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448B1 - 회전형 스위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448B1
KR101631448B1 KR1020117021353A KR20117021353A KR101631448B1 KR 101631448 B1 KR101631448 B1 KR 101631448B1 KR 1020117021353 A KR1020117021353 A KR 1020117021353A KR 20117021353 A KR20117021353 A KR 20117021353A KR 101631448 B1 KR101631448 B1 KR 10163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rotor
contact
click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422A (ko
Inventor
하지메 후쿠시마
타로 후쿠나가
Original Assignee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코스모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동작의 요구에 따른 설계 자유도가 높은 회전형 스위치를 제공한다. 회전자(70)는 그 디스크부(72)에 복수의 동심원으로 규정되는 복수의 환형상 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 수의 소정 각도폭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상측 및 하측 접촉편(7C1, 7C2)이 서로 겹쳐지고, 각각 디스크부의 일방과 타방의 면에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고, 상측 접촉자 홀더(80)와 하측 접촉자 홀더(60)는 회전자의 디스크부의 상측 절반분과 하측 절반부에 씌워지고, 디스크부의 상측 및 하측면에 복수의 환형상 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 콘택트를 가지고 있고, 회동조작축(10)은 회전자, 하측 접촉자 홀더, 상측 접촉자 홀더를 각각 삽입통과하고, 회전자를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스위치{ROTARY SWITCH}
본 발명은 조작축이 회전에 의해 복수의 단자간의 스위치의 개폐를 행하는 회전형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자기기는 다채로운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그 기능의 조작의 하나의 수단으로서 회전형 스위치가 사용된다. 따라서, 회전형 스위치에 대해서도, 다양한 조작에 대응하여 스위치의 수, 각각의 스위치의 개폐(오프, 온)의 상대 타이밍(상대 각도 위치), 복수 스위치의 개폐의 조합, 조작 감각(클릭감) 등의 다양한 요구가 있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회전형 스위치의 예이다. 이 종래예에서는, 대략 정사각형의 절연 바디(110)의 중앙에 원형의 수용 오목부(230)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중앙에 직립한 지지축(240)과, 그 지지축(240)을 둘러싸는 링형상의 커먼 접촉편(290)과, 그 커먼 접촉편(290)의 외측에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고정 접촉편(2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들 커먼 접촉편(290)과 고정 접촉편(220)은 각각 절연 바디(110)의 측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각각 외부단자로 되어 있다.
회동 조작 노브(120)는 조작축(570)과, 조작축(570)과 일체 형성된 환형상 클릭판(440)을 가지고, 환형상 클릭판(440)의 상면에는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단차부(490)와 오목부(510)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클릭판(440)의 하면에 회동접촉자(130)가 고정되고, 회동 조작 노브(120)는 절연 바디(110)의 수용 오목부(230)내에, 지지축(240)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수용된다.
스프링제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되는 원형의 회동접촉자(130)는 중앙에 창을 가지고, 그 창 내에 지지축(240)을 사이에 끼우도록 두갈래 포크형상의 커먼 슬라이딩운동자(79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커먼 슬라이딩운동자(790)의 선단부는 커먼 접촉편(290)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회동접촉자(130)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둘레방향으로 슬릿을 절입하여 형성한 2개의 호형상 접촉편의 중앙부가 각각 하방으로 돌출되어 전환접점(680)이 형성되고, 이들 전환접점(680)은 고정 접촉편(220)의 배열상을 슬라이딩운동하여 임의의 1개와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회동 조작 노브(120)의 환형상 클릭판(440)상에는 링형상 판스프링(140)이 얹힌다. 링형상 판스프링(140)에는 그 직경상의 2개소에서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고정 단자(830)가 형성되어 있고, 그들 고정 단자(830)는 중간부에서 90° 하방으로 구부러지고, 절연 바디(110)의 상면의 대각 코너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구멍(250)에 삽입 고정된다.
