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10B1 - 모듈식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10B1
KR101942410B1 KR1020127012621A KR20127012621A KR101942410B1 KR 101942410 B1 KR101942410 B1 KR 101942410B1 KR 1020127012621 A KR1020127012621 A KR 1020127012621A KR 20127012621 A KR20127012621 A KR 20127012621A KR 101942410 B1 KR101942410 B1 KR 101942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s
panel
modular assembly
bui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5811A (ko
Inventor
재노스 비. 지오리
이스트반 지오리
Original Assignee
모듈라 컨테이너 솔루션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듈라 컨테이너 솔루션즈 엘엘씨 filed Critical 모듈라 컨테이너 솔루션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20085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5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2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folding out from a core cell
    • E04B1/34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folding out from a core cell with only lateral unfo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6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provisions to raise or lower the whole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으로 또한 빌딩 유닛으로부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변환시킬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모듈식 조립체의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플로어, 벽, 및 천장을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전기, 물 및 하수도 연결이 완료된 거주 및/또는 상업적 구조를 형성한다. 조립체는 자동 가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자동 가설 시스템은, 모듈식 조립체의 컨테이너 구조 내에 위치된 전기 모터, 기어, 풀리, 케이블, 자동 기계식 암, 및 전자 컨트롤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및 빌딩 유닛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을 전개 및 격납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과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모듈식 조립체{A MODULAR ASSEMBLY}
본 발명은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빌딩 유닛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모듈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22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604,136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2009년 10월 29일자로 US2009/0266066으로서 공개된 2008년 4월 23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12/148,914호 역시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빌딩 유닛은 일상 생활의 기본적 부품이다. 주택은 모든 형상 및 사이즈로 되고, 여러 가지 형태의 재료로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빌딩 유닛은 특정 위치에서 땅으로부터 그 위치를 위해 상향으로 건설구성된다. 이들 형태의 빌딩 구조는 건설하기에 여러 주 또는 여러 달 걸릴 수 있고, 완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재료 및 건설 단계를 필요로 한다. 일단 완성되면, 빌딩 구조물은 그 특정 위치에서 풍경의 영구적 고정물로서 남는다.
재료 및 구조 엔지니어링의 최근의 발전에 의해, 주택 건설업자는, "이동식" 주택, 즉 특정 위치로 운반될 수 있는 사전 조립된 실물 크기의 주택 구조를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이동식 주택은 특정 위치로 공급되기 전에 실질적 부품으로서 조립된다. 이동식 주택 운반은, 트랙터-트레일러 및 인도(lead) 및 추종(follow) 차량을 포함하는 "광폭-부하(wide-load)"를 필요로 한다. 주택 현장에 일단 도착하면, 이동식 주택은 전기, 물, 및 폐기물 제거 시스템과 같은 그 고장의 공공 설비(local utilities)가 공급되고 연결되어야 한다. 이동식 주택은, 특정 위치에 일단 공급되면, 풍경의 영구적 고정물이 된다. 사전 조립된 주택 구조물의 이점은 건설의 용이성에 있다. 이동식 주택은 수주 또는 수개월에 걸쳐 특정 위치에서 건설되지 않고 공장에서 건설되어 간단히 특정 위치로 선적된다. 단점은 복잡하고 취약한 운반이다.
이동식 빌딩 유닛은 수십 년간 있었다. 경량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구조물은 옥외 환경으로부터의 임시적 피난처를 제공한다. 그러나, 자연적 재해 및 다른 지각 변동은 주택을 파괴할 수 있어, 완전히 장착된 비상 피난처를 필요로 한다. 이들 비상 피난처는 용이하게 운반되고 수시간 내에 용이하게 세팅될 필요가 있다. 이동식 접이식 빌딩 유닛에 대한 지금까지의 단점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즉, 접힌 형상으로 운반하는 것이 어렵고, 느슨한 패널, 유닛 섹션, 및 힌지 및 고정하기 어려운 기구들이 많으며, 패널 및 부재들을 조립하는 것이 어렵고, 유닛 내의 공공 설비가 부족하다. 이동식 접이식 빌딩 유닛에 대한 여러 가지 최근의 시도에 의해 단지 외부 구조물만 제공되었으며, 일단 펴지면, 빌딩 유닛은, 대부분의 주택이 필요로 하는 문화 설비가 전혀 없는 피난 주택을 제공한다. 이동식 빌딩 유닛에 대한 종래의 시도에 의해서도, 특수 공구 및 섹션 구조를 필요로 하는 조립하기 어려운 구조물만 제공되었다.
따라서, 이동식 빌딩 유닛 산업에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고, 특수한 공구 또는 장비 없이 한 사람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소유자를 적절하고 즉각적으로 수용하기에 필요한 공공 설비가 완전히 장착된 모듈식 조립체가 필요하다. 빌딩 유닛은, 주택으로서 소유하기에 충분히 크고, 여러 가지 위치로 운반되며 세팅되기에 충분히 작고 이동 가능할 필요가 있다. 빌딩 유닛은 또한, 물, 하수도, 및 전기 설비를 즉시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설비 연결 설비가 장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단점 및 상술하지 않은 다른 단점도 극복할 수 있는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을 극복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들의 어떤 것도 극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공공 설비를 가진 빌딩 유닛으로 또한 빌딩 유닛으로부터 선적용 컨테이너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자동 가설 시스템을 가진 모듈식 조립체를 제공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자동 시켄스로 사전 프로그램될 수 있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플로어, 벽, 및 천장을 형성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되어, 전기, 물 및 하수도 연결이 완료된 거주 및/또는 상업적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면, 빌딩 유닛은 또한, 여러 가지 현장으로 또한 그로부터의 운반을 위해, 실질적으로 역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 가설 시스템에 의해 접히고 역으로 변환될 수 있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모듈식 조립체의 컨테이너 구조 내에 위치된 전기 모터, 기어, 풀리, 케이블, 자동 기계식 암, 및 전자 컨트롤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및 빌딩 유닛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을 전개 및 격납하기 위해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과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모듈식 조립체는, 변환을 용이하게 하는 자동 가설 시스템을 통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빌딩 유닛 구조로 선택적으로 배치 및 지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빌딩 유닛 구조는 또는 전기, 물, 및 하수도 연결이 완료된다. 빌딩 유닛 구조로부터, 유닛은 다양한 적절한 운반 수단에 의해 운반을 위한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접히고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식 조립체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저장 및/또는 운반될 수 있다.
모듈식 조립체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및 빌딩 유닛 구조는, 교차 브레이스(cross braces)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된 복수의 지지 부재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박스형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 및 교차 브레이스는 바람직하게, 바람직하게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게, 집합적으로 안정하고 견고한 프레임을 포함하기 위해 서로 용접되는 강철 사각형 튜브 형태로 된, 기다란 비교적 고강도 재료 부재를 포함한다.
모듈식 조립체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된 지지 부재 내에서, 자동 전기기계식 작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연장 가능 칼럼은 모듈식 조립체를 상승시키고 수평을 맞추는데, 바람직하게 땅으로부터 18 인치 이상 상승시키고, 바닥 패널(즉, 빌딩 유닛의 플로어)이 수평이 되도록 여러 가지 지형에 적응시킨다. 각각의 연장 가능 칼럼은 모듈식 조립체를 땅에 맞추기 위해 모듈식 조립체의 높이를 채택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식 조립체는 땅 자체를 수정하지 않고 땅을 원래의 상태로 남겨두고서 수평을 맞출 수 있다.
복수의 압력 패드는, 모듈식 조립체의 중량을 분포시키고 칼럼이 땅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칼럼 아래에 위치되며, 연장 가능 칼럼의 단부에 연결된다. 여기에서도, 압력 패드는 모듈식 조립체를 수평으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뿐 아니라 땅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감소시킨다. 땅에 대한 충격이 감소되도록, 압력 패드를 가진 4개의 연장 가능 칼럼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를 가진 모듈식 조립체가 건설 또는 조립 현장에 위치되고 연장 가능 칼럼이 연장된 위치에 일단 고정되면, 모듈식 조립체는 빌딩 유닛 구조로 배치될 준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듈식 조립체는, 각각 적어도 초기에 박스형 프레임에 폐쇄된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박스형 프레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복수의 유닛 패널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은 파형 강철(corrugated steel)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은 하중 지지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프레임의 "기다란 측부"를 각각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측부 패널을 포함한다. 이들 프레임 패널은 또한, 그렇게 조립되었을 때(후에 설명됨) 빌딩 유닛 구조의 측부 플로어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 패널은 최하부 길이 방향(즉, 수평 방향) 단부를 따라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며,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하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이들 프레임 패널은 자동 가설 시스템의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하강(또는 상승)된다. 의도한 작동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플로어 부분을 정의한다.
