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048B1 -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048B1
KR101953048B1 KR1020177018258A KR20177018258A KR101953048B1 KR 101953048 B1 KR101953048 B1 KR 101953048B1 KR 1020177018258 A KR1020177018258 A KR 1020177018258A KR 20177018258 A KR20177018258 A KR 20177018258A KR 101953048 B1 KR101953048 B1 KR 10195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mover
spring
for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3876A (ko
Inventor
도모히사 하야까와
데쯔지 오노
세이야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9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소형이며 정음 성능(특히 석방 동작음의 저감)이 우수한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브레이크(26)는 카(9)를 승강시키는 권상기(10)에 구비된 피제동체(15)에 대하여 맞닿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8)를 구비한 가동자(5)와, 상기 가동자(5)를 상기 피제동체(15)에 부세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스프링(2) 및 상기 제동 스프링(2)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동자(5)를 흡인하는 전자 코일(1)을 구비한 본체(3)를 포함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26)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5)가 상기 본체(3)로부터 상기 피제동체(15)를 향하는 변위에 수반하여,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본체(3)로부터 상기 피제동체(15)로의 변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상기 가동자(5)를 부세하는 금속 부세 기구(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ELECTROMAGNETIC BRAKE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에 적합한 전자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나 제어 장치, 및 카의 과속도를 검출하는 조속기는 건물의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행정이 짧고, 카의 승강 속도가 비교적 느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기계실을 갖지 않는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도 보급되고 있다.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의 경우, 종래 기계실에 배치하는 권상기, 제어 장치 등의 기기를 승강로 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음이 승강로를 전파하여 승객의 불쾌감ㆍ불안감뿐만 아니라, 승강로에 근접한 거주자에의 소음 문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엘리베이터의 동작음으로서는, 주로, 권상기의 구동음, 브레이크의 동작음을 들 수 있다. 특히 브레이크는 카가 정지하고 나서 동작하는 것, 간헐적인 충돌음인 점에서 인식되기 쉬워, 정숙성이 요구되고 있다.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구성은, 본체와 그 자체에 구비된 전자 코일과 제동 스프링, 가동자를 포함하고 있다. 가동자에는 피제동체에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해 권상기를 정지하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구비되어 있다. 제동 시에는 전자 코일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제동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브레이크 라이닝을 피제동체에 압박하여 제동을 건다. 개방 시에는 전자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여 가동자를 전자적으로 흡인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을 피제동체로부터 이격한다. 이때, 가동자가 고정자 또는 피제동체에 충돌함으로써 동작음이 발생한다.
이 충돌음을 저감하는 브레이크 구조로서, 특허 제3787862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은, 제동 스프링 외에 가동자에의 부세력을 부여하는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제동 시의 부세력과 전자 흡인력의 증감율을 근사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동자에의 작용력을 작게 함으로써 동작 속도를 저감하여 충돌음을 저감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 제3787862호
도 9a 및 도 9b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전자 브레이크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전자 브레이크(126)는 코일(101) 및 제동 스프링(102)을 내장한 본체(103), 본체(103)와 피제동체(104) 사이에 배치된 가동자(105) 및 브레이크 슈(108)[고정부(106)와 브레이크 라이닝(107)을 포함함]를 포함하고 있다. 본체(103)는 피제동체(104)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브레이크 동작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가동자(105)가 제동 상태[즉 브레이크 라이닝(107)이 피제동체(104)와 접촉 상태]로부터 본체(103)로 이동하는 동작을 흡인 동작, 반대로 가동자(105)가 본체(103)와 접촉 상태로부터 피제동체(104)로 이동하는 동작을 석방 동작이라 한다.
