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555B1 -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555B1
KR101951555B1 KR1020170081264A KR20170081264A KR101951555B1 KR 101951555 B1 KR101951555 B1 KR 101951555B1 KR 1020170081264 A KR1020170081264 A KR 1020170081264A KR 20170081264 A KR20170081264 A KR 20170081264A KR 101951555 B1 KR101951555 B1 KR 101951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ace
surface side
bar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978A (ko
Inventor
겐이치 소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8001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11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moved by a screw-shaf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4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the cosmetic bein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선단면의 개구로부터의 내용물을 피도포부에 도포할 수 있고, 또한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선단부 외면의 강모가 아닌 부드러운 재질에 의하여 다양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선통(3)이 선단면(3c)보다 후방에 있어서 연질재로 구성된 복수의 돌기(3k) 및 돌기(3k)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3m)을 구비함과 함께, 경질재로 구성되고, 외면측 부분(3m)의 내측의 통 구멍 형성부(3q), 및 통 구멍 형성부(3q)와 외면측 부분(3m)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3r)를 구비하도록 하며, 선통(3)의 선단면(3c)의 개구(3h)로부터 나온 내용물(M)을 피도포부에 도포 가능하게 하는 한편,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연질재로 구성된 복수의 돌기(3k)에 의하여, 피도포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빗거나, 그라데이션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APPLICATION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PPLIC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이브로우 펜슬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아이브로우 펜슬은,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가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에 수용됨과 함께, 조출 조작에 의하여 봉상 화장료가 용기 선단의 개구로부터 조출되고, 조출된 봉상 화장료에 의하여 눈썹을 그릴 수(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에 있어서는, 용기 선단부에, 봉상 화장료에 의하여 그린 눈썹을 그라데이션하기 위한 강모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이나 유리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강모는 용기 선단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나, 용기 선단부의 외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형태 등으로 용기에 끼워 넣어 마련하거나, 용기 선단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용기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기 선단부에 강모를 구비함으로써, 봉상 화장료에 의하여 눈썹을 그린 후에,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강모에 의한 그라데이션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697932호
그러나, 상기 강모는, 눈썹의 그라데이션에는 적합하지만, 예를 들면 빗거나 하는 등의 다른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용기에 대하여 강모의 식모(植毛)나 부착의 작업이 필요하여, 제조가 복잡하고 고비용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상 화장료를 비롯한 내용물을 피도포부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강모가 아닌 부드러운 재질에 의하여, 피도포부에 대하여 빗거나, 그라데이션하거나 하는 등의 처리를 비롯한 다양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도포 용기, 및 이 도포 용기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포 용기는,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통(先筒)의 통 구멍을 통과하여 당해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내용물의 도포가 가능한 도포 용기로서, 선통은 연질재로 구성되고, 선단면보다 후방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선단면보다 후방에서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을 구비함과 함께, 연질재보다 단단한 경질재로 구성되며, 외면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여 통 구멍을 형성하는 통 구멍 형성부와, 당해 통 구멍 형성부 및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2종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포 용기에 의하면, 선통은 선단면보다 후방에 있어서 연질재로 구성된 복수의 돌기 및 당해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을 구비함과 함께, 경질재로 구성되고, 외면측 부분의 내측의 통 구멍 형성부, 및 당해 통 구멍 형성부와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온 내용물을 피도포부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연질재로 구성된 복수의 돌기에 의하여, 피도포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빗거나, 그라데이션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외면측 부분은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당해 외면측 부분이 선통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또, 내용물은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이면, 당해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에 의하여 눈썹을 그릴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돌기를 눈썹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눈썹을 빗거나, 그라데이션하는 처리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통의 통 구멍을 통과하여 당해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내용물의 도포가 가능한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선통에 있어서, 선단면보다 후방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선단면보다 후방에서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을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하고, 선통에 있어서, 외면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여 통 구멍을 형성하는 통 구멍 형성부와, 당해 통 구멍 형성부 및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를 연질재보다 단단한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하며,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돌기 및 외면측 부분과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통 구멍 형성부 및 협지부를, 2종류의 재료로 2색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선통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피도포부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 내용물이 도포된 피도포부에 대하여, 용기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선단부 외면의 연질재의 복수의 돌기에 의한 다양한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도포 용기, 및 이 도포 용기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위치를 봉상 화장료 지지체의 지지편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어긋나게 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로부터 캡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도 4 중의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에 대응하여 봉상 화장료를 전진 한계까지 조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도 3 중의 클러치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도 5 중의 선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화살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도이다.
