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416B1 -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416B1
KR100587416B1 KR1020060024112A KR20060024112A KR100587416B1 KR 100587416 B1 KR100587416 B1 KR 100587416B1 KR 1020060024112 A KR1020060024112 A KR 1020060024112A KR 20060024112 A KR20060024112 A KR 20060024112A KR 100587416 B1 KR100587416 B1 KR 100587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ending
line
door
road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2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의 차량통행량 차이를 비교하여 차량통행량이 큰 곳에 위치한 소음유입구를 개방하도록 하고 반대편을 폐쇄하도록 하여 소음감쇄율과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상행선측도어(50) 및 하행선측도어(60)를 방음케이스(40)의 소음유입구(42)(44)에 각각 설치하여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 및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에 의해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단위시간당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한 후 양측의 차량통행량을 비교한 다음 차량통행량이 큰 곳에 위치된 소음유입구(42)(44)를 개방하고, 반대편 소음유입구(42)(44)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로,중앙분리대,통행량,공기정화,상행선,하행선,도어,제어부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Median strip with air cleanable and soundproof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도로의 하행선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도로의 상행선측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전체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행선측도어와 하행선측도어에 삽입되어 있는 고무립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a : 상행선 20b : 하행선
24 : 하판 24m,24n,27n : 핀구멍
27 : 상판 31,32,33,34,35,36 : 흡음필터
40 : 방음케이스 42,44 : 소음유입구
50 : 상행선측도어 51,52 : 상행선측힌지축
53 : 상행선측회동암 54,64 : 링크
55,65 : 웜휠 56,66 : 웜
57 : 상행선측모터 58 : 상행선측차량검출기
60 : 하행선측도어 61,62 : 하행선측힌지축
63 : 하행선측회동암 67 : 하행선측모터
68 : 하행선측차량검출기 70 : 제어부
72,74 : 모터구동부 L11,L12,L21,L22 : 리미트스위치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 중 차량통행량이 큰 곳의 소음유입구를 개방하고 차량통행량이 적은 곳은 폐쇄하도록 하여 소음감쇄율과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는 차선을 벗어난 차량이 반대편 차선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여 정면충돌로 인한 대형인명피해를 방지하고, 차량이 불법으로 U-턴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통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중앙분리대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지며,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길게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최근에는 콘크리트기초 위에 방음시설을 하거나 먼지제거를 위한 공기정화시설을 한 것이 개발되어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반대편 차선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고 대기오염물질을 도로에서 직접 정화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의 차량 통행량은 대부분의 경우 동일하지 않고 큰 편차를 보이게 되는데, 종래 중앙분리대에 적용된 방음시설이나 공기정화시설은 도로 양측에서 발생하는 소음발생량이나 대기오염물질의 발생량 차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건으로 흡음하고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음과 대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차량통행량이 많은 차선에서 차량통향량이 적은 차선으로 소음과 대기오염물질이 전파되어 도로 전체가 소음과 매연공해로 시달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 차량 통행량에 따라 흡음과 공기정화를 위한 통로를 가변적으로 적응제어 하도록 함으로써 소음감쇄율과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음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행선측도어 및 하행선측도어와, 상행선측도어와 하행선측도어 상하단에 설치되어 방음케이스의 상판과 하판에 각각 형성된 핀구멍에 끼워져 상행선측도어와 하행선측도어를 지지하는 상행선측힌지축 및 하행선측힌지축과, 상행선측힌지축과 하행선측힌지축에 설치되는 상행선측회동암 및 하행선측회동암과, 상행선측회동암과 하행선측회동암을 각각 연결하는 링크와, 상행선측힌지축과 하행선측힌지축에 각각 설치되는 웜휠과, 웜휠에 각각 맞물리는 웜이 모터축에 각각 설치된 상행선측모터 및 하행선측모터와,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에 각각 설치되어 상행선과 하행선의 단위시간당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상행선측차량검출기 및 하행선측차량검출기와, 상행선측차량검출기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로부터 검출되는 상행선과 하행선의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하여 양측의 차량통행량을 비교한 후 차량통행량이 큰 곳에 위 치된 소음유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방신호를 출력하고, 그 반대편의 소음유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도어개방신호와 되어폐쇄신호에 의해 상행선측모터와 하행선측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와, 링크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행선측도어와 하행선측도어의 개폐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입력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하여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기초(22) 위에 방음케이스(40)를 설치하며, 방음케이스(40)의 내부에는 흡음필터(31)(32)(33)(34)(35)(36)를 삽입한다.
