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532B1 -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532B1
KR101942532B1 KR1020137023455A KR20137023455A KR101942532B1 KR 101942532 B1 KR101942532 B1 KR 101942532B1 KR 1020137023455 A KR1020137023455 A KR 1020137023455A KR 20137023455 A KR20137023455 A KR 20137023455A KR 101942532 B1 KR101942532 B1 KR 10194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ckwash
cleaning gap
hollow shaf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830A (ko
Inventor
카르스텐 카르타리우스
빌리 로트
Original Assignee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볼 운트 키르히 필터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01D29/68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01D2201/082Suction devices placed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필터 인서트(5)를 구비한 가역 흐름 필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필터 인서트의 내부 공간(8)은 여과액을 위한 유출구(9) 및 역세 장치(20)를 통해 유체 유입구에 연결되며, 상기 역세 장치(20)는, 필터 인서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필터 인서트(5)의 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역세 작업에서 필터 벽(6)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필터 벽(6)의 표면 부근에 도달되는 세정 갭(24)을 구비한 역세 몸체(22)를 가진다. 역세 장치는 일 축방향 단부가 로터리 드라이브(11)에 결합되고, 타 축방향 단부가 슬러지 배출구(16)에 연결된다. 연속적인 사용에 있어서 개선된 작동 특성을 갖는 가역 흐름 필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역세 몸체(22)는, 내부 공간 내로 개방가능하고 세정 갭(24)과 분리되며, 그리고 상기 세정 갭(24)의 개방 단면보다 큰 개방 단면을 갖는 흡입 슬롯(29)을 구비하고, 상기 역세 장치(20)는 역세 몸체(22)와 관련하여 부분 이동이 가능하고 로터리 드라이브(11)에 의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중공 축(30)을 가지며, 상기 중공 축을 통해 상기 세정 갭(24) 또는 상기 흡입 슬롯(29)은 역세 몸체(22)와 중공 축(30) 간에 상대 위치의 기능으로서 상기 슬러지 배출구(16)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REVERSIBLE-FLOW FILTER WITH SCAVENG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하우징과, 비여과 유체의 유입구와, 필터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원통형의 필터 벽 및 유체 유입구에 연결된 내부 공간을 갖는 필터 인서트와, 여과된 유체의 유출구, 및 필터 인서트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고 필터 인서트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세정 갭(washing gap)을 구비한 역세 몸체(backwash body)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역세 작업에서 필터 벽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필터 벽의 표면에 가깝게 뻗어있는 역세 장치를 구비하며, 역세 장치는 그의 축 단부들 중 하나가 로터리 드라이브에 결합되고 그의 타 축 단부가 슬러지 배출구에 연결되는 가역-흐름 필터들에 관한 것이다.
가역-흐름 필터들, 즉 바람직하게는 여과 작업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유체를 여과하는데 사용된 여과재가 정화되어 역세될 수 있도록 하는 역세 장치를 구비한 필터들이 다년간 공지되어 왔다. 역세 작업 동안에는, 소기 가스(scavenging ga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가역-흐름 필터들이 역세 작용을 위해 고유 매질, 특히 필터 벽의 더러운 면에서 먼지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해, 여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필터 벽을 통해 전달되는 여과된 유체를 사용할 수 있다. 고유 매질을 이용하는 역세 작업은 또한 소기 가스의 작용에 의해 보강될 수 있다.
역세 장치를 구비한 자동 필터들은 개별적으로 역세되는 다수의 여과통(filter candles)들을 갖출 수 있으며, 이 경우 비교적 큰 필터 영역이 다수의 여과통들로 인해 필터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국제공개공보 제01/89658 A1호는, 예를 들어 필터 벽에서의 역세 효과를 개선하기 위하여, 여과통 단부들 중의 어느 한 쪽에서의 오프셋 시(offset in time)에 역세되는 여과통들을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링 타입의 스크린 필터들로 구성된 가역-흐름 필터들도 역시 공지되어 있으며, 이 필터들은 필터 인서트와, 필터 벽을 형성하는 둘레 벽을 갖추고 있다. 링 타입의 스크린 필터들에서는, 여과 작업 동안 여과되는 이물질들을 필터 벽에 비교적 가깝게 빨아내기 위하여, 필터 인서트의 내부 공간에 역세 몸체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링 타입의 스크린 필터들에서, 이용가능한 필터 영역은 필터 인서트의 전체 높이 및/또는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의 기초가 되고, 필터 인서트 내부에 배치된 역세 몸체 및 필터 벽의 높이 전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 역세 갭을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는 독일특허공보 제34 31 396 C2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으며, 높이 전체에 걸쳐 단속되는 세정 갭을 구비한 가역 흐름 필터는 독일특허공보 제34 43 752 A1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모든 세정 갭들은 거기에 쌓여진 먼지 입자들을 국부적으로 빨아내기 위해 필터 벽에 가깝게 연장한다.
