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44B1 - 철판 절곡기 - Google Patents

철판 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44B1
KR101955944B1 KR1020180048460A KR20180048460A KR101955944B1 KR 101955944 B1 KR101955944 B1 KR 101955944B1 KR 1020180048460 A KR1020180048460 A KR 1020180048460A KR 20180048460 A KR20180048460 A KR 20180048460A KR 101955944 B1 KR101955944 B1 KR 10195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teel plate
vertical frame
sides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환
Original Assignee
(주)명인에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인에어테크 filed Critical (주)명인에어테크
Priority to KR102018004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치의 케이스 등과 같은 하우징으로 사용되는 철판을 치수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절곡하여 성형하기 위한 철판 절곡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철판이 안착되는 절곡부와 후방지지부의 상부에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를 설치하여 철판과 절곡부 및 후방지지부의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안착된 철판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절곡부위를 가압부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전방측정부와 후방측정부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에 맞게 절곡할 수 있으며, 광발신부를 이용하여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철판의 상부에 조사하여 다시한번 육안으로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를 확인함으로써, 철판 절곡 성형의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철판 절곡기{Iron plate 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철판을 절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치의 케이스 등과 같은 하우징으로 사용되는 철판을 치수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절곡하여 성형하기 위한 철판 절곡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에어콘, 전자레인지, 컴퓨터본체, 비디오 등의 전자제품과 각종 장치에 사용되는 케이스 등과 같은 하우징은 통상 철판을 절단(shearing), 천공(punching) 및 원하는 소정형상으로 절곡(bending)하는 성형공정을 거쳐 성형된 후 조립공정을 거쳐 완제품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소정형상으로 철판을 절곡하는 성형공정에 사용되는 절곡장치는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3-0002276호에 지각상에 수평으로 연결한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후방측 지지편의 공에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와 수직대의 상단측링의 내경에 끼워져 원판캠에 편심축에 의하여 원호상으로 작동되는 측판과 상기의 테이블에 접지될때 수평선상으로 되는 압지면을 구비하고 측판 사이에 연결한 압지판과 상기의 테이블 전면 좌우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절곡판으로 되는 절곡수단을 구비하는 철판 절곡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철판의 절곡부위를 가압하는 압지면이 회전에 의해 철판의 절곡부위와 접촉된 후 가압하기 때문에 철판이 이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판이 회전되어 철판을 절곡시 압지면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에 의해 철판이 미세하게 이동되어 정밀하게 절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철판의 절곡부위를 압지면에 일치시키기 위해 임시로 철판을 고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철판의 고정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절곡부위가 절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6480호는 도장된 철판을 표면 스크래칭없이 절곡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장된 철판을 위에 얹어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위에서 눌러서 고정하고 선단에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진 템플레이트윤곽이 형성된 템플레이트블록과, 상기 템플레이트블록의 선단 곡률반경에 대한 중심과 동일한 중심축선상에 설치되는 피봇핀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하여 선회운동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에 이 회전플레이트의 회전 중심축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된 직선 베어링부재와, 상기 직선베어링부재에 슬라이드 안내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상기 피봇핀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에서 위쪽으로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해 상기 직선 베어링부재를 따라 슬라이드하강하게 된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들어올리거나 끌어내림으로써 피봇핀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엑츄에이터 및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회전플레이트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엑츄에이터로 구성된 철판 절곡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철판을 얹을 때 철판과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마찰력이 커 철판을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기 어려워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철판 표면에 스크래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회전과 동시에 자동으로 슬라이드하강하게 될 때 철판이 이동되어 원하는 절곡부위를 절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3-000227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64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철판이 안착되는 절곡부와 후방지지부의 상부에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철판의 안착이 용이하고, 절곡부위를 정밀하게 가압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정교하게 철판의 절곡부위를 절곡할 수 있으며, 전방과 후방에 측정부를 설치하여 절곡부위를 더욱더 정확하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철판의 상부에 조사하여 육안으로 한번더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의 치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철판을 절곡할 수 있는 철판 절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면 전방에 작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홀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수직프레임을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측면 하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과 상기 후방지지부의 사이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면에 양측이 고정결합되고, 전방하부에 누름부가 구비된 가압부 및 상기 후방지지부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측면 전방 하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절곡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방지지부와 절곡부는 상부면에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되,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부면 후방에 상기 후방지지부와 높이가 동일하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곡부는 양측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는 전방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는 후방측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절곡부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발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철판 절곡기는 철판이 안착되는 절곡부와 후방지지부의 상부에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를 설치하여 철판과 절곡부 및 후방지지부의 마찰력을 줄임으로써, 안착된 철판의 이동이 용이하기 때문에 절곡부위를 가압부에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전방측정부와 후방측정부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에 맞게 절곡할 수 있으며, 광발신부를 이용하여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철판의 상부에 조사하여 다시한번 육안으로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를 확인함으로써, 철판 절곡 성형의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곡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곡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압부가 제외된 절곡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가압부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절곡부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방측정부 및 후방측정부가 설치된 절곡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B"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방지지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8의 "A"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발신부가 설치된 절곡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발신부가 설치된 절곡기를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광발신부에 의해 철판의 상부면에 레이저가 조사된 모습을 나타낸 부분 평면도.
