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848B1 -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848B1
KR101955848B1 KR1020180012612A KR20180012612A KR101955848B1 KR 101955848 B1 KR101955848 B1 KR 101955848B1 KR 1020180012612 A KR1020180012612 A KR 1020180012612A KR 20180012612 A KR20180012612 A KR 20180012612A KR 101955848 B1 KR101955848 B1 KR 101955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moving image
frame
predetermined time
stil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015A (ko
Inventor
다카시 구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Publication of KR2018001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을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와, 소정 시간 동안에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기억부에 단위 시간에 기억되는 상기 프레임 화상의 수를 나타내는 제 1 프레임 레이트보다 적은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되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데이터 생성부와, 소정 시간 동안에 기억부에 기억된 복수의 프레임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부와, 동화상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슬로우 모션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이하의 우선권 주장 출원의 개시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2010년 5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0-119424 호
본 발명은 동화상을 기록가능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화상 첨부의 정지 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동화상의 일시 기억을 시작하고, 셔터 버튼이 눌러지면, 촬영된 정지 화상이 기록됨과 동시에, 정지 화상 촬영 전에 일시 기억된 동화상, 촬영된 정지 화상을 변환한 동화상, 및 셔터 버튼을 누른 후에 촬영된 동화상으로부터, 하나의 동화상을 생성하고, 기록하는 기록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WO2006/028172호 공보
그런데, 상술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피사체가 실제로의 움직임보다 느리게 움직이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등과 같은, 인상적인 영상 효과를 갖는 동화상을, 정지 화상의 촬영 시점에 동기하여 촬영하고, 그리고 이들의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인 정지 화상의 촬영 타이밍에 관련되어, 자동적으로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슬로우 모션 동화상을 촬영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하는 촬상 소자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을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와, 소정 시간 사이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기억부에 단위 시간에 기억되는 상기 프레임 화상의 수를 나타내는 제 1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보다 적은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되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화상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소정 시간 사이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화상 중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동화상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슬로우 모션 동화상 데이터 및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어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록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정지 화상의 촬영 타이밍에 동기하여,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슬로우 모션 동화상도 병행되어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 버퍼 메모리에 기억될 때의 프레임 레이트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에 있어서 슬로우 모션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촬영할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인디케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슬로우 모션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 기록 매체에 기록될 때의 프레임 레이트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로서의 전자 카메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2)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카메라(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전자 카메라(2)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에는, 촬상 소자(6), 버퍼 메모리(8), 기록 매체(10), 표시부(12), 조작부(14), 및 검출부(16)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 소자(6)는, CCD 또는 CMOS 등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촬영 렌즈를 통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하고, 제어부(4)는, 촬상 소자(6)로부터 출력되고, 도시하지 않는 A/D 컨버터를 통과함으로써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버퍼 메모리(8)는, 촬상 소자(6)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근거하여 작성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특히, 전자 카메라(2)가 예컨대 슬로우 모션 동화상(후술한다. 이하, 슬로우 동화상이라 함)을 촬영하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촬영 모드등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8)는, 촬상 소자(6)로부터 동화상 사이클(60 fps 등)로 동기하여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 즉 슬로우 동화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을 순차적으로 기억한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버퍼 메모리(8)에는, HDTV(고정세도 텔레비젼: High Definition Television) 규격 이상(1280×720 pixel 이상)의 화소수를 갖는 프레임 화상, 즉 고해상도의 프레임 화상이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버퍼 메모리(8)가 예컨대 n 장(n은 자연수)의 프레임 화상을 기억가능한 기억 영역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4)는, 1번째로 취득한 프레임 화상 F1, 2번째로 취득한 프레임 화상 F2 … n 번째로 취득한 프레임 화상 Fn을, 버퍼 메모리(8) 내에 순차적으로 기억시킨다. 그리고, n 장의 프레임 화상 F1 ~ Fn을 기억한 후, 다음 프레임 화상 Fn +1이 출력되면, 버퍼 메모리(8) 내에서 최고의 프레임 화상 F1을 삭제하고, 최신의 프레임 화상 Fn+1을 기억시키고, 다음 프레임 화상이 출력될 때마다, 최고의 프레임 화상을 삭제하고, 최신의 프레임 화상을 기억시키는 처리를 반복한다.
