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078B1 -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078B1
KR101943078B1 KR1020177023290A KR20177023290A KR101943078B1 KR 101943078 B1 KR101943078 B1 KR 101943078B1 KR 1020177023290 A KR1020177023290 A KR 1020177023290A KR 20177023290 A KR20177023290 A KR 20177023290A KR 101943078 B1 KR101943078 B1 KR 101943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light emitting
light
electrod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034A (ko
Inventor
요시노리 니시키타니
히로유키 니시데
스즈시 니시무라
소우이치 우치다
사나미 야자키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각코호진 와세다다이가쿠 filed Critical 제이엑스티지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7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01L51/501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3Morphological aspects
    • C08G2261/133Rod-like building block
    • C08G2261/1334Step-ladder-type, e.g. polyfluorenes or polycarb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52Luminescence
    • C08G2261/522Luminescence fluor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제1 도전성 폴리머, 제2 도전성 폴리머,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5eV 이하인 발광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제1 전극, 이 발광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된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를 가지는 발광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발광 장치에서는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각 층이 간소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소자 구조이면서,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진다.

Description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본 발명은 발광 조성물, 이 발광 조성물로 발광층을 형성한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를 가지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후,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라고도 함)는 일반적으로 경량이며 얇게 대면적의 발광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조명,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발광 디바이스로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일반적으로 양극, 음극 및 발광층으로 구성되고, 양극간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홀)과,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발광층에서 결합함으로써 발광한다. 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발광층 이외에 정공과 전자와의 재결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공 주입층이나 전자 주입층 등을 마련하여 다층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발광 소자의 구조가 복잡해짐과 아울러 제조 공정도 번잡해져버린다는 과제를 가진다. 또한 발광 소자의 구동에 고 전계가 필요한 것도 과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과제를 해결하는 소자로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이후, LEC;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로 약칭하는 경우도 있음)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등에서 제안되어 있다.
이 LEC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양 전극간에 마련된 발광층으로 구성된다. 발광층은 발광 재료인 도전성 폴리머 및 전해염을 전해질에 분산하여 형성된다. 이 LEC에 있어서는 양극간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의 정부 전하의 주입과 전해염의 정부 양 이온의 이동에 의해 p-n 접합 또는 p-i-n 접합이 형성되고,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 내의 발광 재료 분자상에서 재결합하여 발광 분자를 여기하고,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실활함으로써 발광한다고 추정되고 있다.
이 LEC는 일반적으로 OLED에 대하여 (1) 구동 전압이 낮고, (2) 대기중에서 안정된 전극의 사용이 가능하며, (3) 단일의 발광층에서의 소자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소자 구성이 간단하다는 등의 우위성을 가진다. 그 중에서도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LEC는 소자 제조시의 전해질의 밀봉이 용이한 점이나, 소자 파손시에 환경에 주는 영향이 적은 점에서 특히 주목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08-291230호 공보 일본 특표 2012-516033호 공보
이와 같은 LEC를 조명이나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에 적용하는 경우 백색 발광시킬 필요가 있다. 종래의 LEC의 개발은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청색(B), 녹색(G), 적색(R) 등의 단색 발광 소자의 성능 향상에 맞춰져 있고, LEC에 의한 백색 발광은 미개척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백색 발광의 LEC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발광층을 적, 녹 및 청으로 구성하는 3층 구조로 하거나, 필터를 마련하여 색 변환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성능, 비용, 제법에서 만족할만한 백색 발광의 LEC는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발광층이 단일층인 간소한 소자 구조이면서,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지는 발광 조성물, 이 발광 조성물로 발광층을 형성한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를 가지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된 LEC에 있어서, 발광층이 제1 도전성 폴리머, 제2 도전성 폴리머,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5eV 이하인 발광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LEC를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1 도전성 폴리머가 청색 발광하고,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적등색 발광함으로써 발광층이 백색 발광하고, 또는 제1 도전성 폴리머가 청색 발광하고,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적등색 발광하고, 또한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여기 착체가 형광을 발광함으로써 발광층이 백색 발광한다. 이 여기 착체는 제1 도전성 폴리머 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엑시머,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 사이에 형성되는 엑시플렉스 혹은 일렉트로플렉스이며, 각각 엑시머 형광, 엑시플렉스 형광 혹은 일렉트로플렉스 형광을 발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종 이상의 발광의 조합에 의해 저 구동 전압으로 고 휘도의 우수한 백색광이 발광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도전성 폴리머, 제2 도전성 폴리머,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5e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상기 발광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전기 화학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발광 전기 화학 소자와,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의 적어도 일종과,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 및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조합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제조로의 사용으로서, 상기 발광 전기 화학 소자는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층이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의 적어도 일종, 상기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 및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의 적어도 일종 및 상기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 및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5eV 이하인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의 적어도 일종과,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 및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조합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제조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을 사용하면, 저 구동 전압으로 고 휘도 또한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지는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발광층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는 단일의 발광층으로 할 수 있고, 간소한 소자 구조이면서, 저 구동 전압으로 고 휘도 또한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진다.
