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871B1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871B1
KR100645871B1 KR1020060024102A KR20060024102A KR100645871B1 KR 100645871 B1 KR100645871 B1 KR 100645871B1 KR 1020060024102 A KR1020060024102 A KR 1020060024102A KR 20060024102 A KR20060024102 A KR 20060024102A KR 100645871 B1 KR100645871 B1 KR 100645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ransparent
washing water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002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측의 패널테두리로부터 최하측의 패널테두리까지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하단부가 테이퍼형태로 된 고무관(58)을 하부배수홀(37)(38)에 삽입하고, 상부배수홀(31)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테이퍼구멍(60)을 패널테두리(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된 고무관(58)과 결합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위치된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을 테이퍼 형태의 고무마개(61)로 막아서 구성된 것이다.
도로,방음벽,투명방음벽,세척,건조,열풍,덕트,광센서

Description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Air cleanable soundproof wal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3의 B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전체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정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0 : 패널테두리 31 : 상부배수홀
32,34 : 간격유지판 32g,34g : 홈
37,38 : 하부배수홀 40,42,44,46 : 투명회절판
48 : 투명차음판 50 : 세척수공급파이프
51 : 분기다기관 52 : 연결니플
54 : 세척수주입구멍 56 : 분기유로
57 : 노즐구멍 58 : 고무관
60 : 테이퍼구멍 61 : 고무마개
62 : 흡기구멍 64 : 배기구멍
70 : 기초콘크리트 72 : 수평배수로
72a : 수직배수로 80 : 열풍기
81 : 저장탱크 82 : 열풍공급덕트
83 : 고압펌프 84,88 : 통공
86 : 열풍배기덕트 90 : 좌측포스트
92 : 우측포스트 94 : 반사지
96 : 반사광센서 98 : 마이크로콘트롤러
SV : 전자밸브 W : 세척수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적층하게 되면, 상측의 패널테두리로부터 최하측의 패널테두리까지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어 있는 투명방음벽은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타이어분진이나 매연 등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데, 특히 투명방음벽에 소음감쇄효과를 높이기 위해 회절구멍을 형성한 경우 투명방음벽의 내부로 오염원들이 유입되어 투명도를 심각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투명방음벽의 내부가 오염된 경우 내부의 청소가 곤란하여 새로운 투명방음벽으로 교체하고 있었으나 이는 유지 보수비용에 엄청난 부담을 안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으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전까지 오염된 투명방음벽에 의해 도로에 인접한 주거지역의 조망권이 한동안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197353호(2000년 9월 15일 공고)에서와 같이 방음판의 내부를 향해 세척액, 세척수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을 방음판의 상단에 장착된 파이프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1차로 노즐을 통해 세척액을 분사한 다음 2차로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한 후 3차 과정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노즐을 통해 방음판 내부로 분사하여 건조하도록 구성된 "투명방음벽의 세척장치"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투명방음벽의 세척장치는 배수를 위해 방음판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방음벽 높이가 다른 곳에 각기 적용하는 경우 방음판을 서로 다른 치수로 별도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시공에 불편함이 뒤따르는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이 가능한 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하여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단부가 테이퍼형태로 된 고무관을 하부배수홀에 삽입하고, 상부배수홀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테이퍼구멍을 패널테두리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패널테두리에 설치된 고무관과 결합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위치된 패널테두리에 형성된 테이퍼구멍을 테이퍼 형태의 고무마개로 막아서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테두리(30)의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세척수주입구멍(54)을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입구에 연결니플(52)을 설치하고, 세척수공급파이프(50)에 측방향으로 분기다기관(51)을 형성하여 연결니플(52)에 접속하며, 세척수주입구멍(54)으로부터 하측으로 가지관 형태를 이루도록 패널테두리(30)의 상측에 분기유로(56)를 형성하고, 분기유로(56)와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노즐구멍(57)을 상측의 간격유지판(32)에 형성하여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세척수(W)를 분사하도록 한다.
