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72B1 -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72B1
KR101949372B1 KR1020147031571A KR20147031571A KR101949372B1 KR 101949372 B1 KR101949372 B1 KR 101949372B1 KR 1020147031571 A KR1020147031571 A KR 1020147031571A KR 20147031571 A KR20147031571 A KR 20147031571A KR 101949372 B1 KR101949372 B1 KR 101949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strain
food
cfu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8480A (ko
Inventor
티나 호른바엑
마이크 리스베르그
실랴 카이 디에메르
Original Assignee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2/05638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2136830A1/en
Application filed by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14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3/00Cream; Cream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3/12Cream preparations
    • A23C13/16Cream preparations containing, or treated with, microorganisms, enzymes, or antibiotics; Sour cr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2Making cheese curd
    • A23C19/032Making cheese curd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icroorganisms, or enzymes of microbial origin
    • A23C19/0323Making cheese curd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microorganisms, or enzymes of microbial origin using only lactic acid bacteria, e.g. Pediococcus and Leuconostoc species; Bifidobacteria; Microbial starter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68Particular types of cheese
    • A23C19/076Soft unripened cheese, e.g. cottage or cream chee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23C9/1234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characterised by using a Lactobacillus sp. other than Lactobacillus Bulgaricus, including Bificlobacterium s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571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5Paracasei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5Rhamnos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53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프로텍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탁번호 DSM2561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Lactobacillus paracasei) CHCC14676 균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상기 균주 및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이러한 항진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 이러한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 중의 효모 및 곰팡이 (molds)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항진균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BIOPROTECTION USING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S}
본 발명은 바이오프로텍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탁번호 DSM25612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Lactobacillus paracasei) CHCC14676 균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상기 균주 및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이러한 항진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 이러한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음식, 사료 및 약학 제품 중의 효모 및 곰팡이 (molds) 함량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항진균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오랫동안 젖산 박테리아는 식제품의 유통기한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발효가 일어나는 동안, 상기 젖산 박테리아는 젖산과 다른 유기산들을 생성함으로써 식제품의 pH를 낮춰 원치 않는 미생물들, 예컨대 병원성 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들의 성장을 불리하게 한다.
또한, 일부 젖산 박테리아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대사산물을 생성하기도 한다.
미국 특허 출원 US2011/0045134호는 발효 낙농 제품에 항진균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출원 EP1442113호는 바이오프로텍션에 사용하기 위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젠세니이 (Propionibacterium jensenii)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와 같은 락토바실러스 종 (Lactobacillus sp.)의 혼합물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단일 균주 또는 다른 바이오프로텍션 균주 (bioprotective strains)와의 조합과 같은, 개선된 항진균 효과를 갖는 바이오프로텍션 제제 (bioprotective agents)에 대한 수요는 여전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프로텍션 제제로서 높은 효능을 갖는 신규한 젖산 박테리아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많은 스크리닝과 연구를 통하여 특정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가 시판 중인 시중 바이오프로텍션 배양체들 (bioprotective cultures)에 비하여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하여 매우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정 군의 젖산 박테리아가, 다른 군의 젖산 박테리아와 조합되는 경우 유의미한 시너지 항미생물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상기 조합된 두 군의 박테리아의 항미생물 효과는 놀랍게도, 상기 두 군의 박테리아의 개별적인 효과의 합보다 더욱 크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스타터 배양체 YF-L901 단독으로 (꼭대기 열), HOLDBACTM YM-B와 함께 (가운데 열) 그리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과 함께 발효시킨,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 중의 곰팡이 성장을 묘사한 것이다. 좌에서 우로, 텍스트에 언급된 농도로 표적 오염체들을 첨가하였다: 각각,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텀 (Penicillium brevicompactum)(M1), 페니실리움 코뮨 (Penicillium commune)(M6),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Aspergillus versicolor)(M7) 및 페니실리움 글라브럼 (Penicillium glabrum)(M8). 요거트를 61 일간 7±1℃에서 배양하였다.
도 2는 스타터 배양체 YF-L901 단독으로 (레퍼런스), HOLDBACTM YM-B 배양체와 함께 (HoldBac YM-B), HOLDBACTM YM-C 배양체와 함께 (HoldBac YM-C)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과 함께 (14676) 발효시킨,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에 첨가되는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 (Debaryomyces hansenii) 단리체의 세포 수를 보여준다. 요거트를 7±1℃에 보관하고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도 3은 스타터 배양체 단독으로 (레퍼런스, 첫번째 사진),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과 함께 (두번째 사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와 함께 (세번째 사진)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의 조합과 함께 (네번째 사진) 발효시킨 우유로 마련된 플레이트 상에서 곰팡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플레이트의 좌상단으로부터 좌하단까지 시계 방향으로, 텍스트에서 언급되는 농도로 표적 오염체를 첨가하였다: 각각,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 (Penicillium nalgiovense), 페니실리움 코뮨,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Aspergillus versicolor)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Penicillium crustosum). 플레이트를 12 일간 7±1℃에서 배양하였다.
도 4는 스타터 배양체 단독으로 (레퍼런스, 첫번째 사진),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과 함께 (두번째 사진),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4226과 함께 (세번째 사진)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4226의 조합과 함께 (네번째 사진) 발효시킨 우유로 마련된 플레이트 상에서 곰팡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플레이트의 좌상단으로부터 좌하단까지 시계 방향으로, 텍스트에서 언급되는 농도로 표적 오염체를 첨가하였다: 각각,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 페니실리움 코뮨,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플레이트를 12 일간 7±1℃에서 배양하였다.
도 5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마련된 (좌측 컵)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존재하에서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마련된 (우측 컵) 그리스식 요거트 상에서 뮤코르 아종 (Mucor ssp.)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6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R, 즉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로 (5366),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으로 (5366+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마련된 그리스식 요거트 상에서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 (Rhizopus stolonifer ) 곰팡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7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꼭대기 열);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가운데 열);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의 조합으로 (바닥 열)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제조된 사우어 크림 상에서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텀 (M1), 페니실리움 코뮨 (M6),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M7) 및 페니실리움 글라브럼 (M8)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8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또는 스타터 배양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로 (12697+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제조된 사우어 크림에서 D. 한세니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9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또는 스타터 배양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으로 (5366+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제조된 브라인 백치즈 상에서 새커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10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또는 스타터 배양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으로 (5366+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제조된 브라인 백치즈 상에서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너스 (Kluyveromyces marxianus)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11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R, 즉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또는 스타터 배양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으로 (5366+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제조된 브라인 백치즈 상에서 페니실리움 코뮨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12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R, 즉 레퍼런스),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YM-B),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로 (5366),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으로 (5366+14676)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마련된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에서 페니실리움 파네움 (Penicillium paneum) 곰팡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도 13은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꼭대기 열),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두번째 열),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로 (세번째 열),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으로 (바닥 열) 발효시킨 우유로부터 마련된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에서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곰팡이의 성장을 보여준다. 표적 오염체를 100 포자/컵의 농도로 첨가하고, 요거트를 36 일간 7±1℃ (좌측 컬럼), 12±1℃ (가운데 컬럼) 또는 22±1℃ (우측 컬럼)에서 배양하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젖산 박테리아"이라는 용어는 그람-양성의, 미호기성 또는 혐기성 박테리아로서 우세하게 생성되는 산으로서 젖산 등 산을 생성하며 당을 발효시킨다. 공업적으로 가장 유용한 젖산 박테리아는 락토코쿠스 종 (Lactococcus spp.), 스트렙토코쿠스 종 (Streptococcus spp.), 락토바실러스 종 (Lactobacillus spp.), 류코노스톡 종 (Leuconostoc spp.), 수도류코노스톡 종 (Pseudoleuconostoc spp.), 페디오코쿠스 종 (Pediococcus spp.), 브레비박테리움 종 (Brevibacterium spp.) 및 엔테로코쿠스 종 (Enterococcus spp.)을 포함하는 "락토바실라레스" 목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젖산 박테리아와 함께 조합하여 식품 배양체로서 자주 사용된다.