본 발명은 일정 두께의 철판(10)을 절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제품 또는 각종 장치의 케이스 등과 같은 하우징으로 사용되거나 브라켓 등으로 사용되는 철판(10)을 지지파이프(150, 60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동시키고, 전방측정부(520)와 후방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절곡하고자 하는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에 따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발신부(420)를 이용하여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철판(10)의 상부에 조사함으로써, 육안으로도 절곡하고자 하는 치수를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철판 절곡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면 전방에 작업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홀(110)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수직프레임(120)을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하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는 후방지지부(200);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사이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면에 양측이 고정결합되고, 전방하부에 누름부(410)가 구비된 가압부(400); 및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전방 하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절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방지지부(200)와 절곡부(500)는 상부면에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되, 이격공간(61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 후방에 상기 후방지지부(200)와 높이가 동일하도록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곡부(500)는 양측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522)를 구비하는 전방측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142)를 구비하는 후방측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400)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절곡부(500)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발신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 전방에 작업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홀(110)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수직프레임(120)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홀(110)은 이후에 설명될 절곡부(500)가 회전되어 철판(10)을 절곡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은 상기 절곡부(500)와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400)가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00)이 설치되어 철판(10)의 절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 후방이 이후에 설명될 후방지지부(200)의 상부면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이는 철판(10)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절곡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 후방에 이후에 설명될 후방지지부(200)와 높이가 동일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파이프(150)는 안착되는 철판(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되,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150)가 전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이격공간(미표시)에 의해 철판(10)과 지지파이프(150) 간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작업자 또는 이후에 설명될 전방측정부(520) 및 후방측정부(140)에 의해 철판(10)의 이동이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후에 설명될 절곡부(500)와 가압부(400)가 회전 및 상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가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 중 으느 하나 이상은 외측면 전방에 후방 내측면이 결합되고, 내측에 호 형상의 가이드홀(122a)이 형성되며, 전방 내측면이 이후에 설명될 절곡부(500)의 결합부(5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부채꼴 형태의 회전브라켓(1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22a)에 상기 결합부(51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돌기(530)가 인입되어 절곡부(500)의 회전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후방지지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하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는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이 철판(10)의 절곡부위의 인접하지 않은 후방을 지지했다면 상기 후방지지부(200)는 철판(10)의 절곡부위와 인접한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절곡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후방지지부(200)는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400)에 의해 가압되는 철판(10)의 절곡부위의 인접한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가압부(400)에 의해 철판(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절곡부(500)에 의해 절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후방지지부(200)는 상부면에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과 직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되, 이격공간(61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파이프(600)는 앞서 설명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의 지지파이프(150)와 함께 철판(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지지파이프(150)와 마찬가지로 이격공간(610)이 형성되어 철판(10)과 지지파이프(600) 간의 말찰력을 줄여 철판(10)이 이동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가이드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사이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양측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각각의 사이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될 가압부(4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30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과 후방지지부(200)의 사이에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하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300)은 하부 말단에 상부가 