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59B1 -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59B1
KR101491859B1 KR20080125146A KR20080125146A KR101491859B1 KR 101491859 B1 KR101491859 B1 KR 101491859B1 KR 20080125146 A KR20080125146 A KR 20080125146A KR 20080125146 A KR20080125146 A KR 20080125146A KR 101491859 B1 KR101491859 B1 KR 101491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support member
support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2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720A (ko
Inventor
이종순
이춘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2008012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30Seat or seat parts characterised by comprising plural parts or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가공 및 정밀 조립작업을 배제하고도 구멍에 삽입된 샤프트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확보함과 아울러, 구멍과 샤프트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샤프트, 회전, 지지, 진동, 소음

Description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Rotatable Supporting Structure of Shaft}
본 발명은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가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한 부재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유격이 제거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용 시트에서 구멍에 결합하여 회전하는 샤프트를 가진 가장 일반적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시트베이스(500)의 구멍에 샤프트(502)가 삽입되는 구조이며, 상기 시트베이스(500)에는 보강브라켓(504)이 장착된 구성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베이스(500) 및 보강브라켓(504)의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샤프트(502)의 회전 가능성 및 적절한 조립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베이스(500) 및 보강브라켓(504)의 구멍과 상기 샤프트(502)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506)가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틈새(506)는 차량의 출발 및 제동시에 유격으로 작용하여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현재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밀가공을 통해 상기 틈새(506)를 가급적 줄이고, 세심한 조립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시트의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밀가공 및 정밀 조립작업을 배제하고도 구멍에 삽입된 샤프트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확보함과 아울러, 구멍과 샤프트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는
원형 단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1지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지지구멍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지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2지지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결합상태는, 상기 제1지지구멍과 제2지지구멍이 서로 엇갈리게 편심되어, 상기 제1지지구멍과 제2지지구멍의 내측면이 상 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은 각각 정원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 중 어느 하나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률확대부를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를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 곡률확대부를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서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는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베이스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베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브라켓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밀가공 및 정밀 조립작업을 배제하고도 구멍에 삽입된 샤프트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확보함과 아울러, 구멍과 샤프트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원형 단면의 샤프트(1)와; 상기 샤프트(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1지지구멍(3)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가 상기 제1지지구멍(3)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5)와; 상기 샤프트(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지지구멍(4)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1)가 상기 제2지지구멍(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5)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제2지지부재(7)의 결합상태는, 상기 제1지지구멍(3)과 제2지지구멍(4)이 서로 엇갈리게 편심되어, 상기 제1지지구멍(3)과 제2지지구멍(4)의 내측면이 상기 샤프트(1)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5)의 제1지지구멍(3)과 상기 제2지지부재(7)의 제2지지구멍(4)은 각각 정원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원형 단면의 샤프트(1)를 상기 제1지지구멍(3) 및 제2지지구멍(4)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1)를 기준으로 상기 제1지지구멍(3)과 제2지지구 멍(4)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치우쳐져서 그 내주면들이 상기 샤프트(1)에 접촉한 상태를 확보한 후,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제2지지부재(7)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샤프트(1)의 상측과 하측에 틈새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1)가 상기 제1지지부재(5) 및 제2지지부재(7)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와 제1지지부재(5) 및 제2지지부재(7)가 차량에 탑재되는 임의의 부품들일 때,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제2지지부재(7)에 대한 상기 샤프트(1)의 회전가능성을 확보하면서도, 차량의 출발 및 정지 등과 같이 진동과 소음이 유발될 수 있는 상황에서, 상호간의 유격이 발생하지 않아서, 이들 부품들 사이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그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5)의 제1지지구멍(3)과 상기 제2지지부재(7)의 제2지지구멍(4) 중 어느 하나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1)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9)를 구비하고; 상기 곡률확대부(9)를 상기 샤프트(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상기 제2지지부재(7)가 결합된 구조이다.
즉, 상기 곡률확대부(9)가 상기 제2지지부재(7)의 제2지지구멍(4)에 형성된 경우를 보면, 상기 제2지지구멍(4)은 상기 샤프트(1)가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크 기로 형성되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그 상측 일부에 곡률이 상기 샤프트(1)의 외주면 곡률보다 커지는 국부적인 곡률확대부(9)를 형성하고, 이 부위가 상기 샤프트(1)를 향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5)에 제2지지부재(7)가 결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의 하측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5)의 제1지지구멍(3)과 접촉하고, 상측의 곡률확대부(9) 양쪽에서는 상기 제2지지부재(7)의 제2지지구멍(4)이 상기 샤프트(1)와 접촉한 상태로서, 상기 샤프트(1)의 둘레에 3개 지점에서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1)의 회전은 가능하되 진동하거나 소음을 발생시키지는 않은 구조가 확보된 것이다.
물론, 상기 곡률확대부(9)가 형성되는 부재는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곡률확대부(9)를 모두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부재(5)의 제1지지구멍(3)과 상기 제2지지부재(7)의 제2지지구멍(4)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1)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9)를 상기 샤프트(1)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각각 구비하고;
상기 두 곡률확대부(9)를 상기 샤프트(1)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서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상기 제2지지부재(7)가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1) 주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지점에서 샤프트(1)가 틈새 없이 상기 제1지지부재(5) 또는 제2지지부재(7)에와 접촉된 상태로 가이드되게 되어, 회전은 자유로운 상태이지만, 진동이 발생하거나 소음이 발생하지는 않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은 모두 상기 샤프트(1)가 처음에 삽입되기에는 용이하게 충분히 큰 지지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조립 작업시에 정밀 조립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각 부품의 정밀도도 높게 할 필요가 없어서 종래의 문제점인 제조비용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지지부재(5)는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베이스로 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7)는 상기 시트베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브라켓으로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들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야 하는 부품들의 지지구조를 본 발명에 따라 구현하여, 상대적인 유격을 제거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의 염려를 배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자동차용 시트를 이루는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를 도 2와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샤프트 3; 제1지지구멍
4; 제2지지구멍 5; 제1지지부재
7; 제2지지부재 9; 곡률확대부

