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828B1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828B1
KR101947828B1 KR1020120051998A KR20120051998A KR101947828B1 KR 101947828 B1 KR101947828 B1 KR 101947828B1 KR 1020120051998 A KR1020120051998 A KR 1020120051998A KR 20120051998 A KR20120051998 A KR 20120051998A KR 101947828 B1 KR101947828 B1 KR 10194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roll
drying furnace
rolls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159A (ko
Inventor
박지향
송관섭
허경헌
안선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828B1/ko
Priority to US13/752,551 priority patent/US9612052B2/en
Priority to CN201310074788.6A priority patent/CN103418534B/zh
Publication of KR20130128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1Handling, e.g. loading or unload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7Arrangements for guiding the feed end or trailing end of the materials, e.g. threading of we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0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건조로 내의 상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및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롤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 구동부는, 피건조체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이송된 후,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모두 이동시키는 건조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극판 건조 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상, 하부롤, 극판을 건조하기 위한 송풍 노즐과 히터, 상기 건조로 내부에서 극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guide rail) 또는 스프라켓(sprocket) 그리고 체인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 하부롤과, 가이드레일이나 스프라켓과 체인 등은 건조로의 내부 벽체에 설치되며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 하부롤이 건조로 내부에 고정되어 있어 극판을 건조로 내부로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극판이 상, 하부롤을 따라 이동하는 중에 끊어질 경우, 가이드레일 또는 스프라켓과 체인을 이용하여 끊어진 극판을 다시 배출구 쪽으로 끌어드리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경우 가이드레일이나 스프라켓과 체인이 건조로 내부의 벽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상, 하부롤과의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끊어진 극판을 다시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피건조체를 건조로 내부로 도입하는 초기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공정 중에 피건조체가 끊어지더라도 건조로 내부 구성 간의 간섭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끊어진 피건조체를 연결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건조로 내의 상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및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롤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 구동부는, 피건조체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이송된 후,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모두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구동부 및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된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피건조체를 연결 및 분리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가변부는 막대 안테나(bar antenna)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집게 또는 걸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장치는 이차전지용 극판 건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건조로 내의 상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및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롤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 구동부는, 피건조체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송될 때,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각각 이동시키되, 피건조체의 이송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구동부 및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을, 이송되는 피건조체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투입구에 인접한 롤부터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롤까지 순차적으로 개별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된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피건조체를 연결 및 분리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가변부는 막대 안테나(bar antenna)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집게 또는 걸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장치는 이차전지용 극판 건조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건조체를 건조로 내부로 도입하는 초기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공정 중에 피건조체가 끊어지더라도 건조로 내부 구성 간의 간섭 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끊어진 피건조체를 연결할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건조체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1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2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3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성과,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1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2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제 3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피건조체 연결부(15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는, 건조로(110), 복수의 건조부(120),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 복수의 하부롤(133a, 133b, 133c), 롤 구동부(140), 피건조체 연결부(150), 및 구동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 장치(100)는 권출부(170)와 권취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로(110)는, 대략 박스(box)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의 일부 영역에 대략 슬릿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는 투입구(111)와 배출구(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111)의 전단에는 권출부(17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권출부(170)는 권취되어 있는 피건조체(10)가 상기 건조로(110)의 투입구(111)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권취부(180)는 건조 공정이 완료되어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피건조체(10)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건조체(10)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된 후, 압연 공정을 거친 극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피건조체(10)를 전극 활물질 코팅 및 압연 공정을 거친 극판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건조부(120)는, 상기 건조로(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송풍 노즐과 히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 노즐은 