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559A - 판재 자동절곡기 - Google Patents

판재 자동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559A
KR20240007559A KR1020220084679A KR20220084679A KR20240007559A KR 20240007559 A KR20240007559 A KR 20240007559A KR 1020220084679 A KR1020220084679 A KR 1020220084679A KR 20220084679 A KR20220084679 A KR 20220084679A KR 20240007559 A KR20240007559 A KR 20240007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feeding
elastic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Priority to KR1020220084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559A/ko
Publication of KR2024000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5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판재다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탄성피딩클램프를 구비하여서, 판재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유로이 절곡가공하고 판재의 절곡과정에 있어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피딩클램프가 탄성가동되어 판재의 가공에 있어 가공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가공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절곡기몸체의 중앙부에 가공대상 판재를 가공안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판재다이와 상기 판재다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피딩클램프, 상기 판재다이의 전방 단부에 판재의 가공시 유동되지 않게 하고 명확한 절곡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클램핑할 있게 구비되는 절곡클램핑, 절곡기몸체의 전방 측에 절곡클램핑에 의하여 클램핑된 판재를 상, 하부로 절곡 가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핑거, 절곡기몸체의 일측에 판재의 절곡을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제어부 및 절곡제어부에 사용자가 판재의 가공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조작부로 구성하여 판재다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피딩클램프를 구비함으로써, 판재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유로이 절곡가공하고 판재의 절곡과정에 있어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피딩클램프가 탄성가동되어 판재의 가공에 있어 가공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가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판재 자동절곡기{Sheet metal 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판재 자동절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판재다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탄성피딩클램프를 구비하여서, 판재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유로이 절곡가공하고 판재의 절곡과정에 있어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피딩클램프가 탄성가동되어 판재의 가공에 있어 가공오차가 발생하지 않고 가공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재 자동절곡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판재를 가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판재 자동절곡기는 절곡기몸체의 중앙부에 가공대상 판재를 가공안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판재다이와 상기 판재다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피딩클램프, 상기 판재다이의 전방 단부에 판재의 가공시 유동되지 않게 하고 명확한 절곡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클램핑할 있게 구비되는 절곡클램핑, 절곡기몸체의 전방 측에 절곡클램핑에 의하여 클램핑된 판재를 상,하부로 절곡 가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핑거, 절곡기몸체의 일측에 판재의 절곡을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제어부 및 절곡제어부에 사용자가 판재의 가공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판재 자동절곡기는 사용자가 절곡조작부를 통하여 판재의 가공정보를 절곡제어부에 입력하게 되면, 피딩클램프가 판재를 가공정보에 따라 피딩하고 피딩된 판재를 절곡클램핑이 클림핑한 상태에서 상부절곡핑거와 하부절곡핑거가 절곡클램핑 앞쪽으로 돌출된 판재를 상하로 절곡시킴으로 판재가 자동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재 자동절곡기는 판재를 절곡클램프로 판재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상부절곡핑거 또는 하부절고핑거로 판재를 절곡가공하게 되면 절곡과정에 판재가 끌려나가는 절곡 당김력이 발행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판재의 미세한 이동이 가공편차를 유발하여 가공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55944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재 자동절곡기의 절곡클램프가 판재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부절곡핑거 또는 하부절고핑거로 판재를 절곡가공하게 되면 절곡과정에 판재가 끌려나가는 절곡 당김력이 발행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판재의 미세한 이동이 가공편차를 유발하여 가공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절곡기몸체의 중앙부에 가공대상 판재를 가공안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판재다이와 상기 판재다이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피딩클램프, 상기 판재다이의 전방 단부에 판재의 가공시 유동되지 않게 하고 명확한 절곡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클램핑할 있게 구비되는 절곡클램핑, 절곡기몸체의 전방 측에 절곡클램핑에 의하여 클램핑된 판재를 상, 하부로 절곡 가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핑거, 절곡기몸체의 일측에 판재의 절곡을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제어부 및 절곡제어부에 사용자가 판재의 가공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절곡조작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재다이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피딩클램프를 구비함으로써, 판재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유로이 절곡가공하고 판재의 절곡과정에 있어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피딩클램프가 탄성가동되어 판재의 가공에 있어 가공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가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피딩클램프 입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피딩클램프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피딩클램프 