즉, 버퍼 메모리(8)는, n 개의 어드레스(프레임 화상을 순차로 기억하기 위한 기억 영역)를 갖고 있고, 1번째의 프레임 화상 F1를 어드레스 번호 (n-1)의 어드레스 내에, 2번째의 프레임 화상 F2를 어드레스 번호 (n-2)의 어드레스 내에, … n 번째의 프레임 화상 Fn을 어드레스 번호 (0)의 어드레스 내에 순차적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n 개의 어드레스 전부에 프레임 화상 F1 ~ Fn이 기억되고, 다음 프레임 화상 Fn +1이 출력되면, 어드레스 번호 (n-1)의 어드레스 내의 프레임 화상(즉 최고의 프레임 화상) F1이 삭제된다. 그리고, 프레임 화상 F2 ~ Fn의 각각은, 어드레스 번호(n-2) ~ 0의 어드레스 내에서 어드레스 번호 (n-1) ~ 1의 어드레스 내로 이동하고, (n+1) 번째의 프레임 화상(즉, 최신의 프레임 화상) Fn +1은, 어드레스 번호 (0)의 어드레스 내에 기억된다. 따라서, 어드레스 번호 (0)의 어드레스 내에는 항상 최신의 프레임 화상이 기억되고, 어드레스 번호가 커짐에 따라서, 어드레스 내에는 순차적으로 오래된 프레임 화상이 기억되고, 어드레스 번호 (0)의 어드레스 내에는 항상 최신의 프레임 화상이 기억된다.
기록 매체(10)는, 전자 카메라(2)에 설치된 카드 슬롯(도시하지 않음)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반성(可搬性)을 갖는 기록 매체이며, 예컨대, CF 카드, SD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이 사용된다. 기록 매체(10)에는,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의 각각,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축소 회로에 의해 동화상용의 해상도로의 리사이즈(해상도 대(大)에서 소(小)로) 처리,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동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동화상용의 화상 처리, 및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동화상용 압축 회로에 의해 동화상용의 압축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동화상 데이터나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기록 매체(10)에는,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에,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정지 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정지 화상용의 화상 처리,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정지 화상용 압축 회로에 의해 정지 화상용의 압축 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작성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나, 촬영에 관한 정보 등이 기록된다.
표시부(12)는, 전자 카메라(2)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LCD 등에 의해 구성되는 모니터 또는 전자 카메라(2)의 배면부에 배치되는 LCD 등에 의해 구성되는 EVF 등에 의해 구성되고, 촬상 소자(6)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스루(through) 화상, 기록 매체(10)에 기록되어 있는 동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동화상, 슬로우 모션 동화상 데이터(이하,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라 함)에 근거하는 슬로우 동화상, 정지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정지 화상, 및 촬영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14)는, 전자 카메라(2)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 동화상을 촬영하는 동화상 촬영 모드나 슬로우 동화상을 촬영하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촬영 모드 등의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커맨드 다이얼,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의 촬영 개시 등을 지시하기 위한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 표시부(12)에 메뉴 등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 버튼, 메뉴 항목 등의 선택이나 다양한 설정시에 조작되는 십자 키, 메뉴 항목 등의 선택이나 다양한 설정에 대한 확정 조작을 행하기 위한 OK 버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검출부(16)는, 자세 센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전자 카메라(2)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을 촬영할 때에, 피사체에 대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다. 제어부(4)는, 검출부(16)에 의한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슬로우 동화상 촬영의 종료 시간을 제어한다. 한편, 자세 센서 등을 구비하는 대신에, 촬상 소자(6)로부터의 촬상 신호에 근거하여 작성되고,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축소 회로를 사이에 둠으로써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 검출용의 해상도로 리사이즈(해상도 대에서 소로)된 적어도 2개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2)에서는, 촬상 소자(6)로부터 출력되고, 버퍼 메모리(8)에 단위 시간에 기억되는 프레임 화상의 수를 나타내는 제 1 프레임 레이트보다 적은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되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어 기록 매체(10)에 기록할 수 있다. 