도 10은 도 7 중의 복수의 돌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도 3 및 도 5 중의 봉상 화장료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도 3 및 도 5 중의 암나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포 용기인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 및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의 제조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를 나타내는 각 도, 도 5는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클러치 스프링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도 9는 선통을 나타내는 각 도, 도 10은 복수의 돌기의 확대도, 도 11은 봉상 화장료 지지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암나사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본 실시형태의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는, 용기 내에 수용된 봉상 화장료를, 사용자가 적절히 조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봉상 화장료를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로 하고, 이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를 조출 가능한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로서 설명한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는, 전체 형상이 필기구와 같은 가늘고 긴 스틱 형상을 이루어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기 전측부를 구성하는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도 5 참조)와, 용기 후측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2)를 외형 구성으로 하여 대략 구비하고, 이들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 및 카트리지 수용 용기(2) 내에,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 형상의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이하 간단히 봉상 화장료라고 부름)(M)와, 봉상 화장료(M)를 지지함과 함께 나사 결합부의 한쪽을 구비하는 봉상 화장료 지지체(4)(도 11 참조)와, 나사 결합부의 다른 쪽을 구비하는 암나사 부재(5)(도 12 참조)와, 봉상 화장료(M)의 진퇴 한계에서 이른바 클러치로서 기능하는 클러치 스프링 부재(6)(도 6 참조)를 수용하여 이루어진다.
카트리지 수용 용기(2)는, 예를 들면 PP 등으로 형성되고, 장척인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수용 용기(2)는, 선단측의 내주면에, 클러치 스프링 부재(6)를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볼록부(2a)가 원환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원환 형상의 볼록부(2a)보다 다소 후방의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단척으로 뻗어 클러치 스프링 부재(6)를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도 중의 단면 위치에는 위치하지 않아 도시하지 않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여기에서는 4개)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후반부의 내주면에는, 바닥부로부터 축선 방향 중간 정도까지 뻗는 돌기부(2b)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 돌기부(2b)의 선단부의 내측 부분은, 암나사 부재(5)를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2d)를 구성한다.
클러치 스프링 부재(6)는, 수지로 형성되고,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선단부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며, 이 선단부보다 후측의 부분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내삽되는 내삽부가 된다. 내삽부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도 1~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볼록부(2a)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6a)가 원환 형상으로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6a)보다 후측의 원통부의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단척으로 뻗어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상술한 오목부(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는 볼록부(6c)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여기에서는 4개) 마련된다. 볼록부(6c)보다 후측의 부분은,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스프링부(6b)이며, 대략 나선 형상을 이루는 수지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부(6b)보다 후측부측의 원통부의 내주면에는, 선통(3)을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볼록부(6d)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마련된다.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 부재(6)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삽부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내삽되고, 그 오목부(6a)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볼록부(2a)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됨과 함께, 그 볼록부(6c)(도 6 참조)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오목부에 회전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동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후단면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돌기부(2b)의 선단면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는, 도 1 및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화장료(M)를 수용하는 단차를 가진 통 형상의 선통(3)과, 선통(3) 내에 배치되고 축선 방향으로 뻗어 봉상 화장료(M)를 지지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인 봉상 화장료 지지체(4)와, 선통(3) 내에 배치되고 봉상 화장료 지지체(4)를 이동시키기 위한 암나사 부재(5)를 구비한다.
선통(3)은,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선단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대경부(3a)와, 이 대경부(3a)의 후단에 단차면을 통하여 이어져 마련되어 클러치 스프링 부재(6) 및 카트리지 수용 용기(2) 내에 수용되는 소경부(3b)를 갖는다.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부(3a)의 후단은 원통 형상이며, 선단으로 갈수록, 편평 형상의 봉상 화장료(M)에 맞추도록 대략 장원 통 형상(대략 타원 통 형상)으로 축경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선통(3)의 선단면(3c)은, 여기에서는, 축선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이 된다.
