 풀리; 상기 하우징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시키는 타이밍벨트; 및 상기 제2 풀리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고,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풀리에 마찰을 가해, 상기 드럼에서 상기 제1 연결끈 및 제2 연결끈이 풀리는 속도를 조절하는 전자력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하우징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각 전자력 부하장치의 전자력을 조절하는 강도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제1 연결끈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연결끈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근 운동기구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전자력 부하장치를 통해 강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복근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외를 비롯하여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즐겁게 복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만성적인 요통 및 척추질환과 복부 비만을 해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력 부하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복근 운동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력 부하장치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복근 운동기구(100)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리를 중심으로 상체를 오른쪽과 왼쪽으로 반복적으로 움직여 복근에 근육부하가 발생되도록 하여 복근이 발달되도록 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복근 운동기구(100)는, 허리 지지유닛(1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및 손잡이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은 복근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사용자가 허리에 배치하여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을 지지축으로 해서 복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은 플라스틱 링 또는 벨트로 적용이 가능하다. 즉, 마치 훌라후프와 같은 플라스틱 링 형태로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이 제작될 수도 있고, 헬스장에서 사용하는 허리 벨트와 같은 형태로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은 일측면에서 제1 연결끈(1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고 내측에서 상기 제1 연결끈(140)이 풀리거나 감긴다. 이때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끈(140)을 감는 구성과 상기 제1 연결끈(140)이 풀릴 때 전자력을 통해 풀림에 대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은 하우징(121), 드럼(124), 태엽스프링(125), 제1 풀리(126), 제2 풀리(127), 타이밍벨트(128) 및 전자력 부하장치(129)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외측면 후방 일측에 배치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제1 연결끈(14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21)의 내측에는 제1 샤프트(122)와 제2 샤프트(123)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124)은 상기 제1 샤프트(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끈(140)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태엽스프링(125)은 상기 드럼(124)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124)에서 상기 제1 연결끈(140)이 풀렸을 때 다시 감길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풀리(126)는 상기 제1 샤프트(122)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풀리(127)는 제2 샤프트(123)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풀리(126)와 제2 풀리(127)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128)는 상기 제1 풀리(126)와 제2 풀리(127)가 서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는 상기 제2 풀리(127)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연결끈(140)이 풀릴 때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샤프트(123)에 마찰을 발생시킨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연결끈(140)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2 샤프트(123)에 가해지는 마찰만큼 힘을 주어야 상기 제1 연결끈(140)이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는 일반적으로 회전 동력을 제동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로, 전자력을 이용한 자력으로 마찰력을 통해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는 상기 제2 샤프트(123)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만 마찰이 가해지도록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 연결끈(140)을 잡아당길 때에는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를 통해 상기 제1 연결끈(140)의 풀림에 대한 마찰이 가해지고, 상기 제1 연결끈(140)이 잡아 당겨진 다음 당겨지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25)에 의해 상기 드럼(124)에 다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과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130)은 동일한 구조로 적용된다.
즉,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130)은 하우징(131), 드럼(134), 태엽스프링(135), 제1 풀리(136), 제2 풀리(137), 타이밍벨트(138) 및 전자력 부하장치(139)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1)은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외측면 후방 타측에 배치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제2 연결끈(150)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31)의 내측에는 제1 샤프트(132)와 제2 샤프트(133)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134)은 상기 제1 샤프트(1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연결끈(150)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태엽스프링(135)은 상기 드럼(134)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134)에서 상기 제2 연결끈(150)이 풀렸을 때 다시 감길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1 풀리(136)는 상기 제1 샤프트(132)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풀리(137)는 제2 샤프트(133)의 타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풀리(136)와 제2 풀리(137)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벨트(138)는 상기 제1 풀리(136)와 제2 풀리(137)가 서로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39)는 상기 제2 풀리(137)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끈(150)이 풀릴 때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샤프트(133)에 마찰을 발생시킨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 연결끈(150)을 잡아당길 때 상기 제2 샤프트(133)에 가해지는 마찰만큼 힘을 주어야 상기 제2 연결끈(150)이 잡아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139)는 일반적으로 회전 동력을 제동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로, 전자력을 이용한 자력으로 상기 제2 샤프트(123,133)에 마찰력 가해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거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키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39)는 상기 제2 샤프트(1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만 마찰이 가해지도록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 연결끈(150)을 잡아당길 때에는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39)를 통해 상기 제2 연결끈(150)의 풀림에 대한 마찰이 가해지고, 상기 제2 연결끈이 잡아당겨진 다음 당겨지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태엽스프링(135)에 의해 상기 드럼(134)에 다시 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유닛(160)은 상기 제1 연결끈(140)의 단부와 제2 연결끈(150)의 단부를 연결시키고,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의 일측면에는 안내유닛(17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닛(170)은 상기 제1 연결끈(140)이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일측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의 일측면에 롤러(171)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연결끈(140)과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일측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내유닛(170)은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130)의 일측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내유닛(170)은 상기 제2 연결끈(150)이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타측면에 닿지 않도록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130)의 일측면에 롤러(171)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연결끈(150)과 상기 허리 지지유닛(110)의 