"식품"이라는 용어는 또한 치즈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즈"라는 용어는 임의의 치즈, 예컨대 경성, 반경성 및 연성 치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예컨대 다음 유형의 치즈들이다: 코티지, 페타, 체다, 파마산, 모짜렐라, 에멘탈러, 단보, 구다, 에담, 페타-타입, 블루 치즈, 브라인 치즈, 까망베르 및 브리.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응고물을 어떻게 치즈로 변환하는지를 알고 있고, 방법은 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예컨대, 문헌 [Kosikowski, F. V., and V. V. Mistry, "Cheese and Fermented Milk Foods", 1997, 3rd Ed. F. V. Kosikowski, L. L. C. Westport, CT].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 NaCl 농도 1.7% (w/w) 미만인 치즈를 "저염 치즈"로 부른다.
젖산 박테리아,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종 및 락토코쿠스 종은 보통 벌크 스타터 (bulk starter) 증식을 위한 냉동 또는 동결 건조 배양체로서, 또는 소위 "다이렉트 배트 세트 (Direct Vat Set)" (DVS) 배양체로서 유업계에 공급되고, 낙농 젖산 박테리아, 예컨대 발효유 제품 또는 치즈 제조용의 발효관 또는 발효통으로 직접 접종된다. 이들 젖산 박테리아 배양체를 일반적으로 "스타터 배양체" 또는 "스타터 (starter)"라고 부른다.
본 발명의 "중온성균 (mesophile)"이라는 용어는 중간 정도의 온도 (15℃~40℃)에서 가장 잘 자라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공업적으로 가장 유용한 중온성 박테리아로는 락토코쿠스 종 및 류코노스톡 종 (Leuconostoc spp.)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온성 발효"라는 용어는 약 22℃ 내지 약 35℃ 사이의 온도에서의 발효를 말한다. "중온성 발효유 제품"이라는 용어는 중온성 스타터 배양체의 중온성 발효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유 제품을 말하고, 버터밀크, 사우어 밀크, 배양 밀크, 스메타나, 사우어 크림 및 생치즈, 예컨대 쿼크 (quark), 트바로그 (tvarog) 및 크림 치즈 등의 발효유 제품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열성균 (thermophile)"이라는 용어는 43℃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가장 잘 자라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공업적으로 가장 유용한 호열성 박테리아로는 스트렙토코쿠스 종 및 락토바실러스 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호열성 발효"라는 용어는 약 35℃를 초과하는 온도, 예컨대 약 35℃ 내지 약 45℃ 사이에서의 발효를 말한다. "호열성 발효유 제품"이라는 용어는 호열성 스타터 배양체의 호열성 발효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유 제품을 말하고 세트-요거트 (set-yoghurt), 스터드-요거트 (stirred-yoghurt) 및 마시는 요거트 (drinking yoghurt)와 같은 발효유 제품을 들 수 있다.
"우유"라는 용어는, 예컨대 소, 양, 염소, 버팔로 또는 낙타 등의 임의의 포유 동물을 착유하여 얻는 젖 분비액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양호한 실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소의 젖이다. 또한, 우유라는 용어는 식물 재료, 예컨대 두유로 제조된 단백질/지방 용액도 역시 포함한다.
"우유 기질"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발효를 거칠 수 있는 임의의 원유 및/또는 가공유일 수 있다. 그러므로, 유용한 우유 기질로서는 단백질을 함유하는 임의의 우유 또는 유사 우유 제품의 용액/현탁액, 예컨대 전지 우유 또는 저지방 우유, 무지방 우유, 버터 우유, 재구성 분유, 연유, 분유, 유청, 유청 막투과액 (whey permeate), 젖당, 젖당의 결정화 모액, 유청 단백질 농축액 또는 크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백히, 상기 우유 기질은 임의의 포유 동물로부터 유래한 것, 예컨대 실질적으로 순수한 포유류의 젖 또는 재구성 분유일 수 있다.
발효 전에, 상기 우유 기질은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따라 균질화 및 살균 처리될 수 있다.
"균질화"라는 용어는 격렬하게 혼합하여 용해성 현탁액 또는 에멀전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발효 전에 균질화가 수행되는 경우, 우유 지방을 작은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우유 지방이 더 이상 우유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균질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작은 오리피스를 통하여 우유에 고압의 힘을 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살균"이라는 용어는 우유 기질을 처리하여 살아있는 생물체, 예컨대 미생물의 존재를 저감시키거나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살균은 특정 시간 동안 특정 온도를 유지하여 행하는 것이 좋다. 특정 온도는 보통 가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와 시간은 특정의 박테리아, 예컨대 유해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불활화시키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급속 냉각 과정이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발효"는 미생물의 작용을 통하여 탄수화물을 알코올 또는 산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발효는 젖당의 젖산으로의 전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낙농 제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발효 공정은 잘 알려져 있고,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온도, 산소, 탄수화물의 첨가 및 미생물의 양과 특성 및 공정 시간 등의 적절한 공정 조건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게 될 것이다. 명백히, 발효 조건은 본 발명의 목적, 즉 고형 (치즈 등) 또는 액상형 유제품 (발효유 제품 등)을 얻기 위한 목적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식품, 사료 및 약학 제품 상에서 그리고 인간 및 동물에서, 곰팡이, 박테리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원치 않는 미생물이 억제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진균, 예컨대 효모 및 곰팡이의 성장을 예방 및/또는 억제하는 것이 특히 예상된다. 그러므로,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항미생물"이라는 용어는 "항진균"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치 않는 미생물"이라는 용어는 박테리아 및 진균, 예컨대 효모와 같은 미생물을 말하는데, 이들은 병원성이거나 및/또는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컨대 식품, 사료 및 약학 제품 상에서 그리고 인간 및 동물에서, 진균, 박테리아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원치 않는 미생물들이 억제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진균, 예컨대 효모 및 곰팡이의 성장을 예방 및/또는 억제하는 것이 특히 예상된다.
