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823B1 -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823B1
KR101946823B1 KR1020180096709A KR20180096709A KR101946823B1 KR 101946823 B1 KR101946823 B1 KR 101946823B1 KR 1020180096709 A KR1020180096709 A KR 1020180096709A KR 20180096709 A KR20180096709 A KR 20180096709A KR 101946823 B1 KR101946823 B1 KR 10194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ed
mobile phone
wheeled vehic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티코
Priority to KR1020180096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B62J2099/003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된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에 따라 휴대전화의 위치를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360도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CELL PHONE HOLDER FOR A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는 무게가 2kg에 달하는 무전기 형태에서부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을 정도의 넓은 액정화면을 갖는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중독이 어린 자녀를 둔 학부모들 사이에서 화젯거리가 될 만큼 스마트폰에 대한 사용자의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져만 가는 것이 현실이다.
휴대전화의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사용자들은 휴대전화를 잠시라도 곁에서 떨어트려놓지 않으려 한다. 이러한 결과로, 차량에는 차량용 휴대전화 거치대가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바퀴가 2개 달린 이륜차는 자동차보다 좁은 범위의 운전석 구조로 인해 종래의 휴대전화 거치대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이 제한적이었다.
더욱이 종래의 휴대전화 거치대는 외부의 충격이 자동차에 비해 잘 전달되는 이륜차의 특성 때문에 그 충격이 휴대전화로까지 고스란히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륜차의 핸들 부근에 곧바로 설치되는 종래의 휴대전화 거치대는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된 충격을 가중시킬 수밖에 없었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279536호(2013.07.05.)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8014호(2014.06.27.) (3)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26115호(2016.05.31.) (4)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604호(2013.04.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지지부 및 거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일측이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결합부위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측을 중심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휴대전화가 거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한다. 상기 브라켓은 제 1 플레이트, 절곡리브 및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연결구에 상기 핸들바와 상기 백미러 결합부위가 삽입된다. 상기 절곡리브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휘어진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절곡리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지지부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제 1 결합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기둥은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 1 톱날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연결봉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봉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봉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개방된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측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1 몸체는 제 2 결합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결합기둥은 상기 제 1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1 톱날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톱날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3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잠금뭉치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뭉치는 저마다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톱날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잠금뭉치는 잠금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마개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4 연결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잠금마개의 제 4 연결구에는, 상기 너트에 대응되는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잠금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연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된다.
상기 거치부는 행거, 안착부재 및 밀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몸체의 둘레에 결합된다. 상기 안착부재는 후면이 상기 행거에 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휴대전화가 안착된다.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전화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좌우측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됨으로써,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된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는 지지부의 결합 관계를 달리함으로써, 그 지지부의 중심축으로부터 360도 범위에서 휴대전화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분해된 도 1의 구성요소들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분해된 도 1의 구성요소들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조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10)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사이에 결합되어 이륜차의 주행 중 발생된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구성요소들의 결합 관계에 따라 휴대전화의 위치를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360도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10)는 지지부(100) 및 거치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부(100)는 일측이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결합부위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측을 중심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 가능하다. 여기서 핸들바와 백미러는 서로 분리 가능하되, 백미러가 분리된 핸들바의 상부 연결부위에 지지부(100)의 일측이 결합되고, 그 상부에 분리되었던 백미러의 하부 연결부위가 결합되어 핸들바, 지지부(100) 및 백미러 순으로 연결된다. 핸들바의 상부 연결부위와 백미러의 하부 연결부위는 지지부(100)의 일측에 삽입될 수 있는 연결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부(100)는 브라켓(110), 연결봉(120) 및 잠금뭉치(130)를 포함한다.
브라켓(110)은 지지부(1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연결봉(12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110)은 제 1 플레이트(111), 절곡리브(112) 및 제 2 플레이트(113)를 포함한다.
제 1 플레이트(111)는 브라켓(1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연결구(111a)에 핸들바와 백미러 결합부위가 삽입된다.
절곡리브(112)는 제 1 플레이트(111)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제 1 플레이트(111)와 제 2 플레이트(113)를 연결한다.
제 2 플레이트(113)는 절곡리브(112)로부터 연장되어 제 1 플레이트(111)보다 높은 위치의 지지부(100) 타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플레이트(113)는 상부면이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플레이트(113)는 제 1 결합기둥(113a)을 포함한다.
제 1 결합기둥(113a)은 제 2 플레이트(113)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결합기둥(113a)은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 1 톱날(113b)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연결구(113c)가 형성된다.
