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606B1 -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606B1
KR101941606B1 KR1020180097005A KR20180097005A KR101941606B1 KR 101941606 B1 KR101941606 B1 KR 101941606B1 KR 1020180097005 A KR1020180097005 A KR 1020180097005A KR 20180097005 A KR20180097005 A KR 20180097005A KR 101941606 B1 KR101941606 B1 KR 10194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ne dust
support
sound absorbing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숙희
Original Assignee
권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숙희 filed Critical 권숙희
Priority to KR102018009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606B1/ko
Priority to PCT/KR2019/010288 priority patent/WO20200404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하는 중앙부에 설치되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 설치되는 몸체프레임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판 및 미세먼지 필터를 설치하고, 또한 몸체프레임 상부측에 엘이디(LED) 장치를 구성하는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 필터를 통해 차량 주행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엘이디 장치의 집광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주변을 엘이디를 이용해 밝게 조사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A Median strip with Solar device between a Supporting stand}
본 발명은 차량이 교행하는 중앙부에 설치되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 설치하는 몸체프레임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판 및 미세먼지 필터를 설치하고, 또한 몸체프레임 상부측에 엘이디(LED) 장치를 구성하는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 필터를 통해 차량 주행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엘이디 장치의 집광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주변에만 엘이디를 조사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행선과 하행선을 구분시켜 주며, 상하행선의 차량이 교행 중에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동시에 안전 운행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중앙분리대는 야간 도로 주행시 상대편 차선의 차량에서 발생되는 빛이 운전자의 시야에 장애를 초래하는 것을 막아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운행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자동차의 교통 안전을 위하여 도로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방호 시설물의 역할을 한다.
종래의 중앙분리대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전조등의 불빛을 반사시켜 자동차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분명하게 확인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중앙분리대의 지지대 상부측에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집광장치를 설치, 운전자에게 도로의 중앙분리대임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야간이나 악천후시 운전자에게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반사판은 반사 물질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 교체하는 과정에서는 통행이 수시로 제한됨으로 교통체증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을 발하는 집광장치는 중앙분리대의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지지대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규모가 매우 작고 조도가 미미하며 성능이 약해 통행하는 자동차 운전자가 쉽게 인식하지 못하고, 또한 가로등의 조명빛을 강하게 하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중앙분리대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02810호의 '도로용 중앙분리대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고, 종래의 상기 도로용 중앙분리대 설치 구조에는 가드레일 상단부에 흡음재가 구비되는 차광벽이 설치되어 있어 교행하는 차량 사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여 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된 차광벽은 설치가 복잡하고 분리가 어려워 수리 및 교환 정비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도로에는 차량 주행에 의해 노면과 타이어 마찰에 의해 다량의 타이어분진이 발생되고,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미세먼지, 매연가스 등 인체에 해로운 각종 유해물질이 부유되기 때문에 운전자 및 탑승객의 건강을 해쳐 쾌적한 도로환경에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0594893호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도로상의 먼지제거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나, 이 장치는 공기를 정화하는 물날개가 아크형선형노즐에 의해 납작한 원호형상의 날개모양으로 형성되고 물분배원판에 의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태양기어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402810 (등록번호) 2005.11.30. KR 10-0594893 (등록번호) 2006.06.22. KR 10-2010-0127610 (공개번호) 2010.12.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에 그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판을 설치하여,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흡음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흡음판이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에 그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필터를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을 설치하고 그 상부측에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여 엘이디(LED) 장치의 집광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주변에만 엘이디를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차량 주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집광장치가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에 구비되는 엘이디(LED) 장치의 LED등이 구동수단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 범위를 중앙분리대의 좌우 양측으로 넓혀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통행 안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의 집광부 상부측으로 집광덮개부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집광부의 집광소자에 먼지나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나 공기에 의한 청소에도 태양광 집광부에 손상이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분리대에 구비되는 집광장치가 다양한 도로 상황에 맞게 가장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집광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집광장치의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에 그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흡음판과 미세먼지필터 및 엘이디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설치 및 보수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저렴한 설치 비용을 통해 경제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의 하나의 지지대(101)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101')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광 집광소자(111a)가 다수개 연결되는 집광모듈(111)로 이루어지는 집광부(110)와;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면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집광부(110)를 보호하는 집광덮개부(120);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양단부를 각각 설치 고정하는 몸체프레임(1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프레임(130)는 중앙분리대의 지지대(101)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일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타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2몸체부(13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는 서로 동일한 좌우 대칭 형상으로 되며, 다단의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각각 고정 지지되는 절곡설치부(131)와,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하향절곡부(132), 