효모 및 곰팡이와 관련하여 "억제하다" 및 "억제하는"이라는 용어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균주들을 포함하는 식제품에서 및/또는 식제품의 표면 상에서 효모 및 곰팡이의 성장 또는 숫자 또는 농도가 그러한 균주들을 포함하지 않는 식제품에서 및/또는 식제품의 표면 상에서보다 낮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돌연변이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균주로부터, 예컨대 유전 공학 및/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유래한 균주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돌연변이체는 모균주와 기능적으로 균등한 돌연변이체, 예컨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예컨대, 항진균 특성에 관한) 성질이 개선된 돌연변이체인 것이 좋다. 이러한 돌연변이체는 본 발명의 일부이다. 특히, "돌연변이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균주를 에탄 메탄 술포네이트 (EMS) 또는 N-메틸-N'-니트로-N-니트로구아니딘 (NTG) 등의 화학적 뮤타젠 처리, UV광 처리를 비롯한 종래에 사용되는 임의의 돌연변이화 처리를 거치게 하여 수득한 균주 또는 자생적인 돌연변이체를 말한다. 돌연변이체는 수회의 돌연변이화 처리 (하나의 처리는 스크리닝/선별 단계를 거친 1회의 돌연변이화 단계로 이해되어야 한다)를 거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20회 이하, 또는 10회 이하, 또는 5회 이하의 처리 (또는 스크리닝/선별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양호한 돌연변이체에 있어서, 박테리아 게놈 중의 5% 미만, 또는 1% 미만 또는 심지어 0.1% 미만의 뉴클레오티드가 모균주에 비하여 또 다른 뉴클레오티드로 이동 또는 결실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관련하여 (특히 후술하는 청구 범위와 관련하여), "a"와 "an" 및 "the"와 이에 유사한 낱말의 사용은 본 발명에서 달리 표시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양자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하는 (comprising)", "가지는 (having)", "비롯한 (including)" 및 "함유하는 (containing)" 이라는 용어들은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개방형 (open-ended) 용어 (즉,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는"을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치 범위에 관한 언급은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그 범위에 속하는 별도의 각 값을 개별적으로 나타내는 약기(略記) 방식으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일 뿐이며, 별도의 각 값은 이것이 마치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달리 명시하거나 문맥상 명백히 반대되는 경우가 아닌 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모두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시된 임의의 실시예 및 모든 실시예, 또는 예를 들고자 한 용어 (예컨대, “...과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분명히 나타내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달리 필요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한정을 가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중의 어떠한 언어도, 어떤 청구되지 않은 사항을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을 나타낸다고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구현 및 측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이루어진 200개 후보들을 스크리닝하여 광범위한 미생물들, 예컨대 효모 및 곰팡이들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단일 균주 또는 2종 균주 조합을 밝혔다.
스크리닝은, 바이오프로텍션 후보들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상태로 해당 스타터 배양체가 첨가되고 중온성 발효유 제품에 해당하는 조건하에서 발효된 우유계 배지에서, 가능한 한 중온성 발효유 제품을 모방한 모델 시험으로 수행되었다. 표적 미생물을 중온성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단리하였다. Danisco A/S (덴마크)의 HOLDBACTM 배앙체로부터, 및 젖산 박테리아와 프로피온산 박테리아 양자 모두를 함유하는 완전 HOLDBACTM YM-B 및 HOLDBACTM YM-C 배양체로부터의 정제된 젖산 박테리아 양자 모두를 기준점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모델 시험은 유럽 특허 출원 EP11161609.0에 기술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중에서 17개 후보들이, 25℃에서 시험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12개 표지자 진균을 상기 기준점 젖산 박테리아만큼 또는 더욱 잘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요거트 상에서 시험한 경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중 하나의 균주, 수탁번호 DSM 25612로 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 (DSMZ)에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이 시판 바이오프로텍션 배양체들보다 효모 및 곰팡이 억제에 현저히 우수하다는 것이 나타났다.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상기 균주의 억제 효과는 하기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적절한 보관 시간에 걸쳐 적절한 온도에서 발효유 제품을 보관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이 수행되어야 하는 적절한 온도는 특정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이 통상 보관되고 및/또는 제조되는 그 온도에 달려있다. 상기 제품들이 보통 보관되는 온도는 5℃ 내지 26℃이고, 좋기로는 그 온도는 약 8℃이다.
그 온도에서 보관 시간은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이 통상 보관되는 시간 (유통 기한)에 달려있다. 그 보관 시간은 보통 5-65일, 좋기로는 7-60일, 더욱 좋기로는 7-28일, 그리고 더더욱 좋기로는 상기 보관 시간은 약 21일, 더욱 좋기로는 최대 60일 또는 그 이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수탁번호 DSM 25612로 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 (DSMZ)에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및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 균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기탁 균주와는 별도로, 본 발명은 이 균주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에 관한 것이기도 한데, 즉, 이들은 출발 재료로서 상기 기탁 균주 CHCC14676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상기 돌연변이체 균주는 상기 기탁 균주로부터, 예컨대 유전 공학적 수단, 방사선, UV 광선, 화학적 처리 및/또는 게놈상 변화를 유도하는 방법들에 의하여 유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연변이체는 특정 박테리아 또는 진균, 좋기로는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 및/또는 예방할 것이다. 상기 돌연변이체는, P. 브레비콤팍텀, P. 코뮨, A. 베르시콜로르, D. 한세니이 또는 P. 글라범 곰팡이들 중 하나를 그 성장이 억제되는 레퍼런스 미생물로 사용하여, 예컨대 실시예 1에 기술된 시험으로 측정하는 경우, 그 모균주와 비교하여 항진균 효과가 적어도 80% 또는 그 이상, 적어도 90% 또는 그 이상, 적어도 95% 또는 그 이상, 또는 심지어 100% 또는 그 이상인 것이 좋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상기 기탁 균주를 출발 재료로 사용하여 그 숙련된 독자가, 종래의 돌연변이화법 또는 재단리 기법들에 의하여 본 발명에 기술되는 해당 특성 및 이점을 보유하는 추가적인 돌연변이체 또는 그 유도체들을 통상적으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면의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 균주"라는 용어는 출발 재료로서 상기 기탁 균주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돌연변이체 균주들에 관한 것이다.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좋기로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를 다른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들과 조합하여 시험한 경우, 예상치 못하게 그 총 세포 농도가 동일한 경우일지라도 각각의 균주들 단독보다 이들 조합이 더욱 좋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 가지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의 조합에 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4226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2697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합은 기준점 배양체들인 Danisco (덴마크)의 HOLDBACTM YM-B 및 HOLDBACTM YM-C보다 효율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수탁번호 DSM25612로 German Col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Cell Cultures (DSMZ)에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와,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항미생물 조성물, 더욱 좋기로는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좋기로는,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수탁번호 DSM24616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2697, 수탁번호 DSM24652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4226, 수탁번호 DSM23035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및 이들 기탁된 균주들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 균주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따라서, 한 가지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422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 조성물 및 더욱 좋기로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 조성물 및 더욱 좋기로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422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되는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항미생물 조성물 및 더욱 좋기로는 항진균 조성물을 제공한다. 좋기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조합은 그 항미생물 및/또는 항진균 활성의 관점에서 시너지적으로 작용한다.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상기 박테리아를 농축 형태, 동결, 건조 또는 동결-건조 농축물로 포함하는데, 이들은 생균 농도가, 예컨대 통상 상기 조성물 그램당 104 내지 1012 cfu (콜로니 형성 단위)의 범위로, 예컨대 상기 조성물 그램당 104 cfu 이상, 예컨대 105 cfu/g 이상, 예컨대 106 cfu/g 이상, 107 cfu/g 이상, 108 cfu/g 이상, 109 cfu/g 이상, 1010 cfu/g 이상, 1011 cfu/g 이상의 범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좋기로는 동결, 건조 또는 동결-건조 형태로 존재하고, 예컨대 다이렉트 배트 세트 (Direct Vat Set, DVS) 배양체로서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 상기 조성물은 물이나 PBS 완충액과 같은 액체 배지에서 상기 동결, 건조 또는 동결-건조 세포 농축물의 현탁 후 얻어지는 용액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현탁액인 경우, 상기 생균 농도는 상기 조성물의 ml당 104 내지 1012 cfu (콜로니 형성 단위)의 범위로, 예컨대 상기 조성물 ml당 104 cfu 이상, 예컨대 105 cfu/g 이상, 예컨대 106 cfu/g 이상, 107 cfu/g 이상, 108 cfu/g 이상, 109 cfu/g 이상, 1010 cfu/g 이상, 1011 cfu/g 이상의 범위이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 성분으로서 동해방지제 및/또는 종래의 첨가제들, 에컨대 영양 성분, 예컨대 효모 추출물, 당 및 비타민, 예컨대 비타민, A, C, D, K 또는 비타민 B 패밀리의 비타민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적절한 동해방지제는 미생물의 냉(冷) 내성을 증가시키는 성분들, 예컨대 만니톨, 소르비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자일리톨, 글리세롤, 라피노오스, 말토덱스트린, 에리스리톨, 트레이톨, 트레할로스, 글루코오스 및 프럭토오스 등이다. 다른 첨가제들로는, 예컨대 탄수화물, 향미제, 미네랄, 효소 (예컨대, 리넷, 락타아제 및/또는 포스포리파아제)를 들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간 비율,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박테리아의 농도 또는 숫자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박테리아의 농도 또는 숫자의 비가, 좋기로는 1:100 내지 100:1, 좋기로는 1:10 내지 10:1에 이른다.