여기서 방음케이스(40)는 중앙분리대기초(22) 위에 설치되는 하판(24)과, 하판(24)의 양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측판(25)(26)과, 측판(25)(26) 상단을 문형(門型)으로 가로지르는 상판(27)으로 구성되며, 상판(27)에는 커버(28)가 덮이고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벽(27c)(27d)을 형성한다.
이때 하판(24)과 측판(25)(26)의 조립은 측판(25)(26)의 하단부에 나사구멍(25k)을 형성하고, 하판(24)의 양단에 측판(25)(26)에 형성한 나사구멍(25k)과 일치하는 관통구멍(24k)을 형성한 다음 하판(24)의 저면에서 접시머리나사(29)를 관통구멍(24k)을 통해 삽입하여 측판(25)(26)에 형성된 나사구멍(25k)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하판(24)과 측판(25)(26)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하판(24)의 가장자리에 플랜지(24p)를 형성하여 중앙분리대기초(22)로부터 돌출된 앵커볼트(22b)를 플랜지(24p)에 형성된 구멍(24h)으로 삽입한 다음 너트(24n)로 고정한다.
또, 측판(25)(26)과 상판(27)의 결합은 측판(25)(26)의 상단에 나사구멍(25m)(26m)을 형성하고, 상판(27)의 코너부에 측판(25)(26)의 상단에 형성된 나사구멍(25m)(26m)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보스(27f)를 형성하여 상판(27)을 측판(25)(26) 상단에 걸친 후 커버(28)를 덮고 스크류(28s)로 조립한다.
또한, 흡음필터(31)(32)(33)(34)(35)(36)를 방음케이스(40) 내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하기 위해 방음케이스(40)의 하판(24)과 측판(25)(26) 및 상판(27)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홈(24a)(25a)(26a)(27a)을 형성하여 방음케이스(40)를 조립할 때 흡음필터(31)(32)(33)(34)(35)(36)를 홈(24a)(25a)(26a)(27a)에 끼운 다음 조립한다.
또, 방음케이스(40)에는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에 각각 위치되는 소음유입구(42)(44)가 형성되어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에 의해 개폐된다.
즉,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 상하단에 상행선측힌지축(51)(52)과 하행선측힌지축(61)(62)을 형성하고, 방음케이스(40)의 상판(27)과 하판(24)에 각각 핀구멍(24m)(24i)(27n)을 형성하여 상행선측힌지축(51)(52)과 하행선측힌지축(61)(62)을 핀구멍(24m)(24i)(27n)에 삽입하여 지지한다.
또,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에는 고무립(80)을 설치하여 상행 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가 닫힐 때 고무립(80)에 의해 밀폐작용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행선측힌지축(51)과 하행선측힌지축(61)에는 상판(27)에 위치되는 상행선측회동암(53)과 하행선측회동암(63)을 설치하며, 상행선측회동암(53)과 하행선측회동암(63)을 링크(54)(64)로 각각 연결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행선측힌지축(51)과 하행선측힌지축(61)에 웜휠(55)(65)을 설치하여 상행선측모터(57) 및 하행선측모터(67)의 모터축에 달린 웜(56)(66)을 웜휠(55)(65)에 각각 맞물리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행선측모터(57)와 하행선측모터(67)는 브래킷(82)(84)을 통해 커버(28)의 천장에 고정한다.
이때 상판(27)과 커버(28) 사이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행선측모터(57)와 하행선측모터(67) 및 상행선측힌지축(51), 하행선측힌지축(61), 상행선측회동암(53), 하행선측회동암(63), 링크(54)(64), 브래킷(82)(84), 리미트스위치(L11)(L12)(L21)(L22) 등이 위치된다.
한편,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단위시간당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 및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를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에 각각 설치하며,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를 제어부(70)에 접속하여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로부터 검출되는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행량을 제어부(70)에 의해 카운트한 다음 양측의 차량통행량을 비교하여 차량통행량이 큰 곳에 위치된 소음유입구 (42)(44)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방신호와, 그 반대편의 소음유입구(42)(44)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신호를 제어부(7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는 반사광센서로 구성되며, 반대편에 반사체(58r)(68r)를 설치한다. 즉, 차량주행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빛을 방출한 다음 반사체(58r)(68r)로부터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빛의 차광횟수를 카운트하여 차량통행량을 검출하도록 한다.
