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12B1 -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12B1
KR101539012B1 KR1020140026518A KR20140026518A KR101539012B1 KR 101539012 B1 KR101539012 B1 KR 101539012B1 KR 1020140026518 A KR1020140026518 A KR 1020140026518A KR 20140026518 A KR20140026518 A KR 20140026518A KR 101539012 B1 KR101539012 B1 KR 10153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ilding
hinge
opening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경모
최용규
곽경운
김사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4002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E04H9/10Independent shelters; Arrangement of independent splinter-proof wall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건물와, 개구부의 하단에 힌지로 고정된 도어형면체와,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도어형면체와 와이어로 연결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도어형면체에 중량물이 부착되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도어형면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구부를 개폐하게 됨으로써, 도어형면체를 통해 도어와 직립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건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STANDING ERECT APPARATUS OF WEIGHT EQUIPPED BUILDING AND OPERATION-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중량물을 직립시키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중량물을 보관하려면 출입용 도어가 필요하고, 건물 안에서 중량물을 직립시키려면 직립장치가 별도로 필요하다. 특히, 건물이 방호구조라면 도어는 구조가 복잡하고 상당한 무게로 제작된다. 이처럼 방호용 도어와 중량물 직립장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건물에 적용된 경우 건물의 크기가 커지고 내부 구조가 복잡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6-0041594호(1996.12.19.)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직립시켜 건물 내부에 보관하는 동시에 중량물을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에 따르면,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건물과, 개구부의 하단에 힌지로 고정된 도어형면체와,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도어형면체와 와이어로 연결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도어형면체에 중량물이 부착되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도어형면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중량물은 힌지와 수직을 이루도록 도어형면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어형면체는 힌지에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중량물이 부착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내측면체와, 힌지에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내측면체의 상부와 접합된 외측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면체와 외측면체가 밀착되지 않도록 내측면체와 외측면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면체와 외측면체에 소정각도로 굽혀진 굽힘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체에 와이어가 체결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공간은 직육면체형태이고, 개구부의 상하측방향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공간의 상하측방향 양내측면에 연장개구부가 형성되며, 연장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양내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양내측면에는 각각 커버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팔이 건물 내측으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어 커버에 결합될 수 있으며, 연장개구부는 내부공간이 건물의 상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이격이 있는 위치에 형성될 때, 내측면으로부터 건물의 저면을 향해 소정 각도로 발산되도록 형성된 경사절삭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구동장치는 전기식 크레인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에 따르면, 중량물이 힌지와 수직을 이루도록 도어형면체에 부착되는 중량물 부착단계와, 건물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장착된 구동장치가 구동되고, 구동장치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도어형면체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내부공간과 건물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중량물이 건물 내부에 직립되는 직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중량물 부착단계 전에, 도어형면체가 건물이 놓여지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직립단계 이후, 도어형면체에 구비된 고정장치를 통해 건물에 도어형면체가 고정될 수 있으며, 직립단계 이후, 힌지로부터 도어형면체를 형성하는 외측면체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와 외측면체의 무게의 곱이 힌지로부터 중량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와 중량물의 무게의 곱보다 클 경우 힌지를 중심으로 도어형면체가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의하면, 도어형면체를 통해 도어와 직립장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건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형면체를 통해 외부충격의 영향이 중량물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중량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의 절차도,
도 4는 도 3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에 따른 작동 상태도,
도 5는 도 3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의 직립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 하나당 한개의 구동장치(300)를 사용하여 중량물(210)을 직립시켜 보관할 수 있는 구조이다. 건물(100)에 힌지(130)로 연결된 도어형면체(200)는 중량물(210)을 직립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중량물(210)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는, 내부공간(110)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부(120)가 형성된 건물(100)과, 개구부(120)의 하단에 힌지(130)로 고정된 도어형면체(200)와, 내부공간(110)에 장착되며, 도어형면체(200)와 와이어(310)로 연결된 구동장치(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형면체(200)에 중량물(210)이 부착되며, 구동장치(300)의 작동에 따라 도어형면체(200)가 힌지(13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구부(120)를 개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량물(210)은 힌지(130)와 수직을 이루도록 도어형면체(200)에 고정되며, 도어형면체(200)는 힌지(130)에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중량물(210)이 부착되는 결합구(221)가 구비된 내측면체(220)와, 힌지(130)에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내측면체(220)의 상부와 접합된 외측면체(230)를 포함한다.
