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18B1 -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 - Google Patents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218B1
KR101947218B1 KR1020147019949A KR20147019949A KR101947218B1 KR 101947218 B1 KR101947218 B1 KR 101947218B1 KR 1020147019949 A KR1020147019949 A KR 1020147019949A KR 20147019949 A KR20147019949 A KR 20147019949A KR 101947218 B1 KR101947218 B1 KR 10194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st
cooking
thickness
carbon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7499A (ko
Inventor
시몽 알르멍
스떼판 뛰프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10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Solid-Phase Diffusi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제조된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을 포함하는 조리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은 구리로 제조된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제조된 제1 외부층(4)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된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에 속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유형의 조리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CULINARY ARTICLE WITH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본 발명은 요리 용기를 형성하는 조리 물품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프라이팬 및/또는 웍(wok) 유형의 조리 물품에 관한 것이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 유형의 웍은 중심부에서 둘레를 향하여 만곡되고, 상부 가장자리가 벌어진, 오목형 요리용 표면을 갖는다. 프라이팬 웍 유형의 웍은 조리 물품 반경의 적어도 3분의 1을 형성하는 만곡된 측벽에 부착된 평면 바닥부를 갖는다. 상부 가장자리는 더욱 수직일 수 있다.
웍으로 볶는 요리는 잘게 절단된 음식물을,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끊임없이 저어주며 센 불에서 신속히 익히는 것으로 구성된다.
후산화 처리로 이어지는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하에 탄소강으로 된 프라이팬 또는 웍 유형의 조리 물품을 구현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조리 물품에 비하여, 그러한 조리 물품들은 조리용도를 위하여 충분한 항부식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다.
상술한 유형의 조리 물품들의 단점은 기름을 사용하여 센 불에서 요리할 때, 특히 불꽃이 조리 물품 바닥부를 둘러싸는 환형부(crown)를 가열하는 가스 화덕 상에서 조리할 때, 연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탄소강의 열전도도로는, 실제로 기름의 기화 온도를 초과하는 핫스팟(hotspot)들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충분한 조리용 표면 상의 균일한 열 분포가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름으로 가열할 때 연기의 출현을 지연시킬 수 있게 하는, 볶음 또는 구이 요리를 하도록 마련된 조리 물품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항부식성을 갖는, 볶음 또는 구이 요리를 하도록 마련된 조리 물품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름으로 가열할 때 연기의 출현을 지연시키게 할 수 있는, 볶음 또는 구이 요리를 하도록 마련된 조리 물품의 수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항부식성을 갖는, 볶음 또는 구이 요리를 하도록 마련된 조리 물품의 수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그 목적들은,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요리용 내면과 가열용 외면을 포함하는 조리 물품으로써 달성되는데, 이는 요리용 내면 및 가열용 외면이,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을 포함하는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에 속하고, 요리용 내면은 그 제1 층 상에 구현되므로 달성된다. 구리 제2 층은 열원에서 발생된 열에너지를 요리용 표면 상에서 더욱 양호하게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핫스팟의 출현이 지연된다. 탄소강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자재들의 사용은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 및 후산화 처리를 포함할지라도, 충분한 항부식성을 수득할 수 있게 하면서, 스테인리스강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자재들에 비하여 더욱 경제적인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확산 층으로서의 구리의 사용은 열처리시에 딜라미네이션(delamination)의 위험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역학적 내구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자재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요리용 내면은 2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결합층 상에 형성된 표면의 산화층으로 형성된다. 그 특성들은 요리용 내면의 항산화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가열용 외면은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구리로 된 가열용 외면을 갖는 조리 물품과 비교할 때, 관리가 용이한 조리 물품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그 경우 유리하게는, 가열용 외면은 구리로 된 제2 층과 라미네이트된 외부 제3 층 상에서 구현된다. 그러한 구성으로써, 질화강 추가 층의 첨가가 라미네이트 자재의 비용을 명백히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구성을 갖는 조리 물품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그 경우 유리하게는, 제2 층은 제3 층보다 두껍다. 구리의 더욱 두꺼운 층은 실제로 요리용 표면 상의 열 분배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역시 유리하게는, 제3 층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그 값들은 비용 대 특성상의 양호한 절충을 이룬다.
