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421B1 -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 Google Patents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421B1
KR101956421B1 KR1020157008199A KR20157008199A KR101956421B1 KR 101956421 B1 KR101956421 B1 KR 101956421B1 KR 1020157008199 A KR1020157008199 A KR 1020157008199A KR 20157008199 A KR20157008199 A KR 20157008199A KR 101956421 B1 KR101956421 B1 KR 10195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upled
tube
ped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173A (ko
Inventor
가디 헤젤
유발 스테낫스키
Original Assignee
갈릴레오 트라익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릴레오 트라익스 엘티디. filed Critical 갈릴레오 트라익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05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4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tri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2Front wheel forks or equivalent, e.g. single t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3/00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 B62K23/02Rider-operated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i.e. means for initiating control operations, e.g. levers, grips hand actuated
    • B62K23/06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62K9/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1Frames adapted to be easily dismant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다단 트라이시클에 관한 것이다. 이 트라이시클은 앞바퀴 어셈블리; 프론트마운트를 통해 앞바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한쌍의 뒷바퀴 어셈블리; 뒷바퀴 어셈블리들을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 및 앞바퀴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의 잠금을 동시에 풀어주어 한번만 당겨도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해제하여 접이상태로 변환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FREE-WHEELING, FREE-STEERING, FOLDABLE MULTI-STAGE TRICYCLE WITH A SINGLE-MOTION RELEASE MECHANISM}
본 발명은 트라이시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다단 트라이시클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가 운전하기에 너무 어릴 때 어른이 운전하고 조정하도록 하였다가 뒤에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조향 핸들을 갖춘 다단 트라이시클(세발자전거)은 공지되어 있다. 기존의 모든 조향 핸들은 비슷한 단점을 갖는다. 즉, 조향 핸들을 복잡한 와이어와 메커니즘 세트를 통해 트라이시클의 조향 컬럼에 결합해야 한다. 또, 조향 핸들이 단일 컬럼 구성이어서 조향동작도 어렵다.
기존의 접이식 자전거는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변환하는데 많은 단계들이 필요하다.
WO 2012/010221 : FOLDABLE BICYCLE US 5,785,338 : A Collapsible Bicycle Frame US 2011/0278815 : Parent Steerable Tricycle with Internal Steering Limiter
본 발명은 조작성과 자유회전 특성과 자유조향 특성이 개선된 간단한 조향핸들을 갖춘 다단 트라이시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트라이시클을 접기위한 싱글모션 잠금해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바퀴 어셈블리; 프론트마운트를 통해 앞바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한쌍의 뒷바퀴 어셈블리; 뒷바퀴 어셈블리들을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 및 앞바퀴 어셈블리로부터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의 잠금을 동시에 풀어주어 한번만 당겨도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해제하여 접이상태로 변환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은 Y형 새시, 및 핀락 스프링 안에 결합되는 핀락을 포함하고, 핀락 스프링 끝에 달린 핀락 클립디스크가 핀락에 연결되어, 상기 핀락이 핀락 스프링의 힘을 받아 메인프레임을 프론트마운트에 가역적으로 걸어주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폴딩 링 어셈블리들 각각은 (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고, (A)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과, (B) 이런 락커 스윙락을 끼울 수 있는 잠금 구멍을 갖는 허브리스 튜브; (ⅱ) 허브리스 튜브에 결합되고, 가이드 핸들의 아암에 결합되는 허브리스 핸들링; 및 (ⅲ) 상기 허브리스 핸들링과 뒷바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허브리스 휠링;을 포함하고, 허브리스 휠링과 핸들링이 동축으로 위치하고, 허브리스 튜브는 휠링이 회동하는 축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런 메커니즘은 (ⅰ) 스프링식 락커 스윙링에 결합되는 라인; 및 (ⅱ) 상기 라인에 결합되고 핀락의 링을 통해 감기는 튜브;를 포함하고, 튜브를 당기면 핀락을 후퇴시킴과 동시에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을 상기 구멍에서 돌출시켜, 프론트마운트를 메인프레임에서 잠금해제하고 링 어셈블리들을 풀어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링 어셈블리들이 트라이시클이 조립상태일 때의 조립된 제1 구성과, 트라이시클이 접이상태일 때의 접힌 제2 구성을 갖고, 상기 허브리스 휠링과 핸들링은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이 상기 구멍 외부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변환하도록 하면 좋다.
또, 링 어셈블리들의 제1 구성에서 상기 락커 스윙락이 허브리스 튜브의 상기 구멍 안에 있으면서 구멍 밖으로 일부 돌출하여, 허브리스 핸들링에 형성된 제1 잠금홈 부분과 허브리스 휠링에 형성된 제1 잠금홈 부분이 정렬되었을 때 이들 제1 잠금홈 부분들 안에 위치함으로써, 제1 구성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허브리스 링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며; 제2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락커 스윙락이 허브리스 튜브의 상기 구멍 안에 있으면서 구멍 밖으로 일부 돌출하여, 허브리스 핸들링에 형성된 제2 잠금홈 부분과 허브리스 휠링에 형성된 제2 잠금홈 부분이 정렬되었을 때 이들 제2 잠금홈 부분들 안에 위치함으로써, 제2 구성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허브리스 링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링 어셈블리들 각각이 (ⅳ) 허브리스 핸들링과 휠링의 회동 안내홈에 형성된 구멍에 기워져 핸들링과 휠링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루스텅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핸들링의 회동범위는 95°내지 150°범위이고, 휠링의 회동범위는 160°내지 200°범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트라이시클은 폴딩 링 어셈블리에 가역적으로 연결되는 조립식 가이드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가이드 핸들이 신축 핸들일 수 있다.
