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754B1 -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754B1
KR101951754B1 KR1020180027144A KR20180027144A KR101951754B1 KR 101951754 B1 KR101951754 B1 KR 101951754B1 KR 1020180027144 A KR1020180027144 A KR 1020180027144A KR 20180027144 A KR20180027144 A KR 20180027144A KR 101951754 B1 KR101951754 B1 KR 10195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hi
rice
container
earl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현
Original Assignee
유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충현 filed Critical 유충현
Priority to KR102018002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초밥용 초반을 취반하고 성형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취반용 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초밥용 초반의 형상으로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하측 초반 성형구(1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저면에는 초반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요철부(12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중앙부 양측에는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초반을 용이하게 집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초반 분리홈(130)을 포함하는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측 초반 성형구(210)와, 상기 상측 초반 성형구(210) 일측에 구비되고,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하기 위해 형성된 충진공(220)을 포함하는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진공(220)을 통해 소정의 계량된 초반용 쌀과, 일정 비율의 초대리를 초반 성형구에 투입하여 냉장유통기간은 1 내지 3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며, 신선한 초밥용 초반을 즉석해서 취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구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있어서,원 재료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품종의 쌀을 이용하여 쌀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계량된 쌀에 양에 배합초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쌀에 배합초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충진공(220)을 밀봉하는 단계; 밀봉된 용기를 115℃±10%, 2기압±10%, 10분 ±10%의 조건에서의 열수살균 또는 100 내지 121℃, 1 내지 1.15기압, 20 내지 30분의 조건에서의 레토르트살균 가열을 통해서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하는 단계를 거친 용기를 5 내지 10℃의 분위기 온도조건하에서 30분이내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container for sushi ri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냉장유통기간은 1 내지 3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며, 신선한 초밥용 초반을 즉석해서 취식가능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취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밥은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의 한가지로서 식초에 버무린 밥을 어패류 등에 얹거나 채워서 만드는 일본 요리로 일본말로는 스시(sushi, すし)라 한다. 처음 초밥이 만들어진 곳은 동남아시아로 처음에는 민물고기 보존용으로 시작하여 곡물을 곁들인 것이 시초라고 한다. 2세기에 중국 내륙에 전해졌다가 그 후 7세기에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이루게 된 때는 15세기에서 16세기 사이로 추정된다.
초밥은 고기를 소금에 절여 자연발효시켜 산미가 생기게 한 나레즈시와, 밥에 식초를 넣어 조미한 하야즈시의 두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초밥은 하야즈시만을 말하는데, 하야즈시에는 김초밥(노리마키), 생선초밥(니기리즈시), 유부초밥(이나리즈시) 등이 있다. 김초밥은 다시마 국물로 지은 밥에 식초를 뿌리고 붕장어, 오가리, 표고, 흰살 생선, 시금치 등을 소로 넣어 김에 싼 것이고, 생선초밥은 식초로 조미한 밥을 뭉친 다음 다랑어, 오징어, 붕장어, 새우 등의 생선에 와사비를 묻혀서 얹은 것이며, 유부초밥은 진하게 맛을 낸 유부 속에 초절임 연근, 참깨, 식초, 간 유자 등으로 조미한 밥을 넣어 만든다.
생선초밥은 생선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지닌 음식으로 다양한 생선을 둥글게 만 밥 위에 얹어서 먹게 되는데 밥의 온도는 보통 36∼37℃, 밥 위에 올려지는 생선의 온도는 5∼10℃일 때 가장 맛이 좋다. 또한 초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담백한 재료로부터 기름진 재료 순으로 먹는데 기름진 음식을 먹은 후에는 담백한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새우, 장어, 연어 순으로 먹는 것이 좋다. 간장은 생선부위에 찍어먹어야 제맛이 나고 뭉쳐있는 밥알도 흐트러지지 않는다. 보통 생선 초밥 한 개의 칼로리는 30㎉이며, 10개를 먹으면 밥 한 공기의 칼로리와 같다.