흐름이 유입되어 통 단부들을 거쳐 세척되는 여과통들을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들에서는 비교적 큰 먼지 입자들은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지만, 링 타입의 스크린 필터들에서는, 대응하는 가역-흐름 필터들이 계속해서 사용될 경우, 필터 벽에 가깝게 지나는 세정 갭을 통해 씻겨지지 않은 조류(algae) 또는 기타 더 큰 먼지 입자들에 의한 축적이, 가역-흐름 필터들이 차단되고 다시 세정될 필요가 있도록 만드는 문제들로 이어지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는 링 타입 스크린 필터 인서트를 갖는 가역-흐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추가의 목적들은, 역세 몸체들이, 내부 공간 내로 개방가능하고 세정 갭과 분리되며 세정 갭의 개방 단면보다 큰 개방 단면을 갖는 흡입 슬롯을 구비하고, 역세 장치는, 상기 역세 몸체와 관련하여 적어도 부분 이동이 가능하고 로터리 드라이브에 의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중공 축을 가지며, 상기 중공 축을 통해 세정 갭 또는 상기 흡입 슬롯이 역세 몸체와 중공 축 간에 상대 위치의 기능으로서 상기 슬러지 배출구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되는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가역-흐름 필터에서는,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2개의 오리피스들이 필터 인서트의 역세를 위해 필터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데,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한편으로는 국부적으로 높은 유속으로 역류하는 필터 벽 부근의 여과재를 공지된 방법으로, 특히 필터 스크린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체 세정하는 세정 갭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편으로 역세 몸체와 중공축 사이의, 다른 한편으로 내부 공간의 퇴적물들이 필터 인서트로부터 빨아내어지거나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의 상대 위치의 경우에 오직 슬러지 배출구에 연결되는 흡입 슬롯이 제공된다. 세정 갭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 흡입 슬롯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편으로 세정 갭 자체는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세정 갭의 임무가 역류에서 필터 벽을 세정하는 것에 집중되거나 한정될 수 있음에 반해, 필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및/또는 비교적 긴 작동 기간에 걸쳐 필터 내부 공간에 형성된, 예를 들어 정수에서의 조류와 같은 모든 기타 불순물들은 매우 크지만 적합한 흡입 슬롯을 통해 필터 내부 공간 밖으로 세차게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세정 갭의 절대 크기와 흡입 슬롯의 크기에 대한 세정 갭의 크기의 비는 대체로 바람직하게는 가역-흐름 필터의 사용 계획에 맞춰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흡입 슬롯의 개방 단면들과 세정 갭의 개방 단면들의 비는 흡입 슬롯이 세정 갭보다 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3배 이상, 특히 5배 이상 더 큰 개방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될 수 있다. 세정 갭은, 바람직하게는 역세 몸체의 높이에 걸쳐 회전축과 나란히 연장하며, 적어도 그 부분에 가역-흐름 필터의 여과 기능을 갖는 필터 벽이 위치되는 반면, 흡입 슬롯 또는 흡입 슬롯을 위한 유입 오리피스는 또한 특정 상대 위치의 경우에 중공 축에 의해 폐쇄될 수 있어, 이때 오직 세정 갭 만이 작동되는 것이 보장되는 한, 흡입 슬롯은 폭이 넓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이도 낮을 수 있다.
역세 몸체의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르면, 역세 몸체는 중공 축의 회전가능한 수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에 대하여 동심으로 형성된 링 구획부와, 또한 상기 링 구획부로부터 그리고 세정 갭이 형성되는 단부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박스부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축과 필터 벽 사이의 거리는 박스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데 반해, 링 구획부는 대체로 중공 축에 바로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대체로 회전가능하게 중공 축을 수용한다. 흡입 슬롯은, 회전 축을 통과하는 중간 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역세 몸체의 특유의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라 링 구획부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중공축은 바람직하게는 그 둘레에 구획 절개부를 가지며, 구획 절개부를 통해 세정 갭 또는 흡입 슬롯은 역세 몸체에 대한 중공 축의 상대 위치의 기능으로서 슬러지 배출구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르면, 구획 절개부의 전체 폭(clear width)은 흡입 슬롯의 전체 폭 및 역세 몸체 내부의 전체 폭과 대체로 동일할 수 있으며, 그 전체 폭은 바람직하게는 박스부의 (오직) 내부가 세정 갭을 향하여 테이퍼져 있다.
세정 갭의 크리닝 작용과 필터 벽의 세척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히 역세 몸체의 상술한 개선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르면, 밀봉 립 및/또는 브러시 스트립 등은 역세 몸체의 단부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박스부의 단부면 상에, 특히 세정 갭의 양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 벽의 내부에 접촉되며, 그로 인해 기계적으로 역세 장치의 유체공학적 또는 유압 역세 작용이 강화된다. 특히, 브러시 스트립들이 사용될 경우, 흡입 슬롯은 세정 갭 외부의 브러시 스트립과 기계적으로 분리된 불순물들까지도, 역세 몸체가 회전할 때, 특히 회전 방향이 세정 갭의 상방향으로 향하고 있을 경우에 필터 내부 공간으로부터 빨아낼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을 가진다.
역세 몸체의 대안적인 개선점에 따르면, 역세 몸체는 중공 축의 회전가능한 수용을 위해 흡입 슬롯을 구비한 구획부, 및 세정 갭이 형성되는 단부면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박스부를 가질 수 있다. 구획부의 외형은 대체로 바람직한 것일 수 있으며, 중공 축의 회전 축은 바람직하게는 구획부의 중심에 위치된다. 박스부가 세정 갭이 형성되는 단부면들 사이에 제1 챔버 벽 및 제2 챔버 벽을 가질 경우, 필터 벽 상에서의 역세 및 세정 효과에 특히 바람직하며, 제1 챔버의 단부면은 다른 챔버 벽의 단부면보다 필터 벽의 표면에 더 가까운 하단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역세 작용은, 하단부가 횡류 이동 구배를 형성하거나 및/또는 제2 챔버 벽의 단부면이 세정 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구역 및 세정 갭에 가까운 제2 구역을 형성할 경우 특히 효과적이고 집중적이 되며, 상기 제2 구역에서는 필터 벽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하단부에서보다 더 크고 제1 구역에서보다 작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단부 및 제2 구역은 세정 갭을 제한할 수 있으며, 챔버 벽들 사이의 거리에 비해 세정 갭을 좁힐 수 있다. 역세 몸체의 단부면들 상에서의 상기 측정의 결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보아 각각의 개선된 흐름 특성은 역세 몸체와 필터 벽의 표면 사이의 간격에서 얻어질 수 있으며, 크리닝 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베르누이 효과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벽의 내부와 접촉하는 밀봉 립 및/또는 브러시 스트립이 오직 제1 챔버 벽의 단부면에만,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그리고 하단부의 외부에 배치된다면 추가의 이점이 있을 수 있다.
가역-흐름 필터들의 모듈형 설치가 가능하고 가역-흐름 필터들에 각각 다른 전체 높이들에서 수행될 동일 기술이 채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역세 몸체가 복수의 역세 몸체 구획들로 구성되고, 각 구획은 세정 갭 및 흡입 슬롯의 축방향 하단부를 형성한다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구획들은 단부 구획들의 내부 영역과 흡입 슬롯 및 세정 갭의 내부 영역들이 역세 몸체의 축방향 단부에서 폐쇄되도록 하는 2개의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점에 따르면, 역세 몸체의 구획들은 회전 축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앵커 튜브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 튜브의 단부들에는 커버 플레이트들 사이의 구획들을 고정하기 위한 텐션 스크류들이 체결된다.
