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458B1 -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 Google Patents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458B1
KR101948458B1 KR1020177021496A KR20177021496A KR101948458B1 KR 101948458 B1 KR101948458 B1 KR 101948458B1 KR 1020177021496 A KR1020177021496 A KR 1020177021496A KR 20177021496 A KR20177021496 A KR 20177021496A KR 101948458 B1 KR101948458 B1 KR 10194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plate
adsorbing
fal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947A (ko
Inventor
유스케 치기라
가츠히로 야마시타
도모히로 데구치
마사히로 츠자키
데루지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흡착 부재의 손상을 저감하면서,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한다.
흡착 로터(1)는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포크(3)와, 복수의 스포크(3)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림(4)과, 복수의 스포크(3)와 림(4)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가스가 통과할 때에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11)와, 스포크(3)와 흡착 부재(11)의 각각에 고정되며, 스포크(3)로부터의 흡착 부재(11)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12)를 구비한다.
탈락 방지 부재(12)는 흡착 부재(11)와 스포크(3) 사이이며, 또한 가스가 흡착 부재(11)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본 발명은 피흡착 물질을 함유한 가스의 유로 중에 배치되며, 가스가 통과할 때에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인쇄 공장, 도장 공장, 반도체 공장 등의 각종 공장으로부터 배출되는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를 함유하는 가스는 무해화하여 대기에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VOC를 함유하는 가스를 처리하는 기술에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착 로터를 사용한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착 로터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보스와, 보스로부터 외주 링까지 연장되는 스포크 사이에 수용된 VOC를 흡착하는 하니컴체(흡착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의 시스템에서는, 흡착 로터를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키면서 가스를 통과시킴으로써 VOC를 흡착시킨 후, VOC를 흡착한 부분에 열풍을 쏘아 VOC를 탈착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13844호 공보
상기의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스포크와 하니컴체는 코킹재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그러나, VOC의 흡착 시나 탈착 시에 흡착 로터를 통과하는 가스는 고온이기 때문에,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스포크와 하니컴체의 접착이 박리될 우려가 있었다. 스포크와 하니컴체의 접착이 박리되면, 흡착 로터의 회전 시에 하니컴체의 탈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니컴체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하니컴체의 단부면(가스가 통과하는 면)의 에지부와 스포크를 금속 부재 등으로 고정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하니컴체의 단부면은 가스의 유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풍압의 영향에 의해 금속 부재가 하니컴체를 좌굴시켜, 하니컴체를 손상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하니컴체(흡착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고, 하니컴체의 흡착 로터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흡착 부재의 손상을 저감하면서,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는, 본 발명에 관한 흡착 로터에 의하면,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의 흡착 로터에 의하면, 흡착 부재와 판 부재의 양쪽에 고정되는 탈락 방지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판 부재로부터의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의하면, 흡착 부재에 있어서 가스가 통과하는 면에 탈락 방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풍압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가 흡착 부재를 좌굴시키는 일이 없다.
즉, 상기의 흡착 로터에 의하면, 흡착 부재의 손상을 저감하면서,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의하면, 탈락 방지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 로터의 의장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에 매설된 매설부와,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매설부가 상기 흡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판 부재에 고정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의 일부를 흡착 부재에 매설하여 설치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의 흡착 부재에의 설치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각각 금속제이며,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가까운 측의 상기 노출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판 부재의 상기 단부를 용접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를 판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용접 개소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상기 외측 단부와, 상기 판 부재의 상기 단부를 노출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측 에지 부재의 외부로부터 탈락 방지 부재와 판 부재를 용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착 로터의 조립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측 에지 부재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탈락 방지 부재와 판 부재의 접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중심부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외측 에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평판이며, 상기 매설부는,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흡착 부재를 향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연장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를 흡착 부재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판 부재는, 상기 중심부에 가까운 측의 상기 노출부의 내측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착 부재가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판 부재의 상기 흡착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상기 노출부의 상기 내측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2개의 금속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가 설치된 흡착 부재를, 판 부재에 설치할 때의 가이드로서 보유 지지부를 기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의 흡착 로터에 의하면, 흡착 부재를 스포크에 대하여 올바른 위치에 설치하기 쉬워진다.
