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379B1 -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379B1
KR101625379B1 KR1020140078094A KR20140078094A KR101625379B1 KR 101625379 B1 KR101625379 B1 KR 101625379B1 KR 1020140078094 A KR1020140078094 A KR 1020140078094A KR 20140078094 A KR20140078094 A KR 20140078094A KR 101625379 B1 KR101625379 B1 KR 101625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storage box
net member
door
doo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668A (ko
Inventor
인치현
강형우
임갑수
조보경
추성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3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4Holders for pails or other equipment on or for ladders

Abstract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는, 선실에 마련된 출입구와 인접하여 선실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함; 및 일단이 보관함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함에 보관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선실이 소정의 경사를 가질 때, 네트 부재가 보관함으로부터 배출되어 선실 내에서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ESCAPING APPARATUS FOR SHIP 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지상의 사고에 비해 탑승자의 구조가 매우 어렵다.
선박 등이 복원력을 잃고 기울어진 상황에서 선실의 출입구는 선실 내 탑승자를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탑승자는 기울어진 선실 내에서 출입구를 통해 탈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대한 해난 사고의 경우 상당한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하여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기울어진 경우, 탑승자들의 피난이 확보되도록 비상탈출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14-000195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선실 내에서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하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실에 마련된 출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선실 내부에 배치되는 보관함; 및 일단이 상기 보관함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보관함에 보관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상기 네트 부재가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선실 내에서 상기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보관함을 개폐시키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보관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에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네트 부재가 배출될 때 상기 네트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도어부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부와 상기 보관함 사이의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상기 선실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경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탈출장치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보관함 내에서 롤 형태로 말려 보관되고, 상기 보관함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네트 부재가 보관함으로부터 배출되어 선실 내에서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선실 내 탑승자가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a)는 선실의 횡단면도이고, (b)는 선실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선실(S)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실이라 함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지칭하며, 특정한 용도 또는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선실(S)에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출입구는 도어(D)에 의해 개폐된다.
비상탈출장치(1)는 선실(S) 내에서 출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비상탈출장치(1)는 선실(S)의 천장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실(S)의 출입구가 복수인 경우 비상탈출장치(1)는 각 출입구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보관함(100)에 네트 부재(200)가 보관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보관함(100)에서 네트 부재(200)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탈출장치(1)는 보관함(100)과 네트 부재(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상탈출장치(1)는 선실이 복원력을 상실할 정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선실(S) 내에서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보관함(100)은 선실(S)에 마련된 출입구와 인접하여 선실 내부에 배치된다. 보관함(100)은 선실(S)의 천장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보관함(100)은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네트 부재(200)는 그 일단이 보관함(10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함(100)에 보관된다. 선실(S)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100)으로부터 배출되어 선실(S) 내에서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네트 부재(200)는 예컨대 그물과 같은 네트(net)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는 용이하게 네트 부재(200)를 잡고 이동할 수 있다.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100)에서 기울어진 선실(S)의 바닥면 하부까지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네트 부재(200)는 후술하는 도어부(300)가 개방되면 자중에 의해 보관함(100)에서 배출되거나, 소정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100) 내에 보관될 때 롤 형태로 말려 보관되고, 보관함(100)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풀린다.
보관함(100)은 도어부(30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부(300)는 선실(S)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개방 동작한다. 도어부(300)의 개방 동작에 의해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100)에서 배출된다.
도어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00)의 아래로 개방된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보관함(100)에 힌지 결합된다. 다만, 도어부(300)의 힌지 결합 위치는 네트 부재(200)를 배출하기 위한 보관함(100)의 개방부의 위치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도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으로 힌지 회동하여 보관함(100)을 개방한다. 이때,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300)에서 배출되어 B방향으로 배출된다.
도어부(300)에는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탑승자는 경사진 선실(S) 내에서 네트 부재(200)를 이용하여 출입구 근처까지 이동한 후 출입구를 빠져 나가는 과정에서 손잡이부(320)를 사용할 수 있다.
도어부(300)에는 네트 부재(200)가 배출될 때 네트 부재(20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35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경사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50)는 도 3과 같이 네트 부재(200)가 하강하여 배출될 때 네트 부재(200)가 더욱 멀리까지 펼쳐지도록 B방향으로 안내한다.
다만, 이와 같은 형상의 가이드부(350)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는 도어부(300)의 보관함(100)에 대한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400)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도어부(300)가 보관함(100)에 대해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부(300)의 불필요한 개방 및 그에 따른 네트 부재(200)의 배출을 방지한다.
잠금장치(400)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석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도어부(300)와 보관함(100) 사이의 개폐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잠금장치(400)에 전류가 인가되면 도어부(300)는 보관함(100)을 폐쇄하고, 잠금장치(40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면, 도어부(300)는 보관함(100)을 개방시킨다.
이외에도 도어부(300)의 보관함(100)에 대한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장치가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는 센서부(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선실(S)의 경사를 감지한다.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경사 정보를 수신하고 선실(S)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 도어부(300)를 개방시킨다.
예컨대, 잠금 장치(400)가 전자석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선실이 소정의 각도록 경사진 것으로 판단되면, 잠금 장치(4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도어부(3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부(300)를 개방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는 탑승자가 수동으로 도어부(300)를 개방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선실(S)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 탑승자는 수동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부(300)를 개방시키고,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네트 부재(200)를 사용하여 선실(S)에서 탈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실(S)이 정상 상태에 있을 때, 비상탈출장치(1)는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보관함(100)에는 네트 부재(200)가 보관되고, 도어부(300)는 보관함(100)에 대해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선실(S)이 복원력을 상실할 정도로 경사진 경우, 도어부(30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된다. 이때,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100)에서 배출되어 경사진 선실(S) 내에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한다.
이때, 선실(S) 내 탑승자는 네트 부재(200)를 이용하여 출입구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출입구를 통해 탈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는 설치 위치 등에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와 차이가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장치(1)와 동일한 내용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비상탈출장치(1')는 선실(S)의 바닥부에 배치될 수 있다. 비상탈출장치(1')는 보관함(100)과 네트 부재(200)와 도어부(300)를 포함한다.
보관함(100)에는 일측으로 개방된 개방부 형성된다. 도어부(300)는 도 6과 같이 일측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보관함(100)에 힌지 결합된다. 도어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회동하여 보관함(100)을 개방한다. 이때, 네트 부재(200)는 보관함(300)에서 배출되어 D방향으로 배출된다. 보관함(300)에서 배출된 네트 부재(200)는 선실(S)의 바닥부를 따라 굴러 펼쳐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비상탈출장치 100: 보관함
200: 네트 부재 300: 도어부
320: 손잡이부 350: 가이드부
400: 잠금장치

