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66B1 -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66B1
KR101944666B1 KR1020180044771A KR20180044771A KR101944666B1 KR 101944666 B1 KR101944666 B1 KR 101944666B1 KR 1020180044771 A KR1020180044771 A KR 1020180044771A KR 20180044771 A KR20180044771 A KR 20180044771A KR 101944666 B1 KR101944666 B1 KR 101944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nozzle unit
hole
press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진
Original Assignee
황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기진 filed Critical 황기진
Priority to KR1020180044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10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elongated tubular burn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3/00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23P13/02Making metal objects by operations essentially involving machining but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in which only the machining operations are import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23D14/583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of elongated shape, e.g. sl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고른 화염을 유지할 수 있고 수요에 따라 노즐유니트의 설치 수효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노즐유니트를 일정 간격으로 전,후방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 설치하고, 후방 브라켓엔 상기 노즐유니트에 각각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유니트는 입구부, 확관부 및 축관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중간의 대연결통로를 중심으로 상기 확관부 및 축관부가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선 형태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축관부의 상부 위치엔 다수의 가스노즐공이 한 쌍씩 연속 형성된 노즐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엔 연통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의 상부로서 연통부의 전방 위치엔 상기 노즐부 전체에 공급되는 공기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성형요부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Gas burner for kitiche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방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고른 화염을 유지할 수 있고 수요에 따라 노즐유니트의 설치 수효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식당의 주방에서 사용하는 대용량의 가스버너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2121호, 제10-0938392호, 또는 선등록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9878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버너는 링 형태로서 대부분이 주물로 제작이 이루어지고 자체 또는 별도의 부재에 형성한 노즐공을 통하여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연소시켜 연소되는 화염의 열기를 이용하여 가열원으로 활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가스버너는 연소시에 발생하는 소음이 커서 주방의 주변환경에 바람직하지 않고, 주물제작 방식을 채택하게 되므로 중량이 무거워서 운반 및 설치작업에 어려움이 있고, 제작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1.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2121호(공고일자: 2007.12.21.), 2. 등록특허번호 등록번호 제10-0938392호(공고일자: 2010.01.22.), 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9878호(공고일자: 2014.03.06.), 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88114호(공고일자: 2001.11.22.),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293830호(공개일자: 1995.11.10.), 6.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4501118호(공고일자: 2010.07.14.)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버너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화염을 유지할 수 있고 대용량의 국솥이나 조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작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형태의 노즐유니트를 소성가공방식으로 다수 제작하여 이들 노즐유니트를 다양하게 조립하여 수요에 맞게 가스버너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소성가공에 의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노즐유니트를 일정 간격으로 전,후방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 설치하고, 후방 브라켓엔 상기 노즐유니트에 각각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유니트는 입구부, 확관부 및 축관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중간의 대연결통로를 중심으로 상기 확관부 및 축관부가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선 형태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축관부의 상부 위치엔 다수의 가스노즐공이 한 쌍씩 연속 형성된 노즐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와 상기 노즐부 사이엔 연통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의 상부로서 연통부의 전방 위치엔 상기 노즐부 전체에 공급되는 공기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성형요부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니트의 노즐부 측면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미세공기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와 상기 축관부 사이 고정 결합부엔 고정결합공이 복 수개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방 브라켓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엔 일정 간격마다 제1 설치공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엔 일정 간격마다 제2 설치공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의 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후방 브라켓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엔 일정 간격마다 제3 설치공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의 후방 단부를 끼우고 고정결합공엔 고정바아를 결합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엔 일정 간격마다 제4 설치공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의 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중간엔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의 개공을 형성하여 이들 개공과 상기 노즐유니트의 입구부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 브라켓의 후부 위치엔 분배기가 설치되며, 상부 연장부엔 스파크 점화기와 온도감지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서 하부 중앙에 가스 공급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방엔 일정한 간격마다 가스공급노즐이 설치되어 후방브라켓의 개공 및 노즐유니트의 입구부와 서로 마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양측엔 프레스 성형된 마감부재를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상기 마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분배기와 상기 후방 브라켓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니트는 강판소재를 노즐유니트를 펼쳐놓은 상태에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하는 제1공정, 가스노즐공, 미세공기공급공 및 고정결합공을 천공하는 제2공정, 입구부, 확관부, 축관부, 대연결통로, 노즐부, 연통부를 서로 대칭되게 프레스 성형하는 제3공정, 가스노즐공을 중심으로 양측을 프레스 벤딩작업하는 제4공정, 제4공정에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형태로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접이 이루어지면서 노즐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와 고정결합부가 서로 압접작업이 이루어지는 제5공정, 고정결합공 중 소공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공여유부가 대공을 통과한 후 가공여유부를 