힌지(미표시)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하부가 위치되는 링크프레임(310)과, 상기 링크프레임(310)의 하부에 로드(미표시)의 상부가 힌지(미표시)에 의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실린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300)은 제2실린더(320)의 작동에 의해 링크프레임(320)이 회전하게 되면, 상하로 이동되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300)의 상하이동을 설명하면, 제2실린더(320)의 로드가 상부로 이동되면 링크프레임(310)의 하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링크프레임(310)의 상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프레임(300)이 하부로 이동되며, 반대로 제2실린더(320)의 로드가 하부로 이동되면 링크프레임(310)의 하부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링크프레임(310)의 상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프레임(300)이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은 내측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가이드프레임(300)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1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롤러(123)에 의해 후방지지부(200)의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프레임(300)이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320)는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 하부와 힌지(미표시)결합되어 로드가 상부로 이동될 때, 링크프레임(310)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더라도 하부가 힌지에 의해 회전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00)이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가압부(40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면에 양측이 고정결합되고, 전방하부에 누름부(41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면 상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00)과 함께 상하이동되어 철판(10)을 가압하되, 상기 누름부(410)를 이용하여 철판(10)의 절곡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철판(10)의 절곡부위를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곳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압부(400)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면 상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는 몸체(420)와, 상기 몸체(420)의 하부 전방에 상부가 결합되는 누름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4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말단이 철판(10)의 절곡부위를 정교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모서리는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절곡부(500)에 의해 철판(10)의 전방이 절곡될 때 상기 철판(10)의 전방이 가압부(400) 즉, 누름부(410) 및 몸체(420)에 접촉되지 않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절곡부(500)는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전방 하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철판(10)의 전방이 안착되고, 앞서 설명된 가압부(400)가 절곡부위를 가압한 후 상기 힌지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철판(10)을 절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후방지지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파이프(6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파이프(150)와 마찬가지로 상부면에 길이방향 즉, 전후방햐과 직교방향으로 고정설치되되, 이격공간(61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절곡부(500) 또한 후방지지부(2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과 같이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600)가 이격공간(610)을 형성하며 설치됨으로써, 철판(10)이 안착된 후 이동이 용이한 효과를 실현케 하여 절곡작업의 작업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양측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하부 전방에 힌지(미표시) 결합되는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의 내측면 하부에 양측이 결합되는 베이스패널(미표시)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상부에 전후방향의 직교방향으로 이격공간(610)을 형성하며 설치되는 지지파이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어 회전브라켓(122)의 가이드홀(122a)에 인입되는 가이드돌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5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브라켓(122)의 가이드홀(122a)을 따라 이동되어 절곡부(500)의 상부방향으로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절곡부(500)의 회전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4실린더(540)에 의해 상기 결합부(510)를 상부로 밀어올려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각각의 결합부(510)의 하부에 로드(미표시)가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프레임(100)의 내측에 힌지(미표시) 결합되는 제4실린더(5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린더(540)의 로드가 상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제4실린더(540)의 하부가 힌지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되며 결합부(510)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결합부(510)와 베이스패널이 상기 결합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전되어 철판(10)의 절곡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철판(10)의 절곡부위를 정교하게 가압부(4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위의 전방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철판(10)의 절곡부위의 전방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510)의 내측면 상부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522)를 구비하는 전방측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측정부(520)는 절곡부(500)와 후방지지부(2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에 걸처 철판(10)이 안착되면, 후방 즉,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철판(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방측정부(520)는 표시기(522)를 통해 이동되는 거리가 측정 및 표시되고, 작업자는 상기 표시기(522)를 통해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철판(10)의 전방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측정부(520)는 