내측면체(220)와 외측면체(230)가 밀착되지 않도록 내측면체(220)와 외측면체(230) 사이에 공간(23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내측면체(220)와 외측면체(230)에 소정각도로 굽혀진 굽힘부(222,232)가 형성됨으로써, 외측면체(230)와 내측면체(220) 사이에 공간(231)이 형성된다.
외부공간에서 발생된 충격(I)이 1차적으로 외측면체(230)에서 흡수되고, 공간(231)을 지나서 내측면체(220)로 전달되고 내측면체(220)에서 2차적으로 충격(I)을 흡수하게 되므로써 중량물(21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I)은 최소화된다.
외측면체(230)에 와이어(310)가 체결되는 고정장치(233)가 구비된다. 고정장치(233)는 중량물(210) 직립 후, 건물(100)에 고정되는 고정구와 체결됨으로써 도어형면체(200)를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내부공간(110)은 직육면체형태이고, 개구부(120)의 상하측방향 양단을 형성하는 내부공간(110)의 상하측방향 양내측면(111,112)에 연장개구부(140,150)가 형성된다.
연장개구부(140,150)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141,151)가 양내측면(111,112)에 각각 구비되는데, 양내측면(111,112)에는 각각 커버(141,151)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113,114)이 구비되며, 커버(141,151)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팔(115,116)이 건물(100) 내측으로부터 내부공간(110)으로 연장되어 커버(141,151)에 결합된다.
연장개구부(140,150)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부공간(110)이 건물(100)의 상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이격이 있는 위치에 형성될 때는, 내측면(111,112)으로부터 건물(100)의 저면을 향해 소정 각도로 발산되도록 형성된 경사절삭면부(160)를 형성하게 된다.
연장개구부(140,150)를 통해 중량물(210)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되며, 중량물(210)에 적재 또는 탑재된 물건을 도어형면체(200)의 변형없이 외부로 유출하거나 중량물(210)에 유입할 수 있게 된다.
구동장치(300)는 전기식 크레인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기식 크레인이 사용된다.
또한, 구동장치(300)의 작동전, 즉 도어형면체(20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룰 때, 중량물(210)의 무게에 의해 건물(100)에 힌지(130)로 고정된 도어형면체(200)가 회전됨으로써, 중량물(210)이 힌지(130)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받침대(400)를 이용하여 도어형면체(200)의 일측을 받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의 절차도이고, 도 4는 도 3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에 따른 작동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의 직립단계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의 작동방법은, 중량물(210)이 힌지(130)와 수직을 이루도록 도어형면체(200)에 부착되는 중량물 부착단계(S100)와, 건물(100)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110)에 장착된 구동장치(300)가 구동되고, 구동장치(300)와 와이어(310)를 통해 연결된 도어형면체(200)가 힌지(130)를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내부공간(110)과 건물(100)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120)를 폐쇄함과 동시에 중량물(210)이 건물(100) 내부에 직립되는 직립단계(S200)를 포함한다.
중량물 부착단계(S100) 전에, 도어형면체(200)가 건물(100)이 놓여지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조정된다. 이때, 도어형면체(200)의 일측은 받침대(400)를 통해 받쳐지게 된다(도 4의 a 참조).
중량물 부착단계(S100)에서는 도어형면체(200)를 이루는 내측면체(22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중량물(210)이 내측면체(220)에 부착된다(도 4의 b 참조).
직립단계(S200)에서는 구동장치(300)가 작동되고, 와이어(310)가 구동장치(300)에 감겨지며 와이어(310)와 연결된 도어형면체(200)가 기립되며, 개구부(120)를 폐쇄하게 된다(도 4의 c 및 d 참조).
직립단계(S200) 이후, 도어형면체(200)에 구비된 고정장치(233)에 고정구가 체결됨으로써 도어형면체(200)가 건물(100)에 고정된다.
직립단계(S200) 이후, 힌지(130)로부터 도어형면체(200)를 형성하는 외측면체(230)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l2)와 외측면체(230)의 무게(m2)의 곱이 힌지(130)로부터 중량물(210)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l1)와 중량물(210)의 무게(m1)의 곱보다 클 경우 힌지(130)를 중심으로 도어형면체(200)가 개구부(120)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도 5 참조).
