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97B1 - 삶은 땅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삶은 땅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997B1
KR101940997B1 KR1020180070782A KR20180070782A KR101940997B1 KR 101940997 B1 KR101940997 B1 KR 101940997B1 KR 1020180070782 A KR1020180070782 A KR 1020180070782A KR 20180070782 A KR20180070782 A KR 20180070782A KR 101940997 B1 KR101940997 B1 KR 10194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anut
peanuts
boiled
sugar
bar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신
Original Assignee
박효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신 filed Critical 박효신
Priority to KR102018007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9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seeds or seed frag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2Preserving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삶은 땅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속껍질은 덮여있는 상태로 있게 하고 외피만을 제거한 깐 땅콩을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삶을 때 풍미 증진을 위해 사용할 땅콩외피, 쓴맛 제거를 위한 설탕, 조미를 위한 천일염을 일정량씩 계량하되,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12kg을 기준으로 하여 땅콩외피 1~2kg, 설탕 50~300g, 천일염 30~150g으로 계량하는 단계; (C) 상기 계량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과 땅콩외피, 설탕, 천일염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상기 투입된 깐 땅콩이 잠기도록 물을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깐 땅콩을 비롯한 재료 및 물을 투입한 상태에 압력솥을 가열하되, 센 불에서 일정시간 삶은 후 약한 불로 조절하여 일정시간 삶아내는 단계; (E) 상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삶아낸 속껍질을 갖는 삶은 땅콩을 물에 헹굼 및 세척을 수행하면서 땅콩외피를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삶은 땅콩으로부터 물기를 제거 및 건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섭취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땅콩이 갖는 본연의 풍미를 살릴 수 있고 영양분 손실을 없게 하면서도 잡맛이 없게 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휴대하여 섭취할 수 있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삶은 땅콩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OILED PEANUT}
본 발명은 삶은 땅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땅콩을 삶아 섭취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영양분 손실이 없게 하면서 땅콩이 갖는 본연의 풍미를 살릴 수 있도록 한 삶은 땅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땅콩은 두류에 속하는 콩과 식물로서 기름 함량이 44~56%, 단백질이 22~30%로 양질의 기름과 단백질원을 갖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당질 약 20~30중량%을 비롯한 칼슘, 인, 철분, 비타민 등 다수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땅콩은 상기와 같이 다수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면서 고소한 향 및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선호되고 있는 기호식품 중의 하나이다.
한편, 상기 땅콩은 보통 볶거나 삶거나 쪄서 섭취하고 있으며, 때로는 기름에 튀기거나 소금 등 염성분 또는 설탕 등 당성분을 첨가하는 형태로 가미하여 섭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가장 많은 형태로 섭취하는 볶은 땅콩은 장기 보관이 가능하나 섭취시 딱딱하고 목메임이 있다. 그리고, 삶거나 찐 땅콩은 섭취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나 장기 보관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땅콩 제조방법 관련 선행기술문헌에 있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6-0145453호에서는 생땅콩을 삶는 과정; 상기 삶은 땅콩을 탈수 및 건조하는 과정; 상기 건조된 땅콩의 내피를 탈피하는 과정; 상기 탈피된 땅콩을 볶는 과정; 당도 68% 내지 72%의 설탕시럽에 고춧가루 또는 김가루를 혼합한 가미설탕시럽을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볶은 땅콩을 65도 내지 75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가열된 상기 볶음 땅콩에 동일 범위의 온도로 가열된 상기 가미설탕시럽을 단계적으로 조금씩 뿌리고 굳히면서 상기 볶은 땅콩의 표면에 올록볼록한 형상으로 상기 가미설탕시럽을 코팅하는 과정;을 통해 매운맛이나 김맛을 느낄 수 있는 가미땅콩 제조방법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0759034호에서는 내피를 제거한 땅콩을 침지하는 단계, 침지된 땅콩을 가당액을 제거하여 숙성시키는 단계, 및 숙성된 땅콩을 튀기는 단계를 포함하여, 가당용액에의 침지 및 숙성단계에 의해, 땅콩의 높은 지방함량을 저하시켜 느끼한 맛을 없애고 부드럽고 고소한 땅콩 고유의 맛과 향미 및 질감을 높이며, 아울러 지방성분의 높은 