또, 제어부(70)에는 모터의 정역구동이 가능한 모터구동부(72)(74)를 접속하고, 모터구동부(72)(74)에 각각 상행선측모터(57)와 하행선측모터(67)를 접속하며, 링크(54)(64)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L11)(L12)(L21)(L22)를 상판(27)에 설치한 후 제어부(70)에 접속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에 설치되어 있는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로부터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행량이 검출되어 제어부(70)로 입력되면, 제어부(70)는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향량을 비교하여 차량통행량이 큰 곳을 판정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서 하행선(20b)의 차량 통행량이 상행선(20a) 차량 통행량보다 더 큰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70)는 모터구동부(74)로 도어개방신호를 출력하여 하행선측모터(67)를 구동 하행선측도어(60)를 개방한 다음 또 다른 모터구동부(72)로 도어폐쇄신호를 출력하여 상행선측모터(57)를 구동 상행선측도어(50)를 폐쇄하게 된다.
즉,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개방신호에 의해 하행선측모터(67)가 정회전되면, 하행선측모터(67)의 모터축에 달린 웜(66)이 정회전되면서 웜휠(65)을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웜휠(65)에 연결되어 있는 하행선측힌지축(61)이 회전되며, 복수의 하행선측힌지축(61)이 링크(64)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하행선측도어(60)가 하행선측힌지축(61)(6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행선(20a)에 위치된 소음유입구(4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판(27)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L11)에 링크(64)의 단부가 접촉되면, 제어부(70)는 하행선측도어(6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고, 하행선측모터(67)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또,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폐쇄신호에 의해 상행선측모터(57)가 역회전되면, 상행선측모터(57)의 모터축에 달린 웜(56)이 역회전되면서 웜휠(55)을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웜휠(55)에 연결되어 있는 상행선측힌지축(51)이 회전되며, 복수의 상행선측힌지축(51)이 링크(54)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상행선측도어(50)가 상행선측힌지축(51)(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하행선(20b)에 위치된 소음유입구(44)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판(27)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L22)에 링크(54)의 단부가 접촉되면, 제어부(70)는 상행선측도어(50)가 폐쇄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행선측모터(57)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이때 하행선(20b)으로부터 개방된 소음유입구(42)를 통해 방음케이스(40) 내부로 소음과 매연, 타이어분진 등이 유입되면서 방음케이스(4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다공질의 흡음필터(31)(32)(33)(34)(35)(36)를 거치면서 소음성분은 감쇄되고, 대기오염물질은 필터링된다.
또, 상행선(20a)에 위치된 소음유입구(44)는 폐쇄된 상태이기 때문에 하행선(20b)에서 발생된 소음과 대기오염물질이 방음케이스(40)를 경유하여 상행선(20a)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70)는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과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에 의해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행량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하행선(20b)보다 상행선(20a)의 통행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상행선측모터(57)를 정회전시켜 상행선측도어(50)를 개방하고, 하행선측모터(67)는 역회전시켜 하행선측도어(60)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행선측도어(50)가 개방될 때 리미트스위치(L21)에 링크(54)가 접촉될 때 상행선측도어(50)의 개방을 검출하게 되며, 하행선측도어(60)가 폐쇄될 때 리미트스위치(L12)에 링크(64)가 접촉될 때 하행선측도어(60)의 폐쇄를 검출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어부(70)는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행량을 주기적으로 검출한 다음 차량 통행량이 많은 차선 즉, 소음발생과 대기오염물질의 방출이 많은 차선을 우선하여 소음을 감쇄시키고 대기오염물질을 걸러내게 되며, 동시에 소음발생과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이 많은 차선에서 소음발생과 대기오염물질의 발생이 적은 차선으로 소음과 대기오염물질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의 차량통행량의 차이에 따라 차량 통행량이 많은 곳의 소음유입구는 개방하고, 차량통행량이 적은 곳의 소음유입구는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감쇄와 공기정화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차량통행량이 많은 곳으로부터 차량통행량이 적은 곳으로 전파되는 소음과 대기오염물질을 차단할 수도 있기 때문에 도로의 상행선과 하행선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대기오염물질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흡음필터(31)(32)(33)(34)(35)(36)가 설치되어 있고,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에 각각 위치되는 소음유입구(42)(44)를 갖는 방음케이스(40)를 