흡인 동작(제동으로부터 비제동 상태)은, 코일(101)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본체(103)가 자화되어, 가동자(105)가 본체(103)측에 흡인된다. 한편, 석방 동작(비제동으로부터 제동 상태)은 인가한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전자력이 저하되고 제동 스프링(102)의 작용력을 하회하였을 때 가동자(105)가 피제동체(104)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자력이 제동 스프링력과 비교하여 급격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가동자(105)에 큰 힘이 작용함으로써 가속도가 발생하고, 가동자(105)가 본체(103) 또는 피제동체(104)에 충돌하여 소리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에는, 탄성률이 상이한 제동 스프링(102)을 복수 조합하거나, 또는 하중 변위 특성이 비선형의 특성을 갖는 스프링(예를 들어, 원추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전자력의 증감율에 근사함으로써 가동자(105)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함으로써 동작음을 저감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흡인 시에 부세력이 증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흡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종래보다 큰 전류를 흘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코일 온도의 상승률이 높아진다. 코일 온도의 현저한 상승은 절연 성능의 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고,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코일(101) 자체의 저항을 내릴 필요가 있다. 코일 저항을 저감하는 방책으로서는, 코일선 길이를 단축, 또는 코일선 직경을 굵게 하는 것 등을 들 수 있지만, 각각 이하의 단점이 있다. 코일선 길이를 단축하는 경우에는 권취수가 적어져 기자력이 저하되고, 동등한 기자력을 얻기 위해서는 전원 용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방책이 필요해진다. 코일선 직경을 굵게 하는 경우에는 코일(101)의 대형화에 의해, 코일(101)을 내장하는 본체(103)가 대형화된다. 즉 브레이크의 대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흡인 시에 부세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이며 흡인력의 잉여분(부세력과 흡인력의 차)을 이용하여 정음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코일(101) 흡인력의 최댓값은 자극 면적(브레이크의 흡인면의 면적), 기자력(코일 권취수, 전류값)으로부터 정해지기 때문에 코일 흡인력과 코일 체적은 비례 관계에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흡인 시에 부세력을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소형화의 여지를 남기지 않고 정숙화를 실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의 기기 배치는, 승강로에 권상기, 카, 제어반 등을 한정된 스페이스에 저장하기 때문에, 각 기기는 소형이면서 고정숙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소형이며 정음 성능(특히 석방 동작음의 저감)이 우수한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브레이크는,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에 구비된 피제동체에 대하여 맞닿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를 구비한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상기 피제동체에 부세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스프링 및 상기 제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동자를 흡인하는 전자 코일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권상기용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피제동체를 향하는 변위에 수반하여,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피제동체로의 변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부세하는 금속 부세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제동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소형이며 정음 성능(특히 석방 동작음의 저감)이 우수한 브레이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상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제동 시).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비제동 시).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가동자 작용력과 가동자 위치의 관계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자 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접시 스프링부와 제동 스프링의 변위 하중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a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상면도.
도 9b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의 기기 배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사시도이다. 카(9)는 권상기(10)의 로프차(14)에 권취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로프(13)를 통해 승강 동작한다. 로프차(1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와 직결되어 있어,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 브레이크 드럼인 피제동체(15)는 로프차(14)와 직결되어 있고, 피제동체(15)를 브레이크 장치(26)로 제동함으로써, 카(9)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참조 부호 12는 평형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승강로의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기계실레스 엘리베이터의 기기 배치는, 승강로에 권상기(10), 카(9), 제어반(11) 등을 한정된 스페이스에 저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엘리베이터용 브레이크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26)는 코일(1) 및 제동 스프링(2)을 내장한 본체(3)의 주연에, 금속 부세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도 4a, 도 4b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 3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4a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26)가 권상기(10)를 제동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동 상태에서는, 제동 시에는 제동 스프링(2)의 압압력이 가동자(5)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7)을 피제동체(15)에 압박함으로써 로프차(14)를 제동하고 있다.
도 4b는 비제동 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비제동 시에는, 코일(1)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본체(3)를 자화한다. 본체(3)가 자화됨으로써 가동자(5)는 본체(3)측에 흡인되고 브레이크 라이닝(7)은 피제동체(15)로부터 이격되어, 압압력이 해제된다.