본 출원에 있어서,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은 색도도에 있어서 x 및 y가 0.33±0.09의 범위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나 이 소자에 관련한 화합물의 발광색은 「순간 멀티 측광 시스템(광다이나믹 레인지 타입) MCPD9800」(오츠카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로 측정한 결과를 CIE 색도좌표에 적용시켰을 때의 색으로 한다. 이후, 이와 같이 백색도가 양호한 것을 고 백색도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고 휘도 또한 고 백색도의 백색광이 얻어지는 발광 장치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 1 및 2의 소자의 휘도-전압(L-V)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실시예 3~5의 소자의 휘도-전압(L-V)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의 (a)는 실시예 1 및 2의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스펙트럼도이며, (b)는 실시예 3~5의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스펙트럼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예 1 및 2의 소자의 색도도이며, (b)는 실시예 3~5의 소자의 색도도이다.
도 5는 실시예 6의 소자의 휘도-전압(L-V)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6의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스펙트럼도이다.
도 7은 실시예 6의 소자의 색도도이다.
도 8은 실시예 7의 소자의 휘도-전압(L-V)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7의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스펙트럼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7의 소자의 색도도이다.
도 11은 비교예 1~4의 소자의 EL(Electroluminescence) 스펙트럼도이다.
도 12는 비교예 1~4의 각 소자의 색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은 제1 도전성 폴리머, 제2 도전성 폴리머,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이 중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제2 도전성 폴리머는 발광 화합물이다. 이 발광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제1 전극, 발광층,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발광층을 형성하기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에 있어서,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은 0.5eV 이하, 바람직하게는 0.3eV 이하이다. 이와 같은 에너지차는 HOMO간 또는 LUMO간의 어느 하나에서 가지고 있으면 되고, 양자가 이와 같은 에너지차여도 된다. 이와 같이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을 작게 함으로써, 이 조성물에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발광층을 형성한 경우에 양 도전성 폴리머에 전하가 주입되기 쉬워져, 발광이 얻어지기 쉽다.
이와 같은 도전성 폴리머로부터의 발광은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얻어지고, 제1 도전성 폴리머가 청색 발광하고,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적등색 발광함으로써 전체가 백색 발광한다. 또는 제1 도전성 폴리머가 청색 발광하고,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적등색 발광하고,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여기 착체가 형광을 발광함으로써 전체가 백색 발광한다. 이 여기 착체는 제1 도전성 폴리머 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엑시머,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 사이에 형성되는 엑시플렉스 혹은 일렉트로플렉스이며, 각각 엑시머 형광, 엑시플렉스 형광 혹은 일렉트로플렉스 형광을 발광한다.
여기서 엑시머, 엑시플렉스 또는 일렉트로플렉스는 동일 혹은 종류가 상이한 원자 또는 분자로 이루어지는 여기 이량체이며, 여기 상태의 원자 또는 분자가 기저 상태의 동일 또는 다른 종류의 원자 또는 분자와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엑시머 형광, 엑시플렉스 형광 또는 일렉트로플렉스 형광은 여기 상태의 엑시머, 엑시플렉스 또는 일렉트로플렉스가 실활할 때에 발광되는 형광이다.