및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이면과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면서 LED장치(140)와 흠음판(150) 또는 LED장치(140)와 미세먼지필터(190)가 배치되는 이격공간부(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기 절곡설치부(131)는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상부절곡부(131a)와, 상기 상부절곡부(131a)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부(11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중부절곡부(131b), 및 상기 중부절곡부(131b)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홈통부(134)와 전기라인이 설치되는 설치통로부(135)가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하부절곡부(131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집광덮개부(120)를 안착하여 고정되는 상부보조플레이트(136)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하부측을 조사(照射)하는 LED장치(14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LED장치(140)는 일단부가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측벽부에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슬롯홈(133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슬롯홈(133a)과 대향되는 상기 하부절곡부(131c)의 상기 세로벽부(131ca) 이면에 구비되는 상기 중부절곡부(131b)의 가로벽부(131ba) 하면부와 상기 세로벽부(131ca)의 상단 이면에 구비되는 돌기플레이트(131cb)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슬롯홈(133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LED설치플레이트(141)와,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다수개의 LED소자가 설치되는 LED판(142),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양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설치브라케트(143), 및 상기 LED판(142)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을 정역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44)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절곡부(131a)를 형성하는 가로벽부(131ab)에는 상기 집광부(110)의 상기 모듈프레임(112)를 고정하는 다수 개의 고정장치(138)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장치(138)는 상기 가로벽부(131ab)의 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중심축나사(138a)과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록킹레버(138b) 및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가로벽부(131ab)는 상기 세로벽부(131aa)와 직각보다 더 큰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집광덮개부(120)와 상기 집광부(110) 사이는 이들이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공간부(S)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이격공간부(133)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부공간부에는 히터와 팬으로 구성되는 드라이장치(16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드라이장치(16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상기 공간부(S)로제공하는 다수개의 통풍구(161)가 형성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차량 교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판(150)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되되, 상기 흡음판(150)은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흡음슬라이딩부(151)와, 상기 흡음슬라이딩부(151)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차량 교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 저감시키는 흡음부(152)로 구성되고, 상기 미세먼지필터(190)는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와, 상기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에 하향 고정 설치되어 차량 주행중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 저감시키는 필터부(192)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LED장치(140)와 상기 흡음판(150) 및 상기 미세먼지필터(190)의 길이는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음판(150)과 상기 미세머니필터(190) 및 상기 LED장치(140)는 상기 이격공간부(133)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측에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보조브라케트(1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케트(170) 사이에는 상기 집광부(110)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지(180)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측에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보조브라케트(170)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브라케트(170)는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에서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LED장치(140)와 흠음판(150) 또는 상기 LED장치(140)와 미세먼지필터(190)는 상기 이격공간부(133) 내에서 위치가 가변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흠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이격공간부(133)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되, 지지대와 다른 지지대 사이에서 1번 이상 절곡된다.
본 발명의 상기 보조브라케트(170)에는 판 형상의 고정브라케트(20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케트(200) 하면에는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가 부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고정브라케트(200)의 하부에는 상기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양측면에서 고정하는 한번 이상 굴곡진 고정대(205)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판을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여,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필터를 지지대 사이에 설치하여 차량 주행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운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 상부측에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여 엘이디(LED) 장치의 집광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주변에만 엘이디를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차량 주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에 구비되는 엘이디(LED) 장치의 LED등이 구동수단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성하여 LED조명 범위를 중앙분리대의 좌우 양측으로 넓혀 조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통행 안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의 집광부 상부측으로 집광덮개부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집광부의 집광소자에 먼지나 이물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이나 공기에 의한 청소에도 태양광 집광부에 손상이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에 구비되는 집광장치가 다양한 도로 상황에 맞게 가장 많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도록 집광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태양광 집광장치의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하는 몸체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몸체프레임에 그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흡음판과 미세먼지필터 및 엘이디장치가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설치 및 보수의 편의성을 높이는 동시에 저렴한 설치 비용을 통해 경제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가 구비된 도로의 개략적인 상태도(a)와 단면도(b)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개략적인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분리 사사상태도이고,
