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620B1 -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620B1
KR101940620B1 KR1020170067083A KR20170067083A KR101940620B1 KR 101940620 B1 KR101940620 B1 KR 101940620B1 KR 1020170067083 A KR1020170067083 A KR 1020170067083A KR 20170067083 A KR20170067083 A KR 20170067083A KR 101940620 B1 KR101940620 B1 KR 10194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nutes
pork
lico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894A (ko
Inventor
김수인
Original Assignee
정읍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읍시 filed Critical 정읍시
Priority to KR102017006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6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6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with gravy or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은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1 내지 17 중량부, 생강 4 내지 11 중량부, 된장 4 내지 11 중량부, 사과 25 내지 35 중량부, 매실원액 25 내지 35 중량부 및 양파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아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재워 2℃ 내지 6℃에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단계, 숙성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 내지 200℃ 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히는 단계 및 익혀진 삼겹살을 쌍화차 졸임소스에 졸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쌍화차는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5 내지 15 중량부, 숙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천궁 5 내지 15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계피 3 내지 12 중량부, 감초 3 내지 12 중량부, 생강 2 내지 8 중량부 및 대추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Oriental-Medical Pork using Ssanghwa Tea}
본 발명은 삼겹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삼겹살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겹살은 돼지고기 부위 중 갈비를 떼어낸 부분에서 복부까지의 넓고 납작한 모양의 부위를 말하는 것으로 영양이 풍부하고 돼지고기 부위 중 매우 고소한 부위로 알려져 있어 대중들이 즐겨 섭취하고 있다.
삼겹살의 지방성분은 먼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먼지가 많이 나는 일터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섭취하여 기관지나 폐의 오염을 막아 진폐증을 예방하며, 또한 수은, 납 등의 공해물질을 체외로 배출시켜 해독작용을 하고, 삼겹살의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혈관 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아 혈류를 좋게 한다.
특히 삼겹살은 다른 육류에 비해 특히 비타민 B군 및 양질의 단백질, 칼륨, 철분, 인 등의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여 젊고 탄력 있는 피부를 유지시켜 주며, 어린이의 성장발육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돼지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철분은 체내 흡수율이 높아 철 결핍성 빈혈을 예방하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삼겹살은 적당한 크기로 잘라 별도의 양념을 첨가하지 않고 그대로 불판에 구워먹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구워 먹는 삼겹살은 돼지고기 특유의 누린내가 나며, 불판에 구워먹는 경우 고기가 타서 발암의 위험에 노출되게 되며, 구운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딱딱하게 굳어 고기가 볼품이 없고 풍미가 떨어지며, 다양한 맛과 향을 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돼지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하고 다양한 맛과 향을 내기 위하여 종래에는 여러 가지 한약재, 된장, 커피 등을 첨가하여 수육을 제조하거나, 고기를 숙성시키는 방법 등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약재를 이용하는 경우 고기의 풍미를 개선시키고 한약재의 향을 입혀 누린내를 제거할 수는 있으나, 한약재의 맛이 고기의 맛보다 더 진하게 느껴지고 한약재가 가지는 부작용이 그대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알려진 바와 같이 쌍화차(Ssanghwa Tea, 雙和茶)는 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 계피, 감초, 황기를 모두 함께 넣어서 끓인 차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진한 약성분을 내는 탕약으로서의 쌍화탕보다 가볍게 차로써 음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 쌍화탕의 효능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물의 함량을 높이고 진한 맛과 향을 일부 배제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나, 쌍화차는 따뜻한 성질의 약재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복용이 지양되며, 쌍화차에 포함된 약재인 백작약 및 숙지황 때문에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다. 