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073A - 허리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허리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073A
KR19990016073A KR1019970038511A KR19970038511A KR19990016073A KR 19990016073 A KR19990016073 A KR 19990016073A KR 1019970038511 A KR1019970038511 A KR 1019970038511A KR 19970038511 A KR19970038511 A KR 19970038511A KR 19990016073 A KR19990016073 A KR 1999001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dy
waist
small ring
small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길
Original Assignee
송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길 filed Critical 송영길
Priority to KR101997003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073A/ko
Publication of KR1999001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73A/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의 유연성 증진과 복부비만 예방 및 디스크를 건강하게 해주는 허리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내측에는 작은 링체를 구비시키고 이 내측에 구비된 작은링체의 외부에는 큰 링체를 구비시키되, 작은 링체와 큰 링체의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고, 상기 큰 링체의 외부 일측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를 1∼2개 정도 설치하였으며 작은 링체의 내측 둘레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탄성밴드를 설치하고 이에 밸트를 삽입 설치하여 이 밸트로 인체의 허리부분에 결착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운동기구
본 발명은 허리의 유연성 증진과 복부비만 예방 및 디스크를 건강하게 해주는 허리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숙달되지 않은 성인 남,녀 누구나 쉽게 허리 운동을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종래의 허리운동기구(일명:훌라후프)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플라스틱재로된 링체(10)를 허리에 걸친후 허리를 돌려서 링체(1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허리운동기구는 수회의 반복된 연습에 의하여 링체(10)가 허리부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하는바 이는 허리가 유연하지 않거나 노약자나 복부비만자들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상기 노약자나 복부비만자들은 허리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허리를 운동하고 싶은 심정은 누구나 가지고 있으나 허리운동기구를 이용한 허리운동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라서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허리운동기구 즉 링체(10)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중이 가벼워 쉽게 회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허리를 심하게 돌려야하는 폐단으로 인해 운동을 마치고나면 허리가 뻐근하거나 통증이 유발되어 허리를 더욱 취약하게하는 문제점도 간혹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허리운동기구를 허리부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링체를 회전시켜 노약자는 물론 복부비만자들이나 또는 성인남녀누구나 쉽게 허리운동을 할수 있도록한 허리운동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내측에는 작은 링체를 구비시키고 이 내측에 구비된 작은링체의 외부에는 큰 링체를 구비시키되, 작은 링체와 큰 링체의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 설치하고, 상기 큰 링체의 외부 일측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를 1∼2개 정도 설치하였으며 작은 링체의 내측 둘레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개 탄성밴드를 설치하고 이에 밸트를 삽입 설치하여 이 밸트로 인체의 허리부분에 결착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허리운동기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허리운동기구 요부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허리운동기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허리운동기구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작은링체 21: 밴드
30: 큰링체 40: 밸트
50: 연결구 51,52: 구체
53: 중량체 60: 인체
61: 허리부근
본 발명은 내측에는 작은링체(20)를 구비시키고, 이 작은링체(20)의 외부에는 큰 링체(30)를 구비시키되, 상기 작은링체(20)의 내측 둘레면에는 탄성밴드(21)를 등간격으로 다수개설치하고, 이 탄성밴드(21)의 내부에는 밸트(40)를 삽입설치하여 인체(60)의 허리부분(61)에 결착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작은링체(20)와 큰링체(30)는 다수개의 연결구(50)를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연결설치하되, 이 연결구(50)의 양단에는 가각의 구체(51)(52)를 형성시켰으며 작은링체(20)에 삽입설체되는 구체(51)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켰고, 큰 링체(30)에 삽입설치되는 구체(52)는 링체(30)내에서 유동할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큰 링체(30)의 외측 소정의 장소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53)를 메달아 큰링체(30)가 회전하는데 가속력을 받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작은링체(20)를 인체(60)의 상부나 하부에서부터 끼워 허리부근(61)에 위치시킨후 작은링체(20)의 내측 둘레면에 설치된 밸트(40)를 이용하여 인체(60)의 허리부근(61)에 조여 주게되면 밴드(21)가 늘어나면서 밸트(40)가 허리부근(61)에 견고히 조여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허리운동기구는 인체(60)의 허리부근(61)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큰링체(3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돌려준 다음 허리를 큰링체(30)의 회전 방향에 부흥하도록 움직여주면 