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969B1 -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969B1
KR101952969B1 KR1020130020371A KR20130020371A KR101952969B1 KR 101952969 B1 KR101952969 B1 KR 101952969B1 KR 1020130020371 A KR1020130020371 A KR 1020130020371A KR 20130020371 A KR20130020371 A KR 20130020371A KR 101952969 B1 KR101952969 B1 KR 10195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core
adhesive layer
film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034A (ko
Inventor
가즈히로 가시와기
노부오 하마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8Arrangements for positively securing end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50Methods of making reels, bobbins, cop tubes, or the like by working an unspecified material, or sever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4Winding
    • B65H2301/41419Starting winding process
    • B65H2301/41427Starting winding process involving arrangements for securing leading edge to core, e.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권심(23)의 외주면에 띠형상의 접합테이프(31)를 접착한다. 접합테이프(31)는, 지지체(31a)와 권심측 점착층(31b)과 필름측 점착층(31c)을 가진다. 지지체(31a)는 띠형상이다. 권심측 점착층(31b)은 지지체(31a)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필름측 점착층(31c)은 지지체(31a)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다. 필름선단(15a)으로부터 필름측 점착층(31c)의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나머지 필름측 점착층(31c)의 부분에 필름선단부(15b)를 점착시켜, 필름선단부(15b)를 권심(23)에 고정한다. 지지체(31a) 및 각 점착층(31b, 31c)이 완충재로서 작용한다. 필름선단(15a)과 중첩되는 다음의 폴리머 필름(15)이 느슨하게 만곡된 상태가 되어, 절단면 사영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WEB RO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SHEET}
본 발명은,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필름은, 뛰어난 광투과성이나 유연성을 가지며, 경량박막화가 가능하다는 등의 장점으로부터 광학 필름 등으로서 다방면에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등을 이용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필름은, 광학 필름에 이용되고 있다. 광학 필름으로서는, 사진감광용 필름을 비롯하여, 최근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부재인 편광판의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이 있다.
폴리머 필름은, 용융 제막 방법이나 용액 제막 방법 등에 의하여 띠형상으로 연속하여 제조된다. 이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면 원통형상의 권심에 롤형상으로 권취되어, 필름롤로서 보관되어, 수송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심(2)에 폴리머 필름(3)을 감을 때에는, 권심(2)으로부터 필름(3)의 선단(3a)이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접합테이프(4) 등에 의하여 필름(3)의 선단(3a)을 권심(2)에 고정한다. 접합테이프(4)는, 지지체(4a)의 양면에 점착층(4b, 4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점착층(4b)을 통하여 권심(2)의 외주면(2a)과 접합테이프(4)가 접합된다. 또, 점착층(4c)을 통하여 필름선단부가 권심(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장척의 폴리머 필름(3)을 권심(2)에 롤형태로 권취하면, 필름(3)의 선단(절단면)(3a)과 중첩되는 위치에, 이른바 절단면 사영으로 불리는 단차(5)가 2권취째 이후의 필름면에 나타난다. 이 단차(5)는, 장척의 폴리머 필름(3) 등의 웨브의 종류나 권취조건에도 영향을 받지만, 권취개시 개소로부터 100권취째 이상의 곳까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단차(5)로 이루어지는 절단면 사영은, 평활한 평면성이 요구되는 웨브, 예를 들면 광학 필름에 대해서는 고장으로 되어, 큰 로스를 발생시킨다.