또한, 한약 특유의 향과 맛 때문에 일부 사람들에게는 취식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쌍화차를 이용하여 맛과 향이 우수하며, 건강에 좋은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쌍화차의 부작용 및 취식거부감을 해소하는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은 (a)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1 내지 17 중량부, 생강 4 내지 11 중량부, 된장 4 내지 11 중량부, 사과 25 내지 35 중량부, 매실원액 25 내지 35 중량부 및 양파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아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재워 2℃ 내지 6℃에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 내지 200℃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히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쌍화차 졸임소스에 졸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쌍화차는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5 내지 15 중량부, 숙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천궁 5 내지 15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계피 3 내지 12 중량부, 감초 3 내지 12 중량부, 생강 2 내지 8 중량부 및 대추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쌍화차 졸임소스는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맛술 2 내지 8 중량부, 간장 0.5 내지 3.5 중량부, 설탕 0.4 내지 1.2 중량부, 당귀 0.2 내지 0.6 중량부 및 감초 0.2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75℃ 내지 90℃로 5분 내지 7분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단계는 90℃ 내지 100℃의 센불에서 3분 또는 75℃ 내지 90℃의 중불에서 5분 동안 졸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에 의하면, 돼지고기의 누린내를 잡아 맛과 향이 우수하며, 한약에 대한 취식거부감을 해소함과 동시에 한약재의 성분에 의하여 건강에 좋은 한방삼겹살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에 의하면, 사과 및 매실원액을 포함한 쌍화차 숙성소스로 삼겹살을 숙성시킴으로써 쌍화차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쌍화차는 백작약, 숙지황, 감초, 황기, 당귀, 천궁, 계피, 작약 등의 나무껍질, 줄기, 열매, 뿌리 등을 함께 넣어 끓이는 차로, 당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A 등의 많은 유용한 성분들이 들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숙지황, 당귀, 천궁, 작약, 계피, 감초, 황기를 쌍화차의 재료로 소개하고 있다. 쌍화차는 이 일곱 가지 재료를 체질에 맞게 적당한 비율로 섞어 오랫동안 달인 것을 말하는데, 가정에서는 찻주전자(4 내지 5컵)에 각 재료를 한 큰 술씩 넣고 2시간 정도 푹 달여 마시면 된다. 여기에 기호에 따라 진피, 갈근, 황정(둥굴레) 등을 조금씩 넣어도 된다.
쌍화차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크다. '쌍화(雙和)'라는 이름이 붙은 것도 음과 양의 두 기운을 조화시킨다는 뜻에서다. 피로를 쉽게 느끼거나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 병치레 후 몸이 허약해진 사람이 장복하면 감기 몸살 없이 겨울을 건강하게 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쌍화차는 기혈이 나빠 몸과 마음이 피곤하거나 힘든 일을 하고 난 후에 혹은 초기 감기에 마시면 피로가 풀어지고 몸이 가벼워진다. 그리고 큰 병을 앓고 난 후나 몸이 쇠약해져 원기가 없고 식은땀을 자주 흘릴 때 또는 부부가 성관계 후에 허리가 아플 때 꾸준히 마시면 효과적이다. 특히, 여름철에 더위를 자주 타는 사람이 매일 한 잔씩 마시면 더위를 잊고 지낼 수 있다.
이러한 쌍화차는 진한 약성분을 내는 탕약으로서의 쌍화탕보다 가볍게 차로써 음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체력을 증진시켜 주는 쌍화탕의 효능은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서도 물의 함량을 높이고 진한 맛과 향을 일부 배제하여 음용하기 용이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하 쌍화차에 포함되는 재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양혈유간, 완중지통, 렴음수한의 효능이 있으며, 흉복협특동통, 사리복통, 자한도한, 음허발열, 월경부조, 붕루, 대하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숙지황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지황(Rehmannia glutinasa LIBOSCH)의 뿌리줄기를 가공증쇄한 것으로 자음보혈, 익정진수의 효능이 있으며, 간신음허, 요슬산연, 골증조열, 도한유정, 내열소갈, 혈허위황, 심계정충, 월경부조, 붕루하열, 현훈, 이명, 빈발조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Oliv.) Diels :中國當歸] 및 왜당귀[Angelica acutiloba(Sieb. & Zuc.) Kitagawa]로 분류되어 진다. 이는 조혈작용, 자궁발육 촉진, 말초순환장애 개선, 진통작용, 염증억제 등의 효과가 있다.