초밥은 남녀노소 모두 즐겨먹는 음식으로, 현재는 어디서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냉동 포장되어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네타"와 "샤리"는 초밥을 구성하는 고유요소로서, "네타"란 초밥의 밥 부분 위에 얹혀있거나 이를 둘러싸는 형태의 어패류 등의 음식 부분을 의미하고, "샤리"는 초밥의 밥 부분을 의미한다.
초밥은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의 한 가지로 식초를 섞어 맛을 낸 밥에 어패류 등을 첨가하여 만든 것으로 일본말로는 스시라고 한다. 고기를 소금에 절여 자연발효시켜 산미가 생기게 한 나레즈시와, 밥에 식초를 넣어 조미한 하야즈지의 두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초밥은 하야즈시만을 말하는데, 하야즈시에는 김초밥(노리마키), 생선초밥(니기리즈시), 유부초밥(이나리즈시) 등이 있다. 김초밥은 다시마 국물로 지은 밥에 식초를 뿌리고 붕장어, 오가리, 표고, 흰살 생선, 시금치등을 소로 넣어 김에 싼 것이고, 생선초밥은 식초로 조미한 밥을 뭉친 다음 다랑어, 오징어, 붕장어, 새우 등의 생선에 와사비를 묻혀서 얹은 것이며, 유부초밥은 진하게 맛을 낸 유부 속에 초절임 연근, 참깨, 식초, 간 유자 등으로 조미한 밥을 넣어 만든다.
초밥의 기본이 되는 밥을 지을 때는 쌀을 2∼3시간 전에 씻어 놓고, 보통 밥물 보다 약간 적은 물에 청주 1 큰 술을 넣어 끓이다가 씻어 놓은 쌀과 함께 소금을 넣어 잘 저은 뒤 끓여서 되직하게 짓게 된다.
상기의 생선초밥은 생선 본래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지닌 음식으로 다양한 생선을 둥글게 만 밥 위에 얹어서 먹게 되는데 밥의 온도는 보통 36∼37℃, 밥 위에 올려지는 생선의 온도는 5∼10℃일 때 가장 맛이 좋다. 또한 초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담백한 재료로부터 기름진 재료 순으로 먹는데 기름진 음식을 먹은 후에는 담백한 맛을 제대로 느낄 수 없기 때문에 새우, 장어, 연어 순으로 먹는 것이 좋다. 간장은 생선부위에 찍어먹어야 제맛이 나고 뭉쳐있는 밥알도 흐트러지지 않는다. 보통 생선 초밥 한 개의 칼로리는 30㎉이며, 10개를 먹으면 밥 한 공기의 칼로리와 같다.
초밥은 남녀노소 모두 즐겨먹는 음식으로 어디서나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냉동 포장되어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생선초밥의 경우는 냉동 제품으로 만들어 해동 시 생선 본래의 신선함을 유지하여 간편하게 요리하여 즐길 수 있는 전자레인지용 냉동 초밥은 판매되지 않고 있으며, 종래 냉동 초밥은 포장지를 개봉한 후 1시간 내지 1시간 30분간 실온의 물에 띄워 해동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생선이 실온에 오래 노출되어 신선감이 떨어지고 초밥 고유의 미감을 느낄 수 없으며 반드시 온도변화가 없는 냉동실에 보관해야 노화가 덜 일어나므로 가정용 냉동실에는 보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3-13547호에는 생오이, 무우절임, 고추냉이, 통깨가 첨가된 초밥과 그 외부를 김치로 감싼 김치초밥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2002-22880호에는 초밥용으로 새송이 버섯을 가공하고 가공된 새송이 버섯을 이용하여 초밥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초밥들은 장기간 보관이 불가능하고 간편하게 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조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장유통기간은 1 내지 3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며, 신선한 초밥용 초반을 즉석해서 취식가능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취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초밥용 초반을 취반하고 성형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취반용 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초밥용 초반의 형상으로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하측 초반 성형구(1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저면에는 초반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요철부(12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중앙부 양측에는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초반을 용이하게 집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초반 분리홈(130)을 포함하는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측 초반 성형구(210)와, 상기 상측 초반 성형구(210) 일측에 구비되고,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하기 위해 형성된 충진공(220)을 포함하는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진공(220)을 통해 소정의 계량된 초반용 쌀과, 일정 비율의 초대리를 초반 성형구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최소 6개월에서 9개월까지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젓가락을 삽입후 상하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통해서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용기 분리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품종의 쌀을 이용하여 쌀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계량된 쌀에 양에 배합초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쌀에 배합초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충진공(220)을 밀봉하는 단계; 밀봉된 용기를 115℃±10%, 2기압±10%, 10분 ±10%의 조건에서의 열수살균 또는 100 내지 121℃, 1 내지 1.15기압, 20 내지 30분의 조건에서의 레토르트살균 가열을 통해서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하는 단계를 거친 용기를 5 내지 10℃의 분위기 온도조건하에서 30분이내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초반용 초반을 취식방법에 있어서,선 택적으로 전자레인지에 투입하여 소정의 정해진 시간동안 조리하는 단계; 상기 밀봉된 충진공(220)의 밀봉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조리가 완료된 용기를 꺼내서,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해체하는 단계; 취반된 초밥용 초반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소스 