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62B1 -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Google Patents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7762B1 KR101947762B1 KR1020157024528A KR20157024528A KR101947762B1 KR 101947762 B1 KR101947762 B1 KR 101947762B1 KR 1020157024528 A KR1020157024528 A KR 1020157024528A KR 20157024528 A KR20157024528 A KR 20157024528A KR 101947762 B1 KR101947762 B1 KR 1019477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vex portions
- spring
- concave
- stages
- operation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also rotatable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360°회전의 전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클릭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클릭 기구는 전기 부품의 회전 조작축(10)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40)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50)과, 회전판(40)의 외주부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축(10)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외주부의 서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출입 가능하게 된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2개의 클릭 부재(60)와, 회전판(40)을 수용하는 하우징(30)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32, 33)로 이루어진다. 상하 2단의 요철(32, 33)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2개의 클릭 부재(60)는 스프링(50)에 의해 가압되어 주면 부분이 상하 2단의 요철(32, 33)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 조작되는 전기 부품에 있어서, 조작시에 클릭감(절도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클릭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이러한 종류의 클릭 기구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 중, 1은 스위치의 회전 조작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나타내고, 2는 회전판을 나타낸다.
베어링(1)은 부착용 나사가 외주에 형성된 부착부(1a)와, 부착부(1a)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부(1b)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부(1a)에는 회전 조작축이 삽입통과되는 축구멍이 형성되고, 하우징부(1b)에는 축구멍이 개구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의 내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요철(1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2)은 하우징부(1b)에 수용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오목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a)에는 U자형을 이루는 스프링(3)이 수용 배치되고, 또한 스프링(3)의 U자의 양 다리부와 각각 대향하여 회전판(2)에 형성된 절결(2b)에 짧은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는 클릭 부재(4)가 각각 수용 배치되어 있다. 2개의 클릭 부재(4)는 스프링(3)의 양 다리부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하우징부(1b)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1c)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다.
회전판(2)의 축구멍(2c)에는 회전 조작축이 삽입통과되고, 이것에 의해 회전판(2)은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 때, 클릭 부재(4)는 하우징부(1b)의 요철(1c)을 따라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클릭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도 10에 나타낸 종래의 클릭 기구에서는 2개의 클릭 부재(4)는 회전판(2)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하고, 스프링(3)의 양 다리부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하우징부(1b)의 내주면의 동일선상(동일한 요철(1c) 상)을 슬라이딩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클릭 부재(4)가 슬라이딩운동하는 요철(1c)은 회전판(2)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점대칭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예를 들면 360° 회전에서의 클릭수(클릭감의 발생)는 반드시 짝수가 되고, 홀수의 클릭수를 실현할 수는 없고, 예를 들면 360° 회전으로 1회의 클릭수를 얻는다는 것도 불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또, 예를 들면 클릭수를 홀수로 하고 싶은 경우에는 180° 미만의 회전 각도로 사용해야한다는 제약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360° 회전의 전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이 짝수에 한정되지 않고, 클릭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는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회전판의 외주부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고,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외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출입 가능하게 된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2개의 클릭 부재와,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고, 2개의 클릭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주면 부분이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U자의 양 다리부에 의해 2개의 클릭 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절결을 끼우는 각 반부(半部)에 의해 2개의 클릭 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는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고,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그 U자의 양 다리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또한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고, 볼록부는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는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고,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절결을 끼우는 각 반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또한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고, 볼록부는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는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된 판재 혹은 선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링과,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고, 2개의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2개의 스프링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U자의 다리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고, 볼록부는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는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된 판재 혹은 선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링과,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고, 2개의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2개의 스프링의 절결을 끼우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반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고, 볼록부는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는 U자형상을 이루고, 스프링이 접혀구부러져 형성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스프링에 일체 성형되어 형성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일주에 걸쳐 소정의 피치로 홀수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1개소에 형성되고, 또한 상하 2단의 요철의 볼록한 부분은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릭감을 발생시키기 위한 2개의 클릭 부재 혹은 스프링에 일체 형성된 2개의 볼록부는 서로 상이한 요철 상을 슬라이딩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릭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360° 회전의 전역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릭 기구의 일 실시예를 구비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평면도, 2b는 그 D-D선 단면도, 2c는 그 저면도.
도 3a는 도 1에 있어서의 상측 접촉자 홀더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3b는 도 1에 있어서의 하측 접촉자 홀더와 그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a는 도 1에 있어서의 클릭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4b는 그 사시도.