본 발명의 항진균 조성물은 효모와 곰팡이로 미생물 분해 및/또는 오염에 취약한 임의의 식품, 사료 및 약학 제품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들은 과일 및 야채와 그 유래 제품, 곡물 및 곡물 유래 제품, 낙농 제품, 육류, 가금류 및 해산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낙농 제품 및/또는 육류 및 가금류와 관련하여 이용된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낙농 제품, 예컨대 요거트, 트바로그, 사우어 크림, 크림 치즈, 브라인 백치즈 등등의 제조에 있어서 첨가제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진균, 예컨대 효모 및 곰팡이에 맞서 사용된다. 이는, 상기 조성물이 낙농 산업 공정, 특히 우유 발효 공정에서 오염을 야기하는 진균의 성장을 억제 및/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예컨대 클리베로마이세스 (예컨대, K. 막시아너스 (K. marxianus), K. 락티스 (K. lactis)), 피키아 속 (Pichia)(예컨대, P. 퍼멘탄스 (P. fermentans)), 야로위아 속 (Yarrowia)(예컨대, Y. 리폴리티카 (Y. lipolytica)), 칸디다 속 (Candida)(예컨대, C. 사케 (C. sake)) 등등과 같은 효모; 또는 예컨대 페니실리움 속 (예컨대, P. 날지오벤세, P. 코뮨, P. 크루스토섬, P. 브레비콤팍텀, P. 글라부럼), 뮤코르 종, 클라디오스포리움 아종, 아스페르길러스 (예컨대, A. 베르시콜로르), 데바리오마이세스 (예컨대, D. 한세니이) 등등과 같은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 및/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크리베로마이세스 막시아너스, 야로위아 리폴리티카,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 클라디오스포리움 아종, 페니실리움 코뮨, 뮤코르 아종,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텀,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락티스, 및/또는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 종들의 성정을 억제 및/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특히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은 약학 제품, 좋기로는 병원성 진균, 예컨대 병원성 효모에 의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은 식제품이다.
더욱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이러한 식제품은 과일과 과일 유래 제품, 야채와 야채 유래 제품, 곡물과 곡물 유래 제품, 낙농 제품, 육류, 가금류 및 해산물과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더욱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제품은 낙농 제품, 좋기로는 중온성 또는 호열성 발효유 제품, 예컨대 생치즈, 요거트, 사우어 크림 또는 트바로그이다.
또 다른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제품은 육류 또는 가금류이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은 약학 제품이다.
좋기로는, 상기 약학 제품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상기 항진균 조성물의 병원성 미생물들을 억제할 인간 또는 동물에게의 투여에 유용하고, 상기 병원성 미생물들과 관련된 증상들을 경감시키는 데 유용한 제품이다. 이러한 증상들의 예시로는 효모 감염과 관련된 증상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제품은 상기 항진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위 투여형일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단위 투여형은 캡슐 또는 정제이다. 그러나, 상기 단위 투여형은 점막 또는 피부로의 적용에 적합할 수 있고, 따라서 페이스트, 크림, 연고 등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른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제조 중에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종 이상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좋기로는, 상기 방법은 상기 제조 중에 제조 파라미터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종 이상의 농도는 일정하게 남아있거나 증가된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종 이상의 농도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1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6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5 cfu/cm2 이상이다. 좋기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종 이상의 농도는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5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5x106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5x105 cfu/cm2 이상, 예컨대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1x107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7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6 cfu/cm2 이상, 예컨대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5x107 cfu/g 이상 또는 각각 5x107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5x106 cfu/cm2 이상이다.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이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와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첨가로 제조되는 경우,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의 농도 및/또는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농도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1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6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5 cfu/cm2 이상이다. 좋기로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의 농도 및/또는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농도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5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5x106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5x105 cfu/cm2 이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돌연변이체의 농도 및/또는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농도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1x108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8 cfu/ml 이상, 또는 각각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7 cfu/cm2 이상이다.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파라미터들은 제조 중에 제어됨으로써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또는 그로부터 유래하는 돌연변이체) 및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의 농도는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남아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은 혼합성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상에 도포 및/또는 그들과 혼합함으로써 가장 손쉽게 이용되지만, 또한, 고형 식제품의 표면, 또는 그러한 제품의 내부 처리에, 예컨대 주입에 의한 처리에 효과적이어야 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마리네이드, 브레딩 (breading), 양념 (seasoning rub), 글레이즈 (glaze), 착색제 혼합물 등등으로서 도포될 수 있는데, 핵심 기준은 그 항진균 조성물이 효모와 곰팡이에 의한 박테리아 분해 및 오염에 처해지는 표면에 이용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식품 패키지에 도포하고 그 후 그 패키징을 식품 표면에 적용함으로써 그 식품 표면과 접하도록 간접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사용되는 최적량은 처리될 특정 식제품의 조성과 그 조성물을 식품 표면에 적용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에 달려 있지만 간단한 실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더욱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상기 항진균 조성물은 그러한 하나 이상의 발효 단계 이전, 그 도중 또는 그 후에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좋기로는,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항진균 활성 출현에 충분한 시간 동안, 본 발명에 따른 1종 이상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존재하에서 기질, 예컨대 우유 기질을 발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진균 활성은 상기 1종 이상의 균주로 발효된 제품에서 효모 및/또는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 양호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쿠스, 락토코쿠스 및 류코노스톡으로부터 선택되는 속의 균주 1종 이상,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균주 1종 이상 및 스트렙토코쿠스 써모필러스 균주 1종 이상 또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락티스 균주 1종 이상,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아종 크레모리스 균주 1종 이상 및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디아세틸락티스 균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타터 배양체로 우유 기질을 발효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식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측면은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좋기로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되는 식제품은 치즈, 예컨대 코티지, 페타, 체다, 파마산, 모짜렐라, 에멘탈러, 단보, 구다, 에담, 페타-타입, 블루 치즈, 브라인 치즈, 까망베르 또는 브리이다.
