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407A - 다형상 훌라후프 - Google Patents

다형상 훌라후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407A
KR20010029407A KR1019990048065A KR19990048065A KR20010029407A KR 20010029407 A KR20010029407 A KR 20010029407A KR 1019990048065 A KR1019990048065 A KR 1019990048065A KR 19990048065 A KR19990048065 A KR 19990048065A KR 20010029407 A KR20010029407 A KR 20010029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itting
hula hoop
main body
h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찬
Original Assignee
안효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찬 filed Critical 안효찬
Publication of KR20010029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4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개의 원형으로 되어있는 훌라후프를 다양하게 개선하여 운동효과와 재미를 한층 고조시켜 더욱 효과적인 운동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본체링(10)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 형태의 끼움부가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단위체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링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 훌라후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형상 훌라후프{.}
본 발명은 훌라후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훌라후프에 추가하여 여러 형태의 끼움체를 결합시켜 흥미로움과 충분한 운동효과를 낼 수 있도록 훌라후프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이러한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은 복부의 비만을 방지해 주고 허리의 근력을 강화 시켜주며 신체의 유연성을 길러주는등 유익한 운동수단이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훌라후프는 그 형태가 단순한 링 형상으로만 이루어져 단지 회전 운동만을 하게되 있음에 따라 사용자는 곧 싫증을 느끼게 되어 흥미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원된 것으로서 훌라후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충분한 재미와 효과적인 체력단련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는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 형태의 끼움체가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단위체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링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훌라후프가 제공된다.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훌라후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싱글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싱글링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더블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훌라후프의 더블링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비행 접시형 더블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비행 접시형 더블링 끼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 비행접시형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단위체중 한개의 단위체를 외주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 비행접시형 훌라후프의 더블링끼움체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날개형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날개형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 나비형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나비형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상하부링 끼움체에 링이 상하로 결합되어 형성된 훌라후프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상하부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훌라후프에서 A부분을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훌라후프의 상하부링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링 11 : 외부링
12 : 싱글링 끼움체 13 : 본체링 끼움부
13a : 본체링 끼움부 14 : 외부링 끼움부
15 : 연결 지지대 16 : 중간링
17 : 외부링 18 : 더블링 끼움체
19 : 본체링 끼움부 19a : 본체링 끼움부
20 : 중간링 끼움부 21 : 외부링 끼움부
22 : 연결 지지대 23 : 중간링
24 : 외부링 25 : 비행 접시형 더블링 끼움체
26 : 본체링 끼움부 26a : 본체링 끼움부
27 : 중간링 끼움부 28 : 외부링 끼움부
29 : 연결 지지판 30 : 단위체
31 : 본체링 32 : 중간링
33 : 외부링 34 : 연결지지판
35 : 삽입부 36 : 흡입부
37 : 핀구멍 38 : 지지판 고정핀
39 : 날개형 끼움체 40 : 본체링 끼움부
40a : 본체링 끼움부 41 : 날개판
42 : 날개판 구멍 43 : 나비형 끼움체
44 : 본체링 끼움부 44a : 본체링 끼움부
45 : 나비 날개 46 : 상부링
47 : 하부링 48 : 상하부링 끼움체
49 : 상부링 끼움부 49a : 상부링끼움부
50 : 하부링 끼움부 50a : 하부링 끼움부
51 : 연결지지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싱글링 끼움체(12)는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적어도 6개 이상의 끼움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본체링(10)에 끼워 맞춰 탈착이 가능 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 시킬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링 끼움부(13) : 및 본체링 끼움부(13)와 일체로 구성된체 직선으로 뻗어있는 연결 지지대(15): 를 포함하여 된다.
또한 연결지지대(15)의 끝단에 설치된체 외부링(11)를 관통시켜서 수용하는 외부링 끼움부(14): 을 포함한다.