도 5a, b는 회전판과 클릭 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c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스프링의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c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스프링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7d는 7a~c의 스프링에 대응하는 회전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릭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스위치 부착 가변저항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하측 케이스의 평면도, 9b는 도 8에 있어서의 상측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의 클릭 기구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평면도, 2b는 그 D-D선 단면도, 2c는 그 저면도.
도 3a는 도 1에 있어서의 상측 접촉자 홀더와 그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3b는 도 1에 있어서의 하측 접촉자 홀더와 그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자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4a는 도 1에 있어서의 클릭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4b는 그 사시도.
도 5a, b는 회전판과 클릭 부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c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스프링의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c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스프링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7d는 7a~c의 스프링에 대응하는 회전판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릭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스위치 부착 가변저항기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9a는 도 8에 있어서의 하측 케이스의 평면도, 9b는 도 8에 있어서의 상측 케이스의 평면도.
도 10은 종래의 클릭 기구의 일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클릭 기구를 구비한 전기 부품의 일례로서, 회전 조작형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는 회전 조작축(10)과 베어링(20)과 링(29)과 하우징(30)과 회전판(40)과 스프링(50)과 클릭 부재(60)와 중간판(70)과 접촉자를 유지한 하측 접촉자 홀더(80)와 회전자(90)와 접촉자를 유지한 상측 접촉자 홀더(100)와 커버(110)와 리벳(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 조작축(10)은 조작부(11)와, 조작부(11)의 선단으로부터 동일축으로 연장되고, 조작부(11)보다 직경이 작은 유지부(12)와, 유지부(12)의 선단으로부터 동일축으로 연장되고, 유지부(12)보다 직경이 작은 구동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12)의 선단측에는 환형상홈(12a)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3)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잘려져 형성된 2개의 서로 평행한 평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조작축(10)은 수지 또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베어링(20)은 부착용 나사가 외주에 형성된 부착부(21)와, 부착부(2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플랜지(22)를 가지고 있다. 부착부(21)에는 중심에 회전 조작축(10)의 유지부(12)가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통과되는 축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2)의 상면측에는 축구멍(23)과 동일축에 원형의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 축구멍(23)이 개구하고 있다. 플랜지(22)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오목부(24)의 측벽부에는 측벽부가 잘려진 걸어맞춤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22)의 상면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5)가 형성되어 있는 측변과 대향하는 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돌기(26, 27)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6)는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고, 위치 결정 돌기(27)은 긴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22)의 상면의 1세트의 대각각부에 고정 구멍(2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20)은 수지 또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하우징(30)은 베어링(20)의 플랜지(22)와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 플랜지(22)의 오목부(24)와 동일 직경의 개구(31)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개구(31)의 내주면에는 상하 2단, 둘레 방향으로 산곡형상을 이루는 요철이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단의 요철(32)과 하단의 요철(33)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정확히 반대가 되도록 어긋나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상면에는 1세트의 대각각부에 위치 결정 구멍(34a)이 각각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각부에 고정 구멍(3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20)의 위치 결정 돌기(26, 27)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 구멍(35, 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0)의 걸어맞춤 오목부(25)에 끼워맞춰지는 걸어맞춤 볼록부(37)가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수지 또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회전판(40)은 원형을 이루고,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회전판(40)의 상면에는 대략 U자형을 이루는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에 있어서의 U자의 일방의 다리부를 이루는 부분에는 오목부(41)와 연통하여 회전판(40)의 외주면에 이르는 절결(42)이 형성되고, U자의 타방의 다리부를 이루는 부분에는 오목부(41)와 연통하여 회전판(40)의 외주면에 이르는 창(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42)과 창(43)은 회전판(40)의 외주부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결(42)은 회전판(40)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창(43)은 회전판(40)의 하면측에 위치하며, 위치하는 높이가 어긋나 있다.