선통(3)의 통 구멍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반부가, 봉상 화장료(M) 및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지지부(4a)(자세하게는 후술)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이 되고, 그 후반부가, 전반부보다 다소 대경으로 되어 암나사 부재(5)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이 된다(도 1 및 도 2도 참조). 선통(3)의 전반부의 통 구멍은, 선단의 개구(3h)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뻗어 봉상 화장료(M)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편평 형상의 봉상 화장료 구멍(3e)이 된다. 이 봉상 화장료 구멍(3e)의 주위의 복수 개소(여기에서는 편평 형상의 네 모서리)에는, 개구(3h)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로부터 선통(3)의 암나사 부재(5)의 수용 영역까지,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후술하는 지지편(4d)(도 11 참조)을 수용하여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편 홈(3f)이 복수(여기에서는 4개) 이어져 마련된다(도 1 및 도 2에는 나타나지 않음). 이들 봉상 화장료 구멍(3e) 및 당해 봉상 화장료 구멍(3e) 주위의 지지편 홈(3f~3f)에 의하여, 봉상 화장료(M) 및 지지편(4d)이 슬라이딩하는 진퇴 구멍(3g)이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지지편 홈(3f)의 선단면이,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지지편(4d)의 선단면이 충돌하여 봉상 화장료 지지체(4)(봉상 화장료(M))의 전진 한계가 된다.
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3)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부(6b)보다 후방의 볼록부(6d)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오목부(3d)가 원환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3)의 암나사 부재(5)의 수용 영역의 축선 방향 중간 정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 부재(5)를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볼록부(3j)가 원환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3)의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선통(3)의 선단면(3c)보다 후방으로 다소 떨어진 위치로부터, 더 후방으로 소정 길이 떨어진 위치까지의 외주면에는, 돌기(3k)가 다수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3k)는, 도 7~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3k)가 돌출되어 마련되는 선통 외주면이 대략 장원 형상(대략 타원 형상)이기 때문에, 장축에 대략 평행한 외면(대략 평탄 형상의 외면; 대략 타원 형상이면 곡률이 작은 측의 면)에 마련된다. 돌기(3k)는, 여기에서는, 가로 세로로 복수 개가 열을 이루며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7개, 세로 방향으로 5개가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돌기(3k)의 배열은 열상(列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그재그 형상이어도 되며, 다양한 배열이 채용될 수 있다.
돌기(3k)는, 도 7을 확대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삼각 기둥 형상을 나타내고, 1정점(a)이 축선 방향 후방을 향하고, 다른 1정점(b)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돌기(3k)의 각 정점은, 여기에서는, 약간 둥그스름하다. 또한, 부호 3t는, 돌기(3k)의 바닥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돌기(3k)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에서, 도 2,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3k), 및 당해 복수의 돌기(3k)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주면을 포함하는 부분, 즉 대략 장원 통 형상(대략 타원 통 형상)의 외주측의 부분인 외주부(3m)는, 연질재로 성형되고, 선통(3)에 있어서 돌기(3k) 및 외주부(3m) 이외의 본체부(3p)는, 연질재보다 단단한 경질재로 성형된다.
연질재는, 여기에서는 TPEE(폴리에스터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이용되고, 경질재는, 여기에서는 ABS(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가 이용되지만, 이들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본체부(3p)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3m)보다 내측의 내주부(3q)(도 9도 참조)와, 당해 내주부(3q) 및 외주부(3m)를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3r)이다.
그리고, 연질재로 이루어지는 돌기(3k) 및 외주부(3m)와, 경질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3p)는, 2색 성형에 의하여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1차측이 되는 본체부(3p)를 경질재로 성형한 후, 동일 금형 내에서, 2차측이 되는 돌기(3k) 및 외주부(3m)를 연질재로 본체부(3p)와 일체로 성형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선통(3)은, 2개의 사출 장치(피스톤, 스크루)를 갖는 이물질 사출 성형기로 형성된다.