다시 프레스 성형하여 서로 마무리 고정하여 압접 및 밀착 고정된 고정결합부를 성형하는 제6공정, 그리고 전방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가공여유부를 이용하여 말아 감아서 마무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제7공정을 거쳐 소성가공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버너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화염을 유지할 수 있고 대용량의 국솥이나 조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고 작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동일한 형태의 노즐유니트를 소성가공방식으로 다수 제작하여 이들 노즐유니트를 다양하게 조립하여 수요에 맞게 가스버너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 버너의 경우 소성가공에 의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전방 브라켓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와 A-A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후방 브라켓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와 B-B선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에 있어서 분배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와 C-C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노즐유니트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IX-IX선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X선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I-XI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노즐유니트의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로서,
도 12a는 강판소재를 노즐유니트를 펼쳐놓은 상태에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하는 제1공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b는 가스노즐공, 미세공기공급공 및 고정결합공을 위한 대공 및 소공을 천공하는 제2공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c는 입구부, 확관부, 축관부, 대연결통로, 노즐부, 성형요부를 포함한 연통부를 서로 대칭되게 프레스 성형하는 제3공정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d는 가스노즐공을 중심으로 양측을 프레스 벤딩작업하는 제4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e는 제4공정에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형태로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접이 이루어지면서 노즐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와 고정결합부가 서로 압접작업이 이루어지는 제5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결 확대 사시도,
도 12f는 고정결합공 중 소공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공여유부가 대공을 통과한 후 가공여유부를 다시 프레스 성형하여 서로 마무리 고정하여 압접 및 밀착 고정된 고정결합부를 성형하는 제6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결 확대 사시도,
도 12g는 전방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가공여유부를 이용하여 말아 감아서 마무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제7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h는 도 12g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복수개의 노즐유니트(1)를 일정 간격으로 전,후방 브라켓(2,3)에 의하여 결합 설치하고, 후방 브라켓(3)엔 상기 노즐유니트(1)에 각각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유니트(1)는 입구부(10a), 확관부(10b) 및 축관부(10c)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중간의 대연결통로(10d)를 중심으로 상기 확관부(10b) 및 축관부(10c)가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선 형태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축관부(10a)의 상부 위치엔 다수의 가스노즐공(12a)이 한 쌍씩 연속 형성된 노즐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10c)와 상기 노즐부(12) 사이엔 연통부(14)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10c)의 상부로서 연통부(14)의 전방 위치엔 상기 노즐부(12) 전체에 공급되는 공기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성형요부(14a)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유니트(1)의 노즐부(12) 측면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미세공기공급공(12b)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0b)와 상기 축관부(10c) 사이 고정 결합부(16)엔 고정결합공(18)이 복수개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 브라켓(2)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20)엔 일정 간격마다 제1 설치공(22)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24)엔 일정 간격마다 제2 설치공(26)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후방 브라켓(3)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30)엔 일정 간격마다 제3 설치공(32)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후방 단부를 끼우고 고정결합공(18)엔 고정바아(33)를 결합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34)엔 일정 간격마다 제4 설치공(36)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중간엔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의 개공(38)을 형성하여 이들 개공(38)과 상기 노즐유니트(1)의 입구부(10a)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 브라켓(3)의 후부 위치엔 분배기(4)가 설치되며, 상부 연장부(39)엔 스파크 점화기(5)와 온도감지 센서(6)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4)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서 하부 중앙에 가스 공급 체결공(40)이 형성되고 전방엔 일정한 간격마다 가스공급노즐(42)이 설치되어 후방브라켓(3)의 개공(38) 및 노즐유니트(1)의 입구부(10a)와 서로 마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스의 공급시 외부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양측엔 프레스 성형된 마감부재(44)를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상기 마감부재(44)를 이용하여 상기 분배기(4)와 상기 후방 브라켓(3)을 서로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게 되는 가스 버너의 경우 노즐유니트(1)와 전,후방 브라켓(2,3)을 제1 설치공(22), 제2 설치공(26), 제3 설치공(32) 및 제4 설치공(36)을 이용하여 서로 끼워서 조립 결합하고, 고정결합공(18)엔 고정바아(33)를 끼워 서로 고정 결합하며, 후방 브라켓(5)엔 분배기(4)와 스파크 점화기(5) 그리고 온도감지센서(6)를 각각 결합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은 노즐유니트(1)에 대하여 소성가공방식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기 노즐유니트(1)는 스테인레스 강판소재를 이용하여 노즐유니트(1)를 펼쳐놓은 상태에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하는 제1공정, 가스노즐공(12a), 미세공기공급공(12b)과 그리고 대공(18a) 및 소공(18b)으로 구분되는 고정결합공(18)을 천공하는 제2공정, 입구부(10a), 확관부(10b), 축관부(10c), 대연결통로(10d), 노즐부(12), 성형요부(14a)를 포함하는 연통부(14)를 서로 대칭되게 프레스 성형하는 제3공정, 가스노즐공(12a)을 중심으로 양측을 프레스 벤딩작업하는 제4공정, 제4공정에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형태로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접이 이루어지면서 노즐부(12)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와 고정결합부(16)가 서로 압접작업이 이루어지는 제5공정, 고정결합공(18) 중 소공(18a)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공여유부가 대공(18b)을 통과한 후 가공여유부를 다시 프레스 성형하여 서로 마무리 고정하여 압접 및 밀착 고정된 고정결합부(16)를 성형하는 제6공정, 그리고 전방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가공여유부를 이용하여 말아 감아서 마무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제7공정을 거쳐 소성가공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주방용 가스버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다음은 전술한 제조방법을 각 공정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제1공정은 스테인레스 강판소재를 이용하여 노즐유니트(1)를 펼쳐놓은 상태에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으로서, 후술되는 제2공정 내지 제7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적인 단계라 할 수 있다.