도 4와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좌측 및 우측 상태단면도(a,b)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하부에 보조브라케트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도 및 보조브라케트가 일측에 구비되면서 집광부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도(a,b)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하부 양측에 삽입 설치된 LED장치의 사시상태도와 분리사사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하부 양측에 삽입 설치된 LED판이 회전되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몸체프레임 내부에 흠음판 및 미세먼지 필터가 삽입 설치된 개략적인 상태도(a) 및 흠음판 및 미세먼지 필터의 개략적인 부분 절개사시도(b)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집광부와 집광덮개부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집광부가 고정장치에 의해 탄성적으로 설치 고정되는 요부 상태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에 내장형으로 축전지가 설치된 상태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집광부에 흡음판과 미세먼지 필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집광부에 흡음판과 미세먼지 필터가 결합된 다른 실시예에서 결합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100)는 도 1 내지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101)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101')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광 집광소자(111a)가 다수개 연결되는 집광모듈(111) 및 상기 집광모듈(111)을 수납 지지하는 모듈프레임(112)으로 이루어지는 집광부(110)와;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면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집광부(110)를 보호하는 집광덮개부(120);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양단부를 각각 설치 고정하는 몸체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프레임(130)은, 중앙분리대의 지지대(101)의 상단부 일측에서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101')의 상단부의 일측까지 설치되면서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일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타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2몸체부(13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는 서로 동일한 좌우 대칭 형상으로 되며, 다단의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단부가 각각 고정 지지되는 절곡설치부(131)와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하향절곡부(132) 및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이면과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면 사이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격공간부(133)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교행하는 중앙분리대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전조등의 불빛을 반사시켜 자동차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분리대를 분명하게 확인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중앙분리대의 지지대 상부측에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집광장치를 설치, 운전자에게 도로의 중앙분리대임을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야간이나 악천후시 운전자에게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분리대에 구비되는 지지대 상단부는 그 면적이 그리 넓지 않아 설치된 집광수단의 면적이 적고 이로 인하여 집광수단으로 발생된 전기의 양이 적어 사용할 수 있는 분야가 조그마한 LED 등을 발광하는 정도여서 운전자에게 별 도움을 주지 못하는 관계로 설치와 이용분야에 한계가 있다. 또한 중앙분리대에는 설치 및 보수가 복잡한 흡음판이 구비되어 있어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재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도로의 중앙선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는 지지대(101)의 상단부와 연속적인 다른 지지대(101')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몸체프레임(130)을 설치하여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태양광을 집광하는 상기 집광부(110)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의 집광 면적을 크게 하여 전기 생산의 실용성을 더욱 높인 것이다. 상기 몸체프레임(130)은 지지대(101)의 상단부의 반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른 지지대(101')의 상단부의 반까지 위치하며, 마지막에 위치하는 지지대(101)는 상단부 전체에 설치된다.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기 절곡설치부(131)는 그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상부절곡부(131a)와, 상기 상부절곡부(131a)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부(11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중부절곡부(131b), 및 상기 중부절곡부(131b)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홈통부(134)와 전기라인이 설치되는 설치통로부(135)가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하부절곡부(131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집광덮개부(120)를 안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구멍(136a)이 형성되는 상부보조플레이트(136)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절곡부(131c)의 세로벽부(131ca)에는 상부측이 상기 물홈통부(134)가 되고 하부측이 상기 설치통로부(135)가 되도록 하는 하부보조플레이트(13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보조플레이트(137)의 단부는 상기 물홈통부(134)에 고이는 물이 양단부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상부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하단을 형성하는 가로벽부(131ab)에는 상기 집광부(110)의 상기 모듈프레임(112)를 고정하는 고정장치(138)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가로벽부(131ab)는 상기 세로벽부(131aa)와 직각보다 더 큰 각도의 범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장치(138)는 상기 가로벽부(131ab)의 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중심축나사(138a)과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록킹레버(138b) 및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138)는 스프링레버식 고정장치이며 이를 통해 상기 집광부(110)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부절곡부(131b)의 가로벽부(131ba)에 상기 집광부(110)를 안착시킨 다음 상기 가로벽부(131ab)에 구비된 상기 고정장치(138)의 상기 록킹레버(138b)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록킹레버(138b)의 일측이 상기 집광부(110)의 상기 모듈프레임(112)을 탄성적으로 고정 지지하고 상기 록킹레버(138b)의 타측은 상기 가로벽부(131ab)에 지지되면서 상기 집광부(110)가 상기 중부절곡부(131b)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중부절곡부(131b)의 가로벽부(131ba)에 상기 집광부(110)를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집광부(110)는 수평으로 놓여지게 되고,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가로벽부(131ab)는 상기 집광부(110)의 수평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어, 상기 가로벽부(131ab)의 경사면에 구비된 상기 록킹브라케트(138b)를 상기 집광부(110)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집광부(110)의 수평부에서 상부측으로 들려지게 되는데 이때 탄성스프링이 상기 록킹브라케트(138b)를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당겨 지지시켜줌으로써 상기 집광부(110)가 상기 중부절곡부(131b)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하면 모서리부에는 상기 상부보조플레이트(136)의 상기 설치구멍(136a)에 삽설되는 고정돌기(121)가 다수개 형성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집광덮개부(120)를 상기 상부보조플레이트(136)에 그 양단부의 하부 모서리부를 상치시키면서 상기 고정돌기(121)를 상기 설치구멍(136a)에 삽설하여 주면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상기 상부보조플레이트(136)에 견고하게 수평으로 고정 설치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상면부에 구비되는 상면판(122)은 유리나 투명플라스틱으로 설치되며 상기 집광부(110)의 상기 집광소자(111a)들이 연결 설치되는 사이의 라인에 대향되는 부위에 칼라가 인쇄되어 외부에서 상기 집광소자(111a)들이 연결되는 라인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광덮개부(120)는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면서 설치된다.