이로 인하여, 절단면 사영을 저감시킬 방법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44035호에서는, 웨브 폭방향의 양측연부에 두께줄임 가공되는 널링의 두께를, 권심측으로부터 외주측에 걸쳐 점감시켜 권취하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58935호에서는, 원통형상 권심의 양단 외주부에, 권회되는 필름두께의 1~10배의 높이의 볼록형상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63876호에서는, 상기 볼록형상단부 대신에, 접합테이프를 원통형상 권심의 양단 외주부에 접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의 웨브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가해지는 면압이 낮아지도록, 권심의 양단 외주부에, 볼록형상 단차나 접합테이프를 설치하거나, 웨브의 양측연부에 널링을 형성하거나 함으로써, 절단면 사영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244035호와 같이, 널링의 돌출량을 점감시키는 것이 곤란한 것 외에, 널링 장치가 복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9-58935호와 같이, 양단 외주면에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차부에 웨브 양측연부를 위치맞춤 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63876호에서는, 권심의 양단부에 접합테이프를 붙일 필요가 있는 것 외에, 웨브 양측연부를 위치맞춤 할 필요도 있어, 감기에 숙련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절단면 사영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웨브롤은, 띠형상의 웨브가 권심에 감겨져, 권심과, 웨브와, 접합 부재와, 지지체와, 권심측 점착층과, 웨브측 점착층을 구비한다. 권심은, 웨브가 감겨진다. 웨브는, 권심의 외주면에 감겨져 있다. 접합 부재는, 권심의 외주면에 웨브의 선단부를 고정한다. 지지체는, 접합 부재에 구비된다. 권심측 점착층은, 접합 부재에 구비되고, 권심에 점착된다. 권심측 점착층은,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다. 웨브측 점착층은, 접합 부재에 구비되고, 웨브의 선단부와 점착함으로써 웨브의 선단부를 권심에 고정한다. 웨브측 점착층은,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다. 웨브측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한 상태로, 웨브의 선단부는 웨브측 점착층으로 씌워진다.
여백부에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는, 웨브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웨브의 권심으로의 권취에 의하여 웨브의 두께 이하로 변형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웨브의 선단은 웨브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1)가 -30°<θ1<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절단되어 있으며, 접합 부재는 웨브의 선단과 평행으로 권심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는 광학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은 시트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광학 시트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웨브롤 제조 방법은, 접착 단계(A단계)와, 세트 단계(B단계)와, 고정 단계(C단계)와, 권취 단계(D단계)를 구비하고, 띠형상의 웨브를 권심에 권취하여 웨브롤을 제조한다. A단계는, 접합 부재를 권심에 접착한다. 접합 부재는, 지지체와, 제1 점착층과, 제2 점착층을 구비한다. 지지체는 띠형상이다. 제1 점착층은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권심에 점착한다. 제2 점착층은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다. B단계는, 접합 부재가 접착된 권심을, 웨브권취위치에 세트한다. C단계는, 접합 부재를 통하여 웨브의 선단부를 권심에 고정한다. 웨브의 선단부로 제2 점착층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2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한다. D단계는, 권심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심에 웨브를 권취한다.
여백부에 탄성변형되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는, 웨브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웨브의 권심으로의 권취에 의하여 웨브의 두께 이하로 변형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웨브의 선단을 웨브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1)가 -30°<θ1<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절단하고, A단계는 접합 부재를 웨브의 선단과 평행으로 권심의 외주면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은, 접착 단계(E단계)와, 세트 단계(F단계)와, 고정 단계(G단계)와, 권취 단계(H단계)와, 인출 단계(I단계)와, 절단 단계(J단계)를 구비한다. E단계는, 접합 부재를 권심에 접착한다. 접합 부재는, 지지체와 제1 점착층과 제2 점착층을 구비한다. 지지체는 띠형상이다. 제1 점착층은,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권심에 점착한다. 제2 점착층은,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된다. F단계는, 접합 부재가 접착된 권심을 권취위치에 세트한다. G단계는, 접합 부재를 통하여 광학 필름의 선단부를 권심에 고정한다. 선단부로 제2 점착층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2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한다. H단계는, 권심을 회전시킴으로써 권심에 광학 필름을 권취한다. I단계는, 감겨져 있는 광학 필름을 권심으로부터 인출한다. J단계는, 권심으로부터 인출한 광학 필름을 시트형상으로 절단하여 광학 시트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 부재의 각 점착층이 탄성 부재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웨브선단에 다음의 웨브가 감겨지는 경우에, 접합 부재가 완충재로서 작용하고, 다음의 웨브가 웨브선단에 닿아 절단면 사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목적, 이점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필름롤 제조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권심으로의 필름 선단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필름선단부에 필름이 2회 감겨진 상태의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상당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접합테이프를 이용한 도 2의 III-III선 상당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필름선단부에 필름이 2회 감겨진 상태의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 상당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권심으로의 필름 선단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접합테이프에 의한 필름 선단의 권심으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필름롤(웨브롤) 제조설비(10)는, 필름제조라인(11), 널링 장치(12), 권취 장치(13)를 가진다. 필름제조라인(11)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연장치, 텐터, 건조장치를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가진다. 필름제조라인(11)은, 예를 들면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해, 띠형상의 폴리머 필름(15), 예를 들면 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을 제조한다.