링형상 판스프링(140)은 2개의 고정 단자(830)를 통과하는 직경방향과 직교하는 직경상의 2개소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840)를 가지고, 걸어맞춤 돌기(840)가 회동 조작 노브(120)의 회동에 의해 환형상 클릭판(440)의 단차부(490)를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타넘고, 스프링력에 의해 오목부(510)에 떨어져 들어감으로써, 회동 조작 노브(120)의 회동조작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대략 정사각형의 금속 케이스(150)는 중앙에 형성된 축구멍(920)을 통과하여 조작축(570)을 밖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링형상 판스프링(140)상으로부터 절연 바디(110)의 수용 오목부(230)를 막고 절연 바디(110)에 고정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66158호 공보
이 종래의 회전형 스위치에서는, 밖으로 돌출된 조작축(570)을 회전함으로써 커먼 접촉편(290)과 선택한 1개의 고정 접촉편(220)의 도통이 이루어지고, 대응하는 2개의 외부단자간이 도통된다. 커먼 접촉편(290)과 동시에 도통이 되는 고정 접촉편(220)은 항상 1개이다. 고정 접촉편(220)의 둘레방향의 수, 및 둘레방향의 길이(각도폭)를 바꿈으로써 선택할 수 있는 고정 접촉편(220)의 수, 동일 고정 접촉편과 도통을 유지하는 회동 조작 노브(120)의 회동각도폭을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지만, 도 7의 예에서는 복수의 고정 접촉편(220)과 동시에 도통시킬 수는 없다. 2개의 전환접점(680)의 둘레방향 각도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 복수의 고정 접촉편(220)과 동시에 도통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동일 바닥면에 배치할 수 있는 고정 접촉편(220)의 형상, 배치 패턴 등의 다양성에는 한계가 있어, 휴대전자기기에 요구되는 복잡한 기능 조작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 조작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복수 스위치의 개폐의 조합, 개폐의 상대 각도 위치, 폐쇄 상태의 각도폭 등을 다양하게 설계 가능한 회전형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는, 원판형상의 디스크부와, 그 중심에 축구멍이 형성된 회동축을 가지고, 디스크부에 복수의 제1 동심원으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환형상 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 수의 소정 각도폭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금속의 제1 접촉편과 복수의 제2 동심원으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환형상 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 수의 소정 각도폭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금속의 제2 접촉편이 서로 겹쳐지고, 각각 디스크부의 일방과 타방의 면에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된 회전자와, 디스크부의 일방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환형상 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1 탄성 콘택트를 가지는 제1 홀더와, 디스크부의 타방의 면에 하나 이상의 제2 환형상 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2 탄성 콘택트를 가지는 제2 홀더와, 제1 홀더와 회전자의 회동축과 제2 홀더를 삽입통과하고, 회전자를 회동 가능한 회동조작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의 디스크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있어서 따로따로 반경방향으로 상이한 환형상 영역에 있어서 각각 따로따로 360°내에서 접촉편 영역을 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스위치의 개폐의 각도 범위, 상대 타이밍을 요구에 따라서 설계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클릭 스프링과 그것을 부착하기 전의 클릭 스프링 지지판의 사시도.
도 2B는 클릭 스프링을 부착한 후의 클릭 스프링 지지판의 사시도.
도 3A는 회전자의 상면도.
도 3B는 회전자의 단면도.
도 3C는 회전자의 하면도.
도 4A는 상측 및 하측 접촉편의 연결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연결 패턴을 접어 겹쳐 형성한 슬라이딩운동 접촉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하측 접촉자 홀더의 하면도.
도 5B는 상측 접촉자 홀더의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2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회전형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회전형 스위치는 회동조작축(10)과, 베어링(20)과, 클릭 원판(30)과, 클릭 스프링(40)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과, 하측 접촉자 홀더(60)와, 회전자(70)와, 상측 접촉자 홀더(80)와, 커버(90)와, 그 밖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회동조작축(10)은 금속봉을 가공하여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부(11)와, 그 선단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고, 조작부(11)보다 직경이 가는 유지부(12)와, 유지부(12)의 선단으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고, 유지부(12)보다 직경이 가는 구동부(13)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12)의 선단에 인접하여 외주면에 환형상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13)에는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잘라내어 형성된 적어도 1개의 평면(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회동조작축(10)의 회전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2개의 서로 평행한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20)은 부착용 나사가 외주에 형성된 원통부(21)와, 원통부(2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하우징부(22)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20)에는 중심에 회동조작축(10)의 유지부(12)가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되는 축구멍(24)이 원통부(2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22)의 상면에는 1세트의 대각 코너부에 위치결정 구멍(22a)과, 다른 1세트의 대각 코너부에 고정 구멍(2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22)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부(21)와 동축에 원형의 클릭 원판 수용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 축구멍(24)이 동심에 개통되어 있다. 베어링(20)에 삽입통과된 회동조작축(10)의 유지부(12)의 선단부가 클릭 원판 수용 오목부(23)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그 선단부의 환형상홈(12a)에 링(12A)을 장착하여 빠짐이 고정되어 있다.