이 엑시플렉스는 정공이 HOMO에 주입된 도너 분자와, 전자가 LUMO에 주입된 억셉터 분자로부터 형성되는 여기 이량체이며, 도너 분자와 억셉터 분자의 파동 함수가 겹치고 있고, 전자 및 정공은 비국재화하고 있다. 여기 이량체 중의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함으로써 발광한다. 또 일렉트로플렉스에서는 정공이 HOMO에 주입된 도너 분자와, 전자가 LUMO에 주입된 억셉터 분자의 파동 함수의 겹침이 작고, 전하의 비국재화는 거의 일어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발광은 억셉터 분자의 LUMO로부터 도너 분자의 HOMO에 전자가 직접 천이함으로써 일어난다.
상기 서술한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5eV를 넘는 경우, 제1 도전성 폴리머 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어느 일방만의 발광, 또는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 사이에 형성되는 엑시플렉스만, 혹은 일렉트로플렉스만, 또는 엑시플렉스 및 일렉트로플렉스만의 발광이 되고, 백색 발광으로부터 상당히 먼 발광이 되어버리는 일이 있다.
백색 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제1 도전성 폴리머의 발광과 제2 도전성 폴리머의 발광이 보색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색 관계가 되는 화합물을 발견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보색 관계로부터 벗어나, 양호한 백색 발광이 얻어지지 않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스스로 발광함과 아울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는 여기 착체가 제1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발광을 보완하는 형광색으로 발광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양호한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에 함유되는 제1 도전성 폴리머는 전자 및/또는 정공 수송 기능을 가지는 것이며, 전자 및/또는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할 수 있는 도전성 폴리머이다. 그 중에서도 제1 도전성 폴리머끼리로 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와의 조합에 있어서 양호한 엑시머 형광 또는 엑시플렉스 형광을 발광하는 점에서,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폴리머는 스스로 청색 발광함과 아울러, 제1 도전성 폴리머끼리로 엑시머를 형성하여 엑시머 형광을 발광하거나, 제2 도전성 폴리머와 엑시플렉스를 형성하여 엑시플렉스 형광을 발광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제1 도전성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고 코폴리머여도 된다. 코폴리머에 있어서는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구조식이 상이한 복수의 플루오렌계 모노머와의 코폴리머 및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모노머와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지 않는 다른 모노머와의 코폴리머여도 된다.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제1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적어도 하기 식(1)에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고 백색도의 백색광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1
식(1) 중,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다.
구체적 폴리머로서는 하기 식(1-1)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2
식(1-1) 중,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며, m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1)의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로서 들 수 있다.
하기 식(1a)의 폴리(9,9-다이-n-헥실플루오레닐-2,7-다이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3
식(1a) 중, n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 코폴리머로서는 폴리[9,9-다이-n-헥실플루오레닐-2,7-다이일-co-안트라센-9,10-다이일]을 예시할 수 있다.
하기 식(1b)의 폴리[9,9-비스-(2-에틸헥실)-9H-플루오렌-2,7-다이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4
식(1b) 중, n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하기 식(1c)의 폴리(9,9-다이-n-옥틸플루오레닐-2,7-다이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5
식(1c) 중, n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하기 식(1d)의 폴리(9,9-다이-n-도데실플루오레닐-2,7-다이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6
식(1d) 중, n은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제1 도전성 폴리머의 중합도는 특별히 상한은 없고, 발광 조성물을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하여 전극에 칠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도 범위이면 된다.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제1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특히 식(1d)에 나타내는 폴리(9,9-다이-n-도데실플루오레닐-2,7-다이일)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층 더 고 백색도의 백색광이 얻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에 함유되는 제2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제1 도전성 폴리머와의 HOMO 또는 LUMO의 에너지차가 상기 서술한 범위 내로서, 제1 도전성 폴리머와의 사이에서 엑시플렉스 또는 일렉트로플렉스를 형성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정공을 효율적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제2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적어도 하기 식(2) 혹은 (3)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제2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적어도 하기 식(4)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도전성 폴리머는 정공 이동도가 높고, 효율적으로 엑시톤을 형성할 수 있고, 고 백색도의 백색광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7
구체적 폴리머로서는 하기 식(2-1)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8
식(2-1) 중, W는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09
구체적 폴리머로서는 하기 식(3-1)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0
식(3-1) 중, X는 중합도를 나타내고,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1
구체적 폴리머로서는 하기 식(4-1)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2
식(4-1) 중, Y 및 Z는 중합도를 나타내고, 각각 독립적으로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페닐렌바이닐렌 골격 또는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제2 도전성 폴리머는 호모폴리머여도 되고 코폴리머여도 된다. 코폴리머에 있어서는 페닐렌바이닐렌 골격 또는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구조식이 상이한 복수의 페닐렌바이닐렌계 또는 티오펜계 모노머와의 코폴리머 및 페닐렌바이닐렌 골격 또는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모노머와 페닐렌바이닐렌 골격 또는 티오펜 골격을 가지지 않는 다른 모노머와의 코폴리머여도 된다.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중합도는 특별히 상한은 없고, 발광 조성물을 용융 또는 용매에 용해하여 전극에 칠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도 범위이면 된다.