양측의 결합부(510)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이동레일(521)과, 상기 이동레일(52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는 표시기(522) 및 양측이 이동레일(521) 또는 표시기(522)에 결합되는 전방지지바(523)를 포함하여 구성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521)은 상기 전방지지바(523)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표시기(522)는 전방지지바(523)가 이동되는 거리를 측정 및 디지털 방식으로 상기 이동되는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철판(10)의 절곡부위 전방의 길이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후면 하부가 절곡하고자 하는 철판(10)의 전면과 접촉됨으로써, 철판(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표시기(522)는 상기 전방지지바(523)의 후면 하부와 가압부(400)의 누름부(410)의 하부말단과의 거리를 측정 및 표시함으로써, 철판(10)의 절곡부위 전방의 길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지지파이프(600)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6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이동홈(5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절곡부(500)의 베이스패널은 지지파이프(600)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6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는 이동홈(52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홈(524)은 앞서 설명된 전방지지바(523)가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홈(24)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하부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523d)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하부면에 상기 이동홈(524)에 내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523d)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바(523d)에 의해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이동홈(524)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절곡부(500)는 상기 전방측정부(52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베이스프레임(100)의 내부 전방 상부에 결합되고, 로드가 상기 가이드바(523d)의 전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실린더(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철판(10)이 절곡부(500)와 후방지지부(2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에 안착되면 상기 제3실린더(170)에 의해 전방측정부(520) 즉, 전방지지바(523)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절곡하고자 하는 절곡부위 전방의 길이만큼 철판(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단턱(523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턱(523a)의 내측면에 철판(10)의 전면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단턱(523a)의 상부면에 의해 철판(10)의 전방상부가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절볼트(523b)와, 상기 조절볼트(523b)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523b)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되, 상기 단턱(523a)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523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절볼트(523b)와 상부지지부재(523c)를 통해 상기 전방지지바(523)는 철판(10)의 두께에 따라 단턱(523a)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철판(10)의 전방 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철판(10)의 이동 및 절곡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는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철판 절곡기는 철판(10)의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의 길이와 함께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의 길이 또한 측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의 길이와 함께 후방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더욱더 정교하고 안정적으로 절곡부위를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후방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 각각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과, 상부면 후방에 지지파이프(150)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홈(146) 및 상기 제2수직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 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142)를 구비하는 후방측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수직프레임(130)은 제1수직프레임(120) 각각의 후방에 형성되고,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이동레일(132)이 구비되며, 상기 후방측정부(140)는 전방측정부(520)와 마찬가지로 양측이 상기 이동레일(132)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측정부(140)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2수직프레임(130)의 이동레일(132)에 설치되어 이동거리를 측정 및 표시하는 표시기(142)와, 양측이 이동레일(132) 또는 표시기(14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하부에 베이스프레임(100)의 이동홈(146)에 내입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바(144a)를 구비하는 후방지지바(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내측에 고정설치되고, 로드(미표시)가 상기 가이드바(144a)의 후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실린더(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실린더(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후방지지바(144)가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철판(10)의 후면과 상기후방지지바(144)의 하부 전면이 접촉됨으로써, 상기 철판(10)이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전방측정부(520)와 후방측정부(140)를 통해 철판(10)의 절곡부위를 기준으로 전방의 길이와 후방의 길이를 측정하여 표시기(142)(522)를 통해 상기 측정된 길이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더욱더 정교하게 절곡부위를 절곡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후방측정부(140)의 후방지지바(144)는 전방측정부(520)의 전방지지바(523)와 마찬가지로 하부 전방에 형성되는 단턱(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방지지바(523)에 조절볼트(523b)와 상부지지부재(523c)가 포함되어 구성된다면 상기 후방지지바(144) 또한 