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패현상을 방지하여 보존기간을 늘릴 수 있고, 땅콩의 지방성분에 의한 끈기를 저하시켜 유통시 및 사용시 취급이 용이한 조미땅콩을 얻을 수 있는 조미땅콩 제조방법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54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90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땅콩을 삶아 섭취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땅콩이 갖는 본연의 풍미를 살릴 수 있도록 한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장기간 보관 및 섭취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하면서 영양분 손실이 없도록 하고 잡맛이 없도록 하는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삶은 땅콩 제조방법은, (A) 속껍질은 덮여있는 상태로 있게 하고 외피만을 제거한 깐 땅콩을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삶을 때 풍미 증진을 위해 사용할 땅콩외피, 쓴맛 제거를 위한 설탕, 조미를 위한 천일염을 일정량씩 계량하되,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12kg을 기준으로 하여 땅콩외피 1~2kg, 설탕 50~300g, 천일염 30~150g으로 계량하는 단계; (C) 상기 계량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과 땅콩외피, 설탕, 천일염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상기 투입된 깐 땅콩이 잠기도록 물을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깐 땅콩을 비롯한 재료 및 물을 투입한 상태에 압력솥을 가열하되, 센 불에서 일정시간 삶은 후 약한 불로 조절하여 일정시간 삶아내는 단계; (E) 상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삶아낸 속껍질을 갖는 삶은 땅콩을 물에 헹굼 및 세척을 수행하면서 땅콩외피를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삶은 땅콩으로부터 물기를 제거 및 건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G) 상기 (F)단계까지 마친 삶은 땅콩을 일정량씩 질소 포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되, 1일 적정한 섭취량이 되도록 1포장당 20~30알 분량으로 질소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D)단계에서는, 압력솥을 가열하되, 생강을 50~300g 더 투입하고, 200~220℃ 온도에서 20~25분 동안 가열한 후 60~80℃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삶아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과 땅콩외피, 설탕 및 천일염의 재료를 활용하되 이를 삶아 내는 형태로 삶은 땅콩을 제조함으로써 섭취시 부드러운 식감을 갖게 하면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며 땅콩이 갖는 본연의 풍미를 살릴 수 있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양분 손실을 없게 하면서도 잡맛이 없는 삶은 땅콩을 제조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휴대하여 섭취할 수 있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정도이다.
상기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삶은 땅콩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땅콩외피 제거단계(S10), 재료 계량단계(S20), 재료 투입단계(S30), 삶는 단계(S40), 세척단계(S50), 건조단계(S60), 및 질소 포장단계(S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땅콩외피 제거단계(S10)는 땅콩외피를 갖는 수확된 땅콩으로부터 속껍질은 덮여있는 상태로 그대로 있게 하고 땅콩껍질인 외피만을 제거함으로써 깐 땅콩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재료 계량단계(S20)는 상기 S10단계를 통해 구비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을 기준으로 하여 땅콩외피와, 설탕, 및 천일염을 일정량씩 계량하는 단계이다.
이때,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12kg을 기준으로 하여 땅콩외피 1~2kg, 설탕 50~300g, 천일염 30~150g으로 계량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땅콩외피는 상기 S10단계에서 제거한 것을 사용하며, 깐 땅콩을 삶을 때 풍미 증진을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설탕은 땅콩이 갖는 쓴맛을 제거를 위해 사용한다.
또, 천일염은 깐 땅콩을 삶을 때 조미를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땅콩이 갖는 쓴맛을 제거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천일염 대신 정제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천일염을 사용하게 되면 천일염의 무기질 성분이 땅콩에 녹아들게 되어 땅콩 섭취시 이러한 무기질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S30)는 상기 계량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과 땅콩외피, 설탕, 천일염 등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상기 투입된 깐 땅콩이 잠기도록 물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한 재료들과 함께 압력솥에 투입하는 물은 투입된 깐 땅콩의 상면에서 1~1.5cm 정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투입하며,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12kg을 기준으로 할 때 물 10~12kg 정도가 사용된다.
상기 삶는 단계(S40)는 상기 깐 땅콩을 비롯한 재료 및 물을 투입한 후, 압력솥을 가열하여 삶아내는 단계이다.