Claims (10)

  1. 선실에 마련된 출입구와 인접하여 상기 선실 내부의 천장부에 배치되는 보관함; 및
    일단이 상기 보관함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보관함에 보관되는 네트 부재; 및
    상기 보관함을 개폐시키는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질 때, 상기 도어부는 개방되도록 작동하고, 상기 네트 부재가 상기 보관함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선실 내에서 상기 출입구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도어부에는 탑승자가 경사진 상기 선실 내에서 상기 네트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구 근처까지 이동한 후 상기 출입구를 빠져 나가는 과정에서 파지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보관함에 힌지 결합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네트 부재가 배출될 때 상기 네트 부재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상기 보관함에 대한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부와 상기 보관함 사이의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의 경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경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실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우,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탑승자가 수동으로 상기 도어부를 개방하도록 제공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보관함 내에서 롤 형태로 말려 보관되고,
    상기 보관함에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풀리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20140078094A 2014-06-25 2014-06-25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1625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4A KR101625379B1 (ko) 2014-06-25 2014-06-25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4A KR101625379B1 (ko) 2014-06-25 2014-06-25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8A KR20160000668A (ko) 2016-01-05
KR101625379B1 true KR101625379B1 (ko) 2016-05-30

Family

ID=5516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94A KR101625379B1 (ko) 2014-06-25 2014-06-25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575A (ko) 2018-09-20 2020-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비상 탈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5B1 (ko) 2014-05-13 2015-02-27 조승혁 선박용 사다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1952U (ko) 2012-09-26 2014-04-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비상 탈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5B1 (ko) 2014-05-13 2015-02-27 조승혁 선박용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68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0880B (zh) 疏散坡道
KR101784044B1 (ko) 선박의 비상 탈출용 줄사다리함
WO2012147226A1 (ja) ホームドア装置
KR20140060914A (ko) 선박 거주구의 비상탈출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선박
JP2013116807A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KR101625379B1 (ko)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비상탈출장치
KR20120003577U (ko) 선실 천장의 정비용 해치
KR101998784B1 (ko) 자동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KR20090062313A (ko) 버스의 비상탈출장치
JP7028697B2 (ja) トンネル用扉
KR20150000953U (ko) 선박용 해치 유닛
KR101616331B1 (ko) 선박 객실 비상탈출장치
JP6731133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711427B1 (ko) 비상탈출장치
KR20180067929A (ko) 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JP564575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7137162A (ja) エレベータ用のかご上機器防水システム
KR101836470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
JP6731285B2 (ja) 消火栓装置、消火器箱
KR101708053B1 (ko) 차량용 도어의 열림각 고정 장치
JP200614341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JP201504466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手摺
JP5757589B2 (ja) エレベータの煙感知器点検口
KR101772714B1 (ko) 승강기 설비를 위한 서비스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