상술한 것에 더하여, 모듈식 조립체는, 적어도 몇 개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초기에 모듈식 조립체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닛 패널을 더 포함한다.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프레임 패널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전개된 후에 노출된다.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최상부 길이 방향(즉, 수평 방향) 단부를 따라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며,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상술한 프레임 패널에 의해 정의되는 플로어 부분 위에 놓이는 위치에 놓이도록 프레임으로부터 상향으로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따라서, 전개되었을 때,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천장부를 형성한다.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자동 가설 시스템의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에 의해 상승(또는 하강)된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측부 패널은 각각, 초기에 프레임 패널 각각에 대해 위에 놓이는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는 패널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프레임 패널 또는 측부 패널의 대응하는 것의 패널 세그먼트는, 대응 프레임 패널로부터 실질적으로 직립(즉, 수직) 위치로 상향으로 외향 연장되도록, 프레임 패널의 외부 길이 방향 에지에(즉,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에 위치될 때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힌지식으로 또는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패널 세그먼트는 자동 가설 시스템의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상승(또는 하강)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직립 위치로 가설될 때, 지금 직립인 패널 세그먼트의 길이 방향 에지 또는 부분은,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의 대응 외부 길이 방향 에지에 연결되어 지지한다.
일실시예에서,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은, 패널 세그먼트가 직립 위치로 전개되기 전에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각각의 조합되거나 직접 결합된 프레임 패널 및 패널 세그먼트는 집합적으로, 빌딩 유닛 구조의 대응 플로어 부분 및 기다란 측벽부를 정의한다. 또한,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기다란 측벽부(즉, 직립 패널 세그먼트)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 천장부를 정의한다.
복수의 유닛 패널의 추가적인 유닛 패널(즉,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 역시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초기에 모듈식 조립체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전개된 후에 노출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상하 방향(latitudinal)(즉, 수직) 에지 또는 측부를 따라 프레임 구조에(예를 들면, 프레임 구조의 지지 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벽부 및 후방 벽부를 각각 정의하도록 외향 연장될 수 있다.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은,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벽부 및 후방 벽부로서의 위치를 가지도록 자동 가설 시스템의 전기기계식 작동기에 의해 외향 회전된다.
빌딩 유닛 구조의 전체 크기 및 구조에 따라, "기다란 측벽" 및 전방 및 후방 "단부벽"의 위치 및 상대적 크기는 변할 수 있다.
빌딩 유닛 구조로부터, 모듈식 조립체는, 모듈식 조립체를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역인 자동 프로세스에 의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되돌려 변환될 수 있다.
빌딩 유닛 구조 또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의 모듈식 조립체의 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자동 가설 시스템이 구비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모듈식 조립체를 2개의 구조들 사이에서 변환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 기어, 풀리, 케이블, 자동 기계식 암 및/또는 전자 컨트롤에 의해 자동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를 수행한다.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제어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ROM 디스크 및 DVD와 같은 광학 매체;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학 매체;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 및 수행하도록 특정하게 구성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빌딩 조립체의 천장을 구성하는 것 위에서 컨테이너 구조 내에 모두 위치된 3개 이상의 하부 시스템을 포함한다. 2개의 하부 시스템은, 하부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의 파워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구이다.
예를 들면, 제1 기구는, 스레드된 바(threaded bar)에 대한 연결에 의해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풀리 캐리지에 부착된 풀리의 조합에 의해 릴리스 또는 격납되는 제1 복수의 케이블을 작동시킨다. 스레드된 바는, 양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기어 및 직류 12 볼트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작동에 따라, 모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모터가 회전되면, 모터는 스레드된 바 및 풀리 캐리지를 회전시키며, 풀리 캐리지는 스레드된 바의 스레드를 따라 이동되고, 스레드된 바가 회전될 때 이동된다. 풀리 캐리지가 스레드된 바의 상하로 이동될 때, 풀리 캐리지에 부착된 케이블은 그에 따라 릴리스 또는 격납된다.
유사하게, 다른 스레드된 바에 대한 연결에 의해 다른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다른 풀리 캐리지에 부착된 다른 풀리의 조합을 가진 제1 기구와 유사한 기구를 가진 제2 기구는 제2 복수의 케이블을 작동시키고, 제2 복수의 케이블은 각각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을 작동시킨다. 특히, 케이블은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암을 상하 리프팅하기 위해 자동 기계식 암에 부착된다. 이러한 기구 역시 양 방향성이다.
제3 복수의 케이블을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스레드된 바에 대한 연결에 의해 다른 쌍의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다른 풀리 캐리지에 부착된 다른 풀리의 조합을 가진 제3 기구는, 제3 복수의 케이블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시킨다. 이러한 기구 역시 양 방향성이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를 프로세스하고 그에 따라 3개의 하부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구조의 "전방 짧은 단부"에서, 2개의 입구 패널은 각각 컨테이너의 본체에 힌지된다. 특히, 제1 입구 패널의 최하부 길이 방향 단부는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며, 입구 현관(porch)을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하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또한, 제2 입구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는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며, 제1 입구 패널에 의해 정의되는 입구 현관 위에 놓이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상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따라서, 전개되었을 때, 제2 입구 패널은 입구를 위한 캐너피(canopy)를 구성한다. 2개의 입구 패널은 공기식 피스톤의 보조를 받아 "수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2개의 입구 패널이 일단 전개되면 자동 시켄스가 시작되는 제어 패널에 대한 액세스가 얻어진다. 2개의 입구 패널이 전개될 때, "전방 짧은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는 노출된다.
모듈식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유닛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현장에 도달할 때 프레임 내에 고정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내부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 격벽은, 단지 예로서, 빌딩 유닛 구조 내에 내부 "룸" 또는 공간을 정의하기 위해, 포함된 격벽 패널 조립체를 설치함으로써 추가될 수 있다. 격벽 패널 시스템은 펼쳐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어, 빌딩 유닛 측벽, 및 하나 이상의 격벽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은, 부엌 벽에 설치된 트랙을 사용하여 부엌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물 가열기는 모듈식 조립체 내의 사전 존재하는 공공 설비 파이프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싱크대, 화장실, 오븐 및 난로 유닛, 및 냉장고와 같은 부엌 장치 및 휴게실 비품은 조립 동안에 빌딩 유닛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빌딩 유닛은 물, 하수도 및 전기 설비를 위한 내부 및 외부 연결부가 장착된 상태로 현장에 도달한다. 또한, 문 및 창문은 프레임, 하나 이상의 프레임 또는 유닛 패널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문은 모듈식 조립체의 전방 또는 다른 부분에 사전 설치될 수 있고, 창문 역시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7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11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빌딩 유닛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빌딩 유닛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6은 3개의 하부 시스템을 가진 가설 시스템(erection system)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3개의 하부 시스템을 가진 가설 시스템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3개의 하부 시스템을 가진 가설 시스템의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8은 3개의 하부 시스템 중 2개만 도시하고 있는 가설 시스템의 실시예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는 가설 시스템의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빌딩 유닛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내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기구들, 선반, 캐비넷, 벽장, 가구, 및 격벽을 정위치에 가진, 빌딩 유닛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내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제2 세트의 패널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초 슬래브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기초 슬래브에 연결되는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기초 슬래브에 연결되는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모듈식 조립체 상에 적층되는 제2 모듈식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를 가진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1 모듈식 조립체 상에 적층되는 제2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제1 모듈식 조립체에 제2 모듈식 조립체를 연결하는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제1 및 제2 모듈식 조립체 상에 적층되는 제3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제1, 제2 및 제3 모듈식 조립체 상에 적층되는 제4 모듈식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및 도 31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내지 도 32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내지 도 33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내지 도 34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내지 도 35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빌딩 유닛 구조로의 조립의 또 다른 연속적 단계에서의 도 30 내지 도 36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 특징 및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설명에서 정의된 상세한 구조물 및 부재와 같은 것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보조하기 위해 제공되었으며,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의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조물의 설명은 간결성 및 간략성을 위해 생략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식 조립체는 대체로 100으로 표시되어 있고, 도 1에 표시된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도 14 및 도 15에 표시된 조립된 빌딩 유닛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모듈식 조립체(100)는 거주 유닛, 상업적 유닛 또는 다른 시설로서 사용될 수 있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은 모듈식 조립체(100)를 점유하여 여러 가지 다른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식 조립체(100)는, 교차 브레이스(cross brace) 또는 유사한 추가적 지지 구조물(15)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4개 이상의 지지 부재(14)를 포함하는 대체로 12로 표시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지지 부재(14) 및 교차 브레이스(15)는, 여러 가지 도면에서 표시된 박스형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서로 용접되거나 상호 연결되는 관형 강철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와 같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고강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중앙 프레임은, 모듈식 조립체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모듈식 조립체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을 포함하고, 중앙 프레임의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은,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모듈식 조립체의 코어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모듈식 조립체는,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모듈식 조립체가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는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다.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듯이, 모듈식 조립체는, 프레임(12)에 및/또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 및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복수의 유닛 패널을 포함한다. 프레임 패널 및 유닛 패널의 구조 및 작동 상세 사항을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프레임 패널 및 가능하게는 복수의 유닛 패널 중 적어도 몇 개를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모듈식 조립체는 또한 도 16에 도시된 자동 가설 시스템을 포함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모듈식 조립체를 2개의 구조들 사이에서 변환하기 위해 전기 모터, 기어, 풀리, 케이블, 작동 기계 암 및 전기 컨트롤에 의해, 자동 사전 프로그래밍된 시켄스를 수행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빌딩 조립체의 천장을 구성할 것 위에서 모두 컨테이너 구조물 내에 위치되는 3개 이상의 하부 시스템(후에 설명됨)을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하부 시스템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다. 3개의 하부 시스템은, 상기 3개의 하부 시스템을 구동하는 전기 모터의 파워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개념적으로 동일한 기구이다.