상기의 흡착 로터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유로에 대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끼워 넣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고정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 소자에 의하면,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에 구비되는 로터 소자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과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흡착 로터의 제법은,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피흡착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흡착 로터의 제법이며,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로터 소자의 제법은,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 및 당해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피흡착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과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로터 소자의 제법이며,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부재의 손상을 저감하면서,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흡착 로터의 일부 구성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포크에의 로터 소자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스포크에 로터 소자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림에 형성된 구멍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은 스포크에의 로터 소자의 설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스포크에 로터 소자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이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로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하에 설명하는 부재의 형상, 치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의 각 도면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로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흡착 로터(1)의 일부 구성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로터 소자(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포크(3)에의 로터 소자(10)의 설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스포크(3)에 로터 소자(10)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림(4)에 형성된 구멍(6)의 근방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로터(1)는, 예를 들어 피흡착 물질로서 VOC를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에 설치되며, 가스가 흡착 로터(1)의 내부를 통과할 때에 VOC를 흡착하는 장치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로터(1)의 유입면 Fa에는, 피흡착 물질 P를 함유하는 입력 가스 Ga가 유입된다. 그리고, 흡착 로터(1)를 통과할 때에 피흡착 물질 P가 흡착된다. 이렇게 해서, 유출면 Fb로부터는, 피흡착 물질 P가 제거된 출력 가스 Gb가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흡착 로터(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로터(1)는 프레임 부재로서, 중심부에 설치된 허브(2)와, 허브(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스포크(3)와, 스포크(3)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림(4)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2)의 중심부에는 축 구멍(2A)이 형성되어 있고, 축 구멍(2A)에 축 부재(5)가 삽입 관통된다. 이렇게 해서, 흡착 로터(1)는 축 부재(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고, 축 부재(5) 주위로 회전하면서 가스를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흡착 로터(1)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로터 소자(10)와, 축 부재(5)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3)와 림(4)에 의해 둘러싸이는 각 공간(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의 공간)에는, 단부면이 대략 부채 형상의 로터 소자(10)가 각각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소자(10)는 피흡착 물질 P를 흡착하는 흡착 부재(11), 탈락 방지 부재(12) 및 보강 부재(13)를 구비한다. 탈락 방지 부재(12) 및 보강 부재(13)는 흡착 부재(11)의 측면(11C)[스포크(3)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다.
흡착 부재(11)는 하니컴 구조의 흡착 소자이며, 축 부재(5)를 따른 방향으로 가스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흡착 부재(11)는 예를 들어 무기 섬유 페이퍼를 코러게이트 가공한 하니컴 구조체에, 활성탄이나 소수성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재를 담지시킨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 부재(11)에 있어서 대략 부채 형상의 단부면(11A)과 그 이면의 단부면(11B)이 가스의 통과면으로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12)는 단면이 대략 U자상이며, 대략 내측 단부(11E)로부터 외측 단부(11F)까지 연장된 금속 부재(예를 들어 강판)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12)는 흡착 부재(11)의 측면(11C)을 따른 평판상의 노출부(12A)와, 노출부(12A)로부터 흡착 부재(11)측으로 연장된 매설부(12B)를 구비한다.
탈락 방지 부재(12)의 흡착 부재(11)에의 설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탈락 방지 부재(12)의 흡착 부재(11)에 대향하는 면측에는 코킹재(14A)를 도포한 상태에서, 매설부(12B)를, 흡착 부재(11)의 측면(11C)에 형성된 절취부(11D)에 삽입 관통한다.
또한, 절취부(11D)는, 측면(11C)의 대략 중앙 부분[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대략 부채 형상의 흡착 부재(11)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및 주위 방향에 직교하는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는 측면(11C)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게 된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는, 흡착 부재(11)의 외측 단부(11F)와 대략 동일 위치로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13)는 단면이 L자상인 금속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13)는 흡착 부재(11)의 측면(11C)을 따른 평판상의 노출부(13A)와, 노출부(13A)로부터 흡착 부재(11)측으로 연장된 매설부(13B)를 구비한다.
보강 부재(13)의 흡착 부재(11)에의 설치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즉, 보강 부재(13)의 흡착 부재(11)에 대향하는 면측에는, 실리콘 등의 코킹재(14A)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매설부(13B)를 매설부(12B)에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한다. 매설부(13B)의 삽입 위치는, 예를 들어 절취부(11D)로 해도 되고, 절취부(11D)의 인접 위치에 별도로 형성한 절취부이어도 된다.