이하,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이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2)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촬영할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정지 화상 데이터로 되는 프레임 화상이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었을 때부터 제 1 소정 시간 전까지의 사이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복수의 프레임 화상, 및 정지 화상 데이터로 되는 프레임 화상이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후부터 제 2 소정 시간 후까지의 사이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복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소정 시간(제 1 소정 시간 + 제 2 소정 시간)의 사이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복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1 소정 시간 종료시(제 2 소정 시간 개시시)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소정 시간(예컨대 1초 등), 제 1 소정 시간(예컨대 0.6 초 등), 및 제 2 소정 시간(예컨대 0.4 초 등)은, 미리 설정되고,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고, 변경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가 슬로우 모션 동화상 촬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커맨드 다이얼을 조작하면, 제어부(4)는, 슬로우 모션 동화상 및 상기 슬로우 모션 동화상에 관련되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슬로우 모션 동화상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릴리즈 버튼이 절반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0). 단계 S10에서 릴리즈 버튼이 절반 눌러졌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제어부(4)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생성의 준비의 지시, 및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의 생성의 지시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12)에 스루 화상(20) 및 인디케이터(22)를 표시하고, 스루 화상(20) 내의 주요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 맞춤하도록, 도시하지 않는 포커스 렌즈 등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요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위치를 이동시켜, 주요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 맞춤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 한편, 인디케이터(22)는, 현 시점이, 소정 시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환언하면, 슬로우 동화상이 생성되는 모든 기간에 대하여) 어느 시점인지(제 1 소정 시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어느 시점인지, 및 제 2 소정 시간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어느 시점인지)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인디케이터(22)의 프레임(22a) 내에 후술하는 바(22c)(도 5 참조)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부터 제 1 소정 시간 및 제 2 소정 시간의 개시 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마크(22b)는, 제 1 소정 시간의 종료시(제 2 소정 시간의 개시시), 즉 후술하는 단계 S13에 있어서의 릴리즈 버튼 완전 누름 조작시를 나타내고 있다. 인디케이터(22)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주요 피사체에 대하여 초점 맞춤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 S11, 예), 제어부(4)는, 슬로우 동화상의 촬영, 즉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 및 인디케이터(22)에 의한 현 시점의 표시를 시작한다(단계 S1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6)로부터 동화상 사이클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 F1 … Fn …(도 2 참조)의, 버퍼 메모리(8) 내의 소정의 어드레스로의 기억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어부(4)는,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을 시작하면, 인디케이터(22)에, 현 시점에서 소정 시간(제 1 소정 시간)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어느 시점의 버퍼링을 실행했는지를 나타내는 표시를 시작한다. 즉, 소정 시간(제 1 소정 시간)의 개시전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2)의 프레임(22a) 내에 어떤 것도 표시하지 않지만, 버퍼링이 시작되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2a) 내의 좌단부터 바(22c)의 표시를 시작하고, 버퍼 메모리(8) 내에 기억되는 프레임 화상의 수가 증대함에 따라서(시간 경과와 동시에),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2a) 내의 오른쪽 방향으로 바(22c)를 신장한다.