클릭 원판(30)은 그 중심부에 축부(31)를 가지고, 그 축부(31)의 외측의 상면에는 도 7의 종래 기술의 환형상 클릭판(440)과 마찬가지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볼록조(32)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요철이 배열 형성되어 있다. 축부(31)에는 축방향으로 회전자(70)의 회동축(71)이 삽입되는 축구멍(3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구멍(33)의 내주의 1개소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 키(34)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키(34)의 중심을 향한 선단면은 구동부(13)의 평면(13a)과 접촉하여 걸어맞춰지는 평면으로 되어 있고, 회동조작축(10)이 회동되면 축구멍(33)에 삽입통과된 구동 축부(13)의 평면(13a)과 걸어맞춤 키(34)의 선단 평면과 걸어맞춰져 클릭 원판(30)을 회동시킨다.
환형상의 클릭 스프링(40)은 스프링성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형성하고, 환형상부의 1개의 직경상의 2개소에 클릭 원판(30)을 향하여 돌출한 걸어맞춤 돌기(41)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직경과 직각인 또 하나의 직경상의 2개소로부터 그 직경의 연장선상을 서로 외측으로 연장된 2개의 고정 단자(4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단자(42)는 중간부에서 판면에 대하여 대략 45°로 클릭 원판(30)과 반대측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클릭 스프링(40)은 도 7의 종래 기술의 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종래에는 고정 단자는 90° 구부러져 있던 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45° 구부러져 있고, 그것에 의해 후술하는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걸음홈(55)에 대한 걸어맞춤을 얕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클릭 스프링(40)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하면에 부착된다. 도 2A, 2B는 클릭 스프링(40)의 부착전과 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단, 여기서는 도 1에 있어서의 클릭 스프링(40)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세트를, 중심선(5X)을 중심으로 180° 회전하여 나타내고 있다.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하우징부(22)와 동일한 직사각형이며, 그 하면에 링형상의 클릭 스프링(40)을 받는 환형상 오목부(52)가 형성되고, 중앙에 축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축구멍(51)의 직경은 후술하는 회전자(70)의 회동축(71)이 회동이 자유롭게 삽입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한 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결정 구멍(53a)이 형성되고, 1세트의 대각 코너부 근방에는 각각 고정 구멍(53b)이 형성되며,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코너부 근방의 하면에는 각각 위치결정 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클릭 스프링(40)의 2개의 고정 단자(42)는 지지판(50)의 고정 구멍(53b)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음홈(55)에 삽입 걸음 고정된다. 그 상태로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그 축구멍(51)에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고, 클릭 원판(30)을 수용한 클릭판 수용 오목부(23)를 위에서 막고 하우징부(22)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 때,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고정용 돌기(54)는 하우징부(22)의 상면의 위치결정 구멍(22a)에 압입 고정된다.
도 3A는 회전자(70)의 상면도,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3B-3B선을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에 있어서의 3B-3B선을 중심으로 180° 회전한 하면도를 나타낸다. 회전자(70)는 회동축(71)과, 회동축(71)의 길이방향 중간에 위치하고, 회동축(71)과 동축의 디스크부(72)와, 디스크부(72)에 유지된 슬라이딩운동 접촉편(7C)이 일체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71)에는 클릭 원판(30)의 축구멍(33)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축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71)의 하단의 일측 원호부가 하단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미리 정한 길이만큼 절제된 절결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74)는 회동축(71)이 축구멍(51)을 통과하여 클릭 원판(30)의 축구멍(33)내의 걸어맞춤 키(34)와 끼워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회동축(71)이 절결부(74)의 축방향 길이만큼 축구멍(33a)에 삽입된다.