또한, 보강 부재(13)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탈락 방지 부재(12)의 양측에 보강 부재(13)를 설치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12)의 위치 어긋남이나 휨이 억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측면(11C)과는 반대측의 측면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한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로터 소자(10)의 스포크(3)에의 설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허브(2), 스포크(3)의 일부를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3)에 있어서 로터 소자(10)를 설치하는 설치면(3A)에 있어서, 허브(2)와의 연결 부분에는 보유 지지부(7)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7)는 내측 단부(12C)를 끼움 지지하는 복수의 끼움 지지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상기의 끼움 지지체는 금속제(예를 들어 강판)의 블록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포크(3)의 설치면(3A)에 대하여 2개의 끼움 지지체가 설치된다. 또한, 2개의 끼움 지지체는, 양자의 사이에 탈락 방지 부재(12)를 삽입 가능한 정도 이격시켜 설치된다. 또한, 보유 지지부(7)는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스포크(3)의 설치면(3A)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의 용접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아크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허브(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스포크(3)의 사이에 로터 소자(10)를 설치하는 공정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 즉, 설치면(3A)에, 실리콘 등의 코킹재(14B)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한 상태에서, 로터 소자(10)를 허브(2)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스포크(3)의 사이에 설치한다. 여기서, 탈락 방지 부재(12)의 내측 단부(12C)가 2개의 보유 지지부(7)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도록, 로터 소자(10)를 스포크(3)에 압입한다.
그리고, 각 스포크(3)의 사이에 로터 소자(10)를 설치함으로써, 흡착 로터(1)가 제조된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를 흡착 부재(11)와 스포크(3) 사이이며, 또한 가스가 흡착 부재(11)에 유입, 유출되는 면인 단부면(11A)과 단부면(11B)보다도 내측에 배치한 로터 소자(10), 및 이러한 로터 소자(10)를 구비하는 흡착 로터(1)가 제조된다.
도 5에는, 로터 소자(10)를 스포크(3)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로터 소자(10)의 측면(11C)과 설치면(3A)은, 코킹재(14B)를 통해 접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터 소자(10)와 스포크(3) 사이의 간극이 코킹재(14B)에 의해 충전된 상태에서, 로터 소자(10)가 스포크(3)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로터 소자(10)와 설치면(3A) 사이의 간극이 코킹재(14B)에 의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 로터(1)에 유입된 가스가 흡착 부재(11)를 통과하도록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로터 소자(10)에 설치된 탈락 방지 부재(12)의 내측 단부(12C)가, 스포크(3)에 설치된 2개의 보유 지지부(7)에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가 스포크(3)에 용접된다.
이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의 양단부가 스포크(3)에 고정되게 된다. 그 결과, 로터 소자(10)와 스포크(3)의 설치가 보다 강고한 것으로 되어, 스포크(3)로부터의 로터 소자(10)의 탈락이 방지된다.
또한, 도 1,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림(4)에 있어서, 스포크(3)와,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가 맞닿는 위치에 구멍(6)을 형성해 두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구멍(6)으로부터 노출된 스포크(3)와 외측 단부(12D)를 림(4)의 외부로부터 용접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용접부(15)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와 스포크(3)의 용접 자국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용접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아크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로터 소자(10)의 스포크(3)에의 설치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스포크에의 로터 소자의 설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스포크에 로터 소자를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예에 있어서는, 스포크(3)에 대해 탈락 방지 부재(12)를 사전에 설치하고, 그 후에, 탈락 방지 부재(12)가 설치된 스포크(3)에 대하여 흡착 부재(11)를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포크(3)의 후단이며, 탈락 방지 부재(12)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관통 구멍(21)을 형성한다. 또한, 탈락 방지 부재(12)에 대해서도, 관통 구멍(21)과 대향하는 부분에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크(3)를 사이에 두고 2개의 탈락 방지 부재(12)를 대향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탈락 방지 부재(12)의 내측 단부(12C)는, 보유 지지부(7)에 의해 끼움 지지되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스포크(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탈락 방지 부재(12)에 대해, 관통 구멍(21)에 와셔(24)를 통해 볼트(22)를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볼트(22)의 단부를 너트(23)로 조인다. 이에 의해, 스포크(3)에 탈락 방지 부재(12)를 고정한다.