구체적인 제2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바이닐렌], 폴리[2-메톡시-5-(3',7'-다이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바이닐렌], 폴리[3-옥틸티오펜-2,5-다이일-co-3-데실옥시티오펜-2,5-다이일](POT-co-DO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의 함유비는 제1 도전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도전성 폴리머가 1~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2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범위 내이면 보다 양호한 형광 발광이 얻어짐과 아울러 발광 효율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고, 고 백색도의 백색광이 된다. 또한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한 여기 착체를 형성하기 쉬워지는 점에서, 이 여기 착체의 형광에 의해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한 발광을 보완하여 양호한 백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의 함유비가 상기 범위 밖이 되는경우, 양호한 형광 발광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머 전해질은 에틸렌옥사이드 골격을 가지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기 식(5)으로 표시되는 에틸렌옥사이드 골격을 가지는 폴리머이며, 이 에틸렌옥사이드 골격을 주쇄 또는 측쇄에 가지는 구조로서 분기 구조를 가지고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3
또 에틸렌옥사이드 골격은 예를 들면 수소 원자가 메틸, 에틸 등의 알킬기,또 페닐기 등의 방향환을 가지는 아릴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알킬렌옥사이드가 바람직하고, 또한 폴리에틸렌옥사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성, 이온 전도도, 기계 특성, 투명성의 점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점도 평균 분자량(Mv)이 100,000~2,0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0~900,000이다. 가공성 및 이온 전도도가 보다 양호하게 된다.
발광 조성물 중의 폴리머 전해질의 함유량은 제1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0~4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160중량부이다. 폴리머 전해질 함유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발광층이 얇고, 단락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고, 400중량부를 넘는 경우, 깨끗한 면 발광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에는 추가로 전해염이 함유되고, 그 전해염으로서는 LiCl, LiBr, LiI, LiBF4, LiClO4, LiPF6, LiCF3SO3 등의 리튬염, KCl, KI, KBr, KCF3SO3 등의 포타슘염, NaCl, NaI, NaBr 등의 소듐염, 붕불화테트라에틸암모늄, 과염소산테트라에틸암모늄, 붕불화테트라뷰틸암모늄, 과염소산테트라뷰틸암모늄, 테트라뷰틸암모늄할라이드 등의 테트라알킬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4급 암모늄염의 알킬쇄 길이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며, 필요에 따라 1종만이어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이온 전도도, 상용성, 안정성의 점에서 KCF3SO3이 바람직하다.
또 발광 조성물에 함유되는 전해염으로서 이온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온 액체는 실온(25℃)에서 액체로서 존재하는 염을 의미한다. 이온 액체의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미다졸륨 카티온, 피리디늄 카티온, 피롤리디늄 카티온, 피페리디늄 카티온,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 피라졸륨 카티온, 또는 테트라알킬포스포늄 카티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륨 카티온으로서는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1-뷰틸-3-메틸이미다졸륨, 1-에틸-2,3-다이메틸이미다졸륨, 1-알릴-3-메틸이미다졸륨, 1-알릴-3-에틸이미다졸륨, 1-알릴-3-뷰틸이미다졸륨, 1,3-다이알릴이미다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리디늄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1-프로필피리디늄, 1-뷰틸피리디늄, 1-에틸-3-(하이드록시메틸)피리디늄, 1-에틸-3-메틸피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롤리디늄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늄, N-메틸-N-뷰틸피롤리디늄, N-메틸-N-메톡시메틸피롤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페리디늄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N-프로필피페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N,N,N-트라이메틸-N-프로필암모늄, 메틸트라이옥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라졸륨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1-에틸-2,3,5-트라이메틸피라졸륨, 1-프로필-2,3,5-트라이메틸피라졸륨, 1-뷰틸-2,3,5-트라이메틸피라졸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테트라알킬포스포늄 카티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포스포늄, 테트라뷰틸포스포늄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카티온과 조합되어 이온 액체를 구성하는 아니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BF4 -, NO3 -, PF6 -, SbF6 -, CH3CH2OSO3 -, CH3CO2 -, 또는 CF3CO2 -, CF3SO3 -, (CF3SO2)2N-[비스(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 (CF3SO2)3C- 등의 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아니온을 들 수 있다.