또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면서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된 싱글링 끼움체(12)는 그 끝단부가 외부링 끼움부(14)로 구성이 되고 그 외부링 끼움부(14)에 본체링(10)과 전체적으로 같은 괘도의 원형을 이루면서 수용되는 외부링(11) ; 을 포함한다.
본체링끼움부(13a)에 본체링(10)을 관통시켜 수용하는 형태로서의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불링 끼움체(18)는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적어도 6개 이상의 끼움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본체링(10)에 끼워 맞춰 탈착이 가능 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 시킬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링 끼움부(19);및 본체링 끼움부(19)와 일체로 구성된 체 직선으로 뻗어 있는 연결지지대(22) ; 를 포함하여 된다.
또한 연결지지대(22)의 중간과 끝단에 설치된체 중간링(16)과 외부링(17)를 관통시켜서 수용하는 중간링끼움부(20)와 외부링 끼움부(21) ; 를 포함한다.
또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면서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된 더블링 끼움체(18)은 중간부와 끝단부가 중간링 끼움부(21)와 외부링 끼움부(21)로 구성이 되고 그 중간링 끼움부(20)와 외부링 끼움부(21)에 본체링(10)과 전체적으로 같은 괘도의 원형을 이루면서 수용되는 중간링(16)과 외부링(17);를 포함한다.
본체링 끼움부(19a)에 본체링(10)을 관통시켜 수용하는 형태로서의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행접시형 더블링 끼움체(25)는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적어도 6개 이상의 끼움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본체링(10)에 끼워맞춰 탈착이 가능 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 시킬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링 끼움부(26); 및 본체링 끼움부(26)와 일체로 구성된체 비행접시의 날개 형상으로된 연결지지판(29) ; 을 포함하여 된다.
또한 연결지지판(29)의 중간과 끝단에 설치된체 중간링(23)과 외부링(24)를 관통시켜서 수용하는 중간링 끼움부(27)와 외부링 끼움부(28) ; 를 포함한다.
또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끼워 맞춤 형태로 결합된 비행접시형 더블링끼움체(25)는 중간부와 끝단부가 중간링 끼움부(27)와 외부링 끼움부(28)로 구성이 되고 그 중간링 끼움부(27)와 외부링 끼움부(28)에 본체링(10)과 전체적으로 같은 괘도의 원형을 형성하면서 수용되는 중간링(23)과 외부링(24) ; 을 포함한다.
본체링끼움부(26a)에 본체링(10)을 관통시켜 수용하는 형태로서의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비행접시형 훌라후프의 단위체(30)는 복수개의 단위체가 서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고 본체링(31)과 중간형(32)과 외부링(33)이 연결지지판(34)과 일체로 형성되어 내외 세개의 훌라후프가 일체로 구성이 된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단위체(30) 양끝단에는 삽입부(35)와 흡입부(36)로 구성되어 있어 서로 삽입이 되어 고정되며 각각 상하로 성형된 단위체는 지지판 고정핀(38)에 의하여 한개의 단위체로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날개형 끼움체(39)는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끼움체가 동서남북 네방향에서 본체링(10)에 끼워맞춰 탈착이 가능 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링끼움부(40) ; 및 본체링 끼움부(40)와 일체로 구성된체 날개 형상으로된 날개판(41) ; 을 포함하여 된다. 또한 본체링 끼움부(40a)에 본체링(10)을 관통시켜 수용하는 형태로서의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나비형 끼움체(43)는 본체링(10)의 외주면에 적어도 4개 이상의 끼움체가 동서남북 네방향에서 본체링(10)에 끼워 맞춰 탈착이 가능 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라운드 형상의 본체링 끼움부(44) ; 및 본체링 끼움부(44)와 일체로 구성된체 나비 날개 형상으로된 나비 날개(45) ; 를 포함하여된다.
또한 본체링 끼움부(44a)에 본체링(10)을 관통시켜 수용하는 형태로서의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 상하부링 끼움체(48)는 상하부링 끼움부(49)(50)에 수용된 상부링(46)과 하부링(4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 두개의 훌라후프가 동시에 회전하는 형상이 된다.