연결봉(120)은 지지부(100)의 타측에 위치하여 브라켓(110)의 제 2 플레이트(113)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그 위치가 설정된다. 이러한 연결봉(120)은 제 1 몸체(121) 및 제 2 몸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121)는 연결봉(12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플레이트(113)의 개방된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제 1 몸체(121)는 제 2 결합기둥(121a)을 포함한다.
제 2 결합기둥(121a)은 제 1 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결합기둥(121a)은 복수의 제 1 톱날(113b)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톱날(121b)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3 연결구(121c)가 형성된다. 즉, 제 2 결합기둥(121a)은 제 1 결합기둥(113a)의 외주연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톱날(113b)에 복수의 제 2 톱날(121b)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되, 제 1 결합기둥(113a)의 둘레방향으로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제 2 몸체(122)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 2 톱날(121b)은 복수의 제 1 톱날(113b)을 따라 어느 회전 범위에서든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제 2 몸체(122)는 제 1 몸체(121)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후술할 거치부(200)의 행거(21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122)는 제 1 결합기둥(113a) 및 제 2 결합기둥(121a)에 의한 제 2 플레이트(113)와 제 1 몸체(121)와의 결합 관계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360도 범위에서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잠금뭉치(130)는 저마다의 제 1 및 제 2 톱날(113b, 121b)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제 2 플레이트(113) 및 제 1 몸체(1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 1 몸체(121)를 제 2 플레이트(113)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잠금뭉치(130)는 잠금마개(131) 및 손잡이(132)를 포함한다.
잠금마개(131)는 잠금뭉치(13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4 연결구(131a)가 형성된다. 즉, 잠금마개(131)의 제 4 연결구(131a)는 브라켓(110)의 제 2 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제 2 연결구(113c), 연결봉(120)의 제 1 몸체(121)에 형성된 제 3 연결구(121c)와 더불어 제 1 몸체(121)가 제 1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제 2 플레이트(113)의 하부에는 너트(미도시)가 결합된다. 또한, 잠금마개(131)의 제 4 연결구(131a)에는 상기 대응되는 볼트(미도시)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볼트는 잠금마개(131)의 회전에 따라 제 2 및 제 3 연결구(113c, 121c)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됨으로써, 제 2 플레이트(113) 및 제 1 몸체(121)가 잠금마개(131)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132)는 잠금마개(1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돌기(부호생략)가 형성된다. 물론, 손잡이(132)는 제 4 연결구(131a)에 대응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부(200)는 일측이 지지부(10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휴대전화가 거치된다. 이러한 거치부(200)는 행거(210), 안착부재(220), 제 1 가이드부재(230) 제 2 가이드부재(240) 및 밀착부재(250)를 포함한다.
행거(210)는 거치부(20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행거(210)는 제 2 몸체(122)의 둘레에 결합된다. 이때, 행거(210)는 일측을 기준으로 반대되는 타측에 절개면(211)이 형성되어 제 2 몸체(122)의 둘레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안착부재(220)는 후면이 행거(210)에 결합되고, 전면에 휴대전화가 안착된다.
제 1 가이드부재(230)는 안착부재(2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안착부재(22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즉, 제 1 가이드부재(230)는 안착부재(220)의 전면에 휴대전화가 안착되면, 그 휴대전화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재(240)는 안착부재(220)의 측면을 따라 제 1 가이드부재(2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안착부재(220)의 전면으로 돌출된다. 즉, 제 2 가이드부재(240)는 제 1 가이드부재(230)와 더불어 휴대전화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밀착부재(250)는 안착부재(220)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휴대전화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되어 휴대전화의 좌우측을 고정한다. 즉, 밀착부재(250)는 일측이 안착부재(220)의 좌우측에 고정되되, 타측이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4에 사용된 구성요소들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 발명에 따른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10)는 이륜차의 핸들바 일측방향으로 위치한 도 1의 거치대(10)와 달리 이륜차의 핸들바 타측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연결봉(120)의 제 1 몸체(121)에 형성된 제 2 톱날(121b)이 브라켓(110)의 제 2 플레이트(113)를 중심축으로 핸들바 일측에서 타측으로 방향을 바꾸어 브라켓(110)의 제 2 플레이트(113)에 형성된 제 1 톱날(113b)에 상하방향으로 재결합된다. 이때, 잠금뭉치(130)의 잠금 및 잠금해제에 따라 연결봉(120)의 제 1 몸체(121)가 브라켓(110)의 제 2 플레이트(113)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10)의 결합 관계에 따라 휴대전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100 : 지지부
110 : 브라켓
111 : 제 1 플레이트
111a : 제 1 연결구
112 : 절곡리브
113 : 제 2 플레이트
113a : 제 1 결합기둥
113b : 제 1 톱날
113c : 제 2 연결구
120 : 연결봉
121 : 제 1 몸체
121a : 제 2 결합기둥
121b : 제 2 톱날
121c : 제 3 연결구
122 : 제 2 몸체
130 : 잠금뭉치
131 : 잠금마개
131a : 제 4 연결구
132 : 손잡이
200 : 거치부
210 : 행거
211 : 절개면
220 : 안착부재
230 : 제 1 가이드부재
240 : 제 2 가이드부재
250 : 밀착부재

Claims (8)

  1. 일측이 이륜차의 핸들바와 백미러 결합부위에 고정되고, 타측이 일측을 중심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 가능한 지지부; 및