다음에, 탈락 방지 부재(12)를 설치한 스포크(3)의 설치면(3A)에, 실리콘 등의 코킹재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보강 부재(13)를 설치한 흡착 부재(11)를 탈락 방지 부재(12)가 설치된 스포크(3)에 대하여 압입하여, 흡착 부재(11)의 절취부(11D)에, 탈락 방지 부재(12)의 매설부(12B)가 삽입 관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로터 소자(10)를 스포크(3)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스포크(3)의 사이에 로터 소자(10)를 설치함으로써, 흡착 로터(1)가 제조된다.
상기의 공정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를, 흡착 부재(11)와 스포크(3) 사이이며, 또한 가스가 흡착 부재(11)에 유입, 유출되는 면인 단부면(11A)과 단부면(11B)보다도 내측에 배치된 로터 소자(10), 및 이러한 로터 소자(10)를 구비하는 흡착 로터(1)가 제조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흡착 부재(11)와 스포크(3)의 양쪽에 고정되는 탈락 방지 부재(12)를 설치함으로써, 스포크(3)로부터의 흡착 부재(1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흡착 부재(11)에 있어서 가스가 통과하는 단부면(11A), 단부면(11B)에 탈락 방지 부재(12)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스의 풍압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가 흡착 부재(11)를 좌굴시키는 일이 없다.
즉,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흡착 부재(11)의 손상을 저감하면서, 흡착 부재(1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탈락 방지 부재(1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 로터의 의장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탈락 방지 부재(12)의 일부가 흡착 부재(11)에 매설되어 설치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12)의 흡착 부재(11)에 대한 설치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탈락 방지 부재(12)를 스포크(3)에 고정하기 위한 용접 개소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만이어도 되기 때문에, 용접 개소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를 스포크(3)에 설치할 때의 용접 작업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림(4)에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와, 스포크(3)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구멍(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림(4)의 외측으로부터 탈락 방지 부재(12)와 스포크(3)를 용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흡착 로터의 조립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림(4)에 형성된 구멍(6)으로부터, 탈락 방지 부재(12)와 스포크(3)의 접합 상태의 확인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탈락 방지 부재(12)를 단면이 대략 U자상인 금속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양단부를 흡착 부재(11)에 매설하도록 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12)를 흡착 부재(11)에 대하여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스포크(3)에, 허브(2)에 가까운 측의 탈락 방지 부재(12)[노출부(12A)]의 내측 단부(12C)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7)를 설치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1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탈락 방지 부재(12)가 스포크(3)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보유 지지부(7)가 로터 소자(10)를 스포크(3)에 설치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함으로써, 로터 소자(10)를 스포크(3)에 대하여 올바른 위치에 설치하기 쉬워진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가스의 유로에 대하여 탈락 방지 부재(12)를 끼워 넣는 위치에 있어서 흡착 부재(11)에 설치된, 보강 부재(13)를 구비함으로써, 탈락 방지 부재(12)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로터(1)에 의하면, 로터 소자(10)와 스포크(3)는 코킹재를 사용한 접합과, 용접에 의한 접합의 2종의 접합을 사용함으로써, 로터 소자(10)와 스포크(3)의 접합의 용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터 소자(10)가 스포크(3)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흡착 로터(1)를 VOC 처리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흡착 로터(1)를 제습 장치나 탈취 장치 등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외측 단부(12D)와 스포크(3)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양자를 볼트나 너트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접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12)에 대하여 보강 부재(13)를 2개 설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보강 부재(13)의 수는 1 또는 3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보강 부재(13)의 배치도 도 3 등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로터 소자(10)에 관해, 탈락 방지 부재(12)의 상하에 배치된 보강 부재(13)의 좌우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12)가 노출부(12A)와 매설부(12B)를 갖고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탈락 방지 부재(12)는 매설부(12B)만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매설부(12B)의 일단부가 스포크(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흡착 부재(11)에 매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탈락 방지 부재(12)의 매설부(12B)는 2개(2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매설부(12B)는 1 또는 3개(조)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부(7)를 2개의 끼움 지지체로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의 끼움 지지체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로터 소자(10)의 스포크(3)에의 설치의 일례로서 도 8 및 도 9와 같이 스포크(3)에 탈락 방지 부재(12)를 먼저 설치한 후에, 그 탈락 방지 부재(12)에 대하여 흡착 부재(11)[로터 소자(10)]를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착 부재(11)에 탈락 방지 부재(12)를 먼저 설치한 후에, 그 탈락 방지 부재(12)를 스포크(3)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하나의 탈락 방지 부재(12)를 스포크(3)에 설치할 때에, 먼저 흡착 부재(11) 중 탈락 방지 부재(12)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의 일부를 절결하여, 볼트의 헤드부 또는 볼트의 나사부 선단측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스페이스를 흡착 부재(11)에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당해 스페이스에 볼트의 헤드부 또는 너트를 배치하여 탈락 방지 부재(12)와 스포크(3)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한다.