상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동 동작은 제동 스프링(2)에 의해 기계적으로 실행되고, 제동력의 해제는 전기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정전 등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끊어진 경우에는 카(9)가 정지하는, 페일 세이프 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도 5a,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26)를 도시하는 도 3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실시예 1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26)의 기본 구성은 종래의 무여자 작동형 브레이크 장치와 마찬가지이지만, 석방 시에 가동자(5)의 변위에 비례하여 작용력이 증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체는 소형이며 탄성 계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접시 스프링 등이 적합하다. 가동자(5)와 본체(3)에 동축 상에 삽입 관통 구멍(16)을 갖고, 본체(3)에는 삽입 관통 구멍(16)과 동심원 형상의 구멍(1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구멍 내에는 가동자(5)측에 헤드부를 배치한 볼트가 삽입되고, 본체(3)의 상면으로 돌출된 볼트(19)의 삽입 측단부에는 와셔를 개재하여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구멍(17)의 구멍 직경은 접시 스프링부(18)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한다. 도 5a는 비제동 시의 브레이크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때 접시 스프링부(18)의 압축량은 제로 또는 매우 작은 상태로 한다.
도 5b는 제동 시의 브레이크의 상태를 도시하고, 가동자(5)의 변위분만큼 접시 스프링부(18)가 압축되어 하중이 발생하고 있다. 이 하중에 의해 가동자(5)의 동작 속도를 저감하여 동작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의 전자력과 가동자(5)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가 종래의 브레이크, 도 6의 (b)가 본 실시예의 가동자(5) 작용력의 변위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Fm은 흡인 시의 전자력 특성, Fm'는 석방 시의 전자력 특성을 나타낸다. 종래 브레이크에서는, 가동자(5)와 본체(3)가 밀착하거나, 혹은 개리할 때에 제동 스프링(2)의 부세력 Fs와 전자력 Fm의 차가 크게 벌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자(5)와 본체(3)가 밀착 상태로부터 개리할 때에 가동자(5)의 동작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접시 스프링부(18)의 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종래 브레이크와 비교하여 가동자(5)에 작용하는 힘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작용에 의해 흡인 시의 전자력 Fm과 부세력의 차가 작아져, 전자력의 상한값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고, 충분한 정음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26)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접시 스프링부(18)와 제동 스프링(2)을 직렬로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도면의 기재는 생략하지만, 도 3에 있어서의 제동 스프링(2)의 위치에 금속 부세 기구(4)도 구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동 스프링(2)이 미리 압축되도록, 본체(3)에는 동축 상에 삽입 관통 구멍(22)과 동심원의 구멍(23)을 구비한다. 구멍(23)의 구멍 직경은 삽입 관통 구멍(22)보다도 작고, 이 직경의 차에 의해 경계 부분에는 견부(24)가 형성된다. 이들 구멍 내에는 가동자(5)측에 헤드부를 배치한 볼트(19)가 삽입되고, 본체(3)의 상면으로 돌출된 볼트(19)의 삽입 측단부에는 와셔(20)를 개재하여 조정용과 풀림 방지의 너트(2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제동 스프링(2)은 삽입 관통 구멍(22) 내를 이동 가능하지만, 구멍(23)에는 진입할 수 없고, 견부(24)에 걸림으로써 미리 압축할 수 있다. 여기서, 접시 스프링(18)은 가동자(5)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가동자(5)의 변위가 증대된 경우, 제동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이면 접시 스프링부(18)이 과압축으로 된 경우, 직렬로 배치된 제동 스프링(2)이 휨으로써 제동력이 일정값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터 기능을 구비한다.