또, 앞바퀴 어셈블리는 (ⅰ) 핸들바; (ⅱ)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튜브; 및 (ⅲ) 포크;를 더 포함하고, 포크는 포크를 핸들바 튜브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가져,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 결합되었을 때는 핸들바 조향을, 그리고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서 분리되었을 때는 핸들바-프리 조향을 전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잠금기구는 (A) 핸들바 튜브에 쓰워지는 핸들튜브 캡; (B) 포크에 씌워지는 포크튜브 캡; (C) 포크튜브 캡 안에 결합되고 핸들튜브 캡 내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포크락 핀; 및 (D) 포크락 핀에 결합되어 포크락 핀을 핸들튜브 캡 안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포크락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앞바퀴 어셈블리는 (ⅳ) 포크에 결합되는 앞바퀴; (ⅴ) 앞바퀴에 결합되는 페달락; 및 (ⅵ) 페달락 안에 결합되는 페달바를 더 포함하고, 페달락이 페달바를 앞바퀴에 잠글 수 있어, 페달바가 앞바퀴에 잠기면 트라이시클은 페달회전상태에 있고 페달바가 앞바퀴에서 풀리면 트라이시클이 자유회전상태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뒷바퀴 어셈블리들은 (ⅰ) 폴딩 링 어셈블리들에 결합되는 뒷바퀴 아암; 및 (ⅱ) 뒷바퀴 아암에 결합되는 뒷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뒷바퀴 어셈블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뒷바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동하는 제동기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핸들바;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튜브; 핸들바 튜브에 연결되는 프론트 마운트; 및 프론트 마운트에 연결되는 포크;를 더 포함하고, 포크는 포크를 핸들바 튜브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가져,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 결합되었을 때는 핸들바 조향을, 그리고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서 분리되었을 때는 핸들바-프리 조향을 전기적으로 할 수 있는 다단 트라이시클도 제공한다.
이 경우, 잠금기구는 (ⅰ) 핸들바 튜브에 쓰워지는 핸들튜브 캡; (ⅱ) 포크에 씌워지는 포크튜브 캡; (ⅲ) 포크튜브 캡 안에 결합되고 핸들튜브 캡 내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포크락 핀; 및 (ⅳ) 포크락 핀에 결합되어 포크락 핀을 핸들튜브 캡 안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포크락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바퀴; 앞바퀴에 결합되는 페달락; 및 페달락과 앞바퀴 안에 결합되는 페달바를 포함하고, 페달락이 페달바를 앞바퀴에 잠글 수 있어, 페달바가 앞바퀴에 잠기면 트라이시클은 페달회전상태에 있고 페달바가 앞바퀴에서 풀리면 트라이시클이 자유회전상태에 있도록 하는 다단 트라이시클도 제공한다.
이 경우, 페달락은 (ⅰ) 앞바퀴에 결합되는 스프로켓휠; (ⅱ) 페달바에 고정되는 플랜지; (ⅲ) 플랜지와 페달바에 고정되는 스프로켓핀; 및 (ⅳ) 자유회전상태에서만 스프로켓휠의 갈퀴에 맞물리고 페달회전상태에서는 스프로켓핀의 갈퀴와 맞물리는 돌기들이 내부공간에 설치되어있고, 스프로켓휠 위에 설치되는 페달락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페달락 슬리브는 페달회전상태에서 스프로켓핀 위로 미끄러져 들어가 상기 돌기들이 스프로켓핀의 칼퀴들과 맞물려 앞바퀴를 페달에 결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접이식 트라이시클의 후방사시도;
도 1B는 트라이시클의 평면도;
도 2A는 트라이시클의 전방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전개도;
도 2C는 벽을 투명하게 한 프론트마운트 튜브의 사시도;
도 3A~E는 여러 단계들의 포크의 사시도;
도 4A는 한쌍의 허브리스 튜브에 결합된 메인프레임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전개도;
도 4C는 역V형 브라켓의 전방사시도;
도 5A는 핸들과 뒷바퀴 어셈블리의 후방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전개도;
도 6A는 링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전개도;
도 6C는 도 6B의 락커 스윙락의 사시도;
도 7은 접이상태의 트라이시클의 후방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트라이시클의 좌후방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C는 도 8B의 전개도.
도 1A는 본 발명의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10)의 일례의 후방사시도이다. 이 트리이시클은 전방 어셈블리(100), 메인프레임(300), 한쌍의 폴딩링 어셈블리(500) 및 핸들-리어휠 어셈블리(700)의 4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이 트라이시클(10)은 다단식으로, 각 단계마다 어린애가 탑승할 수 있도록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삼륜자전거나 유모차 등의 탈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즉석 탈것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갖는다:
1단: 페달도 못밟고 운전도 못하는 어린이; 부모나 보모가 핸들(702)을 사용해 트라이시클(10)을 운전한다. 이 단계에서 핸들바를 핸들프리 스티어링으로 설정하고 페달을 프리휠링 모드(이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로 설정하여 핸들바와 페달을 아무리 움직여도 트라이시클(1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2단: 페달은 밟지만 운전은 못하는 어린이; 이 단계에서는 보모가 핸들(702)을 조작하면서 부분적으로나 전적으로 페달을 밟거나 방향을 잡고, 어린이는 능력에 맞게 페달을 밟거나 운전을 한다. 어린이가 운전할 수 있으면 핸들바를 핸들방향 스티어링으로 설정하고, 페달을 밟을 수 있으면 페달을 '페달 모드'로 설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린이가 계속은 아니라도 양쪽을 다 할 수도 있다. 또, 어떤 경우에는 의자(도시 안됨) 등받이가 높고 잠자는 어린이를 눕히도록 기울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 핸들(702)이 여전히 필요하다.