송풍구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과 하부롤(133a, 133b, 133c)을 따라 안내되는 극판(10)을 향하여 에어(air)를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복수의 건조부(120)는 상기 히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와 습도로 유지되는 열풍을 송풍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과 하부롤(133a, 133b, 133c)은, 상기 건조로(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로(110)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교대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은 제 1 상부롤(131a), 제 2 상부롤(131b) 및 제 3 상부롤(131c)로 구성되고, 복수의 하부롤(133a, 133b, 133c)은 제 1 하부롤(133a), 제 2 하부롤(133b) 및 제 3 하부롤(133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로(110)의 투입구(111)에서 배출구(112) 방향으로 제 1 상부롤(131a), 제 1 하부롤(133a), 제 2 상부롤(131b) 제 2 하부롤(133b), 제 3 상부롤(131c), 및 제 3 하부롤(133c)의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의 구성은 일례일 뿐이며, 반드시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은, 극판(10)을 상기 건조로(110)의 투입구(111)에서 배출구(112)까지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은, 상기 건조로(110) 내부에 위치하는 극판(10)의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롤 구동부(140)에 의해 상,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롤 구동부(140)는, 상기 건조로(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 및 하부롤(133a, 133b, 133c)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 구동부(140)는, 건조로(110)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레일(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각각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롤 구동부(140)의 구동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건조로(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로(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상기 건조로(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12)와 투입구(111)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건조로(110) 내부에 위치하는 극판(10)을 상기 배출구(112)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로(110)의 외부에 있는 극판(10)을 상기 건조로(110)의 내부로 도입하는 초기 공정에서,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인입된 극판(10)을 상기 배출구(112)까지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 중에 극판(10)이 상기 건조로(110)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끊어졌을 경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끊어진 극판(10)과 연결된 후 상기 배출구(112)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투입구(111)에서 배출구(112) 방향으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사이에서 제공되는 빈 공간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빈 공간을 이동하면서 상기 극판(10)을 배출구(112)까지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재(151)와 연결 부재(153)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1)는 몸체(151a) 및 길이 가변부(151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51a)는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상기 건조로(110)의 외부에서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길이 가변부(151b)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길이 가변부(151b)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몸체(151a)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구동 시 상기 몸체(151a)로부터 단계 별로 인출 및 인입되면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길이 가변부(151b)는 막대 안테나(bar antenna)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가변부(151b)는 초기 상태에서 복수 개의 구동 몸체가 상기 몸체(151a) 내에서 겹겹이 둘러싸여 있다가, 구동 시 구동 몸체들이 차례로 인출되며,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할 경우 인출된 구동 몸체가 상기 구동 시 인출 순서의 역순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153)는, 상기 구동 부재(151)의 선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부재(151)의 선단은, 상기 길이 가변부(151b)가 최대의 길이를 갖도록 인출되었을 경우 상기 몸체(151a)와 가장 멀리 위치하는 구동 몸체의 선단부를 의미하며, 초기 상태에서는 복수의 구동 몸체 중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구동 몸체의 선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연결 부재(153)는 집게 또는 걸쇠 등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부재(151)와 극판(10)을 서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153)를 집게 또는 걸쇠의 형태로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 부재(153)는, 극판(10)과 상기 구동 부재(151)를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으며, 연결 시 극판(1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를 구동하는 방식은 모터를 구동원으로 기어를 이용하는 방식과 압축공기 및 진공을 이용하는 방식 등,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160)는, 상기 롤 구동부(140) 및 피건조체 연결부(150)와 각각 연결되어 그들의 구동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16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모두를 상,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제어부(160)는 상기 건조 장치(110)의 초기 공정 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상기 배출구(112) 측에서 상기 투입구(111)까지 연장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와 극판(10)이 연결된 후,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다시 상기 배출구(112)까지 축소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 도중에 극판(10)이 끊어졌을 경우, 상기 구동 제어부(160)는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상기 배출구(112) 측에서 극판(10)이 끊어진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와 극판(10)이 연결된 후, 다시 상기 배출구(112)까지 축소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및 피건조체 연결부(150)의 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1 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1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건조 장치(100)의 건조 준비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상부롤(131a, 131b, 131c)과 하부롤(133a, 133b, 133c)은 각각 초기 위치에 정렬된다. 그리고, 권출부(170)에 권취되어 있는 극판(10)의 선단부가 상기 건조로(110)의 투입구(111)에 위치된다.
다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2) 측에 배치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구동되어 투입구(111)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건조로(110) 내부의 어떠한 구성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와 극판(10)이 연결된다.
다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극판(10)이 상기 배출구(112)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축소되며, 상기 건조로(110) 내부의 어떠한 구성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150)와 극판(10)이 분리되며, 배출구(112)로 이송된 극판(10)은 권취부(180)와 연결된다.
다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건조 공정 준비 단계가 완료된다.