도 1에 따라, 모듈식 조립체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물의 "전방 짧은 단부"에서, 1 및 2로 표시된 2개의 입구 패널을 포함하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물의 "기다란 측부"에서, 프레임 패널(3)을 포함한다. 입구 패널(1, 2)은 각각 프레임(12)의 본체의 교차 브레이스(15)에 힌지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패널(2)의 최하부 길이 방향 단부(2a)는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고, 입구 현관(porch)을 구성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하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또한, 입구 패널(1)의 최하부 길이 방향 단부(1a)는 프레임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고, 입구 패널(2)에 의해 정의되는 입구 현관 위에 놓이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상향으로 프레임으로부터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피봇된다. 따라서, 전개되었을 때, 입구 패널(1)은 입구를 위한 캐너피(canopy)를 구성한다. 2개의 입구 패널은, 공기식 피스톤, 스프링에 의해 하중이 걸리는 잭 스프링 등의 보조에 의해 제어된 속도로 "수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입구 패널이 일단 전개되면 자동 시켄스가 시작되는 제어 패널로의 액세스가 얻어진다. 2개의 입구 패널이 전개될 때, "전방 짧은 단부"에 위치되는 입구가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식 조립체(100)의 프레임(12)의 각각의 코너에 위치되는 지지 부재(14) 내에, 자동 전자기계 작동기에 의해 작동되는 연장 가능 칼럼(16)이 있으며, 자동 전자기계 작동기는, 모듈식 조립체(100)를 상승시키고 수평을 맞춰, 바람직하게 모듈식 조립체(100)를 땅으로부터 18 인치 이상 상승시키며, 바닥 패널(즉, 빌딩 유닛의 플로어)이 수평하게 되도록 가변성 지형 현장에 적응시킨다. 따라서, 각각의 연장 가능 칼럼(16)의 높이는, 땅 자체를 수평으로 맞추는 대신 칼럼(16)에 의해 구조물이 수평이 맞게 될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복수의 압력 패드(17)는, 모듈식 조립체(100)의 중량을 분포시켜 연장 가능 칼럼(16)이 흙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부재(14) 아래에 위치되고, 연장 가능 칼럼(16)의 단부에 연결된다. 압력 패드(17)는 모듈식 조립체를 수평 상태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땅에 발생되는 임의의 손상도 감소시킨다. 땅에 대한 충격이 더 감소되도록 압력 패드를 가진 4개의 연장 가능 칼럼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계식 칼럼 연장 작동기(42)에 결합되는 모터(41(d), 41(e), 41(f), 41(g))(도 16 및 도 17)에 도시됨)는 연장 가능 칼럼(16)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가 연장 가능 칼럼(16)에 의해 일단 상승되고 수평이 맞춰지면, 모듈식 조립체(100)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물일 때 프레임의 "기다란 측부"를 정의하는 프레임 패널(3, 4)은 자동 가설 시스템의 케이블(21, 22, 23, 24)(도 4 내지 도 6에는 케이블(24)은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직립 위치로부터 릴리스되고 하강된다.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프레임 패널(3, 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유닛 구조의 2개의 플로어 부분을 형성한다.
특히, 프레임 패널(3, 4)은 최하부 길이 방향(즉 수평 방향) 단부(3a, 4a)(4a는 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프레임(12)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고,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놓이도록 직립 위치로부터 하향으로 외향 피봇된다. 이들 프레임 패널(3, 4)은, 프레임 패널(3, 4)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3b, 4b)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복수의 케이블(21, 22, 23, 24)에 의해 하강(또는 상승)된다. 케이블(21, 22, 23, 24)은 대응 지지 부재(14) 내의 구멍을 통해 공급되고, 빌딩 조립체의 천장(또한 도 16을 참조)을 구성하는 것 위에서 컨테이너 구조물 내에 배치되는 자동 가설 시스템의 풀리 캐리지(37a)(도 17을 참조하면, 37a(1)은 격납 위치에 있는 풀리 캐리지(37a)를 도시하고 있고, 37a(2)는 릴리스 위치에 있는 풀리 캐리지(37a)를 도시하고 있음)에 결합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의 제1 기구는 케이블(21, 22, 23, 24)을 작동시킨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1, 22, 23, 24)은, 스레드된 바(bar)(40)(도 17 참조)에 대한 연결에 의해 한 쌍의 레일(38, 39)을 따라 이동되는 풀리 캐리지(37a)에 부착되는 풀리의 조합에 의해 릴리스 또는 격납된다. 특히, 케이블(21, 24)의 릴리스 및 격납은 1개의 풀리 캐리지(37a)에 의해 제어되고, 케이블(21, 23)은 다른 풀리 캐리지(37a)에 의해 제어된다. 스레드된 바(40)는, 케이블(21, 22, 23, 24)을 릴리스 및 격납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기어 및 직류 12-볼트 전기 모터(41(a))의 조합에 의해 회전된다. 작동에 따라, 모터(41(a))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모터(41(a))가 회전되면, 모터(41(a))는 스레드된 바(40)를 회전시키고, 스레드된 바(40)의 스레드를 따라 이동하는 풀리 캐리지(37a)는 스레드된 바(40)가 회전될 때 이동된다. 즉, 작동에 따라, 모터(41a)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풀리 캐리지(37a)가 스레드된 바(40)를 따라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면, 풀리 캐리지(37a)에 부착되는 케이블(21, 22, 23, 24)은 그에 따라 릴리스 또는 격납된다. 특히, 풀리 캐리지(37a)가 위치 37a(1)에서 레일 시스템의 중앙 근처에 있을 때, 케이블(21 내지 24)은 "격납" 위치에 있다. 또는, 풀리 캐리지(37a)가 위치 37a(2)에서 레일 시스템의 단부 근처에 있을 때, 케이블(21 내지 24)은 "릴리스" 위치에 있다. 프레임 패널(3, 4)을 하강시키기 위해, 케이블(21 내지 24)은 "격납" 위치로부터 "릴리스" 위치로 제어 가능하게 릴리스된다.
도 19는, 스레드된 바(4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43) 및 체인(44)에 의해 스레드된 바(40)에 결합되는 모터(41(a))의 한 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에 더하여, 모듈식 조립체는 복수의 유닛 패널을 더 포함하며, 유닛 패널 중 몇 개 이상은 프레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모듈식 조립체(100)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초기에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6 내지 도 8은, 프레임 패널(3, 4)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전개된 후에 노출되는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을 도시하고 있다.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은 최상부 길이 방향(즉, 수평 방향) 단부(7a, 8a)(8a는 도시되지 않음)를 따라 프레임(12)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부착되며,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 상술한 프레임 패널(3, 4)에 의해 정의되는 플로어 부분 위에 놓이는 위치에 놓이도록 프레임으로부터 상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되거나 외향 피봇된다. 따라서, 전개되었을 때,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은 빌딩 유닛 구조의 천장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은, 자동 가설 시스템의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33, 34, 35, 36)(기계식 암(33, 36)은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승(또는 하강)된다.
즉,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1 프레임 패널 및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1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단부에서만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2 프레임 패널 및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2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단부에서만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1 외팔보식 빌딩 부분에 대해 반대인 중앙 프레임의 쪽에서 전개되고,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자동 가설 시스템의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제2 기구는 케이블(25, 26, 27, 28)을 작동시키고, 케이블은 각각 기계식 암(33, 34, 35, 36)을 작동시킨다.