널링 장치(12)는, 필름제조라인(11)과 권취 장치(1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널링 장치(12)는, 지지롤러(16)와, 널링롤러(17)와, 시프트부(18, 19)를 가진다. 널링 부여 시에는, 시프트부(18, 19)에 의하여 지지롤러(16) 및 널링롤러(17)가 닙위치로 이동하고, 폴리머 필름(15)의 양측연부(에지부)에, 엠보스 가공에 의하여 널링(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다.
권취 장치(13)는, 터릿암(21)을 가지고, 권취축(22)에 세트된 권심(23)에 폴리머 필름(15)을 권취한다. 터릿암(21)은 암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180도 간헐 회전하고, 권심(23)을 권취위치(PS1)와, 권심교환위치(PS2)로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터릿암(21)의 회전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가이드암(25)이 설치되어 있으며, 가이드암(25)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6)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6)는, 터릿암(21)이 회전하고 있을 때, 폴리머 필름(15)이 터릿암(21)이나 암장착축(27)에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폴리머 필름(15)을 지지한다.
권취축(22)은 터릿암(21)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권취축(22)에는 권심(23)이 세트된다. 권취위치(PS1)에서는, 가이드 롤러(28)로부터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5)을 권심(23)에 권취한다. 또, 권심교환위치(PS2)에서는, 일정 길이의 폴리머 필름(15)을 권취하여, 일정량의 예를 들면 전부 권취된 필름롤(29)을 권심(23)과 함께 권취축(22)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권심교환위치(PS2)에서는, 이 권취축(22)에 새로운 빈 권심(23)이 세트되어, 권심(23)의 교환이 행해진다.
권취위치(PS1)에서, 소정의 길이의 폴리머 필름(15)이 권심(23)에 권취되어, 필름롤(29)이 전부 권취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터릿암(21)이 180도 회전하여, 권심교환위치(PS2)에 전부 권취에 가까운 필름롤(29)을 위치시킨다. 또, 권취위치(PS1)에는 빈 새로운 권심(23)이 위치결정된다. 필름롤(29)이 소정의 길이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필름절단장치가 작동하여, 폴리머 필름(15)이 절단된다. 필름절단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89177호나,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230723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웨브권취교체장치 등이 이용된다. 절단된 선행 필름의 후단부는 권심교환위치(PS2)에서 필름롤(29)에 권취된다. 또, 절단된 후행 필름의 선단부는 권취위치(PS1)에서 빈 권심(23)에 권취된다.