이후, 상기 권출부(170)와 권취부(180)가 회전하면서, 극판(10)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을 따라서 건조로(110)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극판(10)이 상기 건조로(1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건조부(120)에 의해 건조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2 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2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건조 장치(100)의 제 2 구동 방식은, 상기 제 1 구동 방식과 달리, 극판(10)이 권출부(170)과 권취부(180) 사이에 연결된 후,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을 모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롤만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은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3 구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3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건조 장치(100)의 제 3 구동 방식은, 상기 제 2 구동 방식과 달리, 극판(10)이 권출부(170)와 권취부(180) 사이에 연결된 후,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을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은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제 1 구동 방식은 제 2 및 제 3 구동 방식과 비교하면, 제 1 내지 제 3 상부롤(131a, 131b, 1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133a, 133b, 133c)을 모두 이동시킴으로써, 건조로(110) 내부에서 극판(10)의 이동 경로를 최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구동 방식은, 일부의 롤만 구동되고, 나머지 롤들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롤 구동부의 설치 및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구성과, 상기 건조 장치(200)의 제 1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는, 건조로(210), 복수의 건조부(220), 복수의 상부롤(231a, 231b, 231c), 복수의 하부롤(233a, 233b, 233c), 롤 구동부(240), 피건조체 연결부(250), 및 구동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건조 장치(200)는 권출부(270)와 권취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건조로(210), 건조부(220), 상부롤(231a, 231b, 231c), 하부롤(233a, 233b, 233c), 롤 구동부(240), 피건조체 연결부(250), 및 구동 제어부(26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의 건조로(110), 건조부(120), 상부롤(131a, 131b, 131c), 하부롤(133a, 133b, 133c), 롤 구동부(140), 피건조체 연결부(150), 및 구동 제어부(16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단, 상기 구동 제어부(260)가 롤 구동부(240)와 피건조체 연결부(250)를 구동 및 제어하는 방식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제어부(260)는, 복수의 상부롤(231a, 231b, 231c)과 하부롤(233a, 233b, 233c)을 초기 공정을 준비하기 위해 극판(10)이 이송되는 위치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개별 구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구동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10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제 1 구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조 장치(200)의 건조 준비 단계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231a, 231b, 2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233a, 233b, 233c)은 각각 초기 위치에 정렬된다. 그리고, 권출부(270)에 권취되어 있는 극판(10)의 선단부가 상기 건조로(210)의 투입구(211)에 위치된다.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212) 측에 배치된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가 구동되어 투입구(211)까지 연장되면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상부롤(231a, 231b, 231c)과 제 1 내지 제 3 하부롤(233a, 233b, 233c)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건조로(210) 내부의 어떠한 구성과도 접촉되지 않는다. 이후,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와 극판(10)이 연결된다.
다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가 초기 상태로 복귀하려는 동작을 시작하며, 상기 극판(10)은 상기 배출구(212) 쪽으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는 제 1 상부롤(231a)과 제 1 하부롤(233a)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축소되면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제 1 상부롤(231a)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하부롤(233a)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는 제 2 상부롤(231b)과 제 2 하부롤(233b)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축소되면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제 2 상부롤(231b)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2 하부롤(233b)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다음,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가 제 3 상부롤(231c)과 제 3 하부롤(233c)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면, 상기 극판(10)은 배출구(212)까지 이송된다. 