한편,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릴리즈 버튼의 완전 누름 조작시(후술하는 단계 S13, 예)에, 촬상 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촬상 신호에 근거하는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이고, 사용자에 의해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될 때까지, 버퍼 메모리(8)에 n 장의 프레임 화상이 기억된 후에 있어서는, 프레임 화상이 출력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8) 내의 최고의 프레임 화상을 삭제하고, 출력된 프레임 화상(최신의 프레임 화상)을 버퍼 메모리(8)에 기억하는 처리를 반복한다. 이때, 프레임(22a) 내의 바(22c)는, 도 5(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즉, 바(22c)는, 정지 화상의 촬영시(제 1 소정 시간의 종료 및 제 2 소정 시간의 개시)를 나타내는 마크(22b)까지 신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되지 않는 동안에는 신장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제 1 소정 시간 경과 후이고, 버퍼 메모리(8)에의 프레임 화상의 기억을 반복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3). 단계 S13에 있어서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제어부(4)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생성을 지시하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소정 시간을 개시(제 1 소정 시간을 종료)시키고,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2a) 내의 오른쪽 방향으로 바(22c)를 시간 경과와 함께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현 시점에서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어느 시점인지를 나타내는 바(22c)를 표시부(12)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슬로우 동화상의 촬영이 종료하지 않고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검출부(16)에 의해 검출되는 주요 피사체에 대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4). 즉, 예컨대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을 완전 누른 것으로 판단했을 때 등, 전자 카메라(2)를 촬영시의 자세로부터 촬영시가 아닌 자세로 크게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소정 임계값은, 미리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단계 S14, 아니오), 제어부(4)는,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5). 즉, 릴리즈 버튼 완전 누름 조작 후(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후)에 있어서의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프레임 화상의, 버퍼 메모리(8)에의 기억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 S15, 아니오), 제어부(4)는, 단계 S1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15에 있어서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 S15, 예), 제어부(4)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n 장의 프레임 화상의, 버퍼 메모리(8)에의 기억이 종료했다고 판단하고,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 및 인디케이터(22)에 의한 현 시점의 표시를 종료한다(단계 S16). 이때, 버퍼 메모리(8)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시 TS 직전부터 제 1 소정 시간 전까지의 사이의 (n-p)매(p는 자연수, n> p)의 프레임 화상 F2 ~ F5 …, 및 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시 TS부터 제 2 소정 시간 후까지의 사이의 p 매의 프레임 화상 … Fn, Fn +1이 기억되어 있고, 이들 n 장의 프레임 화상 F2 ~ Fn +1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단계 S17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한편,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의 종료시의 인디케이터(22)의 프레임(22a) 내의 바(22)를, 도 5(e)에 나타낸다.
또한, 단계 S14에 있어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 S14, 예), 제어부(4)는, 전자 카메라(2)의 자세가 크게 변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 및 인디케이터(22)에 의한 현 시점의 표시를 종료한다(단계 S16). 즉, 인디케이터(22)의 프레임(22a) 내의 바(22)가 도 5(e)에 나타내는 상태가 아니고, 도 5(d)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도,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다고 판별되었을 때를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의 종료 시간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시 TS 직전부터 제 1 소정 시간 전까지의 사이의 (n-p)매(p는 자연수, n> p)의 프레임 화상 F2 ~ F5 …, 및 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시 TS로부터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다고 판별되었을 때까지의 사이의 p 매보다 적은 매수의 프레임 화상, 즉 n 장보다 적은 매수의 프레임 화상 F2 ~ F5 …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단계 S17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의 생성 처리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7). 우선,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의 생성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는, 촬상 소자(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 레이트(촬영 프레임 레이트)와 동등의 제 1 프레임 레이트(예컨대 60 프레임/초 등)로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 F2 ~ F5 …를, 제 1 프레임 레이트보다 적은 제 2 프레임 레이트(예컨대 제 1 프레임 레이트의 1/2.5인 24 프레임/초 등)로 버퍼 메모리(8)로부터 판독한다. 즉,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1(예컨대 1/60 초 등)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 F2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2(예컨대 1/24 초 등)에 버퍼 메모리(8)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프레임 화상 F2 ~ F5 …에 대하여 제어부(4) 내의 축소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동화상용의 해상도에의 리사이즈(해상도 대에서 소로) 처리, 제어부(4) 내의 동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동화상용의 화상 처리(동화상용 압축 처리 포함)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제 2 프레임 레이트의 값은 미리 설정되고,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 등에 기억되어 있고, 변경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정지 화상 데이터의 생성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는, 정지 화상 촬영 지시의 입력시 TS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프레임 화상을 버퍼 메모리(8)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된 프레임 화상에 대하여 제어부(4) 내의 전술한 동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있는 정지 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의해 정지 화상용의 화상 처리(정지 화상용 압축 처리를 포함한다)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HDTV 규격 이상의 화소수를 갖는 프레임 화상, 즉 고해상도의 프레임 화상이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생성되는 정지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는,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보다 많다.
다음으로, 제어부(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14)를 통해서 슬로우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의 표시부(12)에의 표시의 지시가 이루어지면, 우선, 단계 S17에서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슬로우 동화상을 표시부(12)에 프리뷰(preview) 표시하고, 다음으로, 단계 S17에서 생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정지 화상을 수초간(미리 설정되어 있음) 표시부(12)에 프리뷰 표시한다(단계 S18).