3단: 가이드 핸들(702)을 제거하고 어린이 혼자 운전.
물론, 트라이시클이 그늘막, (페달이 발이 닿지 못하는 유아를 위한) 발판, 바구니 등의 기존의 특징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차량이 앞바퀴 2개가 포크의 바깥면에 결합되어 있고 앞바퀴 사이에 페달이 배치된 4륜자전거일 수도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접이식 트라이시클의 평면도이다. 메인프레임(300)의 Y형 새시(304) 안에 있는 핀락(302)은 후술하는 싱글모션 릴리스 메커니즘의 일부분으로 기능한다. 폴딩링 어셈블리(500)에 기능적으로 결합된 한쌍의 스프링식 로커 스윙락(502)의 핸들부의 바깥쪽 단부에 아이렛(504)이 있다(도 6A~C 참조). 라인(506)이 아이렛(504)에 연결되고, 일단부에서 라인(506)에 사슬(508)이 결합되어 핀락(302)의 핸들부를 감싸면서 사슬(508)의 타단부를 당기면 핀락(302)이 전방 어셈블리(100) 반대쪽으로 당겨지고, 라인(506)은 전방 어셈블리(100)쪽으로 당겨지며 로커 스윙락(502)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사슬(508)을 한번 당기면 전방 어셈블리(100)에서 메인프레임(300)과 폴딩링 어셈블리(500)가 풀려,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도 1A~B의 조립상태에서 도 7의 접힌 상태로 바꿀 수 있다.
도 2A는 전방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전개사시도이다. 전방 어셈블리(100)는 핸들바(112), 프론트 마운트(114), 포크(116) 및 앞바퀴(118)를 갖는다. 핸들바(112)의 핸들튜브(120)는 중공형이고 끝에 핸들튜브 캡(121)이 달려있다(도 3A~C 참조). 프론트 마운트(114)는 프론트마운트 튜브(122)와 프론트마운트 판(123)를 갖는다. 포크(116)는 포크튜브 캡(125)이 씌워진 포크튜브(124)와, 2개의 포크 사이드튜브(126)를 갖는다. 포크튜브 캡(125)에서 포크락 핀(134)가 돌출해있다. 앞바퀴(118)는 타이어(127), 앞바퀴/레이디얼(1290, 페달(130) 및 페달락(132)을 갖는다. 핀(119)을 통해 Y형 새시(304)에 프론트마운트 판(123)이 결합되어, 프론트마운트 판(123)이 핀락(302)에서 풀려도 프론트마운트 판(123)은 여전히 Y형 새시(304)에 연결된다. 이런 구조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C는 프론트마운트 튜브(122)를 투명하게 한 사시도로서, 상반부와 하반부로 분할되어 있다. 상반부에 핸들튜브(120)를 끼우고, 하반부에 포크튜브(124)를 끼운다. 디바이더(150)가 2개의 튜브를 분리한다. 디바이더(150)에 채널(154)이 있고 중심에 구멍(152)이 있다. 핸들튜브 캡(121) 중앙의 구멍과, 디바이더(150) 중앙의 구멍(152)과 포크튜브 캡(125) 중앙의 구멍을 플랜지나 볼트(도시 안됨)가 관통한다. 이런 볼트는 너트 등으로 고정된채 핸들튜브 캡(121)과 포크튜브 캡(125)을 결합하되, 각각의 튜브가 독립적으로 회전하면서도 핸들바(112)나 포크(116)가 프론트마운트 튜브(122)에서 빠지지 않게한다. 프론트마운트 판(123)는 프론트마운트 튜브(122)의 하반부에 형성된 구멍(156)을 통해 프론트마운트 튜브(122)에 고정된다.
잠금해제 상태에서, 포크락 핀(134)이 포크튜브 캡(125)의 구멍을 통해 디바이더(150)의 채널(154) 안으로 돌출하여 포크(116)의 회전반경을 제한한다. 즉, 포크(116)의 회전구간이 포크락 핀(134)이 채널(154) 안에서 움직일 수 있는 자유도 내에서 제한된다.
이런 언락 상태에서, 핸들바(112)가 포크(116)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이런 언락/분리 상태를 "핸들바-프리 스티어링"이라 하고, 이때 핸들바의 움직임은 트라이시클(10)의 방향에 아무 영향도 주지 않는다. 이런 상태는 키작은 어린이가 타고 있는채 어른이나 보모가 스티어링 핸들(702)을 사용해 트라이시클(10)을 밀 때 도움이 된다. 어린이는 방향을 바꾸지 않고 트라이시클(10)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때 안전하게 핸들바를 옆으로 움직이면서 즐길 수 있다.