제2공정
제2공정은 가스노즐공(12a), 미세공기공급공(12b)과 그리고 대공(18a) 및 소공(18b)으로 구분되는 고정결합공(18)을 천공하는 공정으로서, 전술한 제1공정에서 준비된 소재를 이용하여 가스노즐공(12a)은 펀치를 이용하여 천공하게 되고, 나머지 미세공기공급공(12b)과 그리고 대공(18a) 및 소공(18b)으로 구분되는 고정결합공(18)은 펀치나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제3공정
제3공정은 입구부(10a), 확관부(10b), 축관부(10c), 대연결통로(10d), 노즐부(12), 성형요부(14a)를 포함하는 연통부(14)를 서로 대칭되게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으로서, 미리 제작한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성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4공정
제4공정은 가스노즐공(12a)을 중심으로 양측을 프레스 벤딩작업하는 공정으로서, 가스노즐공(12a)과 인접한 양측 위치에 벤딩작업을 수행하여 내부가 비어 있는 노즐부(12)를 프레스 성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5공정
제5공정은 제4공정에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형태로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접이 이루어지면서 노즐부(12)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와 고정결합부(16)가 서로 압접작업이 이루어지는 공정으로서, 양측에 반쪽 상태로 위치하였던 입구부(10a), 확관부(10b), 축관부(10c) 및 대연결통로(10d)가 서로 마주하면서 결합되어 입구부(10a)를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혼합가스의 공급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성형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6공정
제6공정은 고정결합공(18) 중 소공(18a)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공여유부가 대공(18b)을 통과한 후 가공여유부를 다시 프레스 성형하고 서로 마무리 고정하여 압접 및 밀착 고정된 고정결합부(16)를 성형하는 공정으로서, 고정결합부(16)가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7공정
그리고 제7공정은 전방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가공여유부를 이용하여 말아 감아서 마무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제7공정으로서, 노즐유니트(1)를 제조하는 처음의 제1공정에서 스테인레스 강판 소재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미리 확보해 놓은 가공여유부를 활용하여 마무리가공으로서 말아서 감는 프레스 성형을 수행하게 되면 노즐유니트(1)의 가장자리를 서로 확실하게 고정하여 사용중에 노즐유니트(1)가 서로 벌어지거나 분리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1공정 내지 제7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본 발명인 소성가공방식에 의한 제조가 이루어지면서 가스 버너에 있어서 노즐유니트(1), 전,후방 브라켓(2,3), 분배기(4) 등의 구조를 개선하여 노즐공(12a)에서는 전체적으로 고른 화염을 유지할 수 있고, 노즐유니트(1)의 설치수효를 조절하게 되면 대용량의 국솥이나 조리에 유효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급된 공기혼합가스가 입구부(10a), 확관부(10b), 대연결통로(10d), 축관부(10c), 성형요부(14a)를 형성한 연통부(14) 및 노즐부(12)의 가스노즐공(12a)을 통하여 공급 배출이 고르게 이루어지면서 균형이 있는 화염과 원활한 연소에 의하여 작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여 주변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되고, 동일한 형태의 노즐유니트(1)를 소성가공방식으로 다수 제작하여 이들 노즐유니트(1)를 다양하게 조립하여 수요에 맞게 가스 버너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가스 버너의 경우 소성가공 및 단순 조립방식에 의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1: 노즐유니트, 2: 전방 브라켓,
3: 후방 브라켓, 4: 분배기,
5: 스파크점화기, 6: 온도감지센서,
10a: 입구부, 10b: 확관부,
10c: 축관부, 10d: 대연결통로,
12: 노즐부, 12a: 가스노즐공,
14: 연통부, 14a: 성형요부,
16: 고정결합공, 18: 고정결합공,
18a: 소공, 18b: 대공,
20,30: 상부 만곡부, 22: 제1 설치공,
24,34: 하부 만곡부, 26: 제2 설치공,
32: 제3 설치공, 33: 고정바아,
36: 제4 설치공, 38: 개공,
39: 연장부, 40: 가스공급체결공,
42: 가스공급노즐, 44: 마감부재,

Claims (6)