회전판(40)의 하면에는 베어링(20)의 축구멍(23)에 삽입되는 축부(44)가 형성되고, 축부(44)에는 도 1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회전 조작축(10)의 구동부(13)가 삽입통과되는 축구멍(45)(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판(40)의 상면측에는 축부(44)의 축구멍(45)과 연통하고, 축구멍(45)보다 직경이 큰 축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46)에는 그 내주의 1개소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키(47)가 형성되고, 걸어맞춤 키(47)와 대향하는 축구멍(46)의 내주에는 회전 조작축(10)의 구동부(13)에 형성되어 있는 평면(13a)의 일방과 합치하는 형상의 돌출부(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구멍(46)의 직경은 후술하는 회전자(90)의 회전축(91)이 삽입되어 걸어맞춰질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프링(50)은 U자형을 이루고, 이 예에서는 협폭의 금속판 스프링재가 U자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클릭 부재(60)는 짧은 원기둥형상으로 되어 있고, 2개 사용된다. 클릭 부재(60)는 금속 또는 수지제로 되어 있다.
중간판(70)은 하우징(30)과 동일한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 축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71)의 직경은 후술하는 회전자(90)의 회전축(91)이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중간판(70)에는 그 1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구멍(72a)이 형성되고, 1세트의 대각각부에 각각 고정 구멍(72b)이 형성되며, 또 다른 1세트의 대각각부의 하면에는 위치 결정 돌기(7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간판(70)은 예를 들면 수지제로 되어 있다.
도 2는 회전자(9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며, 도 2a는 평면도, 도 2b은 도 2a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2c는 저면도를 나타낸다.
회전자(90)는 회전축(91)과, 회전축(91)의 길이 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회전축(91)과 동일축의 디스크부(92)와, 디스크부(92)에 유지된 슬라이딩운동 접촉편(93)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a 및 도 2c에 있어서는 슬라이딩운동 접촉편(93)에 점을 찍어 나타내고 있다.
회전축(91)에는 회전 조작축(10)의 구동부(13)와 걸어맞춰지는 축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91)의 하단에는 회전판(40)의 걸어맞춤 키(47) 및 돌출부(48)와 각각 걸어맞춰지는 절결(95, 96)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95, 96)은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회전축(91)은 절결(95, 96)의 축방향 길이만큼 회전판(40)의 축구멍(46)에 삽입된다.
슬라이딩운동 접촉편(93)은 상측 접촉편(93a)과 하측 접촉편(93b)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1장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측 접촉편(93a)과 하측 접촉편(93b)은 겹쳐져 있다.
상측 접촉편(93a)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심의 서로 인접하는 2개의 환형상 영역에 각각 원호형상의 접촉 영역(노출 영역)을 가지고 있다. 외측의 환형상 영역에는 소정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는 1개의 접촉 영역(93a1)이 형성되고, 내측의 환형상 영역에는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는 2개의 접촉 영역(93a2, 93a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접촉편(93b)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접촉편(93a)의 2개의 환형상 영역과 동일한(동일 직경의) 2개의 환형상 영역과, 또한 내주측에 인접하여 또 하나의 환형상 영역을 가지고 있다. 외측의 환형상 영역에는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는 4개의 접촉 영역(93b1, 93b2, 93b3, 93b4)이 형성되고, 중간의 환형상 영역에는 각각 소정의 각도 범위를 차지하는 2개의 접촉 영역(93b5, 93b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의 환형상 영역에는 환형상(360°)의 접촉 영역(93b7)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는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상면과, 조립된 상태로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자(90)의 상면을 나타낸 것이다.
하우징부(30)와 동일한 직사각형의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하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101)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101)의 천정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101)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103)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103)와 인접하여 동일 폭으로 측벽부가 잘려진 걸어맞춤 오목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1세트의 대각각부에는 위치 결정 구멍(105a)이 각각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각부에는 고정 구멍(10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107b, 108b, 109b)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돌기(106)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100)는 3개의 접촉자(107a, 108a, 109a)와 그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단자(107b, 108b, 109b)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접촉자(107a, 108a, 109a)는 창(102)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90)의 슬라이딩운동 접촉편(93)에 규정한 3개의 환형상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접촉자(107a, 108a, 109a)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영역에 있어서 2점 접촉시킴으로써 접촉의 안정성(신뢰성)과 수명을 높이고 있다.
도 3b는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하면과, 조립된 상태로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자(90)의 하면을 나타낸 것이다.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구조는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구조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품으로서 형성한 접촉자 홀더를 상하의 방향을 바꾸어서 상측용, 하측용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상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1)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81)의 바닥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82)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81)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83)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83)와 인접하여 동일 폭으로 측벽부가 잘려진 걸어맞춤 오목부(84)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1세트의 대각각부에는 위치 결정 구멍(85a)이 각각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각부에는 고정 구멍(8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87b, 88b, 89b)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 결정 돌기(86)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80)는 3개의 접촉자(87a, 88a, 89a)와 그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단자(87b, 88b, 89b)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접촉자(87a, 88a, 89a)는 창(82)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90)의 슬라이딩운동 접촉편(93)에 규정한 3개의 환형상 영역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 접촉자(87a, 88a, 89a)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영역에 있어서 2점 접촉하고 있다.