제2 기구는 제1 기구와 유사한 기구를 가져,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33 내지 36)을 각각 작동시키는 제2 복수의 케이블(25 내지 28)을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스레드된 바(40)에 대한 연결에 의해 다른 쌍의 레일(38, 39)을 따라 이동되는 다른 세트의 풀리 캐리지(37b)(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는 풀리의 다른 조합을 가진다. 특히, 모터(41(b))가 스레드된 바(40)를 회전시킬 때, 케이블(25 내지 28)은, 제1 기구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격납 또는 릴리스된다. 케이블(25 내지 28)은 암을 상향 및 하향으로 리프팅하기 위해 자동 기계식 암(33 내지 36)에 부착된다. 특히, 도 7, 도 8,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 캐리지(37b)가 "릴리스" 위치 37b(2)로부터 "격납" 위치 37b(1)로 이동될 때, 기계식 암(33 내지 36)은, 상향으로 당겨져 전개되어, 유닛 패널(7, 8)을 리프팅한다. 기계식 암(33 내지 36)은, 풀리 캐리지(37b)를 "격납" 위치 37b(1)로부터 "릴리스" 위치 37b(2)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시 하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 패널(3, 4)의 측부 패널 각각은, 초기에 각각의 프레임 패널(3, 4)의 위에 놓이며 패널(3, 4)과 마주 대하는 관계로 배치되는 패널 세그먼트(5, 6)를 포함한다. 프레임 패널(3, 4) 또는 측부 패널 중 대응하는 패널의 도 5, 도 6,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패널 세그먼트(5, 6)는, 대응 프레임 패널(3, 4)로부터 외향으로 상향으로 실질적으로 직립(즉, 수직) 위치로 연장되도록, 프레임 패널(3, 4)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3b, 4b)에(즉,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에 위치될 때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힌지식으로 또는 피봇 가능하게 부착된다. 패널 세그먼트(5, 6)는 자동 가설 시스템의 복수의 케이블(29, 30, 31, 32)에 의해 상승(또는 하강)된다. 이들 케이블(29, 30, 31, 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5, 6, 7, 8)의 패널 구조를 통해 스레딩(threaded)되고, 프레임 패널(3, 4)의 코너에 앵커링되며, 컨테이너 구조물 내에 위치된 기구에 의해(즉, 자동 가설 시스템에 의해) 당겨진다.
특히, 자동 가설 시스템의 제3 기구는 케이블(29, 30, 31, 32)(도 16 내지 도 18 참조)을 작동시킨다. 제3 기구는 또한, 복수의 케이블(29, 30, 31, 32)가 격납되고(패널 세그먼트(5, 6)를 직립 위치로 당기기 위해) 릴리스(패널 세그먼트(5, 6)를 하강시키기 위해)될 수 있도록, 양 방향성이다.
제3 기구는, 제1 및 제2 기구와 유사한 기구를 가져, 제3 복수의 케이블(29 내지 32)을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스레드된 바(40)에 대한 연결에 의해 다른 쌍의 레일(38, 39)을 따라 이동되는 다른 세트의 풀리 캐리지(37c)(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는 풀리의 다른 조합을 가진다. 모터(41(c))가 스레드된 바(40)를 회전시킬 때, 케이블(29 내지 32)은, 제1 및 제2 기구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격납 또는 릴리스된다. 특히, 풀리 캐리지(37c)가 "릴리스" 위치 37c(2)로부터 "격납" 위치 37c(1)로 이동될 때, 패널 세그먼트(5, 6)는 직립 위치로 이동되고, 풀리 캐리지(37c)가 "격납" 위치 37c(1)로부터 "릴리스" 위치 37c(2)로 이동될 때, 패널 세그먼트(5, 6)는 하강된다.
또한, 실질적 직립 위치에 가설될 때, 도 9 및 도 10은, 현재 직립인 패널 세그먼트(5, 6)의 길이 방향 에지 또는 부분(5a, 5b)이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의 대응 외부 길이 방향 에지(7a, 7b)에 연결되고 지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세그먼트(5, 6)가 정위치에 있으면, 유닛 패널(7, 8)은 패널 세그먼트(5, 6) 상에, 또한 유닛 패널(7, 8)을 컨테이너 구조물의 프레임(12)에 부착시키는 힌지 상에 놓인다. 이러한 시점에, 유닛 패널(7, 8)은 적절히 지지되기 때문에, 기계식 암(33, 34, 35, 36)은 하강되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유닛 패널(11, 12)는 도시되지 않음), 각각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9, 10, 11, 12) 내에 격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거나 직접 관련되는 프레임 패널(3, 4) 및 패널 세그먼트(5, 6)는 집합적으로, 빌딩 유닛 구조의 대응 플로어 부분 및 기다란 측벽 부분을 정의한다. 또한,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은, 빌딩 유닛 구조의 기다란 측벽 부분에 의해(즉, 직립 패널 세그먼트(5, 6)에 의해) 지지되는 대응 천장 부분을 정의한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9, 10, 11, 12)(유닛 패널(11, 12)은 도시되지 않음)은 또한 프레임(12)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모듈식 조립체(100)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일 때, 적어도 초기에 프레임(12)의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9, 10, 11, 12)는, 제1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7, 8)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전개된 후에, 노출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9, 10, 11, 12)은 그 상하 방향(latitudinal)(즉, 수직) 에지(9a, 10a, 11a, 12a) 또는 측부를 따라 프레임 구조물(12)에(예를 들면, 프레임 구조물(12)의 지지 부재(14)에) 피봇 가능하게 또는 힌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벽부 및 후방 벽부를 각각 정의하도록 외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세트의 복수의 유닛 패널(9, 10, 11, 1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벽부 및 후방 벽부로서의 위치에 있도록 동시에 외향으로 회전된다. 유닛 패널(9, 10, 11, 12)은, 모터(도시되지 않음),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레드된 바(도시되지 않음), 및 시저 잭(scissor jack)(101)을 포함하는 기구에 의해 회전된다. 모터 및 스레드된 바는, 상술한 여러 가지 모터/바 구조와 유사하다. 도 22a 내지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단부에 위치되는 시저 잭(101)은, 각각 유닛 패널(9, 10, 11, 12)을 회전시키는 레버(102)를 밀거나 당긴다. 레버(102)는 또한 유닛 패널이 전개되었을 때 유닛 패널에 의해 남겨지는 공간(void)을 덮는 천장의 세그먼트(103)를 당긴다. 유사하게, 천장 세그먼트(103)는, 패널(9, 10, 11, 12)이 컨테이너 구조로 되돌려 "접힐" 때,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모터(41(a) 내지 41(g))를 포함하여 모든 모터는 제어 프로세싱 유닛에 전기 연결되며, 제어 프로세싱 유닛은 그 내부에 저장된 사전 프로그래밍된 시켄스에 따라 모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사전 프로그래밍된 시켄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시동될 수 있고, 각각의 모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모든 패널이 빌딩 유닛 구조로 전개되면, 패널(5, 6, 7, 8)의 패널 구조를 통해 스레딩되는 케이블(29, 30, 31, 32)은, 모든 패널을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사후 인장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인장된다. 사후 인장이 완료되면, 케이블(29, 30, 31, 32)은 패널(3, 4)로부터 릴리스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구조로 격납된다.
빌딩 유닛 구조의 전체 크기 및 구조에 따라, "기다란 측벽" 및 전방 및 후방 "단부 벽"의 위치 및 상대적 크기는 변할 수 있다.