이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상부면 전방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조절볼트(미도시)와 상기 조절볼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523b)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되되, 상기 단턱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철판 절곡기는 앞서 설명된 제1,2,3,4실린더(160)(320)(170)(540)와 전방측정부(520) 및 후방측정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3,4실린더(160)(320)(170)(540)와 전방측정부(520) 및 후방측정부(14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철판(10) 절곡의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철판 절곡기는 상기 제1,2,3,4실린더(160)(320)(170)(540)와 전방측정부(520) 및 후방측정부(140)의 작동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철판(10)이 절곡부(500)와 후방지지부(2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에 걸처 안착되면 작업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전방측정부(520)와 후방측정부(140)의 이동값을 입력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이동값을 전달받아 표시기(522)(142)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값을 전달받은 표시기(522)(142)는 전달함으로써,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는 제1실린더(160)와 제3실린더(170)의 작동에 따라 측정되는 이동값을 제어부에 전달하게 되고, 표시기(522)(142)로부터 측정된 이동값을 전달받은 제어부는 작업자가 입력한 이동값에 도달할 경우 제1실린더(160)와 제3실린더(170)의 작동중지하게 되며, 이로써, 철판(10)의 절곡부위가 가압부(4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후 제어부는 작업자가 입력부를 통해 가압부(400) 및 절곡부(500)의 작동을 입력하게 되면 제2실린더(320)를 작동시켜 철판(10)의 절곡부위를 가압하게되고, 이후에 제4실린더(540)를 작동시켜 절곡부(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철판(10)의 절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가압부(400)는 철판(10)의 절곡작업 시 가장 중요한 절곡부위를 한번더 확인하기 위해 전방측정부(520)와 후방측정부(140)외에도 육안으로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철판(10)의 상부면에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가압부(400)는 상기와 같이 육안으로 작업자가 쉽게 절곡부위 전방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절곡부(500)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발신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발신부(420)는 철판(10)이 절곡부(500)와 후방지지부(200) 및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면 후방에 걸쳐 안착되기 전 또는 후에 입력부를 통해 제어부에 작동값을 작업자가 입력하고, 상기 작동값은 제어부에서 광발신부(420)로 절단되어 작동됨으로써, 가압부(400)의 전방에 도 12와 같이 레이져가 조사됨으로써, 철판(10)의 절곡부위 전방에 격자형태의 레이저가 조사되고, 작업자는 상기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절곡부위의 대략적이거나 자세한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광발신부(420)는 가압부(400)의 몸체(420)의 상부에 후방 하부가 결합되는 브라켓(미표시)과 상기 브라켓의 전방하부에 결합되는 광원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광원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격자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광원부에 의해 조사되는 격자형태의 레이저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절곡부(50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절곡부(500)의 지지파이프(600)는 상기 광발신부(4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신하는 광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광발신부(4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수신되거나 수신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레이저가 수신된 경우 철판(10)이 안착된 것으로 인지하여 절곡부(500)를 작동시키며, 레이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철판(10)이 안착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여 절곡부(500)의 작동을 강제로 억제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작업홀
120 : 제1수직프레임 122 : 회전브라켓
122a : 가이드홀 130 : 제2수직프레임
140 : 후방측정부 142, 522 : 표시기
150, 600 : 지지파이프 200 : 후방지지부
300 : 가이드프레임 400 : 가압부
410 : 누름부 420 : 광발신부
500 : 절곡부 510 : 결합부
520 : 전방측정부 530 : 가이드돌기
610 : 이격공간 10 : 철판

Claims (2)

  1. 상부면 전방에 작업홀(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업홀(110)의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수직프레임(120)을 구비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하부에 양측이 고정결합되는 후방지지부(200);와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과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사이에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0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00)의 내측면에 양측이 고정결합되고, 전방하부에 누름부(410)가 구비된 가압부(400); 및
    상기 후방지지부(20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 전방 하부에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는 절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곡부(500)는
    양측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후방이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부(510);와
    상기 결합부(510)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522)를 구비하는 전방측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상부면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수직프레임(1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수직프레임(130);과
    상기 제2수직프레임(130)의 내측면에 양측이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고, 양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동거리를 표시하는 표시기(142)를 구비하는 후방측정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절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400)는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 결합되고, 절곡부(500)의 상부면에 격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광발신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절곡기.
