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74B1 - 공기정화 방음벽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74B1
KR102536374B1 KR1020200172006A KR20200172006A KR102536374B1 KR 102536374 B1 KR102536374 B1 KR 102536374B1 KR 1020200172006 A KR1020200172006 A KR 1020200172006A KR 20200172006 A KR20200172006 A KR 20200172006A KR 102536374 B1 KR102536374 B1 KR 10253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oundproof wall
main body
ai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2266A (ko
Inventor
구본웅
Original Assignee
구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웅 filed Critical 구본웅
Priority to KR102020017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8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정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생성하는 매연 및 주행시 노면 마찰을 통해 발생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로에서 건축단지 사이에 흡음재가 구성된 벽면을 형성하여 차량의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은, 도로설치용 방음벽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평판형태의 주집진부가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는 돌출형성되고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필터부가 결합되는 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형성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집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 방음벽{Air Purification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정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생성하는 매연 및 주행시 노면 마찰을 통해 발생하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도로에서 건축단지 사이에 흡음재가 구성된 벽면을 형성하여 차량의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정화와 소음차단이 가능한 방음벽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평판형태의 주집진부가 결합되는 본체부가 벽면을 형성하고 전면부가 돌출형성되고 관통형상의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는 계단처럼 여러단을 이루어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배출부는 타공홀과 필터부를 형성하여 정화된 공기를 후면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정화 방음벽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건축단지 사이에 형성되는 방음벽은 단순하게 도로주변에 형성된 건물의 사용자들이 소음공해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매연과 도로로부터 유출되는 먼지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5880호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의 방음벽구조"는 흡음재와 정화부재를 구비하여 차도를 통행하는 차량의 소음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차량이나 도로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의 방음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방음벽을 지지하도록 지상과 지하에 타설되어 형성된 콘크리트기초에 하부를 매설하여 일정 간격마다 수직하게 설치되는 H빔과에 다수개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소음을 차단 및 흡수하고 차량으로부터 유출되는 공해물질을 정화시키는 다수의 방음블록을 끼우고 상부에 차량으로부터 상향의 여러 각도로 방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상단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음뿐만아니라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고 설치가 용이한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의 방음벽구조이다.
그러나,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의 방음벽구조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H빔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춰서 타설해야하고 해당 간격은 방음블록 및 정화부재의 크기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유동적인 설치가 힘들고 도로주변부의 특성상 하부의 많은 오염물질이 포집되어 하부의 정화부재를 통과해야하는 데 이에 대한 해결 및 보완부분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4588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와 본체부의 후면부에 타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헤파필터가 결합되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헤파필터는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한 입자를 대부분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 공기 중에 있는 0.3㎛ 크기 입자를 99.97% 이상 거를 수 있어 뛰어난 공기청정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로에서 건축단지에 형성되는 방음벽은 방음 및 차음만 가능하고 차량에서 나오면 매연과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여과없이 근거리에 위치한 건축단지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헤파필터 및 여러 집진장치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설치하여 소음과 공기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은, 도로설치용 방음벽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평판형태의 주집진부가 결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는 돌출형성되고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필터부가 결합되는 배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형성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집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 하측에 끼움결합되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일측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집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턱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단턱부는 형성된 상기 타공슬릿의 일측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슬릿돌출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도로에 설치되며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과 미세먼지를 방음벽속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관의 흡입구를 통해 미세먼지를 흡입하여 집진부의 정전기를 활용하여 집진판에 흡착후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과, 집진부를 통해 걸러진 공기를 헤파 필터를 통해 한번더 정화하는 기능을 통해 도로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방음벽 내에 원활한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면유리를 통해 들어온 빛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대류작용을 활용하기 위해서 하단에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를 배치하여 내부 온도를 높게 하고 높아진 온도로 인해 들어온 오염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며 정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된 본체부와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먼지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체부 후면부는 타공홀과 헤파필터가 형성되는 배출부가 설치되어 공기청정 효과를 가지게 된다. 헤파필터 및 여러 집진장치가 설치되는 방음벽을 설치하여 소음과 공기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후면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저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방음벽(1)은,