분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완충부 입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완충부 측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완충부 다른실시 측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판재의 절곡과정에 있어 판재 미세이동에 따른 가공오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절곡기몸체(100)와 판재다이(200)와 탄성피딩클램프(300), 절곡클램핑(400), 절곡핑거(500), 절곡제어부(600) 및 절곡조작부(7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곡기몸체(100)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판재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전방 측 상하부에 판재를 클램핑하고 절곡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판재다이(200)는 절곡기몸체(100)의 중앙부에 가공대상 판재를 가공안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판재다이(200)에는 탄성피딩클램프(300)가 판재 이송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게 탄성피딩클램프(300)에 대응하여 2 개 이상의 피딩가이드홈(210)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는 판재다이(20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210)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는 피딩액츄에이터에 구속되어서 절곡공정에 따라 판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피딩액츄에이터는 유압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유압피딩액츄에이터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벨트피딩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는 상기 피딩액츄에이터에 탄성피딩수단을 매개로 결속되며 탄성피딩클램프(300)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레일이 구비되는 피딩프레임(310)과, 상기 피딩프레임(310)의 상부에 구비된 레일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전후 이동되는 절곡완충부(320)와, 상기 절곡완충부(310)의 후단 측이 축지되어 상하로 구비되는 피딩핑거(330) 및 상기 피딩핑거(340)를 가동시키는 핑거액츄에이터(3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피딩핑거(330)는 판재를 클램핑하는 핑거로드(321a)와 후단부가 일정 각도 절곡된 클램핑로드(321b)로 형성되어 핑거액츄에이터(340)의 액츄에이터로드와 링크 결속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완충부(320)는 탄성가이드(321), 탄성가이드(321)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되게 구비되는 탄성가동축(322), 탄성가동축(322)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스토퍼(323)와, 탄성가동축(322)의 후단에 설치된 탄성가이드(321)와 스토퍼(32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가동축(322)을 원위치 복귀되게하는 탄성스프링(324), 피딩프레임(310)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벨트고정구(325)와, 피딩프레임(310)의 후방상측에 구비되어 피딩프레임(310)에 벨트의 타측 일단을 고정시키는 가동벨트고정구(326)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벨트고정구(325)와 가동벨트고정구(326)에는 장력조절을 상호 체결되게 하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장력조절결합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결합부(328)는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가이드(321)와 스토퍼(323)은 어느 하나가 피딩프레임(310)에 고정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탄성가이드(321)가 고정되었을 경우 스프링(324)는 후방 스토퍼(323) 측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양 스토퍼(323)이 고정되었을 경우 스프링(324)은 전방 스토퍼(323) 측에 구비되어 탄성가이드(321)가 왕복되게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클램핑(400)은 판재다이(200)의 전방 단부에 판재의 가공시 유동되지 않게 하고 명확한 절곡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클램핑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클램핑(400)은 유압클램핑액츄에이터 또는 모터클램핑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절곡클랭핑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핑거(500)는 절곡기몸체(100)의 전방 측에 절곡클램핑(400)에 의하여 클램핑된 판재를 상, 하부로 절곡 가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핑거(500)는 유압절곡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절곡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절곡가동되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제어부(600) 절곡기몸체(100)의 일측에 판재의 절곡을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곡조작부(700) 및 절곡제어부(600)에 사용자가 판재의 가공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절곡기몸체(100)와 판재다이(200)와 탄성피딩클램프(300), 절곡클램핑(400), 절곡핑거(500), 절곡제어부(600) 및 절곡조작부(700)로 구성되어 절곡조작부(700)의 조작에 따라 판재다이(200)에 놓여진 판재를 탄성피딩클램프(300)가 클램핑하여 판재를 절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에는 탄성가이드(321), 탄성가이드(321)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되게 구비되는 탄성가동축(322), 탄성가동축(322)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스토퍼(323)와, 탄성가동축(322)의 후단에 설치된 탄성가이드(321)와 스토퍼(32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가동축(322)을 원위치 복귀되게하는 탄성스프링(324), 피딩프레임(310)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벨트고정구(325)와, 피딩프레임(310)의 후방상측에 구비되어 피딩프레임(310)에 벨트의 타측 일단을 고정시키는 가동벨트고정구(326)로 구성된 절곡완충부(320)에 의해 판재절곡시 판재가 절곡되며 발생되는 인장하중에 대해 절곡되는 판재의 인장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피딩클램프(300)가 일정 간격 전방으로 이동 후 판재절곡이 완료된 후 원위치 되어 절곡되는 판재의 인장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고정구(325)와 가동벨트고정구(326)에는 장력조절을 상호 체결되게 하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장력조절결합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결합부(328)는 볼트로 체결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벨트를 통한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100 : 절곡기몸체
200 : 판재다이 210 : 피딩가이드홈
300 : 탄성피딩클램프
311 : 피딩프레임 312 : 피딩핑거
313 : 핑거액츄에이터
400 : 절곡클램핑
500 : 절곡핑거
600 : 절곡제어부
700 : 절곡조작부