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측으로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S)의 크기는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세로벽부(131aa)에 구비되는 상기 상부보조플레이트(136)의 설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S)는 상기 집광덮개부(120)와 상기 집광부(110) 사이에 공기를 소통시킬 수 있어 상기 집광모듈(111)의 과열과 김서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하부절곡부(131c)의 상기 하부보조플레이트(137)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설치통로부(135)의 측면 개방부에는 커버플레이트(139)가 설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플레이트(139)를 통해 상기 설치통로부(135)에 설치되는 각종 전선 등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측벽부에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슬롯홈(133a)이 형성 구비되고, 상기 제1슬롯홈(133a)과 대향되는 상기 하부절곡부(131c)의 상기 세로벽부(131ca) 이면에는 상기 중부절곡부(131b)의 가로벽부(131ba)의 하면부와 상기 세로벽부(131ca)의 상단 이면에 구비되는 돌기플레이트(131cb)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슬롯홈(133b)이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하부측 도로 바닥면을 조사(照射)하는 LED장치(140)와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판(150) 및 차량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미세먼지를 흡수 저감시키는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LED장치(140), 흡음판(150), 미세먼지필터(190)는 모든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중앙분리대의 지지대(101)와 연속적으로 배치된 다른 지지대(101') 사이의 길이는 3.5m ~ 4.5m에 이르며, 이와 같이 긴 지지대 사이 일부에는 LED장치(140)가 배치되고, 나머지 공간에는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연이어 배치하여 차량의 운전을 가이드하면서 주행 중에 발생되는 소음과 미세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하나의 지지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LED 장치(140)와 같이 한꺼번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를 하나의 지지대 사이(지지대와 연속하는 다른 지지대)와 연속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지지대 사이에 LED 장치(140), 흡음판(150), 미세먼지필터(190)를 모두 설치할 수도 있고, 흡음판(150)와 미세먼지필터(190)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흡음판(150)와 미세먼지필터(190)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지지대 사이에는 흡음판(150)을 설치하고, 그 옆의 지지대 사이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설치하여 지지대 사이의 충분히 넓은 공간에 흡음판(150) 및 미세먼지필터(190)를 충분히 넓게 설치하여 흡음의 효과와 미세먼지제거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LED 장치(140)의 하부까지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 부분을 절곡 연장시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전범위에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가 슬라이딩되는 부분(151, 191)을 제외한 흡음부(152)와 필터부(192)를 LED 장치(140)의 하부쪽으로 연장시켜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전범위에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되도록 하며,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의 가장자리를 지지대와 결합시키고,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의 하단부를 지면에 고정시켜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풍력에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는 이미 그 구성이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와 같은 슬라이딩부(151, 19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곡시켜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를 지지대 사이의 전범위에 설치시킬 수 있으므로 LED 장치(140)와 관계가 보다 유연해질 수 있다. 즉, LED 장치(140)를 지지대 사이의 가장자리, 가운데 중 어느 곳에 설치할 수 있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구역에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설치할 수 있다. LED 장치(140)가 지지대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하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2곳에서 절곡되어 지지대 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대 사이의 전범위에 설치되며, LED 장치(140)가 지지대 사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1곳에서 절곡되어 먼 위치의 지지대 쪽으로 연장되어 지지대 사이의 전범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LED 장치(140),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의 가변적인 설치 위치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로의 급격한 경사, 굽이, 그늘 등의 상황에서 LED 장치(140)의 위치를 가변시키며 필요에 따라 운전자에게 최적의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몸체프레임(130)은 철금속, 비철금속, 플라스틱, 합성목재 중 어느 하나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외부에 적절한 색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LED장치(140)는 일단부가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슬롯홈(133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LED설치플레이트(141)와,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다수개의 LED소자가 설치되는 LED판(142),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양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설치브라케트(143), 및 상기 LED판(142)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을 정역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44)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LED장치(140)는 그 길이가 상기 몸체프레임(130) 길이의 절반보다 작아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이격공간부(133)의 좌측이나 중간 또는 우측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44)는 일측의 모터구동축이 상기 LED판(142)에 연결 고정되는 브라케트(142a)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설치브라케트(143)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LED판(142)에는 조명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 다수의 상기 LED판(142)을 순차적으로 소등 및 점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원격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될 수 있도록 통합제어부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거리에서 접근할 경우 주행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LED판(142)이 점등되고 차량이 근거리로 접근할 경우에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LED판(142)이 소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LED장치(140)는 상기 구동모터(14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LED판(142)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모터(144)에 의해 상기 LED판(142)이 상기 이격공간부(133)의 내부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그 LED조명의 조사범위를 넓혀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LED장치(140)는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여 수리 및 교체가 간편하다. 또한, LED 장치(140)의 길이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설치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여 설치 장소의 주변 환경에 맞게 위치시켜 조명을 조사할 수 있고,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와도 그 위치를 다양하게 바꾸어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지지대(101) 옆에 LED장치가 있고, 타측의 지지대(101') 옆에 미세먼지필터(190)를 두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의 중앙에 흡음판(150)을 배치할 수도 있고, LED 장치(140)를 지지대(101)와 타측의 지지대(101')의 중앙에 위치시키고, LED 장치(140)의 좌우측에 각각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를 위치시킬수도 있다. LED장치(140)과 흡음판(150) 및 미세먼지필터(190)는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미도시)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고정장치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LED장치(140)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을 따라 이동하면서 LED조명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고 또 상기 구동모터(144)에 의해 상기 LED판(14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LED조명의 조사 범위를 넓혀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LED장치(140)가 상기 이격공간부(133)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딩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이동장치(미도시)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도 있다.