이때, 삶는 단계(S40)는 센 불에서 20~25분을 삶은 후 약한 불에서 10~15분을 삶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생강을 추가 투입하여 삶아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생강은 땅콩의 비릿내를 제거하고 기침 해소를 위하여 설탕과 동일한 양을 계량하여 추가하며, 생강에 포함된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 등을 통해 티푸스균과 콜레라균 등 각종 병원성 균을 살균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200~220℃ 온도에서 20~25분 동안 압력솥을 가열하여 삶은 후 60~80℃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삶아낼 수 있다.
상기 세척단계(S50)는 상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삶아낸 속껍질을 갖는 삶은 땅콩을 물에 헹굼 및 세척을 수행하면서 땅콩외피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땅콩외피를 제거함에 따라 삶은 땅콩만 남게 된다. 다만, 헹굼 및 세척시에는 삶은 땅콩의 조미성분이 물에 의해 빠져나가지 않도록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S60)는 상기 삶은 땅콩으로부터 물기를 제거 및 건조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S60)는 그물망을 갖는 채 등을 이용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자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삶은 땅콩이 딱딱해지지 않도록 건조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삶은 땅콩의 수분함량이 12~20%가 되도록 건조한다. 삶은 땅콩의 수분함량이 12% 미만이면 유통과정에서 쉽게 딱딱해져 식감이 저하되고, 수분함량이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질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상기 건조단계(S60)는 열풍 등을 이용하여 물기 제거 및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질소 포장단계(S70)는 상기 건조단계(S60)까지 마친 결과물인 삶은 땅콩을 일정량씩 질소 포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질소 포장단계(S70)에서는 1일 적정한 섭취량이 되도록 1포장당 20~30알 분량으로 질소 포장함이 바람직하다. 땅콩은 지방 함량이 높고 기본적인 열량이 높아 너무 많이 먹으면 살이찌거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하루 섭취량을 20알 내지 30알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삶은 땅콩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삶은 땅콩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땅콩외피만을 제거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kg, 땅콩외피 1kg, 설탕 200g, 천일염 100g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물을 깐 땅콩이 잠길 정도로 넣은 후, 220℃ 온도에서 20분 동안 삶은 후 8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삶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땅콩외피만을 제거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1kg, 땅콩외피 1.5kg, 설탕 250g, 천일염 150g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물을 깐 땅콩이 잠길 정도로 넣은 후, 220℃ 온도에서 20분 동안 삶은 후 70℃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삶아 제조하였다.
<관능검사>
상기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 제조된 삶은 땅콩을 사용하여 식감(부드러움), 풍미, 잡맛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성인 남자 15명과 성인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채점법(아주 좋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나쁨 2점, 아주 나쁨 1점)으로 평가하였고, 그 평균치로 기호도를 평가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잡맛은 잡맛이 없을수록 평가 점수가 높게 나오도록 평가하였다.
구분 식감(부드러움) 풍미 잡맛 기호도
실시예 1 4.5 4.3 4.3 4.36
실시예 2 4.6 4.4 4.2 4.40
상기 표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성인 남자와 여자 모두 구분없이 전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주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삶은 땅콩에 대한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삶은 땅콩 제조방법을 통해서는 섭취하는데 부드러운 식감을 주면서 땅콩 본연의 풍미를 갖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소비자들이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섭취할 수 있는 삶은 땅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단계의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0: 땅콩외피 제거단계
S20: 재료 계량단계(S20)
S30: 재료 투입단계(S30)
S40: 삶는 단계
S50: 세척단계
S60: 건조단계
S70: 질소 포장단계

Claims (3)

  1. (A) 속껍질은 덮여있는 상태로 있게 하고 외피만을 제거한 깐 땅콩을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삶을 때 풍미 증진을 위해 사용할 땅콩외피, 쓴맛 제거를 위한 설탕, 조미를 위한 천일염을 일정량씩 계량하되,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 10~12kg을 기준으로 하여 땅콩외피 1~2kg, 설탕 50~300g, 천일염 30~150g으로 계량하는 단계;
    (C) 상기 계량된 속껍질을 갖는 깐 땅콩과 땅콩외피, 설탕, 천일염을 압력솥에 투입하되, 상기 투입된 깐 땅콩이 잠기도록 물을 투입하는 단계;
    (D) 상기 깐 땅콩을 비롯한 재료 및 물을 투입한 상태에 압력솥을 가열하되,
    생강을 50~300g 더 투입하고, 200~220℃ 온도에서 20~25분 동안 가열한 후 60~80℃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가열하여 삶아내는 단계;
    (E) 상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삶아낸 속껍질을 갖는 삶은 땅콩을 물에 헹굼 및 세척을 수행하면서 땅콩외피를 제거하는 단계;
    (F) 상기 삶은 땅콩으로부터 물기를 제거 및 건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삶은 땅콩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G) 상기 (F)단계까지 마친 삶은 땅콩을 일정량씩 질소 포장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되, 1일 적정한 섭취량이 되도록 1포장당 20~30알 분량으로 질소 포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삶은 땅콩 제조방법.