타측면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유닛(160)을 잡아당길 때, 보다 올바른 운동 자세 및 복근에 발생되는 근육부하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120) 및 제2 강도 조절유닛(130)의 상단에는 상기 전자력 부하장치(129,139)의 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스위치(18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유닛(160)은 심박센서(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를 센싱하고, 센싱된 심박값을 송신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단말기(미도시)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외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심박수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300) 역시, 허리 지지유닛(1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및 손잡이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손잡이유닛(260)은 제1 손잡이(261)와 제2 손잡이(262)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손잡이(261)는 상기 제1 연결끈(14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손잡이(262)는 상기 제2 연결끈(150)이 단부에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300) 역시, 허리 지지유닛(3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제1 손잡이(261) 및 제2 손잡이(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적용되는 허리 지지유닛(310)은 플라스틱 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허리 지지유닛(310)의 일측에는 개구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허리 지지유닛(310)에 상기 개구부(311)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허리 지지유닛(310)을 사용자의 허리에 끼워 배치하거나 허리에서 상기 허리 지지유닛(310)을 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400) 역시, 허리 지지유닛(4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손잡이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적용되는 허리 지지유닛(410)은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일측에는 고정구(4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500) 역시, 허리 지지유닛(5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손잡이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허리 지지유닛(510)도 역시, 플라스틱 링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때의 상기 허리 지지유닛(51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조절식 허리 지지유닛(510)으로 적용된다.
즉,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기 길이 조절식 허리 지지유닛(510)은 삽입홀(512)을 구비하는 제1 허리 지지대(511)와, 상기 제1 허리 지지대(511)의 삽입홀(512)로 출입이 가능한 제2 허리 지지대(513)와,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지지대(511,513)에 형성되는 통공(511a,513a)이 연통될 때, 고정되는 핀(5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514)은 줄(515)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허리 지지대(511,513) 중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514)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길이 조절식 허리 지지유닛(510)이 적용되면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상기 길이 조절식 허리 지지유닛(510)을 줄이거나 늘려 사용할 수 있어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600) 역시, 허리 지지유닛(6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손잡이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허리 지지유닛(610)은 벨트식 허리 지지유닛(610)으로 적용된다. 즉 상기 벨트식 허리 지지유닛(610)은 제1 및 제2 벨트(611,613)와, 상기 제1 및 제2 벨트(611,613)에 마련되어 상호간 착탈되는 제1 및 제2 벨크로(611a,613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상기 벨트식 허리 지지유닛(610)으로 적용하는 한편 벨트식 허리 지지유닛(610)의 길이가 제1 및 제2 벨크로(611a,613a)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면 사용자의 허리에 맞게 길이 조절식 허리 지지유닛(610)을 줄이거나 늘려 사용할 수 있어서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 역시, 허리 지지유닛(110), 제1 강도 조절유닛(120), 제2 강도 조절유닛(130), 손잡이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전면부에는 상기 손잡이유닛의 이동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770)가 마련되고,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외벽 일측에는 카운팅된 횟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775)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7 실시예에 따른 복근 운동기구에는 상기 카운터(770)와 상기 디스플레이(775)의 컨트롤을 위해 컨트롤러(780)가 탑재된다.
상기 컨트롤러(780)는 상기 카운터(770)의 카운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75)에 카운팅된 횟수가 디스플레이되게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컨트롤러(780)는 중앙처리장치(781, CPU), 메모리(7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7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781)는 제7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770)의 카운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75)에 카운팅된 횟수가 디스플레이되게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7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781)와 연결된다. 상기 메모리(7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회로(783, SUPPORT CIRCUIT)는 상기 중앙처리장치(7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상기 서포트 회로(7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7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780)는 상기 카운터(770)의 카운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775)에 카운팅된 횟수가 디스플레이되게 컨트롤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상기 메모리(7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상기 메모리(7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근 운동기구에 따르면,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며, 전자력 부하장치를 통해 강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부피가 작고 간단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복근의 운동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실내외를 비롯하여 장소를 불문하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즐겁게 복근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만성적인 요통 및 척추질환과 복부 비만을 해결하는 데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복근 운동기구 110: 허리 지지유닛
120: 제1 강도 조절유닛 130: 제2 강도 조절유닛
121,131: 하우징 122,132: 제1 샤프트
123,133: 제2 샤프트 124,134: 드럼
125,135: 태엽스프링 126,136: 제1 풀리
127,137: 제2 풀리 128,138: 타이밍벨트
129,139: 전자력 부하장치 140: 제1 연결끈
150: 제2 연결끈 160: 손잡이유닛
170: 안내유닛 171: 롤러
180: 조절스위치

Claims (4)

  1. 사용자 허리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허리 지지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외측면 후방 일측에 배치되고, 제1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도록 형성되며,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끈의 풀림과 감김에 대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제1 강도 조절유닛;
    상기 허리 지지유닛의 외측면 후방 타측에 배치되고, 제2 연결끈이 풀리거나 감기도록 형성되며,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연결끈의 풀림과 감김에 대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제2 강도 조절유닛; 및
    상기 제1 연결끈의 단부와 상기 제2 연결끈의 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유닛;를 포함하는 복근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도 조절유닛과 상기 제2 강도 조절유닛 모두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끈 및 제2 연결끈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럼에서 상기 제1 연결 끈 및 제2 연결끈이 풀렸을 시 다시 감기도록 하는 태엽스프링;
    상기 드럼의 측면 타측에 배치되는 제1 풀리;
    상기 하우징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제2 풀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시키는 타이밍벨트; 및
    상기 제2 풀리의 측면 일측에 배치되고, 전자력을 통해 상기 제2 풀리에 마찰을 가해, 상기 드럼에서 상기 제1 연결끈 및 제2 연결끈이 풀리는 속도를 조절하는 전자력 부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각 전자력 부하장치의 전자력을 조절하는 강도 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유닛은,
    상기 제1 연결끈 단부에 결합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2 연결끈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근 운동기구.
