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014B1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014B1
KR101398014B1 KR1020120087138A KR20120087138A KR101398014B1 KR 101398014 B1 KR101398014 B1 KR 101398014B1 KR 1020120087138 A KR1020120087138 A KR 1020120087138A KR 20120087138 A KR20120087138 A KR 20120087138A KR 101398014 B1 KR101398014 B1 KR 10139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able terminal
unit
support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525A (ko
Inventor
김영성
Original Assignee
김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성 filed Critical 김영성
Priority to KR1020120087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0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5Mount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이 이륜차에 휴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거치유닛이,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본체의 타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 또는 제1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제2지지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지지부와의 간격을 벌리고, 휴대 단말기를 제1,2지지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2지지부를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휴대 단말기가 제2지지부에 의해 밀려 제1지지부에 밀착 고정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CRADL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이 이륜차에 휴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이륜차의 핸들바와 같이 핸들바가 구비되는 차량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근래들어 레포츠나 택배업무를 위한 이동수단으로 오토바이나 자전거와 같은 이륜차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부합하여 이동중에 네비게이션이나 PDA 및 휴대폰과 같은 각종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려는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오토바이를 이용하여 택배업무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 휴대폰이나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매우 중요하며, 사용자가 주머니나 가방 등에 단말기를 넣고 있다가 꺼내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많이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에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과 같은 이륜차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제10-2007-0100049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제20-0455407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를 살짝 눌러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약한 충격에도 휴대 단말기가 튕겨져 나와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 단말기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거치유닛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를 차량에 거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거치유닛이,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본체의 타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 또는 제1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여, 제2지지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지지부와의 간격을 벌리고, 휴대 단말기를 제1,2지지부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2지지부를 가압하던 힘을 해제하면, 휴대 단말기가 제2지지부에 의해 밀려 제1지지부에 밀착 고정된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의 핸들바에 상기 거치유닛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거치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거치유닛을 덮어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고정브라켓은. 차량의 양쪽 핸들바 사이에 위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핸들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지지대에 구비되어 지지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2지지부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제2지지부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부재를 더 포함한다.
작동부재는, 본체 상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제2지지부를 구성하는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관; 두 슬라이딩관을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슬라이딩관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작동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양측을 견고하게 잡아 거치함으로써, 차량 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거치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휴대 단말기를 지지하는 제1,2지지부 중 제2지지부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휴대 단말기를 거치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하나의 휴대 단말기만을 거치할 경우에는 하나의 거치유닛만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경우에는 복수 개의 거치유닛을 이용하여 거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선택폭을 넓힐 수 있다.
넷째, 커버를 가지고 휴대 단말기를 덮어 햇빛이나 비, 눈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커버를 덮은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가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본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2지지부, 슬라이딩관, 탄성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이 핸들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유닛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커버가 지지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설치된 자전거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가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오토바이의 양쪽 핸들바(1)에 사이에 위치되고 핸들바(1)에 고정되어, 오토바이 운전자가 휴대 단말기를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에는 복수 개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운전자가 필요한 갯수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휴대 단말기만을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거치유닛(110), 고정브라켓(120), 지지유닛(130) 및 커버(140)를 포함한다.
거치유닛(110)은 지지유닛(130)을 통해 고정브라켓(120)에 지지되며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된다.
고정브라켓(120)은 오토바이의 양쪽 핸들바(1)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이 핸들바(1)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유닛(130) 및 거치유닛(110)을 지지한다.
지지유닛(130)은 고정브라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 개의 거치유닛(110)을 지지한다.
커버(140)는 거치유닛(110)을 덮어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한다. 거치유닛(110)의 앞쪽은 커버(140)로 덮이지 않고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거치유닛(110)의 앞쪽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거치유닛의 본체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2지지부, 슬라이딩관, 탄성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체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거치유닛(110)은 스폿용접을 통해 지지유닛(130)에 고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접방법 또는 스크류 결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거치유닛(110)은 본체(111), 제1지지부(112), 제2지지부(113), 탄성부재(114) 및 작동부재(115)를 포함한다.
본체(111)는 내부에 탄성부재(114) 및 작동부재(115)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11a)이 형성되며, 설치공간(111a)을 통해 작동부재(115)의 측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본체(111)의 일측에는 작동부재(115)의 후술할 슬라이딩관(115a)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관 관통홀(111b)이 형성된다. 본체(111)의 타측에는 작동부재(115)의 후술할 작동로드(115c)가 관통되는 작동로드 관통홀(111c)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1)의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된다.