역시 유리하게는, 제2 층은 제1 층보다 두껍다. 그러한 구성은 요리용 표면으로의 열 전도를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역시 유리하게는, 제1 층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그 값들은 비용 대 특성상의 양호한 절충을 이룬다.
역시 유리하게는, 제2 층은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그 값들은 비용 대 특성상의 양호한 절충을 이룬다.
하나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요리용 내면은 바닥부로부터 상부 가장자리까지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그러한 기하구조는 웍 유형의 조리물품에 해당한다.
그 목적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술한 특성들에 따라 조리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며, 그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 구리로 된 제2 층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제1 층을 포함하는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 시트를 마련하고,
- 상기 시트 내에 용기를 형성하고,
- 상기 용기 상에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를 실행하고,
- 상기 용기 상에 후산화 처리를 실행함.
하나의 실시 태양에 따르면,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는 염욕에 의해 실시된다. 염욕에 의한 처리는 다른 방법들보다 높은 질탄화 속도 또는 질화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는 가스로 실시된다. 가스에 의한 처리는 결합층 성장에 있어서 최선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실시 태양에 따르면, 후산화 처리는 염욕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한 유형의 처리는 다름 방법들보다 높은 산화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후산화 처리는 가스로 실시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고, 절대로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숙지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물품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물품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물품을 더욱 확대한 상부 확대 단면도.
도 1에 도시된 조리물품은 웍 유형의 용기(7)를 형성한다. 그 조리물품은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을 갖는다. 요리용 내면(1)은 오목하고 가열용 외면(2)은 볼록하다. 요리용 내면(1)은 용기(7)의 바닥부(8)로부터 용기(7)의 상부 가장자리(9)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은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에 속한다.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4) 및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을 포함한다.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4)은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되어 있다. 요리용 내면(1)은 제1 층(4) 상에 구현된다. 구리로 이루어진 내부 제2 층(5)은 요리용 내면 상에 열을 배분할 수 있게 하는 확산층을 형성한다.
더욱 특별하게는,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은 중간 층이다.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3 층(6)을 포함한다.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3 층(6)은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다.
탄소강은 바람직하게는 냉간압연이 가능한 강종(steelgrade) 중에서 선택된다. 탄소 함량이 적은, 예를 들어 0.03% C의 DC04유형의 강은 만족스러운 성질을 갖는다.
제1 층(4) 및 제3 층(6)은 반드시 동일한 탄소강의 강종 내에 구현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층(5)은 제1 층(4)보다 두껍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층(5)은 제3 층(6)보다 두껍다. 제1 층(4)은 유리하게는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제2 층(5)은 유리하게는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제3 층(6)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층(4)은 0.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고, 제2 층(5)은 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고, 제3 층(6)은 0.5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조리 용도로써 적합한 항부식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제1 층(4) 상에 구현된 요리용 내면(1)에는 표면 처리가 가해진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요리용 내면(1)은 질탄화 및 후산화 탄소강으로 제조된다.
도 3은 레진(14)으로 커버된 요리용 표면(1)의 현미경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리용 내면(1)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기판(13) 상에 구현된다. 요리용 내면(1)은 후산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표면의 산화층(10)으로 형성된다. 표면의 산화층(10)은 질탄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결합층(11) 상에 형성된다. 확산 층(12)은 결합층(11)과 기판(13)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기판(13)은 요리용 내면(1)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1 층(4)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기판(13)은 또한 가열용 외면(2)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3 층(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소강의 항산화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결합층(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한다. 25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는 항부식성과 처리 시간 사이의 양호한 절충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질탄화 및 후산화 처리들은 특히 염욕에 의해 또는 가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염욕에 의한 질탄화 처리들은 일반적으로 560 내지 600℃ 사이에서 실시되며, 이는 매우 높은 질화력 및 상대적으로 짧은 처리 시간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강철/구리/강철의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의 사용은, 라미네이트 이후의 구리/강철 인터페이스의 양호한 항온성으로 인하여, 샌드위치 철판의 딜라미네이션 위험 없이 600℃ 근방에서 그와 같은 질탄화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로(furnace)에서의 650℃ 까지의 열처리는 질탄화 온도 이상에서도 강철/구리/강철 라미네이트의 항온성을 유효하게 하였다.