본 발명의 마지막 측면은, 특히 식품 및 사료 제품에서, 효모 및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항진균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비제한적 실시예라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구현예들을 기술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요거트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를 이용한 과제 연구
여러 가지 곰팡이들, P. 브레비콤팍텀, P. 코뮨, A. 베르시콜로르 및 P. 글리부럼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의 억제효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1.5% 지방 함유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균질화유 (1.5% 지방)을 수조 내 1 L 보틀에서 5 분간 95℃±1℃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0.02%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20 DCU/100L)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1x107 CFU/ml)로 추가 접종하고,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여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하였다.
pH가 4.60±0.1에 이르기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결과물 요거트를 컵에 붓고 (100 g) 7℃±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여러 가지 곰팡이들을 요거트 2개 컵들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요거트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 7℃±1℃에서 45 일간 저장 후 곰팡이들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요거트 시험 결과가 도 1에 나타나 있고, P. 브레비콤팍텀 (M1), P. 코뮨 (M6), A. 베르시콜로르 (M7) 및 P. 글라브럼 (M8)이 스타터 배양체 YF-L901 만으로 발효되거나 (꼭대기 열),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 배양체로 발효된 (가운데 열) 우유로부터 제조된 요거트 상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우유 발효 중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이 제공된 경우 (바닥 열), 모든 시험된 곰팡이들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실시예 2: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에 맞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억제 효과에 대한 정량적 측정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억제 효과의 정량적 시험을 위하여,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균질화유 (1.5% 지방)을 수조 내 1 L 보틀에서 5 분간 95℃±1℃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0.02%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20 DCU/100L), HOLDBACTM YM-C (10 DCU/100L)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1x107 CFU/ml)로 추가 접종하고,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여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하였다.
pH가 4.60±0.1에 이르기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결과물 요거트를 컵에 붓고 (100 g) 7℃±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컵에 2개씩 표적 20 CFU/g으로 1.00 ml/컵의 효모로 접종하였다. 효모를 요거트 내에 골고루 분산시켰다. 뚜껑을 덮고 7℃±1℃에서 컵들을 보관하고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D. 한세니이 오염 수준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1 ml의 요거트를 플레이팅하고 이스트 글루코오스 클로람페니콜 (YGC) 아가 상에서 살라인 펩톤에서 추가로 적절히 1배 희석 후 25℃에서 5 일간 호기성 배양하는 것에 의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전 스타터 배양체 YF-L901과 함께 접종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의 존재하에서 D. 한세니이의 성장은 억제되었다. 이 균주는 시판 배양체, HOLDBACTM YM-B 및 HOLDBACTM YM-C보다 훨씬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단독 또는 조합 형태의,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5366의 여러 가지 곰팡이 오염체들에 맞선 억제 효과에 대한 반-정량적 측정.
단독 또는 조합 형태로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5366를 반-정량적 시험하기 위하여, 아가-시험을 이용하였고, 이는 요거트의 제조 공정 및 산물과 유사한 것이다:
균질화유 (1.5% 지방 w/v)를 5 분간 95℃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C-350)를 0.02%로 접종하였고, 우유를 220 ml 보틀에 나누어 담았다. 상기 보틀들을 각각 총농도 1x107 CFU/ml로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Lb. 람노서스 CHCC5366 및 상기 두 균주들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스타터 배양체 외 추가 접종이 없는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또한, 산성화도 속도에 대한 표지를 얻고, 표적 효모 및 곰팡이들의 후속 성장을 더욱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할 청색/녹색 배지를 얻기 위하여, 5%의 pH-표지자 브롬크레솔 퍼플 및 브롬크레솔 그린을 모든 보틀에 첨가하였다. 모든 보틀을 43±1℃의 수조에서 배양하고, 이 조건에서 pH 4.60±0.1에 이르기까지 발효시켰다. 발효 후, 얼음상에서 보틀들을 즉시 냉각시키고 응집을 깨기 위하여 거세게 흔들었다. 그 후, 발효유를 40℃ 온도로 덥혀, 미리 녹여서 60℃로 식혀둔 5% 멸균 아가 용액 40 ml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그 후, 멸균 페트리 디쉬에 붓고 플레이트를 30 분간 LAF 벤치에서 건조시켰다.
선택된 곰팡이들인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 (10X), 페니실리움 코뮨 (100X),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100X)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100X)을 적절히 희석한 완전 성장 포자 현탁액을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하였다. 플레이트를 7℃에서 배양하고 적절하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곰팡이 성장을 시험하였다.
아가-시험의 결과가 도 3에 나타나 있고, 이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레퍼런스) 발효된 우유로 만들어진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 모든 시험 곰팡이들이 매우 잘 자람을 보여준다. 그러나,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또는 Lb. 람노서스 CHCC5366이 우유 발효 도중 제공된 경우, 그 결과 플레이트는 모든 곰팡이의 성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우유 발효 도중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5366이 조합하여 제공된 경우, 특히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된 페니실리움 코뮨,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에 대하여 더욱 강한 억제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4: 단독 또는 조합 형태의,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14226의 여러 가지 곰팡이 오염체들에 맞선 억제 효과에 대한 반-정량적 측정.
단독 또는 조합 형태로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14226을 반-정량적 시험하기 위하여, 아가-시험을 이용하였고, 이는 요거트의 제조 공정 및 산물과 유사한 것이다:
균질화유 (1.5% 지방 w/v)를 5 분간 95℃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oflex® Mild)를 0.02%로 접종하였고, 우유를 220 ml 보틀에 나누어 담았다. 상기 보틀들을 각각 총농도 1x107 CFU/ml로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Lb. 람노서스 CHCC14226 및 상기 두 균주들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스타터 배양체 외 추가 접종이 없는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또한, 산성화도 속도에 대한 표지를 얻고, 표적 효모 및 곰팡이들의 후속 성장을 더욱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할 청색/녹색 배지를 얻기 위하여, 5%의 pH-표지자 브롬크레솔 퍼플 및 브롬크레솔 그린을 모든 보틀에 첨가하였다. 모든 보틀을 43±1℃의 수조에서 배양하고, 이 조건에서 pH 4.60±0.1에 이르기까지 발효시켰다. 발효 후, 얼음상에서 보틀들을 즉시 냉각시키고 응집을 깨기 위하여 거세게 흔들었다. 그 후, 발효유를 40℃ 온도로 덥혀, 미리 녹여서 60℃로 식혀둔 5% 멸균 아가 용액 40 ml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그 후, 멸균 페트리 디쉬에 붓고 플레이트를 30 분간 LAF 벤치에서 건조시켰다.
선택된 곰팡이들인 페니실리움 날지오벤세 (10X), 페니실리움 코뮨 (100X),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100X)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 (100X)을 적절히 희석한 완전 성장 포자 현탁액을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하였다. 플레이트를 7℃에서 배양하고 적절하고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곰팡이 성장을 시험하였다.
아가-시험의 결과가 도 4에 나타나 있고, 이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레퍼런스) 발효된 우유로 만들어진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 모든 시험 곰팡이들이 매우 잘 자람을 보여준다. 그러나,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또는 Lb. 람노서스 CHCC14226이 우유 발효 도중 제공된 경우, 그 결과 플레이트는 모든 곰팡이의 성장이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우유 발효 도중 Lb.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Lb. 람노서스 CHCC14226이 조합하여 제공된 경우, 특히 플레이트 상에 스폿팅된 페니실리움 코뮨,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및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에 대하여 더욱 강한 억제가 관찰되었다.
실시예 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을 이용한 그리스 요거트에 대한 과제 연구
뮤코르 아종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그리스 요거트를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5% 멸균 지방유를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이용하여 0.02%로 접종하였다.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된 하나의 뱃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다른 뱃치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5x106 CFU/g)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5x106 CFU/g)로 추가 접종하였다.
최종 pH 4.55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6-7 시간). 이어서, 배압 2 bar로, 25℃±1℃까지 요거트를 냉각하고, 6℃±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뮤토르 아종을 요거트 2개 컵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요거트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 22±1℃에서 15 일간 저장 후 곰팡이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그리스 요거트 시험의 결과가 도 5에 나타나 있고, 이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발효된 우유로부터 만들어진 요거트 상에서 뮤코르 아종이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좌측 컵). 반대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이 우유 발효 중에 제공된 경우 (우측 컵) 뮤코르 아종의 성장은 저해되었다.