중공 축과 역세 몸체 간에 회전 결합을 위해, 중공 축이 구동 핀을 구비하고 역세 몸체가 적어도 하나의 구동 노즈를 구비한다면 특히 바람직하다. 구동 노즈는 특히 커버 플레이트들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개념으로, 회전 구동 방향의 전환에 의해, 한편으로 중공 축과, 다른 한편으로 역세 몸체 사이에 상대 위치의 변화가 시작되고 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역세 몸체는 예를 들어 2개의 구동 노즈를 가질 수 있으며, 회전 방향의 전환 시, 중공 축은 역세 몸체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로 구동 노즈들 사이에서 구동 핀에 의해 부분 회전될 수 있다. 중공 축의 구획 오리피스의 형상에 따라, 구동 핀과 구동 노즈가 다시 접할 때까지 예를 들어 180°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구동 노즈는 상대적으로 소정의 융기 또는 소정의 바람직한 돌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브 아크(subarc)에 걸쳐 연장된 몸체의 각각의 반대 단부 가장자리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 핀과 구동 노즈들은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의 뚜껑부의 필터 인서트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필터 하우징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필터 입구는 필터 하우징의 바닥부, 필터 하우징의 원주 상의 여과액 배출구, 필터 입구의 중심의 필터 하우징의 바닥부에 있는 슬러지 배출구, 및 필터 하우징의 뚜껑부에 있는 로터리 구동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 타입의 스크린 필터들에서, 대응하는 가역-흐름 필터들이 계속해서 사용되더라도 가역-흐름 필터들이 차단되거나 다시 세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역-흐름 필터의 추가의 장점들 및 개선점들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역세 몸체에서의 세정 갭에 따른 작동의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가역-흐름 필터의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역세 몸체에서의 흡입 슬롯에 따른 작동의 경우에 가역-흐름 필터의 축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구동핀 및 구동 노즈(nose)와 관련된, 역세 장치를 위한 회전 드라이브의 방향 전환 동안의 진행을 개략적으로 3연속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역-흐름 필터를 위한 모듈 형태로 구성된 역세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도;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역세 몸체의,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 및 도 3에서 회전 축(D)을 따라 단면도로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지정된 가역-흐름 필터는 원통형 중간부(2), 커버부(3) 및 바닥부(4)를 구비한 복수 부분의 필터 하우징(1)을 가진다. 필터 하우징(1)의 중간부(2)에서, 필터 인서트(5)는 회전 축(D)에 대하여 동심으로 위치되고, 필터 인서트의 원통형의 둘레 벽은, 예를 들어 여과포(filter cloth) 또는 필터 스크린과 같은 적절한 필터 수단들을 구비하며, 유체가 여과되도록 유체가 여과를 위해 통과하는 필터 벽(6)을 동일하게 형성한다. 여과 작업에서, 유체는 필터 인서트(5)의 필터 벽(6)을 통해 내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고, 여과될 더러운 액체 또는 비여과 유체의 유입이 유입 벤드(inflow bend)로서 여기에 설계된 유입구(7)를 통해 바닥부(4)에서 발생한다. 비여과 유체는 아래로부터 필터 인서트(5)의 내부 공간(8) 안으로 유동하며, 가역-흐름 필터(10)의 유입구(7)와 유출구(9) 간에 유체의 유속 및/또는 압력차로 인해 중간부(2)의 외벽 부분에 위치되는 유출구(9)로부터의 여과된 유체로서 배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터 인서트(6)는 또한 위쪽 방향으로 개방되며, 그에 따라 여과될 유체는 또한 내부 공간(8)으로부터 뚜껑부(3)의 내부 영역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역-흐름 필터는 또한 배출 밸브(15)가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구(16)를 가지며, 상기 슬러지 배출구는 또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입 벤드의 중심에 배열되고 유입 벤드의 케이싱 벽에서 돌출된 배출 벤드(16)를 통해, 역세 작업 동안 분리된 불순물들이 빨려나오게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20'으로 지정된 역세 장치는 필터 인서트(6)의 내부 공간(8)에 위치되며, 연결 플랜지(12)를 통해 뚜껑부(3)에 연결되는 로터리 드라이브(11)에 의해 회전축(D)을 중심으로 로터리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로터리 드라이브(11)는 구동 축(13) 상의 로터리 저널(14)을 통해 통합되며, 로터리 저널(14)은 또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터리 드라이브(11)에 역세 장치(20)를 결합하기 위해 역세 장치(20)의 상부 축방향 단부에 정사각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 벽(6)은 여과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이라도 역세 장치(20)를 통해 더러운 면이 부분적으로 세척될 수 있으며, 역세 장치(20)는 도 2 및 도 4에서 특히 분명하게 볼 수 있는 것처럼 필터 벽(6)의 내부(6')에 가깝게 뻗어있는 역세 몸체(22)를 가지며, 역세 몸체(22)는 필터 벽(6')에 인접한 그 단부면(23) 상에 회전 축(D)과 나란하게 연장하는 비교적 좁은 세정 갭(24)을 구비하며, 상기 세정 갭에 의해 필터 벽(6)에서의 필터 수단들의 국부 세척이 도 2에 도시된 회전 방향으로 역세 몸체(22)의 회전 중에 직접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세척은 여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일어나고, 세정 갭(24)에서의 세척 작용은 예를 들어 세정 갭(24)의 양 측면 상에 배열되고 필터 벽(6)의 내부(6')와 접촉되는 2개의 브러시 스트립(25)에 의해 또한 개선될 수 있다. 브러시 스트립(25)에 의해, 세정 갭의 양 측면으로부터 여과되고 필터 벽(6) 상에 부착된 먼지 입자들은 회전 양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동시에 브러시 스트립은 필터 벽(6)이 유압으로 세척되는 동안 역세 몸체(22)의 단부 면(23)과 세정 갭(24) 사이에 바이패스(bypass)를 방지한다.