  1. 복수개의 노즐유니트(1)를 일정 간격으로 전,후방 브라켓(2,3)에 의하여 결합 설치하고, 후방 브라켓(3)엔 상기 노즐유니트(1)에 각각 공기와 혼합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4)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유니트(1)는 입구부(10a), 확관부(10b) 및 축관부(10c)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면서 중간의 대연결통로(10d)를 중심으로 상기 확관부(10b) 및 축관부(10c)가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곡선 형태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축관부(10c)의 상부 위치엔 다수의 가스노즐공(12a)이 한 쌍씩 연속 형성된 노즐부(12)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10c)와 상기 노즐부(12) 사이엔 연통부(14)가 마련되고, 상기 축관부(10c)의 상부로서 연통부(14)의 전방 위치엔 상기 노즐부(12) 전체에 공급되는 공기혼합가스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성형요부(14a)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기 노즐유니트(1)의 노즐부(12) 측면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미세공기공급공(12b)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10b)와 상기 축관부(10c) 사이 고정 결합부(16)엔 고정결합공(18)이 복수개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 브라켓(2)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20)엔 일정 간격마다 제1 설치공(22)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전방 상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24)엔 일정 간격마다 제2 설치공(26)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 브라켓(3)은 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되, 상부 만곡부(30)엔 일정 간격마다 제3 설치공(32)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후방 단부를 끼우고 고정결합공(18)엔 고정바아(33)를 결합하여 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하부 만곡부(34)엔 일정 간격마다 제4 설치공(36)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유니트(1)의 후방 하부 모서리부를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중간엔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의 개공(38)을 형성하여 이들 개공(38)과 상기 노즐유니트(1)의 입구부(10a)와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후방 브라켓(3)의 후부 위치엔 분배기(4)가 설치되며, 상부 연장부(39)엔 스파크 점화기(5)와 온도감지 센서(6)가 각각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기(4)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로서 하부 중앙에 가스 공급 체결공(40)이 형성되고 전방엔 일정한 간격마다 가스공급노즐(42)이 설치되어 후방브라켓(3)의 개공(38) 및 노즐유니트(1)의 입구부(10a)와 서로 마주한 위치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가스의 공급시 외부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양측엔 프레스 성형된 마감부재(44)를 기밀유지가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고 상기 마감부재(44)를 이용하여 상기 분배기(4)와 상기 후방 브라켓(3)을 서로 체결 고정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스버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노즐유니트(1)는 스테인레스 강판소재를 이용하여 노즐유니트(1)를 펼쳐놓은 상태에 해당하는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하는 제1공정,
    가스노즐공(12a), 미세공기공급공(12b)과 그리고 대공(18a) 및 소공(18b)으로 구분되는 고정결합공(18)을 천공하는 제2공정,
    입구부(10a), 확관부(10b), 축관부(10c), 대연결통로(10d), 노즐부(12), 성형요부(14a)를 포함하는 연통부(14)를 서로 대칭되게 프레스 성형하는 제3공정,
    가스노즐공(12a)을 중심으로 양측을 프레스 벤딩작업하는 제4공정,
    상기 제4공정에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 소재를 프레스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소정의 형태로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압접이 이루어지면서 노즐부(12)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 부위와 고정결합부(16)가 서로 압접작업이 이루어지는 제5공정,
    고정결합공(18) 중 소공(18a)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공여유부가 대공(18b)을 통과한 후 가공여유부를 다시 프레스 성형하여 서로 마무리 고정하여 압접 및 밀착 고정된 고정결합부(16)를 성형하는 제6공정, 그리고
    전방 가장자리, 하부 가장자리 및 후방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가공여유부를 이용하여 말아 감아서 마무리 프레스 가공을 행하는 제7공정을 거쳐 소성가공에 의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스버너의 제조방법.