  3. 삭제
KR1020180070782A 2018-06-20 2018-06-20 삶은 땅콩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4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82A KR101940997B1 (ko) 2018-06-20 2018-06-20 삶은 땅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82A KR101940997B1 (ko) 2018-06-20 2018-06-20 삶은 땅콩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997B1 true KR10194099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0997B1 (ko) 2018-06-20 2018-06-20 삶은 땅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4387A (zh) * 2023-08-29 2023-11-21 朱寒星 一种干花生返鲜煮制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89B1 (ko) * 1991-03-29 1993-07-26 김면호 조미 땅콩의 가공방법
KR980008003A (ko) * 1996-07-16 1998-04-30 김면호 장기간 저장 가능한 저지방 땅콩의 제조 방법
KR20020085317A (ko) * 2001-05-08 2002-11-16 박성규 땅콩 가공 방법
KR100759034B1 (ko) 2006-05-03 2007-09-17 김영석 조미땅콩의 제조방법.
KR20160145453A (ko) 2015-06-10 2016-12-20 이선동 가미땅콩 및 가미땅콩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989B1 (ko) * 1991-03-29 1993-07-26 김면호 조미 땅콩의 가공방법
KR980008003A (ko) * 1996-07-16 1998-04-30 김면호 장기간 저장 가능한 저지방 땅콩의 제조 방법
KR20020085317A (ko) * 2001-05-08 2002-11-16 박성규 땅콩 가공 방법
KR100759034B1 (ko) 2006-05-03 2007-09-17 김영석 조미땅콩의 제조방법.
KR20160145453A (ko) 2015-06-10 2016-12-20 이선동 가미땅콩 및 가미땅콩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4387A (zh) * 2023-08-29 2023-11-21 朱寒星 一种干花生返鲜煮制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822B1 (ko) 피쉬 소스를 이용한 갈비탕의 제조방법
JP5670314B2 (ja) 密封容器入り調理栗、栗中のマルトース生成方法、調理栗の甘味増強方法及び密封容器入り調理栗の製造方法
KR102094908B1 (ko) 삼계탕용 건조 블록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건조 블록
CN103919185A (zh) 一种低油脂、高蛋白质花生米及其原味、山椒花生米制作
KR101759147B1 (ko) 수국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N101416692A (zh) 全素多味果酱制作技术
KR101940997B1 (ko) 삶은 땅콩 제조방법
CN108552490A (zh) 一种麻辣牛肉丝及其制备方法
KR101116011B1 (ko) 고사리의 가공방법
KR101344079B1 (ko) 황태 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China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nd sensory assessment of beans pudding prepared using two different cooking methods
KR102628815B1 (ko) 약선 천궁 문어탕 제조 방법
CN107279838A (zh) 一种野生小鱼籽油辣椒及其制备方法
CN104222766B (zh) 一种南瓜保健粥及其制作方法
KR101392187B1 (ko) 아이스 호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265B1 (ko) 더덕 장아찌를 이용한 보리 굴비의 제조방법
KR102340300B1 (ko) 장어뼈 튀김 및 그 제조방법
KR20240102366A (ko) 누룽지 삼계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1875B1 (ko) 곤드레 감자밥의 제조방법
KR20110138127A (ko) 무화과를 이용한 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떡
KR20220161846A (ko) 고물입힌 생강절편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2475A (ko) 콩을 이용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CN110024979A (zh) 一种提高即食海带脯风味的处理方法
KR102752697B1 (ko) 풍미와 식감이 향상되고 높은 보존성을 갖는 전복 함유 누룽지의 제조 방법
KR101982466B1 (ko) 단감 죽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