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88B1 -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88B1
KR101704588B1 KR1020160061193A KR20160061193A KR101704588B1 KR 101704588 B1 KR101704588 B1 KR 101704588B1 KR 1020160061193 A KR1020160061193 A KR 1020160061193A KR 20160061193 A KR20160061193 A KR 20160061193A KR 101704588 B1 KR101704588 B1 KR 10170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olar cell
cell module
groove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6006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태양전지모듈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기 발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고, 나아가,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의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의 위치가 뒤바뀌더라도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으로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병렬연결 또는 최단길이의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직렬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Solar frames and railing installation structure provided for this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기 발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고, 나아가,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의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의 위치가 뒤바뀌더라도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으로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병렬연결 또는 최단길이의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직렬연결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광모듈을 이용하여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때, 상기 태양광모듈은 PN 접합반도체로 구성되어 태양광의 조사시 자유전자를 발생시켜 전기를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무한한 청정 에너지를 이용하면서도 시공이 간단하며 환경문제에 따른 설치제한에 영양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의 광원을 집광하는 태양광모듈이 지붕이나 벽, 바닥면 등의 설치용 프레임에 정해진 일정각도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며, 설치된 태양광모듈에는 태양광이 조사되어 태양광을 집광하고, 집광된 태양광을 발전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는 하루 중 집광효율이 최대치인 남중고도에서 집광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으며, 이에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남중고도에 따라 최적의 각도로 설치되어 태양전지모듈의 전기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10571호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기 발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고, 나아가,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의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의 위치가 뒤바뀌더라도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으로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고, 특히,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병렬연결 또는 최단길이의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직렬연결될 수 있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태양전지모듈의 일측이 안착되는 일측단차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일측단차홈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는 일측경사면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일측고정프레임과,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측이 안착되는 타측단차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타측단차홈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는 타측경사면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타측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과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일측경사면에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부가 개방된 일측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상기 타측경사면에서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부가 타측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일측단차홈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일측단차홈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타측단차홈의 타측 상부에 상기 타측단차홈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고정턱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단차홈과 상기 일측고정턱 사이 및 상기 타측단차홈과 상기 타측고정턱 사이에 태양전지모듈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단차홈과 상기 일측고정턱 사이 및 상기 타측단차홈과 상기 타측고정턱 사이에 접합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커버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상부면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고,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 하부면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며,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상부면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고,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 하부면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의 타측 하부 및 상기 타측고정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각각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일측하부 및 타측하부에 배수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구비한 난간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전기 발전량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로대 또는 수직대에 고정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의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이 연결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더라도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위치가 서로 뒤바뀐 상기 일측고정프레임과 타측고정프레임에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병렬연결 또는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각각 번갈아가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시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양(+)극과 음(-)극의 위치를 서로 각각 바꾸어가면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최단길이의 전선 등의 연결라인을 통해 직렬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측면도이고,
도 3은 태양전지모듈이 고정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가로대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고,
도 6은 고정프레임에 배수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커버프레임에 배수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고,
도 8은 태양전지모듈이 병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태양전지모듈이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구비된 난간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등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한번에 일체형으로 압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일측고정프레임(110)과 타측고정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상부에는 태양전지모듈의 일측이 안착되는 일측단차홈(111)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 하부면에는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예각(α1)을 이루는 일측경사면(112)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상부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의 타측이 안착되는 타측단차홈(121)이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좌우대칭되도록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 하부면에는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예각(α2)을 이루는 타측경사면(122)이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지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하부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과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을 연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보다 간편하게 설치 및 상기 고정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태양전지모듈이 상기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각각 일측고정턱(130)과 타측고정턱(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턱(1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단차홈(111)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턱(14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단차홈(121)의 타측 상부에서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태양전지모듈이 고정프레임에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광을 집광 또는 태양열을 집열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태양전지모듈(3)은 상기 고정프레임(10)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일측고정턱(130) 사이 및 상기 타측단차홈(121)과 상기 타측고정턱(140) 사이에 작업자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과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일측고정턱(130) 사이 및 상기 타측단차홈(121)과 상기 타측고정턱(140) 사이에 억지끼움고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가로대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고, 도 6은 고정프레임에 배수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 및 상기 연결프레임(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는 가로대(2)의 일측면에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경사면(112) 또는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경사면(122)이 면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로대(2)의 일측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도 6의 점선 화살표 참조.)