더 나이든 어린이를 위해, 포크(116)를 잠금/결합 상태로 핸들바(112)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포크락 핀(134)은 핸들튜브 캡(121)의 구멍 안으로 상승하여 포크(116)와 핸들바(112)를 잠근다. 캡, 포크락 핀(134)을 조작하는 레버 및 포크락 핀 자체에 대해 도 3A~E를 참조해 자세히 설명한다. 잠금/결합 상태를 "핸들바-조향 스티어링"이라 하는데, 이때 어린이는 핸들바를 움직여 트라이시클(10)을 운전할 수 있고, 좀더 진보된 다단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E는 내부를 좀더 자세히 보여주는 포크(116)의 각 단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포크(116)와 핸들튜브 캡(121)을 보여준다. 핸들튜브 캡(121)과 포크튜브 캡(125)은 같은 형상이지만 각각 목적이 다르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2개의 반원형의 홀딩 돌기(160)가 원판에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반원형 돌기의 곡면은 튜브의 곡면과 일치하며, 캡을 튜브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캡에서, 2개의 돌기(160) 중의 하나에 혀엉된 구멍(162)에 포크락 핀(134)이 끼워진다. 포크락 핀(134)은 포크튜브 캡(125) 안에 위치하고, 잠금상태에서는 핸들튜브 캡(121) 안에 결합된다. 전술한대로, 핸들튜브 캡(121)은 핸들튜브(120)에 씌워지고, 포크튜브 캡(125)은 포크튜브(124)에 씌워진다. 이들 캡은 프론트마운트 튜브(122)내의 디바이더(150)에 의해 분리된다.
도 3B는 포크튜브(124)를 제거한 상태의 도 3A에 gokd하는 도면으로서, 기다란 포크락 핀(134)이 포크튜브(124)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른다. 도 3C는 포크측 튜브(126)를 제거한 상태로서, M형 브라켓(136)이 락커형 브라켓(138)과 교차한다. 캡(121,125)은 서로 맞닿는 것처럼 보이지만, 제자리에 있을 때는 2개의 서로 마주보는 캡들 사이에 디바이더(150)가 위치한다(도 2C 참조). 도 3D는 도 3C에 대응하지만 M형 브라켓(136)과 포크튜브 캡(125)이 제거된 상태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포크락 핀(134)은 핸들튜브 캡(121)의 구멍(162)에 끼워질 정도로 충분히 상승되어 있다. 따라서, 트라이시클(10)이 잠금/결합 상태에 있어 핸들바-조향을 할 수 있다.
도 3E는 도 3D와 비슷하되, 포크튜브 캡(125)과 락커형 브라켓(138)이 제거되어 있다. 포크락 핀(134)이 포크락 레버(140)에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 포크락 레버(140)을 조작해 포크락 핀(134)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도 4A는 폴딩링 어셈블리(500)의 한쌍의 허브리스 튜브(520)에 결합된 메인프레임(300)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전개도이며, 도 4C는 역V형 브라켓(306)의 전방사시도로서, 이 브라켓의 후면은 도 4B에서 볼 수 있다. 도 4B에 의하면 Y형 새시(304)의 본체는 서로 나란한 2개의 판(308)이 팔굼치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끝에 엔드브라켓(310)이 달려있는데, 엔드브라켓은 평행 판(308)에 직각으로 연결된다. Y형 새시(304)의 아암(312)이 평행 판(308)과 엔드브라켓(310)의 연결점에서 뒷쪽으로 뻗는다. 엔드브라켓(310)의 구멍에 핀락(302)을 끼운다. 조립시, 핀락(302)이 엔드브라켓(310)의 구멍에 끼워진다. 핀락(302)은 핀락 스프링(314) 안에 들어간다. 핀락 스프링(314)의 끝에 핀락 클립디스크(316)이 달려있는데, 이것은 핀락(302)의 홈(318)에 끼워져 핀락 스프링(314)이 엔드브라켓(310)과 핀락 클립디스크(316) 사이에 위치하면서 프론트 어셈블리(100) 방향으로 핀락(302)을 밀어준다.
도 4C의 브라켓(306)의 탭(322)이 평행 판(308)에 형성된 홈(324)에 끼워진다. 브라켓(306)의 후면 판(306A) 중앙에 형성된 구멍(326)에 핀락(302)의 전방 팁이 끼워져 돌출한다(도 4B 참조). 브라켓(306)의 전방 판(306B)에 있는 슬롯(320)에 프론트마운트 판(123)이 미끄러지면서 끼워져 새시(304)에 걸린다.
전술한대로, 프론트마운트 판(123)은 핀(119)에 의해 Y형 새시(304)에 결합된다. 이 판(123)은 핀락(302)에 걸리지 않았을 때는 핀(119)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홈(318) 너머로 뻗은 핀락(302)의 팁만이 브라켓(306)의 구멍(326) 너머로 돌출하고 클립디스크(316)가 브라켓(306)에 접촉한 상태에서 브라켓(306)과 엔드브라켓(310) 사이에 있는 핀락 스프링(314)의 압력으로 프론트 어셈블리(100) 방향으로 핀락(302)이 앞으로 밀리고 프론트마운트 판(123)이 평행 판(308)에 나란한 위치로 움직이면, 이 판(123)이 핀락(302)의 돌출 팁 위로 걸려 제자리에 고정된다. 판(123)이 새시(304)에 걸리면 프론트 어셈블리(100)는 조립상태에 있다.
도 5A는 HRWA(handle and rear-wheel assembly; 700)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전개도로서, HRWA(700)의 스티어링/가이드 핸들(702)은 허브리스 핸들링(540)에 결합되는데, 이런 핸들링은 링 어셈블리(500)에 속한다(도 6A~B 참조). 뒷바퀴(710)는 뒷바퀴 아암(704)에 결합되고, 이 아암은 허브리스 휠링(560)에 결합되는데, 휠링도 링 어셈블리(500)에 속한다(도 6A~B 참조). 바퀴(710)마다 레이디얼(712)와 타이어(714)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레버(716)가 뒷바퀴 아암(704)에 결합되는데, 이 브레이크레버를 보모가 가이드핸들(702)과 함께 사용하여 트라이시클을 제자리에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핸들(702)을 사용해 트라이시클(10)을 완전히 제어하는 사람이 갑작스럽게 제자리에 고정할 때 필요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핸들(702)이 신축형일 수도 있다.
