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039A - 유희용구 - Google Patents

유희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039A
KR20020000039A KR1020000033947A KR20000033947A KR20020000039A KR 20020000039 A KR20020000039 A KR 20020000039A KR 1020000033947 A KR1020000033947 A KR 1020000033947A KR 20000033947 A KR20000033947 A KR 20000033947A KR 20020000039 A KR20020000039 A KR 20020000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upport member
groove
mo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식
Original Assignee
유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식 filed Critical 유대식
Priority to KR102000003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039A/ko
Publication of KR2002000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8Eccentric weights put into orbital motion by nutating movement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희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공이 관통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의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절바로 이루어진 고정벨트; 상기 고정벨트 보다 큰 직경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하면에 동심원의 이동요홈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주면과 상기 연결대 외주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요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이 대응되게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면이 상호 체결 고정된 제 1,2이동구와, 상기 제 1,2이동구 일면에 고정된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 단부에 연결된 회전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에 적절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사용자가 허리를 돌리게 되면 고정벨트와 고정밴드로써 연결된 지지부재의 상하 외주면을 따라 이동부재가 원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단련시키고, 뱃살에 대한 체지방을 줄이게 되는 운동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희용구{A GAME FOR AN IMPLEMENT}
본 발명은 유희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허리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허리를 돌리게 되면 고정밴드로써 연결된 지지부재 상하면을 따라 이동부재가 원운동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운동을 하게 되는 유희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희용으로 사용되는 훌라후프는 주로 링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져 신체의 적정부위, 특히 허리 둘레부위에 끼운 상태에서 허리를 좌우로 돌리면 원심력을 이용하여 훌라후프가 허리 둘레부위를 따라 회전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즉 주로 허리 부위를 단련시키고 뱃살을 줄이기 위한 운동기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훌라후프는 신체, 즉 허리를 일정하게 움직이면서 돌리는 단순한 운동기능 밖에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는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었으며, 더욱이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허리부위에 끼워진 훌라후프를 돌리는 과정에서 훌라후프가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거나 허리 부위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지속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숙련자인 경우에도 훌라후프에 의한 운동이 단순하여 이용이 감소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고, 또한 훌라후프 자체가비교적 큰 물건이라 휴대가 불편하게 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에 간편하게 착용하여 허리를 지속적으로 돌리게 되어 허리 부위의 체지방 분해를 할 수 있는 유희용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공이 관통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의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절바로 이루어진 고정벨트; 상기 고정벨트 보다 큰 직경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하면에 동심원의 이동요홈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주면과 상기 연결대 외주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밴드;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요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이 대응되게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면이 상호 체결 고정된 제 1,2이동구와, 상기 제 1,2이동구 일면에 고정된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 단부에 연결된 회전볼로 이루어진 이동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자체 중량을 줄이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고정구가 돌출되게 체결되며, 상기 고정구의 끼움홈에는 끼움돌부가 돌설된 누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누름구의 단부에는 외주연에 돌기를 갖는 지압구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구의 끼움홈과 상기 누름구의 끼움돌부 사이에는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누름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2등분으로 절단되어 제 1,2지지부재로 나누게 되고, 상기 제 1,2지지부재 일측의 절단 부위 하면에는 힌지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접철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 1,2지지부재 타측의 절단부위에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 삽입홈과 삽입돌기가 대응되게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요홈 내부에는 등간격으로 볼베어링을 매설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의 제 1,2이동구 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게 되고, 그 타단이 고정된 중간체; 상기 중간체가 내장되는 상부체 및 하부체; 상기 하부체와 중간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의 