도로설치용 방음벽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11)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평판형태의 주집진부(23)가 결합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는 돌출형성되고 타공슬릿(21)이 형성된 단턱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홀(3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필터부(32)가 결합되는 배출부(30)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형성되는 흡입부(13) 및 상기 흡입부(13)와 배출부(30)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집진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정화 방음벽(1)은 자동차전용도로나 고속도로에서 주변 건축단지 사이에 설치되며 방음벽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분진과 미세먼지를 방음벽속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는 기설정된 높이까지 벽면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여 도로에서 나는 소음의 발산을 1차적으로 막아주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연장되며 도로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꺾이거나 굴곡을 가지는 상기 상부연장부(11)는 음파는 진원지에서 원구형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일자형태의 벽보다 상부가 도로를 덮는 듯하게 형성되면 차음효과가 뛰어나고 건물의 공층부를 향해 발산되는 소음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결합되는 상기 주집진부(23)은 공기 등의 유체는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입자가 큰 먼지 등의 물질은 정전기작용을 통해 달라 붙는 것이 가능하여 1차적으로 큰 입자를 흡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필터 등의 정화장치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는 도로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면부가 돌출형성되는 상기 타공슬릿(21)이 형성된 단턱부(2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부(20)는 상기 전면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부면이 평평하고 상부면이 기울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부(20)의 상부면에 길쭉한 구멍인 상기 타공슬릿(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공슬릿(21)은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입된 공기는 상기 주집진부(23)를 곧바로 만나는 것이 가능하여 큰 먼지 등이 제거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 및 상부연장부(11)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부(30)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는 상기 타공홀(31)이 관통형성되어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정화된 공기를 후면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30)의 내측면에 상기 필터부(32)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32)는 헤파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헤파필터는 공기를 흡입하여 미세한 입자를 대부분 걸러낼 수 있는 고성능 필터로, 공기 중에 있는 0.3㎛ 크기 입자를 99.97% 이상 거를 수 있어 뛰어난 공기청정 효과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출부(30)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본체부(10) 및 상부연장부(11)의 후면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결합된 필터 등의 정화부재 또는 각종 장치가 교체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할 때 분리하여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형성되는 상기 흡입부(13)는 공기를 원활하게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흡입부(13)와 배출부(30) 사이에 상기 보조집진부(14)를 설치하여 상기 흡입부(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보조집진부(14)에 큰 먼지 등이 흡착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필터부(32)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 하측에 끼움결합되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15)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납작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 하측에 형성되는 관통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광부(15)를 통해 햇빛이 통과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의 온도를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가 데워지면서 대류작용에 의해 상승하고 내부의 공기를 위쪽에 위치한 상기 배출부(30)의 필터부(32)를 거쳐 정화되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일측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집열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광부(15)를 통해 햇빛이 통과되어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의 온도를 상승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는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기 집열부(1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집열부(16)는 구리 등의 열전도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날씨가 흐리거나 햇빛이 상기 집열부(16)로 전달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열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열선을 구성하여 열전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광부(15)에서 들어오는 빛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기울기를 가지기 때문에 햇빛의 열을 빨리 받아 온도를 보다 빠르게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방음벽 내에 원활한 정화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투광부(15)를 통해 들어온 빛의 열에너지를 이용해 대류작용을 활용하기 위해서 하단에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를 배치하여 내부 온도를 높게 하고 높아진 온도로 인해 들어온 오염된 공기가 위로 올라가며 정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부(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차음부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음부재(24)는 하부가 굴곡 및 타공부가 형성되어 소리의 난반사를 이루어지게 하여 차음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성을 여러층으로 나누어 소리받는 재질에 따른 소리의 상쇄가 일어나 소음이 줄어드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음부재(24)를 상기 단턱부(20)의 외측하부면에 결합하여 아래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로의 차량은 상기 공기정화 방음벽(1) 및 단턱부(20)보다 낮은 위치에서 소리를 발산하기 때문에 하부면에 상기 차음부재(24)를 설치하는 것이 효율이 높으며, 공기의 유입을 막는 부분이 아니라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부의 어느 곳이는 상기 차음부재(24)를 부착하여 차음의 효과를 증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부(13)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팬(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체부(10)의 하부에 위치한 흡입부(13)의 일측에 상기 흡입팬(17)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흡입팬(17)은 상기 투광부(15) 및 집열부(16)에 의한 대류작용에 의해 순환하는 공기가 제대로 순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부방향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턱부(20)는 형성된 상기 타공슬릿(21)의 일측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슬릿돌출부(22)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릿돌출부(22)는 관통형상인 타공슬릿(21)의 상부가 전면으로 기설정된 길이을 가지며 돌출하여 비 또는 눈이 상기 타공슬릿(21)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소음이 반사하며 서로 상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차음효과에 도움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공기정화 방음벽
10 : 본체부
11 : 상부연장부
12 : 상부슬릿
13 : 흡입부
14 : 보조집진부
15 : 투광부
16 : 집열부
17 : 흡입팬
20 : 단턱부
21 : 타공슬릿
22 : 슬릿돌출부
23 : 주집진부
24 : 차음부재
30 : 배출부
31 : 타공홀
32 : 필터부

Claims (6)

  1. 도로설치용 방음벽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일측으로 기울기를 가지는 상부연장부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 평판형태의 주집진부가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는 돌출형성되고 타공슬릿이 형성된 단턱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부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필터부가 결합되는 배출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와 연통형성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집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전면부 하측에 끼움결합되는 평판형태로 이루어진 투광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일측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는 집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턱부는 형성된 상기 타공슬릿의 일측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슬릿돌출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방음벽.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방음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방음벽.