커버(110)는 중간판(70)과 동일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간판(70)과 마찬가지로, 축구멍(111), 2개의 위치 결정 구멍(112a), 2개의 고정 구멍(112b) 및 2개의 위치 결정 돌기(113)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110)는 예를 들면 수지제로 되어 있다.
각 부의 조립은 이하와 같이 행해진다.
회전 조작축(10)은 베어링(20)에 삽입통과되고, 그 유지부(12)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환형상홈(12a)에 링(29)을 장착함으로써 빠짐이 방지된다.
하우징(30)은 베어링(20)의 플랜지(22) 상에 탑재된다. 이 때, 플랜지(22)의 위치 결정 돌기(26, 27)는 하우징(30)의 위치 결정 구멍(35, 36)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하우징(30)의 걸어맞춤 볼록부(37)가 플랜지(22)의 걸어맞춤 오목부(25)에 끼워맞춰진다.
회전판(40)은 그 축부(44)의 축구멍(45) 및 그것과 연통하는 축구멍(46)에 회전 조작축(10)의 구동부(13)가 삽입통과되어 하우징(30)의 개구(31) 및 개구(31)로 이어지는 베어링(20)의 오목부(24)에 수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2개의 클릭 부재(60)가 회전판(40)의 절결(42) 및 창(43)에 각각 배치된다. 다음에, 스프링(50)이 회전판(40)의 오목부(41)에 수용 배치된다. 이 때, 스프링(50)의 양단부를 예를 들면 핀셋으로 끼워넣고, U자를 좁힘으로써 용이하게 오목부(41)에 집어넣을 수 있다. 또한, 절결(42)로의 클릭 부재(60)의 배치는 스프링(50)을 오목부(41)에 집어넣은 후에 행해도 된다. 2개의 클릭 부재(60)는 스프링(50)과 하우징(30)의 개구(31)의 내주면에 끼워져들어간 상태가 된다.
중간판(70)은 그 축구멍(71)에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고, 회전판(40)을 수용한 하우징(30)의 개구(31)를 위에서 막고 하우징(3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 때, 중간판(70)의 위치 결정 돌기(73)는 하우징(30)의 위치 결정 구멍(34a)에 끼워맞춰진다.
중간판(70)의 위치 결정 구멍(72a)에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위치 결정 돌기(86)가 끼워맞춰지고, 중간판(70) 상에 하측 접촉자 홀더(80)가 위치 결정 고정된다. 그 위에서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1) 내에 회전자(90)의 디스크부(92)의 대략 하반분을 배치하도록, 회전자(90)의 축구멍(94)에 회전 조작축(10)의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면서, 회전축(91)의 하단부를 중간판(70)의 축구멍(71)을 통과시켜 회전판(40)의 축구멍(45)에 삽입하여 걸어맞춘다.
그 회전자(90)의 디스크부(92)의 대략 상반분을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101)에 수용하도록, 회전자(90) 상으로부터 상측 접촉자 홀더(100)를 씌우고, 하측 접촉자 홀더(80)에 겹쳐서 고정한다. 이 때,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걸어맞춤 볼록부(103)와 걸어맞춤 오목부(104)가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걸어맞춤 오목부(84)와 걸어맞춤 볼록부(83)에 각각 끼워맞춰져, 서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커버(110)의 축구멍(111)에 회전자(90)의 회전축(91)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상측 접촉자 홀더(100) 상에 커버(110)를 겹쳐서 위치 결정 돌기(113)를 위치 결정 구멍(105a)에 끼워맞추고, 위치 결정 구멍(112a)에 위치 결정 돌기(106)를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해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접촉자(87a, 88a, 89a)는 회전자(90)의 디스크부(92)의 하면과 탄성 접촉되고,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접촉자(107a, 108a, 109a)는 회전자(90)의 디스크부(92)의 상면과 탄성 접촉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부를 합체한 상태에서, 커버(110)의 고정 구멍(112b), 상측 접촉자 홀더(100)의 고정 구멍(105b), 하측 접촉자 홀더(80)의 고정 구멍(85b), 중간판(70)의 고정 구멍(72b), 하우징(30)의 고정 구멍(34b), 베어링(20)의 고정 구멍(28)에 2개의 리벳(120)을 삽입통과시켜 리벳(120)의 선단을 크림핑함으로써, 각 부가 서로 고정 일체화되어, 스위치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스위치에서는 회전 조작축(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40) 및 회전자(90)가 일체로 회전하고, 회전자(90)의 상측 및 하측 접촉편(93a, 93b)과, 상측 및 하측 접촉자 홀더(100, 80)의 각 접촉자(107a, 108a, 109a 및 87a, 88a, 89a)와의 사이에서 회전 각도에 따른 접리(接離)가 행해져, 필요한 스위치 개폐 신호가 얻어진다.