빌딩 유닛 구조로부터, 모듈식 조립체는, 모듈식 조립체를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변환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인 자동 프로세스에 의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되돌려 변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식 조립체를 빌딩 유닛 구조 또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의 변환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자동 가설 시스템이 구비된다. 자동 가설 시스템은, 모듈식 조립체를 2개의 구조들 사이에서 변환시키기 위해, 전기 모터, 기어, 풀리, 케이블, 자동 기계식 암, 및 전자 컨트롤 등에 의해, 자동 사전 프로그래밍된 시켄스를 수행한다. 사전 프로그래밍된 시켄스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ROM 디스크 및 DVD와 같은 광학 매체;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학 매체;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 및 수행하도록 특정하게 구성되는 하드웨어 디바이스가 포함된다. 따라서, 모듈식 조립체(100)는 2개의 구조들 사이에서 특수 장비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
도 15의 빌딩 유닛 구조로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빌딩 유닛 구조의 내부는 예를 들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빌딩 유닛 구조의 내부는, 바람직하게 그러나 배타적이 아니게,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섹션(40, 42, 44)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섹션(40, 42, 44)은, 소유자가 여러 가지 섹션(40, 42, 44)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서로 통신 가능하고 접근 가능한 관계로 배치된다. 빌딩 유닛 구조의 내부 벽부를 효율적으로 정의하는 분리 조립체(46, 48)는 섹션(40, 42, 4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시킨다. 격벽 또는 내벽 유닛(46, 48)은, 주 또는 메인 룸(50) 및 부억 또는 설비 영역(utiluty area)(52)이라고 지칭되는 곳을, 별개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된 침실 또는 다른 룸 영역(54, 56)으로부터 분리한다. 또한, 대체로 60으로 표시된 욕실 영역도 내벽 또는 격벽(46, 48)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것에 더하여, 여러 가지 설비 및 공공 시설이 빌딩 유닛 구조의 내부의 적절한 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한 추가적 설비 및 공공 시설은, 트럭 또는 유사한 결합 또는 설치 구조에 의해 부엌 또는 다른 설비 영역(52)에 고정될 수 있는 부억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 하수도, 전기 설비 연결부, 적절한 싱크, 욕실 설비, 화로 또는 레인지, 냉동기, 공기 조화기 등은 또한, 도 15에 대체로 도시된 빌딩 유닛 구조의 내부에 적절히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창(70), 문(72), 출입구, 홀, 통로(도 20 및 도 21 참조)는 사전 구성되고, 프레임(12), 격벽(46, 48), 패널 세그먼트(5, 6), 또는 단부 벽을 정의하는 유닛 패널(9, 10, 11, 12)의 여러 부분에 적절히 위치된다.
모듈식 조립체를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변환시키는 기구는, 빌딩 유닛 구조를 정의하는 평면을 넘어 돌출하는 부재는 없도록, 디자인되었다. 이것은, 모듈식 조립체가 수직으로 적층될 때에도 2개의 구조들 사이에서의 모듈식 조립체의 변환을 가능하게 하며, 모듈식 조립체는 다층 빌딩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적층 및 그룹핑될 수 있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에서의 모듈식 조립체를 적층 및 상호 연결하는 능력은 구성 프로세스를 단순화하고, 완전히 전개되는 동안에 유닛을 적층시킬 필요가 없어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모듈식 조립체는 조립체의 후방에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연결점을 가진 공장에서 설치된 파이핑 및 와이어링을 가져, 현장에서 설치되는 라이저(risers)에 연결하는 것을 매우 간단하게 하기 때문에, 유닛이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적층되는 동안에, 공공 설비도 연결될 수 있다.
이들 빌딩을 위한 기초는, 고장의 빌딩 규칙, 토양 상태, 구조적 고려사항에 일치하도록 디자인되는 조립된 강화 콘크리트 슬래브이며, 모듈식 유닛을 기초에 앵커링하는 것은 많은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앵커링 시스템은 가설 현장의 구조적 요구사항에 따르도록 디자인되어야 하며, 동적 하중(예를 들면, 바람 및 지진)이 고려되어야 하는 현장을 위한 추가적 구조적 보강이 규정될 것이고, 이들 요소의 추가는 기본적 가설 절차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빌딩 유닛 구조를 위한 수직 및 수평 순환 모듈은 이 시점에 도시되지 않았는데, 그것은 그것들이 적층된 유닛 모듈의 레이아웃에 따라 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들 역시 모듈식이고, 전개되며, 모듈식 조립체의 적층과 동일하게 용이하게 유닛 모듈에 연결된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다른 특징은, 적층 구조가 동일하게 용이하게 분해되고, 고밀도 도시 영역에서 비상 상황에서 기초 슬래브를 포함하여 동일한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재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다층 빌딩 조립체는 빌리거나 차용된 땅의 조각에 가설되고, 비상 상황이 해결되었을 때 제거될 수 있다.
도 23은, 모듈식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사전 조립된 기초 슬래브(200)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기초 슬래브는, 다층 빌딩을 형성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모듈식 조립체를 서로의 위에 적층할 경우에 유용한데, 그것은 기초 슬래브가 다층 구조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추가된 기초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다층 빌딩의 경우에, 최하부 모듈식 조립체의 중앙 프레임의 베이스 표면은 기초 슬래브 상에 배치된다. 기초 슬래브의 사이즈 및 보강은 흙의 질 및 그 고장의 건설 규칙에 의존할 수 있다.
기초 슬래브는 그 안에 통합되고 모듈식 조립체의 중앙 프레임에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프레임은 예를 들면 연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기초 슬래브(200)에 연결된,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제1 모듈식 조립체(100a)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모듈식 조립체의 중앙 프레임의 베이스 표면 및 상면은, 연결부(201)를 포함하여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구(202)를 포함한다. 중앙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개구는, 적층된 다른 모듈식 조립체의 베이스 표면에 배치되는 개구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25는, 모듈식 조립체(100a) 및 기초 슬래브(200)에 고정되는 추가적 연결부(203)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2개의 모듈식 조립체들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부(207)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연결부(207)는, 2개의 모듈식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고 상부 모듈식 조립체를 하부 모듈식 조립체 상에서 안정시키기 위해, 2개의 모듈식 조립체의 개구(202)에 삽입된다.
도 27은 제1 모듈식 조립체(100a) 상에 적층된 제2 모듈식 조립체(100b)를 도시하고 있으며, 2개의 조립체는 둘 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이다.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는, 제1 모듈식 조립체(100a)와 제2 모듈식 조립체(100b)를 함께 결합하기 위해 도 28에 도시된 측부 연결부(209)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 측부 개구(208)를 가질 수 있다.
도 29는, 제1 모듈식 조립체(100a) 및 제2 모듈식 조립체(100b) 상에 적층된 제3 모듈식 조립체(100c)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조립체는 모두 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이다.
도 30은 제1 모듈식 조립체(100a), 제2 모듈식 조립체(100b), 및 제3 모듈식 조립체(100c) 상에 적층된 제4 모듈식 조립체(100d)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조립체는 모두 다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이다. 추가적 모듈식 조립체는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모듈식 조립체를 적층 및 고정시킨 후에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와 빌딩 유닛 구조들 사이에서 변환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는 다른 모듈식 조립체와 상관없이 작동 및 따라서 변환될 수 있다.
도 31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전방 현관 및 지붕이 전개된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2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플로어 패널이 전개된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3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또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지붕 패널이 전개된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4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또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측벽이 전개된 도 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5는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또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전방 및 후방 패널이 전개된 도 1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6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또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케이블이 격납된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도 37은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부터 빌딩 유닛 구조로 조립하는 또 다른 연속적 단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100a, 100b, 100c, 100d)는, 보강 레일(220)이 구조물에 추가적 지지를 더하기 위해 다층 구조물의 각각의 코너에 수직으로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보강 레일은 그 고장의 건설 규칙에 따라 설치될 수 있고, 바람(예를 들면, 태풍) 및 땅의 이동(예를 들면, 지진)과 같은 동적 힘에 견디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7에서, 앵글 레일이 유닛을 함께 묶어 더욱 견고한 구조를 발생시키기 위해, 외팔보식 측부의 4개의 코너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많은 상세한 수정,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모든 것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것들의 정당한 균등물에 의해 판정되어야 한다.