도 8은 제동 스프링(2)과 접시 스프링부(18)의 하중 변위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종축은 제동 스프링(2)과 접시 스프링부(18)의 발생하는 하중, 횡축은 가동자(5)와 본체(3)의 공극 거리 즉 가동자(5)의 스트로크를 나타내고 있다. 횡축의 우측 단부가 제동 상태, 좌측 단부가 비제동 상태(흡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이 제동 스프링(2)의 하중 변위 특성을, 파선이 접시 스프링부의 하중 변위 특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흡인 시에 제동 스프링(2)은 압축 상태에 있어 하중은 가동자(5)를 피제동체(15)를 향하여 부세하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한편 접시 스프링부(18)의 하부는, 스프링 와셔(25a)와 접촉하고 있고, 스프링 와셔(25a)는 견부(24)에 위치가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 스프링(2)의 힘은 접시 스프링부(18)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시 스프링부(18)에는 가동자(5)의 변위에 의한 압축량에 비례한 하중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변위 A에 도달하면, 접시 스프링부의 반력과 제동 스프링(2)의 스프링력이 균형을 이룬다. 이 상태에서는, 접시 스프링부(18), 제동 스프링(2)의 힘이 상쇄되어, 외관상, 접시 스프링부(18)의 작용력이 제로로 된다. 따라서, 이 평형점을 초과한 위치로부터는 접시 스프링부(18)는 압축되지 않고, 제동 스프링(2)만 압축되어, 스프링 와셔(25a)와 견부(24) 사이에 갭이 형성되게 되어, 브레이크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과압축 상태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즉, 제동력의 저하는 억제된다. 이에 의해 설령 라이닝(7)이 마모되어 가동자(5)의 변위가 커졌다고 해도, 브레이크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없이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정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 또는 본 실시예 2에 의하면, 석방 시의 가동자(5)의 동작 방향에 대향하는 힘을 작용하는 탄성체의 작용력에 의해 가동자(5)의 동작 속도를 저감함으로써, 동작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 또는 본 실시예 2와 같이 금속 부세 기구(4)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18)을 구비하고, 복수의 접시 스프링(18)은 볼록면과 볼록면 및 오목면과 오목면을 마주보게 하여 복수 적층한 것이면,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작은 단위 체적당의 크기로 보다 큰 탄성 계수를 얻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장수명이며 안정된 탄성 계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 또는 본 실시예 2와 같이 금속 부세 기구(4)는 본체(3), 가동자(5) 및 접시 스프링(18)을 삽입 관통하는 볼트(19)와, 볼트(19)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21)를 포함하는 구조이면, 간이한 구조로 비교적 소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 브레이크 장치(26)에 내장하는 설계를 행하기 쉬워,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 2와 같이 금속 부세 기구(4), 특히 접시 스프링부(18)와 제동 스프링(2)을 직렬로 배치하여, 비제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동 스프링(2)의 압축력은 접시 스프링부(18)에 작용하지 않고, 제동 상태에서 제동 스프링(2)과 접시 스프링부(18)이 발생하는 힘이 서로 작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브레이크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접시 스프링부(18)의 과압축 상태를 발생시키지 않는 리미터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제동력의 저하는 억제된다. 이에 의해 설령 라이닝(7)이 마모되어 가동자(5)의 변위가 커졌다고 해도, 브레이크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없이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정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스프링(2)의 탄성 계수를, 접시 스프링부(18)의 부세력의 단위 변위당의 변화율보다 크게 함으로써, 브레이크의 동작에 지장을 초래하는 과압축 상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제동력의 저하는 억제된다. 이에 의해 설령 라이닝(7)이 마모되어 가동자(5)의 변위가 커졌다고 해도, 브레이크의 기능을 상실하는 일없이 장기에 걸쳐 안정된 정음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 또는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접시 스프링부(18) 및 그것을 갖는 금속 부세 기구를 본체(3)의 내부에 구비한 구성을 설명하였지만, 접시 스프링부(18) 등을 본체(3)의 외부에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실현 가능하다. 단, 접시 스프링부(18) 등의 금속 부세 기구를 본체 내부에 갖는 구성으로 하면, 전자 브레이크 장치(26) 전체의 소형화에 보다 한층 더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코일
2 : 제동 스프링
3 : 본체
4 : 금속 부세 기구
5 : 가동자
6 : 브레이크 라이닝 고정부
7 : 브레이크 라이닝
8 : 브레이크 슈
9 : 카
10 : 권상기
11 : 제어반
12 : 평형추
13 : 로프
14 : 로프차
15 : 브레이크 드럼
16 : 삽입 관통 구멍
17 : 구멍
18 : 접시 스프링부
19 : 볼트
20 : 와셔
21 : 너트
22 : 삽입 관통 구멍
23 : 구멍
24 : 견부
25a, b : 스프링 와셔
26 : 전자 브레이크 장치

Claims (6)

  1.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에 구비된 피제동체에 대하여 맞닿아 제동하는 브레이크 슈를 구비한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상기 피제동체에 부세하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동 스프링 및 상기 제동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기 가동자를 흡인하는 전자 코일을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피제동체를 향하는 변위에 수반하여,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피제동체로의 변위에 비례하여 증가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부세하는 금속 부세 기구를 갖고,
    상기 금속 부세 기구와 상기 제동 스프링은 직렬로 배치되어, 비제동 상태에서는 상기 제동 스프링의 압축력은 상기 금속 부세 기구에 작용하지 않고, 제동 상태에서 상기 제동 스프링과 상기 금속 부세 기구가 발생하는 힘이 서로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세 기구는 복수의 접시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시 스프링은 볼록면과 볼록면 및 오목면과 오목면을 마주보게 하여 복수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세 기구는 상기 본체, 상기 가동자 및 상기 접시 스프링을 삽입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螺合)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 계수가, 상기 금속 부세 기구의 부세력의 단위 변위당의 변화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세 기구를 상기 본체 내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브레이크 장치.