한번의 회전으로서 두번 회전의 효과를 볼수 있으며 이로서 운동효과도 배가 될 수 있어 더욱 흥미를 느끼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형상 훌라후프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훌라후프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싱글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고, 도 3 은 훌라후프의 싱글링 끼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링(10)에 부착된 싱글링 끼움체(12)는 본체링(10)에 끼워맞춰 결합되는 본체링 끼움부(13)와 그 끼움부 등부위에서 일체로 뻗아나간 연결지지대(15)와 연결지지대(15)끝단에 설치되는 외부링 끼움부(14)로 구성이 된다.
외부링 끼움부(14)는 외부링(11)을 관통시키면서 수용하게 되고 외부링 끼움부(14)에 수용된 외부링(11)은 본체링(10)과 같은 원형을 외부에 형성하면서 내외로 두개의 훌라후프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허리와 복부의 운동에 의하여 본체링(10)이 회전하게 되면 본체링(10)에 결합된 싱글링 끼움체(12)와 그 끼움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링(11)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두개의 훌라후프가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링(10)에 싱글링 끼움체(12)와 외부링(11)의 무게가 더해지고 회전주가 내외 두개로 있어 회전 상태와 회전속도가 기존의 훌라후프 보다 월등한 효과가 있다 하겠다.
그리고 싱글링 끼움체(12)와 외부링(11)의 색상을 각각으로 달리하여 회전시 색의 조화를 연출할 수도 있다.
도 4는 더블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며, 도 5 는 훌라후프의 더블링 끼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링(10)에 부착된 더블링 끼움체(18)는 본체링(10)에 끼워 맞춰 결합되는 본체링 끼움부(19)와 그 끼움부 등부위에서 일체로 뻗어나간 연결지지대(22)와 연결지지대(22)중간과 끝단에 설치되는 중간링 끼움부(20)와 외부링 끼움부(21)로 구성이 된다.
중간링 끼움부(20)와 외부링 끼움부(21)는 중간링(16)과 외부링(17)을 관통시키면서 두개의 링을 수용하게 되고 각각의 끼움부에 수용된 중간링(16)과 외부링(17)은 본체링(10)과 같은 선상에서 원형 궤도를 형성 하면서 세개의 훌라후프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허리와 복부의 운동에 의하여 본체링(10)이 회전하게 되면 본체링(10)에 결합된 중간링(16)과 외부링(17)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세개의 훌라후프가 동시에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끼움부와 두개의 링의 무게가 더해지고 회전주가 세개로 되어있어 회전상태와 회전속도가 배가되는 효과를 볼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더블링 끼움체(18)와 중간링(16)과 외부링(17)의 색상을 각각으로 달리한다면 회전시 색의 조화를 연출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끼움부의 라운드 형상 내부 즉 본체링(10)의 외주면과 접착되는 끼움부의 내면에는 아주 작은 돌기들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어 외주면에 끼워 맞춘 끼움부가 돌기에 의하여 단단하게 결합하는 것을 도와 주게 된다.
도 6 은 훌라후프의 비행접시형 더블링 끼움체(25)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훌라후프의 비행접시형 더블링 끼움체(25)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링(10)에 부착된 비행접시형 더블링 끼움체(25)는 본체링(10)에 끼워맞춰 결합되는 본체링 끼움부(26)와 그 끼움부에 설치된 연결 지지판(29)과 그 지지판의 중간부위와 끝단에 설치되는 중간링 끼움부(27)와 외부링 끼움부(28)로 구성이 된다.