Claims (32)

  1.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빌딩 유닛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모듈식 조립체로서,
    박스형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있는 중앙 프레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호 연결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빌딩 유닛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패널,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프레임 패널과 정렬되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닛 패널, 및
    자동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상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와 상기 빌딩 유닛 구조 사이에서 또한 역으로 변환시키는 자동 가설 시스템(automated erection system)
    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각각의 복수의 유닛 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각각의 복수의 유닛 패널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대응 프레임 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측벽부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패널로부터 외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대응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복수의 케이블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복수의 케이블의 각각의 케이블은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 중 하나의 유닛 패널을 통해 상기 하나의 유닛 패널의 원단부까지 스레딩(threaded)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최하부 길이 방향 단부를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플로어 부분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제2 복수의 케이블이 일단에서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타단에서는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이동되는 풀리 캐리지에 부착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은,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를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여러 가지 다른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 위치될 수 있는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제3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은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에 결합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은, 상하 방향(latitudinal) 단부를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집합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및 후방 단부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 위치될 수 있는 제2 세트의 유닛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기계식 칼럼 작동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전자기계식 칼럼 작동기는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상기 제2 세트의 유닛 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세트의 유닛 패널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듈식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상기 패널 세그먼트 중 대응하는 패널 세그먼트는 집합적으로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여러 가지 다른 플로어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세그먼트 각각은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여러 가지 다른 측벽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위치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적어도 몇 개는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여러 가지 다른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적어도 다른 것은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집합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및 후방 단부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 위치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복수의 지지 부재, 및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복수의 교차 브레이스(cross brace)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와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일부로서의 상기 중앙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상기 교차 브레이스와 고정 상호 연결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 각각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대응 상기 프레임 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측벽부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패널로부터 외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대응 상기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통해 스레딩되어 있으며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이동되는 제2 복수의 케이블을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은,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를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여러 가지 다른 천장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 위치될 수 있는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제3 복수의 케이블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자동 기계식 암은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상기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세트의 유닛 패널에 결합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은, 상하 방향 단부를 따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집합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전방 및 후방 단부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 위치될 수 있는 제2 세트의 유닛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가설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기계식 칼럼 작동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전자기계식 칼럼 작동기는 상기 사전 프로그램된 시켄스에 따라 상기 제2 세트의 유닛 패널의 배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세트의 유닛 패널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모듈식 조립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내에 배치된 연장 가능 칼럼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상승 및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지지 부재 내로부터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땅에 따라 연장 길이에 적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모듈식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은,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의 단부에 배치된 압력 패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압력 패드는,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중량을 분포시키며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이 땅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각각의 코너에 배치된 4개의 지지 부재만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
  18.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빌딩 유닛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모듈식 조립체로서,
    박스형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있는 중앙 프레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호 연결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빌딩 유닛 구조를 형성하도록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프레임 패널과 정렬되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닛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 내에 배치된 연장 가능 칼럼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상승 및 수평을 맞추도록 상기 지지 부재 내로부터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땅에 따라 연장 길이에 적응하도록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대응 프레임 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측벽부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패널로부터 외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대응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복수의 케이블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복수의 케이블의 각각의 케이블은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 중 하나의 유닛 패널을 통해 상기 하나의 유닛 패널의 원단부까지 스레딩(threaded)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은,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의 단부에 배치된 압력 패드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압력 패드는,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중량을 분포시키며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이 땅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의 각각의 코너에 배치된 4개의 지지 부재만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1 프레임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1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2 프레임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2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부분에 대해 반대인 상기 중앙 프레임의 쪽에서 전개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식 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상기 지지 부재 내에 배치된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을 각각 전개시키는 4개의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코어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는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된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이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최하부 길이 방향 단부에서만 지지됨으로써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식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상기 플로어 부분을 형성하도록 위치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1 프레임 패널,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1 유닛 패널, 및 상기 제1 프레임 패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전개되었을 때,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제2 프레임 패널,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2 유닛 패널, 및 상기 제2 프레임 패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전개되었을 때,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부분에 대해 반대인 상기 중앙 프레임의 쪽에서 전개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식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는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의 제1 프레임 패널,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1 유닛 패널, 및 상기 제1 프레임 패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전개되었을 때,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패널의 제2 프레임 패널,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2 유닛 패널, 및 상기 제2 프레임 패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전개되었을 때,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부분에 대해 반대인 상기 중앙 프레임의 쪽에서 전개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식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는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의 제1 프레임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1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패널의 제2 프레임 패널 및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의 제2 유닛 패널은, 전개되었을 때,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가 일 단부에서만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외팔보식 빌딩 부분에 대해 반대인 상기 중앙 프레임의 쪽에서 전개되고,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외팔보로 지지된 상기 제2 외팔보식 빌딩 유닛부를 형성하고 있는,
    모듈식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도록 상기 지지 부재 내에 배치된 상기 연장 가능 칼럼을 각각 전개시키는 4개의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31.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 또는 빌딩 유닛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모듈식 조립체로서,
    박스형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고 있는 중앙 프레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선적용 컨테이너를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폐쇄되고 상호 연결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빌딩 유닛 구조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 패널, 및
    상기 중앙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프레임 패널과 정렬되는 폐쇄 위치에서 상기 중앙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개방 위치로 외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는 복수의 유닛 패널
    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외부 프레임을 형성하는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고정 상호 연결된 칼럼은,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의 코어 구조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모듈식 조립체는,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모듈식 조립체가 상기 빌딩 유닛 구조로 있을 때 상기 모듈식 조립체를 땅으로부터 상승시키는 4개의 지지 부재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복수의 프레임 패널은, 상기 복수의 프레임 패널의 대응 프레임 패널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빌딩 유닛 구조의 측벽부를 더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패널로부터 외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는 대응 프레임 패널의 최상부 길이 방향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복수의 케이블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패널 세그먼트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복수의 케이블의 각각의 케이블은 상기 중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유닛 패널 중 하나의 유닛 패널을 통해 상기 하나의 유닛 패널의 원단부까지 스레딩(threaded)되어 있는, 모듈식 조립체.
  32.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에서 서로의 상부에 적층된, 제1항에 따른 복수의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모듈식 조립체의 각각의 모듈식 조립체는, 적층된 위치에 있는 동안에, 자동 가설 시스템에 의해 상기 선적용 컨테이너 구조와 빌딩 유닛 구조 사이에서 변환되는,
    빌딩 조립체.
KR1020127012621A 2009-10-22 2010-10-21 모듈식 조립체 KR101942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04,136 2009-10-22
US12/604,136 US8347560B2 (en) 2008-04-23 2009-10-22 Modular assembly
PCT/US2010/053468 WO2011050124A2 (en) 2009-10-22 2010-10-21 A modula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5811A KR20120085811A (ko) 2012-08-01
KR101942410B1 true KR101942410B1 (ko) 2019-01-25

Family

ID=4390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621A KR101942410B1 (ko) 2009-10-22 2010-10-21 모듈식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347560B2 (ko)
EP (1) EP2491191B1 (ko)
KR (1) KR101942410B1 (ko)
MX (1) MX341556B (ko)
WO (1) WO20110501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4194B2 (en) * 2002-08-30 2013-07-02 500 Group Inc. Modular prefabricated house
US8915684B2 (en) 2005-09-27 2014-12-23 Fontaine Trailer Company, Inc. Cargo deck
WO2010057313A1 (en) * 2008-11-22 2010-05-27 Weatherhaven Resources Ltd. Compact extendible height container and shelter
CN101939234A (zh) * 2007-11-10 2011-01-05 韦瑟黑文资源公司 高度可延伸的集装箱和方舱
US20100201230A1 (en) * 2009-02-02 2010-08-12 Schweitzer Iii Edmund O Electric power system control system with selective enclosure
CA2666863A1 (en) * 2009-05-25 2010-11-25 6943977 Canada Inc. Mobile service station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CA2712719C (en) * 2009-09-21 2016-06-07 One 4 Haul Trans4Mer Ltd Mobile multi-functional shelter unit
US9121168B2 (en) * 2010-01-06 2015-09-01 Home Ec. Modular housing
DE202010003042U1 (de) * 2010-03-03 2010-06-10 Scholz, Markus Aufbewahrungsvorrichtung für den Außenbereich
JP5873086B2 (ja) 2010-08-06 2016-03-01 ブルー ホーム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折りたたみ式建造ユニット
TW201223681A (en) * 2010-12-07 2012-06-16 Hon Hai Prec Ind Co Ltd Product line assembly
FR2969702B1 (fr) * 2010-12-23 2014-10-10 Ge Energy Products France Snc Enceinte pour equipement thermique et procede de montage
BR112013019260A2 (pt) 2011-01-26 2017-07-11 Blu Homes Inc módulos de construção de desdobrar de dois lados
US8720126B2 (en) * 2012-05-07 2014-05-13 Jack Dempsey Stone & Rapid Fabrications Ip Llc Transportable, expandable containers and emergency structures for habitat and field use
US9085890B2 (en) 2011-05-05 2015-07-21 Rapid Fabrications IP LLC Collapsible transportable structur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1132142B1 (ko) 2011-06-10 2012-04-05 박준호 공간 가변형 건물
US20120325198A1 (en) * 2011-06-23 2012-12-27 Bacigalupo Joseph G Expeditionary palletized kitchen system
SG11201404476UA (en) * 2012-02-17 2014-10-30 Lifting Point Pty Ltd Height adjustable shipping container
US10711476B2 (en) * 2012-02-17 2020-07-14 Future Proof, LLC Modular utilities unit structure
US8615967B1 (en) * 2012-07-02 2013-12-31 Malaxit Construction element for er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erecting structure with use thereof
AU2013100359B4 (en) * 2012-07-11 2013-11-28 1Space Pty Ltd Modular Building
WO2014022651A1 (en) * 2012-08-01 2014-02-06 Matthew Merchant Modular living structure
MX2015005784A (es) 2012-11-09 2015-12-17 Fontaine Engineered Products Inc Rejilla plana intermodal colapsable.