제1지지부(112)는 본체(111)의 타측에 두 개가 이격되게 구비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111)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단부가 본체(111)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되어 휴대 단말기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지지판(112a), 및 제1지지판(112a)의 일면에 접착되어 휴대 단말기와 접촉될 때 휴대 단말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신축성을 갖는 제1접촉패드(112b)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113)는 본체(111)의 일측을 관통하는 작동부재(115)의 일측에 고정되어 작동부재(115)와 함께 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단부가 본체(111)의 상면보다 위로 돌출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113)는 작동부재(115)의 일측에 고정되어 휴대 단말기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지지판(113a), 및 제2지지판(113a)의 일면에 접착되어 휴대 단말기와 접촉될 때 휴대 단말기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신축성을 갖는 제2접촉패드(113b)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14)는 압축스프링으로서 작동부재(115)의 슬라이딩관(115a)을 관통하며, 그 일단은 제1지지판(112a)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지지판(113a)에 고정된다. 탄성부재(114)의 일단은 제1지지판(112a) 외에 본체(111)의 타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작동부재(115)는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지지부(113)를 측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11) 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관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관(115a), 두 슬라이딩관(115a)을 연결하는 연결로드(115b), 및 연결로드(115b)의 중심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슬라이딩관(115a)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작동로드(115c)를 포함한다.
두 슬라이딩관(115a)은 서로 이격되며, 일단부에 제2지지판(113a)이 각각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슬라이딩관(115a)을 통해 탄성부재(114)가 관통된다. 슬라이딩관(115a)은 본체(111)의 일측에 형성된 슬라이딩관 관통홀(111b)을 통해 본체(11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치유닛(110)에 의하면 운전자가 작동로드(115c)를 손으로 잡고 슬라이딩관(115a)을 제1지지부(1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슬라이딩관(115a)에 고정되어 있는 제2지지부(113)도 함께 슬라이딩되어 제1,2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다. 이 때, 탄성부재(114)는 늘어난다.
제1,2지지부(112)(113)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 휴대 단말기를 제1,2지지부(112)(113) 사이에 위치시켜 본체(111)의 상면에 접촉시킨 후 작동로드(115c)를 쥐고 있던 손을 뗀다. 즉, 작동부재(115)를 통해 제2지지부(113)에 가압하던 힘을 해제한다.
제2지지부(113)에 가압하던 힘이 해제되면 탄성부재(114)의 복원력에 의해 제2지지부(113)는 제1지지부(112)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를 제1지지부(112) 쪽으로 밀어 제1지지부(112)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휴대 단말기의 배면이 본체(111)의 상면에 맞닿고 제1,2지지부(112)(113)가 휴대 단말기의 양측에 밀착되므로, 휴대 단말기는 거치유닛(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휴대 단말기를 거치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작동로드(115c)를 잡고 슬라이딩관(115a) 및 제2지지부(113)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휴대 단말기를 거치유닛(11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이 핸들바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고정브라켓(120)은 오토바이의 양쪽 핸들바(1) 사이에 위치되며 양단부가 양쪽 핸들바(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120)은 지지대(121), 고정부(122) 및 지지유닛 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지지대(121)는 양쪽 핸들바(1)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관형태로 형성된 제1지지대(121a), 제1지지대(121a)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지지대(121b), 및 제1지지대(121a)에 제2지지대(121b)를 고정하는 고정볼트(121c)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121a)의 하부에는 고정볼트(121c)가 나사 결합되면서 관통하는 고정볼트 관통홀(121d)이 이격 형성된다. 한편, 제1,2지지대(121a)(121b)의 단부에는 고정부(122)의 힌지 결합을 위한 ‘ㄷ’자 형태의 제1힌지 결합부(121e)가 각각 형성된다.