중간링 끼움부(27)와 외부링 끼움부(28)는 중간링(23)과 외부링(24)을 관통시키면서 각각의 링을 수용하게 되고 각각의 끼움부에 수용된 중간링(23)과 외부링(24)은 본체링(10)과 같은 선상에서 원형 궤도를 형성 하면서 세개의 훌라후프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허리와 복부의 운동에 의하여 본체링(10)이 회전하게 되면 본체링(10)에 결합된 중간링(23)과 외부링(2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세개의 훌라후프가 동시에 같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3개의 회전주(링)와 더해진 무게로 하여 훌라후프의 회전력과 회전속도가 더해져 운동 효과가 큼은 물론 비행접시 형상으로서 재미와 흥미가 배가 되어 장시간의 운동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중간링(23)과 외부링(24)의 구경은 본체링(10) 보다 순차별로 작아짐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 훌라후프를 구성하는 단위체 중 한개의 단위체를 외주면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훌라후프의 더블링 끼움체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단위체(30)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본체링(31)과 중간링(32)과 외부링(33)이 연결지지판(34)과 일체로 성형이 되어 내외 세개의 훌라후프가 구성이 된다.
단위체(30)의 양끝단에는 삽입부(35)와 흡입부(36)로 구성되며 상하로 분리되어 사출성형된 단위체(30)는 지지판 고정핀(38)에 의하여 완전한 하나의 단위체(30)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본체링(31)과 중간링(32)과 외부링(33)은 연결지지판(34)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세개의 링을 형성하고 허리와 복부의 운동에 의하여 같은 괘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마치 비행접시가 비행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무게가 무겁고 세개의 링이 동시에 회전하므로 부상력이 높아져 누구나 쉽게 비행접시형 훌라후프를 즐길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날개형 끼움체(39)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며, 도 11는 훌라후프의 날개형 끼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링(10)에 부착된 날개형 끼움체(39)는 본체링(10)에 끼워맞춰 결합되는 본체링 끼움부(40)와 그 끼움부 등부위에 설치된 날개판(41)으로 구성이 된다.
날개판(41)에는 날개판 구멍(42)이 형성되어 있어 세련된 다지인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때에도 끼움체의 색상을 제각각 달리하여 회전시 색의 조화를 연출해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12은 나비형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며, 도 13는 훌라후프의 나비형 끼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링(10)에 부착된 나비형 끼움체(43)는 본체링(10)에 끼워맞춰 결합되는 본체링 끼움부(44)와 그 끼움부 등부위에 설치된 나비날개(45)로 구성이 된다.
나비날개(45)는 파도모양으로 성형이 돼있어 허리와 복부의 운동에 의하여 본체링(10)이 회전하게되면 본체링(10)에 결합된 나비형 끼움체(43)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나비날개(45)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가는 형상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나비형 끼움체(43)의 색상을 달리하여 본체링(10)의 회전시 색의 조화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상하부링 끼움체에 링이 상하로 결합되어 형성된 훌라후프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하부링 끼움체가 외주면을 따라 부분적으로 형성된 훌라후프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링 끼움체(48)는 상부링(46)을 수용하는 상부링 끼움부(49)(49a)와 하부리(47)를 수용하는 하부링끼움부(50)(50a)로 구성이되며 상부링끼움부(49)(49a)와 하부링끼움부(50)(50a)는 연결지지대(51)에 의하여 상하로 두개의 훌라후프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한번의 회전으로서 두번 회전의 효과를 볼수 있어 흥미는 물론 운동량을 배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 훌라후프에서 A부분을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며
도 17는 훌라후의 상하부링 끼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 이중으로 형성된 훌라후프는 허리와 복부에 또한 이중으로 압박을 가하게되어 한번회전으로서 두번 회전의 운동효과를 볼수 있으며 기존의 단순한 훌라후프보다 더욱 흥미를 갖고 장시간 운동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형상 훌라후프는 여러 형태의 끼움체가 결합하여 훌라후프가 회전할 때 여러가지 색상의 조화와 여러형태의 변형된 훌라후프를 제공함으로서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여 싫증을 느끼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 운동겸 놀이를 즐길 수 있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는 본체링(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다형상 끼움체가 구비되어 형성되는 훌라후프 및 ;