KR1020177018258A 2015-02-03 2016-01-15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 KR101953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18938 2015-02-03
JPJP-P-2015-018938 2015-02-03
PCT/JP2016/051064 WO2016125558A1 (ja) 2015-02-03 2016-01-15 エレベータの電磁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876A KR20170093876A (ko) 2017-08-16
KR101953048B1 true KR101953048B1 (ko) 2019-02-27

Family

ID=5656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258A KR101953048B1 (ko) 2015-02-03 2016-01-15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55009B1 (ko)
JP (1) JP6345812B2 (ko)
KR (1) KR101953048B1 (ko)
CN (1) CN107108175B (ko)
WO (1) WO20161255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9884B2 (ja) * 2015-10-19 2019-06-12 株式会社免制震ディバイス ばね機構、及びばね機構を備えた振動抑制装置
WO2019155508A1 (ja) * 2018-02-06 2019-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CN109667847B (zh) * 2019-02-18 2023-09-22 安徽创新电磁离合器有限公司 一种低噪音电磁制动器
WO2021191945A1 (ja) * 2020-03-23 2021-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磁ブレーキ装置
JP7024898B1 (ja) * 2021-02-10 2022-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ブレーキ開放装置
CN115196462B (zh) * 2022-08-02 2024-01-19 苏州富士精工电梯有限公司 一种可进行限位的电梯轿厢及其限位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970A (ja) *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7862B2 (ja) * 1995-10-03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N201415925Y (zh) * 2009-06-03 2010-03-03 苏州通润驱动设备股份有限公司 盘式制动器的减磨降噪装置
CN202418353U (zh) * 2011-06-28 2012-09-05 陈德才 新型低噪音制动器
JP2013018646A (ja) * 2011-07-14 2013-01-31 Hitachi Ltd エレベータ巻上機用制動装置
JP5435755B2 (ja) * 2012-06-20 2014-03-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3970A (ja) * 2013-05-16 2014-1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3876A (ko) 2017-08-16
CN107108175B (zh) 2019-01-01
EP3255009A4 (en) 2018-10-03
WO2016125558A1 (ja) 2016-08-11
JP6345812B2 (ja) 2018-06-20
EP3255009A1 (en) 2017-12-13
JPWO2016125558A1 (ja) 2017-07-20
EP3255009B1 (en) 2020-03-11
CN107108175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048B1 (ko) 엘리베이터의 전자 브레이크 장치
KR102389086B1 (ko) 제동 부재 작동 기구
US108946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tuating an elevator safety brake
CN108290711A (zh) 电子安全致动器
JP4690689B2 (ja) エレベータ用制動装置
JPWO2004085303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01482480B1 (ko) 엘리베이터용 전자 브레이크 장치
US11053097B2 (en) Magnet assembly for an electronic safety brake actuator (ESBA)
JP2017030940A (ja) 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JP560375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28633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これに備えられる非常止め装置
CN111164038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
JP6570751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WO2014185137A1 (ja) 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JP2015089840A (ja)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装置
EP2868611B1 (en) A brake assembly for an elevator
CN215160076U (zh) 一种电梯预缓冲结构
JP7319458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
JP6293069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14240320A (ja) エレベータ用電磁ブレーキ装置
CN108083050A (zh) 一种防爆限速器
JP5465112B2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装置
JP43976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6033144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
FI124894B (fi) Koneistojarru, koneisto kuljetuslaitteiston liikuttamiseksi sekä hissijärjestelm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