강철/알루미늄/강철 등의 다른 라미네이트 유형들도 또한 유용한 열확산 성질을 갖지만, 라미네이트 처리 이후의 알루미늄/강철 인터페이스의 제한된 항온성으로 인하여 질화 또는 질탄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그 유형들의 사용을 고려할 수 없다.
질탄화 처리는 종래의 질탄화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으므로, 탄소강 시트로부터 구현된 조리물품의 질탄화 처리 이후에 수득된 두께와 항부식성과 동일한 두께와 항부식성을 갖는 결합층(11)이 수득된다.
후산화 단계는 표준 처리에 비하여 변형되지 않으며, 350 내지 400℃ 사이에서 염욕으로 실시된다. 그 후산화는 표면의 산화층(10)을 형성함으로써, 결합층(11) 표면의 다공성을 메움으로써 더욱 개선된 항부식성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로서, 요리용 내면(1)은 또한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질화 처리는 질탄화 처리 대신 실시된다.
가스에 의한 질화 또는 질탄화 처리들은 일반적으로 550 내지 600℃ 사이에서 실시된다.
염욕에 의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600℃ 온도에서 가스에 의한 종래의 질화 또는 질탄화 처리에 의해 강철/구리/강철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을 질화 또는 질탄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산화는 항부식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그것은 통상적으로 350 내지 400℃ 사이에서 염욕에 의하거나, 통상적으로 450℃에서 가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제3 층(6) 상에 구현된 가열용 외면(2)에는 요리용 내면(1)과 동일한 표면 처리들이 가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조리물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구리로 된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 적어도 하나의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4)을 포함하는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 시트(3)를 마련하고,
- 상기 시트 내에 용기(7)를 형성하고,
- 상기 용기(7) 상에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를 실행하고,
- 상기 용기(7) 상에 후산화 처리를 실행함.
용기(7)의 형성은 원하는 경우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의 시트 내에서 디스크 또는 컬로트(calotte)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7)의 형성은 특히 냉간압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용기(7)의 내면과 외면 상에 후산화 처리로 이어지는 질탄화 처리의 실시는 조리물품의 항부식 성질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결합층(11)은 질화철(Fe2 .3N)을 포함하는 질화 중간층을 형성하고, Fe3O4 유형의 철 산화물을 포함하는 표면의 산화층(10)에 의해 커버된다. 적절한 연마 처리와 결합 된 후산화 처리는 요리용 내면(1)과 가열용 외면(2)을 위한 흑색 착색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그와 같이 수득된 조리 물품은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강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벽으로 구현된 조리물품에 비하여 개선된 열 확산 성질을 갖는다.
두께 1 밀리미터의 저탄소강 DC04로 이루어진 컵과 1 밀리미터의 구리를 포함하는 2 밀리미터 두께의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로 이루어진 컵을 비교한 실험은, 연기의 출현에 이르기까지 필요한 시간은 증가한 반면, 기름 온도는 감소하였음을 보여주었다(5000 Watt 전력의 지름 50 밀리미터의 가스 화덕 상에서 지름 120 밀리미터의 컵으로, 가열 시작 10초 후에 100 밀리리터의 땅콩 기름을 붓고 실시한 실험).