다음으로, 제어부(4)는, 단계 S17에서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했는지 여부를, 기록 매체(10)에의 기록 개시 전에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선택 화면에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만을 기록」, 「정지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 또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하지 않는다」의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한 설명 및 아이콘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4)는, 선택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 매체(10)에의 기록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9).
단계 S19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 매체(10)에의 기록을 선택했다고 판별된 경우(단계 S19, 예), 즉 사용자에 의해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만을 기록」, 「정지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 또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의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4)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한다(단계 S20). 구체적으로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만을 기록」이 선택된 경우에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만을 기록(정지 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이 선택된 경우에는, 정지 화상 데이터만을 기록(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이 선택된 경우에는,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한다.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단계 S17에서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동화상용 압축 회로에 의해 동화상용의 압축 처리를 실시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단계 S17에서 생성된 정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제어부(4) 내의 도시하지 않는 정지 화상용 신호 처리 회로에 의해 정지 화상용의 압축 처리를 실시한 정지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한다. 한편,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 매체(10)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서로 관련지어 (서로 관련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촬영 일시나 식별 번호 등)를 부가하여) 기록한다.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가 관련지어 기록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슬로우 동화상의 재생시에 관련되는 정지 화상이 존재한다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고, 정지 화상의 표시시에 관련되는 슬로우 동화상이 존재한다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정지 화상 데이터 생성시에 생성되고, 정지 화상 데이터에 부가하여 기록되어 있는 정지 화상의 축소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는 축소 화상(섬네일 화상)을 표시할 때에도, 관련되는 슬로우 동화상이 존재한다는 취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지 화상(또는 슬로우 동화상) 재생시에, 사용자가 조작부(14)를 통해서 관련되는 슬로우 동화상(또는 정지 화상)의 재생을 지시한 때에도, 슬로우 동화상(또는 정지 화상)을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9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기록 매체(10)에의 기록을 선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단계 S19, 아니오), 즉 사용자에 의해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하지 않는다」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어부(4)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에 따라, 단계 S17에서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을 기록 매체(10)에 기록하지 않고서 삭제한다.
한편, 단계 S18에 있어서 슬로우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표시부(12)에 프리뷰 표시한 후,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했는지 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선택 화면을 표시할 때, 또는 상기 선택 화면을 표시한 후에, 제 2 프레임 레이트의 값을 변경하고, 변경 후의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슬로우 동화상을 재차 생성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리뷰 표시를 본 후, 표시되는 슬로우 동화상을 더 느리고, 또는 조금 빠르게 하는 것을 소망했을 때 등에 유효하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는, 조작부(14)에 의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제 2 프레임 레이트의 값의 변경 조작이 이루어지면, 단계 S17의 처리로 되돌아가,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일련의 프레임 화상을 상기 변경 후의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재차 판독하고, 그 판독된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슬로우 동화상을 재생한다. 그 후, 그 프레임 레이트 변경 후의 슬로우 동화상을 표시부(12)에 프리뷰 표시하고, 또한 이 변경 후의 프레임 레이트의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10)에 기록하여도 좋은지 여부의 확인 화면(선택 화면)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4)를 통해서, 그 슬로우 동화상으로 기록 OK이다는 취지의 조작을 행하면, 그 변경 조작 후의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생성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가 기록 매체(10)에 기록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자 카메라(2)에 의하면, 인상적인 영상 효과를 갖고,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인 슬로우 동화상, 및 상기 슬로우 동화상의 촬영중에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정지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슬로우 동화상을 형성하는 프레임 화상을 고해상도로 버퍼 메모리(8)에 기억하기 