도 6A는 링 어셈블리(500)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전개도이다. 핸들링(540)과 휠링(560)이 동축으로 위치하면서, 허브리스 튜브(520)는 이들 링이 회전하는 축을 형성한다. 핸들링(540), 휠링(560) 및 허브리스 튜브(520)가 링 어셈블리(500)를 형성한다. 링 어셈블리(500)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는 링(540,560)이 튜브(520)에 잠기고, 잠금해제 상태에서서는 링(540,560)이 튜브(520)에서 회동한다. HRWA(700)도 도 7의 접이상태나 도 5A, 1A~B의 조립 상태에 잠길 수 있다.
트라이시클(10)을 접으면 링 어셈블리들(500)이 잠겨, 블록(518)이 제2 잠금홈(도시 안됨)에 놓이는데, 핸들링(540)에 형성된 제2 잠금홈 부분(도시 안됨)을 휠링(560)에 혀엉된 제2 잠금홈 부분(544B)에 정렬하면 제2 잠금홈이 형성된다.
링 어셈블리마다 루스텅(562)이 있는데, 루스텅은 핸들링(540)과 휠링(560)의 회동 안내홈들에 형성된 구멍(564)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다. 회동 안내홈들은 핸들링(540)과 휠링(560)을 결합하면서도 각각의 링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루스텅(562)은 핸들링(540)과 휠링(560)의 상대적 회동범위를 제한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이들 링의 서로에 대한 회전을 부분적으로 방해한다. 루스텅은 핸들링(540)의 회전은 95°~150°범위로 제한하고, 휠링(560)의 회전은 160°~200°범위로 제한한다. 휠링(560)에 씌워진 링캡(580)은 링 어셈블리(500)의 내부를 가리면서 링 어셈블리의 외관을 매끄럽게 완성한다.
도 7은 접혀있는 트라이시클의 후방사시도로서, 조립상태와 접이상태 사이를 변환할 때 조향핸들(702)과 핸들링(540)은 전방 어셈블리(100) 방향으로 회전하여 어셈블리 위를 화살표(706) 방향으로 지나가고, 핸들(702)은 전방 어셈블리(100)에 맞닿는다. 동시에 뒷바퀴(710), 뒷바퀴 아암(704) 및 휠링(560)이 전방 어셈블리(100) 방향으로 새시(304) 밑으로 화살표(712) 방향으로 회전하여, 링 어셈블리들(500)과 앞바퀴(108)가 동일한 수평면에 놓이게 되고 뒷바퀴(710)는 이런 수평면보다 위에 있게된다.
여러 부품들과 어셈블리들의 정확한 위치는 설계 문제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는 약간 다를 수 있지만, 핸들(702)이 있거나 없는 본 발명의 트라이시클(10)과 이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싱글풀 메커니즘이 본 발명의 핵심이다. 트라이시클(10)은 포크(116)를 핸들바 튜브(120)에 결합/분리하도록 포크락 핀(134)을 전기로 조작하는 특징도 가질 수 있다.
도 8A는 트라이시클(10)의 좌후방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C는 도 8B의 전개도이다. 앞바퀴(118)의 허브와 좌측 포크튜브(126) 사이에 페달락(132)이 배치된다. 페달(130)은 페달락(132)의 중심을 지나고, 페달락(132)을 조작해 페달(130)을 잠그면, 페달의 허브(150)가 앞바퀴(118)의 레이디얼(129)에 결합된다. 도 8C에서 보듯이, 허브를 포함한 레이디얼(129) 둘레에 타이어(127)가 설치되고, 허브에 스프로켓-휠(152)이 설치된다. 평와셔(154)에 의해 스프로켓 핀(156)이 스프로켓-휠(152)에서 분리된다. 페달(130)의 플랜지(158)는 페달의 크로스바에 설치된다. 스프로켓핀(156)은 플랜지(158) 위로해서 페달(130)에 설치된다. 페달(130)과 플랜지(158)를 끼우는 구멍에 스크로켓핀(156)을 끼우면, 페달(130)을 밟아 스크로켓핀(156)을 돌릴 수 있다. 페달(130)의 크로스바만이 스크로켓핀(156) 밖으로 돌출한다. 마찬가지로, 페달(130)의 크로스바만이 스크로켓휠(152)과 허브(150)를 통과하는데, 이는 스프로켓핀(156)이 스프로켓휠(152)에 결합되지 않았을 때는 페달(130)의 크로스바가 허브(152) 안에서 자유회전하여 앞바퀴(118)를 돌리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런 모드를 페달(130)을 밟아도 압바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회전' 모드라 할 수 있다.
한편, 스프로켓핀(156)이 스프로켓휠(152)에 결합되면, 페달(130)을 밟았을 때 앞바퀴(118)의 왕복회전이 일어난다. 스크로켓휠(152)이 스프로켓핀(156)에 어떻게 결합하나? 페달락 슬리브(160)는 스프로켓휠(152)에 대한 스프로켓핀(156)의 전기적 결합/분리를 한다. 이 슬리브(160)의 내부공간에 안쪽면에 일정 간격으로 2개의 바(162)가 배치된다. 이들 바(162)는 스프로켓휠(152)과 스프로켓핀(156)의 갈퀴들과 맞물리는 돌기 역할을 한다. 스프로켓핀(156)이 슬리브(160)에 결합되고 허브(150)에 더 가까운 슬리브(160)의 단부가 스프로켓휠(152) 위에 씌워져, 바(162)가 스프로켓휠(152)의 갈퀴에 맞물린다. 슬리브(160)를 조작하여, 바(162)가 스프로켓핀(156)의 돌기와 맞물리면서 스프로켓휠(152)의 갈퀴들과도 맞물리도록 하면, 스프로켓핀(156)과 스프로켓휠(152)이 결합하여 (페달을 밟아서 생기는) 스프로켓핀(156)의 회전이 스프로켓휠(152)과 앞바퀴(118)의 회전에 영향을 준다.