발광 조성물 중의 전해염의 함유량은 제1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합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4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부이다. 전해염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인 경우, 발광 조성물을 발광층으로 했을 때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발광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40중량부를 넘는 경우, 도핑이 지나치게 진행하여 단락을 일으키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는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발광층이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발광층의 층 두께는 원리적으로는 발광 성능은 막두께에 의존하는 일은 없는 점에서 임의의 층 두께로 할 수 있는데, 통상 실용성의 점에서 1nm~1000nm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nm~250nm의 범위에서 원하는 층 두께를 적용한다. 층 두께가 1nm보다 얇은 경우 단락하는 일이 있고, 1000nm를 넘는 경우는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한 여기 착체 형성의 효율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를 구성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적어도 일방은 투광성 전극 즉 투명 전극이며, 발광층이 발광한 광을 취출할 수 있다. 투명 전극의 재료로서는 산화주석, 산화아연, 산화인듐, 인듐주석옥사이드, 산화인듐·산화아연 화합물, 산화주석·안티모니 화합물, 산화갈륨·산화아연 화합물, 백금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타방의 전극은 투명 전극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인듐, 마그네슘, 텅스텐, 타이타늄, 몰리브데넘, 칼슘, 소듐, 포타슘, 이트륨, 리튬, 망가니즈, 금, 은, 구리, 팔라듐, 백금, 주석, 납, 니켈 등의 금속, 이들 금속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투명 전극이어도 된다.
제1 전극 및/또는 제2 전극으로서는 투명성을 가지는 ITO(산화인듐주석)이 바람직하고, 이 이외에 도전성, 경제성의 점에서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제조 방법예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발광 전기 화학 소자(1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유리 등의 투명 기판 상에 제1 전극(1)으로서 마련된 ITO 전극 등의 표면에, 본 발명의 발광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분산한 분산 용액을 예를 들면 스핀 코트 성막법에 의해 칠하고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발광층(2)을 적층한다. 여기서 분산 용액을 위한 용매는 각 구성 성분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클로로폼, 사이클로헥산온, 톨루엔, 혹은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발광층(2) 상에 제2 전극(3)으로서의 알루미늄을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에 의해 증착, 제막시킴으로써 적층하여 발광 전기 화학 소자(10)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10)의 소자 특성은 휘도-전압(L-V) 특성, EL 스펙트럼도 및 색도도(색도 좌표)로 평가할 수 있다.