이하, 동일하게, 권심(23)에 폴리머 필름(15)이 권취됨으로써, 연속하여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5)이 필름롤(29)로서, 제품이 된다. 폴리머 필름(15)으로서는, 편광판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이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필름롤(29)은, 폴리머 필름(15)이 권심(23)으로부터 인출되어 필요한 사이즈로 절단되고, 시트형상의 편광판보호 필름(편광판보호시트)이나 위상차 필름(위상차시트)으로서 이용된다. 또, 폴리머 필름(15)에 광학적이방성층, 반사방지층, 방현기능층 등이 부여되어, 고기능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빈 권심(23)에는 띠형상의 접합테이프(접합 부재)(31)가 접착된다. 접합테이프(31)는, 폴리머 필름(15)의 선단부(이하, 필름선단부라고 칭한다)(15b)를 권심(23)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접합테이프(31)는, 권심(23)의 외주면(23a)에, 권심측 점착층(제1 점착층)(31b)(도 3 참조)에 의하여 접착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테이프(31)는, 띠형상의 지지체(31a)와, 권심측 점착층(31b)과, 필름측 점착층(제2 점착층)(31c)을 구비한다. 지지체(31a)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이다. 권심측 점착층(31b)은 지지체(31a)의 일방의 면(이면)에 형성되고, 필름측 점착층(31c)은 지지체(31a)의 타방의 면(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1a)의 두께는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5㎛ 이하의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이다. 권심측 점착층(31b)은 권심(23)이나 폴리머 필름(15)에 점착되는 것이면 되고, 지지체(31a)의 이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권심측 점착층(31b)의 두께는 10㎛ 이상 50㎛ 이하의 범위 내이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40㎛ 이하의 범위 내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측 점착층(31c)은, 지지체(31a)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권심측 점착층(31b)과 동일한 조성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지만, 상이한 조성이나 상이한 두께로 하여도 된다. 필름측 점착층(31c)의 형성면(폴리머 필름(15)의 접착 대상이 되는 표면)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박리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다. 박리 테이프는, 권심측 점착층(31b)에 의하여 권심(23)에 접합테이프(31)를 접착한 후에, 폴리머 필름(15)을 권취하기 전에 벗겨진다. 접합테이프(31)로서는, 예를 들면, 닛토덴코 제의 것(형식:5601, 5603, 5605, 5608, 5610, 5612)이 이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머 필름(15)이 권취되어, 필름선단(15a)에 다음의 폴리머 필름(15)이 중첩되면, 접합테이프(31)의 권심측 점착층(31b), 필름측 점착층(31c)이 완충재로서 작용한다. 폴리머 필름(15)은, 필름선단(15a)이 필름측 점착층(31c)에 여백을 형성하는 양태로 위치맞춤되고, 선단부가 필름측 점착층(31c)의 일부를 덮어 필름측 점착층(31c) 상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필름측 점착층(31c)의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필름측 점착층(31c)에 여백부(32)를 형성한 상태로, 필름선단부(15b)가 필름측 점착층(31c)에 점착되어 권심(23)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내는 종래의 접합테이프에 의한 접합방법에 비해, 필름선단(15a)에 중첩되는 다음의 폴리머 필름이 느슨하게 만곡된 형상이 된다. 이로 인하여, 종래와 같이 극단적인 변형이 없기 때문에, 면 사영이 억제된다.
접합테이프(31)의 접착이나, 필름선단부(15b)의 접합테이프(31)에 의한 점착은, 사용자에 의하여 이루어져도 되고, 또는 필름커터를 가지는 필름접착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사용자에 의한 경우에는, 권취 장치(13)의 바로 앞(상류측 근방)에 필름리저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다. 이 필름리저버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5)의 절단이나 권심(23)으로의 고정에 필요한 시간분의 필름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저장하고 있는 동안에 폴리머 필름(15)의 절단 및 권심(23)으로의 권취를 행한다. 시간분의 필름이란, 그 시간에 보내지는 길이의 필름을 의미이다. 또, 자동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필름접착장치를 이용하여, 폴리머 필름(15)의 절단과 권심(23)으로의 고정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권심(23) 상의 접합테이프(31)를 검출하고, 이 검출 타이밍에 근거하여, 폴리머 필름(15)을 절단하고, 절단한 필름선단(15a)을 여백부(32)가 형성되도록 위치시켜, 필름선단부(15b)를 필름측 점착층(31c)에 접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선단(15a)을 폴리머 필름(15)의 폭방향을 따르도록 형성하고 있다. 즉, 필름선단(15a)과 필름폭방향은 평행이다. 그러나, 후술의 제3 실시형태(도 7 참조)와 같이, 필름선단(15a)을 필름폭방향에 대하여 경사(교차)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테이프(31)의 길이방향이 권심(23)의 통심(筒芯)방향을 따르도록 접합테이프(31)를 배치하고 있다. 권심(23)의 통심방향은 폴리머 필름(15)의 폭방향과 일치한다.