때문에,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고해상도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때문에, 고세밀 또한 고정밀도의 정지 화상 데이터(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보다 고해상도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하여, 인디케이터(22)를 이용하여,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프레임 화상이 버퍼링되어 있는 동안(소정 시간 동안)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슬로우 동화상 촬영 중에 있는지 여부를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슬로우 동화상 촬영 중에 피사체에 대한 전자 카메라(2)의 자세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정밀도 좋은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6)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의 종료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전자 카메라(2)의 자세가 크게 변화되면 프레임 화상의 버퍼링을 중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카메라(2)의 자세가 크게 변화되기 전까지의 정밀도 좋은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또는 주요 피사체에 대한 전자 카메라(2)의 자세 변화가 소정 임계값 이상일 때,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 및 인디케이터(22)에 의한 현 시점의 표시를 종료하고 있지만, 버퍼 메모리(8)가 프레임 화상을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동안에,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 버퍼 메모리(8)에의 버퍼링 및 인디케이터(22)에 의한 현 시점의 표시를 종료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되었다고 판별되었을 때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하나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하나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했지만, 2개 이상의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2개 이상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릴리즈 버튼이 완전 누름 되었다고 판별된 전후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릴리즈 버튼의 완전 누름이 아닐 때(예컨대, 릴리즈 버튼의 완전 누름이 아닐 때에 베스트 샷(best shot)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된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을 표시부(12)에 표시하고, 정지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적어도 1장의 프레임 화상을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여, 선택된 프레임 화상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프레임 레이트로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을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판독하는 것에 의해,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있지만, 프레임 화상을 제 1 프레임 레이트로 판독하는 것에 의해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에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재생하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1에서 버퍼 메모리(8)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 화상 F2 … Fn + 1를,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 T2에서 버퍼 메모리(8)로부터, 순차 주사(noninterlaced) 방식으로 판독하고 있지만, 프레임 화상 F2 ~ Fn + 1를 비월 주사(interlacing) 방식에 상당하는 방식으로 판독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화상 F2를 2개로 분할한 한쪽의 필드(이하, 제 1 필드라고 함) F2E를 시간 T1에서 판독하고, 다음으로, 다른 쪽의 필드(이하, 제 2 필드라고 함) F2O를 시간 T1에서 판독한다. 한편, 제 1 필드 F2E는, 예컨대 프레임 화상 F2의 짝수 라인에만 형성되는 필드, 제 2 필드 F2O는, 예컨대 프레임 화상 F2의 홀수 라인에만 형성되는 필드이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차, 제 1 필드 F2E를 시간 T1에서 판독한 후, 프레임 화상 F3를 2개로 분할한 한쪽의 필드 F3E를 시간 T1에서, 다음으로, 다른 쪽의 필드 F3O를 시간 T1에서 판독한다. 마찬가지의 판독,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화상 F4를 2개로 분할한 한쪽의 필드 F4E, 다른 쪽의 필드 F4O, 재차 한쪽의 필드 F4E, 프레임 화상 F5를 2개로 분할한 한쪽의 필드 F5E, 다른 쪽의 필드 F5O …의 판독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 제 1 프레임 레이트의 1/2.5의 제 2 프레임 레이트로 슬로우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해서 기재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의 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한다는 취지이다.
2 : 전자 카메라 4 : 제어부
6 : 촬상 소자 8 : 버퍼 메모리
10 : 기록 매체 12 : 표시부
14 : 조작부 16 : 검출부

Claims (4)

  1. 피사체를 촬상하고,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지시를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촬상의 지시를 접수하면, 상기 촬상의 지시를 접수하기 전의 제 1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촬상의 지시를 접수한 후의 제 2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기록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설정부에 의해 소정의 촬영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동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촬상의 지시를 접수하기 전의 상기 제 1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상기 촬상의 지시를 접수한 후의 상기 제 2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기록 제어부는, 상기 동화상 데이터와 상기 정지 화상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하는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1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 2 소정 시간 동안의 촬상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동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전자 기기.