출몰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상부체 및 하부체와 중간체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체는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동시에 그 타단이 고정되고, 양측 중앙부에 상호 연통되게 제 1,2끼움돌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끼움돌부는 상기 판스프링의 내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이 형성되고,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는 상기 중간체의 제 1끼움돌부 외경이 삽입되는 제 1끼움공이 관통되고, 외주면으로 다수의 끼움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와이어가 통과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고, 상기 하부체는 상기 중간체의 제 2끼움돌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끼움돌부의 단차부가 외주연에 걸리게 되는 제 2끼움공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체의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삽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 외측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구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7의 "B"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6 a,1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요부 동작상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벨트 11 : 조절공
12 : 연결대 14 : 연결구
15 : 조절바 18 : 고정밴드
20 : 지지부재 21 : 관통공
22 : 이동요홈 23 : 볼베어링
24 : 나사홈 25,26 : 제 1,2지지부재
30 : 이동부재 31 : 볼
32,33 : 제 1,2이동구 34 : 연결끈
35 : 회전볼 40 : 고정구
41 : 끼움홈 43 : 끼움돌부
44 : 누름구 45 : 돌기
46 : 지압구 47 : 탄성부재
50 : 힌지부재 51 : 삽입홈
52 : 삽입돌기 60 : 회전부재
61 : 와이어 70 : 중간체
71,72 : 제 1,2끼움돌부 73 : 절개부
74 : 단차부 80,84 : 상,하부체
81,85 : 제 1,2끼움공 82 : 끼움돌기
83 : 삽입공 86 : 삽지홈
87 : 고정홈 89 : 판스프링
90 : 체결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희용구(1)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고정벨트(10)와, 고정벨트(10)의 외주면에 고정밴드(18)로써 탄력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0)와, 지지부재(20)의 상하면을 따라 원운동하는 이동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벨트(10)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공(11)이 관통된 연결대(12)와, 연결대(12) 타측에 고정되어 연결대(12)의 일측이 삽입 통과되는 연결구(14)와, 연결구(14)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연결대(12)의 조절공(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바(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0)는 다수의 고정밴드(18)로써 고정벨트(10)의 연결대(12) 외주면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탄력적으로 연결되고, 상하면에는 동심원을 유지하여 이동요홈(22)이 각각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에는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자체 중량을 줄이게 된다.
상기 고정밴드(18)는 자체가 탄성력이 구비되고, 고정벨트(10)의 연결대(12)외주면과 지지부재(20)의 내주면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벨트(10)와 지지부재(20)를 탄력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부재(30)는 지지부재(20)의 이동요홈(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31)이 대응되게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면이 상호 체결 고정된 제 1,2이동구(32)(33)와, 상기 제 1,2이동구(32)(33) 일면에 고정된 연결끈(34)과, 상기 연결끈(34) 단부에 연결된 회전볼(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내주면에는 등간격을 유지하여 다수의 나사홈(24)이 형성되고, 나사홈(24)에는 끼움홈(41)이 형성된 고정구(40)가 수평으로 돌출되게 나사 체결된다.
또한, 고정구(40)의 끼움홈(41)에는 끼움돌부(43)가 돌설된 누름구(44)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누름구(44)의 단부에는 외경에 다수의 돌기(45)가 돌설된 지압구(46)가 체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40)의 끼움홈(41)과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 사이에는 탄성부재(47)가 설치되어 누름구(4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47)의 높이 만큼 고정구(40)의 끼움홈(41)과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가 이격된 상태로 삽입되고, 지압구(46)에 외력이 가해지면 탄성부재(47)가 압축되면서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가 고정구(40)의 끼움홈(41) 내부로 밀착 삽입되며,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7)의 복귀력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를 2등분으로 절단하여 제 1,2지지부재(25)(26)로 구획하고, 일측의 제 1,2지지부재(25)(26) 절단 부위의 하면에 힌지부재(50)를 구비하여 제 1,2지지부재(25)(26)를 접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재(50)는 제 1,2지지부재(25)(26)에 형성된 이동요홈(22)에 간섭이 되지 않은 범위에서 구비되어 제 1,2지지부재(25)(26)가 상호 접혀지게 된다.
상기 제 1,2지지부재(25)(26) 타측의 절단부위에는 삽입홈(51)과 삽입돌기(52)가 대응되게 구비되어 제 1,2지지부재(25)(26)를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상하면에 동심원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된 이동요홈(22) 내부에 등간격으로 볼베어링(23)을 매설하게 된다. 즉, 이동요홈(22) 내부에 그 외경이 돌출되게 다수의 볼베어링(23)을 매설하여 이동부재(30)의 이동시 이동부재(30)의 볼(31)과의 마찰을 줄여 구름작용이 원활해지게 된다.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의 이동요홈(22)을 따라 원운동하는 이동부재(30)의 제 1,2이동구(32)(33) 일면으로 회전부재(60)가 출몰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60)는 제 1,2이동구(32)(33)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61)와, 와이어(61)가 중간부게 감기게 되고, 타단이 고정되는 중간체(70)와, 중간체(70)가 내장되는 상,하부체(80)(84)와, 하부체(84)와 중간체(70) 사이에 구비되어 와이어(61)의 출몰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89)과, 상,하부체(80)(84)와 중간체(7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체결부재(90)로이루어진다.