접합테이프(31)의 두께(t1)는, 폴리머 필름(15)의 두께를 t0으로 했을 때, (0.5×t0)≤t1≤(1.5×t0)이 바람직하다. 접합테이프(31)의 두께(t1)가 (0.5×t0) 이상인 것으로써, (0.5×t0) 미만의 경우에 비하여 완충 효과가 보다 확실히 나타난다. 또, 접합테이프(31)의 두께(t1)가 (1.5×t0) 이하인 것으로써, (1.5×t0)을 넘는 경우에 비하여, 절단면 사영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 각 점착층(31b, 31c)의 두께를 t2로 했을 때, (0.4×t1)≤t2≤(0.5×t1)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점착층(31b, 31c)의 두께(t2)가 (0.4×t1) 이상인 것으로써, (0.4×t1) 미만의 경우에 비하여, 완충 효과가 보다 확실히 얻어진다. 각 점착층(31b, 31c)의 두께(t2)가 (0.5×t1)보다 큰 경우에는, (0.5×t1)에 가까워질수록 완충 효과가 커져, 절단면 사영의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폴리머 필름(15)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60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0mm 이상 25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폴리머 필름(15)의 폭이 2500mm보다 큰 경우에도 본 발명은 효과가 있다. 폴리머 필름(15)의 두께는, 3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 15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이상 1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머 필름(15)의 길이는, 2000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m 이상 8000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필름롤(29)의 권취반경은, 45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0mm 이상 92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권심(23)의 통심방향에 있어서의 접합테이프(31)의 길이(L2)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머 필름(15)의 폭(W1)을 기준으로 하여 L2=(W1-0)mm~(W1-10)mm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길이(L2)로 함으로써, 절단면 사영이 대략 필름 전면에 걸쳐서 억제된다.
폴리머 필름(15)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용액 제막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나 환형상 폴리올레핀 등이 이용된다. 용융 제막 방법에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 락톤환 함유 중합체, 환형상 폴리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이용된다. 또한, 셀룰로오스아실레이트의 상세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104148호의 [0140]단락부터[0195]단락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용제 및 가소제, 열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UV제), 광학이방성 컨트롤제, 리타데이션 제어제, 염료, 매트제, 박리제, 박리촉진제 등의 첨가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104148호의[0196]단락부터[0516]단락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5에 있어서는 폴리머 필름(15)의 도시를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권심(23)의 회전방향전측(하류측)의 여백부(32) 상에 완충재(40)를 배치한 접합테이프(41)를 이용하고 있다. 완충재(40)는, 폴리머 필름(15)의 두께보다 높고, 탄성변형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5)의 두께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완충재(40)로서는 탄성변형이 가능하고, 폴리머 필름(15)에 대하여 접촉에 의한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재질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닛토덴코 제(형식:5606, 5608), 테라오카제작소 제(NO. 7075), 테사사 제(NO. 4980)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완충재(40)가 여백부(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여백부(3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권심(23)의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완충재(40)의 상류측 단연(40a)에 필름선단(15a)을 누름으로써, 접합 시의 위치맞춤이 용이해진다. 또, 폴리머 필름(15)의 권취에 의해, 필름선단(15a)에 다음의 폴리머 필름(15)이 중합되어도, 완충재(40)의 탄발력에 의하여 다음의 폴리머 필름(15)이 되밀려진다. 이로 인하여, 종래와 같은 폴리머 필름(15)으로의 극도의 굽힘변형이 없어져, 필름선단(15a)에 다음의 폴리머 필름(15)이 눌려지는 것에 기인하는 절단면 사영의 발생이 억제된다. 완충재(40)는, 띠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단면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원형상, 사다리꼴형상, 그 외의 임의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필름선단(15a)을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에 대하여 경사각도(θ1)를 16°로 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에 맞추어, 접합테이프(31)도 동일한 경사각도(θ1)로 권심(23)에 접착한다. 또한,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은, 필름폭방향을 따르는, 즉 일치하는 선이다.