실시예 6: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조합을 이용한 그리스 요거트에 대한 제2 과제 연구.
검정 빵 곰팡이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그리스 요거트를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5% 멸균 지방유를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이용하여 0.02%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10 DCU/100L)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1x107 CFU/g)으로,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5x106 CFU/g)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5x106 CFU/g)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된 하나의 뱃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최종 pH 4.55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6-7 시간). 이어서, 배압 2 bar로, 25℃±1℃까지 요거트를 냉각하고, 6℃±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를 요거트 2개 컵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요거트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7℃±1℃에서 42 일간 저장 후 곰팡이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그리스 요거트 시험의 결과가 도 6에 나타나 있고, 이는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R", 즉 레퍼런스)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 배양체 (YM-B)로 발효된 우유로부터 만들어진 요거트 상에서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가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이 존재하는 경우 (5366),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의 성장은 현저히 억제되었다. 우유 발효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양자 모두가 존재한 경우 (5366+14676) 리조퍼스 스톨로니페르의 성장은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실시예 7: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의 조합을 이용한 사우어 크림에 대한 과제 연구.
여러 가지 곰팡이들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 조합의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사우어 크림을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멸균 고지방유를 헤테로발효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DSG-2000)를 이용하여 0.01%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10 DCU/100L)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2.5x106 CFU/g)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2697 (2.5x106 CFU/g)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하나의 뱃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하였고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하였다.
pH 4.60±0.05에 이르기까지, 28℃±1℃에서 우유를 발효시키고 사우어 크림을 후처리하였다. 사우어 크림을 휘저어 20℃±1℃까지 냉각하고, 7℃±1℃에 보관하였다.
사우어 크림 제조 1일 후, 여러 가지 곰팡이들을 사우어 크림 2개 컵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사우어 크림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7℃±1℃에서 61 일간 저장 후 곰팡이들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사우어 크림 시험의 결과가 도 7에 나타나 있고, 페니실리움 브레비콤팍텀 (M1), 페니실리움 코뮨 (M6), 아스페르길러스 베르시콜로르 (M7) 및 페니실리움 글라브럼 (M8)이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꼭대기 열)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로 (가운데 열) 발효된 우유로부터 제조된 사우어 크림 상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우유 발효 중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이 존재한 경우 (바닥 열) 모든 시험 곰팡이들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실시예 8: 사우어 크림에서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에 맞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 조합의 억제 효과에 대한 정량적 측정.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이에 맞선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 조합의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시험하기 위하여, 사우어 크림을 실질적으로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멸균 고지방유를 헤테로발효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DSG-2000)를 이용하여 0.01%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10 DCU/100L)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2.5x106 CFU/g)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2697 (2.5x106 CFU/g)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하나의 뱃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하였고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하였다.
pH 4.60±0.05에 이르기까지, 28℃±1℃에서 우유를 발효시키고 사우어 크림을 후처리하였다. 사우어 크림을 휘저어 20℃±1℃까지 냉각하고, 7℃±1℃에 보관하였다.
사우어 크림 제조 1일 후, 컵에 2개씩 표적 20 CFU/g으로 1.00 ml/컵의 효모로 접종하였다. 효모를 사우어 크림 내에 골고루 분산시켰다. 뚜껑을 덮고 7℃±1℃에서 컵들을 보관하고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D. 한세니이 오염 수준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1 ml의 요거트를 플레이팅하고 이스트 글루코오스 클로람페니콜 (YGC) 아가 상에서 살라인 펩톤에서 추가로 적절히 1배 희석 후 25℃에서 5 일간 호기성 배양하는 것에 의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발효 전 스타터 배양체 DSG-2000과 함께 접종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및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 조합의 존재하에서 D. 한세니이의 성장은 억제되었다. 이 균주는 시판 배양체, HOLDBACTM YM-B보다 훨씬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9: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조합을 이용한 브라인 백치즈에 대한 과제 연구.
새커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억제 효과를 정량적 시험하기 위하여, 브라인 백치즈가 제조되었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SafeIT-1)을 이용하여 우유 1000 L당 40 U으로, 멸균되고 표준화된 우유를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10 DCU/100L)로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5x106 CFU/g)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5x106 CFU/g)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스타터 배양체로만 접종된 하나의 뱃치를 레퍼런스로 사용하였다. 자르기 전에, 우유를 Chy-Max plus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를 1000 L당 220 ml로 사용하여 90 분간 36℃±1℃에서 리넷-처리하였다. pH 6.0에서, 커드를 주형에 넣고 최종 pH 4.8-4.7까지 건조되도록 두었다 (20-24 시간). 치즈를 냉 브라인 (8%)과 함께 통에 넣고 5℃±1℃에 저장하였다.
브라인 백치즈 제조 1일 후, 통 2개씩을 표적 20 CFU.ml의 효모로 접종하였다. 효모를 브라인 내에 골고루 분산시켰다. 뚜껑을 덮어 7℃±1℃에서 40 일간 컵을 보관하고,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새커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 오염 수준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이스트 글루코오스 클로람페니콜 (YGC) 아가 상에서 살라인 펩톤에서 이루어진 적절한 추가 1배 희석물을 플레이팅하고 25℃에서 5 일간 호기성 배양하는 것에 의하였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타터 배양체 SafeIT-1과 함께 접종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존재하에서 새커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의 성장은 억제되었다. 상기 균주들은 시판 배양체 HOLDBACTM YM-B보다 훨씬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을 이용한 브라인 백치즈에 대한 제2 과제 연구.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너스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억제 효과를 정량적으로 시험하기 위하여, 효모 오염체로서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너스로 통을 접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브라인 백치즈를 제조하였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타터 배양체 SafeIT-1과 함께 접종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존재하에서 클리이베로마이세스 막시아너스의 성장은 억제되었다. 상기 균주들은 시판 배양체 HOLDBACTM YM-B보다 훨씬 높은 억제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을 이용한 브라인 백치즈에 대한 제3 과제 연구.
P. 코뮨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기술한 바와 같이 브라인 백치즈를 제조하였다:
브라인 백치즈 제조 7일 후, 치즈를 브라인으로부터 꺼내어, 표면 오염체로서 P. 코뮨을 표적 100 포자/스폿으로 치즈 표면상에 3개 스폿으로 치즈 2개씩에 접종하였다. 7℃±1℃에서 12 일간 보관, 및 이어서 12℃±1℃에서 16 일간 보관 후 2종의 상이한 P. 코뮨 단리체들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브라인 백치즈 시험의 결과가 도 11에 나타나 있고, 이는 상기 2종의 P. 코뮨 단리체들이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접종된 (좌측) 우유로부터 제조된 브라인 백치즈 상에서 잘 자람을 보여준다. 반면, 치즈 제조 중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이 존재한 경우, P. 코뮨의 성장은 강하게 억제되었다.
실시예 12: 페니실리움 파네움 (Penicillium paneum)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를 이용한 요거트 상에서의 과제 연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단독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와 조합하여, 곰팡이 P. 파네움에 대한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균질화유 (1.5% 지방)을 수조 내 1 L 보틀에서 5 분간 95℃±1℃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0.02%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20 DCU/100L)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1x107 CFU/ml)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5x106 CFU/ml)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5x106 CFU/ml)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접종하였다.
pH가 4.60±0.1에 이르기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결과물 요거트를 컵에 붓고 (100 g) 7℃±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여러 가지 곰팡이들을 요거트 2개 컵들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요거트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 7℃±1℃에서 28 일간 저장 후 곰팡이들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요거트 시험 결과가 도 12에 나타나 있고, 이는 P. 파네움이 스타터 배양체 YF-L901 만으로,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 배양체로 발효된 우유로부터 제조된 요거트 상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우유 발효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이 존재한 경우, P. 파네움의 성장은 크게 감소되었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의 조합은 P. 파네움의 성장 억제를 더욱 강하게 야기하였다.