도 2에서 분명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역세 몸체(22) 자체는 회전 축(D)에 대해 기본적으로 동심으로 형성되는 링 구획부(a ring segment portion; 26)와, 상기 링 구획부 상에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약 20°호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필터 벽(6)의 내벽(6')까지 뻗어있는 박스부(27)를 가진다. 박스부(27)는 그 단부면(23)에 세정 갭(24)을 구비한다. 역세 몸체(22)는 회전 축(D)을 통과하고 세정 갭(24)을 2등분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설계되며, 박스부(27)는 링 구획부(26)와의 연결 영역에서 내부 챔버(28)를 가지며, 세정 갭(24) 내에 흡입된 유체는 내부 챔버를 통해 역세 몸체(22)의 외부로 인출되어 중공 챔버(33) 내로 이송될 수 있다. 내부 챔버(28)를 한정하는 챔버부(27)의 내벽(27')들은, 그것들이 세정 갭(24)을 향해 직선으로 테이퍼지기 전, 비교적 긴 방사상의 재물대(radial substage; 여기서는 반경의 약 2분의 1)에 걸쳐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링 구획부(26)는 또한 세정 갭(24) 및 박스부(27)의 연결 영역의 맞은편에 놓인 구획부 상에, 가장 넓은 지점에서 박스부(27)의 2개의 챔버 벽(27')들의 내부와 일치하는 폭을 갖는 비교적 큰 오리피스를 구비한다. 이 오리피스는, 박스부(27)에 대한 링 구획부(26)의 사실상 후방부에서 거친 불순물들 또는 덩어리를 위한 흡입 슬롯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결과적으로 흡입 슬롯(29)의 이 오리피스의 폭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정 갭(24)의 폭보다 약 5배 더 넓다. 그러나, 도 2에 따른 도시에서, 흡입 슬롯(29)은 링 구획부(26)의 속구멍(26')에 세정 몸체(2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적어도 역세 몸체(22)의 높이에 걸쳐 연장하는 중공축(30)의 환상 벽(31)에 의해 곧 폐쇄된다. 중공축(30)은 환형 벽(31)에서 구획 절개부(32)를 가지며, 구획 절개부의 폭은 흡입 슬롯(29)의 폭 또는 전체 폭, 및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가장 넓은 영역에서의 박스부(27)의 박스 벽(27')들 사이의 거리와 정확히 일치한다.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중공축(30) 상의 구획 절개부(32)는 내부 챔버(28)와 동일선상에 적절하게 놓여 있으며, 이에 따라 역세 몸체(22)에 대한 중공축(30)의 이 상대 위치에서, 세정 갭(24)은 역세 작업을 위해, 여기서는 세정 갭(24)의 영역에서의 내부(6')에 대한 필터 벽(6)의 역세를 위해, 중공축의 구멍(33)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슬러지 배출구(16, 도 2)에 연결된다. 중공축(30)과 세정 몸체(22)가 서로에 대하여 180°에 걸쳐 회전됨으로써, 구획 절개부(32)는 그것이 흡입 슬롯(29)과 정확히 동일선상에 놓이는 도 4에 도시된 위치 안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결과적으로 보다 큰 불순물들이 흡입 슬롯(29)을 통해 필터 인서트(5)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빨아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역세 장치(22)에 의해, 한편으로 여과 방향으로의 횡류에서 내부(6')에 대한 필터 벽(6)의 집중적인 세정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큰 고체 덩어리, 조류 축적물 등이, 필터 하우징이 개방되거나 및/또는 개별 밸브 등이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필터 인서트(5)의 전체 내부 공간(8)으로부터 운반될 수 있는데, 이것은 동일 라인 시스템(중공축(30), 슬러지 배출구(17))와 슬러지 배출구(16)에 플랜지결합된 동일 배출 밸브(15)가 세정 갭(24) 또는 흡입 슬롯(29)을 통해 먼지의 선택적인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세정 갭(24)의 작용의 경우에 중공축(30)과 역세 몸체(22)의 접속 위치(switching position)를 서로 대응되게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흡입 슬롯(31)이 중공축(30)의 중공 부분(33)에 연결될 경우의 상대 위치를 서로 대응되게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공축(30)은 그의 하부 축 단부(34)가 개방되고, 그의 상단부(35)가 로터리 드라이브(11)에 탈착가능하게, 그러나 회전에 대해서는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중공축(30)의 하부의 축단부(34)는 유입구(7)의 유입 벤드 내부 중앙에 위치되고 유입구의 원주 벽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인출되는 배출 벤드(17)에 연결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한편으로 중공축(30)과, 다른 한편으로 역세 몸체(22) 간의 상대 위치의 변화는 로터리 드라이브(11)의 구동축(13)의 회전 방향의 전환에 의해 발생한다. 중공축의 상부 축 단부(35)는 역세 몸체(22)의 링 구획부(26)의 상단부 구역에 제공되는 구동 표면(28A,28B)와 결합하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구동핀(36)을 구비한 뚜껑부(3)의 내부에 제공된다. 회전방향의 전환의 경우, 중공축(30)과 역세 몸체(22)의 상대 위치에서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도 5를 참조한다. 도 5에서 최상부의 도면은 역세 갭(24)을 통한 필터 벽(6)에서의 흡입 동작을 위한 역세 몸체(22)와 중공축(30)의 회전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중공축(30)의 상부 축 단부(35)에 회전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연결되고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구동 핀(36)은, 역세 몸체의 링 구획부(26)의 상면에 대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적절히 연결되고 가역-흐름 필터의 하우징의 뚜껑부(3)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는 웨브(web) 형상의 하프 링(half-ring;69)의 일 단부에 의해 형성된 구동 노즈(nose;28A)를 지탱한다. 