선통(3) 내의 봉상 화장료(M)는, 상술한 바와 같이 편평 형상의 봉상 화장료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은, 가느다란 라인을 그리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봉상 화장료 지지체(4)는, 예를 들면 PBT(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되고, 도 3 및 특히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상 화장료(M)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a)와, 이 지지부(4a)보다 후측의 축체부(4b)를 구비한다. 축체부(4b)는, 축선 방향으로 뻗어 있는 축체이며, 당해 축체부(4b)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로서 기능하는 나사 결합 돌기(4e)가 대향하여 마련된다. 지지부(4a)는, 봉상 화장료(M)의 후단면을 충돌시키기 위한 기부(基部)(4c)와, 기부(4c)에 충돌된 봉상 화장료(M)의 후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편(4d)을 구비한다. 기부(4c)는, 편평 형상의 봉상 화장료(M)와 같은 크기의 편평 형상으로 구성되고, 지지편(4d)은, 편평 형상의 기부(4c)에 있어서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의 복수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편평 형상의 봉상 화장료(M)의 네 모서리변)에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이들 지지편(4d, 4d)끼리의 사이에, 봉상 화장료(M)의 후단부가 끼워 넣어져 지지된다.
암나사 부재(5)는, 예를 들면 POM(폴리아세탈)로 형성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암나사 부재(5)의 통 구멍을 구성하는 내주면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 암나사(5a)가 마련된다(도 5 참조). 암나사 부재(5)에는, 그 축선 방향 대략 중앙의 외주면에, 선통(3)의 볼록부(3j)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오목부(5b)가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암나사 부재(5)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축선 방향으로 단척으로 뻗는 리브(5c)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여기에서는 8개) 돌출되어 마련된다. 리브(5c)는,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결합부(2d)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봉상 화장료 지지체(4)는, 그 축체부(4b)가, 도 12에 나타내는 암나사 부재(5)에 내삽되고, 축체부(4b)의 나사 결합 돌기(4e)가 암나사 부재(5)의 암나사(5a)에 나사 결합하며,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축체부(4b)의 후단면이, 암나사 부재(5)의 내측의 후단면(내측의 바닥면)에 충돌하여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후퇴 한계까지 체결된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기부(4c)의 후단면이 암나사 부재(5)의 선단면에 충돌함으로써,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후퇴 한계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봉상 화장료 지지체(4) 및 암나사 부재(5)는, 도 3을 참조하면, 선통(3)의 후단으로부터 내삽되고, 봉상 화장료 지지체(4)는, 그 기부(4c)가 선통(3)의 봉상 화장료 구멍(3e)에 진입하여, 그 지지편(4d)이 선통(3)의 지지편 홈(3f)에 진입하고, 선통(3)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동기 회전 가능)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또, 암나사 부재(5)는, 그 오목부(5b)가, 선통(3)의 볼록부(3j)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선통(3)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 또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도 5 참조)가 얻어진다.
그리고,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는, 암나사 부재(5)측으로부터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내삽되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통(3)의 외주면의 단차면이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선단면에 충돌되어, 선통(3)의 오목부(3d)가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볼록부(6d)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클러치 스프링 부재(6)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 또한 축선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암나사 부재(5)는, 그 리브(5c)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결합부(2d)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동기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클러치 스프링 부재(6) 중의 카트리지 수용 용기(2)로부터 돌출되는 선단부 및 선통(3)을 덮도록, 캡(7)이 클러치 스프링 부재(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캡(7)이 분리되고, 선통(3)과 카트리지 수용 용기(2)가 조출 방향으로 상대 회전(회전 조작)되면, 선통(3)과 동기 회전 가능한 봉상 화장료 지지체(4)의 나사 결합 돌기(4e), 및 카트리지 수용 용기(2)와 동기 회전 가능한 암나사 부재(5)의 암나사(5a)의 나사 결합 작용이 일어나, 봉상 화장료 지지체(4)가 전진한다(도 5 참조).
그리고, 봉상 화장료(M)가 선통(3)의 선단의 개구(3h)로부터 원하는 양이 조출되면(압출되면), 사용자는 봉상 화장료(M)에 의하여 눈썹을 그린다(봉상 화장료(M)를 도포한다).
여기에서, 눈썹을 빗어 다듬는 경우에는,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눈썹에 복수의 돌기(3k)를 대고, 눈썹의 털 흐름을 따르도록, 대략 가로 방향(도 7 및 도 10의 우측 방향)으로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를 그으면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눈썹을 알맞게 빗어 다듬을 수 있다. 또, 돌기(3k)의 정점(a)이 후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눈썹을 보다 알맞게 빗어 다듬을 수 있다.