상기 중간체(70)는 그 중앙부에 와이어(61)가 감기는 동시에 타단이 고정되고, 양측 중앙부에 상호 연통되게 제 1,2끼움돌부(71)(7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끼움돌부(72)는 판스프링(89)의 내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73)이 형성되고, 그 외경에는 단차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체(80)는 중간체(70)의 제 1끼움돌부(71) 외경이 삽입되는 제 1끼움공(81)이 관통되고, 외주면으로 다수의 끼움돌기(82)가 돌설되며, 와이어(61)가 관통되는 고정구(62)가 삽입되는 삽입공(83)이 관통된다.
상기 하부체(84)는 중간체(70)의 제 2끼움돌부(72) 외경이 삽입되고, 제 2끼움부(72)의 단차부(74)가 외주연에 걸리게 되는 제 2끼움공(85)이 관통되고, 상부체(80)의 끼움돌기(82)가 삽입되는 삽지홈(86)이 형성되며, 판스프링(89) 외측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87)이 형성된다.
그리고, 중간체(70)의 제 1,2끼움돌부(71)(72)는 상,하부체(80)(84)의 제 1,2끼움공(81)(85)과 평면을 유지하여 삽입된다.
상기 체결부재(90)는 중간체(70)의 제 1,2끼움돌부(71)(72) 내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볼트(91)와, 고정볼트(9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9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중간체(70)의 제 1,2끼움돌부(71)(72)는 체결부재(90)의 고정볼트(9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지지부재(20)를 따라 이동부재(30)가 원운동하게 될 때, 이 원심력으로써 중간체(70)의 제 1,2끼움돌부(71)(72)가체결부재(90)의 고정볼트(91)를 중심으로 일방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끼움돌부(72)의 절개홈(73)과 하부체(84)의 삽지홈(86)에 양측이 삽입 고정된 판스프링(89)이 늘어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간체(70)와 이동부재(30)에 고정된 와이어(61)가 중간체(70)로부터 풀어지게 됨으로써 회전부재(60)가 이동부재(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부재(30)와 동시에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0)의 원운동이 정지되면, 판스프링(89)이 신속하게 복귀됨으로써 회전부재(60)가 이동부재(30)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적절하게 고정벨트(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게 된다. 즉, 고정벨트(10)의 연결대(12)를 연결구(14) 내부로 삽입 통과시켜 연결대(12)의 조절공(11)에 연결구(14)의 조절바(15)를 선택적으로 삽입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에 고정벨트(110)가 착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허리를 돌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고정벨트(10)의 연결대(12) 외주면에 고정밴드(18)로써 탄력적으로 연결된 지지부재(20)의 상하면을 따라 이동부재(30)가 원운동을 하게 된다.
즉, 이동부재(30)의 제 1,2이동구(32)(33)에 삽입된 한쌍의 볼(31)이 사용자가 허리를 돌리는 방향으로 지지부재(20) 상하면의 이동요홈(22)을 따라 원운동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2이동구(32)(33)가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2이동구(32)(33) 일면에 연결끈(34)으로써 고정된 회전볼(35)이 제 1,2이동구(32)(33)와 동일한 방향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20)에는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자체 중량을 줄이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부재(20) 내주면에 구비된 다수의 누름구(44) 외측으로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일치시킨 다음, 허리를 돌리면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누름구(44) 단부에 체결된 지압구(46)의 돌기(45)가 사용자의 운동방향에 따라 허리 및 뱃살에 닿거나 이탈되면서 지지부재(20)가 지속적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20)의 나사홈(24)에 나사 체결된 고정구(40)의 끼움홈(41)과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47)가 압축되면서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가 고정구(40)의 끼움홈(41)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외력이 해제, 즉 사용자의 허리부위로부터 지압구(46)의 돌기(45)가 이격되면, 탄성부재(47)의 복귀력으로써 원래위치로 이동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닿게 됨으로써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반복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됨으로써 허리부위의 체지방을 분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지지부재(20)의 이동요홈(22)을 따라 이동부재(40)가 원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2등분으로 절단된 제 1,2지지부재(25)(26) 일측의 절단부위 하부에 구비된 힌지부재(50)를 중심으로 제 1,2지지부재(25)(26)를 접어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시에는 제 1,2지지부재(25)(26) 타측의 절단 부위에 대응되게 구비된 삽입홈(51)과 삽입돌기(52)를 상호 결합시켜 조립한 다음, 지지부재(20)를 회전시켜 허리운동을 하게 된다.