화살표(P)의 방향으로 로터리 저널(13)이 회전하는 동안, 중공축(30)과 하프 링 웨브(69)는 둘다 도시된 회전방향(P)으로 구동되는데, 이것은 구동핀(36)이 멈춤부(stop;28A)를 지탱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중공축(30)과 역세 몸체(22)는 도시된 회전방향(P)으로 회전하고,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축의 구획 절개부가 역세 몸체(22)의 내부 챔버(28)에 따라 작동하도록 위치되며, 흡입 슬롯(24)에서는 흡입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만일 회전 모터의 회전 방향이 도 6의 중간 부분 도면에서 화살표(R)로 지시된 것과 같을 경우, 오직 중공축(30)만이 일시적으로 이동된다. 그에 반해, 역세 몸체(22)는 그의 위치에 잔류하고 구동하지 않지만, 그 대신 중공축(30)과 역세 몸체(22) 사이의 상대 위치는 변화된다. 구동핀(36)은, 하프 링 웨브(69)가 오직 2개의 구동 노즈(28A 및 28B) 사이에서 대략 180°에 걸쳐 연장하기 때문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전환 시간 동안, 세정 갭은 또한 처음에는, 구동핀(36)이 2개의 구동 노즈(28A,28B) 사이의 중간 위치를 지날 때까지 중공축(30)의 중공 챔버 부분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배출 밸브(15, 도 1)는 폐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역세는 일시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역세 몸체(22)에 대하여 중공축(30)이 회전하는 동안, 링 구획부(26) 상의 흡입 슬롯(2, 도 2)은 중공축(30)의 중공 부분(33)에 서서히 연결되고, 동시에 세정 갭은 분리된다. 180°에 걸친 중공축(30)의 상대 회전 후에, 구동핀(36)은 하프 링(69)의 다른 한계 멈춤부(28B)와 접촉하게 되고, 이 결과로 역세 몸체(22)는 상대 위치의 변경없이 반대 방향으로, 특히 중공축(30)과 함께 회전된다. 이 제2 상대 단부 위치에서, 흡입 슬롯(29)은 완전히 개방된다. 역세 몸체(22)가 화살표(P')의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됨으로써, 이는 역세 브러시가 반대방향으로 필터 벽(6)의 내부를 기계적으로 세척하고, 또한 그로부터 배출된 물질이 흡입 슬롯을 통해 빨아내질 수 있게 되는 특별한 이점을 제공한다. 흡입 슬롯(29)을 통한 필터 인서트(6)의 내부 공간(8)으로부터의 빨아냄(sucking away)은 로터리 드라이브가 역세 몸체(22)를 이동시킬 때까지, 예를 들어 필터 벽의 내부가 세정 갭에 의해 세척될 경우 정상적인 회전 방향(P)의 반대방향으로 적어도 360°까지 특정 시간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이 시간 기간이 경과한 후에, 세정 갭(24)에 의해 필터 벽의 내부에서 직접 국부 역세 작용을 재개하기 위해 방향의 전환이 다시 한번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따르면, 역세 몸체(22)의 특히 바람직한 모듈 형태의 구성에 관한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중공축(30)은 환형 벽(31)의 일부 구획 절개부(32)를 구비한 관형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 관형 부분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개방된다. 링 구획부(26) 및 챔버부(27)를 구비한 역세 몸체(22)는, 축방향 높이에 걸쳐 보여진 바와 같이 복수의 동일한 구획(22A)들로 구성되며, 챔버부는 역세 몸체 상에 그리고 흡입 슬롯(24)이 형성되는 방사상의 외부 단부면(23)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그 결과 서로 다른 중공축(30)이 사용될 때, 전체 높이가 각각 다른 역세 몸체(22)들이 각각 다른 전체 높이들을 갖는 가역-흐름 필터들에 대하여 동일한 직경의 필터 인서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각 구획부(22A)는, 링 구획부(26)의 후면 상에 흡입 슬롯(29)을 위한 비교적 넓은 오리피스, 및 챔버부(27)의 단부면 상에 세정 갭(24)을 위한 오리피스들을 가진다 . 여기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세정 갭(24)과 흡입 슬롯(29)은 역세 몸체(22)의 개별 구획(22A)들의 안정을 보장하는 짧은 연결 웨브(41)에 의해 개개의 구획(22A)의 중간에서 차단된다. 만일 적절하다면, 연결 웨브는 또한 박스부(27)의 챔버 내부로 연장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체 역세 몸체(22)와 관련하여 개개의 구획(22A)들은 항상 세정 갭(24)의 그리고 흡입 슬롯(29)의 축방향 부분만을 형성한다. 가장 아래의 구획(22A)은 역세 몸체(22)의 바닥에 있는 제1 커버 플레이트(42)에 의해 폐쇄되며, 제1 커버 플레이트를 통해 적어도 이 구획 및 슬롯(24)의 두 결합된 내부 챔버는 폐쇄되어 아래쪽으로 밀봉된다. 개별 구획부(22A)들로서 상대적으로 하부 커버 플레이트(42)와 동일한 외형을 갖는 제2 커버 플레이트(43)는, 역세 몸체(22)의 상부 구획(22A) 상의 슬롯(24), 구획 절개부(29) 및 박스부(27)의 챔버를 폐쇄한다. 2개의 커버 플레이트(42,43)들은 개별 구획(22A)들의 모든 박스부(27)들의 챔버(28)들을 통과하는 타이 로드(tie rod; 44)에 의해 서로 기대어 지지되며, 그의 단부에는 고정 스크류(45)가 커버 플레이트(42,43)들을 통해 체결되는 암 나사가 구비된다. 개개의 구획(22A)들은 상호 맞물리는 맞춤 핀(67)과 맞춤 홀(66)을 통해 정확하게 끼워맞춰진 상태로 쌓아올려져 설치되고 서로 맞물리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43)는 상방향으로 둥글게 구부러지고 역세 몸체(22)의 회전 축에 대하여 180°로 서로 오프셋되어 있는 2개의 노즈 웨브(nose webs;46)들을 구비하고, 작동 사용 형태에서 2개의 측면 플랭크들과, 여기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공축(30)에 연결된 구동 핀이 회전 방향의 전환 동안 번갈아 접촉되는 구동 노즈들을 구비하는데, 이는 역세 몸체(22)가 이동되지 않고도 중공 축(30)이 역세 몸체에 대하여 180°에 걸쳐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역세 갭(24) 또는 세정 슬롯(29)은 회전 위치의 작용에 따라 중공 축(30)의 구멍(33)에 유체역학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브러시 스트립(25)은 단부면(23) 상의 세정 갭(24)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는 홈들(47)의 흡입 슬롯(24)의 양 측면들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체 역세 몸체(22)의 높이에 따라 원하는 만큼 대체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된다.