이와 같이, 경사각도(θ1)는, 필름선단(15a)과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이 이루는 각이다. 경사각도(θ1)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0°이어도 되고, 제3 실시형태와 같이 0°와는 상이한 각도이어도 된다.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에 대한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는, -30°<θ1<3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θ1<20°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θ1<10°의 범위이다. 경사각도(θ1)가 0°에 가까울수록, 필름선단(15a)에 그 이후에 중첩되는 필름면압의 영향에 의한 응력이 작아지고, 이로써 절단면 사영이 보다 억제되기 때문이다.
또,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완충재(40)를 배치한 접합테이프(41)를 이용하는 경우이어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름선단(15a)을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에 대하여 경사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에 대하여 필름선단(15a)과 동일한 경사각도(θ1)를 가지고 접합테이프(41)를 경사시켜 이용한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폴리머 필름(15)을 롤형태로 권취한 필름롤(29)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폴리머 필름(15)에 한정하지 않고, 면 사영이 문제가 되는 다른 각종 웨브에 대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접합테이프(31, 41)를 이용하여 폴리머 필름(15)을 권심(23)에 점착하고 있다. 그러나, 접합테이프(31, 41) 대신에, 접착제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5)을 권심에 접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효과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을 행했다. 본 발명으로서의 실험은 “실시예”이며, 대조로서 행한 실험은 “비교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필름롤 제조설비(10)에 있어서, 길이가 5000m, 폭이 1500mm, 두께가 80㎛인 TAC에 의한 필름롤(29)을 제조했다. 실시예 1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접합테이프(31)를 이용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름선단(15a)을 접착한 것이다. 실시예 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접합테이프(41)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실시예 3은 도 7에 나타내는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를 16°로 하고, 이것에 맞추어 접합테이프(31)를 필름선단(15a)과 평행으로 권심(23)에 접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를 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5는 실시예 3의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5는 실시예 3의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θ1)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했다. 비교예 1은, 도 8에 나타내는 종래 방식에서의 접합테이프(4)를 이용하여 필름선단(15a)을 권심(23)에 장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비교예 2는, 비교예 1의 것에 대하여, 필름선단(15a)의 경사각도를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권취 시의 그 외의 제어조건 등은 이하와 같다. 폴리머 필름(15)에 가하는 장력을 100N/필름폭, 필름주행속도를 60m/min, 권심(23)의 직경을 169mm로 하여, 도 1에 나타내는 필름제조라인(11)으로, 필름롤(29)을 제조했다.
이상의 방법으로, 권취되어 형성한 필름롤(29)을, 25℃, 65%RH의 환경 하에서 30일간, 보관했다. 다음으로, 30일이 경과한 필름롤(29)을 도시하지 않은 권취기에 세트하여, 다시 감았다. 이 다시 감음에 의한 되감음에 의하여, 필름롤(29)의 권심 근처에 권취되어 있던 필름선단부를 관찰 가능하게 했다. 다음으로, 이 필름선단부에 대하여, 절단면 사영이 소실되는 길이를 구하는 평가시험을 행했다. 평가시험에서는, 흑색천이 덮인 테이블 상에, 필름선단부를 정치했다. 다음으로, 형광등의 빛을 위로부터 필름면에 조사했다. 그 반사광으로 절단면 사영이 있는지 없는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그리고, 권심 부근의 절단면 사영이 소실되는 길이를 구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전체 8개의 필름롤(29)을 제조했는데, 비교예 1, 2의 것에 대하여, 실시예 1~6에서는, 하기의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절단면 사영이 확인되고, 그 절단면 사영에 대하여 실용상 문제가 있는 권심부로부터의 길이(L3)가 1/10~1/2 이하로 저감되어, 절단면 사영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절단면 사영에 대하여 실용상 문제가 있는 레벨은 한도 견본(양품 또는 불량품이 되는 품질의 한도를 나타낸 견본)을 기준으로 했다. 또, 필름 선단의 절단선을 필름폭방향 기준선(BL1)에 대하여 16°의 경사각도(θ1)로 경사시킨 실시예 3에서는, 그 외의 조건이 동일한 실시예 1의 평가 결과가 10m에 대하여 40m로 길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각도(θ1)를 20°, 25°, 30°로 올린 실시예 4~6에서는, 경사각도(θ1)가 늘어날 수록 길이(L3)가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고, 경사각도(θ1)는 0°에 가까울 수록,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접합테이프 완충재의 유무 경사각도