Claims (19)

  1. ⒜ 앞바퀴 어셈블리;
    ⒝ 프론트마운트를 통해 상기 앞바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 한쌍의 뒷바퀴 어셈블리;
    ⒟ 상기 뒷바퀴 어셈블리들을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 및
    ⒠ 상기 앞바퀴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한쌍의 폴딩 링 어셈블리와 메인프레임의 잠금을 동시에 풀어주어 한번만 당겨도 접이식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해제하여 접이상태로 변환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이 Y형 새시와, 핀락 스프링 안에 결합되는 핀락을 포함하고, 상기 핀락 스프링 끝에 달린 핀락 클립디스크가 핀락에 연결되어 상기 핀락이 핀락 스프링의 힘을 받아 메인프레임을 프론트마운트에 가역적으로 걸어주며;
    상기 폴딩 링 어셈블리들 각각이,
    (ⅰ)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고, (A)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과, (B) 이런 락커 스윙락을 끼울 수 있는 잠금 구멍을 갖는 허브리스 튜브;
    (ⅱ) 상기 허브리스 튜브에 결합되고, 가이드 핸들의 아암에 결합되는 허브리스 핸들링; 및
    (ⅲ) 상기 허브리스 핸들링과 뒷바퀴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허브리스 휠링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리스 휠링과 핸들링이 동축으로 위치하고, 허브리스 튜브는 휠링이 회동하는 축을 형성하며;
    상기 링 어셈블리들이 트라이시클이 조립상태일 때의 조립된 제1 구성과, 트라이시클이 접이상태일 때의 접힌 제2 구성을 갖고, 상기 허브리스 휠링과 핸들링은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이 상기 구멍 외부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트라이시클을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커니즘이,
    (ⅰ) 스프링식 락커 스윙링에 결합되는 라인; 및
    (ⅱ) 상기 라인에 결합되고 핀락의 링을 통해 감기는 사슬;을 포함하고,
    상기 사슬을 당기면 핀락이 후퇴됨과 동시에 스프링식 락커 스윙락이 상기 구멍에서 돌출되어, 프론트마운트가 메인프레임에서 잠금해제되고 링 어셈블리들이 풀려 트라이시클이 조립상태에서 접이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어셈블리들의 제1 구성에서 상기 락커 스윙락이 허브리스 튜브의 상기 구멍 안에 있으면서 구멍 밖으로 일부 돌출하여, 허브리스 핸들링에 형성된 제1 잠금홈 부분과 허브리스 휠링에 형성된 제1 잠금홈 부분이 정렬되었을 때 이들 제1 잠금홈 부분들 안에 위치함으로써, 제1 구성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허브리스 링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구성에 있을 때 상기 락커 스윙락이 허브리스 튜브의 상기 구멍 안에 있으면서 구멍 밖으로 일부 돌출하여, 허브리스 핸들링에 형성된 제2 잠금홈 부분과 허브리스 휠링에 형성된 제2 잠금홈 부분이 정렬되었을 때 이들 제2 잠금홈 부분들 안에 위치함으로써, 제2 구성에 있을 때 허브리스 튜브를 중심으로 허브리스 링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어셈블리들 각각이
    (ⅳ) 상기 허브리스 핸들링과 휠링의 회동 안내홈에 형성된 구멍에 기워져 핸들링과 휠링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루스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의 회동범위가 95°내지 150°범위이고, 휠링의 회동범위는 160°내지 20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6.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폴딩 링 어셈블리에 가역적으로 연결되는 가이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핸들이 신축 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어셈블리가,
    (ⅰ) 핸들바;
    (ⅱ)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튜브; 및
    (ⅲ) 포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크는 포크를 핸들바 튜브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가져,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 결합되었을 때의 핸들바 조향과,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핸들바-프리 조향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가,
    (A) 상기 핸들바 튜브에 쓰워지는 핸들튜브 캡;
    (B) 상기 포크에 씌워지는 포크튜브 캡;
    (C) 상기 포크튜브 캡 안에 결합되고 핸들튜브 캡 내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포크락 핀; 및
    (D) 상기 포크락 핀에 결합되어 포크락 핀을 핸들튜브 캡 안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포크락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 어셈블리가,
    (ⅳ) 상기 포크에 결합되는 앞바퀴;
    (ⅴ) 상기 앞바퀴에 결합되는 페달락; 및
    (ⅵ) 상기 페달락 안에 결합되는 페달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달락이 페달바를 앞바퀴에 잠글 수 있어, 페달바가 앞바퀴에 잠기면 트라이시클은 페달회전상태에 있고 페달바가 앞바퀴에서 풀리면 트라이시클이 자유회전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어셈블리들이,
    (ⅰ) 상기 폴딩 링 어셈블리들에 결합되는 뒷바퀴 아암; 및
    (ⅱ) 상기 뒷바퀴 아암에 결합되는 뒷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 어셈블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뒷바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동하는 제동기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13. (a) 핸들바;
    (b) 핸들바에 결합되는 핸들바 튜브;
    (c) 핸들바 튜브에 연결되는 프론트 마운트; 및
    (d) 프론트 마운트에 연결되는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는 포크를 핸들바 튜브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잠금기구를 가져,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 결합되었을 때는 핸들바 조향을, 그리고 포크가 핸들바 튜브에서 분리되었을 때는 핸들바-프리 조향을 전기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기구가,
    (ⅰ) 상기 핸들바 튜브에 쓰워지는 핸들튜브 캡;
    (ⅱ) 상기 포크에 씌워지는 포크튜브 캡;
    (ⅲ) 상기 포크튜브 캡 안에 결합되고 핸들튜브 캡 내부에 가역적으로 결합되는 포크락 핀; 및
    (ⅳ) 상기 포크락 핀에 결합되어 포크락 핀을 핸들튜브 캡 안에 가역적으로 결합하는 포크락 레버;를 포함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라이시클.