즉, 개구부(120)를 폐쇄한 도어형면체(200)는 특정조건에서 개구부(120)를 개구하게 되는 것으로, 외부충격에 의해서 고정장치(233)가 파손되더라도 중량물(210)의 직립을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중량물(210)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100: 건물 110: 내부공간
111: 양내측면 112: 양내측면
113: 가이드레일 114: 가이드레일
115: 구동팔 116: 구동팔
120: 개구부 130: 힌지
140: 연장개구부 141: 커버
150: 연장개구부 151: 커버
160: 경사절삭면부 200: 도어형면체
210: 중량물 220: 내측면체
221: 결합구 222: 굽힘부
230: 외측면체 231: 공간
232: 굽힘부 233: 고정장치
300: 구동장치 310: 와이어
S100: 중량물 부착단계 S200: 직립단계

Claims (9)

  1.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건물;
    상기 개구부의 하단에 힌지로 고정된 도어형면체;
    상기 내부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형면체와 와이어로 연결된 구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형면체에 중량물이 부착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도어형면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상하측방향 양내측면에 연장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형면체는
    상기 힌지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상기 중량물이 부착되는 결합구가 구비된 내측면체와,
    상기 힌지에 의해 일측이 관통되어 고정되며, 상기 내측면체의 상부와 접합된 외측면체를 포함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체와 상기 외측면체가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면체와 상기 외측면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전기식 크레인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도어형면체를 형성하는 외측면체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와 상기 외측면체의 무게의 곱이 상기 힌지로부터 상기 중량물의 무게중심까지의 수평거리와 상기 중량물의 무게의 곱보다 클 경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도어형면체가 상기 개구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상기 양내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내측면에는 각각 커버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팔이 상기 건물 내측으로부터 내부공간(110)으로 연장되어 커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양내측면 중 하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저면을 향해 소정 각도로 발산되도록 형성된 경사절삭면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KR1020140026518A 2014-03-06 2014-03-06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53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518A KR101539012B1 (ko) 2014-03-06 2014-03-06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518A KR101539012B1 (ko) 2014-03-06 2014-03-06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012B1 true KR101539012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518A KR101539012B1 (ko) 2014-03-06 2014-03-06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0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69A (ja) * 2003-10-03 2005-04-28 Nippon Light Metal Co Ltd 建築部材運搬用パレット
KR20100034234A (ko) * 2008-09-23 2010-04-01 최원갑 시공이 용이한 방진기
KR20120085811A (ko) * 2009-10-22 2012-08-01 모듈라 컨테이너 솔루션즈 엘엘씨 모듈식 조립체
JP2012218941A (ja) * 2011-04-14 2012-11-12 Hokuriku Electric Power Co Inc:The 制御盤起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2369A (ja) * 2003-10-03 2005-04-28 Nippon Light Metal Co Ltd 建築部材運搬用パレット
KR20100034234A (ko) * 2008-09-23 2010-04-01 최원갑 시공이 용이한 방진기
KR20120085811A (ko) * 2009-10-22 2012-08-01 모듈라 컨테이너 솔루션즈 엘엘씨 모듈식 조립체
JP2012218941A (ja) * 2011-04-14 2012-11-12 Hokuriku Electric Power Co Inc:The 制御盤起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276B2 (en) Spa cover lifter
US20070210290A1 (en) Spa Cover Lifter
US5601131A (en) Canopy-forming door
KR101644233B1 (ko) 공간활용 여닫이문
KR101539012B1 (ko) 건물에 구비되는 중량물 직립장치 및 그 작동방법
US8151858B2 (en) Garage screen door system
US20100154111A1 (en) Spa cover lifter
US9895008B2 (en) Bell-type museum showcase, having pantograph lifting mechanisms
US10781627B2 (en) Hinged upper door frame member
JP2020026331A (ja) 集塵ブース
JP5752448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出入口の安全装置
JP5542512B2 (ja) 開閉装置
IT201600091179A1 (it) Vetrina museale con sistema di azionamento motorizzato per cassetti
KR101704755B1 (ko) 건조선박의 사이드 오프닝 출입용 플랫폼
JP7036703B2 (ja) ガードマンボックス
ES2743980T3 (es) Puerta enrollable
KR102056629B1 (ko)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KR101255751B1 (ko) 지하수 관측공의 보호장치
EP1980690A2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US20170022741A1 (en) Door assembly for vehicles
KR20110110496A (ko) 방호수단이 구성된 타워크레인
KR10162537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EP3262261B1 (en)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and an assembly of an elongated housing and a door and suspension mechanism assembly
JP2002332789A (ja) 開閉ゲート装置
JP6317848B2 (ja) 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