L-V 특성 평가에서는 구동 전압과 발광광의 휘도와의 관계를 평가할 수 있다. EL 스펙트럼도에서는 전압을 인가한 경우의 파장마다의 발광 강도에 의해 발광색의 상세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색도도를 사용하여 xy 좌표의 수치에 의해 발광색을 나타낼 수 있고,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인 백색광의 백색의 정도를 xy 좌표의 수치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 장치는 상기 본 발명의 발광 전기 화학 소자와,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부를 가지는 구성이다. 당해 전압부로서는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의 어느 것을 인가하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2)을 구성하는 각 화합물]
(A1) 제1 도전성 폴리머 ; 상기 식(1d)의 폴리(9,9-다이-n-도데실플루오레닐-2,7-다이일)(PFD)(Aldrich사제). LUMO:-3.2eV, HOMO:-6.1eV
(A2-1) 제2 도전성 폴리머 ; 상기 식(2-1)의 폴리[2-메톡시-5-(2-에틸헥실옥시)-1,4-페닐렌바이닐렌](MEH-PPV)(Aldrich사제). LUMO:-3.4eV, HOMO:-5.5eV
(A2-2) 제2 도전성 폴리머 ; 상기 식(3-1)의 폴리[2-메톡시-5-(3',7'-다이메틸옥틸옥시)-1,4-페닐렌바이닐렌](MDMO-PPV)(Aldrich사제). LUMO:-3.2eV, HOMO:-5.4eV
(A2-3) 제2 도전성 폴리머 ; 상기 식(4-1)의 폴리[3-옥틸티오펜-2,5-다이일-co-3-데실옥시티오펜-2,5-다이일](POT-co-DOT)(Aldrich사제). LUMO:-3.3eV, HOMO:-5.0eV
(A3) 폴리머 전해질 ; 폴리에틸렌옥사이드(Mv 600,000, Aldrich사제)
(A4) 전해염 ; KCF3SO3(Aldrich사제)
또한 상기한 각 에너지 준위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결정했다. 도전성 폴리머의 HOMO 준위는 사이클릭 볼타모그램(CV)의 산화파의 상승으로부터 산화 전위 E(페로센 기준)를 결정한 후, 페로센 기준의 일함수를 5.23eV로 하고, 식:HOMO=-(eE+5.23)을 사용하여 결정했다. 여기서 「e」는 단위 전하이다. 또 핸드갭 에너지(Eg)는 자외 가시 스펙트럼의 흡수 피크의 상승으로부터 결정했다. LUMO 준위는 LUMO=HOMO+Eg의 식으로부터 산출한 것이다.
실시예 1
<발광층:발광 조성물 1>
발광 조성물 1로서, 상기 성분 A1, A2-1, A3 및 A4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혼합했다. 제1 도전성 폴리머 A1과 제2 도전성 폴리머 A2-1 사이의 LUMO의 차(절대값)를 표 1에 나타낸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A의 제작>
유리 기판 상에 제1 전극(1)으로서 ITO 전극을 마련하여 UV 오존 세정했다. 그 후, 당해 제1 전극(1) 상에 발광 조성물 1을 클로로폼/사이클로헥산온(1.62:1.0) 혼합 용매에 용해한 용액 농도 9.5mg/mL 용매의 용액 150μL를 스핀 코트 성막법에 의해 칠하고, 계속해서 당해 혼합 용매를 건조 제거하여 150nm의 발광층(2)을 적층했다. 또한 이 발광층(2) 상에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여 100nm의 제2 전극(3)을 적층하여 소자 A를 제작했다.
얻어진 소자 A에 대해서 L-V 특성, EL 스펙트럼 및 색도도에서의 발광색 평가를 실시했다. L-V 특성을 도 2(a)에, EL 스펙트럼을 도 3(a)에, 색도도를 도 4(a)에 및 색도도 상의 색도 좌표의 xy 좌표를 표 2에 나타낸다. L-V 특성 및 EL 스펙트럼은 순간 멀티 측광 시스템(광다이나믹 레인지 타입) MCPD9800(오츠카덴시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검출기로부터 소자 발광면까지의 거리는 0.028m, 발광 면적은 9×10-6m2(3mm×3mm), 인가 전압은 0V로부터 15V이다. 또 모든 측정은 암실하에서 행했다.