상기 LED장치(140)는 구동모터에 의한 방향전환으로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로 하면서도 도로 중앙분리대의 위치 확인을 명확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차량의 불빛을 받으면 점등시키고 일정 시간 후에 소등하게 하여, 차량이 멀리 있을 때에 점등시키고, 근접할 때에 소등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눈부심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조도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 불빛이 없어도 차량의 이동을 미리 판단하여 차량의 이동에 따라 점등시키고 차량이 근접할때에 소등시켜 운전을 보조할 수 있다. 이러한 LED 장치(140)는 차량이 많은 고속도로는 물론이고 차량이 적은 국도에서도 크게 유용하다.
특히, LED 장치(140)는 흡음판(150)이나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조사 방향을 반대편 도로쪽으로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반대편 도로쪽으로 LED 빛이 조사되므로 LED장치가 설치된 도로 진행방향은 물론 LED장치(140)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편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도 시야방해를 하지 않으며, 흡음판(150)이나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된 곳에서는 흡음판(150)이나 미세먼지필터(190)에 의하여 방현효과가 발생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보호한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판(150)이 더 설치되며, 상기 흡음판(150)은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T'형상의 흡음슬라이딩부(151)와 상기 흡음슬라이딩부(151)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부(15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음슬라이딩부(151)는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흡음부(152)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측으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필터(190)이 더 설치되며, 상기 미세먼지필터(190)는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T'형상의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와 상기 미세만지슬라이딩부(191)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 주행중에 발생되는 각종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필터부(19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는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필터부(192)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측으로 연결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몸체프레임(130)인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부공간부에는 히터와 팬으로 구성되는 드라이장치(1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드라이장치(16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유입되어 상기 집광부(110)와 상기 집광덮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S)의 결로나 김서림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통풍구(161)가 형성 구비되어 있다.
집광부와 집광덮개부 사이에 간격이 좁을수록 이러한 결로 또는 김서림 제거가 어렵고 오래 지속된다. 본 발명은 집광부와 집광덮개부 사이의 간격이 커서 이들 사이에 통풍구(16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들 통풍구로 공기를 인입시켜 결로 또는 김서림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팬과 히터로 구성된 상기 드라이장치(160)는 팬을 회전시켜 공기를 이동시키고, 히터를 통과하면서 더운 공기로 변환되어 통풍구로 보내진다. 이때 드라이장치(160)는 하나의 이격공간부(133)에 1개만 마련하고, 더운 공기가 이동하여 통풍구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공간부(S)에 습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습도센서가 일정 이상 될 때에 상기 드라이장치(160)가 서로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집광부(110)와 상기 집광덮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공간부(S)에서 외부와의 온도차 또는 안개 등으로 생성되는 결로는 상기 통풍구(161)를 통해 상기 드라이장치(160)의 송풍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측에는 중앙분리대의 시설물을 지지하여 고정하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보조브라케트(1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케트(170) 사이에는 상기 집광부(110)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지(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축전지(180)는 보조브라케트(170) 사이에 설치(일명 '내장형')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집광부(110)에서 생성되는 전력은 상기 축전지(180)에서 축적하여 상기 LED장치(140) 등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 중 어느 일측 하부측에는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에 설치되는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관덮개부(120)가 태양측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높이 조절용 보조브라케트(170)가 일측에 더 구비되거나 타측에서 배제된다. 보조브라케트(170)가 일측에만 있고, 타측에는 없도록 하여 집광부(110)의 경사를 제공할 때에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지(180)가 내장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외장형으로 설치된다. 이때 축전지(180)는 흡음판 등과 같이 구비되어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 하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은 제1슬롯홈과 제2슬롯홈 사이에서 이동되며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외장형 축전지(180)도 이와 같이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 양측에 보조브라케트(170)를 설치하고 이들 내측으로 축전지(180)를 설치하여 내장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브라케트(170)는 어느 한쪽의 보조브라케트가 없거나 더 설치하여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설치 높이를 달리할 수 있고, 또한 어느 한쪽의 보조브라케트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설치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보조브라케트(170)는 모두 동일한 높이가 아니며 다양한 높이를 갖도록 제작하여 중앙분리대의 현장의 설치 여건 및 태양의 방향과 위치에 따라 적절한 높이의 보조브라케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보조브라케트 사이에 축전지(180)가 인입될 공간이 있으면 내장형으로, 축전지가 인입될 공간이 없으면 외장형으로 설치한다.