및/또는 고명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을 취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통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초밥용 초반을 제조 및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측면에서도 구입한 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초밥용 초반을 용이하게 취반 및 취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취반 및 취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의 조립된 상태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와 2를 참조하면, 초밥용 초반을 취반하고 성형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취반용 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초밥용 초반의 형상으로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하측 초반 성형구(1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저면에는 초반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요철부(12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중앙부 양측에는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초반을 용이하게 집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초반 분리홈(130)을 포함하는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측 초반 성형구(210)와, 상기 상측 초반 성형구(210) 일측에 구비되고,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하기 위해 형성된 충진공(220)을 포함하는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 및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은 장방형의 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기 상.하측 초반 성형구(110)가 2열로 배열되어 성형된다.
상기 하측 및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에서의 상기 상.하측 초반 성형구(110)의 배열의 조합은 다양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하측 초반용 용기부(10)는 초반 성형구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상하 대칭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측 초반 성형구(110)의 저면에는 초밥용 초반이 늘러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요철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요철구는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하다. 요철홈이 성형되거나, 가로 세로 홈이 파인 형태이거나, 빨래판의 표면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초반용 쌀은 경질미 또는 연질미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경질미는 수분함량이 13 내지 14퍼센트이나, 연질미는 수분함량이 15 내지 16퍼셍트로써 경질미 보다 조금 높다.
경질미는 우리나라 경기도와 충청남북도에서 나는 쌀, 일본지방에서는 시즈오카를 비롯하여 관서지방에서 나는 쌀이 해당하고, 연질미는 경상남북도와 동해안 지역, 일본에서는 니이가다 지방을 비롯한 관동지방 북부에서 나는 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주쌀, 여주쌀, 호남쌀 등이 있으며, 경기도 이천쌀이 초바밥에 가장 적합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언급된 쌀을 2종 이상을 소정의 정해진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측 성형구 사이에는 취반된 초밥용 초반을 사용자가 젓가락 등과 같이 도구를 이용하여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서 초반이 성형구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는 초반 분리홈(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의 초반 성형구 일측에는 충진공(220)이 구비된다. 이를 통해서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작업을 원활하게 수행이 가능하고, 사용자 등이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한 초반의 취반 이후에는 각종 소스 등을 투입하는 도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젓가락을 삽입후 상하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통해서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용기 분리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취반작업이 마치면, 초밥용 초반을 취식하거나 내용물을 용기로 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용기 분리부(300)에 젓가락 등과 같은 도구를 삽입하여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서 상.하측 초반용 용기부(10)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취반 및 취식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품종의 쌀을 이용하여 쌀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계량된 쌀에 양에 배합초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쌀에 배합초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충진공(220)을 밀봉하는 단계; 밀봉된 용기를 115℃±10%, 2기압±10%, 10분 ±10%의 조건에서의 열수살균 또는 100 내지 121℃, 1 내지 1.15기압, 20 내지 30분의 조건에서의 레토르트살균 가열을 통해서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하는 단계를 거친 용기를 5 내지 10℃의 분위기 온도조건하에서 30분이내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에 구비된 성형구의 부피와 비교해서, 취반 후 초밥용 초반이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하여 초반용 쌀의 양을 계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초반용 쌀의 계량은 하나 이상의 품종의 쌀을 이용하여 쌀 9g ±20% 양을 계량하고, 계량된 쌀에 양에 배합초 9g ±20% 양을 계량한다.