Claims (5)

  1. 원형 단면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1지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지지구멍에 삽입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제2지지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2지지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결합상태는, 상기 제1지지구멍과 제2지지구멍이 서로 엇갈리게 편심되어, 상기 제1지지구멍과 제2지지구멍의 내측면이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은 각각 정원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 중 어느 하나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률확대부를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보다 곡률이 큰 곡률확대부를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지지구멍과 상기 제2지지부재의 제2지지구멍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곡률확대부들을 상기 샤프트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서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는 차량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베이스이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베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강브라켓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KR20080125146A 2008-12-10 2008-12-10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KR10149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5146A KR101491859B1 (ko) 2008-12-10 2008-12-10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5146A KR101491859B1 (ko) 2008-12-10 2008-12-10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20A KR20100066720A (ko) 2010-06-18
KR101491859B1 true KR101491859B1 (ko) 2015-02-09

Family

ID=4236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5146A KR101491859B1 (ko) 2008-12-10 2008-12-10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461B1 (ko) 2004-04-06 2006-03-1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리클라이너용 샤프트 소음 및 진동방지구
KR20060109814A (ko) * 2003-08-06 2006-10-23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피팅
JP2007325772A (ja) 2006-06-08 2007-12-20 Shiroki Corp 車両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814A (ko) * 2003-08-06 2006-10-23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시트용 피팅
KR100559461B1 (ko) 2004-04-06 2006-03-1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리클라이너용 샤프트 소음 및 진동방지구
JP2007325772A (ja) 2006-06-08 2007-12-20 Shiroki Corp 車両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20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2918B1 (en) Vibration-damping device
CN107921862B (zh) 微型剪切毂双环隔离器
JP2012251583A (ja) 部品締結構造
US11976703B2 (en) Bearing and bearing arrangement
JP2012101756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2010520965A (ja) カムシャフトを支承するための軸受け装置の改良された構成を有する、燃料を圧送するための高圧ポンプ
WO2018016254A1 (ja) スピーカ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装置
JP6156172B2 (ja) モータ
KR101491859B1 (ko) 샤프트의 회전 지지구조
JP2008185193A (ja) 防振装置
JP6292152B2 (ja) 車両用プロペラシャフト支持構造
JP2009008237A (ja)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JP2015219589A (ja) 車両用ペダル装置の軸受部構造
JP2012137139A (ja) 樹脂部材の締結構造
JP2013181615A (ja) ギヤの騒音低減構造
JP2001221286A (ja) 防振マウント
JP4308491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696386B2 (ja) 固定構造及び駆動装置
JP6703028B2 (ja) 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JP2015172392A (ja) 偏心カム式支持位置調整装置
JP2013064425A (ja) 波動歯車減速機
JP2004217048A (ja) ラックブッシュ
JP2011133034A (ja) 防振部材
US20200398395A1 (en) Fixing member and spindle device
JP2018083469A (ja) ブラケッ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