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최적의 각도(β)로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전기 발전량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일측경사면(112)이 이루는 예각(α1)각도와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타측경사면(122)이 이루는 예각(α2)각도는 30°~ 60°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일측경사면(112)이 이루는 예각(α1)각도와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타측경사면(122)이 이루는 예각(α2)각도는 45°인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일측경사면(112)이 이루는 예각(α1)각도와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타측경사면(122)이 이루는 예각(α2)각도가 45°인 경우,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상부면과 상기 가로대(2)의 일측이 135°로 최적의 상하각도(β)를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더욱 용이하게 직교를 이룰 수 있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전기 발전량이 더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2)의 하부방향에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대(2)가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2)와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대(2)를 통과하는 바람에 대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강풍에 대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풍압성이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상기 가로대(2)와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대(2)를 통과하는 바람은 상기 연결프레임(20)의 하부면을 타고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일측에서 타측상부방향으로 이동(도 6의 실선화살표 참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로대(2)의 일측에 상기 고정프레임(10)이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내부에는 상기 일측경사면(112)에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단면형상이 'T'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측 끼움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내부에는 상기 타측경사면(122)에서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단면형상이 'T'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타측끼움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2)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로대(2)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어 상기 일측끼움홈(113) 또는 상기 타측끼움홈(123)내에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0)가 상기 일측끼움홈(113) 및 상기 타측끼움홈(123)과 대응되도록 'T'형상 등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일측끼움홈(113) 또는 상기 타측끼움홈(123) 내에 상기 끼움돌기(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상기 가로대(2)에 분리가능하게 전후슬라이딩결합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을 상기 가로대(2)의 일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일측끼움홈(113) 또는 상기 타측끼움홈(123) 내에 상기 끼움돌기(30)를 억지끼움고정시킬수도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이 반드시 상기 가로대(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대에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결합 또는 억지끼움고정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수직대에 상기 끼움돌기(30)가 상기 수직대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2) 또는 상기 수직대에 고정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의 일측고정프레임(110)과 타측고정프레임(120)이 연결프레임(20)을 기준으로 좌우대칭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되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과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더라도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위치가 서로 뒤바뀐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과 타측고정프레임(120)에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도록 최적의 각도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상기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타측단차홈(121)에 접합조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타측단차홈(121) 및 상기 일측고정턱(130)의 하부면 및 상기 타측고정턱(140)의 하부면에 실리콘 등의 접합제(50)가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프레임(40)이 각각 피스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일측 사이의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상부면(110a)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일측 사이의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하부면(110b)은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단차홈(121)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의 타측 사이의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상부면(120a)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단차홈(121)과 상기 연결프레임(20)의 타측 사이의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하부면(120b)은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이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부로 일부 유입된 빗물 등이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도 6의 점선화살표 참조.).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부 일측 또는 내부 타측에 고이는 빗물의 고임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하부 및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하부에 각각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구(150)가 상기 고정프레임(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되거나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커버프레임에 배수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40)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빗물이 배수되는 배수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프레임(4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부는 강풍 등의 바람에 대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의 내풍압성이 우수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버프레임(40)의 중간부에는 강풍 등의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태양전지모듈이 병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발생시킨 전기를 TV 등을 포함한 가전기기 등으로 작동에 적합한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7)와 연결되는 전선 등의 연결라인(8)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3)은 병렬연결될 수 있다.
전선 등의 상기 연결라인(8)은 상기 커버프레임(40)의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10)를 통과한 상태로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태양전지모듈이 직렬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각각 구비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을 각각 번갈아가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로 회전시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양(+)극과 음(-)극의 위치를 서로 각각 바꾸어가면서 복수의 상기 태양전지모듈(3)을 최단길이의 전선 등의 연결라인(8)을 통해 직렬연결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이 구비된 난간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구비된 난간(4)설치구조의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은 기존 난간(4)의 상기 가로대(2)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구비된 난간(4)설치구조는 일예로, 크게, 지지프레임(41), 상기 가로대(2)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1)의 일측에 상기 가로대(2)가 상기 지지프레임(4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가로대(2)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 본 발명인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구비된 난간(4)설치구조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지지프레임(41), 상기 가로대(2), 상기 수직대(5)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대(5)는 상기 지지프레임(4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어 상기 가로대(2)의 일측에 상기 가로대(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대(5)의 일측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상기 수직대(5)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대(5)의 상부는 상기 수직대(5)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대(5)의 상부에 상기 수직대(5)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끼움돌기(30)가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의 일측끼움홈(113) 또는 상기 타측끼움홈(123)이 수용된 상태로 상기 수직대(5)의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난간(4)에 구비되는 상기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상기 난간(4)전체를 가리지 않은 상태로 상기 난간(4)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난간(4)의 일측 외부의 환경이 가려질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난간(4)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10; 고정프레임, 20; 연결프레임.