실시예 13: 여러 보관 온도에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을 이용한 요거트 상에서의 과제 연구.
여러 보관 온도에서 곰팡이 P. 크루스토섬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단독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와 조합한 억제 효과를 육안 시험하기 위하여 1.5% 지방을 함유한 요거트를 제조하였다:
균질화유 (1.5% 지방)을 수조 내 1 L 보틀에서 5 분간 95℃±1℃에서 열처리하고 즉시 냉각하였다. 시판 스타터 배양체 (Chr. Hansen A/S, Denmark로부터 구득 가능한 F-DVS YF-L901)를 0.02%로 접종하였다. 우유를 HOLDBACTM YM-B (20 DCU/100L)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1x107 CFU/ml)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 (5x106 CFU/ml)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 (5x106 CFU/ml)의 조합으로 추가 접종하였다. 하나의 보틀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스타터 배양체만으로 접종하였다.
pH가 4.60±0.1에 이르기까지, 43℃±1℃에서 우유를 발효시켰다. 결과물 요거트를 컵에 붓고 (100 g) 7℃±1℃에 보관하였다.
요거트 제조 1일 후, 페니실리움 크루스토섬을 요거트 2개 컵들에, 100 포자/스폿 표적으로 요거트 표면상 하나의 스폿으로, 표면 오염체로서 접종하였다. 36일간 7℃±1℃, 12℃±1℃ 또는 22℃±1℃에 저장 후 곰팡이들의 성장을 육안 평가하였다.
요거트 시험 결과가 도 13에 나타나 있고, 이는 P. 크루스토섬이 모든 보관 온도에서 스타터 배양체 YF-L901 만으로, 또는 스타터 배양체와 HOLDBACTM YM-B 배양체로 발효된 우유로부터 제조된 요거트 상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우유 발효 중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만이 존재하거나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와 조합하여 존재한 경우, P. 크루스토섬의 성장은 36 일간 7℃±1℃ 및 12℃±1℃에서 보관한 양자 모두에서 완전히 방지되었다. 22℃±1℃에 저장함에 의하여는, P. 크루스토섬의 성장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의 존재하에 크게 감소하였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5366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CHCC14676 조합의 존재하에서는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기탁 및 전문가용 참조 사항
본원의 출원인은 이하 언급되는 기탁된 미생물 시료가 특허 결정일자까지 전문가에게만 이용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CHCC14676은 독일생물자원센터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Z), Inhoffenstr. 7B, D-38124 Braunschweig에 2012년 2월 2일에 기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다음과 같다: DSM2561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은 독일생물자원센터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Z), Inhoffenstr. 7B, D-38124 Braunschweig에 2009년 10월 14일에 기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다음과 같다: DSM23035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2697은 독일생물자원센터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Z), Inhoffenstr. 7B, D-38124 Braunschweig에 2011년 3월 1일에 기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다음과 같다: DSM 24616.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14226은 독일생물자원센터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Z), Inhoffenstr. 7B, D-38124 Braunschweig에 2011년 3월 15일에 기탁되었고, 수탁 번호는 다음과 같다: DSM 24652.
기탁은 특허 절차상의 미생물기탁의 국제적 승인에 관한 부다페스트조약에 따라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US2011/0045134
EP1442113
EP11161609.0
Kosikowski, F.V. and Mistry, V.V., "Cheese and Fermented Milk Foods", 1997, 3rd Ed. F.V. Kosikowski, L.L.C. Westport, CT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25612 20120202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23035 20091014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24616 20110301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 GmbH DSM24652 20110315

Claims (16)

  1. 독일생물자원센터 (DSMZ)에 수탁번호 DSM25612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Lactobacillus paracasei) 균주 CHCC14676.
  2. 제1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항진균 조성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수탁번호 DSM23035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CHCC5366이 아닌 것인 항진균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1종 이상은 수탁번호 DSM24616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2697 및 수탁번호 DSM24652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HCC14226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진균 조성물.
  5. 제1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진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상기 식품에 항진균 특성을 부여하기에 유효한 양으로 포함하는 것인 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과일 및 과일 유래 제품, 야채 및 야채 유래 제품, 곡물 및 곡물 유래 제품, 낙농 제품, 육류, 가금류 및 해산물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식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낙농 제품이고, 상기 낙농 제품은 중온성 또는 호열성 발효유 제품인 것인 식품.
  9. 제조 중에 제1항에 기재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또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항진균 조성물을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중에 제조 파라미터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농도가 일정하게 남아 있거나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농도는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1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6 cfu/ml 이상이거나,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5 cfu/cm2 이상인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a)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제조 중에 상기 항진균 조성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1종 이상 및/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농도가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 중 각각 1x106 cfu/g 이상 또는 각각 1x106 cfu/ml 이상이거나, 또는 상기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표면의 1x105 cfu/cm2 이상이고,
    (b) 상기 제조 중에 제조 파라미터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1종 이상 및/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의 농도가 증가하거나 일정하게 남아 있는 것인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발효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Lactobacillus), 스트렙토코쿠스 (Streptococcus), 락토코쿠스 (Lactococcus) 및 류코노스톡 (Leuconostoc)으로부터 선택되는 속의 균주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스타터 배양체로 우유 기질을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식품, 사료 또는 약학 제품의 제조를 위한 것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5. 제1항에 있어서, 비의료적 용도로서, 효모 및 곰팡이들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것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16. 삭제
KR1020147031571A 2012-04-09 2013-04-09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KR101949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63509 2012-04-09
EPPCT/EP2012/056384 2012-04-09
PCT/EP2012/056384 WO2012136830A1 (en) 2011-04-08 2012-04-09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EP12163509.8 2012-04-09
EP12168971 2012-05-22
EP12168971.5 2012-05-22
PCT/EP2013/057400 WO2013153070A1 (en) 2012-04-09 2013-04-09 Bioprotection using lactobacillus paracasei stra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480A KR20140148480A (ko) 2014-12-31
KR101949372B1 true KR101949372B1 (ko) 2019-02-18

Family

ID=4932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571A KR101949372B1 (ko) 2012-04-09 2013-04-09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0059919B2 (ko)
EP (1) EP2836588B1 (ko)
JP (1) JP6430930B2 (ko)
KR (1) KR101949372B1 (ko)
CN (1) CN104254599B (ko)
BR (1) BR112014024014B1 (ko)
DK (1) DK2836588T3 (ko)
EA (1) EA034173B1 (ko)
ES (1) ES2623768T3 (ko)
HK (1) HK1206390A1 (ko)
HU (1) HUE034411T2 (ko)
MX (1) MX351627B (ko)
PL (1) PL2836588T3 (ko)
PT (1) PT2836588T (ko)
UA (1) UA115331C2 (ko)
WO (1) WO2013153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5870B2 (en) 2011-02-28 2017-05-02 Franklin Foods Holdings Inc. Direct-set cheese
US9462817B2 (en) 2011-02-28 2016-10-11 Franklin Foods Holdings Inc. Processes for making cheese products utilizing denatured acid whey proteins
TR201806888T4 (tr) 2011-04-08 2018-06-21 Chr Hansen As Sinerjik antimikrobiyal etki.
MX351627B (es) 2012-04-09 2017-10-23 Chr Hansen As Bioproteccion usando cepas de lactobacillus paracasei.