한편, 회전판(40)의 외주부의 절결(42) 및 창(43)에 각각 위치하고, 회전 조작축(10)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외주부의 서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는 2개의 클릭 부재(60)는 U자형을 이루는 스프링(50)의 U자의 양 다리부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고, 하우징(30)의 개구(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의 요철(32) 및 하단의 요철(33)에 각각 그 주면 부분이 눌려 탄성 접촉되어 있다. 도 4는 이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회전 조작축(10)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 스위치에 있어서의 클릭 기구를 설명한다.
회전 조작축(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40)이 회전하면, 2개의 클릭 부재(60)도 회전판(40)에 추종하여 회전한다. 이 때, 하우징(30)의 개구(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단의 요철(32)을 따라 일방의 클릭 부재(60)가 이동하고, 타방의 클릭 부재(60)는 개구(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하단의 요철(33)을 따라 이동한다. 양 클릭 부재(60)는 회전판(40)으로부터 출입하는 방향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클릭감이 발생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2개의 클릭 부재(60)는 서로 상이한 요철(32, 33) 상을 슬라이딩운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2개의 클릭 부재가 동일한 요철 상(동일한 선 상)을 슬라이딩운동하는 종래예와 같이, 360°회전에서의 클릭수(클릭감의 발생)가 짝수에 한정된다는 제약은 없고, 클릭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상단 및 하단의 요철(32, 33)은 함께 요철의 볼록한 부분을 하우징(30)의 개구(31)의 내주면의 일주에 걸쳐 소정의 피치로 15개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즉 요철을 15회 반복 배열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360° 회전에서의 클릭수=15를 실현하고 있다.
도 5는 회전판 및 클릭 부재의 다른 형상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에서는 2개의 클릭 부재(61)를 대직경부(61a)와 소직경부(61b)로 이루어지는 단차가 있는 원기둥형상으로 하고, 이들 클릭 부재(61)를 수용 배치할 수 있도록 회전판(40A)의 외주면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클릭 부재(61)의 형상과 대응하는 절결(42')을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2개의 클릭 부재(61)는 서로 상하 반대로 배치되고, 대직경부(61a)가 하우징(30)의 요철(32, 33)과 각각 탄성 접촉된다. 도 5b에 나타낸 회전판(40B)은 도 1에 나타낸 회전판(40)에 대하여, 창(4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방에, 회전판(40B)의 상면에 이르는 절결(43a)을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예에서는 2개의 클릭 부재와, 그들 클릭 부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별체로 하고 있지만, 스프링에 볼록부를 일체 형성하고, 그 볼록부를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32, 33)에 탄성 접촉시키도록 하여 클릭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6은 이와 같이 볼록부를 일체 형성한 스프링의 각종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볼록부를 일체 형성한 U자형의 스프링(51)을 2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스프링(51)의 U자의 일방의 다리부에는 볼록부(51a)가 외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51)의 폭은 도 1에 나타낸 스프링(50)의 폭의 대략 1/2로 되어 있고, 금속판 스프링재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51a)는 스프링(51)이 접혀구부러져 U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프링(51)은 회전판(40)의 오목부(41)에 상하 2단으로 겹쳐져 배치되고, 이 때, 2개의 스프링(51)의 볼록부(51a)가 서로 U자의 다리부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겹쳐진다.