슬라이딩운동 접촉편(7C)은 상측 접촉편(7C1)과 하측 접촉편(7C2)으로 이루어지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금속판을 펀칭하여 얻어지는 서로 연결된 상측, 하측 접촉편(7C1, 7C2)의 패턴을 도 4B와 같이 연결부(7Cc)에서 접어구부리고, 하측 접촉편(7C2)을 상측 접촉편(7C1)의 하측에 겹침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측, 하측 접촉편(7C1, 7C2)은 도 4B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공통의 원(C1)에 내접하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그 원(C1)과 동심이며, 직경이 순차로 작아지는 원(C2, C3, C4)에 의해 각각 끼워진 폭을 가지는 서로 인접한 환형상 대(B1, B2, B3)를 규정하고, 이들 환형상 대(B1, B2, B3)내에서 각각 둘레방향으로 원하는 길이(각도 범위)의 원하는 수의 원호 영역을 각각 접촉편 영역으로 하는 접촉편의 패턴이 미리 정해져 있다.
도 3A의 상측 접촉편(7C1)에서는, 환형상 대(B1)는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1개의 접촉편 영역(C1a)과, 나머지 각도 범위의 공영역(G1a)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대(B2)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2개의 접촉편 영역(C1b1, C1b2)과, 그들 2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1b1, G1b2)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대(B3)는 1개 (360°)의 공영역(G1c)에 의해 메워져 있다. 접촉편 영역(C1a, C1b1, C1b2)은 접촉편(7C1)의 금속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며, 공영역(G1a, G1b1, G1b2, G1c)은 접촉편 영역의 표면과 동일면내에 있는 디스크부(72)의 절연체 표면이다.
한편, 도 3C에 나타내는 하측 접촉편(7C2)에서는, 환형상 대(B1)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4개의 접촉편 영역(C2a1, C2a2, C2a3, C2a4)과, 그들 4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2a1, G2a2, G2a3, G2a4)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대(B2)는 각각 미리 정한 각도 범위의 2개의 접촉편 영역(C2b1, C2b2)과, 그들 2개의 접촉편 영역의 인접간의 공영역(G2b1, G2b2)에 의해 메워져 있다. 환형상 대(B3)는 1개(360°)의 접촉편 영역(C2c)에 의해 메워져 있다. 접촉편 영역(C2a1, C2a2, C2a3, C2a4, C2b1, C2b2, C2c)은 접촉편의 금속 표면이 노출되어 있는 영역이며, 공영역(G2a1, G2a2, G2a3, G2a4, G2b1, G2b2)은 접촉편 영역의 표면과 동일면내에 있는 디스크부(72)의 절연체 표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측 접촉자 홀더(80)와 하측 접촉자 홀더(60)는 완전히 동일한 구조이며, 동일한 부품으로서 형성한 접촉자 홀더를 상하의 방향을 바꾸어 상측용, 하측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9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완전히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동일 구조로 함으로써 스위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5A는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하면과, 그 위에 보이는 회전자(70)의 하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상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62)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62)의 바닥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61)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62)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볼록부(65)(도 1도 참조)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65)와 인접하여 동일한 폭으로 측벽부가 잘린 걸어맞춤 오목부(66)(도 1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1세트의 대각 코너부 근방에는 위치결정 구멍(64a)이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코너부 근방에는 고정 구멍(6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6T1, 6T2, 6T3)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결정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접촉자 홀더(60)는 3개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와 그것으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단자(6T1, 6T2, 6T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3개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창(6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70)의 슬라이딩운동 접촉편(7C)에 규정한 환형상 대(B1, B2, B3)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대에 있어서 2점 접촉함으로써 접촉의 안정성(신뢰성)과 수명을 높이고 있다.
도 5B는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상면과, 그 아래에 보이는 회전자(70)의 상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구조는 하측 접촉자 홀더(60)과 완전히 동일하다. 하우징부(22)와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의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하면에는 원형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2)가 형성되고, 그 회전자 수용 오목부(82)의 천정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창(81)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일측변에 인접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82)의 측벽부에는 그 하면으로부터 하측 접촉자 홀더(60)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볼록부(85)와, 그 걸어맞춤 볼록부(85)와 인접하여 동일폭으로 측벽부가 잘린 걸어맞춤 오목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1세트의 대각 코너부에는 위치결정 구멍(84a)이 형성되고, 또 다른 1세트의 대각 코너부에는 고정 구멍(8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8T1, 8T2, 8T3)가 도출되어 있는 일측변에 인접하여 2개의 위치결정 돌기(83)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접촉자 홀더(80)는 3개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와 그들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일측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단자(8T1, 8T2, 8T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3개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창(8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들의 선단은 각각 회전자(70)의 슬라이딩운동 접촉편(7C)으로 규정한 환형상 대(B1, B2, B3)상에 위치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각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각각 2개의 분기 암을 가지고, 각 환형상 대에 있어서 2점 접촉한다.