상기 보조브라케트(170)는 상단부측에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부슬롯(131ch)에 삽설되는 상부고정슬롯(171)이 구비되어 있고, 하단부측에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연결브라케트(102)의 설치슬롯(102a)에 삽설되는 하부고정슬롯(17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01)는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부(101a)와 상기 지주(101a)의 상단부에 삽설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설치부(101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1)는 상기 설치부(101b)를 상하 슬라이딩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간편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101b)의 폭이나 너비 등이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 그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브라케트(102)도 이에 대응하여 그 길이를 길게 또는 짧게 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용 슬라이더(미도시)가 더 상기 연결브라케트(102)의 내측으로 설치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브라케트(102)의 내측을 따라 길이 조절용 슬라이더를 삽설하여 이를 상기 연결브라케트(102)의 외측으로 당겨 주거나 내측으로 밀어 주어 그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브라케트(170)를 설치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1)는 상기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형으로 하여 원형이나 각형 등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 높이가 조절되지 않는 고정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도 13 및 14에 따르면, 제1몸체부(130a) 및 제2몸체부(130b)가 아닌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의 중앙에 흡음판과 미세먼지필터가 구비된다. 상기 제1몸체부 및 제2몸체부는 끝단부에서 지지대(101)와 결합되나 지지대가 없는 위치에서 제1몸체부(130a) 및 제2몸체부(130b) 사이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빈 공간에 흡음판 또는 미세먼지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다.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 사이의 중앙을 연장하면 지지대(101)가 있으며, 지지대 사이에는 빈 공간이 되므로 이러한 빈 공간에 여유가 있게 된다. 지지대(101) 상부면는 연결브라케트(102)의 설치슬롯(102a)이 마련되어 지지대와 결합되는 것처럼, 하부고정슬롯(172)에 끼워 삽입되는 고정브라케트(200)를 설치하고, 일정 간격마다 구비되는 볼트삽입공(201)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브라케트(200)와 하부고정슬롯(172)을 고정한다. 고정브라케트(200)는 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고정슬롯(172)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며,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케트(200)의 하면에는 걸림턱(203)이 구비되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가 끼움고정된다. 상기 걸림턱(203)은 ‘ㄱ’자 형상으로 되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의 상부 일측이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이때에 걸림턱(203)의 일측에는 고정핀(204)이 돌출되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과 결합되거나 힌지에 의하여 회전되는 레버가 마련되어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고정할수도 있다. 여기에서 흡음판(150)과 미세먼지필터(190)는 슬라이딩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딩부 없이 걸림턱(203)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쉽게 고정브라케트(200)와 부착되며, 먼지 또는 이물질이 고착되었을 경우 레버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거나, 고정핀(204)을 제거하여 고정브라케트와 분리하여 청소한 후 다시 부착할 수 있다.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지속적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므로 강한 풍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도로와 직접 결합하거나 또는 도 13과 같이 고정브라케트(200)의 하부에서 고정브라케트(200)와 결합된 고정대(205)와 양측에서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고정대(205)는 1번 이상 굴곡진 형상이며, 가운데가 내측으로 패인 중앙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으로 패인 중앙부와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을 연결하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을 양측면에서 고정한다. 이때 고정대(205)와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 사이에는 완충재 또는 와셔가 더 포함될 수 있고, 고정대의 끝단에서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눌러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지지대(기둥)와 지지대 상부면을 연결 설치되는 몸체프레임 내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흡음판 및 미세먼지 필터를 설치하고, 또한 몸체프레임 상부측에 엘이디(LED) 장치를 구성하는 태양광 집광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서로 교행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판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 필터를 통해 차량 주행으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줄여 도로의 주행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엘이디 장치의 집광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중앙분리대의 주변을 엘이디를 이용해 밝게 조사하여 차량 주행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100: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01:지지대 101a:지주부 101b:설치부
102:연결브라케트 102a:설치슬롯
110:집광부 111:집광모듈 111a:집광소자 112:모듈프레임
120:집광덮개부
130:몸체프레임 130a:제1몸체부 130b:제2몸체부
131:절곡설치부 131a:상부절곡부 131aa:세로벽부 131ab:가로벽부
131b:중부절곡부 131ba:가로벽부 131c:하부절곡부 131ca:세로벽부
131cb:돌기플레이트 131ch:하부슬롯 132:하향절곡부
133:이격공간부 133a:제1슬롯홈 133b:제2슬롯홈
134:물홈통부 135:설치홈통부 136:상부보조플레이트
136a:설치구멍 S:공간부
137:하부보조플레이트 138:고정장치 138a:중심축나사 138b:록킹레버
139:커버플레이트
140:LED장치 141:LED설치플레이트 142:LED판 142a:브라케트
143:설치브라케트 144:구동모터
150:흡음판 151:흡음슬라이딩부 152:흡음부
160:드라이장치 161:통풍구