2개의 스프링(51)의 볼록부(51a)는 회전판(40)의 외주부의 절결(42) 및 창(43)에 각각 위치되고,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하우징(30)의 상하 2단의 요철(32, 33)에 각각 탄성 접촉된다. 이 예에서는 요철(32, 33)을 따라 스프링(51)에 일체 형성된 볼록부(51a)가 이동하고, 또한 회전판(40)으로부터 출입하는 방향으로 동작함으로써 클릭감이 발생한다.
도 6b는 하우징(30)의 요철(32, 33)과 탄성 접촉하는 볼록부를 수지제로 한 것이며, 이 예에서는 볼록부(52a)는 U자형을 이루는 판스프링(52b)에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볼록부(52a)는 상하 방향(판스프링(52b)의 폭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의 요철(32, 33)과 각각 탄성 접촉하는 볼록부(52a)의 선단면은 반원통면으로 되어 있다.
도 6c는 1개의 U자형의 스프링(53)에 2개의 볼록부(53a)를 접어구부려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예에서는 U자의 양 다리부는 절단되어 폭방향으로 둘로 나뉘고, 그 일방에 볼록부(53a)가 U자형상을 이루도록 접혀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볼록부(53a)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둘로 나뉜 다리부의 상반부에 형성되고, 타방의 볼록부(53a)는 타방의 다리부의 폭방향으로 둘로 나뉜 하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볼록부(53a)가 형성되어 있는 각 다리부의 일반부의 선단에는 타반부에 걸리는 광폭의 절곡부(53b)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스프링(53)의 탄성 가압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예에서는 스프링은 모두 U자형을 이루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스프링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도 7a에 나타낸 스프링(54)은 금속판 스프링재로 이루어지고,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절결을 끼우는 각 반부에 하우징(30)의 요철(32, 33)과 탄성 접촉하는 볼록부(54a)가 서로 외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볼록부(54a)의 형성 부분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방향 하반부가 절결되어 협폭으로 되어 있고, 타방의 볼록부(54a)의 형성 부분은 폭방향 상반부가 절결되어 협폭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2개의 볼록부(54a)는 스프링(54)의 폭방향에 있어서(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도 7b에 나타낸 스프링(55)은 상기 서술한 도 6a에 나타낸 스프링(51)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겹쳐져 2개 사용하는 것이며, 도 6a에 나타낸 스프링(51)에 대하여, 스프링(55)의 형상을 도 7a와 마찬가지로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한 것이다. 2개의 스프링(55)은 볼록부(55a)가 서로 원환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겹쳐진다.
도 7c에 나타낸 스프링(56)은 판재가 아니라 선재를 사용하고, 도 7b에 나타낸 스프링(55)과 마찬가지로 원환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리고, 또한 볼록부(56a)를 접어구부려 일체 형성한 것이다.
도 7d는 이들 도 7a~c에 나타낸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이 수용 배치되는 회전판(40C)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이 예에서는 회전판(40C)은 스프링을 수용하는 원환형상의 오목부(41')와 스프링의 볼록부가 수용 위치되는 2개의 절결(4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41')와 연통하여 회전판(40C)의 외주면에 이르는 또 하나의 절결(4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49)에는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을 이루는 스프링(54~56)의 절결된 부분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54b, 55b, 56b)가 위치된다. 스프링(54(55, 56))을 회전판(40C)에 편입시킬 때는 한 쌍의 연장부(54b(55b, 56b))를 핀셋 등으로 끼워넣고, 원환을 좁힘으로써 용이하게 오목부(41')에 집어넣을 수 있다. 절결(49)은 이 때의 핀셋에 대한 이스케이프부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클릭 부재와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성 대신에, 하우징(30)의 요철(32, 33)과 탄성 접촉하는 볼록부를 일체 형성한 스프링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이 때, 스프링은 1개로 할 수도 있고, 또 2개 겹쳐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볼록부는 스프링을 접어구부려 형성해도 되고, 또 수지에 의해 스프링에 일체 성형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의 형상은 U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스프링은 판재에 한정되지 않고, 선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8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클릭 기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스위치 부착 가변저항기에 클릭 기구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주요부 구성만을 나타낸 것이며, 도 8에 나타내고 있지 않은 회전 조작축(10), 베어링(20), 링(29) 및 리벳(120)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회전판(40)에 스프링(50)과 2개의 클릭 부재(60)가 수용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하측 케이스(130) 및 상측 케이스(140)를 구비하고, 또한 하측 회전자(150)와 상측 회전자(160)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측 케이스(130) 내에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저항기용의 패턴으로서, 집전체 패턴(131)과 저항체 패턴(132)이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 패턴(131)은 환형상을 이루고, 저항체 패턴(132)은 원호형상으로 되어 집전체 패턴(131)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9a 중, 133a~133c는 이들 패턴과 접속되어 외부에 도출되어 있는 단자를 나타낸다.