이후, 상기 제 3 상부롤(231c)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3 하부롤(233c)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와 극판(10)이 분리되며, 상기 건조로(210)의 배출구(212)로 이송된 극판(10)은 권취부(280)와 연결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제 2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제 2 구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조 장치(200)의 제 2 구동 방식은, 상기 제 1 구동 방식과 달리, 극판(10)이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250)에 의해 배출구(212)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부롤(231a, 231b, 231c)과 하부롤(233a, 233b, 233c)을 모두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롤만을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3 상부롤(231a, 231b, 231c)만을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롤(231a, 231b, 231c)은 하부롤(233a, 233b, 233c)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제 3 구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 장치(200)의 제 3 구동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건조 장치(200)의 제 3 구동 방식은, 상기 제 2 구동 방식과 달리, 제 1 내지 제 3 하부롤(233a, 233b, 233c)만을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하부롤(233a, 233b, 233c)은 제 1 내지 제 3 상부롤(231a, 231b, 231c)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건조체를 투입구에서 배출구까지 연결하는 초기 공정 준비 또는 공정 진행 과정에 있어서, 건조로 내부의 구조물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초기 공정이 용이해지며, 보다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200: 건조 장치
110, 210: 건조로
111, 211: 투입구
112, 212: 배출구
120, 220: 건조부
131a, 231a: 제 1 상부롤
131b, 231b: 제 2 상부롤
131c, 231c: 제 3 상부롤
133a, 233a: 제 1 하부롤
133b, 233b: 제 2 하부롤
133c, 233c: 제 3 하부롤
140, 240: 롤 구동부
150, 250: 피건조체 연결부
151: 구동 부재
151a: 몸체
151b: 길이 가변부
153: 연결 부재
160, 260: 구동 제어부
170, 270: 권출부
180, 280: 권취부

Claims (20)

  1.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건조로 내의 상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롤 구동부; 및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된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피건조체를 연결 및 분리시키고, 집게 또는 걸쇠의 형태로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막대 안테나(bar antenna) 형태의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 구동부는, 피건조체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까지 이송된 후,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모두 이동시키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하여 상기 건조로 내부의 구성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피건조체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된 후 압연 공정을 거친 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구동부 및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설치되며, 피건조체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
    상기 건조로 내의 상하부에 교대로 배치된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롤 구동부; 및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 설치된 피건조체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건조로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배출구와 상기 투입구 사이를 직선 왕복 운동하며,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배출구까지 연결시키는 구동 부재; 및
    상기 구동 부재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와 피건조체를 연결 및 분리시키고, 집게 또는 걸쇠 형태로 형성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몸체; 및 상기 몸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되어 길이가 가변되는 막대 안테나(bar antenna) 형태의 길이 가변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 구동부는, 피건조체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로 이송될 때,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상부롤을 하방으로 상기 하부롤을 상방으로 각각 이동시키되, 피건조체의 이송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개별 이동시키고,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는, 상기 건조로 내부의 피건조체를,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이송하여 상기 건조로 내부의 구성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피건조체는 전극 활물질이 코팅된 후 압연 공정을 거친 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롤 구동부 및 상기 피건조체 연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롤과 하부롤을, 이송되는 피건조체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투입구에 인접한 롤부터 상기 배출구에 인접한 롤까지 순차적으로 개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51998A 2012-05-16 2012-05-16 건조 장치 KR10194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98A KR101947828B1 (ko) 2012-05-16 2012-05-16 건조 장치
US13/752,551 US9612052B2 (en) 2012-05-16 2013-01-29 Drying device
CN201310074788.6A CN103418534B (zh) 2012-05-16 2013-03-08 干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998A KR101947828B1 (ko) 2012-05-16 2012-05-16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159A KR20130128159A (ko) 2013-11-26
KR101947828B1 true KR101947828B1 (ko) 2019-02-13

Family

ID=4958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998A KR101947828B1 (ko) 2012-05-16 2012-05-16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12052B2 (ko)
KR (1) KR101947828B1 (ko)
CN (1) CN1034185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2083B2 (ja) * 2013-07-12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乾燥装置、乾燥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JP6542071B2 (ja) * 2015-08-25 2019-07-1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塗工装置および塗工方法
CN106111491A (zh) * 2016-08-04 2016-11-16 海宁富邦汽车内饰有限公司 一种皮革辊涂机的下料烘干装置