유형 질량 연기 출현 시간 tf tf에서의 기름 온도
강철 308 g 1분 10초 ±20초 75℃±5℃
라미네이트 639 g 2분 40초 ±30초 120℃±10℃
강철/구리/강철 라미네이트 자재의 사용은,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이 존재함으로써, 동일한 두께의 강철 사용에 비하여 연기 출현 시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한다. 마찬가지로, 열이 더욱 균일한(핫스팟이 적은), 강철 잔에 대하여 관찰된 연기 출현 온도보다 높은 기름 온도에서의 연기 출현이 주목된다.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의 사용은 단지 조리물품의 바닥부(8) 위치에서만이 아닌 요리용 내면(1) 전체상에서 온도의 더욱 현저히 균일한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구리는 강철의 열용량(444 J.kg-1.K-1)과 근접한 385 J.kg-1.K-1의 열용량을 갖지만, 구리의 열전도도(390 W.m-1.K-1)는 강철의 열전도도(46 W.m-1.K-1)를 매우 초과한다. 알루미늄은 더욱 높은 열용량(897 J.kg-1.K-1)을 갖지만, 알루미늄/강철 라미네이트 인터페이스는 질탄화 또는 질화를 고려하기에는 불충분한 항온성을 갖는다.
변형예로서,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제3 층(6)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열용 외면(2)은 특히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 상에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열용 외면(2)의 후 연마는 바람직하다. 대체예로서,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3개 초과의 라미네이트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이온 질탄화 또는 이온 질화, 및/또는 이온 후산화를 고려할 수 있다.
질탄화 조건에 따라, 갈망간층이 질화 중간층 하부에 나타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그립(grip) 기관이 가열용 외면(2) 상에 용접된 스터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기(7)는 마주한 2개의 그립 기관들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하나 또는 다수의 그립 기관은 필수적으로 부착되지는 않는다. 용기(7)는 특히 예를 들어 압연에 의해 수득된, 다수의 통합된 그립 기관들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용기(7)는 그 중앙부가 거의 평면인 바닥부(8)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수의 변형을 포괄한다.

Claims (22)

  1.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을 포함하는 조리물품에 있어서,
    상기 요리용 내면(1) 및 상기 가열용 외면(2)은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에 속하고, 상기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4)을 포함하고, 상기 요리용 내면(1)은 상기 외부 제1 층(4)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층(5)은 상기 외부 제1 층(4)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2.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요리용 내면(1) 및 가열용 외면(2)을 포함하는 조리물품에 있어서,
    상기 요리용 내면(1) 및 상기 가열용 외면(2)은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에 속하고, 상기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물(3)은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제1 층(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리용 내면(1)은 상기 외부 제1 층(4)으로 구현되고, 상기 요리용 내면(1)은 2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결합층(11) 상에 형성된 표면 산화층(1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상기 외부 제1 층(4)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용 내면(1)은 표면 처리가 가해진 것이고, 상기 요리용 내면(1)은 후산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표면 산화층(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 산화층(10)은 질탄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에 의해 수득된 결합층(11)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층(11)의 두께는 25 마이크로미터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상기 외부 제1 층(4)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외면(2)은 질탄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 또는 질화되고 후산화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 외면(2)은 상기 제2 구리층(5)과 라미네이트된 외부 제3 층(6)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6)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상기 제3 층(6)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6)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1 층(4)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1 층(4)은 0.1 내지 0.8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5)은 0.8 내지 1.5 밀리미터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리용 내면(1)은 바닥부(8)로부터 상부 가장자리(9)까지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구리로 이루어진 제2 층(5)과 라미네이트된,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제1 층(4)을 포함하는 다층 라미네이트 금속 합성 시트(3)를 수득하는 단계,
    - 상기 시트로 용기(7)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용기(7) 상에 질탄화 또는 질화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및