KR1020180012612A 2010-05-25 2018-02-01 전자 기기 KR101955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19424A JP4983961B2 (ja) 2010-05-25 2010-05-25 撮像装置
JPJP-P-2010-119424 2010-05-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99A Division KR101826989B1 (ko) 2010-05-25 2011-05-19 촬상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32A Division KR102023866B1 (ko) 2010-05-25 2019-02-28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015A KR20180019015A (ko) 2018-02-22
KR101955848B1 true KR101955848B1 (ko) 2019-03-07

Family

ID=4501032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99A KR101826989B1 (ko) 2010-05-25 2011-05-19 촬상 장치
KR1020180012612A KR101955848B1 (ko) 2010-05-25 2018-02-01 전자 기기
KR1020190023732A KR102023866B1 (ko) 2010-05-25 2019-02-28 전자 기기
KR1020190112594A KR102077967B1 (ko) 2010-05-25 2019-09-11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199A KR101826989B1 (ko) 2010-05-25 2011-05-19 촬상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732A KR102023866B1 (ko) 2010-05-25 2019-02-28 전자 기기
KR1020190112594A KR102077967B1 (ko) 2010-05-25 2019-09-11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8) US8422868B2 (ko)
JP (1) JP4983961B2 (ko)
KR (4) KR101826989B1 (ko)
CN (3) CN1043943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6975B2 (ja) * 2009-08-21 2014-03-0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カメラの表示制御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983961B2 (ja) 2010-05-25 2012-07-2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516662B2 (ja) * 2011-12-05 2014-06-11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US8988578B2 (en) 2012-02-03 2015-03-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obile computing device with improved image preview functionality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DE112013002387T5 (de) 2012-05-09 2015-02-12 Apple Inc. Vorrichtung, Verfahren und grafische Benutzeroberfläche für die Bereitstellung taktiler Rückkopplung für Operationen i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E202013012233U1 (de) 2012-05-09 2016-01-18 Apple Inc. Vorrichtung und grafische Benutzerschnittstelle zum Anzeigen zusätzlicher Informationen in Antwort auf einen Benutzerkontak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8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6021594B2 (ja) * 2012-11-08 2016-11-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105277A2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US9185309B1 (en) 2013-03-14 2015-11-10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a stunt switcher to run a snipe-overlay DVE
US9473801B1 (en) 2013-03-14 2016-10-18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a stunt switcher to run a bug-removal DVE
US9549208B1 (en) * 2013-03-14 2017-01-17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a stunt switcher to run a multi-video-source DVE
US9049386B1 (en) 2013-03-14 2015-06-02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ausing a stunt switcher to run a bug-overlay DVE
US10057547B2 (en) * 2013-05-20 2018-08-21 Acp Japan Co., Ltd. Medical image recording device
JP2015041889A (ja) * 2013-08-22 2015-03-02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CN104580874B (zh) 2013-10-22 2019-12-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设备及其实现拍照的方法
JP5817858B2 (ja) * 2014-01-30 2015-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86235A (ja) * 2014-03-26 2015-10-22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電子装置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DE102016109179B4 (de) * 2015-05-29 2023-08-03 Canon Kabushiki Kaisha Bildaufnahmeeinrichtung und Bildgebungsvorrichtung
JP6272387B2 (ja) * 2015-05-29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撮像装置
CN107710757B (zh) * 2015-06-04 2021-08-10 英特尔公司 用于缓慢运动视频记录的自适应批量编码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170157B2 (en) * 2015-06-07 2019-01-0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and using video portions that are relevant to adjacent still imag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846142B2 (en) 2016-02-23 2020-11-24 Intel Corporation Graphics processor workload acceleration using a command template for batch usage scenarios
US20170269809A1 (en) * 2016-03-21 2017-09-21 Le Holdings (Beijing) Co., Ltd. Method for screen capture and electronic device
KR102537210B1 (ko) 2016-07-29 2023-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6652039B2 (ja) * 2016-12-05 2020-0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12298B1 (ko) 2018-02-23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편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893199B2 (en) * 2018-06-07 2021-01-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71828A1 (en) * 2018-10-04 2020-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super slow motion video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2805996B (zh) * 2018-10-08 2022-04-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生成慢动作视频片段的设备和方法
KR20200092631A (ko) 2019-01-25 2020-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로 모션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JP7377048B2 (ja) 2019-09-30 2023-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US11533428B2 (en) 2020-01-23 202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1470282B2 (en) 2020-12-09 2022-10-11 Waymo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mage d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543A (ja) * 2002-04-04 2004-01-0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311665A (ja) * 2004-04-21 2005-11-0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センサ及び撮像装置