Claims (10)

  1. 상부에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이 안착되는 일측단차홈(11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는 일측경사면(112)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일측경사면(112)에서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부가 개방된 일측끼움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고정턱(130)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일측이 상기 일측단차홈(111)과 상기 일측고정턱(130) 사이에 억지끼움고정된 상태로 접합제(50)에 의해 접합조립되고 타측 상부면(110a)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며 타측 하부면(110b)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일측고정프레임(110)과, 상부에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타측이 안착되는 타측단차홈(1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예각을 이루는 타측경사면(122)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타측경사면(122)에서 내부방향으로 함몰되는 하부가 개방된 타측끼움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타측 상부에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고정턱(140이 형성되며 상기 태양전지모듈(3)의 타측이 상기 타측단차홈(121)과 상기 타측고정턱(140) 사이에 억지끼움고정된 상태로 접합제(50)에 의해 접합조립되고 일측 상부면(120a)이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일측 하부방향으로 만곡형성되며 일측 하부면(120b)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타측고정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3)이 남중고도에 따라 태양빛과 직교를 이루면서 경사지도록 상기 일측끼움홈 (113)또는 상기 타측끼움홈(123)이 가로대(2)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끼움돌기(30)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과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구비되는 커버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상기 일측경사면(112)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상기 타측경사면(122)이 이루는 각도는 30°~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단차홈(111)의 바닥면과 상기 일측경사면(112)이 이루는 각도와 상기 타측단차홈(121)의 바닥면과 상기 타측경사면(122)이 이루는 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고정프레임(110)의 타측 하부 및 상기 타측고정프레임(120)의 일측 하부에 각각 배수구(1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40)의 일측하부 및 타측하부에 배수구(15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6. 지지프레임(41)의 일측에 가로대(2)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고정되고,
    상기 가로대(2)에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1)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61193A 2016-05-19 2016-05-19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KR10170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93A KR101704588B1 (ko) 2016-05-19 2016-05-19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193A KR101704588B1 (ko) 2016-05-19 2016-05-19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88B1 true KR101704588B1 (ko) 2017-02-08

Family

ID=5815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193A KR101704588B1 (ko) 2016-05-19 2016-05-19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332A (ko) 2017-02-23 2018-08-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1941606B1 (ko) * 2018-08-20 2019-04-12 권숙희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190088717A (ko) * 2018-01-19 2019-07-29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20200079126A (ko) * 2018-12-24 2020-07-02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EP3920411A4 (en) * 2020-02-17 2023-01-18 Hengdian Group DMEGC Magnetics Co., Ltd. SCREEN FOR PHOTOVOLTAIC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0872A (ja) * 2008-09-29 2010-04-08 Sharp Corp 太陽電池装置
KR20100110571A (ko) 2009-04-03 2010-10-13 정은교 태양광발전 효율증배 시스템
KR20110116419A (ko) * 2010-04-19 2011-10-26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태양전지 어레이
JP2015520306A (ja) * 2012-04-10 2015-07-16 シエル エ テ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Ciel Et Terre International 太陽光パネルの固定方法
KR20160012377A (ko) * 2014-07-24 2016-02-03 오계현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0872A (ja) * 2008-09-29 2010-04-08 Sharp Corp 太陽電池装置
KR20100110571A (ko) 2009-04-03 2010-10-13 정은교 태양광발전 효율증배 시스템
KR20110116419A (ko) * 2010-04-19 2011-10-26 에스케이디앤디 주식회사 태양전지 어레이
JP2015520306A (ja) * 2012-04-10 2015-07-16 シエル エ テ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Ciel Et Terre International 太陽光パネルの固定方法
KR20160012377A (ko) * 2014-07-24 2016-02-03 오계현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332A (ko) 2017-02-23 2018-08-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20190088717A (ko) * 2018-01-19 2019-07-29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2233075B1 (ko) * 2018-01-19 2021-03-29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1941606B1 (ko) * 2018-08-20 2019-04-12 권숙희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200079126A (ko) * 2018-12-24 2020-07-02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KR102181471B1 (ko) 2018-12-24 2020-11-23 한솔테크닉스(주)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EP3920411A4 (en) * 2020-02-17 2023-01-18 Hengdian Group DMEGC Magnetics Co., Ltd. SCREEN FOR PHOTOVOLTAIC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588B1 (ko) 태양전지모듈용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난간설치구조
US11894798B2 (en) Solar panel roof system with raised access panels
US20240120873A1 (en) Roof integrated solar power system with top mounted electrical components and cables
US9145685B2 (en) Panel mounting bracket for standing seam roof and related methods
US10033327B2 (en) Roof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 with a device capable of improving and optimizing photovoltaic efficiency
KR102233075B1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1902126B1 (ko) 태양광 발전 설비의 패널 고정장치
US20140182661A1 (en) Photovoltaic module frame with improved bondability
KR101616102B1 (ko) 태양광 발전모듈 설치방법
KR20160118880A (ko) 발열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모듈
KR101635562B1 (ko) 태양광 패널의 지지 구조물
KR101097975B1 (ko) 태양광 발전모듈의 고정장치
KR101501351B1 (ko) 태양광 발전용 기와
KR101823957B1 (ko) 지붕에 설치되는 비아이피브이 모듈
KR20070004223A (ko) 진동 흡수형 태양발전 프레임 지지장치
US8946542B1 (en) Solar module bonding method integrated into a pan structure
KR20150101202A (ko) 지붕판넬 상의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101096556B1 (ko) 태양광 모듈의 고정 구조
JP566609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322103B2 (ja) 太陽エネルギー変換モジュール一体型外装構造の排水構造
KR20150092463A (ko) 태양광전지 모듈 클램핑 장치
KR101936387B1 (ko) 기와 장착형 태양전지모듈
KR101598479B1 (ko) 개별설치가 가능한 발코니형 비아이피브이 모듈
KR102453120B1 (ko) 양면 수광형 태양전지모듈의 설치구조
KR102081387B1 (ko) 태양광모듈 설치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