Claims (2)

  1. 판재 자동절곡기에 있어서,
    절곡기몸체(100)는 하부가 지면에 안착되며 상면에 판재거치공간을 형성하고, 전방 측 상하부에 판재를 클램핑하고 절곡할 수 있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절곡기몸체,
    상기 판재다이(200)는 절곡기몸체(100)의 중앙부에 가공대상 판재를 가공안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판재다이(200),
    상기 판재다이(200)에는 탄성피딩클램프(300)가 판재 이송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게 탄성피딩클램프(300)에 대응하여 2 개 이상의 피딩가이드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는 판재다이(200)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피딩가이드홈(210)을 따라 가동되며 판재를 클램핑하여 가공 공정에 따라 피딩하며 판재의 절곡당김력에 대하여 탄성피딩수단에 의하여 탄성가동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피딩액츄에이터는 유압피스톤으로 이루어진 유압피딩액츄에이터 또는 벨트로 이루어진 벨트피딩액츄에이터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피딩클램프(300)는 상기 피딩액츄에이터에 탄성피딩수단을 매개로 결속되며 탄성피딩클램프(300)의 바닥을 형성하며 상부면에 레일이 구비되는 피딩프레임(310)과, 상기 피딩프레임(310)의 상부에 구비된 레일에 체결되어 이동되는 전후 이동되는 절곡완충부(320)와, 상기 절곡완충부(310)의 후단 측이 축지되어 상하로 구비되는 피딩핑거(330) 및 상기 피딩핑거(340)를 가동시키는 핑거액츄에이터(340)로 구성되며,
    상기 피딩핑거(330)는 판재를 클램핑하는 핑거로드(321a)와 후단부가 일정 각도 절곡된 클램핑로드(321b)로 형성되어 핑거액츄에이터(340)의 액츄에이터로드와 링크 결속되고,
    상기 절곡완충부(320)는 판재절곡시 판재의 당김력에 대해 절곡되는 판재의 인장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간격 전방으로 이동 후 판재절곡이 완료된 후 원위치 복귀되게 구성되고,
    상기 절곡클램핑(400)은 판재다이(200)의 전방 단부에 판재의 가공시 유동되지 않게 하고 명확한 절곡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재를 절곡클램핑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절곡클램핑(400)은 유압클램핑액츄에이터 또는 모터클램핑액추에이터에 의하여 절곡클랭핑동작되고,
    상기 절곡핑거(500)는 절곡기몸체(100)의 전방 측에 절곡클램핑(400)에 의하여 클램핑된 판재를 상, 하부로 절곡 가공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절곡핑거(500)는 유압절곡액츄에이터 또는 모터절곡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절곡가동되게 구성되고,
    상기 절곡제어부(600) 절곡기몸체(100)의 일측에 판재의 절곡을 제어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절곡조작부(700) 및 절곡제어부(600)에 사용자가 판재의 가공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자동절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완충부(320)는 탄성가이드(321), 탄성가이드(321)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왕복되게 구비되는 탄성가동축(322), 탄성가동축(322)의 전단 및 후단에 구비되는 스토퍼(323)와, 탄성가동축(322)의 후단에 설치된 탄성가이드(321)와 스토퍼(323)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가동축(322)을 원위치 복귀되게하는 탄성스프링(324), 피딩프레임(310)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벨트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벨트고정구(325)와, 피딩프레임(310)의 후방상측에 구비되어 피딩프레임(310)에 벨트의 타측 일단을 고정시키는 가동벨트고정구(326)로 구성되며,
    상기 벨트고정구(325)와 가동벨트고정구(326)에는 장력조절을 상호 체결되게 하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장력조절결합부(328)가 형성되고, 상기 장력조절결합부(328)는 볼트로 체결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자동절곡기.
KR1020220084679A 2022-07-08 2022-07-08 판재 자동절곡기 KR202400075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679A KR20240007559A (ko) 2022-07-08 2022-07-08 판재 자동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679A KR20240007559A (ko) 2022-07-08 2022-07-08 판재 자동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59A true KR20240007559A (ko) 2024-01-16

Family

ID=8971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679A KR20240007559A (ko) 2022-07-08 2022-07-08 판재 자동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5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44B1 (ko) 2018-04-26 2019-03-08 (주)명인에어테크 철판 절곡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44B1 (ko) 2018-04-26 2019-03-08 (주)명인에어테크 철판 절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828B1 (ko) 서스펜션암의 부시 조립장치
CN210524898U (zh) 夹紧装置
DE102017122172A1 (de) Handvorrichtung
CN100999282A (zh) 一种圆木送料机构
KR20240007559A (ko) 판재 자동절곡기
KR20130100284A (ko) 공작기계
KR20160077173A (ko) 절단장치
US8245557B2 (en) Press brake for bending sheets
WO2019146447A1 (ja) プレスブレーキ
US5531006A (en) Machine for tapering pipe ends with different diameters
JP7162521B2 (ja) 多段式ハンドおよびこれを備える搬送ロボット
KR102650529B1 (ko) 판재 자동절곡기
JP2017189799A (ja) フットスイッチ高さ調整装置
JP2013111610A (ja) 板材曲げ加工装置
US8607611B2 (en) Press brake for bending sheets
JP5330182B2 (ja) ワーク搬送装置
CN110000251B (zh) 一种五金加工钢片弯折机
JP3174166U (ja) クランプ装置
US1097874A (en) Bending-machine.
KR102650530B1 (ko) 판재 자동절곡기
JP6349143B2 (ja) プレスブレーキによる板状ワークのr曲げ加工方法及びバックゲージ
CN219357672U (zh) 一种钣金加工用夹取装置
WO2021166766A1 (ja) プレスブレーキ及び曲げ加工方法
US4909494A (en) Vise with clamping jaws
CN211220374U (zh) 一种高精度微小零件半自动上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