실시예 2~5
<발광층:발광 조성물 2~5>
발광 조성물 2~5로서, 상기 성분 A1, A2-1, A3 및 A4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혼합했다. 각 조성물에 있어서의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제2 도전성 폴리머의 LUMO의 차(절대값)를 표 1에 나타낸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B, C, D 및 E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2~5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B, C, D 및 E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2~도 4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6
<발광층:발광 조성물 6>
발광 조성물 6으로서, 상기 성분 A1, A2-2, A3 및 A4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혼합했다.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의 LUMO의 차(절대값)를 표 1에 나타낸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F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6으로 변경하고, 혼합 용매를 클로로폼/사이클로헥산온(1.67/1.0) 혼합 용매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F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5~도 7 및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발광층:발광 조성물 7>
발광 조성물 7로서, 상기 성분 A1, A2-3, A3 및 A4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혼합했다.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제2 도전성 폴리머의 LUMO의 차(절대값)를 표 1에 나타낸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G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7로 변경하고, 혼합 용매를 클로로폼/사이클로헥산온(1.97/1.0) 혼합 용매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G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8~도 10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발광층:발광 조성물 8>
발광 조성물 8로서, 상기 성분 A1, A3 및 A4를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했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H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8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H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11, 도 12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발광층:발광 조성물 9>
발광 조성물 9로서, 상기 성분 A2-1, A3 및 A4를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했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I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9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I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11, 도 12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발광층:발광 조성물 10>
발광 조성물 10으로서, 상기 성분 A2-2, A3 및 A4를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했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J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1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J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11, 도 12 및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발광층:발광 조성물 11>
발광 조성물 11로서, 상기 성분 A2-3, A3 및 A4를 표 1의 배합비로 혼합했다.
<발광 전기 화학 소자:소자 K의 제작>
실시예 1의 발광 조성물 1을 발광 조성물 1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소자 K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평가했다. 결과를 도 11, 도 12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4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5
도 2, 도 5 및 도 8의 L-V 특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A~G는 모두 구동 전압 4V~15V에서 백색 발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의 소자 H는 제1 도전성 폴리머 A1 단독으로의 발광 거동을 나타내고 있고, A1은 450nm 부근에 극대값을 가지고 400~500nm에서 발광한다. 이 발광은 제1 도전성 폴리머 A1 단독으로의 발광이다. 도 11의 소자 I는 제2 도전성 폴리머 A2-1 단독으로의 발광 거동을 나타내고 있고, A2-1 단독으로는 600nm 부근에 극대값을 가지고 발광한다.
이에 대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A~소자 E의 발광 스펙트럼은 450nm, 500nm, 600nm 부근에 극대값을 가지는 발광 스펙트럼이 중첩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500nm 부근의 발광은 A1의 엑시머 형광이다. 도 4의 색도도로부터 소자 A~소자 E는 A1의 청색 발광, A2-1의 적등색 발광 및 A1의 엑시머에 의한 500nm 부근의 발광에 의해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F의 발광 스펙트럼은 500nm 부근에 극대값을 가지는 발광을 나타내고 있고, A1과 A2-2의 발광에 500nm 부근의 A1의 엑시머에 기인하는 발광이 중첩된 발광으로 되어 있다. 도 7의 색도도로부터 소자 F는 A1의 청색 발광, A2-2의 적등색 발광 및 A1의 엑시머에 의한 500nm 부근의 발광에 의해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소자 K는 제2 도전성 폴리머 A2-3 단독으로의 발광 거동을 나타내고 있고, A2-3 단독으로는 600nm 이상의 영역에서 발광한다.
이에 대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 G의 발광 스펙트럼은 400nm~500nm 부근에 극대값을 가지는 발광과, 600nm 부근 이후의 숄더의 발광을 합친 것으로 되어 있고, 500nm 부근에 A1의 엑시머에 기인하는 발광이 관측된다. 또 도 10의 색도도로부터 소자 G는 A1의 청색 발광, A2-3의 적등색 발광 및 A1의 엑시머에 의한 500nm 부근의 발광에 의해 한 없이 백색에 가까운 백색 발광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제1 전극
2…발광층
3…제2 전극

Claims (12)

  1. 제1 도전성 폴리머, 제2 도전성 폴리머, 폴리머 전해질 및 전해염을 함유하고,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 및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의 최고 피점 궤도(HOMO)간 또는 최저 공궤도(LUMO)간의 에너지차의 절대값이 0.3eV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가 청색 발광하고,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가 적등색 발광함으로써 전체가 백색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 및/또는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에 의해 여기 착체가 형성되고, 상기 여기 착체로부터 형광이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착체는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끼리 혹은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끼리에 의해 형성된 엑시머, 또는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와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 사이에 형성된 엑시플렉스 혹은 일렉트로플렉스이며, 각각 엑시머 형광, 엑시플렉스 형광 또는 일렉트로플렉스 형광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는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의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오렌 골격을 가지는 제1 도전성 폴리머는 적어도 식(1)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6

    (식(1) 중,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다.)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폴리머는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 및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일종의 도전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닐렌바이닐렌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는 적어도 식(2) 또는 (3)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이며, 상기 티오펜 골격을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는 적어도 식(4)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가지는 도전성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7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8

    Figure 112017080692108-pct00019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폴리머는 폴리(9,9-다이-n-도데실플루오레닐-2,7-다이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전해질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조성물.