도 7은 바람직하게는 모듈 형태로 설치된 역세 몸체를 구비한 역세 장치의 역세 몸체(122)의 설치 및 형상에 관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100만큼 증가된 참조 부호들이 부여된다. 필터 벽(106)의 내부에서, 역세 몸체(122)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구획형 또는 모듈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경우에 흡입 슬롯(129) 및 방사상으로 돌출된 박스부(127)를 구비한 구획부(126)를 갖는다. 박스부(127)는 구획부(126)의 벽(126A,126B)들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벽(126A,126B)들은 그 외부가 평평하고 각각의 경우에 내부에 트로프(trough;175)를 구비하며 그로 인해 중공축에 대한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게 된다. 세정 갭(124)은 박스부의 단부면(123)에 형성되며 필터 벽(106)의 내부면 영역 맞은 편에 놓여 있다. 박스부(127)는 벽(126A,126B)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챔버 벽(127A) 및 제2 챔버 벽(127B)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예를 들어 가로 웨브들을 통해 서로에 대하여 비틀림 저항 방식(distortion-resistant manner)으로 연결된다. 세정 갭(124)은 챔버 벽(127A,127B)들의 단부면(123A,123B)들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챔버 벽(127A)의 단부면(123A)은, 다른 챔버 벽(127B)의 단부면(123B)보다 필터 벽(106)의 표면에 더 가까운, 웨지형 수단(wedge-like manner)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부분(171)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부분(171)은 실질적으로 필터 벽(106)까지 이르는 칼라 웨브(collar web)를 형성하며, 스크래퍼(scraper)의 방식으로 칼라 웨브를 지탱하기 적합하다. 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역세 몸체(122)의 회전을 막지 않도록 하는데 충분히 탄력적이다. 이 회전 방향에서, 칼라 웨브의 후방은 앞쪽을 향한다. 그와 동시에 부분(171)은 갭(124)과 면하는 표면에 횡류 주행 슬로프(cross-flow run-in slope)를 형성한다. 제2 챔버 벽(127B)의 단부면(123B)은 세정 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구역(173)과 세정 갭 부근의 제2 구역(172)을 가진다. 세정 갭 부근의 제2 구역(172)의 지역에서, 필터 벽(106)의 표면에 이르는 단부면(123B)의 거리는 다른 챔버 벽(127A)의 단부면(123A)의 부분(171)에서보다 더 크지만, 제1 구역(173)에서보다는 작다. 제2 구역(172)과, 제1 구역(173)에서보다 세정 갭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필터 벽 사이의 좁은 갭 공간으로 인해, 단부 벽(123A)과 필터 벽(106) 사이의 횡류를 가로막는 부분(171)의 방벽 작용의 도움을 받아 제2 챔버 벽(127B)의 단부면(123B)의 상방향으로 횡류가 발생될 뿐 아니라, 세정 갭(124)에서의 베르누이 효과로 인해 흐름 특성 및 그에 따른 세정 또는 역세 작용의 추가적인 개선이 또한 초래된다. 부분(171)과 제2 구역(172)은 세정 갭(124)을 한정한다. 그에 따라 동시에 챔버 벽(127A,127B)들과 박스부(127)의 내부 안 치수 사이의 거리는 세정 갭(124)에 인접하여 최대 크기로 좁아지는 한편, 챔버 벽(127A,127B)들의 방사상 길이의 약 절반 정도로 조금 더 좁아진 상태로 형성된다. 흡입 슬롯(129)과, 중공 축(130)에서의 구획 절개부(132), 및 챔버 벽(127A,127B)들 사이의 순간격은 구획부(126)에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필터 벽(106)의 내부와 접촉하는 씰링 립(lip) 또는 브러시 스트립(125)을 수용하기 위한 홈(47)은 측방향으로 그리고 제1 챔버 벽(127A)의 단부면(123A) 상의 부분(171)의 외부에 형성된다. 횡류가 발생할 수 없도록 챔버 벽(127B) 상에는 어떠한 브러시 스트립도 배열되어 있지 않다.
이 기술에서 숙련된 사람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보호 범주 내에 있는 상기 설명한 다수의 변형들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비록 역세 몸체가 또한 일체식 몸체로 구성될 수 있고, 휠씬 큰 흡입 슬롯이 요구되는 경우 방향의 전환이 보다 작은 회전각 또는 보다 큰 회전각 이후에도 시작될 수 있다 하더라도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로 여겨진다. 따라서, 구획 절개부는 보다 큰 흡입 슬롯의 추가적인 도움으로 유량을 변환하기 위해 박스부의 내부 챔버보다 더 큰 폭을 또한 가질 수 있다.