170:보조브라케트 171:상부고정슬롯 172:하부고정슬롯
180:축전지
190:미세먼지필터 191:미세먼지슬라이딩부 192:필터부

Claims (15)

  1. 중앙분리대의 하나의 지지대(101)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101') 사이에 위치하며, 태양광 집광소자(111a)가 다수개 연결되는 집광모듈(111)로 이루어지는 집광부(110)와;
    상기 집광부(110)의 상부면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집광부(110)를 보호하는 집광덮개부(120);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양단부를 각각 설치 고정하는 몸체프레임(1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프레임(130)는 중앙분리대의 지지대(101)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일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의 타단부를 설치 고정하는 제2몸체부(13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는 서로 동일한 좌우 대칭 형상으로 되며, 다단의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각각 고정 지지되는 절곡설치부(131)와,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하향 절곡되는 하향절곡부(132), 및 상기 절곡설치부(131)의 이면과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면서 LED장치(140)와 흡음판(150) 또는 LED장치(140)와 미세먼지필터(190)가 배치되는 이격공간부(133)로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기 절곡설치부(131)는 상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상부절곡부(131a)와, 상기 상부절곡부(131a)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집광부(110)가 설치되는 'ㄴ'자 형상의 중부절곡부(131b), 및 상기 중부절곡부(131b)에 연이어 그 하부측에 형성되어 물홈통부(134)와 전기라인이 설치되는 설치통로부(135)가 구비되는 'ㄴ'자 형상의 하부절곡부(131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집광덮개부(120)를 안착하여 고정되는 상부보조플레이트(136)가 설치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하부측을 조사(照射)하는 LED장치(14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LED장치(140)는 일단부가 상기 하향절곡부(132)의 내측벽부에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슬롯홈(133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슬롯홈(133a)과 대향되는 상기 하부절곡부(131c)의 세로벽부(131ca) 이면에 구비되는 상기 중부절곡부(131b)의 가로벽부(131ba) 하면부와 세로벽부(131ca)의 상단 이면에 구비되는 돌기플레이트(131cb)에 의해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슬롯홈(133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설되는 LED설치플레이트(141)와,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하부측에 구비되면서 다수개의 LED소자가 설치되는 LED판(142),
    상기 LED설치플레이트(141)의 양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의 양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설치브라케트(143), 및
    상기 LED판(142)의 일단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LED판(142)을 정역회전되도록 하는 구동모터(144)로 구성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곡부(131a)를 형성하는 가로벽부(131ab)에는 상기 집광부(110)의 모듈프레임(112)를 고정하는 다수 개의 고정장치(138)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장치(138)는 상기 가로벽부(131ab)의 바닥면부에 고정되는 중심축나사(138a)과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록킹레버(138b) 및 상기 중심축나사(138a)에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가로벽부(131ab)는 상기 세로벽부(131aa)와 직각보다 더 큰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덮개부(120)와 상기 집광부(110) 사이는 이들이 상하 이격되어 설치되면서 공간부(S)가 형성 구비되고,
    상기 이격공간부(133)의 상부측에 구비되는 상부공간부에는 히터와 팬으로 구성되는 드라이장치(160)가 설치되며,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상부절곡부(131a)의 상기 세로벽부(131aa)에는 상기 드라이장치(160)에서 공급되는 바람이 상기 공간부(S)로제공하는 다수개의 통풍구(161)가 형성 구비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프레임(130)에 형성되는 상기 이격공간부(133)에는 차량 교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판(150) 및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미세먼지필터(190)가 설치되되,
    상기 흡음판(150)은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흡음슬라이딩부(151)와, 상기 흡음슬라이딩부(151)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차량 교행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 저감시키는 흡음부(152)로 구성되고,
    상기 미세먼지필터(190)는 상기 제1슬롯홈(133a)에 일단부가 삽설되고 상기 제2슬롯홈(133b)에 타단부가 삽설되어 상기 제1슬롯홈(133a)과 상기 제2슬롯홈(133b)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와, 상기 미세먼지슬라이딩부(191)에 하향 고정 설치되어 차량 주행중에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필터링 저감시키는 필터부(192)로 구성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장치(140)와 상기 흡음판(150) 및 상기 미세먼지필터(190)의 길이는 상기 몸체프레임(130)의 길이보다 작은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150)과 상기 미세먼지필터(190) 및 상기 LED장치(140)는 상기 이격공간부(133)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측에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보조브라케트(170)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케트(170) 사이에는 상기 집광부(110)에서 생성되는 전력을 축적하는 축전지(180)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측에는 상기 지지대(101)의 상부면과 연결 고정되는 보조브라케트(170)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브라케트(170)는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집광부(110) 및 상기 집광덮개부(120)가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상기 제1몸체부(130a)와 상기 제2몸체부(130b)의 하부에서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개수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장치(140)와 흠음판(150) 또는 상기 LED장치(140)와 미세먼지필터(190)는 상기 이격공간부(133)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3. 제1항에 있어서,