KR1020180044771A 2018-04-18 2018-04-18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71A KR101944666B1 (ko) 2018-04-18 2018-04-18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771A KR101944666B1 (ko) 2018-04-18 2018-04-18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666B1 true KR101944666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771A KR101944666B1 (ko) 2018-04-18 2018-04-18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66B1 (ko)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379Y1 (ko) * 1990-12-29 1995-01-25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의 메인버너 고정구조
JPH07293830A (ja) 1994-04-28 1995-11-10 Osaka Gas Co Ltd 濃淡燃焼装置
JP3115748B2 (ja) * 1993-08-26 2000-12-11 株式会社ガスター ガスバーナ
JP3226702B2 (ja) * 1994-03-17 2001-11-05 大阪瓦斯株式会社 濃淡燃焼装置
KR100288114B1 (ko) 1996-05-31 2001-11-22 나이토 스스무 가스 혼합구조
KR20030050295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연료와 흡입공기의 혼합공간을 갖는 가스연소버너
JP3674853B2 (ja) * 2002-01-24 2005-07-27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KR100782121B1 (ko) 2006-07-12 2007-12-21 (주)금성주방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KR100938392B1 (ko)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JP4501118B2 (ja) 2007-08-22 2010-07-14 株式会社ノーリツ 金属プレスバーナ
KR101369878B1 (ko) 2012-02-06 2014-03-06 오에스지(주) 주방용 가스 버너
KR101562253B1 (ko) * 2014-11-25 2015-10-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과농 희박 연소장치
JP2016011825A (ja) * 2014-06-04 2016-01-21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379Y1 (ko) * 1990-12-29 1995-01-25 대우전자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의 메인버너 고정구조
JP3115748B2 (ja) * 1993-08-26 2000-12-11 株式会社ガスター ガスバーナ
JP3226702B2 (ja) * 1994-03-17 2001-11-05 大阪瓦斯株式会社 濃淡燃焼装置
JPH07293830A (ja) 1994-04-28 1995-11-10 Osaka Gas Co Ltd 濃淡燃焼装置
KR100288114B1 (ko) 1996-05-31 2001-11-22 나이토 스스무 가스 혼합구조
KR20030050295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가스연료와 흡입공기의 혼합공간을 갖는 가스연소버너
JP3674853B2 (ja) * 2002-01-24 2005-07-27 株式会社ノーリツ 燃焼装置
KR100782121B1 (ko) 2006-07-12 2007-12-21 (주)금성주방 식당용 고화력 가스버너
JP4501118B2 (ja) 2007-08-22 2010-07-14 株式会社ノーリツ 金属プレスバーナ
KR100938392B1 (ko) 2009-08-27 2010-01-22 (주)금성주방 가스버너
KR101369878B1 (ko) 2012-02-06 2014-03-06 오에스지(주) 주방용 가스 버너
JP2016011825A (ja) * 2014-06-04 2016-01-21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KR101562253B1 (ko) * 2014-11-25 2015-10-2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과농 희박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287A (zh) 具有改进的阀板的压缩机
KR101944666B1 (ko) 주방용 가스버너 및 그 제조방법
CN102138041A (zh) 烤炉部件的组装
CN107429863A (zh) 用于热交换器的端口凸缘和制作端口凸缘的方法
EP3529534B1 (en) Gas burner for boiler
EP0829679A2 (en) Fuel/air supply assembly for gas burners
JPH07507380A (ja) バルブ構造体
WO2006017147B1 (en) Fluid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EP1085137A1 (en) An insulating enbloc for buildings
CN210441208U (zh) 一种炉头
EP1020644B1 (en) A fluid machinery, a flange for fluid machiner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m
CN219756367U (zh) 一种燃烧装置及燃气灶
CN100507329C (zh) 柱式水龙头及其制造方法
CN211084065U (zh) 一种燃烧器
CN114838183B (zh) 一种电磁换向阀
CN216545633U (zh) 一种带双温区的空调箱
CN209978036U (zh) 一种一体式分火器
CN218064871U (zh) 一种能够调节燃气流量的金箍燃烧棒
CN212108387U (zh) 炉头、燃烧器和烹饪装置
CN210106642U (zh) 一种具有保火功能的燃气旋塞阀
CN103831385A (zh) 锻造用模具
CN100498025C (zh) 水龙头
CN215808652U (zh) 炉头底座、燃烧器和燃气灶具
EP0793058A2 (en) Mixer tube assembly for fuel gas burner
CN100498079C (zh) 燃气灶不锈钢板整体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