1 : 필터 하우징
2 : 원통형 중간부
3 : 뚜껑부,커버부
4 : 바닥부
5 : 필터 인서트
6,106 : 필터 벽
7 : 필터 유입구
8 : 내부 공간
9 : 여과액 유출구
11 : 로터리 드라이브
13 : 구동 축
14 : 로터리 저널
15 : 배출 밸브
16 : 슬러지 배출구
17 : 배출 벤드
20 : 역세 장치
22,122 : 역세 몸체
23,123,123A,123B : 단부면
24,124 : 세정 갭
25,125 : 밀봉 립 및/또는 브러시 스트립
26 : 링 구획부
27,127 : 박스부
28 : 내부 챔버
29,129 : 흡입 슬롯
30,130 중공 축
31 : 환형 벽
32,132 : 구획 절개부
33 : 구멍
42,43 : 커버 플레이트
44 : 앵커 튜브
45 : 조임나사
46 : 구동 노즈
36 : 구동 핀
28A,28B;46 : 구동 노즈
127A : 제1 챔버 벽
127B : 제2 챔버 벽
171,22A : 부분
172 : 제2 구역
173 : 제1 구역
D : 회전 축

Claims (21)

  1. 필터 하우징(1), 비여과 유체를 위한 유입구(7), 필터 하우징(1) 내에 배치되고 원통형 필터벽(6; 106)을 가지며 내부 공간(8)이 유체 유입구에 연결되는 필터 인서트(5), 여과된 유체를 위한 유출구(9), 및 필터 인서트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필터 인서트(5)의 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세정 갭(24; 124)을 구비한 역세 몸체(22; 122)를 갖고 역세 동작에서 필터 벽(6; 106)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상기 필터 벽(6; 106)의 표면에 가깝게 뻗어있는 역세 장치(20; 120)를 구비하고, 상기 역세 장치(20)는 일 축방향 단부가 로터리 드라이브(11)에 결합되고 타 축방향 단부가 슬러지 배출구(16)에 연결되는 가역 흐름 필터에 있어서,
    상기 역세 몸체(22; 122)는, 내부 공간 내로 개방가능하고 세정 갭(24; 124)과 분리되며 상기 세정 갭(24; 124)의 개방 단면보다 큰 개방 단면을 갖는 흡입 슬롯(29; 129)을 구비하고, 상기 역세 장치(20; 120)는, 역세 몸체(22; 122)와 관련하여 부분 이동이 가능하고 로터리 드라이브(11)에 의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중공 축(30; 130)을 가지며, 상기 중공 축을 통해 상기 세정 갭(24; 124) 또는 상기 흡입 슬롯(29; 129)가 역세 몸체(22; 122)와 중공 축(30; 130) 간에 상대 위치의 기능으로서 상기 슬러지 배출구(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갭(24)의 개방 단면들에 대한 상기 흡입 슬롯(29)의 개방 단면들의 비는 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갭(24)은 역세 몸체(22)의 높이에 걸쳐서 회전 축(D)에 나란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몸체(22)는 링 구획부(26)를 가지며, 상기 링 구획부는 중공 축(30), 및 방사상으로 돌출된 박스부(27)를 수용하기 위해, 세정 갭(24)이 형성되는 단부면(23) 상에, 회전 축(D)에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입 슬롯(29)은 상기 링 구획부(26)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벽(6)의 내부와 접촉하는 밀봉 립 및/또는 브러시 스트립(25)은 상기 세정 갭(24)의 양 측면에서의 상기 역세 몸체(22)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몸체(122)는, 중공 축(130)의 회전가능한 수용을 위해, 상기 세정 갭(124)이 형성되는 단부면(123) 상에 상기 흡입 슬롯(129), 및 방사상으로 돌출된 박스부(1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127)는 제1 챔버 벽(127A) 및 제2 챔버 벽(127B)을 가지며, 상기 제1 챔버 벽과 제2 챔버 벽의 단부면들(123A,123B) 사이에는 세정 갭(1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챔버 벽(127A)의 단부면(123A)에는 다른 챔버 벽(127B)의 단부면(123B)보다 상기 필터 벽(106)의 표면에 더 가까운 부분(171)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171)은 횡류 이동 구배(a cross-flow run-in slope)를 형성하고, 및/또는 상기 제2 챔버 벽(127B)의 단부면(123B)은 상기 세정 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1 구역(173) 및 상기 세정 갭과 가까운 제2 구역(172)을 형성하며, 상기 세정 갭에서 상기 필터 벽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부분(171) 상에서보다 크고 상기 제1 구역(173)에서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벽(106)의 내부와 접촉하는 밀봉 립 및/또는 브러시 스트립(125)은 오직 제1 챔버 벽(127A)의 단부면(123A)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축(30;130)은 원주 상에 구획 절개부(32;13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몸체(22)는 복수의 부분(22A)들로 구성되고, 각 부분(22A)은 세정 갭(24) 및 흡입 슬롯(29)의 축방향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22A)은 2개의 커버 플레이트(42;43)들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두 커버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단부 부분(22A)의 내부 영역과 상기 흡입 슬롯(29) 및 세정 갭(24)은 상기 세정 몸체(22)의 축방향 단부들에서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3. 제1항, 제4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축(30)은 구동 핀(36)을 구비하고, 상기 역세 몸체(22)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노즈(28A,28B;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노즈(46)는 하나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43)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몸체(22)는 2개의 구동 노즈(46)를 구비하며, 상기 중공 축(30)은 회전 방향의 전환시에 상기 역세 몸체(22)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구동 핀(36)에 의해 상기 구동 노즈(46)들 사이에서 180°까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핀(36)과 상기 구동 노즈들(28A,28B;46)은 상기 필터 하우징(1)의 뚜껑부(3)에서 상기 필터 인서트(5)의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7. 제1항, 제4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1)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으로 설계되며, 상기 유입구(7)는 상기 필터 하우징(1)의 바닥부, 상기 필터 하우징(1)의 원주 상의 여과액 유출구(9), 상기 유입구(7)의 중심에서의 상기 필터 하우징(1)의 바닥부에 있는 슬러지 배출구(16), 및 상기 필터 하우징의 뚜껑부(3) 상의 로터리 드라이브(1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역 흐름 필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37023455A 2011-02-04 2012-01-24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KR101942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1000268.3 2011-02-04
DE202011000268U DE202011000268U1 (de) 2011-02-04 2011-02-04 Rückspülfilter mit Spüleinrichtung
PCT/IB2012/050327 WO2012104746A1 (en) 2011-02-04 2012-01-24 Reversible-flow filter with scaveng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830A KR20140051830A (ko) 2014-05-02
KR101942532B1 true KR101942532B1 (ko) 2019-04-17

Family

ID=4560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455A KR101942532B1 (ko) 2011-02-04 2012-01-24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306546A1 (ko)
EP (1) EP2670506B1 (ko)
KR (1) KR101942532B1 (ko)
CN (1) CN103328064B (ko)
AU (1) AU2012213138B2 (ko)
DE (1) DE202011000268U1 (ko)
DK (1) DK2670506T3 (ko)
ES (1) ES2542646T3 (ko)
IL (1) IL227316A (ko)
PL (1) PL2670506T3 (ko)