KR1020170092094A 2017-07-20 2017-07-20 복근 운동기구 KR10195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94A KR101958999B1 (ko) 2017-07-20 2017-07-20 복근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094A KR101958999B1 (ko) 2017-07-20 2017-07-20 복근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06A KR20190010006A (ko) 2019-01-30
KR101958999B1 true KR101958999B1 (ko) 2019-03-19

Family

ID=6527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094A KR101958999B1 (ko) 2017-07-20 2017-07-20 복근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9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112A (ja) 2000-06-30 2002-01-15 Techno Foods:Kk 健康腰振り回転フープ式運動遊戯具
JP3149551U (ja) 2009-01-20 2009-04-02 章豐 林 フラフープ
KR200458053Y1 (ko) 2011-08-01 2012-01-18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US20130085046A1 (en) 2011-10-03 2013-04-04 Mission Competition Fitness Equipment Exercise ring for improving strength and flexibility of a body part
KR101777793B1 (ko) 2017-05-10 2017-09-13 김혜진 복근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8717A (en) 1991-04-26 1993-08-24 Pall Corporation End caps for filter elements
KR940001685Y1 (ko) 1991-12-04 1994-03-23 주식회사 금성사 홀로그램(Hologram) 주사장치
KR960036271U (ko) 1995-05-15 1996-12-16 진공청소기의 소음감소장치
KR19990016073A (ko) * 1997-08-13 1999-03-05 송영길 허리운동기구
KR100242562B1 (ko) * 1997-09-09 2000-04-01 송영길 허리운동기구
KR20010029407A (ko) * 1999-09-22 2001-04-06 안효찬 다형상 훌라후프
KR20020000039A (ko) * 2000-06-20 2002-01-04 유대식 유희용구
KR20050065484A (ko) * 2005-06-01 2005-06-29 서정현 복부 다이어트 운동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112A (ja) 2000-06-30 2002-01-15 Techno Foods:Kk 健康腰振り回転フープ式運動遊戯具
JP3149551U (ja) 2009-01-20 2009-04-02 章豐 林 フラフープ
KR200458053Y1 (ko) 2011-08-01 2012-01-18 임우빈 허리 밀착형 훌라후프
US20130085046A1 (en) 2011-10-03 2013-04-04 Mission Competition Fitness Equipment Exercise ring for improving strength and flexibility of a body part
KR101777793B1 (ko) 2017-05-10 2017-09-13 김혜진 복근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006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9214B2 (en) Exercise apparatus
US20160346598A1 (en) Exercise apparatus
US10549150B2 (en) Multifunctional abdominal exercise wheel
US8075453B1 (en) Total body exercise machine
US979581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0829774B1 (ko) 웨이트 운동이 가능한 트레드밀 및 제어방법
US9517374B2 (en) Air straps
US20040043873A1 (en) Exercise device for exercising upper body simultaneously with lower body exercise
US20020086779A1 (en) Resistance devices, total-body exercise machines outfitted therewith, and exercise methods using such devices and machines
US20050101447A9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KR20100100757A (ko) 도어 앵커를 구비한 운동 기구
CN106730592B (zh) 划船器
US20120225759A1 (en) Pull-up and Abdominal Exerciser
US20190321680A1 (en) Exercise apparatus
US20040142799A1 (en) Muscular training apparatus
KR101958999B1 (ko) 복근 운동기구
US20220288443A1 (en) Body tether apparatus
KR101777793B1 (ko) 복근 운동기구
CN108392792B (zh) 磁控训练机
KR101668041B1 (ko) 괄약근 운동기구
CN111282249B (zh) 一种瑜伽健身辅助器械
US11052280B1 (en) Weight bearing exercise system
KR20180048118A (ko) 운동기구
US20200330814A1 (en) Inertia training box with horizontal inertia wheel
JP2004136045A (ja) 健康促進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