도 1에 되돌아가,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위치결정 돌기(63)(도 5A 참조)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위치결정 구멍(53a)에 끼워맞춰지고,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상에 하측 접촉자 홀더(60)가 위치결정 고정된다. 그 위에서,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62)내에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대략 하측 절반분을 배치하도록, 회전자(70)의 축구멍(73)에 회동조작축(10)의 구동부(13)를 삽입통과시키면서, 회동축(71)의 하단부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축구멍(51)을 통과하여 클릭 원판(30)의 축구멍(33)에 삽입하여 걸어맞춘다.
그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대략 상측 절반분을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회전자 수용 오목부(82)에 수용하도록, 회전자(70)상으로부터 상측 접촉자 홀더(80)를 씌우고, 하측 접촉자 홀더(60)에 겹쳐 고정한다. 이 때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걸어맞춤 볼록부(85)와 걸어맞춤 오목부(86)(도 5B 참조)가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걸어맞춤 오목부(66)와 걸어맞춤 볼록부(65)에 각각 끼워맞춰지고, 서로 위치결정된다. 또한, 커버(90)의 축구멍(91)에 회전자(70)의 회동축(71)의 상단부를 삽입시켜 상측 접촉자 홀더(80)상으로부터 커버(90)를 겹쳐 위치결정 돌기(94)를 위치결정 구멍(84a)에 끼워맞추고, 위치결정 구멍(93a)에 위치결정 돌기(83)를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해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탄성 콘택트(6C1, 6C2, 6C3)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하면과 탄성적으로 접촉 유지되고,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72)의 상면과 탄성적으로 접촉 유지된다.
이렇게 하여 부품을 합체한 상태에서, 커버(90)의 고정 구멍(93b), 상측 접촉자 홀더(80)의 고정 구멍(84b),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고정 구멍(64b),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의 고정 구멍(53b), 베어링(20)의 고정 구멍(22b)에 2개의 고정 핀(8)을 삽입 통과하여 핀(8)의 선단을 리벳으로 찌그러뜨려서, 서로 일체로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회전형 스위치를 조립함으로써, 구동부(13)는 클릭 원판(30),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을 삽입 통과한 회전자(70)의 회동축(71)의 축구멍(73)에 삽입 통과되고, 커버(90)의 축구멍(91)내에서 지지된다. 회전자(70)의 축구멍(73)의 축심과 직각인 단면은 구동부(13)의 단면과 동일하게 원의 호를 직선으로 잘라낸 형상을 하고 있고, 따라서, 회동조작축(10)의 회동에 의해 회전자(70)가 회동됨과 아울러 클릭 원판(30)도 회동된다. 그 결과,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에 고정되어 있는 클릭 스프링(40)의 돌기(41)가 회동하는 클릭 원판(30)의 방사상 요철과 걸어맞춰져 회동조작축(10)의 회동조작시에 클릭감을 발생시키고, 또, 회전자(70)의 상측 및 하측면의 접촉편(7C1, 7C2)과, 상측 및 하측 접촉자 홀더의 탄성 콘택트(8C1, 8C2, 8C3 및 6C1, 6C2, 6C3) 사이에서 슬라이딩 접촉, 괴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서는 1개의 고정 접촉편의 둘레방향 길이(각도폭)를 360°내에서 정하면, 다른 고정 접촉편의 둘레방향 길이는 나머지 각도내에서 정해야 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좁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회전자(70)의 디스크부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있어서 따로따로 반경방향으로 상이한 환형상 영역에 있어서 각각 따로따로 360°내에서 접촉편 영역을 정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유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즉, 복수의 스위치의 개폐의 각도 범위, 상대 타이밍을 요구에 따라서 설계할 수 있는 자유도가 높다.