즉, 2등분으로 절단된 제 1,2지지부재(25)(26)를 힌지부재(50)로써 접어서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힌지부재(50)를 중심으로 제 1,2부재(25)(26)를 펼친 다음, 삽입홈(51)에 삽입돌기(52)를 삽입시켜 원형의 지지부재(20)를 조립하여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지지부재(20)의 상하면에 동심원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된 이동요홈(22) 내부에 등간격으로 볼베어링(23)을 매설하게 된다.
즉, 이동요홈(22) 내부에 그 외경이 돌출되게 볼베어링(23)을 매설하게 되어 이동부재(30)의 이동시 이동부재(30)의 볼(31)과의 마찰을 줄여 구름작용을 원활하게 하게 됨으로써 이동부재(30)가 원활하게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6a,16b 및 도 1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운동방향에 따라 지지부재(20)의 상하 외주면을 따라 이동부재(30)가 원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이동부재(30)의 제 1,2이동구(32)(33) 일면에 구비된 회전부재(60)가 탄력적으로 원운동을 하게 된다.
즉, 지지부재(20)를 따라 이동부재(30)가 원운동을 하게 될 때, 이 원심력으로써 중간체(70)의 제 1,2끼움돌부(71)(72)가 체결부재(90)의 고정볼트(91)를 중심으로 일방, 즉 이동부재(3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2끼움돌부(72)의 절개홈(73)과 하부체(84)의 고정홈(87)에 양측이 삽입 고정된 판스프링(89)이 탄력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체(80)의 삽입공(83)에 삽입된 고정구(62)를 관통하여 중간체(70)와 이동부재(30)에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61)가 판스프링(89)의 늘어난 길이 만큼 중간체(70)로부터 풀어져 상부체(80)의 삽입공(83)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회전부재(60), 즉 상,하부체(80)(84) 및 중간체(70)가 이동부재(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부재(30)와 동시에 원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부재(30)의 원운동이 정지되면, 늘어난 판스프링(89)의 복귀력으로써 중간체(70)와 이동부재(30)에 고정된 와이어(61)가 상부체(80)의 삽입공(83)을 통하여 중간체(70)에 되 감기게 됨으로써 회전부재(60)가 이동부재(30)에 신속하게 밀착되어 사용자의 허리 등에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출몰되는 회전부재(60)는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유희용구(1)에 적용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0)에 일면에 연결되는 연결끈(34)과 회전볼(35)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희용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허리에 적절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벨트를 착용하고, 사용자가 허리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벨트와 고정밴드로써 연결된 지지부재의 상하 외주면을 따라 이동부재가 원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단련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지지부재내주면으로 탄성부재로써 이동 가능한 지압구가 체결된 누름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의 뱃살을 집중적으로 자극해 체지방을 분해하고, 지압 및 마사지 효과를 갖게 되었고, 지지부재를 접어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동부재의 원운동시 마찰력을 줄여 이동부재의 이동을 원활히 하였고, 이동부재의 일면으로 판스프링의 탄성력으로써 회전부재를 출몰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이동부재의 정지시 사용자에게 직접 맞지 않토록 되는 등의 다양한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등간격으로 다수의 조절공(11)이 관통된 연결대(12)와, 상기 연결대(12)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대(12)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구(14)와, 상기 연결구(14)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12)의 조절공(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조절바(15)로 이루어진 고정벨트(10);
    상기 고정벨트(10) 보다 큰 직경을 유지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하면에 동심원의 이동요홈(22)이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 내주면과 상기 연결대(12) 외주면 사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밴드(18); 및
    상기 지지부재(20)의 이동요홈(2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쌍의 볼(31)이 대응되게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면이 상호 체결 고정된 제 1,2이동구(32)(33)와, 상기 제 1,2이동구(32)(33) 일면에 고정된 연결끈(34)과, 상기 연결끈(34) 단부에 연결된 회전볼(35)로 이루어진 이동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다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자체 중량을 줄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나사홈(24)이형성되고,
    상기 나사홈(24)에는 끼움홈(41)이 형성된 고정구(40)가 돌출되게 체결되며,
    상기 고정구(40)의 끼움홈(41)에는 끼움돌부(43)가 돌설된 누름구(44)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누름구(44)의 단부에는 외주연에 돌기(45)를 갖는 지압구(46)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구(40)의 끼움홈(41)과 상기 누름구(44)의 끼움돌부(43) 사이에는 탄성부재(47)를 설치하여 상기 누름구(4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2등분으로 절단되어 제 1,2지지부재(25)(26)로 나누게 되고,