또한, 하측의 간격유지판(34)과 패널테두리(30)의 하측에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하부배수홀(37)(38)을 형성하여 하단부가 테이퍼형태로 된 고무관(58)을 삽입하고,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통하는 테이퍼구멍(60)과 상부배수홀(31)을 패널테두리(30)의 상부와 상측의 간격유지판(32)에 구멍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하되 노즐구멍(57) 사이사이에 배치하여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된 고무관(58)과 결합되도록 하고, 최하단에 위치된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된 고무관(58)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W)를 배수하기 위해 기초콘크리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배수로(72)로부터 상측으로 수직배수로(72a)를 형성한다.
즉, 하단부가 테이퍼형태로 된 고무관(58)을 하부배수홀(37)(38)에 삽입하고, 상부배수홀(31)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테이퍼구멍(60)을 패널테두리(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된 고무관(58)과 결합되도록 하여 투명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적층하면,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관(58)이 하측에 위치되는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에 끼워지면서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통하는 흡기구멍(62)과 배기구멍(64)을 각 패널테두리(30)의 좌우측면에 형성하고, 열풍기(8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열풍공급덕트(82)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84)을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흡기구멍(62)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좌측포스트(90)와 패널테두리(30) 사이에 개재하며,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을 거쳐 배기구멍(64)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열풍배기덕트(86)의 측면에 통공(88)을 형성하여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배기구멍(64)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우측포스트(92)와 패널테두리(30) 사이에 개재한다.
한편, 저장탱크(81)에 저장된 세척수(W)를 세척수공급파이프(50)로 압송하기 위한 고압펌프(83)와 세척수공급파이프(50) 사이에 전자밸브(SV)를 설치하며, 투명회절판(40)(42)(44)(46)의 외측면에 반사지(94)를 부착하고, 반사지(94)를 향해 빛을 방출하여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을 투과하여 되돌아오는 빛의 투과량을 검출함으로써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반사광센서(96)를 투명차음판(48)에 설치하며, 반사광센서(96)로부터 측정되는 광검출값이 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되면 소정시간 동안 전자밸브(SV)를 개방하여 세척수(W)를 분사한 다음 전자밸브(SV)를 닫고 열풍기(80)를 구동하여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표면을 건조시키도록 제어 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98)를 반사광센서(96)와 열풍기(80) 및 전자밸브(SV)에 접속한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된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을 테이퍼 형태의 고무마개(61)로 막아서 누수를 방지한다.
여기서 패널테두리(30)의 내측에 설치된 간격유지판(32)(34)에 복렬로 홈(32g)(34g)이 형성되고, 홈(32g)(34g)에 복수의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이 상호 간격을 이루면서 끼워진다.
또한, 전자밸브(SV)는 마이크로콘트롤러(98)의 출력포트에 접속된 밸브구동부(100)에 의해 여자되거나 소자되어 밸브를 개폐하게 되며, 고압펌프(83)는 마이크로콘트롤러(98)의 또 다른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펌프구동부(102)에 의해 ON/OFF되면서 가동되거나 정지된다.
그리고, 열풍기(80)는 내부에 히터와 팬모터가 내장된 일반적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0은 도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은 투명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적층하게 되면,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관(58)이 하측에 위치되는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에 끼워지면서 상측의 투명방음패널로부터 최하측의 투명방음패널까지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한편, 도로(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투명회절판(40)(42)(44)(46)에 형성된 작은 구멍을 통해 유입되면서 회절되어 감쇄되고 투명차음판(48)에 이르러 차단되며, 도로(20)에서 발생된 타이어분진이나 매연 등에 의해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내부가 오염되어 투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콘트롤러(98)는 반사광센서(96)를 제어하여 투명회절판(40)에 부착되어 있는 반사지(94)를 향해 빛을 출력한 후 반사지(94)에서 반사된 후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을 투과하여 되돌아오는 빛의 세기를 검출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오염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이 오염되어 광투과률이 저하된 것으로 판정되면, 마이크로콘트롤러(98)는 밸브구동부(100)를 통해 전자밸브(SV)를 구동하여 유로를 개방한 다음 펌프구동부(102)를 통해 고압펌프(83)를 구동하여 저장탱크(81)에 저장되어 있던 세척수(W)를 세척수공급파이프(50)를 통해 고압으로 압송하게 된다.