KR1020180048460A 2018-04-26 2018-04-26 철판 절곡기 KR10195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60A KR101955944B1 (ko) 2018-04-26 2018-04-26 철판 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8460A KR101955944B1 (ko) 2018-04-26 2018-04-26 철판 절곡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92A Division KR101885625B1 (ko) 2018-01-22 2018-01-22 철판 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44B1 true KR101955944B1 (ko) 2019-03-08

Family

ID=6580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8460A KR101955944B1 (ko) 2018-04-26 2018-04-26 철판 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4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766B1 (ko) * 2020-02-06 2020-04-24 백주현 울타리 철망 자동 벤딩장치
CN111589906A (zh) * 2020-06-04 2020-08-28 方坤棉 一种空调外机壳体制造加工工艺
KR102226343B1 (ko) * 2020-09-01 2021-03-09 박명규 자재 이송 및 절곡 장치
CN114346027A (zh) * 2021-12-30 2022-04-15 重庆市永川区邦威机械制造有限公司 折弯装置
KR102470146B1 (ko) * 2021-07-20 2022-11-23 김영태 판 절곡 장치
KR20230136568A (ko) 2022-03-18 2023-09-26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 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20240007559A (ko)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KR102650529B1 (ko) 2023-07-03 2024-03-22 (주)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KR102650530B1 (ko) 2023-07-03 2024-03-22 (주)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76B1 (ko) 1990-09-29 1993-03-27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신규한 퀴놀린유도체
JPH0822571B2 (ja) * 1992-12-04 1996-03-06 株式会社アド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露光装置におけるフィルムの加圧装置
KR100236480B1 (ko) 1997-12-30 2000-01-15 정몽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내열성 촉매체의 제조방법
KR20000021028U (ko) * 1999-05-19 2000-12-15 송병철 철판 절곡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276B1 (ko) 1990-09-29 1993-03-27 동양화학공업주식회사 신규한 퀴놀린유도체
JPH0822571B2 (ja) * 1992-12-04 1996-03-06 株式会社アド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露光装置におけるフィルムの加圧装置
KR100236480B1 (ko) 1997-12-30 2000-01-15 정몽규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내열성 촉매체의 제조방법
KR20000021028U (ko) * 1999-05-19 2000-12-15 송병철 철판 절곡성형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766B1 (ko) * 2020-02-06 2020-04-24 백주현 울타리 철망 자동 벤딩장치
CN111589906A (zh) * 2020-06-04 2020-08-28 方坤棉 一种空调外机壳体制造加工工艺
KR102226343B1 (ko) * 2020-09-01 2021-03-09 박명규 자재 이송 및 절곡 장치
KR102470146B1 (ko) * 2021-07-20 2022-11-23 김영태 판 절곡 장치
CN114346027A (zh) * 2021-12-30 2022-04-15 重庆市永川区邦威机械制造有限公司 折弯装置
KR20230136568A (ko) 2022-03-18 2023-09-26 화신주방산업(주) 눌음방지 장치를 갖는 조리용 솥
KR20240007559A (ko) 2022-07-08 2024-01-16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KR102650529B1 (ko) 2023-07-03 2024-03-22 (주)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KR102650530B1 (ko) 2023-07-03 2024-03-22 (주)동양모터스 판재 자동절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944B1 (ko) 철판 절곡기
US7412863B2 (en) Work positioning device
TWI510325B (zh) 整形裝置
JP5346899B2 (ja) 水平型自動溶接装置
US3559522A (en) Interchangeable die units for hydraulic presses
KR101933353B1 (ko) 방화문 제작장치
WO2012169461A1 (ja) プレスブレーキ、及び、プレスブレーキを用いた曲げ加工方法
KR101875441B1 (ko) 수동 정밀프레스기계
JP2011083800A (ja) 曲げプレス
KR101885625B1 (ko) 철판 절곡기
JP2014046357A (ja) 折曲げ加工機
KR20100032999A (ko) 롤 포밍 스트립 절단장치
JP2007000909A (ja) レーザ溶接装置およびレーザ溶接方法
KR101259357B1 (ko) 롤 레이저 용접장치
CN216139108U (zh) 用于异形板材的倒角切削机构和倒角机
JP2001198622A (ja) 材料属性の算出方法、板材加工方法及び板材加工システム
CN212964044U (zh) 对全景天窗返修的检测设备
CN208696208U (zh) 卷纸器铆钉压装装置
JP3332352B2 (ja) プレス装置
KR102344340B1 (ko) 금속판재 평탄화 장치
KR20050030768A (ko) 정밀 조립·검사대
CN217622153U (zh) 预折弯治具
KR20020096271A (ko)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방법 및 그 장치
WO2024095850A1 (ja) 金型位置ガイド方法、及びプレスブレーキ
CN109059710B (zh) 一种定位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