고정부(122)는 지지대(121)의 양단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고 핸들바(1)에 고정되는 것으로, 제1힌지 결합부(121e)에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제2힌지 결합부(122a), 및 제2힌지 결합부(122a)에 고정되며 핸들바(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U볼트클립(122b)을 포함한다. 고정부(122)는 지지대(121)에 힌지 결합되므로 핸들바(1)의 경사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지지유닛 결합부(123)는 한 쌍이 이격되게 구비되어 운전석 쪽으로 돌출되게 제1지지대(121a)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지지유닛 결합부(123) 사이에 지지유닛(130)이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유닛 결합부(123)에는 후술할 지지유닛(130)의 결합볼트(133)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123a)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지지유닛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유닛(130)은 상면에 거치유닛(110)이 안착되어 스폿 용접되는 안착판(131), 안착판(13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위로 연장되어 거치유닛(110)과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보호판(132), 및 안착판(131)의 후단부 하단에 형성되어 안착판(131)을 지지유닛 결합부(123)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볼트(133)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134)를 포함한다.
고정브라켓(120)의 지지유닛 결합부(123)를 통해 볼트 결합부(134)에 결합되는 결합볼트(133)를 조정하여 지지유닛(130)의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즉, 결합볼트(133)를 느슨하게 하고 지지유닛(130)을 원하는 각도로 기울인 다음 결합볼트(133)를 견고하게 조이면 지지유닛(130)의 위치가 결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커버가 지지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커버(140)는 지지유닛(130)에 안착되어 거치유닛(110)을 덮음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140)의 양측 하단에는 거치유닛(110)의 작동로드(115c)에 끼워지는 작동로드 끼움홈(141)이 각각 형성된다. 즉, 커버(140)는 작동로드(115c)에 안착된다. 커버(140)의 배면은 경첩(142) 등에 의해 지지유닛(130)의 보호판(13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커버(140)를 회전시켜 열고 닫을 수 있다.
커버(140)의 앞쪽을 개방되어 커버(140)를 씌운 상태에서 운전자는 휴대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커버(140)는 운전자가 휴대 단말기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140)는 지지유닛(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으나 스크류 등을 이용해 지지유닛(130)에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설치된 오토바이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200)는 거치유닛(210), 및 고정브라켓(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유닛(2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브라켓(220)은 오토바이의 양쪽 핸들바(1) 중 어느 하나의 핸들바(1)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고정부(221), 고정부(221)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거치유닛(210)을 지지하는 지지부(222), 지지부(222)에 거치유닛(21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223)를 포함한다.
고정부(221)의 일단에는 핸들바(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U볼트클립(224)이 구비된다.
거치유닛(210)의 배면에는 결합볼트(223)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211)가 형성되며, 지지부(222)에는 결합볼트(223)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22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브라켓(220)에 의하면, 결합볼트(223)를 느슨하게 하고 거치유닛(210)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킨 후 결합볼트(223)를 견고히 조임으로써, 거치유닛(210)을 원하는 각도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가 설치된 자전거를 운전석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는 거치유닛(310), 및 고정브라켓(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유닛(3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브라켓(320)은 자전거의 핸들바(1)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21), 및 고정부(321)에 거치유닛(31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볼트(3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전거의 핸들바(1)는 수평하게 일자로 형성된다.
고정부(321)의 하단에는 핸들바(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U볼트클립(323)이 구비된다.