  11. 제1 전극, 발광층 및 제2 전극이 이 순서로 적층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전기 화학 소자.
  12. 제 11 항에 기재된 발광 전기 화학 소자와, 이 발광 전기 화학 소자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KR1020177023290A 2015-02-06 2016-02-03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KR101943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1920 2015-02-06
JPJP-P-2015-021920 2015-02-06
PCT/JP2016/053258 WO2016125834A1 (ja) 2015-02-06 2016-02-03 発光組成物、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発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034A KR20170107034A (ko) 2017-09-22
KR101943078B1 true KR101943078B1 (ko) 2019-01-28

Family

ID=5656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290A KR101943078B1 (ko) 2015-02-06 2016-02-03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75611B2 (ko)
KR (1) KR101943078B1 (ko)
CN (1) CN107210383B (ko)
WO (1) WO20161258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2043A (en) * 1994-06-28 1997-10-28 Uniax Corporation Electrochemical light-emitting devices
EP0885461B1 (en) * 1996-03-04 2003-08-13 DuPont Displays, Inc. Polyfluorenes as materials for photoluminescence and electroluminescence
US6127693A (en) * 1998-07-02 2000-10-03 National Science Council Of Republic Of China Light emitting diode with blue light and red light emitting polymers
DE102005040285A1 (de) * 2005-08-25 2007-03-01 Basf Ag Weiße organische Leuchtdioden (OLEDs) auf der Basis von Exciplexen zweier blau fluoreszierender Verbindungen
JP2009054952A (ja) * 2007-08-29 2009-03-12 Toshiba Corp 発光装置
WO2010085180A1 (en) * 2009-01-21 2010-07-29 Ludvig Edman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and system. use thereof and method for their operation
JP5671248B2 (ja) * 2010-03-31 2015-02-18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有機薄膜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JP6296239B2 (ja) * 2014-06-04 2018-03-20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該発光電気化学素子を有する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5834A1 (ja) 2016-08-11
JP6675611B2 (ja) 2020-04-01
CN107210383A (zh) 2017-09-26
JPWO2016125834A1 (ja) 2017-12-21
CN107210383B (zh) 2019-01-11
KR20170107034A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6239B2 (ja) 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該発光電気化学素子を有する発光装置
JP2012516033A (ja) 発光電気化学セルおよびシステム、その使用ならびにこれらの操作のための方法
US10547019B2 (en) Electrochemical luminescent cell and composition for forming luminescent layer of electrochemical luminescent cell
KR20140034174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방법
KR20160145139A (ko) 유기 발광 소자
EP2733188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a method of produc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5198073A1 (en) Charge-transfer salt comprising an 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
TW200845457A (en) Organic radiation-emitting device, applic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device
KR101943078B1 (ko) 발광 조성물, 발광 전기 화학 소자 및 발광 장치
Stroppa et al. High efficient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s based on ionic liquids 1, 2, 3-triazolium
US10439143B2 (en) Additive for light-emitting layer in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composition for forming light-emitting layer in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and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WO2016056529A1 (ja) 電気化学発光セル及び電気化学発光セルの発光層形成用組成物
JP6564649B2 (ja) 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該発光電気化学素子を有する発光装置
US20080074048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urfactant-coated cathode
JP6709706B2 (ja) 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該発光電気化学素子を有する発光装置
JP2019054110A (ja) イオン性化合物キャリア注入材料を用いた有機el素子
US20190341554A1 (en)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and composition for forming light-emitting layer of light-emitting electrochemical cell
JP2017155125A (ja) 発光組成物、発光電気化学素子、及び発光装置
JP2016129132A (ja) 発光電気化学セルおよびシステム、その使用ならびにこれらの操作のための方法
JP2015029098A (ja) 発光電気化学セルおよびシステム、その使用ならびにこれらの操作の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