TWM457048U (zh) * 2012-11-30 2013-07-11 Yun Far Co Ltd 折疊屋
US8667741B1 (en) * 2013-01-14 2014-03-11 Dynamic Shelters Inc. Kit for assembling a building structure resistant to overhead ordinance detonations
US9103111B2 (en) 2013-01-18 2015-08-11 Nippon Trex Co., Ltd. Deployment shelter
IL224562A (en) * 2013-02-04 2017-03-30 Klein Amos Folding sheltered room for indoor use
US20140311051A1 (en) * 2013-03-15 2014-10-23 Dynamic Global Llc Automatically deployable mobile structure
US8650806B1 (en) * 2013-03-15 2014-02-18 Berg Companies, Inc. Hard-sided expandable shelter
US9611637B2 (en) * 2013-04-15 2017-04-04 Matthew Dynon Prefabricated foldable building module
US9109354B2 (en) * 2013-07-17 2015-08-18 University Of Dayton Rapid assembly of a modular structure
MX357013B (es) * 2013-08-20 2018-06-05 Claudio Roberto Marquez Passy Vivienda prefabricada modular.
US9233635B2 (en) * 2013-09-06 2016-01-12 Rene Wegkamp Mobile accommodation arrangement
KR101539012B1 (ko) * 2014-03-06 2015-07-27 국방과학연구소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20170030071A1 (en) * 2014-04-08 2017-02-02 Andy SORENSEN Portable assembly convertable between a shipping unit and a building unit
CN107075853A (zh) * 2014-04-25 2017-08-18 道格拉斯·马尔科姆·邓肯 结构
US9428927B2 (en) * 2014-07-01 2016-08-30 Donald Vale Pre-fabricated module for multi-dwelling housing units
US9702151B2 (en) * 2014-09-26 2017-07-11 Cubert Llc Mobile shade systems
ES2566277B1 (es) * 2014-10-10 2017-01-24 Josep MARSAL SOLÉ Sistema de contenedor adaptable multifunción
US9441359B1 (en) * 2015-01-13 2016-09-13 Tommy Hsieh Structurally independent frame for component based multi-unit buildings
ES1138639Y (es) * 2015-03-12 2015-07-13 Deployable Shelters And Systems S L Rapid Contenedor desplegable que acoplado a otro de igual o proporcional anchura conforma otro de dimensiones normalizadas
US20160278516A1 (en) * 2015-03-26 2016-09-29 James Lawrence Product shipping system
NO341254B1 (en) * 2015-11-02 2017-09-25 Orient Holding As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a modular residential building
DE202016101197U1 (de) * 2016-03-04 2017-06-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zum Ausbringen und Bergen eines Unterwasserfahrzeugs
CA2968739C (en) * 2016-06-05 2021-05-04 Michael J. Crozier Shipping container expansion insert
WO2018005499A1 (en) * 2016-06-27 2018-01-04 Dragan Simon Modular clearspan building, and modular building sections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USD812249S1 (en) 2016-06-29 2018-03-06 Schweitzer Engineeing Laboratories, Inc. Control enclosure
CN111502014A (zh) * 2016-07-07 2020-08-07 福州欧冠创新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移动房屋
CN111502020A (zh) * 2016-07-07 2020-08-07 福州欧冠创新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变形屋
GB2547737B (en) * 2016-07-12 2018-11-21 Noohi Kayvon Balustrade apparatus
US10160370B2 (en) * 2017-01-04 2018-12-25 Aardvark Event Logistics, Inc. Mobile showroom and advertising system
US10269273B1 (en) * 2017-01-04 2019-04-23 Aardvark Event Logistics, Inc. Mobile showroom and advertising system
CN108301512B (zh) * 2017-01-06 2023-10-31 上海明燎机电成套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集装箱型折叠式组合房屋及折叠房屋组
CN106836500B (zh) * 2017-01-06 2019-04-23 浙江瑞航应急救援成套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集装箱型折叠式组合房屋的展折方法
CA2991461A1 (en) * 2017-01-11 2018-07-11 Todd M. Huntimer Utv shelter
US10415263B2 (en) * 2017-04-26 2019-09-17 New House International Corp Packaged container hous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10648169B2 (en) * 2017-04-26 2020-05-12 New House International Corp. Packaged container hous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SK8396Y1 (sk) * 2017-06-27 2019-03-01 Zepelin S R O Kontajnerový rozkladací prístrešok
US10704251B1 (en) * 2017-07-25 2020-07-07 Vessel Technologies, Inc. Modular housing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0167624B1 (en) * 2017-08-31 2019-01-01 Craig Hodgetts Mobile shelter and method of erecting the same
SG11201903595TA (en) * 2017-09-19 2019-05-30 Qi Pin Poh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11007921B2 (en) 2017-10-03 2021-05-18 Build Ip Llc Wheeled assembly for item transport
KR102046342B1 (ko) * 2017-12-12 2019-11-19 최용석 접이식 건축 구조물
US10711473B2 (en) * 2018-01-23 2020-07-14 KOKO Sports Management, LLC Arena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and constructing same
US20190337582A1 (en) * 2018-05-04 2019-11-07 Robin Whincup Mobile obstacle courses
EP3884121A1 (en) * 2018-11-21 2021-09-29 Autotelic Holding LLC Core for building
CN116623802A (zh) 2019-02-14 2023-08-22 建筑Ip有限责任公司 具有公用通道和叠层围护结构的可折叠建筑结构
US20200332512A1 (en) * 2019-02-21 2020-10-22 FastPaks LLC Foldable build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US10775138B1 (en) * 2019-03-07 2020-09-1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eady armor protection for instant deployment
US11414854B2 (en) * 2019-09-18 2022-08-16 Let's Dryft, Inc. Portable training studio
US11305682B2 (en) * 2019-11-06 2022-04-19 Jonathan Bourdon Repositionable deck device for a structure
US11473291B2 (en) * 2019-12-12 2022-10-18 Nexgen Composites Llc Expandable field kitchen
US11846108B2 (en) * 2020-02-10 2023-12-19 Beverly Pearce Convertible shipping container
US11856703B2 (en) 2020-02-26 2023-12-26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Modularly assembled control panels
US11777292B2 (en) 2020-04-07 2023-10-03 Renu, Inc. Load center assembly
CN111851747B (zh) * 2020-07-28 2021-12-17 扬州大学 一种嵌套式可升降临时性微型建筑的组合方法
US11891823B2 (en) * 2020-09-23 2024-02-06 SNS Custom Containers Emergency housing unit
US11718985B2 (en) * 2020-10-14 2023-08-08 Isaac Walker Construction block
WO2022147233A1 (en) * 2020-12-31 2022-07-07 Mitek Holdings, Inc. Rapid assembly construction modules and methods for use
US11739547B2 (en) 2021-01-12 2023-08-29 Build Ip Llc Stackable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US11718984B2 (en) 2021-01-12 2023-08-08 Build Ip Llc Liftable foldable transportable buildings
CA3211455A1 (en) 2021-02-23 2022-09-01 Onx, Inc.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structing and interconnecting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s
CN112627325A (zh) * 2021-03-01 2021-04-09 山东建筑大学 一种空间可扩展的动态模块化建筑
WO2022183296A1 (en) * 2021-03-03 2022-09-09 Rohe Home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deploying modular buildings
US11629491B1 (en) * 2021-04-01 2023-04-18 Factory OS Inc. Interchangabl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CN113525212A (zh) * 2021-07-20 2021-10-22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雪蜡车挂车厢体智能控制系统
CN113525211A (zh) * 2021-07-20 2021-10-22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智能雪蜡车
DE102021123895A1 (de) 2021-09-15 2023-03-16 SOLARBAKERY GmbH Erweiterbarer Seefrachtcontainer
US20230120060A1 (en) * 2021-10-15 2023-04-20 GrowTech Industries, LLC Expandable Portable Shelter and Structures of Multiple Expandable Portable Shelters
AT525626B1 (de) 2022-04-27 2023-06-15 Jecel Bernhard Mobile Containerraumvorrichtung
US11781310B1 (en) 2022-04-27 2023-10-10 Modology Design Group Modular home delivery system
CN115142555A (zh) * 2022-07-22 2022-10-04 浙江众海建设集团有限公司 装配式房屋及其装配施工建造方法
US11873251B1 (en) 2023-02-17 2024-01-16 Onx, Inc. Concrete composition for use in construction and methods of apply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2059A1 (en) * 2006-12-13 2008-06-19 Bonebrake Jeffrey M Mobile, expandable, inhabitable structure
JP2009510282A (ja) * 2005-09-26 2009-03-12 ウェザーヘイブン リソーシズ リミテッド コンテナ輸送用折り畳み可能モジュール式シェ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73A (en) * 1894-05-01 Machine
CH544674A (de) * 1972-11-22 1974-01-15 Karosserie Und Fahrzeugbau E F Fahrbare Kabine mit vergrösserbarer Grundfläche
US4074475A (en) 1977-01-28 1978-02-21 Building Components Research, Inc. Collapsible room module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y
IT1192455B (it) 1982-06-18 1988-04-13 Giovanna Maria Fagnoni Struttura trasportabile per formare abitazione od altro,adatta per interventi immediati
US4545171A (en) * 1983-05-05 1985-10-08 Shanni International, Inc. Prefabricated folding structure
FR2557620B1 (fr) 1983-12-30 1989-03-31 Lepoittevin Yves Maison pliante transportable sous forme de conteneur empilable
US5345730A (en) 1985-05-30 1994-09-13 Jurgensen Bruce A Expandable structure and sequence of expansion
US4891919A (en) 1986-12-10 1990-01-09 Palibroda James W Containerized transportable house
CA1296153C (en) 1988-03-17 1992-02-25 Fernand Bertrand Folding building structure
IT1243481B (it) 1990-08-02 1994-06-15 Gaetano Oldani Nucleo operativo, trasportabile con mezzi aerei e stradali, trasformabili in ospedale da campo, sala di comando, osservatorio, centro trasmissioni, e simili
US5152109A (en) 1990-10-11 1992-10-06 Wenger Corporation Portable performance platform
FR2670233B1 (fr) * 1990-12-06 1995-01-06 Lohr Ind Abri-conteneur habitable a volume interieur extensible.