(θ1)(°)
실시형태 길이
(L3)(m)
평가
실시예 1 도 3 0 도 4 8 A
실시예 2 도 5 0 도 6 20 B
실시예 3 도 3 16 도 4, 도 7 30 B
실시예 4 도 3 20 도 4, 도 7 35 B
실시예 5 도 3 25 도 4, 도 7 40 C
실시예 6 도 3 30 도 4, 도 7 50 C
비교예 1 도 8(종래예) 0 도 8 100 D
비교예 2 도 8(종래예) 30 도 8 120 D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평가의 “A” 권심부로부터의 절단면 사영이 확인되는 필름 길이(L3)가 10m 미만이며, 절단면 사영의 평가결과로서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B” 마찬가지로 길이(L3)가 10m 이상 40m 미만이며, 절단면 사영이 약간 약하게 발생하지만 평가 결과로서 대략 양호한 결과인 것을 의미한다. “C” 마찬가지로 길이(L3)가 40m 이상 60m 미만이며, 절단면 사영이 발생하지만 실용상 문제 없는 레벨인 것을 의미한다. A, B, C는 합격 레벨이다. “D” 마찬가지로 길이(L3)가 60m 이상이며, 제품 로스가 커 불합격 레벨인 것을 의미한다.

Claims (13)

  1. 띠형상의 웨브가 감겨진 웨브롤에 있어서,
    상기 웨브가 감겨지는 권심;
    상기 권심의 외주면에 감겨진 웨브;
    상기 외주면에 상기 웨브의 선단부를 고정하는 접합 부재;
    상기 접합 부재에 구비되는 지지체;
    상기 접합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권심에 점착하는 권심측 점착층; 및,
    상기 접합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선단부와 점착함으로써 상기 선단부를 상기 권심에 고정하는 웨브측 점착층;
    을 구비하고,
    상기 권심측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며,
    상기 웨브측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웨브측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선단부는 상기 웨브측 점착층으로 씌워지고,
    상기 여백부에 완충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웨브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웨브의 상기 권심으로의 권취에 의하여 상기 웨브의 두께 이하로 변형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선단은 웨브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1)가 -30°<θ1<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접합 부재는 상기 웨브의 상기 선단과 평행으로 상기 권심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광학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광학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시트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광학 시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시트형상으로 절단됨으로써 광학 시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9. 띠형상의 웨브를 권심에 권취하여 웨브롤을 제조하는 웨브롤 제조 방법으로서,
    (A) 접합 부재를 권심에 접착하는 단계,
    (B) 상기 접합 부재가 접착된 상기 권심을 권취위치에 세트하는 단계;
    (C) 상기 접합 부재를 통하여 상기 웨브의 선단부를 상기 권심에 고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권심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권심에 상기 웨브를 권취하는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 부재는 지지체와 제1 점착층과 제2 점착층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는 띠형상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심에 점착하며,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로 상기 제2 점착층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2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하고,
    상기 여백부에 탄성변형되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제조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는, 상기 웨브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웨브의 상기 권심으로의 권취에 의하여 상기 웨브의 두께 이하로 변형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제조 방법.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선단을 웨브폭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1)가 -30°<θ1<3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절단하고, 상기 A단계는 상기 접합 부재를 상기 웨브의 상기 선단과 평행으로 상기 권심의 외주면으로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브롤 제조 방법.