또, 눈썹을 그라데이션하는 경우에는,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눈썹에 복수의 돌기(3k)를 대고, 하방으로부터 상방(도 7 및 도 1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눈썹을 알맞게 그라데이션할 수 있다. 또, 돌기(3k)의 정점(b)이 상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눈썹을 보다 알맞게 그라데이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돌기(3k)를 눈썹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당해 복수의 돌기(3k)에 의하여, 빗고, 그라데이션하는 등의 처리를 적합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정점(a)이 축선 방향 후방을 향하고, 다른 정점(b)이 상방을 향하고 있으면, 돌기를 예를 들면 능형 등의 다른 다각형으로 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다각 형상의 돌기를 채용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원주 형상이나 타원 기둥 형상 등의 돌기를 채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봉상 화장료(M)에 의한 도포나, 복수의 돌기(3k)에 의한 빗기, 그라데이션 처리가 종료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선통(3)과 카트리지 수용 용기(2)가 조출 방향과는 역방향인 복귀 방향으로 상대 회전(회전 조작)되어, 봉상 화장료 지지체(4)가 후퇴하고, 봉상 화장료(M)가 선통(3)의 선단의 개구(3h)로부터 들어간다.
또한, 봉상 화장료 지지체(4)가, 도 5에 나타내는 전진 한계에 도달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조출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계속되면, 봉상 화장료 지지체(4)가 전진하려고 하여 선통(3)이 당해 봉상 화장료 지지체(4)에 압압되고, 선통(3)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여기에서, 선통(3)의 오목부(3d)와, 클러치 스프링 부재(6)의 스프링부(6b)보다 후방의 볼록부(6d)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부(6b)는 압축되어, 선통(3) 및 암나사 부재(5)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선통(3) 및 암나사 부재(5)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암나사 부재(5)의 리브(5c)와 카트리지 수용 용기(2)의 결합부(2d)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대 회전에 의한 회전력이 차단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차단 상태가 되면, 스프링부(6b)가 신장하여 선통(3) 및 암나사 부재(5)가 후퇴하고 리브(5c)와 결합부(2d)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여, 상대 회전에 따라 결합/해제를 반복하는 이른바 클러치로서 기능하여, 부품에 과부하가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서, 도 1에 나타내는 후퇴 한계에 도달하고, 또한 사용자에 의하여 복귀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계속되는 경우도, 전진 한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러치로서 기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통(3)의 선단면(3c)의 개구(3h)로부터 압출된 봉상 화장료(M)를 눈썹에 도포할 수 있는 한편, 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100)를 반전하거나 바꿔 쥐지 않고, 선통(3)의 선단면(3c)보다 후방의 외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며 연질재로 구성된 복수의 돌기(3k)에 의하여, 눈썹을 빗거나, 그라데이션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선통(3)의 돌기(3k) 및 외주부(3m) 이외의 본체부(3p) 전부가,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지만, 선통(3)에 있어서, 본체부(3p) 전부가 아닌, 외주부(3m)보다 내측의 내주부(3q)와, 당해 내주부(3q) 및 외주부(3m)를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3r)가, 경질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즉, 선통(3)은 연질재로 구성된 돌기(3k) 및 외주부(3m)를 구비함과 함께, 경질재로 구성된 내주부(3q) 및 협지부(3r)를 구비하고, 2종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주부(3m)가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통(3)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선통(3)의 돌기(3k) 및 외주부(3m)를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하고, 내주부(3q) 및 협지부(3r)를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하며,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돌기(3k) 및 외주부(3m)와,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내주부(3q) 및 협지부(3r)를, 2종류의 재료로 2색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선통(3)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수용 용기(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탈 불가능하게 해도 되고, 또 도 5에 나타내는 봉상 화장료 카트리지(1) 단일체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선통(3)과 암나사 부재(5)의 후단부(리브(5c)를 갖는 부분)를 상대 회전하면, 봉상 화장료(M)를 선통(3)으로부터 출몰시킬 수 있다.