큰링체(30)는 허리의 움직임에 부흥하여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 큰링체(30)의 외측 소정의 장소에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체(53)는 큰링체(30)의 회전을 더욱 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구(50)의 양단에 형성된 각각의 구체(51)(52)중 작은링체(20)에 삽입설치되는 구체(51)는 작은링체(20)안에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고 큰링체(30)에 삽입설치된 구체(52)는 큰링체(30)안에서 회전을 하도록 되어 있어 큰링체(30)가 원활한 회전을 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큰링체(30)의 외측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 중량체(53)의 무게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바꾸어 달을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작은링체(20)와 큰링체(30)는 재질에 구애됨이 없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연결구(50)의 재질은 절곡되거나 휘어지지않음은 물론 전단되지 않는 강질의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허리운동기구를 허리부근에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링체를 회전시켜 노약자는 물론 복부비만자들이나 또는 성인남녀누구나 쉽게 허리운동을 할수 있어 공간이 협소한 집안에서도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어 복부비만예방 및 허리를 튼튼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측에는 작은링체(20)를 구비시키고, 이 작은링체(20)의 외부에는 큰 링체(30)를 구비시키되, 상기 작은링체(20)의 내측 둘레면에는 탄성밴드(21)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고, 이 탄성밴드(21)의 내부에는 밸트(40)를 삽입설치하여 인체(60)의 허리부분(61)에 결착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작은링체(20)와 큰링체(30)는 다수개의 연결구(50)를 이용하여 등간격으로 연결설치하되, 이 연결구(50)의 양단에는 가각의 구체(51)(52)를 형성시켰고, 상기 작은링체(20)에 삽입설치되는 구체(51)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켰고, 큰 링체(30)에 삽입설치되는 구체(52)는 링체(30)내에서 유동할수 있도록 하여서된 구성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운동기구.
KR1019970038511A 1997-08-13 1997-08-13 허리운동기구 KR19990016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511A KR19990016073A (ko) 1997-08-13 1997-08-13 허리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511A KR19990016073A (ko) 1997-08-13 1997-08-13 허리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73A true KR19990016073A (ko) 1999-03-05

Family

ID=66000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511A KR19990016073A (ko) 1997-08-13 1997-08-13 허리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07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97A (ko) * 2001-06-27 2003-01-06 (주)노아벤쳐그룹 훌라후프
KR100884634B1 (ko) * 2006-02-07 2009-02-23 오리코스포텍(주) 폐타이어 휠을 이용한 척추교정 허리골반운동기구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KR102014255B1 (ko) * 2018-03-27 2019-08-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훌라후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97A (ko) * 2001-06-27 2003-01-06 (주)노아벤쳐그룹 훌라후프
KR100884634B1 (ko) * 2006-02-07 2009-02-23 오리코스포텍(주) 폐타이어 휠을 이용한 척추교정 허리골반운동기구
KR20190010006A (ko) * 2017-07-20 2019-01-30 양해동 복근 운동기구
KR102014255B1 (ko) * 2018-03-27 2019-08-26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훌라후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1445A (en) Therapeutic hand exerciser
US6217482B1 (en) Entertainment and exercise device
US4515364A (en) Compact exercise device
US7448985B2 (en) Exercise and massage device
US20110306474A1 (en) Rope-less jump rope simulator and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489251A (en) Exercise device
US5743830A (en) Torsion exercise device for arm and wrist
FR2757867B1 (fr) Nouveau copolymere a amide ou imide introduit, sa preparation et resine photosensible le comprenant
US3901503A (en) Weighted muscle exerciser
US4830366A (en) Exercise device utilizing a compression member and elastic tension members to alternately exercise different sets of muscles
US4153248A (en) Ball
US4369967A (en) Training aid for drilling muscles
US20040171440A1 (en) Training device for throwing a ball
US3589721A (en) Elastic-type exercising device
BR9205222A (pt) Aparelho mecânico para alongamento muscular, flexibilidade e fisioterapia
CA2167877A1 (en) Isotonic/Isometric Exercise and Therapy System
US4577858A (en) Fingertip exerciser
KR19990016073A (ko) 허리운동기구
WO1998006459A2 (en) Cuff with resistance means
KR20044983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0242562B1 (ko) 허리운동기구
US5935045A (en) Pincer grasp therapy device
GB2227949A (en) Exercise apparatus
JP2006150073A (ja) 健康用具
US4657243A (en) Finger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