  6. 삭제
KR1020200172006A 2020-12-10 2020-12-10 공기정화 방음벽 KR10253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06A KR102536374B1 (ko) 2020-12-10 2020-12-10 공기정화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006A KR102536374B1 (ko) 2020-12-10 2020-12-10 공기정화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66A KR20220082266A (ko) 2022-06-17
KR102536374B1 true KR102536374B1 (ko) 2023-05-23

Family

ID=8226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006A KR102536374B1 (ko) 2020-12-10 2020-12-10 공기정화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42Y1 (ko) * 2000-11-23 2001-07-19 차일환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KR100864005B1 (ko) * 2008-05-07 2008-10-17 주식회사 상진기연 친환경 도로 파도형 탄소 방음판
KR101387392B1 (ko) * 2013-05-03 2014-04-24 이항복 난방용 건물외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12U (ja) * 1993-04-02 1994-10-28 株式会社オーティーオー技術研究所 大気浄化機能付防音塀
JPH09177041A (ja) * 1995-12-22 1997-07-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波透過型防音パネル
KR100645880B1 (ko) 2006-08-01 2006-11-1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의 방음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042Y1 (ko) * 2000-11-23 2001-07-19 차일환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KR100864005B1 (ko) * 2008-05-07 2008-10-17 주식회사 상진기연 친환경 도로 파도형 탄소 방음판
KR101387392B1 (ko) * 2013-05-03 2014-04-24 이항복 난방용 건물외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2266A (ko)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755B1 (ko)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가드레일
KR200472066Y1 (ko) 방음터널 환기 장치
KR101869420B1 (ko) 분진제거기능 패널을 결합한 형상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536374B1 (ko) 공기정화 방음벽
KR20130004423U (ko) 터널 환기 장치
KR102137580B1 (ko)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265917B1 (ko) 공기정화방음벽
KR101941606B1 (ko)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2449085B1 (ko) 터널 환경 개선을 위한 방음시설
KR100619632B1 (ko) 터널의 흡음 및 공기정화장치
KR102429547B1 (ko) 교통풍을 이용한 미세 먼지 제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펜스 및 방음벽
JP2007111614A (ja) 道路トンネル用電気集塵設備
KR102372484B1 (ko) 실외기용 공기정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정화 시스템
JP3560843B2 (ja) 車両走行路用ルーバーユニット
CN105007792A (zh) 真空吸尘器中用于减小噪音的装置
KR200436219Y1 (ko) 방음벽용 소음저감장치
KR20150069208A (ko) 공기 질 개선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방음벽
JP2001200511A (ja) 道路環境整備装置、道路構造体及び道路環境整備方法
JP3045992B2 (ja) 低濃度窒素酸化物除去装置
JP3486365B2 (ja) 車両走行路用ルーバーユニット
JP3576459B2 (ja) 車両走行路用ルーバーユニット
KR20220086765A (ko) 공기정화 기능을 가지는 방음터널
KR200369290Y1 (ko) 차단판이 설치된 방음벽
KR100709917B1 (ko) 소음흡수 효과가 뛰어난 도로용 분리대
KR102576426B1 (ko) 소음 흡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