거치유닛(310)의 배면에는 결합볼트(322)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볼트 결합부(311)가 형성되며, 고정부(321)의 상단부에는 결합볼트(322)가 관통되는 볼트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300)에 의하면, 핸들바(1)가 일자로 수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핸들바(1) 상에서 고정브라켓(320)의 고정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는 이륜차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륜차의 핸들바와 같이 핸들바가 구비되는 차량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작동부재를 작동시켜 제2지지부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작동부재 없이 제1,2지지부 사이에 휴대폰을 넣고 휴대폰으로 제2지지부를 밀어 슬라이딩시키는 작동구조도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제2지지부만 슬라이딩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지지부도 슬라이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100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110 : 거치유닛
111 : 본체 112 : 제1지지부
113 : 제2지지부 114 : 탄성부재
115 : 작동부재 120 : 고정브라켓
121 : 지지대 122 : 고정부
123 : 지지유닛 결합부 130 : 지지유닛
131 : 안착판 132 : 보호판
133 : 결합볼트 134 : 볼트 결합부
140 : 커버 141 : 작동로드 끼움홈
200 :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210 : 거치유닛
211 : 볼트 결합부 220 : 고정브라켓
221 : 고정부 222 : 지지부
223 : 결합볼트 224 : U볼트클립

Claims (7)

  1. 상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또는 제1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거치유닛;
    차량의 핸들바에 설치되어 상기 거치유닛을 지지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유닛을 덮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보호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차량의 양쪽 핸들바 사이에 위치되며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바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와 연결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제2지지부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이루어진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본체 상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상기 제2지지부를 구성하는 지지판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관;
    상기 두 슬라이딩관을 연결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연결로드에 연결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슬라이딩관을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된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120087138A 2012-08-09 2012-08-09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39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138A KR101398014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138A KR101398014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25A KR20140020525A (ko) 2014-02-19
KR101398014B1 true KR101398014B1 (ko) 2014-06-27

Family

ID=50267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138A KR101398014B1 (ko) 2012-08-09 2012-08-09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0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823B1 (ko) 2018-08-20 2019-02-12 주식회사 하이티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200489709Y1 (ko) 2018-07-04 2019-07-25 이덕호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12622B1 (ko) 2019-04-09 2019-08-20 최재현 오토바이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EP3766769A4 (en) * 2018-03-16 2022-03-16 Bosch Automotive Products (Suzhou) Co., Ltd. VEHICLE HOLDER, AND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186B1 (ko) * 2014-10-17 2016-08-22 세광에셋코리아(주) 자전거 조향 보조 모듈
KR20220055207A (ko) * 2020-10-26 2022-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방법
KR102405840B1 (ko) * 2021-01-15 2022-06-07 주식회사 유진환경디자인 이륜차용 가방 거치대
US20230192225A1 (en) * 2021-12-16 2023-06-22 Douglas Shaller Removable tray assembly for stationary bik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200A (ja) * 1995-03-15 1996-10-01 Yatsuku Kk 携帯電話用ホルダ
KR20070062402A (ko) * 2006-11-01 2007-06-15 전연배 핸즈프리 거치대
JP2011189899A (ja) * 2010-03-16 2011-09-29 Pioneer Electronic Corp 電装品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56200A (ja) * 1995-03-15 1996-10-01 Yatsuku Kk 携帯電話用ホルダ
KR20070062402A (ko) * 2006-11-01 2007-06-15 전연배 핸즈프리 거치대
JP2011189899A (ja) * 2010-03-16 2011-09-29 Pioneer Electronic Corp 電装品支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769A4 (en) * 2018-03-16 2022-03-16 Bosch Automotive Products (Suzhou) Co., Ltd. VEHICLE HOLDER, AND VEHICLE
KR200489709Y1 (ko) 2018-07-04 2019-07-25 이덕호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946823B1 (ko) 2018-08-20 2019-02-12 주식회사 하이티코 이륜차용 휴대전화 거치대
KR102012622B1 (ko) 2019-04-09 2019-08-20 최재현 오토바이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525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014B1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7828359B2 (en) Detachable split windshield
US7341268B2 (en) Foldable bicycle
ES2336388T3 (es) Estructura de compartimento portaobjetos en una motocicleta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 dicha estructura de compartimento portaobjetos.
US20140061270A1 (en) Apparatus support console for mobile telephones or similar apparatus on the handle bar of bikes
US11077505B2 (en) Table saw
US20130146726A1 (en) Smart-Phone & Personal Music Player Holder with Adjustable Mounting System
US7191924B2 (en) Bicycle cell phone holder
US8011627B2 (en) Handlebar accessory clamp
US8801024B2 (en) Extension handle for children's mechanical, wheeled vehicles
US9896148B2 (en) Collapsible two-wheeled vehicle
US200301069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ccessories to a motorcycle
KR20070100049A (ko)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GB2512279A (en) A mount device
US11673514B2 (en) Adjustable removable device caddy
US20070090140A1 (en) Packing apparatus
NL1030303C2 (nl) Tweewieler.
US20100313702A1 (en) Bicycle
CA2502486A1 (en) Handlebar shock absorbing system for bicycles
KR200418983Y1 (ko) 2륜차용 휴대폰 거치대
KR101537570B1 (ko) 이륜차 거치대
US7331494B2 (en) Bike carrying rack for wheeled vehicle
KR101136453B1 (ko) 이륜차용 각종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1371132B1 (ko) 자전거용 거치장치
KR20100004474U (ko)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