천궁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활형행기, 거풍지통의 효능이 있으며, 월경부조, 징가복통, 흉협자통, 질박종통, 두통, 풍습비통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황기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익위고표, 이수소종, 탁독, 생기의 효능이 있으며, 자한, 도한, 혈비, 부종, 옹저불궤, 유구불렴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계피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로, 약의 맛은 맵고 단맛이 나며 약성은 열성이다. 효능은 비위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므로 소화기가 차서 소화장애가 있거나 복부가 차서 일어나는 복통 설사 등 에 널리 이용된다. 뿐만 아니라 배가 차서 일어나는 구토에도 신속한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풍습성(風濕性)으로 인한 사지마비와 동통을 그치게 하고, 허리나 무릎이 차고 시리면서 아픈 신경통과 관절 질환에도 널리 응용된다. 또한, 산후에 출혈이 계속되거나 오래된 이질과 대변시에 출혈되는 증상을 개선시키기도 한다. 이외에도 콩팥기능 감퇴증상에도 효력이 높고 하복부가 차면서 방광염이 자주 발생하는 질환에도 활용되고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그 맛이 달기 때문에 감초라 한다. 모든 약의 독성을 없애주고 모든 약물과 배합이 잘 되어 중화작용을 하므로 한약재, 한방재료가 사용되는 것에는 함께 사용되어 약재를 조화시키고 그 기능과 효과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설탕 당도의 50배에 달하는 당 성분 때문에 한때는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뿌리를 씹거나 빨아 먹으면 목의 통증이 완화되고 감기 징후가 낫는다고 해서 감기약으로도 유용하게 쓰이며, 변비에도 효과가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은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재워 저온숙성하는 단계(S200), S200 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 내지 200℃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히는 단계(S300) 및 S300 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쌍화차 졸임소스에 졸이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쌍화차 숙성소스 및 쌍화차 졸임소스에 포함되는 쌍화차는 백작약, 숙지황, 천궁, 황기, 계피, 감초, 생강 및 대추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쌍화차에 포함되는 한약재의 구성 비율은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5 내지 15 중량부, 숙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천궁 5 내지 15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계피 3 내지 12 중량부, 감초 3 내지 12 중량부, 생강 2 내지 8 중량부 및 대추 2 내지 8 중량부일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꿀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쌍화차를 이용하였으나 쌍화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쌍화탕을 이용하는 경우 쌍화탕의 향을 감소시키고 농도를 연하게 하기 위하여 쌍화탕 1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 내지 25 중량부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S100)는 삼겹살을 재워 저온숙성시키기 위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쌍화차 숙성소스는 쌍화차, 마늘, 생강, 된장, 사과, 매실원액 및 양파가 포함될 수 있다. 쌍화차에 포함되는 한약재 중 숙지황은 소화장애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화불량이나 설사, 복통 등이 유발되기도 하므로, 특히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복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에 포함되는 사과는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과일로서,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 주는 구연산과 주석산과 같은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강장식품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과를 먹으면 소화흡수를 돕고 변통과 정장에 효과가 있다.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에 포함되는 매실원액은 특유의 신맛이 소화기관에 영향을 주어 위장, 십이지장 등에서 소화액을 내보내게 한다. 또한, 매실원액은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정상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위산과다와 소화불량에 모두 효험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쌍화차 숙성소스는 누린내를 제거하는 마늘, 생강, 된장 및 양파와 더불어 사과 및 매실원액을 쌍화차와 혼합하여 갈아서 제조함으로써 쌍화차에 포함되는 숙지황으로 인한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쌍화차의 특유의 향으로 인한 취식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삼겹살의 풍미를 올리고 육질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는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1 내지 17 중량부, 생강 4 내지 11 중량부, 된장 4 내지 11 중량부, 사과 25 내지 35 중량부, 매실원액 25 내지 35 중량부 및 양파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아서 제조할 수 있다.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사과 및 매실원액을 25 중량부 이하로 구성되는 경우 숙지황의 부작용을 개선하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35 중량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과 및 매실원액의 맛과 향이 쌍화차의 맛과 향보다 더 지배적이었다.
쌍화차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재워 저온숙성하는 단계(S200)는 S100 단계에서 제조된 쌍화차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재워 저온숙성하는 단계이다.