이후 세척수공급파이프(50)로 공급된 세척수(W)는 분기다기관(51)과 연결니플(52)을 통해 세척수주입구멍(54)으로 유입된 후 세척수주입구멍(54)의 하측으로 형성된 분기유로(56)와 노즐구멍(57)을 통해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강하게 분사되면서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내측면에 부착된 타이어분진이나 매연성분 등 각종 오염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그 다음 세척수(W)는 패널테두리(30)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패널테두리(30)의 바닥면에 박힌 고무관(58)을 통해 아래쪽에 위치한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을 통해 순차적으로 떨어지면서 결국 최하단에 위치한 기초콘크리트(70)의 수직배수로(72a)를 통해 수평배수로(72)로 모여 배수된다.
즉, 각 패널테두리(30)에 세척수공급파이프(5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세척 수(W)는 각각의 패널테두리(30)에 위치한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로 유입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며, 세척 후 오염된 세척수(W)는 노즐구멍(57)과 좌우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구멍(60)에 결합된 고무관(58)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배수된다.
또한, 고무관(58)이 연질이기 때문에 누수의 염려가 없게 되며, 최상단의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에는 고무마개(61)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로 분사되는 세척수(W)가 외부로 누수될 염려가 없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콘트롤러(98)는 소정시간 동안 전자밸브(SV)를 개방하여 세척작업을 진행한 후 밸브구동부(100)를 통해 전자밸브(SV)를 소자하여 밸브를 폐쇄하게 되면,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로 공급되는 세척수(W) 공급이 차단된다.
그 다음 마이크로콘트롤러(98)는 열풍기(80)를 구동하여 좌측포스트(90)와 패널테두리(3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열풍공급덕트(82)에 열풍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열풍공급덕트(82)로 공급된 열풍은 열풍공급덕트(82)에 형성된 통공(84)과 패널테두리(30)의 좌측면에 형성된 흡기구멍(62)을 통해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면서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건조시키게 된다.
또한, 열풍에 의해 증발된 수분은 패널테두리(30)의 우측면에 형성된 배기구멍(64)과 우측포스트(92)와 패널테두리(30) 사이에 개재된 열풍배기덕트(86)에 형 성된 통공(88)을 통해 배출되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98)는 열풍기(80)에 의해 건조작업을 소정시간 동안 수행한 다음 열풍기(80)의 가동을 정지시켜 세척과 건조작업을 마치게 되며, 다시 반사광센서(96)에 의해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투명도를 검출하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투명방음패널을 조립식으로 적층하게 되면, 패널테두리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관이 하측에 위치되는 패널테두리에 형성된 테이퍼구멍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배수로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여 시공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삭제

Claims (1)

  1. 패널테두리(30)의 내측에 설치된 간격유지판(32)(34)에 복렬로 형성된 홈(32g)(34g)에 복수의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이 상호 간격을 이루면서 끼워지고, 패널테두리(30)의 배면에서 전방측으로 세척수주입구멍(54)이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입구에 연결니플(52)이 설치되며, 연결니플(52)에 접속되는 분기다기관(51)이 세척수공급파이프(50)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세척수주입구멍(54)으로부터 하측으로 가지관 형태를 이루는 분기유로(56)가 패널테두리(30)의 상측에 형성되며,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세척수(W)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구멍(57)이 분기유로(56)와 구멍중심이 일치하도록 상측의 간격유지판(32)에 형성되고,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통하는 상부배수홀(31)이 상측의 간격유지판(32)에 형성되며, 노즐구멍(57) 사이사이에 위치하는 하부배수홀(37)(38)이 하측의 간격유지판(34)과 패널테두리(30)의 하측에 구멍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세척수(W)를 배수하기 위해 기초콘크리트(7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배수로(72)로부터 상측으로 수직배수로(72a)가 형성되며,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으로 통하는 흡기구멍(62)과 배기구멍(64)이 각 패널테두리(30)의 좌우측면에 형성되고, 열풍기(8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열풍공급덕트(82)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84)이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흡기구멍(62)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사이사이의 공간을 거쳐 배기구멍(64)으로 배출되는 열풍을 대기중으로 방출하기 위한 통공(88)이 열풍배기덕트(86)의 측면에 형성되고,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배기구멍(64)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우측포스트(92)와 패널테두리(30) 사이에 통공(88)이 위치되며, 저장탱크(81)에 저장된 세척수(W)를 세척수공급파이프(50)로 압송하기 위한 고압펌프(83)와 세척수공급파이프(50) 사이에 전자밸브(SV)가 설치되고, 투명회절판(40)(42)(44)(46)의 외측면에 반사지(94)가 부착되며, 반사지(94)를 향해 빛을 방출하여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을 투과하여 되돌아오는 빛의 투과량을 검출함으로써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반사광센서(96)가 투명차음판(48)에 설치되고, 반사광센서(96)로부터 측정되는 광검출값이 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판정되면 소정시간 동안 전자밸브(SV)를 개방하여 세척수(W)를 분사한 다음 전자밸브(SV)를 닫고 열풍기(80)를 구동하여 투명회절판(40)(42)(44)(46)과 투명차음판(48) 표면을 건조시키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98)가 반사광센서(96)와 열풍기(80) 및 전자밸브(SV)에 접속되어 있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에 있어서,