    흠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는 이격공간부(133)에서 하부로 길게 형성되되, 지지대와 다른 지지대 사이에서 1번 이상의 절곡이 있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케트(170)에는 판 형상의 고정브라케트(200)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브라케트(200) 하면에는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가 부착되는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케트(200)의 하부에는 상기 흡음판(150) 또는 미세먼지필터(190)를 양측면에서 고정하는 한번 이상 굴곡진 고정대(205)가 구비된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20180097005A 2018-08-20 2018-08-20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194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05A KR101941606B1 (ko) 2018-08-20 2018-08-20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PCT/KR2019/010288 WO2020040472A1 (ko) 2018-08-20 2019-08-13 거치프레임에 구비되는 태양광 집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05A KR101941606B1 (ko) 2018-08-20 2018-08-20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606B1 true KR101941606B1 (ko) 2019-04-12

Family

ID=6616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005A KR101941606B1 (ko) 2018-08-20 2018-08-20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84B1 (ko) * 2019-04-22 2019-10-16 권숙희 거치프레임에 구비되는 태양광 집광장치
CN112813887A (zh) * 2021-03-09 2021-05-18 湖州力卓机械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山区弯道用防撞墩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810Y1 (ko) 2005-09-07 2005-12-06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도로용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KR100587416B1 (ko) * 2006-03-15 2006-06-08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594893B1 (ko) 2006-03-29 2006-06-3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도로상의 먼지제거장치
JP2010501742A (ja) * 2006-08-18 2010-01-21 ナム パク,シン 太陽光を利用した安全灯が付加された道路の中央分離帯の遮光幕
KR100972598B1 (ko) * 2008-01-15 2010-07-28 정종상 방음 펜스
KR20100127610A (ko)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에스엠케이에너지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식별장치
KR20140127933A (ko) * 2013-03-29 2014-11-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차광시 전력 손실을 줄이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623803B1 (ko) * 2015-11-17 2016-05-24 (주)우하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101704588B1 (ko) * 2016-05-19 2017-02-08 주식회사 이엠테크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810Y1 (ko) 2005-09-07 2005-12-06 (주)한국해외기술공사 도로용 중앙분리대 설치구조
KR100587416B1 (ko) * 2006-03-15 2006-06-08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594893B1 (ko) 2006-03-29 2006-06-30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도로상의 먼지제거장치
JP2010501742A (ja) * 2006-08-18 2010-01-21 ナム パク,シン 太陽光を利用した安全灯が付加された道路の中央分離帯の遮光幕
KR100972598B1 (ko) * 2008-01-15 2010-07-28 정종상 방음 펜스
KR20100127610A (ko)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에스엠케이에너지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식별장치
KR20140127933A (ko) * 2013-03-29 2014-11-05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차광시 전력 손실을 줄이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방법
KR101623803B1 (ko) * 2015-11-17 2016-05-24 (주)우하 발광 기능을 갖는 펜스
KR101704588B1 (ko) * 2016-05-19 2017-02-08 주식회사 이엠테크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84B1 (ko) * 2019-04-22 2019-10-16 권숙희 거치프레임에 구비되는 태양광 집광장치
CN112813887A (zh) * 2021-03-09 2021-05-18 湖州力卓机械设备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山区弯道用防撞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755B1 (ko)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가드레일
KR101817547B1 (ko) 도로 안내등이 구비된 가드레일용 태양광 거치대
EP0273353B1 (en) Automotive headlight of projector type
KR101941606B1 (ko)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EP0574359B1 (en) Street-lamp with fog lighting device
JP3958518B2 (ja) 太陽光発電装置付き防雪柵
CN215833606U (zh) 激光雷达除尘防雨雪装置及无人驾驶汽车
KR20150069208A (ko) 공기 질 개선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방음벽
KR101973757B1 (ko) 엘이디 및 거치프레임이 구비된 태양광 집광장치
CN114991537A (zh) 一种城市大脑用交通站台
KR101990124B1 (ko) 전기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시설
CN215669141U (zh) 一种市政工程弯道镜
CN114584719A (zh) 交通高速路段车辆识别led红外补光装置
CN204455914U (zh) 一种方便携带的隔离墩
CN2260818Y (zh) 道路遮光隔离护栏
CN203410370U (zh) 新型汽车后视镜装置
CN219931766U (zh) 一种市政公交站牌
CN214939649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交通安全护栏
US20140118833A1 (en) Anti-blind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2565457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낮은 조명용 브라켓
KR102536374B1 (ko) 공기정화 방음벽
CN220038258U (zh) 一种新型防眩晕补光灯
CN210485587U (zh) 一种大卡车专用远近转向一体车灯
CN112178534B (zh) 一种组合式路灯的灯杆结构
CN210827206U (zh) 一种市政施工建设用路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