또, 수나사, 암나사는,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 또는 나선 형상 또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돌기군과 같이 나사산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 나사 결합 돌기는, 연속하는 나사산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봉상 화장료(M)를 편평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이나 다각형 단면의 봉상 화장료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상 화장료가 통과하는 봉상 화장료 구멍(3e)이나 진퇴 구멍(3g)은, 봉상 화장료의 형상에 맞추어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원형 단면이나 다각형 단면의 봉상 화장료를 채용한 경우에는, 선통도, 봉상 화장료에 맞추어 원통 형상이나 다각 통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이와 같은 원통 형상이나 다각 통 형상의 선통의 경우에는, 외주부(3m)의 전체 둘레에 복수의 돌기(3k)를 마련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선통(3)의 선단면(3c)을 경사면으로 하고, 이 경사면의 장축 방향의 단부를 가늘게 함으로써, 당해 단부에 대응하는 봉상 화장료(M)의 부분도 가늘게 하여 가느다란 라인을 그리는 데 적합하게 하고 있지만, 선단면(3c)은 축선에 직교하는 면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주부(3m)가 선통(3)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당해 외주부(3m)를 통 형상(환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지만, 외주부(3m)를, 소정 두께를 갖는 반원 이상의 대략 C자 형상의 형상으로 하여, 선통(3)으로부터의 탈락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원주가 완성되어 있지 않는 대략 C자 형상의 형상도 포함하는 구성이 되면, 상기 외주부(3m)는, 선단면(3c)보다 후방에서 돌기(3k)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이 되고, 상기 내주부(3q)는, 당해 외면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여 통 구멍을 형성하는 통 구멍 형성부가 되며, 상기 협지부(3r)는, 통 구멍 형성부 및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부분이 된다. 즉, 선통(3)은 연질재로 구성된 돌기(3k) 및 외면측 부분을 구비함과 함께, 경질재로 구성된 통 구멍 형성부 및 끼우는 부분을 구비하여, 2종류의 재료로 구성된 것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봉상 화장료(M)를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로 하고, 돌기(3k)에 의하여 눈썹을 빗거나, 그라데이션하거나 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 립 라이너, 컨실러 등을 비롯한 다양한 봉상 화장료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등의 액상 화장료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봉상 화장료나 액상 화장료 등의 화장료에 대한 적용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머리카락을 부분적으로 염색하는 염모액이나, 구두약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들 화장료나 염모액이나 구두약 등의 내용물을, 용기 선단의 개구로부터 압출할 수 있는 튜브나 소프트 보틀 등의 스퀴즈 타입의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용기 내에 배치된 중면(중계심) 등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용기 선단의 개구로부터 나오는 타입의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필기구나 묘화구 등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요점은,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통의 통 구멍을 통과하여 당해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내용물의 도포가 가능한 도포 용기 전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1…봉상 화장료 카트리지
3…선통
3c…선단면
3e…봉상 화장료 구멍(통 구멍)
3g…진퇴 구멍(통 구멍)
3h…개구
3k…돌기
3m…외주부(외면측 부분)
3p…본체부
3q…내주부(통 구멍 형성부)
3r…협지부
100…봉상 화장료 조출 용기(도포 용기)
M…봉상 화장료(내용물)

Claims (4)

  1.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통의 통 구멍을 통과하여 당해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도포가 가능한 도포 용기로서,
    상기 선통은,
    연질재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면보다 후방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선단면보다 후방에서 상기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을 구비함과 함께,
    연질재보다 단단한 경질재로 구성되며, 상기 외면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통 구멍을 형성하는 통 구멍 형성부와, 당해 통 구멍 형성부 및 상기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를 구비하고, 2종류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돌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고, 이 중 하나의 정점은 상기 도포 용기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선단면에 대향하는 후방을 향하도록 정렬되고, 다른 하나의 정점은 상기 도포 용기의 축선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서, 사용시에 상기 도포 용기를 피도포물에 대해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는 방향인 상방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면측 부분은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아이브로우용 봉상 화장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용기.