1 : 흡착 로터
2 : 허브(중심부)
2A : 축 구멍
3 : 스포크(판 부재)
3A : 설치면
4 : 림(외측 에지 부재)
5 : 축 부재(회전축)
6 : 구멍
7 : 보유 지지부(끼움 지지체)
10 : 로터 소자
11 : 흡착 부재
11A : 단부면
11B : 단부면
11C : 측면
11D : 절취부
11E : 내측 단부
11F : 외측 단부
12 : 탈락 방지 부재
12A : 노출부
12B : 매설부
12C : 내측 단부
12D : 외측 단부
13 : 보강 부재
13A : 노출부
13B : 매설부
14A : 코킹재
14B : 코킹재
15 : 용접부
20 : 구멍 근방
21 : 관통 구멍
22 : 볼트
23 : 너트
24 : 와셔
Fa : 유입면
Fb : 유출면
Ga : 입력 가스
Gb : 출력 가스
P : 피흡착 물질

Claims (11)

  1.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2.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의 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매설부가 상기 흡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판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3.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의 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매설부가 상기 흡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판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각각 금속제이고,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가까운 측의 상기 노출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판 부재의 상기 단부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는,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상기 외측 단부와, 상기 판 부재의 상기 단부를 노출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5.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의 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매설부가 상기 흡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판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회전축의 근방으로부터 상기 외측 에지 부재를 향하여 연장된 평판이고,
    상기 매설부는, 상기 노출부로부터 상기 흡착 부재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6.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의 내부에 매설된 매설부와, 상기 흡착 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부를 갖고,
    상기 매설부가 상기 흡착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노출부가 상기 판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판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가까운 측의 상기 노출부의 내측 단부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판 부재의 상기 흡착 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상기 노출부의 상기 내측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복수의 끼움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8.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고,
    상기 가스의 유로에 대하여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끼워 넣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에 설치된, 상기 탈락 방지 부재의 고정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
  9. 피흡착 물질을 함유하는 가스의 유로 중에 설치되며,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를 통과시키는 흡착 로터에 구비되는 로터 소자이며,
    상기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과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는,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소자.
  10.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와, 상기 복수의 판 부재와 상기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피흡착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에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흡착 로터의 제법이며,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 로터의 제법.
  11. 회전축의 주위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판 부재 및 당해 복수의 판 부재의 단부를 연결하는 통 형상의 외측 에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수용되며, 피흡착 물질을 포함하는 가스가 통과할 때에 상기 피흡착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의 각각과 고정되며, 상기 판 부재로부터의 상기 흡착 부재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로터 소자의 제법이며,
    상기 탈락 방지 부재를, 상기 흡착 부재와 상기 판 부재 사이이며, 또한 상기 가스가 상기 흡착 부재에 유입되는 면과 유출되는 면보다도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탈락 방지 부재와 상기 흡착 부재를 접착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 소자의 제법.