이렇게 계량된 초반용 쌀에 배합초를 상기 충진공(220)을 통해 용기에 충진시켜서 쌀과 혼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초밥용 초반의 풍미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쌀의 양과 배합초의 적합한 비율을 선정해야 한다. 소정의 범위내에서 그 혼합비를 조정하는 것은 당업자의 상식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한편, 충진공(220)을 통해서 용기에 소정의 정해진 쌀과 배합초의 충진작업에 완료되고나면, 충진공(220)을 밀폐시킨 후, 밀봉된 용기를 115℃±10%, 2기압±10%, 10분 ±10%의 조건에서의 열수살균 또는 100 내지 121℃, 1 내지 1.15기압, 20 내지 30분의 조건에서의 레토르트살균 가열을 통해서 취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취반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취반 및 배합초의 배합 및 초반의 성형작업이 상기 용기의 형상을 통해서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용기는 취반과정을 거치기 위해서는 121℃, 1.5기압에서 30분 이상을 견딜수 있는 내열성과 내압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초반용 초반을 취식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전자레인지에 투입하여 소정의 정해진 시간동안 조리하는 단계; 상기 밀봉된 충진공(220)의 밀봉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조리가 완료된 용기를 꺼내서,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해체하는 단계; 취반된 초밥용 초반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소스 및/또는 고명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을 취식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입한 사용자는 상기 초밥용 초반이 장입된 제품을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해서 조리하는 작업을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마친 후,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해체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개인의 기호에 따라서 소스 및/또는 고명 등을 초밥용 초반에 추가하여 취식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한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초밥용 초반을 제조 및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측면에서도 구입한 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초밥용 초반을 용이하게 취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하측 초반용 용기부 20. 상측 초반용 용기부
110. 하측 초반 성형구 120. 요철부
130. 초반 분리홈 210. 상측 초반 성형구
220. 충진공 300. 용기 분리부

Claims (4)

  1. 초밥용 초반을 취반하고 성형하기 위한 용기에 있어서,
    취반용 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초밥용 초반의 형상으로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하측 초반 성형구(1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저면에는 초반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요철부(12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중앙부 양측에는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초반을 용이하게 집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초반 분리홈(130)을 포함하는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측 초반 성형구(210)와,
    상기 상측 초반 성형구(210) 일측에 구비되고,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하기 위해 형성된 충진공(220)을 포함하는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진공(220)을 통해 소정의 계량된 초반용 쌀과, 일정 비율의 초대리를 초반 성형구에 투입하여 취반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취반 및 배합초의 배합 및 초반의 성형작업이 상기 용기의 형상을 통해서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냉장유통기간은 1 내지 3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젓가락을 삽입후 상하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통해서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용기 분리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
  2.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취반용 쌀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초밥용 초반의 형상으로 2개소 이상에 구비되는 하측 초반 성형구(1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저면에는 초반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닥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된 요철부(120)와, 상기 초반 성형구의 중앙부 양측에는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초반을 용이하게 집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초반 분리홈(130)을 포함하는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와; 상기 초반 성형구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측 초반 성형구(210)와, 상기 상측 초반 성형구(210) 일측에 구비되고, 초반용 쌀과 초대리를 충진하기 위해 형성된 충진공(220)을 포함하는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충진공(220)을 통해 소정의 계량된 초반용 쌀과, 일정 비율의 초대리를 초반 성형구에 투입하여 취반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취반 및 배합초의 배합 및 초반의 성형작업이 상기 용기의 형상을 통해서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냉장유통기간은 1 내지 3개월까지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대응되는 위치에 사용자가 젓가락을 삽입후 상하 방향으로 반복 동작을 통해서 상기 상측 초반용 용기부(20)와 하측 초반용 용기부(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용기 분리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이용하여 초밥용 초반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원재료와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품종의 쌀을 이용하여 쌀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계량된 쌀에 양에 배합초 9g ±20% 양을 계량하는 단계;
    상기 계량된 쌀에 배합초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충진공(220)을 밀봉하는 단계;
    밀봉된 용기를 115℃±10%, 2기압, 10분 ±10%의 조건에서의 열수살균 또는 100 내지 121℃, 1 내지 1.15기압, 20 내지 30분의 조건에서의 레토르트살균 가열을 통해서 취반하는 단계;
    상기 취반하는 단계를 거친 용기를 5 내지 10℃의 분위기 온도조건하에서 30분이내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항의 방법을 통해서 제조된 초밥용 초반을 취식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전자레인지에 투입하여 소정의 정해진 시간동안 조리하는 단계;
    상기 밀봉된 충진공(220)의 밀봉을 해제하는 단계;
    상기 조리가 완료된 용기를 꺼내서, 상측 초반용 용기부(20)를 해체하는 단계;
    취반된 초밥용 초반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소스 및/또는 고명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밥용 초반을 취식하는 방법.