  4.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통의 통 구멍을 통과하여 당해 선통의 선단면의 개구로부터 나옴으로써, 상기 내용물의 도포가 가능한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선통에 있어서, 상기 선단면보다 후방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마련된 복수의 돌기와, 상기 선단면보다 후방에서 상기 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된 외면측 부분을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하고,
    상기 선통에 있어서, 상기 외면측 부분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통 구멍을 형성하는 통 구멍 형성부와, 당해 통 구멍 형성부 및 상기 외면측 부분을 축선 방향 전후로부터 협지하는 협지부를 연질재보다 단단한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하며,
    연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상기 돌기 및 상기 외면측 부분과, 경질재에 의하여 성형되는 상기 통 구멍 형성부 및 상기 협지부를, 2종류의 재료로 2색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각 돌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고, 이 중 하나의 정점은 상기 도포 용기의 축선 방향으로 상기 선단면에 대향하는 후방을 향하도록 정렬되고, 다른 하나의 정점은 상기 도포 용기의 축선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서, 사용시에 상기 도포 용기를 피도포물에 대해 아래에서 위로 이동시키는 방향인 상방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70081264A 2016-07-21 2017-06-27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951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3378 2016-07-21
JP2016143378A JP6818311B2 (ja) 2016-07-21 2016-07-21 塗布容器及び塗布容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978A KR20180010978A (ko) 2018-01-31
KR101951555B1 true KR101951555B1 (ko) 2019-02-22

Family

ID=6095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264A KR101951555B1 (ko) 2016-07-21 2017-06-27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85323B2 (ko)
JP (1) JP6818311B2 (ko)
KR (1) KR101951555B1 (ko)
CN (1) CN107637949B (ko)
FR (1) FR3054111B1 (ko)
TW (1) TWI623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9466A (ja) * 2016-04-14 2017-10-19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US11382400B2 (en) 2018-08-10 2022-07-12 Go Products Co. Material applicator
DE202019002354U1 (de) * 2019-05-28 2020-08-31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Kosmetikstift
JP7116497B2 (ja) 2020-03-24 2022-08-10 株式会社トキワ 塗布容器
US11297925B2 (en) * 2020-08-10 2022-04-12 Crystal International (Group) Refillable lipstick case
US20220369787A1 (en) * 2021-05-21 2022-11-24 Joe E. LEMMERMAN Telescopic applic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635Y1 (ko) 2005-12-14 2006-04-11 고길성 화장품 용기
JP2009226168A (ja) 2008-03-25 2009-10-08 Tokiwa Corp 移動体繰出容器
JP4697932B2 (ja) * 2004-11-10 2011-06-08 株式会社トキワ 描画具
JP2013508008A (ja) 2009-10-15 2013-03-07 ロレアル 睫毛または眉毛に組成物を塗布するための用具
US9149107B2 (en) 2014-02-18 2015-10-06 Lin-Lang Chan Multiple cosmetics press-to-dispense cosmeticiz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113U (ja) * 1982-11-29 1984-06-08 株式会社葛飾プレス工業所 マスカラの塗布具
JPH0386805U (ko) * 1989-12-25 1991-09-03
JP2606762Y2 (ja) * 1992-06-30 2001-01-09 ぺんてる株式会社 筆記具の滑り止め
JP3121313B2 (ja) * 1998-10-09 2000-12-25 ゼブラ株式会社 筆記具用グリップ
JP2000326682A (ja) * 1999-03-15 2000-11-28 Kotobuki:Kk 筆記具の筆記軸体
US6375373B2 (en) * 1999-03-29 2002-04-23 Kotobuki & Co, Ltd. Writing stem for writing instruments
JP2003504139A (ja) * 1999-07-21 2003-02-04 ロレアル 角質ファイバに対して製品を適用するための櫛およびこの櫛を備えたアプリケータセットならびにこのアプリケータセットの使用方法
JP3852670B2 (ja) * 2000-11-28 2006-12-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櫛付き容器
JP2002331788A (ja) * 2001-05-11 2002-11-19 Suemine Takahashi 滑り止めグリップを有する筆記具又は化粧用ペンシル
JP2003325225A (ja) * 2002-05-17 2003-11-18 Mitsubishi Pencil Co Ltd 化粧料塗布具