WO2006085500A1 (ja) * 2005-02-09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監視カメラ装置、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画像伝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61A (ja) * 1997-06-12 1999-01-06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H11110917A (ja) * 1997-10-01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881168B2 (ja) 2000-09-07 2007-02-14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再生装置および方法
IL159537A0 (en) * 2001-06-28 2004-06-01 Omnive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and processing of video images
JP4541610B2 (ja) 2001-09-17 2010-09-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20040027593A1 (en) * 2001-10-12 2004-02-12 David Wilkins Techniques for resolution independent rendering of images
CA2480680C (en) * 2002-04-04 2012-10-16 Sony Corporation Picked up image recording system, signal recording device, and signal recording method
KR100465290B1 (ko) * 2002-04-22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데이타 전송장치 및 방법
JP3738843B2 (ja) * 2002-06-11 2006-01-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検出装置、画像検出方法および画像検出プログラム
JP3992659B2 (ja) * 2003-08-08 2007-10-17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3926316B2 (ja) * 2003-10-31 2007-06-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DE602005002576T2 (de) * 2004-03-02 2008-06-19 Seiko Epson Corp. Erzeugung einer Bilddatei mit zusätzlichen Informationen zur Weiterverarbeitung aus einer Zeitfolge von Quellbilddaten
JP2006064739A (ja) * 2004-08-24 2006-03-09 Canon Inc カメラ
JP4881727B2 (ja) * 2004-08-26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0562085C (zh) * 2004-09-08 2009-11-18 索尼株式会社 记录装置及方法、再生装置及方法以及程序
JP4724577B2 (ja) * 2005-05-11 2011-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55280B2 (ja) * 2005-05-18 2008-09-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07010753A1 (ja) * 2005-07-15 2007-01-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撮像データ処理装置、撮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撮像素子
US20070086067A1 (en) * 2005-10-13 2007-04-1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having output circuits selectably operative dependant upon usage and a method therefor
JP4645443B2 (ja) * 2005-12-27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記録装置、設定状態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0634B2 (ja) * 2006-07-10 2011-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284370B2 (ja) * 2007-03-09 2009-06-24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及びビデオ編集システム
JP5161879B2 (ja) * 2007-07-26 2013-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
US8593537B2 (en) * 2008-06-05 2013-11-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for suppressing image deterioration caused by foreign substance
JP5279589B2 (ja) * 2009-04-13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95257B2 (ja) * 2009-12-25 2012-08-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データコード読み取り装置及びその方法
JP5665345B2 (ja) * 2010-03-31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83961B2 (ja) 2010-05-25 2012-07-25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7543A (ja) * 2002-04-04 2004-01-0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311665A (ja) * 2004-04-21 2005-11-0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撮像センサ及び撮像装置
WO2006085500A1 (ja) * 2005-02-09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監視カメラ装置、それを用いた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画像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2341A1 (en) 2021-03-25
US10536680B2 (en) 2020-01-14
KR102023866B1 (ko) 2019-09-20
US20160330422A1 (en) 2016-11-10
US20200099910A1 (en) 2020-03-26
CN104394318A (zh) 2015-03-04
US10085000B2 (en) 2018-09-25
KR102077967B1 (ko) 2020-02-14
KR20190025867A (ko) 2019-03-12
US20110293244A1 (en) 2011-12-01
US20180359455A1 (en) 2018-12-13
US10893249B2 (en) 2021-01-12
KR20190109723A (ko) 2019-09-26
US8422868B2 (en) 2013-04-16
US11570414B2 (en) 2023-01-31
US20240146891A1 (en) 2024-05-02
CN102263889A (zh) 2011-11-30
CN104394318B (zh) 2020-02-14
KR20110129342A (ko) 2011-12-01
CN102263889B (zh) 2014-12-24
US20230104653A1 (en) 2023-04-06
JP2011250004A (ja) 2011-12-08
KR20180019015A (ko) 2018-02-22
US20130188921A1 (en) 2013-07-25
CN104469146A (zh) 2015-03-25
JP4983961B2 (ja) 2012-07-25
KR101826989B1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48B1 (ko) 전자 기기
JP5516662B2 (ja) 撮像装置
US91547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using image stored in camera
JP2011199565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76991B2 (ja) 撮影機器、撮影方法及び再生方法
JP6031670B2 (ja) 撮像装置
JP2013110562A (ja) 撮像装置
JP5682590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6569188B2 (ja) 撮像装置
US8605191B2 (en) Imaging device
KR101643772B1 (ko) 카메라에 저장된 이미지를 이용한 이미지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01230959A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19176487A (ja) 電子機器
JP2013102385A (ja) 撮像装置
JP2012204875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