CN107036422A (zh) * 2017-05-31 2017-08-11 成都璐城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材自动烘干设备
CN107543396A (zh) * 2017-08-23 2018-01-05 深睡(天津)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新型纺织烘干设备及其使用方法
CN109985775B (zh) * 2019-05-15 2024-02-02 涿州皓原箔业有限公司 一种渐变铝箔生产设备及生产工艺
CN112629214B (zh) * 2020-12-22 2022-07-01 深圳市成天泰电缆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生产用旋转式烘烤装置
CN113587612A (zh) * 2021-06-19 2021-11-02 江苏雅高酒店配套用品有限公司 一种受热均匀的纺织布料烘干设备
CN113580441B (zh) * 2021-07-24 2023-01-24 安徽工程大学 一种电磁屏蔽膜生产用薄膜干燥装置
CN113701481B (zh) * 2021-09-08 2022-08-12 南通好心情家用纺织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式布料烘干装置
CN114645102B (zh) * 2022-03-23 2022-11-11 靖江市星光皮件制衣有限公司 一种皮革加工工艺及其生产线
CN116951938A (zh) * 2023-09-21 2023-10-27 石狮市东奇机械制造有限公司 布料烘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607B2 (ja) * 1988-08-20 1996-10-09 新東工業株式会社 樹脂シ―ト切り出し装置
JP2003227684A (ja) 2002-02-04 2003-08-15 Sanbetsuku:Kk 乾燥装置
JP2005069576A (ja) * 2003-08-25 2005-03-17 Tsudakoma Corp 熱風乾燥装置
JP2012050954A (ja) 2010-09-03 2012-03-15 Inoue Kinzoku Kogyo Co Ltd 両面同時塗工・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482A (en) * 1987-02-24 1987-12-08 N/C Industries Reaching aid for the handicapped
US5039485A (en) 1990-09-26 1991-08-13 Union Carbide Industrial Gases Technology Corporation Sterilization method
US5333771A (en) * 1993-07-19 1994-08-02 Advance Systems, Inc. Web threader having an endless belt formed from a thin metal strip
DE4325251C5 (de) * 1993-07-28 2006-07-13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Vorrichtung zum Einziehen von Bedruckstoffbahnen durch einen Trockner
US5992789A (en) * 1995-11-22 1999-11-30 Energy Saving Products And Sales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unwind machine
JP4095036B2 (ja) 2002-03-22 2008-06-04 ジョン−ハク リー バイオシート材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JP2004210489A (ja) * 2003-01-06 2004-07-29 Bridgestone Corp 線状体の一時貯留方法および装置
US7458540B2 (en) * 2003-11-24 2008-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the deceleration and acceleration rates of a sheet material in forming absorbent articles
CN2924440Y (zh) 2006-05-29 2007-07-18 苏州汇科机电设备有限公司 太阳能电池基板烘干炉
JP2010225467A (ja) 2009-03-24 2010-10-07 Toyota Motor Corp 帯状体の乾燥装置
KR101126769B1 (ko) * 2009-09-22 2012-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수의 3상 전원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 히터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제조용 건조 장치
JP5105206B2 (ja) 2009-12-18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乾燥装置
KR101067383B1 (ko) 2009-12-23 2011-09-23 삼광티엘티(주) 에어플로팅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219083B1 (ko) 2010-09-15 2013-01-11 (주) 테크윈 릴투릴 연속 코팅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mmo 어노드 연속 제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mmo 어노드 연속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0607B2 (ja) * 1988-08-20 1996-10-09 新東工業株式会社 樹脂シ―ト切り出し装置
JP2003227684A (ja) 2002-02-04 2003-08-15 Sanbetsuku:Kk 乾燥装置
JP2005069576A (ja) * 2003-08-25 2005-03-17 Tsudakoma Corp 熱風乾燥装置
JP2012050954A (ja) 2010-09-03 2012-03-15 Inoue Kinzoku Kogyo Co Ltd 両面同時塗工・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18534A (zh) 2013-12-04
KR20130128159A (ko) 2013-11-26
US9612052B2 (en) 2017-04-04
US20130305556A1 (en) 2013-11-21
CN103418534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828B1 (ko) 건조 장치
KR101938157B1 (ko) 콘크리트 블록 양생실
US96700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prings with transport wheel
KR20080033269A (ko) 컨베이어 시스템, 및 타이어 전달 방법
WO1995011759A1 (en) Combined coil and blank powder coating apparatus
CN210552463U (zh) 一种多层烘箱
CN2916542Y (zh) 多层网带式烘干机
EP2813791A1 (en) Drying oven for the treatment of textile products and method of operation of said oven
US6640965B2 (en) Installation for conveying bulk materials
JP3741710B1 (ja) パレットの洗浄装置
CN111910064B (zh) 热处理设备
KR10207576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
ITBO960256A1 (it) Metodo ed unita' per la formazione ed il convogliamento di gruppi di prodotti
CN106796082B (zh) 搬送式干燥装置
US7549528B2 (en) Block turning arrangement
SK154394A3 (en) Process and facility for drying and/or baking raw bricks and device for realization of this method
KR102019637B1 (ko) 차량용 에어컨 부품 이송박스 순환장치
EP3329199B1 (en) Drying apparatus for ceramic products
KR200438401Y1 (ko) 파이프 도장 시스템
CN102782431A (zh) 用于热处理连续输送的片材的装置和方法
US20170209872A1 (en) Dust removal apparatus
CN112978232A (zh) 进料机构及烧结混合装置
JP2004518556A (ja) プラスターボードの水和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3203272A (zh) 干燥机
CN110182538A (zh) 弹簧转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