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자(70)의 상측 및 하측면의 접촉편(7C1, 7C2)에 대하여 공통으로 환형상 대(B1, B2, B3)를 규정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환형상 대의 수 및 폭을 상측 및 하측에 대하여 따로따로 규정하고, 상측 접촉자 홀더(80) 및 하측 접촉자 홀더(60)의 탄성 콘택트의 수 및 배치를 각각의 측의 환형상 대에 맞추어 정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형 스위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측 접촉자 홀더(60)를 탄성 콘택트(6C1, 6C2, 6C3)와 함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하고 나서 창(61)내에서 탄성 콘택트(6C1, 6C2, 6C3)를 원하는 각도로 접어 구부리기 때문에, 하측 접촉자 홀더(6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은 별체로 했지만, 탄성 콘택트(6C1, 6C2, 6C3)를 미리 소정의 각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하측 접촉자 홀더(60)를 인서트 성형할 수 있는 경우는, 도 6중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접촉자 홀더(60)와 클릭 스프링 지지판(50)을 서로 일체로 한 하측 접촉자 홀더(제1 홀더)(60')로서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측 접촉자 홀더(80)와 커버(90)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일체로 한 상측 홀더(제2 홀더)(80')로서 형성해도 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7)

  1. 원판형상의 디스크부와, 그 중심에 축구멍이 형성된 회동축을 가지고, 상기 디스크부에 복수의 제1 동심원으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1 환형상 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 수의 소정 각도폭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금속의 제1 접촉편과 복수의 제2 동심원으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환형상 대의 각각에 있어서 소정 수의 소정 각도폭의 접촉 영역을 가지는 금속의 제2 접촉편이 서로 겹쳐지고, 각각 상기 디스크부의 일방과 타방의 면에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된 회전자와,
    상기 디스크부의 일방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환형상 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1 탄성 콘택트를 가지는 제1 홀더와,
    상기 디스크부의 타방의 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환형상 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2 탄성 콘택트를 가지는 제2 홀더와,
    상기 제1 홀더와, 상기 회전자의 회동축과, 상기 제2 홀더를 삽입통과하고, 상기 회전자를 회동 가능한 회동조작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은 1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편은 형빼기된 상기 1장의 금속판을 접어구부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원형의 클릭 원판 수용 오목부가 형성된 하우징부를 가지는 베어링과,
    상기 클릭 원판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고, 중심에 축구멍을 가지고, 일면에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요철이 형성된 클릭 원판과,
    상기 클릭 원판의 요철에 탄성적으로 걸어맞춰지는 적어도 1개의 걸어맞춤 돌기를 가지는 링형상의 클릭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하우징부에 부착되고, 상기 회동조작축은 또한 상기 베어링 및 클릭 원판을 삽입통과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상기 클릭 원판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의 일단에 절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릭 원판의 축구멍에는 중심을 향하여 돌출된 걸어맞춤 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축의 상기 일단은 상기 클릭 원판 축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절결과 상기 걸어맞춤 키가 서로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는 상기 디스크부의 축 방향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와, 상기 회전자 수용 오목부 내에 상기 제1 탄성 콘택트를 유지하는 접촉자 홀더와, 상기 접촉자 홀더에 접하는 일방의 면과, 상기 클릭 스프링을 지지하는 타방의 면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 수용 오목부에 연통하는 축구멍이 형성된 클릭 스프링 지지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디스크부의 축 방향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회전자 수용 오목부와, 상기 회전자 수용 오목부 내에 상기 제2 탄성 콘택트를 유지하는 접촉자 홀더와, 상기 접촉자 홀더에 접하는 일방의 면을 가지고, 상기 회전자 수용 오목부에 연통하는 축구멍이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스위치.