  14. (a) 앞바퀴;
    (b) 상기 앞바퀴에 결합되는 페달락; 및
    (c) 상기 페달락과 앞바퀴 안에 결합되는 페달바;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락이 페달바를 앞바퀴에 잠글 수 있어, 페달바가 앞바퀴에 잠기면 트라이시클은 페달회전상태에 있고 페달바가 앞바퀴에서 풀리면 트라이시클이 자유회전상태에 있으며;
    상기 페달락이,
    (ⅰ) 상기 앞바퀴에 결합되는 스프로켓휠;
    (ⅱ) 상기 페달바에 고정되는 플랜지;
    (ⅲ) 상기 플랜지와 페달바에 고정되는 스프로켓핀; 및
    (ⅳ) 상기 자유회전상태에서만 스프로켓휠의 갈퀴에 맞물리고 페달회전상태에서는 스프로켓핀의 갈퀴와 맞물리는 돌기들이 내부공간에 설치되어있고, 스프로켓휠 위에 설치되는 페달락 슬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페달락 슬리브는 페달회전상태에서 스프로켓핀 위로 미끄러져 들어가 상기 돌기들이 스프로켓핀의 칼퀴들과 맞물려 앞바퀴를 페달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트라이시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57008199A 2012-09-03 2012-09-03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KR101956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2/054531 WO2014033503A1 (en) 2012-09-03 2012-09-03 Free-wheeling, free-steering, foldable multi-stage tricycle with a single-motion release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173A KR20150052173A (ko) 2015-05-13
KR101956421B1 true KR101956421B1 (ko) 2019-03-08

Family

ID=4932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199A KR101956421B1 (ko) 2012-09-03 2012-09-03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227686B2 (ko)
EP (1) EP2892797B1 (ko)
JP (1) JP2015526345A (ko)
KR (1) KR101956421B1 (ko)
CN (1) CN104661907B (ko)
AU (1) AU2012388676B2 (ko)
BR (1) BR112015004674A2 (ko)
ES (1) ES2643157T3 (ko)
IL (1) IL225610A (ko)
RU (1) RU2605133C2 (ko)
WO (1) WO2014033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95683B (zh) * 2014-04-21 2016-03-02 张伟 一种多用途儿童车
WO2016000317A1 (zh) * 2014-07-01 2016-01-07 于永飞 一种电动折叠车的折叠轮架
CN104709416B (zh) * 2015-03-06 2018-01-02 刘鹏 迷你紧凑型折叠式电动自行车
DE102015105324A1 (de) * 2015-04-08 2016-10-13 Ujet Vehicles S.À.R.L. Motorgetriebenes Fahrzeug, insbesondere Zweirad-Fahrzeug
GB2565456B (en) 2016-03-23 2021-09-15 Ford Global Tech Llc Reconfigurable cart
CN105774998B (zh) * 2016-03-29 2018-07-10 江门市江海区仁信密封制品有限公司 一种可装拆多功能童车
WO2017182947A1 (en) 2016-04-21 2017-10-26 Smart Trike MNF. Pte. Ltd. A lockable folding mechanism
US20180050748A1 (en) * 2016-08-17 2018-02-22 Thomas Faust Bicycle Training System
US9981679B2 (en) 2016-09-14 2018-05-29 Smart Trike Mnf Pte Ltd. Full folding tricycle
US10442490B2 (en) 2016-09-14 2019-10-15 Smart Trike Mnf Pte Ltd. Full folding tricycle
IL249515B (en) * 2016-12-12 2019-08-29 Doona Holdings Ltd A private foldable vehicle
RU180694U1 (ru) * 2017-10-20 2018-06-21 Гвоздев Сергей Валентинович Велосипед с ручным приводом
CN107839814B (zh) * 2017-11-13 2023-09-19 慈溪乐享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自行车
WO2020058864A1 (en) 2018-09-20 2020-03-26 Smart Trike MNF. Pte. Ltd. A folding mechanism for a tricycle
KR102347193B1 (ko) 2020-09-01 2022-01-07 김영두 캐릭터 변신 세발 자전거
FR3123036B1 (fr) * 2021-05-18 2024-02-02 Id Development Ltd Véhicule pour enfa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91B2 (ja) * 1997-05-30 2000-07-10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p−ニトロフェニル 2−アセチルアミノ−4−O−(2−アミノ−2−デオキシ−β−D −グルコピラノシル)−2−デオキシ−β−D −グルコピラノシドおよびその塩並びにその製造法
JP2006082777A (ja) * 2004-09-17 2006-03-30 Aidesu Kk 折畳み三輪車
US20110278815A1 (en) * 2010-05-14 2011-11-17 Mga Entertainment, Inc. Parent Steerable Tricycle with Internal Steering Limiter
WO2012010221A1 (en) * 2010-07-23 2012-01-26 Montero Basqueseaux Joaquin Foldable bicycl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959727B (it) 1972-05-19 1973-11-10 Miranda A Triciclo per bambini con telaio snodato ripiegabile
RU2025386C1 (ru) * 1992-06-08 1994-12-30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е высшее художественно-промышленное училище им.В.И.Мухиной Складной велосипед-тележка