CA2100845C (en) * 1993-07-19 1998-12-15 Brian Johnson Collapsible portable containerized shelter
JP2794110B2 (ja) 1995-07-20 1998-09-03 極東工業株式会社 プレハブハウス
US5966956A (en) 1996-11-20 1999-10-19 Shelter Technologies, Inc. Portable refrigerated storage unit
US6003919A (en) 1997-03-28 1999-12-21 Shook Electronics Usa, Inc. Expandable trailer
SE9701818D0 (sv) * 1997-05-15 1997-05-15 Innovation Dev Enterprise I St Expanderbar, mobil verksamhetslokal
US6223479B1 (en) * 1998-03-13 2001-05-01 Stoeckli Jakob Extendable and retractable building and mechanism for extending and retracting
GB9822784D0 (en) 1998-10-20 1998-12-16 Stoodley William R C Volumetric modular building system
US20090031642A1 (en) * 1999-03-23 2009-02-05 Embleton Limited Interactive building module
US6253498B1 (en) 1999-10-23 2001-07-03 Kazak Composites, Inc. Self-contained, modular building systems
WO2002011955A1 (de) * 2000-08-03 2002-02-14 Atlas Copco Electric Tools Gmbh Werkzeugkoffer
US20020116878A1 (en) 2000-09-29 2002-08-29 Ciotti Theodore T. Containerized habitable structures
DE10119638A1 (de) 2001-04-20 2002-10-31 Wietmarscher Ambulanz Und Sond Variabler Container
KR20030008723A (ko) 2001-07-19 2003-01-29 문석주 철골구조 건축물용 석재 외벽 판넬 및 그 제조방법
US6712414B2 (en) 2001-12-20 2004-03-30 Floyd L. Morrow Mobile, expandable structure, assembly support system
US7117645B2 (en) 2002-05-03 2006-10-10 Bwxt Y-12, L.L.C. Rapid deployment shelter system
WO2003100182A1 (en) 2002-05-29 2003-12-04 Prebuilt Pty Ltd Transportable building
JP2004084310A (ja) 2002-08-27 2004-03-18 Sekisui House Ltd 配線構造
US8474194B2 (en) 2002-08-30 2013-07-02 500 Group Inc. Modular prefabricated house
WO2004076762A1 (en) * 2003-02-28 2004-09-10 Henrik Lambreth A method and components for erecting a building
US20040194396A1 (en) 2003-04-01 2004-10-07 Vincent Shanni Prefabricated folding structure having interlocking metal beams
US7658037B2 (en) 2003-12-03 2010-02-09 Eads Deutschland Gmbh Variable volume container unit hoisting device for lowering and raising a telescopable expansion element
NZ532620A (en) 2004-04-28 2004-07-30 Habode Ip Ltd A building construction
WO2005112578A2 (en) 2004-05-12 2005-12-01 Charlotte-Mecklenburg Hospital Authority Doing Business As Carolinas Medical Center Mobile medical facility
US20060185262A1 (en) * 2004-07-13 2006-08-24 Abler Lawrence J Containerized transportable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TWM264316U (en) 2004-08-17 2005-05-11 Sheng-Yi Lin Foldable assembly mobile house
CN100389243C (zh) 2004-12-20 2008-05-21 厦门人和跨过进出口有限公司 可移动的建筑物
PT1891277E (pt) 2005-06-16 2014-01-14 Deployable Structures Internat Pty Ltd Edifício modular pré-fabricado
US7418802B2 (en) 2005-09-09 2008-09-02 Gichner Systems Group, Inc. Expandable shelter system
US20070113488A1 (en) 2005-11-18 2007-05-24 Super Shelter Mobile Buildings Inc. Mobile building
US7841136B2 (en) 2006-04-03 2010-11-30 Ronald Chester Czyznikiewicz Shelter pac
US20090229194A1 (en) 2008-03-11 2009-09-17 Advanced Shielding Technologies Europe S.I. Portable modular data center
US8151537B2 (en) 2008-07-29 2012-04-10 Green Horizon Manufacturing Llc Method for deploying cooperating prefabricated structures
DE102009044059A1 (de) * 2009-01-26 2010-07-29 Peck, Gunnar, Dipl.-Ing. (FH) Modulares Containersystem
US8141304B2 (en) * 2009-02-05 2012-03-27 Kangna Nelson Shen Prefabricated container house
US20120255240A1 (en) * 2009-02-05 2012-10-11 Kangna Nelson Shen Prefabricated container house
KR101022975B1 (ko) * 2010-09-20 2011-03-22 유승협 실내외 전시행사를 위한 컨테이너형 시스템부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0282A (ja) * 2005-09-26 2009-03-12 ウェザーヘイブン リソーシズ リミテッド コンテナ輸送用折り畳み可能モジュール式シェルター
US20080142059A1 (en) * 2006-12-13 2008-06-19 Bonebrake Jeffrey M Mobile, expandable, inhabitabl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6546A1 (en) 2012-10-25
EP2491191A4 (en) 2014-09-10
MX2012004566A (es) 2012-08-03
US20100269419A1 (en) 2010-10-28
MX341556B (es) 2016-08-24
US8826601B2 (en) 2014-09-09
EP2491191B1 (en) 2018-02-14
WO2011050124A2 (en) 2011-04-28
WO2011050124A3 (en) 2011-09-29
US8347560B2 (en) 2013-01-08
KR20120085811A (ko) 2012-08-01
EP2491191A2 (en)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10B1 (ko) 모듈식 조립체
US7882659B2 (en) Modular assembly
US9611637B2 (en) Prefabricated foldable building module
EP0205278B1 (en) Expandable structure and sequence of expansion
US5345730A (en) Expandable structure and sequence of expansion
AU2011223504B2 (en) Improvements i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units
AU2011235588B2 (en) Expandable flat pack dwelling module
JP2010203224A (ja) 移動可能組立コンテナハウス
WO2008009039A1 (en) Convertible building
ZA200100250B (en) Prefabricated building systems.
US4669231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utilizing modular components
JP2013515178A (ja) プレハブコンテナハウス
EP0329261A2 (en) Expandable structure and sequence of expansion
RU2453663C1 (ru) Способ трансформирования мобильного дома и мобильный дом-трансформер
WO2014037691A1 (en) Expandable building assembly
WO2021217196A1 (en) Transportable habitable fold out structure
AU2011202177C1 (en) Transportable Building
AU2014213489A1 (en) Modular building
AU2011101547A4 (en) Erectable Flat Pack Dwelling Module
AU2013201693B2 (en) Improvements i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units
WO20221832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deploying modular buildings
GB2505673A (en) Expandable building assembly comprising outwardly moving walls.
OA20153A (en) Modular housing system.
JP2011106249A (ja) 拡張型ユニットハウス
AU2012216279A1 (en) Modular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