    - 상기 용기(7) 상에 후산화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질탄화 또는 질화 처리는 염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질탄화 또는 질화 처리는 가스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산화 처리는 염욕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산화 처리는 가스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47019949A 2011-12-22 2012-12-12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 KR101947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2339A FR2984712B1 (fr) 2011-12-22 2011-12-22 Article culinaire a conductivite thermique amelioree
FR1162339 2011-12-22
PCT/FR2012/052894 WO2013093297A1 (fr) 2011-12-22 2012-12-12 Article culinaire a conductivite thermique amelio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499A KR20140107499A (ko) 2014-09-04
KR101947218B1 true KR101947218B1 (ko) 2019-02-12

Family

ID=4759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949A KR101947218B1 (ko) 2011-12-22 2012-12-12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793664B1 (ko)
KR (1) KR101947218B1 (ko)
CN (1) CN104066365B (ko)
FR (1) FR2984712B1 (ko)
WO (1) WO20130932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67B1 (ko) 2022-03-25 2022-06-16 리나스대성(주) 다단계 표면 처리된 국솥 또는 부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3758A (zh) * 2015-12-23 2016-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锅具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106191654B (zh) * 2016-08-16 2018-07-17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经济型耐磨耐蚀铁制容器及制备方法
CN108261069B (zh) * 2016-12-30 2020-12-0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水壶
FR3070245B1 (fr) * 2017-08-24 2020-03-06 Seb S.A. Support de cuisson multicouches pouvant etre chauffe par indu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737A (ja) * 1998-07-10 2000-02-29 Clad Metals Llc 複合焼き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69A (zh) * 1988-11-07 1990-05-30 天津市中华不锈钢器皿厂 碳素钢耐腐防锈器皿及其制造方法
CN1065585A (zh) * 1991-04-06 1992-10-28 田文彬 不锈钢复合金属材料炒锅
US7622197B2 (en) * 2006-11-20 2009-11-24 Ferroxy-Aled, Llc Seasoned ferrous cookware
US20100108690A1 (en) * 2008-08-12 2010-05-06 All-Clad Metalcrafters Llc Stainless Steel-Carbon Steel Enamelized Cookware
CN201504978U (zh) * 2009-06-05 2010-06-16 苏州格瑞陶瓷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节能锅
CN202051560U (zh) * 2011-03-30 2011-11-30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造炊具用的复合材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737A (ja) * 1998-07-10 2000-02-29 Clad Metals Llc 複合焼き板及びそ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부산대학교 공학박사 학위논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67B1 (ko) 2022-03-25 2022-06-16 리나스대성(주) 다단계 표면 처리된 국솥 또는 부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84712B1 (fr) 2014-02-28
CN104066365A (zh) 2014-09-24
EP2793664A1 (fr) 2014-10-29
FR2984712A1 (fr) 2013-06-28
EP2793664B1 (fr) 2015-12-09
KR20140107499A (ko) 2014-09-04
CN104066365B (zh) 2016-11-16
WO2013093297A1 (fr)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218B1 (ko) 개선된 열전도도를 갖는 조리 물품
US7906221B2 (en) Bonded metal components having uniform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CN102151980B (zh) 钛铝复合金属炊锅的制造方法
CA2535481C (en) Bonded metal components having uniform thermal conductivity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making same
CN201504978U (zh) 一种多功能节能锅
CN205162726U (zh) 双层复合锅
JP2020531148A (ja) 誘導加熱可能な多層加熱調理支持体
CN100496359C (zh) 三层复合板多种炉具通用的炊具及其制作方法
KR20120106813A (ko) 열 확산 바닥을 갖는 조리 용기의 제조 방법 및 그러한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용품 또는 조리용 전기 기구
CN111035226B (zh) 一种具有复合锅底的锅具的制备方法
CN111319324A (zh) 一种炊具用复合材料、不锈钢炊具及其制备方法
CN102837464A (zh) 一种钛-钢-不锈钢复合板及其制造方法
CN201108321Y (zh) 多层复底不锈铁锅
CN210842635U (zh) 锅具及烹饪设备
CN102886930A (zh) 压延复合的钛-钢-不锈钢复合板及其制造方法
KR20110092716A (ko) 운모층을 갖는 조리용기 및 조리용기소재
CN210930926U (zh) 一种复合底锅具和使用其的烹饪器具
JP3214840U (ja) フライパン
CN202764292U (zh) 一种钛-钢-不锈钢复合板
JP2005537088A (ja) フライパンの製造方法
CN111728490A (zh) 一种复合底锅具及其制造方法和使用其的烹饪器具
US20230008372A1 (en) Cooking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 Diffuser Base
CN111772487B (zh) 锅具和锅具的制造方法
CN108116009A (zh) 一种铝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30248180A1 (en) Anti-stick titanium cookwa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