  13.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E) 접합 부재를 권심에 접착하는 단계,
    (F) 상기 접합 부재가 접착된 상기 권심을 권취위치에 세트하는 단계;
    (G) 상기 접합 부재를 통하여 광학 필름의 선단부를 상기 권심에 고정하는 단계,
    (H) 상기 권심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권심에 상기 광학 필름을 권취하는 단계;
    (I) 감겨져 있는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권심로부터 인출하는 단계; 및,
    (J) 상기 권심로부터 인출한 상기 광학 필름을 시트형상로 절단하여 광학 시트로 하는 단계;
    를 구비하고,
    상기 접합 부재는 지지체와 제1 점착층과 제2 점착층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는 띠형상이고,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심에 점착하며,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지지체의 타방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로 상기 제2 점착층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2 점착층에 노출된 여백부를 형성하고,
    상기 여백부에 탄성변형되는 완충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30020371A 2012-03-26 2013-02-26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952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9233A JP5558510B2 (ja) 2012-03-26 2012-03-26 ウェブロール、光学フィルム及びウェブロール製造方法
JPJP-P-2012-069233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34A KR20130109034A (ko) 2013-10-07
KR101952969B1 true KR101952969B1 (ko) 2019-02-27

Family

ID=4951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371A KR101952969B1 (ko) 2012-03-26 2013-02-26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58510B2 (ko)
KR (1) KR101952969B1 (ko)
TW (1) TWI5949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62141U (zh) * 2014-10-10 2015-02-18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膜连接装置
JP5874094B1 (ja) * 2015-07-07 2016-03-02 株式会社美方 巻芯及びウェブ材の巻き取り方法。
JP6865048B2 (ja) * 2017-01-30 2021-04-28 株式会社トッパンTomoegawaオプティカルフィルム クッションテープ
JP7198129B2 (ja) * 2019-03-22 2022-12-28 日本電産モビリティ株式会社 コイル部品、電子装置
CN113067060A (zh) * 2021-03-17 2021-07-02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及用电设备
JP7253093B1 (ja) 2022-06-01 2023-04-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巻取りロー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28B1 (ko) * 2010-08-05 2011-05-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롤 원재료, 및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675Y2 (ja) * 1981-06-11 1985-10-16 株式会社片岡機械製作所 タ−レツト式巻取機の巻取準備装置
JPH0718688Y2 (ja) * 1986-08-28 1995-05-01 株式会社昭和丸筒 シ−ト材用巻芯
JPH05124756A (ja) * 1991-09-25 1993-05-21 Toshin:Kk タ−レツト巻取機におけるシ−ト端自動処理装置
JP2011032068A (ja) * 2009-08-04 2011-02-17 Canon Inc ロール状記録媒体
JP2011207592A (ja) * 2010-03-30 2011-10-20 Dic Corp シートロール
JP2012206818A (ja) * 2011-03-29 2012-10-25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き取りコアおよびフィルム状物ロ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28B1 (ko) * 2010-08-05 2011-05-2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롤 원재료, 및 광학 표시 장치의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8510B2 (ja) 2014-07-23
KR20130109034A (ko) 2013-10-07
TWI594938B (zh) 2017-08-11
JP2013199354A (ja) 2013-10-03
TW201345818A (zh) 201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969B1 (ko)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954458B1 (ko) 웨브롤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JP5058953B2 (ja) 光学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ロール原反
US97447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producing optical panel assemblies
TWI514042B (zh) An optical function film continuous ro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an optical function film bonding apparatus
KR101774620B1 (ko) 광학 기능 필름 연속 롤 및 그것을 사용한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기능 필름 접합 장치
CN102289099B (zh) 光学显示装置的制造方法
TWI434763B (zh) 具有偏光膜之積層體條帶捲體之製造方法
TWI551918B (zh)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manufacturing syste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043384A (ja) 偏光板貼合方法及び装置
WO2014077041A1 (ja) 光学的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30036183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314618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869704B2 (ja) 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方法
KR20100066380A (ko) 광학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장치 제조용 롤 원재료
JP5801027B2 (ja) 光学表示装置製造方法
WO2012029716A1 (ja) 連続ロール、並びに、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WO2018061364A1 (ja) 粘着テープ巻回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