삼겹살을 재우는 방법은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를 붓으로 표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재우거나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를 분무기를 이용하여 골고루 뿌려서 재울 수 있다. 또한, 소스가 삼겹살에 스며든 후에 진공포장 하거나 랩으로 밀폐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삼겹살을 숙성시키는 온도는 고기의 누린내를 제거하고 식감을 부드럽게 하는 마리네이드 효과(Marination)를 고려할 때 2℃ 내지 6℃의 저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삼겹살을 숙성시키는 시간은 24시간 내지 48시간이 바람직하다. 24시간 이하이면 상기 쌍화차 숙성소스의 침투가 적고 숙성이 덜 되며, 48시간 이상이면 삼겹살이 너무 많이 숙성되어 식감이 흐물흐물해진다.
다음으로, S200 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삼겹살을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 내지 200℃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히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감초, 당귀 및 황기는 쌍화차에 포함되는 한약재 중에서도 맛과 향이 달콤하므로,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삼겹살을 올려 익히게되면 삼겹살의 풍미와 향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삼겹살의 밑바닥이 오븐 팬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븐에 익히기 전에 삼겹살을 호일로 덮음으로써 고기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육즙이 최대한 보존되게 할 수 있으며, 고기의 겉면이 탄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삼겹살을 오븐에 익히는 온도 및 시간은 고기의 익힘정도를 고려할 때 180℃ 내지 200℃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S300 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쌍화차 졸임소스에 졸이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쌍화차 졸임소스는 쌍화차, 맛술, 간장, 설탕, 당귀 및 감초를 혼합하여 일정 온도 및 일정 시간에서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맛술 2 내지 8 중량부, 간장 0.5 내지 3.5 중량부, 설탕 0.4 내지 1.2 중량부, 당귀 0.2 내지 0.6 중량부 및 감초 0.2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한 후에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소스의 농도 및 풍미를 고려할 때 75℃ 내지 90℃로 5분 내지 7분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를 거친 삼겹살은 삼겹살의 식감 및 풍미를 고려할 때 상기 쌍화차 졸임소스에 90℃ 내지 100℃의 센불에서 3분 또는 75℃ 내지 90℃의 중불에서 5분 동안 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S400 단계를 거쳐 졸여진 삼겹살은 오븐에서 구워진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면서 쌍화차 졸임소스의 맛과 향이 삼겹살에 골고루 배어 풍미와 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실시예>
쌍화차 35g, 마늘 50g, 생강 25g, 된장 30g, 사과 102g, 매실원액 102g 및 양파 125g를 혼합하여 갈아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한다. 쌍화차 숙성소스에 삼겹살 600g을 재워 6℃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킨다.
숙성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에서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힌다.
쌍화차 200g, 맛술 100g, 간장 40g, 설탕 16g, 당귀 7g 및 감초5g를 혼합하여 90℃에서 5분간 끓여 쌍화차 졸임소스를 제조한다. 쌍화차 졸임소스에 오븐에서 익힌 삼겹살을 75℃에서 5분 동안 졸인다.
<비교예>
사과 및 매실원액을 제외하고 쌍화차 35g, 마늘 50g, 생강 25g, 된장 30g 및 양파 125g를 혼합하여 갈아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한다. 쌍화차 숙성소스에 삼겹살 600g을 재워 6℃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숙성시킨다.
숙성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에서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힌다.
쌍화차 200g, 맛술 100g, 간장 40g, 설탕 16g, 당귀 7g 및 감초5g를 혼합하여 90℃에서 5분간 끓여 쌍화차 졸임소스를 제조한다. 쌍화차 졸임소스에 오븐에서 익힌 삼겹살을 75℃에서 5분 동안 졸인다.
<관능 검사>
관능검사를 위해서 전주대학교에서 모집한 30명(20대, 30대, 40대 각 10명씩),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기호도 측면에서 색감, 향, 맛, 식감 및 복부 불편감을 평가하였으며, 정도 측면에서 색감, 향, 맛, 식감 및 복부 불편감을 평가하였다.