WO (1) WO20121047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8924A2 (en) * 2009-11-12 2012-09-19 Filter Safe Ltd. Filter proximity nozzle
US8647516B2 (en) * 2010-09-03 2014-02-11 Johnny Leon LOVE Filtration method with self-cleaning filter assembly
DE202013102503U1 (de) * 2013-06-11 2014-09-12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und Filtereinsatz hierfür
CN103623631B (zh) * 2013-11-22 2015-10-28 江苏大学 一种手动反冲洗滤网过滤器
DE202014104200U1 (de) 2014-06-11 2015-09-14 Boll & Kirch Filterbau Gmbh Rückspülfilter und Filtereinsatz hierfür
EP3120913B1 (en) * 2015-07-21 2019-08-14 EKO Muhendislik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Self cleaning filter mechanism
DE102016118806A1 (de) * 2015-12-21 2017-06-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taubsauger sowie System aus einem Staubsauger und einer Basisstation
DE202016003089U1 (de) 2016-05-13 2016-06-02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7001970A1 (de) 2016-10-12 2018-04-12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DE102017002646A1 (de) * 2017-03-18 2018-09-20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KR102056130B1 (ko) * 2017-10-20 2019-12-16 주식회사고려필터 이물질 석션 가능한 유체용 필터장치
ES1199133Y (es) * 2017-10-27 2018-02-23 Fluytec S A Filtro autolimpiador
DE102017011221A1 (de) 2017-12-05 2019-06-06 Hydac Process Technology Gmbh Filtervorrichtung
CN108854219B (zh) * 2018-08-31 2024-04-09 陈可铭 一种集中旋转式反冲洗过滤器
NO345889B1 (en) 2020-02-19 2021-09-27 Tenko As Filter systems and methods
KR102183820B1 (ko) * 2020-03-10 2020-11-30 주식회사 그레넥스 섬유상 여과기의 역세정 흡입장치
CN113975870B (zh) * 2021-10-23 2023-02-28 厚德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蛋壳膜水解产物提取用连续抽滤装置
CN116272187A (zh) * 2023-01-30 2023-06-23 广钢气体(深圳)有限公司 一种氦气智能回收纯化系统
CN115804980B (zh) * 2023-02-08 2023-05-12 威海中远海运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压载水处理系统用自清过滤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1075A1 (de) 1986-04-03 1987-10-08 Boll & Kirch Filter Rueckspuelfilter
DE4206282A1 (de) 1992-02-28 1993-09-02 Koch August G Maschinen Duesen-rueckspuel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5958A (en) * 1939-03-17 1942-03-10 Eugene A Hagel Fluid strainer
US3997441A (en) * 1975-04-21 1976-12-14 Pamplin Jr Lee F Pressure filter separator
GB1485989A (en) * 1975-05-23 1977-09-14 Plenty Group Ltd Filter with backflushing device
DE3431396A1 (de) 1984-08-27 1986-03-06 August G. Koch Maschinenfabrik Rueckspuelbares filter fuer fluessigkeit
DE3443752A1 (de) 1984-11-30 1986-06-05 August G. Koch Maschinenfabrik, 2300 Kiel Rueckspuelbares filter fuer fluessigkeiten
CN2063842U (zh) * 1990-02-19 1990-10-17 能源部电力建设研究所 一种使用自清洗滤芯的过滤器
DE4021085C1 (en) * 1990-05-19 1992-03-05 Eimer, Klaus, Dipl.-Ing. Reversible flow filter for coarse contamination - has concave screen element with backwashing rotor below, which operates in cooling waterline
DE4208743C2 (de) * 1992-03-16 1995-09-14 Frank Dipl Ing Buehling Automatischer Rückspülfilter für Flüssigkeiten
KR100257861B1 (ko) * 1998-11-21 2000-06-01 곽원복 자동여과장치
DE10024402C2 (de) 2000-05-19 2002-03-07 Boll & Kirch Filter Rückspülfilter, insbesondere für die Wasserfilterung und Verfahren zu deren Rückspülung
CN2500369Y (zh) * 2001-09-21 2002-07-17 常州新区华源电力技术开发有限公司 排污堵箱旋转反冲洗型循环冷却水自动滤网
CN2765654Y (zh) * 2005-01-31 2006-03-22 新疆水利水电科学研究院 压差反冲洗过滤器
CN1331554C (zh) * 2005-12-19 2007-08-15 中国科学院遗传与发育生物学研究所 微灌用自动反冲网式过滤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1075A1 (de) 1986-04-03 1987-10-08 Boll & Kirch Filter Rueckspuelfilter
DE4206282A1 (de) 1992-02-28 1993-09-02 Koch August G Maschinen Duesen-rueckspuel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27316A0 (en) 2013-09-30
WO2012104746A1 (en) 2012-08-09
PL2670506T3 (pl) 2015-12-31
EP2670506A1 (en) 2013-12-11
AU2012213138B2 (en) 2015-02-12
CN103328064B (zh) 2015-11-25
US20130306546A1 (en) 2013-11-21
AU2012213138A1 (en) 2013-07-11
EP2670506B1 (en) 2015-04-22
DK2670506T3 (en) 2015-07-20
DE202011000268U1 (de) 2012-05-16
ES2542646T3 (es) 2015-08-07
CN103328064A (zh) 2013-09-25
KR20140051830A (ko) 2014-05-02
IL227316A (en)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532B1 (ko) 청소 장치를 구비한 가역-흐름 필터
CA2933519C (en) High-efficiency automatic self-cleaning strainer
US5152891A (en) Self-cleaning strainer
US4818402A (en) Self cleaning strainer
CA3131949C (en) Rotary disc filter having backwash guides
JP3839074B2 (ja) 逆流洗浄式フィルタ
CN100531853C (zh) 自清洁式过滤设备
US20160310876A1 (en) Filtration system and filter assembly associated therewith
US20040134842A1 (en) Tertiary filter
KR102053710B1 (ko) 연속 여과 운전이 가능한 마이크로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여과시스템
JP2003502139A (ja) 真空クリーニング・ヘッドを有するフィルタ
JP5203171B2 (ja) ストレーナ装置
JP3760874B2 (ja) 連続加圧ろ過機
JP3775315B2 (ja) 連続加圧ろ過機
ES2756710T3 (es) Máquina de limpieza subacuática con una instalación de filtro
KR0127417Y1 (ko) 액상형태 물질의 연속 여과장치
KR0110358Y1 (ko) 용수 여과기
KR100238617B1 (ko) 여과장치
JP2000246022A (ja) 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KR200203832Y1 (ko) 용수여과기
JPH067774A (ja) 浄水器
SU1047495A1 (ru) Самоочищающийс фильт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
JPH09262412A (ja) 濾過装置
JPH0539615U (ja) ドラム型ク−ラント液ろ過装置におけるろ材洗浄装置
UA35196A (uk) Самоочисний фі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