EA036321B1 (ru) * 2012-04-09 2020-10-26 Кр. Хансен А/С Штамм lactobacillus paracasei chcc12777 dsm24651, обладающий противогрибковыми свойствами
GB201409468D0 (en) * 2014-05-28 2014-07-09 Dupont Nutrition Biosci Aps Bacterium
KR101532207B1 (ko) * 2014-10-02 2015-06-30 컴퍼니맨 주식회사 저온에서의 숙성 및 유청분리를 통한 식감이 향상된 농후 발효유의 제조방법
ITUB20152376A1 (it) * 2015-07-07 2017-01-09 Alfasigma Spa Lactobacillus paracasei per la produzione di acido linoleico coniugato, preparazioni nutrizionali e farmaceutiche che lo comprendono e loro uso
PE20211663A1 (es) * 2015-08-31 2021-08-26 Chr Hansen As Bacterias lactobacillus con actividad antifungica
CN108347952A (zh) * 2015-08-31 2018-07-31 科.汉森有限公司 抑制后酸化的发酵乳杆菌细菌
KR20180042408A (ko) * 2015-08-31 2018-04-25 시에이치알. 한센 에이/에스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박테리아
EP3180990A1 (en) * 2015-12-16 2017-06-21 Neste Oyj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DK3279312T3 (da) * 2016-08-02 2019-10-28 Dsm Ip Assets Bv Biobeskyttelse af mejeriprodukter
KR102313677B1 (ko) * 2017-06-09 2021-10-18 소네팜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유산균 및 그 용도
KR101972838B1 (ko) * 2017-07-25 2019-04-2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냉이로부터 추출된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2261874A (zh) * 2018-04-19 2021-01-22 科·汉森有限公司 通过锰消耗抑制真菌生长
JP2022553396A (ja) * 2019-10-23 2022-12-22 セーホーエル.ハンセン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真菌による腐敗を制御するための細菌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WO2022115709A2 (en) * 2020-11-30 2022-06-02 January, Inc. Method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metabolic syndrome
WO2023122035A2 (en) * 2021-12-20 2023-06-29 Solarea Bio,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enhanced crops with probiotics
US20230301317A1 (en) * 2022-03-24 2023-09-28 Chr. Hansen A/S Yeast inhibition with bacillus subtilis via iron depletion
WO2023232677A1 (en) * 2022-05-31 2023-12-07 Lactobio A/S Strain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NL2035175B1 (en) * 2023-03-01 2024-03-25 Chongqing Tianyou Dairy Co Ltd Lactobacillus paracasei ty-f15 and applicatio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699A1 (en) 2006-10-25 2008-05-08 Mark Spigelman Method of using topical probiotics for the inhibition of surface contamination by a pathogenic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therefor
US20110045134A1 (en) 2007-12-04 2011-02-24 Louise Perrier Use of L. Casei Ssp. Paracasei as Antifungal Agen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177A (en) 1985-11-04 1990-09-11 Microlife Technics, Inc. Method for inhibiting fungi
US5965414A (en) * 1985-11-04 1999-10-12 Microlife Technics, Inc. Process for producing yeast and mold inhibiting products with lactobacillus
CA1320165C (en) 1987-08-06 1993-07-13 Microlife Technics, Inc. Process for producing novel yeast and mold inhibiting products
JP3001338B2 (ja) * 1992-06-10 2000-01-24 ヴァリオ・マイイェリーン・ケスクソスースリーケ 新規の微生物株、その菌株を含む細菌製剤、および酵母およびカビの制御のための上記菌株および製剤の使用
FI92498C (fi) * 1992-06-10 1994-11-25 Valio Meijerien Uusi mikro-organismikanta, sitä sisältävät bakteerivalmisteet ja näiden käyttö hiivojen ja homeiden torjuntaan
FR2758051B1 (fr) * 1997-01-06 1999-12-17 Cobiotex Procedes d'eradication systematique du portage d'agents pathogenes par des animaux et compositions mises en oeuvre dans ces procedes
EP1308506A1 (en) * 2001-11-06 2003-05-07 Eidgenö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ürich Mixtures of Propionibacterium jensenii and Lactobacillus sp.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for use as a natural preservation system
RU2309760C2 (ru) 2002-02-21 2007-11-10 Сосьете Де Продюи Нестле С.А.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фотопротекции кожи
US20050106131A1 (en) 2002-02-21 2005-05-19 Lionel Breton Photoprotective orally administrable composition for skin
FI113057B (fi) 2002-11-04 2004-02-27 Valio Oy Menetelmä hiivojen kasvun estämiseksi
ITRM20040166A1 (it) 2004-03-31 2004-06-30 Alberto Cresci Ceppi batterici lab con proprieta' probiotiche e composizioni che contengono gli stessi.
US20100166721A1 (en) 2006-06-09 2010-07-01 Fabiola Masri Probotic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1992351B1 (en) 2007-05-18 2016-05-11 Nestec S.A. Lactobacillus johnsonii for prevention of postsurgical infection
CN101768559B (zh) * 2008-12-31 2012-03-07 生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副干酪乳杆菌副干酪亚种菌株及其抑菌组合物和用途
CN101613667B (zh) 2009-07-23 2011-02-02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制备l-乳酸的方法及其专用菌剂
WO2011141762A1 (en) 2010-05-12 2011-11-17 Compagnie Gervais Danone Synergistic ferment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TR201806888T4 (tr) 2011-04-08 2018-06-21 Chr Hansen As Sinerjik antimikrobiyal etki.
MX351627B (es) 2012-04-09 2017-10-23 Chr Hansen As Bioproteccion usando cepas de lactobacillus paracasei.
EA036321B1 (ru) 2012-04-09 2020-10-26 Кр. Хансен А/С Штамм lactobacillus paracasei chcc12777 dsm24651, обладающий противогрибковыми свойствам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7699A1 (en) 2006-10-25 2008-05-08 Mark Spigelman Method of using topical probiotics for the inhibition of surface contamination by a pathogenic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therefor
US20110045134A1 (en) 2007-12-04 2011-02-24 Louise Perrier Use of L. Casei Ssp. Paracasei as Antifungal Ag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Vol.16, pp.261-276(2009.)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4, pp.1916-1926(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67158B2 (en) 2020-09-08
EP2836588B1 (en) 2017-03-01
UA115331C2 (uk) 2017-10-25
HUE034411T2 (en) 2018-02-28
MX2014012065A (es) 2014-11-21
JP6430930B2 (ja) 2018-11-28
JP2015519042A (ja) 2015-07-09
EA034173B1 (ru) 2020-01-14
DK2836588T3 (en) 2017-05-22
WO2013153070A1 (en) 2013-10-17
BR112014024014B1 (pt) 2022-03-03
BR112014024014A2 (ko) 2017-06-20
PT2836588T (pt) 2017-05-25
EA201491848A1 (ru) 2015-01-30
PL2836588T3 (pl) 2017-08-31
US20150064152A1 (en) 2015-03-05
CN104254599B (zh) 2018-01-23
US10059919B2 (en) 2018-08-28
US20160068800A9 (en) 2016-03-10
EP2836588A1 (en) 2015-02-18
HK1206390A1 (en) 2016-01-08
MX351627B (es) 2017-10-23
CN104254599A (zh) 2014-12-31
US20190010445A1 (en) 2019-01-10
KR20140148480A (ko) 2014-12-31
ES2623768T3 (es)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372B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US10993974B2 (en)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KR101947110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바이오프로텍션
KR20180101636A (ko) 항진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박테리아
CN115812099A (zh) 低后酸化的生物保护性乳酸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