특성 실시예 비교예



색감 5.05±1.15 4.87±1.33
6.56±1.14 5.25±1.21
6.11±1.31 4.92±1.25
식감 6.15±1.02 5.90±1.11
복부 불편감 5.48±1.25 3.86±1.01




색감 5.32±1.12 5.11±1.17
5.41±1.21 5.92±1.13
4.72±1.20 5.21±1.32
식감 4.52±1.04 4.92±1.17
복부 불편감 3.79±1.11 5.87±1.04
관능검사에서 사용된 기호도 검사방법은 7점 척도법으로 1점 '대단히 나쁘다.', 2점 '나쁘다', 3점 '조금 나쁘다', 4점 '보통이다.', 5점 '조금 좋다', 6점 '좋다', 7점 '아주 좋다'로 진행하였고, 정도는 1점 '대단히 연하다/무르다', 2점 '연하다/무르다', 3점 '조금 연하다/무르다', 4점 '보통이다', 5점 '조금 진(강/퍽퍽)하다', 6점 '진(강/퍽퍽)하다', 7점 '대단히 진(강/퍽퍽)하다'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으로서,
    (a)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14.2 중량부, 생강 7.1 중량부, 된장 8.5 중량부, 사과 29.1 중량부, 매실원액 29.1 중량부 및 양파 35.7 중량부를 혼합하여 갈아서 쌍화차 숙성소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숙성소스에 삼겹살을 재워 2℃ 내지 6℃에서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저온숙성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감초, 당귀 및 황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깔린 오븐 팬에 올리고 호일로 덮은 후에 180℃ 내지 200℃ 에서 50분 내지 1시간 동안 오븐에서 익히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거친 삼겹살을 쌍화차 졸임소스에 졸이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쌍화차는 백작약 10 중량부에 대하여 당귀 5 내지 15 중량부, 숙지황 5 내지 15 중량부, 천궁 5 내지 15 중량부, 황기 5 내지 15 중량부, 계피 3 내지 12 중량부, 감초 3 내지 12 중량부, 생강 2 내지 8 중량부 및 대추 2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쌍화차 졸임소스는 쌍화차 10 중량부에 대하여 맛술 2 내지 8 중량부, 간장 0.5 내지 3.5 중량부, 설탕 0.4 내지 1.2 중량부, 당귀 0.2 내지 0.6 중량부 및 감초 0.2 내지 0.6 중량부를 혼합하여 75℃ 내지 90℃로 5분 내지 7분 가열하여 제조되고,
    상기 (d)단계는 90℃ 내지 100℃의 센불에서 3분 또는 75℃ 내지 90℃의 중불에서 5분 동안 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067083A 2017-05-30 2017-05-30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KR10194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83A KR101940620B1 (ko) 2017-05-30 2017-05-30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083A KR101940620B1 (ko) 2017-05-30 2017-05-30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94A KR20180130894A (ko) 2018-12-10
KR101940620B1 true KR101940620B1 (ko) 2019-01-21

Family

ID=6467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083A KR101940620B1 (ko) 2017-05-30 2017-05-30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981B1 (ko) * 2020-07-07 2020-11-06 김성윤 훈제생강을 포함하는 육류 조리용 한방진액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725B1 (ko) * 2004-02-18 2005-10-26 (주)이씨지프렌즈 돼지고기 숙성장(熟成醬) 및 그것을 이용한 돼지고기 수육조리법
KR20050104531A (ko) * 2004-04-29 2005-11-03 진문기 한방 숙성 삼겹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94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9146B (zh) 一种清肺化痰补气健脾养肺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495282B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CN105831594A (zh) 一种香麻辣条及其制备方法
KR20060101704A (ko) 생약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2755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
KR101940620B1 (ko)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KR101338560B1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KR100952581B1 (ko) 팔보오리탕 제조방법
KR20160013229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497226B1 (ko) 생리 통증 완화용 한약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02852B1 (ko) 전통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 쌍화차
KR102151925B1 (ko) 총명 쿠키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쿠키
KR20090038595A (ko) 보양식 순대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KR101694431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한방 혼합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66475A (zh) 一种芥末风味保健三文鱼罐头
CN110833110A (zh) 一种十八味古方湿茶
KR10081533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760B1 (ko) 중풍 및 혈전 치료, 예방용 약재 조성물
KR102189949B1 (ko)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KR102233135B1 (ko) 발효 녹용 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 쌍화차
KR102607521B1 (ko) 흑염소 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218991B1 (ko) 총명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차
CN107821914A (zh) 一种羊肉扣肉的制作方法
KR102218990B1 (ko) 총명쌍화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총명쌍화차
CN107047868A (zh) 一种姜枣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