KR1020177021496A 2016-08-17 2016-08-17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KR101948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3989 WO2018033971A1 (ja) 2016-08-17 2016-08-17 吸着ローター、ローター素子、吸着ローターの製法及びローター素子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47A KR20180029947A (ko) 2018-03-21
KR101948458B1 true KR101948458B1 (ko) 2019-02-14

Family

ID=6119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496A KR101948458B1 (ko) 2016-08-17 2016-08-17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27233B2 (ko)
EP (1) EP3501621B1 (ko)
JP (1) JP6408162B2 (ko)
KR (1) KR101948458B1 (ko)
CN (1) CN108136315A (ko)
TW (1) TWI642470B (ko)
WO (1) WO20180339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641A (ja) * 2001-10-29 2003-05-07 Daikin Ind Ltd 吸着ロ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装置
JP2004025132A (ja) 2002-06-28 2004-01-29 Seibu Giken Co Ltd 吸着ローター
JP2004113844A (ja) 2002-09-24 2004-04-15 Seibu Giken Co Ltd ハニカム状吸着ロータ
JP2013132603A (ja) * 2011-12-27 2013-07-08 Seibu Giken Co Ltd 吸着ロ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2278A (en) * 1949-07-05 1952-11-05 David Dalin Improvements in regenerative type heat exchangers
US3789916A (en) * 1971-04-06 1974-02-05 Munters Ab Carl Rotor for exchangers of the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two gas currents
US5057128A (en) * 1990-07-03 1991-10-15 Flakt, Inc. Rotary adsorption assembly
US5595238A (en) 1994-09-16 1997-01-21 Engelhard/Icc Rotatably supported regenerative fluid treatment wheel assemblies
AU739021B2 (en) * 1998-01-06 2001-10-04 Airxchange, Inc. Rotary heat exchange wheel
US6527837B2 (en) * 2000-03-30 2003-03-04 Nichias Corporation Rotor and sealing device for rotary adsorber
JP3482409B1 (ja) * 2002-05-30 2003-12-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減湿装置及び減湿方法
CN104067005B (zh) 2011-12-15 2016-01-20 佛吉亚内部系统印度私人有限公司 形成车辆的一部分的组件及用来生产该组件的元件的方法
TWI549739B (zh) 2014-12-12 2016-09-21 張豐堂 轉輪、流體處理設備、轉輪處理材塊體之拆卸方法及轉輪處理材支架之拆卸方法
TWI624297B (zh) * 2016-11-22 2018-05-21 傑智環境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較佳結構強度的轉輪結構及包括該轉輪結構的流體處理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6641A (ja) * 2001-10-29 2003-05-07 Daikin Ind Ltd 吸着ロ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吸着装置
JP2004025132A (ja) 2002-06-28 2004-01-29 Seibu Giken Co Ltd 吸着ローター
JP2004113844A (ja) 2002-09-24 2004-04-15 Seibu Giken Co Ltd ハニカム状吸着ロータ
JP2013132603A (ja) * 2011-12-27 2013-07-08 Seibu Giken Co Ltd 吸着ロ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1621B1 (en) 2021-07-14
EP3501621A1 (en) 2019-06-26
US11027233B2 (en) 2021-06-08
WO2018033971A1 (ja) 2018-02-22
JP6408162B2 (ja) 2018-10-17
TWI642470B (zh) 2018-12-01
KR20180029947A (ko) 2018-03-21
EP3501621A4 (en) 2020-05-27
TW201806658A (zh) 2018-03-01
JPWO2018033971A1 (ja) 2018-08-16
CN108136315A (zh) 2018-06-08
US20180264397A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465B2 (en)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JP4948780B2 (ja) カラーを有するピンを用いて部品をともに締め付けるためのファスナシステム
JP2009250606A (ja) 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インピンジメントスリーブ及びその組立方法
KR101948458B1 (ko) 흡착 로터, 로터 소자, 흡착 로터의 제법 및 로터 소자의 제법
KR101741628B1 (ko) 캘리퍼 가공용 지그
US9650931B2 (e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145305U (ja) ストレーナ
JP2011047603A (ja) フィルタ外枠の取付構造
JP6323832B2 (ja) チューブ
JP4268474B2 (ja) ゴムライニングロール
KR20150065348A (ko) 에어 필터 및 그 제작방법
RU2684374C1 (ru) Фланец патрона и фильтрующая установка
JP2582571Y2 (ja) 管路支持装置
JP2016130549A (ja) ガスケットホルダおよびフランジ継ぎ手構造
KR101491859B1 (ko)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KR20080052747A (ko) 차량의 허브베어링 이탈방지구조
JP2003097551A (ja) 軸受の予圧構造
JP5616875B2 (ja) 自転車用クランク軸装置
KR20210124989A (ko) 자동차용 휠 스페이서 디스크
CN112744027A (zh) 车轮
EP2156058A1 (en) Engine alignment tool
KR20190007411A (ko) 철도 차량 차륜 및 대응 제조 방법
JP2006218897A (ja) 複輪のリム構造
JP2013100840A (ja) シール部材とそれを備えたシール構造及びミスト除去装置
JP2010119907A (ja) 除湿ロータの外周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