US5785338A (en) * 1997-04-11 1998-07-28 Chang; Teng-Shou Collapsible bicycle
JP3062591U (ja) * 1999-03-30 1999-10-08 株式会社プラスワン 幼児用三輪車
US6386566B1 (en) * 2001-04-03 2002-05-14 Progress Place, L.L.C. Freewheeling drive having forward, reverse and braking capability
JP3083925U (ja) * 2001-08-07 2002-02-22 文富 施 押し車機能を有する折り畳み式児童用三輪車
US6575486B2 (en) * 2001-11-01 2003-06-10 New Art City Industrial Co., Ltd. Folding structure of a children tricycle
US6609723B2 (en) * 2001-11-27 2003-08-26 Jin Sun Gee Plastics Co., Ltd. Collapsible tricycle for the use of young children
TW520728U (en) 2002-01-30 2003-02-11 Rung-Jr Wu Front wheel driving structure for toy vehicle for children
FR2843937B1 (fr) 2002-08-27 2004-10-29 Berchet Groupe Soc Dispositif d'entrainement d'un vehicule pour enfant, et vehicule pour enfan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KR200298562Y1 (ko) * 2002-09-10 2002-12-20 철 왕 임 접철식 3륜 자전거
US6966572B2 (en) * 2003-11-25 2005-11-22 Radio Flyer Inc. Folding riding vehicle
EP1937541B1 (en) * 2005-09-29 2010-06-02 ARTSANA S.p.A. Size-reducible folding tricycle for children
CN2931261Y (zh) * 2006-03-27 2007-08-08 陈华胜 一种可折叠的儿童三轮车
IL176887A0 (en) * 2006-07-16 2006-10-31 Aviv Tzidon Foldable bicycle frame
JP3141910U (ja) * 2008-03-12 2008-05-22 アイデス株式会社 子供用乗物の押手棒の伸縮装置
US8991844B2 (en) * 2011-07-01 2015-03-31 Radio Flyer Inc. Multiple configuration tricycle
JP5637091B2 (ja) * 2011-07-28 2014-12-10 エム・アンド・エム株式会社 子供用三輪車、および子供用三輪車の車輪
CN102923228A (zh) * 2011-08-12 2013-02-13 斯马特脚踏车制造公司 三轮车及其转向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91B2 (ja) * 1997-05-30 2000-07-10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p−ニトロフェニル 2−アセチルアミノ−4−O−(2−アミノ−2−デオキシ−β−D −グルコピラノシル)−2−デオキシ−β−D −グルコピラノシドおよびその塩並びにその製造法
JP2006082777A (ja) * 2004-09-17 2006-03-30 Aidesu Kk 折畳み三輪車
US20110278815A1 (en) * 2010-05-14 2011-11-17 Mga Entertainment, Inc. Parent Steerable Tricycle with Internal Steering Limiter
WO2012010221A1 (en) * 2010-07-23 2012-01-26 Montero Basqueseaux Joaquin Foldable bi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2797A1 (en) 2015-07-15
WO2014033503A1 (en) 2014-03-06
RU2605133C2 (ru) 2016-12-20
CN104661907A (zh) 2015-05-27
IL225610A (en) 2017-01-31
BR112015004674A2 (pt) 2017-07-04
AU2012388676B2 (en) 2017-06-22
EP2892797B1 (en) 2017-08-23
CN104661907B (zh) 2018-10-02
JP2015526345A (ja) 2015-09-10
KR20150052173A (ko) 2015-05-13
US9227686B2 (en) 2016-01-05
RU2015107012A (ru) 2016-10-20
US20150158544A1 (en) 2015-06-11
IL225610A0 (en) 2013-09-30
ES2643157T3 (es) 2017-11-21
AU2012388676A1 (en) 2015-03-26
EP2892797A4 (en)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421B1 (ko) 싱글모션 잠금해제기구를 갖춘 자유회전, 자유조향 접이식 다단 트라이시클
KR101619731B1 (ko) 이중 조종 가능식 운송 수단
US8517406B2 (en) Position-adjustable vehicle
US9545969B2 (en) Conversion scooter
CN103192929B (zh) 折叠自行车
CN103723224B (zh) 一种三轮童车
EP3496991B1 (en) Braking system for a stroller
CN206141711U (zh) 多功能儿童滑板车
CN202806976U (zh) 具有新型转向机构的三轮童车
TWI767319B (zh) 兒童載具
EP2684765B1 (en) Passenger carrier front wheel arrangement
CN111148690B (zh) 一种母婴自行车
CN102145702B (zh) 幼儿推车
WO1987001084A1 (en) Folding bicycle serving also as cart
CN210027757U (zh) 折叠式三轮车
CN218559049U (zh) 前轮两轮式骑乘玩具
CN211364826U (zh) 一种童车手把转向结构
CN211167228U (zh) 一种童车的转向机构及具有该转向机构的童车
CN217396604U (zh) 一种童车用刹车装置
CN201694330U (zh) 多功能自行车
CN212149183U (zh) 一种三轮车踏板离合装置
CN205998070U (zh) 一种新型的儿童三轮车前轮万向轮锁定旋转装置
CN201685931U (zh) 儿童三轮车
JP3822870B2 (ja) 三輪車の押手棒装置
IT201900000649A1 (it) Ruota pieghevole e bicicletta pieghevole comprendente tale ruo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