    상기 제 1,2지지부재(25)(26) 일측의 절단 부위 하면에는 힌지부재(5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20)가 접철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 1,2지지부재(25)(26) 타측의 절단부위에는 상호 결합 및 분리되도록삽입홈(51)과 삽입돌기(52)가 대응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이동요홈(22) 내부에는 등간격으로 볼베어링(23)을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30)의 제 1,2이동구(32)(33) 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61);
    상기 와이어(61)가 감기게 되고, 그 타단이 고정된 중간체(70);
    상기 중간체(70)가 내장되는 상부체(80) 및 하부체(84);
    상기 하부체(84)와 중간체(7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61)의 출몰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스프링(89); 및
    상기 상부체(80) 및 하부체(84)와 중간체(7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체결부재(9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체(70)는
    상기 와이어(61)가 감기는 동시에 그 타단이 고정되고, 양측 중앙부에 상호 연통되게 제 1,2끼움돌부(71)(7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2끼움돌부(72)는 상기 판스프링(89)의 내측부가 삽입 고정되는 절개홈(73)이 형성되고, 단차부(7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80)는
    상기 중간체(70)의 제 1끼움돌부(71) 외경이 삽입되는 제 1끼움공(81)이 관통되고, 외주면으로 다수의 끼움돌기(82)가 돌설되며, 상기 와이어(61)가 통과되는 삽입공(83)이 관통되고,
    상기 하부체(84)는 상기 중간체(70)의 제 2끼움돌부(72)가 삽입되고, 상기 제 2끼움돌부(72)의 단차부(74)가 외주연에 걸리게 되는 제 2끼움공(85)이 관통되며, 상기 상부체(80)의 끼움돌기(82)가 삽입되는 삽지홈(86)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89) 외측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8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구.
KR1020000033947A 2000-06-20 2000-06-20 유희용구 KR20020000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47A KR20020000039A (ko) 2000-06-20 2000-06-20 유희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947A KR20020000039A (ko) 2000-06-20 2000-06-20 유희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39A true KR20020000039A (ko) 2002-01-04

Family

ID=1967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947A KR20020000039A (ko) 2000-06-20 2000-06-20 유희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03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933A (zh) * 2011-12-29 2012-07-04 上海体育学院 一种带有滚动球的腰部扭动训练器
WO2016140390A1 (ko) * 2015-03-03 2016-09-09 홍명수 허리 운동기구
CN105944285A (zh) * 2016-07-22 2016-09-21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声光娱乐健身呼啦球
CN105944286A (zh) * 2016-07-22 2016-09-21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悬挂转动式健身呼啦圈
CN105999613A (zh) * 2016-07-22 2016-10-12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健身呼啦闪光球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6933A (zh) * 2011-12-29 2012-07-04 上海体育学院 一种带有滚动球的腰部扭动训练器
WO2016140390A1 (ko) * 2015-03-03 2016-09-09 홍명수 허리 운동기구
CN105944285A (zh) * 2016-07-22 2016-09-21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声光娱乐健身呼啦球
CN105944286A (zh) * 2016-07-22 2016-09-21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悬挂转动式健身呼啦圈
CN105999613A (zh) * 2016-07-22 2016-10-12 邹城众达知识产权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健身呼啦闪光球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6147B2 (ja) 遊戯用具
US3666267A (en) Wrist exerciser
KR20020000039A (ko) 유희용구
US20040116042A1 (en) Bobble-head doll with deformable head
KR200317964Y1 (ko) 관성을 이용한 운동기구
US6257467B1 (en) Mobile mannequin
JP2009509626A (ja) 垂直方向にウエストの肉を押圧するフラフープ
US6511403B2 (en) Rotating play device capable of training wrist coordination
JP3058861U (ja) 回転指輪
KR100506418B1 (ko) 발운동 및 유희용 기구
CN2748112Y (zh) 一种可拆装的按摩呼啦圈
KR200273740Y1 (ko) 발운동 및 유희용 기구
KR200427438Y1 (ko) 신체 밀착형 훌라후프
KR920008434Y1 (ko) 유희용 훌라후프
KR200235048Y1 (ko) 훌라후프
JPS6112993Y2 (ko)
JPH0441860Y2 (ko)
KR200232242Y1 (ko) 훌라후프
US11253422B1 (en) Adjustable peanut massage tool
CN211434058U (zh) 折叠式筋膜枪
KR200289035Y1 (ko) 운동보조기구
KR20220096106A (ko) 훌라후프
KR200183565Y1 (ko) 다기능 손지압기
KR200249803Y1 (ko) 다기능 실내 운동기구
CN220491331U (zh) 减压u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