    일측이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에 휴대전화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위치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1 연결구에 상기 핸들바와 상기 백미러 결합부위가 삽입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둘레 일측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휘어진 절곡리브; 및
    상기 절곡리브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지지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플레이트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개방된 상부 내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을 따라 복수의 제 1 톱날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2 연결구가 형성된 제 1 결합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위치하는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연결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개방된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측면으로 연장된 제 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1 톱날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 2 톱날이 내주연을 따라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3 연결구가 형성된 제 2 결합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저마다의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톱날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결합된 상기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잠금뭉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뭉치는,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 4 연결구가 형성된 잠금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너트가 결합되고,
    상기 잠금마개의 제 4 연결구에는, 상기 너트에 대응되는 볼트가 결합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잠금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및 상기 제 3 연결구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몸체의 둘레에 결합되는 행거;
    후면이 상기 행거에 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휴대전화가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좌우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전화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이조절되어 상기 휴대전화의 좌우측을 고정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1020180096709A 2018-08-20 2018-08-20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10194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09A KR101946823B1 (ko) 2018-08-20 2018-08-20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09A KR101946823B1 (ko) 2018-08-20 2018-08-20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823B1 true KR101946823B1 (ko) 2019-02-12

Family

ID=6536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09A KR101946823B1 (ko) 2018-08-20 2018-08-20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8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539A (ko) 2019-05-22 2020-12-02 이승복 이륜차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04Y1 (ko) 2013-01-08 2013-04-30 최우향 오토바이용 네비게이션 및 휴대전화기 장치대
KR101279536B1 (ko) 2011-11-24 2013-07-05 윤세형 자전거의 휴대폰 거치대
KR101398014B1 (ko) 2012-08-09 2014-06-27 김영성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626115B1 (ko) 2014-11-19 2016-05-31 김준호 이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36B1 (ko) 2011-11-24 2013-07-05 윤세형 자전거의 휴대폰 거치대
KR101398014B1 (ko) 2012-08-09 2014-06-27 김영성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0466604Y1 (ko) 2013-01-08 2013-04-30 최우향 오토바이용 네비게이션 및 휴대전화기 장치대
KR101626115B1 (ko) 2014-11-19 2016-05-31 김준호 이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쇼핑몰에 게재된 스마트폰 거치대(2018. 7.19.공개)*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539A (ko) 2019-05-22 2020-12-02 이승복 이륜차용 모바일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5894B2 (en) Utility vehicle
KR20140050096A (ko) 안장형 차량
US20160121953A1 (en) Article storage structure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US9745017B2 (en) Handlebar fixing structure
KR101946823B1 (ko)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102083206B1 (ko) 부시 조립장치
US10773622B2 (en) All-terrain vehicle and its seat installation structure
CN215752202U (zh) 显示器组件、车辆座椅装置以及车辆
JPWO2011155053A1 (ja) 自動二輪車のハンドルカバー装置
KR20080000283U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CN207697645U (zh) 具有伸缩功能的车载支架
CN210212261U (zh) 带有手机支架的门护板及汽车
CN211950026U (zh) 紧凑型一体式汽车车门把手总成
CN110217296B (zh) 汽车侧围后部的加强连接结构及汽车
CN207433271U (zh) 一种气瓶固定装置
JPH05201372A (ja) 自動二輪車のピリオンフートレスト装置
CN212685434U (zh) 一种车载音响旋转手机支架
CN220457461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CN220518462U (zh) 适用于把式车辆的适配器
JP2007308124A (ja) 車載用液晶モニターの保持構造
CN213069646U (zh) 一种移动终端的麦克风装置
CN218141349U (zh) 一种带收纳结构的车门内饰板
CN219612026U (zh) 一种用于电动车的车载扬声器
CN210760545U (zh) 一种可调式车载支架
CN217533139U (zh) 一种踏板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