  7. 삭제
KR1020117021353A 2009-03-17 2010-02-26 회전형 스위치 KR101631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4245 2009-03-17
JP2009064245A JP4759071B2 (ja) 2009-03-17 2009-03-17 回転型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422A KR20110130422A (ko) 2011-12-05
KR101631448B1 true KR101631448B1 (ko) 2016-06-17

Family

ID=4273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353A KR101631448B1 (ko) 2009-03-17 2010-02-26 회전형 스위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36474B2 (ko)
JP (1) JP4759071B2 (ko)
KR (1) KR101631448B1 (ko)
CN (1) CN102356445B (ko)
HK (1) HK1164536A1 (ko)
TW (1) TWI460756B (ko)
WO (1) WO2010106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6121B2 (en) 2011-05-26 2014-07-01 Motorola Solutions, Inc. Rotary control switch
TWI505312B (zh) * 2011-11-04 2015-10-21 Tokyo Cosmos Electric Rotary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bearing structure
JP5906845B2 (ja) * 2012-03-15 2016-04-20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
JP5914312B2 (ja) 2012-12-07 2016-05-11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子部品
CN103971972B (zh) * 2013-01-29 2016-10-26 东莞市川强电子科技有限公司 特种编码、波段开关
WO2014196086A1 (ja) 2013-06-07 2014-12-11 東京コスモス電機株式会社 回転操作型電子部品
WO2016145408A1 (en) * 2015-03-12 2016-09-15 everyStory, Inc. Story capture system
CN105761992B (zh) * 2016-05-10 2017-10-13 宁波永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转动开关的提示音发生结构
DE102016115548B4 (de) * 2016-08-22 2022-01-05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Indexierter Drehschalter
US10543630B2 (en) 2017-02-27 2020-01-28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employing a friction based tension mechanism
CN108630481A (zh) * 2018-05-03 2018-10-09 上海舒森电子科技有限公司 电气开关的壳体、电气开关操作机构及旋转式电气开关
CN109300727B (zh) * 2018-10-16 2023-10-17 沈阳兴华航空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旋转开关
CN110281745B (zh) * 2019-07-09 2020-07-31 江西艾斯欧匹精密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盒香水送料自动调节快慢的装置
CN112242263A (zh) * 2019-07-18 2021-01-19 韩国星炆电子有限公司 旋转编码开关
WO2023135604A1 (en) * 2022-01-13 2023-07-20 Novateur Electrical & Digital Systems Private Limited A toggling arrangement for a switch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158A (ja) * 2006-12-28 2008-07-17 Shinmei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2168U (ko) * 1976-12-27 1978-07-27
JPS5392168A (en) * 1977-01-24 1978-08-12 Seiko Epson Corp Electronic wrist watch
JPS5380576A (en) * 1977-05-06 1978-07-17 Mitsumi Electric Co Ltd Terminal with contact
JPS595929Y2 (ja) * 1979-11-02 1984-02-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源付回転型電気部品
JPS5670606A (en) * 1979-11-14 198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stor
US6486416B2 (en) * 1997-10-10 2002-11-26 Emerson Electric Co. Appliance timer having an auxiliary switching assembly
US7199314B2 (en) * 2005-06-08 2007-04-03 Cts Corporation Joystick and switch
JP2007328974A (ja) * 2006-06-07 2007-12-20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電気部品
US8119941B2 (en) * 2006-07-21 2012-02-21 Nidec Motor Corporation Appliance ti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158A (ja) * 2006-12-28 2008-07-17 Shinmei Electric Co Ltd ロータリ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18883A (ja) 2010-09-30
KR20110130422A (ko) 2011-12-05
JP4759071B2 (ja) 2011-08-31
US20120006659A1 (en) 2012-01-12
US8536474B2 (en) 2013-09-17
TWI460756B (zh) 2014-11-11
CN102356445B (zh) 2014-08-13
HK1164536A1 (en) 2012-09-21
CN102356445A (zh) 2012-02-15
WO2010106891A1 (ja) 2010-09-23
TW201101358A (en) 2011-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448B1 (ko) 회전형 스위치
JP2011159562A (ja)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US10211012B2 (en) Click mechanism for electric part
KR101900897B1 (ko) 회전 조작형 전자 부품의 베어링 구조
JP5852668B2 (ja) 回転操作型電子部品の軸受構造
JP2007328974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2278695A (ja) 多方向入力装置
WO2013065447A1 (ja)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JPS58223220A (ja) 電気的な回転スイツチ
JP2000348568A (ja) 回転型電気部品
JP7317356B2 (ja) 自動復帰機構ユニット
JP6376837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5740317B2 (ja) 電気部品のクリック機構
JP7187066B2 (ja) 回転式電子部品用摺動子
JP3870040B2 (ja) 回転型電気部品
TWI546838B (zh) Electronic parts of the detent institutions
JP2021077547A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JP2008159907A (ja) 回転式電子部品
JPH11167842A (ja) ロータを有する機器における節度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