상측 케이스(140) 내에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용의 패턴으로서, 집전체 패턴(141, 142)이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 패턴(141)은 환형상을 이루고, 다른 일방의 집전체 패턴(142)은 일부가 결손된 환형상으로 되어 집전체 패턴(141)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집전체 패턴(142)의 결손 부분은 스위치로서의 OFF부(OFF 영역)(142a)가 된다. 도 9b 중, 143a~143c는 이들 패턴과 접속되어 외부로 도출되어 있는 단자를 나타낸다.
하측 회전자(150) 및 상측 회전자(160)에는 각각 슬라이딩운동자(151, 161)가 부착되어 있고, 슬라이딩운동자(151)는 하측 케이스(130)의 가변저항기용의 패턴과 슬라이딩접촉하고, 슬라이딩운동자(161)는 상측 케이스(140)의 스위치용의 패턴과 슬라이딩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전 조작축(10)의 회전에 의해 필요한 스위치 개폐 신호(ON/OFF 신호)가 얻어지고, 또한 저항값의 변화 출력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의 개폐 전환시에 클릭감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즉 360°회전으로 1회의 클릭감이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30')의 개구(31)의 내주면에는 360° 회전에서의 클릭수를 1로 하기 위해,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단의 볼록한 부분(32')과 하단의 볼록한 부분(33')은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 예에 의하면, 종래 실현할 수 없었던 360° 회전에서의 클릭수=1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5)
-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로서,
상기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의 외주부의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주부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난 위치로부터 돌출되고, 출입 가능하게 된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2개의 클릭 부재와,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상기 2개의 클릭 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주면 부분이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고,
상기 2개의 클릭 부재의 일방은 항상 상단에 있고, 상기 2개의 클릭 부재의 타방은 항상 하단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U자의 양 다리부에 의해 상기 2개의 클릭 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절결을 사이에 둔 각 반부에 의해 상기 2개의 클릭 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로서,
상기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상기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U자의 양 다리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또한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로서,
상기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배치된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상기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절결을 사이에 둔 각 반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또한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로서,
상기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상기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된 판재 혹은 선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은 U자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U자의 다리부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회전 조작축을 가지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로서,
상기 회전 조작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판에, 상기 회전 조작축의 축심 방향으로 겹쳐서 배치된 판재 혹은 선재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프링과,
상기 회전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축심 방향에 있어서 상하 2단, 각각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은 상기 둘레 방향으로 서로의 요철이 어긋나 있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은 1개소가 절결된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절결을 끼우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는 반부(半部)에, 서로 외부방향으로 볼록부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회전판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에 각각 탄성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U자형상을 이루고, 상기 스프링이 접혀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수지제로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에 일체 성형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일주(一周)에 걸쳐 소정의 피치로 홀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1개소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의 볼록한 부분은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일주(一周)에 걸쳐 소정의 피치로 홀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일주(一周)에 걸쳐 소정의 피치로 홀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1개소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의 볼록한 부분은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의 볼록한 부분이 상기 내주면의 1개소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상하 2단의 요철의 볼록한 부분은 서로 180°를 이루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3/065893 WO2014196085A1 (ja) | 2013-06-07 | 2013-06-07 |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5194A KR20160015194A (ko) | 2016-02-12 |
KR101947762B1 true KR101947762B1 (ko) | 2019-02-14 |
Family
ID=5200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24528A KR101947762B1 (ko) | 2013-06-07 | 2013-06-07 |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9911555B2 (ko) |