    하단부가 테이퍼형태로 된 고무관(58)을 하부배수홀(37)(38)에 삽입하고, 상부배수홀(31)과 구멍중심이 일치하는 테이퍼구멍(60)을 패널테두리(30)의 상부에 형성하여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패널테두리(30)에 설치된 고무관(58)과 결합되도록 하며, 최상단에 위치된 패널테두리(30)에 형성된 테이퍼구멍(60)을 테이퍼 형태의 고무마개(61)로 막아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KR1020060024102A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KR10064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02A KR100645871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102A KR100645871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871B1 true KR100645871B1 (ko) 2006-11-15

Family

ID=3765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102A KR100645871B1 (ko) 2006-03-15 2006-03-15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8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97B1 (ko) 2012-02-22 2012-08-1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용 투명방음벽 구조
KR20160067256A (ko) * 2014-12-03 2016-06-14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식생 방음벽
KR102106241B1 (ko) 2019-08-21 2020-04-29 이해숙 미세먼지 흡수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방호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349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197353Y1 (ko) 2000-05-03 2000-09-15 주식회사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투명 방음벽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349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197353Y1 (ko) 2000-05-03 2000-09-15 주식회사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투명 방음벽의 세척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20000004349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97B1 (ko) 2012-02-22 2012-08-10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도로용 투명방음벽 구조
KR20160067256A (ko) * 2014-12-03 2016-06-14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식생 방음벽
KR101642741B1 (ko) * 2014-12-03 2016-07-2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식생 방음벽
KR102106241B1 (ko) 2019-08-21 2020-04-29 이해숙 미세먼지 흡수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방호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71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도로용 방음벽
CN101463777B (zh) 空气滤清器及具有该空气滤清器的发动机
KR200472066Y1 (ko) 방음터널 환기 장치
RU201311083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от загрязнений
KR101609773B1 (ko) 분진 제거를 위한 기류유도 및 물분사 정화 방식의 투명 방음벽 및 그 분진 제거 방법
KR101605554B1 (ko) 개선된 먼지입자 클리닝장치
KR101557668B1 (ko) 연기정화장치
KR101642796B1 (ko) 쌍방향 세척 기능을 갖는 천장매립형 주방배기시스템
CN103574827A (zh) 通风系统
KR20130004423U (ko) 터널 환기 장치
KR10213636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CN105013261B (zh) 一种室外雾霾净化处理系统
CN214251929U (zh) 一种建筑监理现场粉尘测定装置
KR102530683B1 (ko) 공기정화 방음터널
CN108722059A (zh) 一种环保型工业废气净化装置
KR102199909B1 (ko) 흡입 및 배출형 토양 설치 공기 정화 시스템
CN200951376Y (zh) 烟尘综合治理装置
KR100587416B1 (ko) 공기정화기능과 방음효과를 갖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KR101426782B1 (ko) 강우 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0708553B1 (ko) 실내 습도조절장치
KR20090071693A (ko) 중앙 집중식 공기 정화 시스템
KR100856483B1 (ko)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공기정화장치
KR102655587B1 (ko) 초미세먼지 제거장치가 포함된 수족관을 장착한 창호시스템
KR20060053372A (ko) 베란다 설치용 공기 청정기의 설치 구조 및 이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청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