CN2680084Y (zh) * 2004-02-05 2005-02-23 株式会社常盘 筒夹式伸出容器
JP2006305787A (ja) * 2005-04-27 2006-11-09 Pentel Corp 軸体
FR2914161B1 (fr) * 2007-03-30 2009-07-03 Lvmh Rech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 cosmetique et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KR100939240B1 (ko) 2007-12-17 2010-01-29 (주)알엔디지케이알 마이크로 금형 마스카라 브러시
WO2009078528A1 (en) 2007-12-17 2009-06-25 Rnd Group Korea Inc. Micro-molded mascara brush
KR20090006419U (ko) * 2007-12-24 2009-06-29 이희성 노즐과 솔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061505B1 (ko) 2008-11-28 2011-09-02 (주)알엔디지케이알 브러시의 모
JP5498303B2 (ja) * 2010-07-29 2014-05-21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DE202011002793U1 (de) 2011-02-16 2012-06-12 Geka Gmbh Applikator mit rohrförmigem, umspritztem Kernelement
DE202011003088U1 (de) * 2011-02-23 2012-05-30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uftraggerät
JP5592306B2 (ja) 2011-05-11 2014-09-17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200469500Y1 (ko) * 2011-11-22 2013-10-29 (주)장업시스템 화장용 어플리케이터
JP5989355B2 (ja) * 2012-02-16 2016-09-07 有限会社 新井組 覚醒効果を生じさせる筆記具
JP6118101B2 (ja) * 2012-12-21 2017-04-19 紀伊産業株式会社 化粧用具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化粧用具
JP6175678B2 (ja) * 2013-08-26 2017-08-09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DE202013010463U1 (de) * 2013-11-22 2015-02-23 Geka Gmbh Applikator mit internem, passivem Reservoir
US9474351B2 (en) * 2014-12-08 2016-10-25 Capicolor International Cosmetics Ltd. Cosmetic applicator
CN204561276U (zh) * 2015-04-09 2015-08-19 宁波杰立化妆品包装用品有限公司 一种眼部化妆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7932B2 (ja) * 2004-11-10 2011-06-08 株式会社トキワ 描画具
KR200413635Y1 (ko) 2005-12-14 2006-04-11 고길성 화장품 용기
JP2009226168A (ja) 2008-03-25 2009-10-08 Tokiwa Corp 移動体繰出容器
JP2013508008A (ja) 2009-10-15 2013-03-07 ロレアル 睫毛または眉毛に組成物を塗布するための用具
US9149107B2 (en) 2014-02-18 2015-10-06 Lin-Lang Chan Multiple cosmetics press-to-dispense cosmeticiz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54111A1 (fr) 2018-01-26
US10485323B2 (en) 2019-11-26
TW201803487A (zh) 2018-02-01
TWI623284B (zh) 2018-05-11
KR20180010978A (ko) 2018-01-31
CN107637949B (zh) 2021-03-30
CN107637949A (zh) 2018-01-30
US20180020809A1 (en) 2018-01-25
JP6818311B2 (ja) 2021-01-20
FR3054111B1 (fr) 2019-09-27
JP2018011780A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555B1 (ko) 도포 용기 및 도포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505314B1 (ko) 화장료 도포 용기
US9486054B2 (e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US10575621B1 (en) Cosmetic applicator
CN102415677B (zh) 化妆品涂布容器
US7883286B2 (en) Beauty care product application device
JP4355753B1 (ja) 塗布材押出容器
US6957753B2 (en) Movable body feeding apparatus
JP2012005747A (ja) 充填物押出容器
JP2017189466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102356182B1 (ko) 베이어닛 클로저를 갖는 스템 및 그것이 구비된 장치
JP5001417B2 (ja) 化粧料塗布容器
JP2015043961A (ja) 塗布材押出容器
JP4921277B2 (ja) 塗布材押出容器
KR20220090525A (ko) 마스카라 도포기
US20190075909A1 (en) Rod-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JP2017104310A (ja) 塗布具
JP2009039174A (ja) 塗布材押出容器
WO2019115811A1 (en) Dispensing head for a cosmetic product, associated device and associated application method
JP2007007188A (ja) 化粧料塗布具
JP5421084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2023118494A (ja) 化粧料塗布具
JP5895261B2 (ja) 塗布材押出容器
JP2021185989A (ja) 棒状化粧料容器
JP2021176433A (ja) 棒状体繰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