EP (1) | EP2950322B1 (ko) |
KR (1) | KR101947762B1 (ko) |
CN (1) | CN105074860B (ko) |
HK (1) | HK1211740A1 (ko) |
WO (1) | WO201419608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11555B2 (en) * | 2013-06-07 | 2018-03-06 |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 Click mechanism for electric part |
JP6910361B2 (ja) * | 2016-09-12 | 2021-07-28 | テルモ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11231180B2 (en) * | 2017-02-17 | 2022-01-25 | Lg Electronics Inc. | Knob assembly for cook top |
US10935249B2 (en) | 2017-02-17 | 2021-03-02 | Lg Electronics Inc. | Knob assembly for cook top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444584A (en) * | 1972-06-23 | 1976-08-04 | Int Standard Electric Corp | Click-stop device |
JP2009289677A (ja) * | 2008-05-30 | 2009-12-10 |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 操作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399906A (en) * | 1943-09-01 | 1946-05-07 | Arrow Hart & Hegeman Electric | Indexing means for multiposition electric switches |
JPS4810690B1 (ko) | 1969-03-07 | 1973-04-06 | ||
JPS5127995Y2 (ko) * | 1971-06-19 | 1976-07-15 | ||
JPS5898735A (ja) | 1981-12-08 | 1983-06-11 | Canon Inc | 電子写真用記録体 |
JPS5898735U (ja) * | 1981-12-26 | 1983-07-05 | コパル電子株式会社 | ロ−タリスイツチのロ−タの構造 |
JPH039052Y2 (ko) * | 1986-11-27 | 1991-03-07 | ||
TW480506B (en) | 1999-06-07 | 2002-03-21 | Alps Electric Co Ltd | Rotary electrical part |
JP2000348568A (ja) | 1999-06-07 | 2000-12-15 | Alps Electric Co Ltd | 回転型電気部品 |
JP4709170B2 (ja) | 2007-01-18 | 2011-06-22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節度装置 |
JP4700630B2 (ja) | 2007-02-08 | 2011-06-15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節度切換式スイッチ装置 |
JP2009004364A (ja) * | 2007-05-22 | 2009-01-08 | Calsonic Kansei Corp | スイッチ装置 |
JP4910883B2 (ja) * | 2007-05-25 | 2012-04-0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クリック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
JP4987596B2 (ja) * | 2007-07-06 | 2012-07-25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回転型電気部品 |
JP5001221B2 (ja) | 2008-06-05 | 2012-08-15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節度可変式ロータリスイッチ装置 |
US8601696B2 (en) * | 2010-01-18 | 2013-12-10 | Hybrid Razor Ltd | Motorized shaving apparatus head and shaving apparatus implementing the same |
JP4755718B2 (ja) | 2010-02-03 | 2011-08-24 |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
US9911555B2 (en) * | 2013-06-07 | 2018-03-06 | Tokyo Cosmos Electric Co., Ltd. | Click mechanism for electric part |
-
2013
- 2013-06-07 US US14/764,762 patent/US9911555B2/en active Active
- 2013-06-07 EP EP13886263.6A patent/EP2950322B1/en active Active
- 2013-06-07 KR KR1020157024528A patent/KR1019477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6-07 WO PCT/JP2013/065893 patent/WO201419608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6-07 CN CN201380074655.7A patent/CN105074860B/zh active Active
-
2015
- 2015-12-21 HK HK15112566.2A patent/HK1211740A1/xx unknown
-
2017
- 2017-11-13 US US15/810,941 patent/US102110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444584A (en) * | 1972-06-23 | 1976-08-04 | Int Standard Electric Corp | Click-stop device |
JP2009289677A (ja) * | 2008-05-30 | 2009-12-10 |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 操作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074860A (zh) | 2015-11-18 |
EP2950322A1 (en) | 2015-12-02 |
CN105074860B (zh) | 2018-08-24 |
US10211012B2 (en) | 2019-02-19 |
EP2950322A4 (en) | 2016-11-02 |
KR20160015194A (ko) | 2016-02-12 |
HK1211740A1 (en) | 2016-05-27 |
US20150380185A1 (en) | 2015-12-31 |
US20180068813A1 (en) | 2018-03-08 |
EP2950322B1 (en) | 2020-03-04 |
WO2014196085A1 (ja) | 2014-12-11 |
US9911555B2 (en) | 201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1448B1 (ko) | 회전형 스위치 | |
KR101662825B1 (ko) |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
KR101947762B1 (ko) | 전기 부품의 클릭 기구 | |
JP2008293814A (ja) | クリック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 |
KR102051153B1 (ko) | 푸시 스위치 | |
KR101900897B1 (ko) |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 |
JP2004362979A (ja) | スイッチ装置 | |
WO2013065447A1 (ja) |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 |
JP5852668B2 (ja) |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 |
JP5740317B2 (ja) |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 |
WO2007136029A1 (ja) | 回転型電気部品 | |
TWI546838B (zh) | Electronic parts of the detent institu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