구비한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소음유입구(42)(44)를 개폐하기 위한 상행선측도어(50) 및 하행선측도어(60)와,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 상하단에 설치되어 방음케이스(40)의 상판(27)과 하판(24)에 각각 형성된 핀구멍(24m)(24i)(27n)에 끼워져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를 지지하는 상행선측힌지축(51)(52) 및 하행선측힌지축(61)(62)과, 상행선측힌지축(51)(52)과 하행선측힌지축(61)(62)에 설치되는 상행선측회동암(53) 및 하행선측회동암(63)과, 상행선측회동암(53)과 하행선측회동암(63)을 각각 연결하는 링크(54)(64)와, 상행선측힌지축(51)(52)과 하행선측힌지축(61)(62)에 각각 설치되는 웜휠(55)(65)과, 웜휠(55)(65)에 각각 맞물리는 웜(56)(66)이 모터축에 각각 설치된 상행선측모터(57) 및 하행선측모터(67)와, 도로의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에 각각 설치되어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단위시간당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하기 위한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 및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와, 상행선측차량검출기(58)와 하행선측차량검출기(68)로부터 검출되는 상행선(20a)과 하행선(20b)의 차량통행량을 카운트하여 양측의 차량통행량을 비교한 후 차량통행량이 큰 곳에 위치된 소음유입구(42)(44)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개방신호를 출력하고, 그 반대편의 소음유입구(42)(44)를 폐쇄하기 위한 도어폐쇄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0)와, 제어부(70)로부터 출력되는 도어개방신호와 되어폐쇄신호에 의해 상행선측모터(57)와 하행선측모터(67)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72)(74)와, 링크(54)(64)의 양단에 위치되어 상행선측도어(50)와 하행선측도어(60)의 개폐를 검출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하는 리미트스위치(L11)(L12)(L21)(L2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0060024112A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587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12A KR100587416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12A KR100587416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416B1 true KR100587416B1 (ko) 2006-06-08

Family

ID=3718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112A KR100587416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4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434A (zh) * 2018-06-01 2018-09-21 嘉兴宇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绿化带围栏消音装置
KR101941606B1 (ko) * 2018-08-20 2019-04-12 권숙희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2429547B1 (ko) * 2021-11-09 2022-08-05 (주)신승이앤씨 교통풍을 이용한 미세 먼지 제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펜스 및 방음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0434A (zh) * 2018-06-01 2018-09-21 嘉兴宇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绿化带围栏消音装置
CN108560434B (zh) * 2018-06-01 2020-07-24 嘉兴宇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道路绿化带围栏消音装置
KR101941606B1 (ko) * 2018-08-20 2019-04-12 권숙희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KR102429547B1 (ko) * 2021-11-09 2022-08-05 (주)신승이앤씨 교통풍을 이용한 미세 먼지 제거 패널, 이를 포함하는 펜스 및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416B1 (ko)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869420B1 (ko) 분진제거기능 패널을 결합한 형상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60398B1 (ko) 누음 방지와 회절 및 대기오염원 저감이 가능한 방음벽
CN103321523A (zh) 一种智能型窗户
KR102088306B1 (ko) 무동력 매연 및 미세먼지 저감 방음벽
KR102265917B1 (ko) 공기정화방음벽
KR102149487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방음벽
KR100593839B1 (ko) 친환경적인 도로의 방음벽 구조
KR101941606B1 (ko) 지지대와 연속되는 다른 지지대 사이에 태양집광부가 설치된 도로 중앙분리대
GB2588386A (en) An air filtration system
KR100619632B1 (ko) 터널의 흡음 및 공기정화장치
KR102449085B1 (ko) 터널 환경 개선을 위한 방음시설
CN215723937U (zh) 立柜式空气净化机
KR100951011B1 (ko) 자전거도로용 친환경 흡음펜스
CN105526610A (zh) 一种基于涡流原理的油烟净化方法及油烟净化结构
KR102235259B1 (ko) 도로변 비산먼지 포집 기능을 갖는 방음벽
KR200410332Y1 (ko) 회전식 투명 차음판
JP3655856B2 (ja) 防音装置および防音装置を備えた防音壁
KR100645871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WO2021212564A1 (zh) 空气净化装置、空调内机、空调器及新风系统
KR20200105639A (ko) 집열패널의 세척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KR102095062B1 (ko) 대기오염 방지시설
CN215804235U (zh) 一种防风哨、防倒灌排水孔盖结构
KR20210000947U (ko) 연필을 보관할수있는 자석
CN2865828Y (zh) 分散溢流花板的脉冲喷吹袋式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