  4. 삭제
KR1020180027144A 2018-03-07 2018-03-07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95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4A KR101951754B1 (ko) 2018-03-07 2018-03-07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44A KR101951754B1 (ko) 2018-03-07 2018-03-07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754B1 true KR101951754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44A KR101951754B1 (ko) 2018-03-07 2018-03-07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922A (ko) 2020-12-17 2022-06-24 유충현 초밥용 초밥알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초밥알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866Y1 (ko) * 2001-10-30 2002-04-06 김춘옥 초밥성형기
JP2006094721A (ja) * 2004-09-28 2006-04-13 Hidetake Hirai 巻寿司の炊飯兼用成形器
JP2008500344A (ja) * 2004-05-24 2008-01-10 バレント バイオサイエン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安定且つ水溶性の植物成長制御物質液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866Y1 (ko) * 2001-10-30 2002-04-06 김춘옥 초밥성형기
JP2008500344A (ja) * 2004-05-24 2008-01-10 バレント バイオサイエン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安定且つ水溶性の植物成長制御物質液体組成物及び該組成物の使用方法
JP2006094721A (ja) * 2004-09-28 2006-04-13 Hidetake Hirai 巻寿司の炊飯兼用成形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922A (ko) 2020-12-17 2022-06-24 유충현 초밥용 초밥알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초밥알 제조방법
KR102598504B1 (ko) * 2020-12-17 2023-11-06 유충현 초밥용 초밥알 취반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68086A (en) Method of preparing a precooked frozen food package
CN100398013C (zh) 一种鹅肥肝酱及其制作方法
CN101385554A (zh) 一种速冻油炸虾饼食品及其制作方法
KR101999371B1 (ko) 냉동포장죽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278720A (zh) 华北豆豉系列
CN101664126A (zh) 绿色饺子及制作方法
CN101224014A (zh) 即食肉丸
KR101951754B1 (ko) 초밥용 초반 취반용기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733787B1 (ko) 육류를 이용한 죽(粥) 및 그 제조방법
KR101823308B1 (ko) 대게자숙장 제조방법
CN102754867A (zh) 板栗糕点的加工方法
CN100594803C (zh) 速冻方便米饭及其所配汤菜的制备方法
KR20110011352A (ko) 참전복의 가공방법
KR101490752B1 (ko) 간편편이식의 제조방법
TW202236978A (zh) 冷凍塊之製備方法、冷凍塊及冷凍食品
JP2004267020A (ja) 常温流通の可能なレトルト炊き込み御飯とその製造方法
CN101623066A (zh) 一种方便云吞、水饺及其制作方法
KR101263304B1 (ko) 냉동주먹밥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0511U (ko) 밀가루 반죽으로 싼밥 빵
KR101056660B1 (ko) 백김치를 이용한 피자 떡볶이 의 제조방법
KR100847422B1 (ko) 반구운 찰떡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12937B1 (ko) 저온 취식이 가능한 포장 어묵 제품
CN111642709A (zh) 一种荷包蛋配方及生产工艺
RU2360468C1 (ru)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нсервированного продукта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жиром"
RU2361475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котлеты домашние с жир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