    복수개의 단위체(30)가 서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링형상을 이루고 본체링(31)과 중간링(32)과 외부링(33)이 연결지지판(3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세개의 링이 구성되는 훌라후프 및 ;
    상하부링 끼움부(49)(49a)(50)(50a)에 수용되어 링이 상하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 훌라후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링(1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되거나 본체링을 관통하여 수용되는 각 끼움체(12)(18)(25)(39)(43)(48) 및 상기 본체링(10)과 같은 선상에서 각각의 궤도를 형성 하면서 같이 회전하는 중간링(16)(23)과 외부링(11)(17)(24) 및 상부링(46)과 하부링(47)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 훌라후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끼움부(13)(13a)(19)(19a)(26)(26a)(40)(40a)(44)(44a)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지지대(15)(22)와 연결 지지판(29)과 상기 각각의 끼움부에 설치되어 여러형상을 구성하고 있는 날개판(41)과 나비날개(45)와, 상기 중간링(16)(23)과 외부링(11)(17)(24)를 수용하고 있는 중간링 끼움부(20)(27)와 외부링 끼움부(14)(21)(28)를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 훌라후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체(30)는 분할조립이 가능하도록 양끝단에 삽입부(35)와 흡입부(36)가 구성되고 단위체끼리의 이탈을 방지하여 고정시켜주는 핀구멍(7)과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사출성형된 단위체(3O)를 결합고정시켜주는 지지판 고정핀(38)을 특징으로 하는 다형상 훌라후프
KR1019990048065A 1999-09-22 1999-11-01 다형상 훌라후프 KR200100294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41220 1999-09-22
KR1019990041220 1999-09-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407A true KR20010029407A (ko) 2001-04-06

Family

ID=1961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065A KR20010029407A (ko) 1999-09-22 1999-11-01 다형상 훌라후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94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79A1 (en) * 2005-06-01 2006-12-07 Joeng Hyun Seo Diet apparatus for belly
KR100854961B1 (ko) * 2005-06-01 2008-08-29 서정현 복부 다이어트 운동구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CN112774082A (zh) * 2020-12-21 2021-05-11 杭州泽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呼啦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9979A1 (en) * 2005-06-01 2006-12-07 Joeng Hyun Seo Diet apparatus for belly
KR100854961B1 (ko) * 2005-06-01 2008-08-29 서정현 복부 다이어트 운동구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CN112774082A (zh) * 2020-12-21 2021-05-11 杭州泽谦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呼啦圈
CN112774082B (zh) * 2020-12-21 2024-01-12 杭州壹韵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呼啦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9086B1 (en) Hula hoop with rotary balls
EP2086660A1 (en) A set of blocks with freely movable magnetic anchoring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game assemblies
US6966814B2 (en) Hoop-type amusement device
KR20010029407A (ko) 다형상 훌라후프
US5451055A (en) Tower puzzle toy
AU629587B2 (en) Board game apparatus
KR100854961B1 (ko) 복부 다이어트 운동구
KR200175932Y1 (ko) 훌라후프
KR200173114Y1 (ko) 타원형 훌라후프
US7338339B2 (en) Hoop-type amusement device
KR200349362Y1 (ko) 분해조립이 가능한 팽이
CN211798775U (zh) 一种拼装玩具
US4018444A (en) Ring whirling device
KR200184371Y1 (ko) 지압벨트와 3단링 훌라후프
KR200232242Y1 (ko) 훌라후프
KR200171589Y1 (ko) 탄성고리 훌라후프
KR200298604Y1 (ko) 줄넘기용 줄
KR200305537Y1 (ko) 훌라후프
KR100242562B1 (ko) 허리운동기구
KR920008434Y1 (ko) 유희용 훌라후프
KR200207021Y1 (ko) 훌라후프
KR200171588Y1 (ko) 깃털훌라후프
KR20010046966A (ko) 지압벨트와 3단링 훌라후프
CN213432751U (zh) 一种跳绳手柄
KR200171536Y1 (ko) 더블훌라후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