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40B1 -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40B1
KR101250440B1 KR1020100132156A KR20100132156A KR101250440B1 KR 101250440 B1 KR101250440 B1 KR 101250440B1 KR 1020100132156 A KR1020100132156 A KR 1020100132156A KR 20100132156 A KR20100132156 A KR 20100132156A KR 101250440 B1 KR101250440 B1 KR 10125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p
weight
medicinal
extract
addi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727A (ko
Inventor
조용식
박신영
최윤희
김은미
이경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0013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CLP-1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기 40 내지 60 중량%, 백출 20 내지 40 중량%, 진피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CLP-2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시호 10 내지 30 중량%, 백작약 20 내지 40 중량%, 황금 10 내지 30 중량%, 산사 20 내지 4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CLP-3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산조인 20 내지 40 중량%, 생지황 15 내지 35 중량%, 당귀 15 내지 35 중량%, 울금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추출하여 상기 CLP-1, CLP-2, CLP-3 총 3종의 추출물을 유동 엑기스, 건조분말 또는 과립분말 형태로 제형화 하여 약선음식에 첨가할 수 있게 하고, 특히 관능평가를 통하여 식품의 식감을 좋게하면서도 상기 약용식물의 건강증진 효과를 편리하게 얻을 수 있어 약용식물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 음식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Food Additives made from medicinal heral plants and their pr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약용식물 재료를 주성분으로 한 조리음식용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강증진을 위해 효과가 알려진 약용식물을 혼합하여 이를 조리하는 음식에 이용할 수 있는 유동 엑기스(Ext.), 분무건조(SD)분말, 과립형분말 형태로 제형화 하고 이를 통하여 일반 조리식품을 섭취할 때 혼합 약용식물의 효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조리음식용 식품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약용식물은 일반적으로 한약으로서 탕제 형태로 이용되는데, 이는 통상 용기에 약재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넣은 뒤 가열하여 약재가 우러난 약물을 일컫는다. 일종의 열수추출물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탕약은 한의사 등의 처방을 얻어 한약으로서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외에 일반 건강보조재로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따라서, 상기의 약용식물이 전통적으로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대중이 간편하게 이를 섭취하는데 곤란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약용식물의 대중화를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엑기스 형태나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섭취할 수 있는 건강보조제가 출시된 바 있다. 다만 이러한 형태의 건강보조제는 별도로 복용해야 하는 부담과 약용식물 특유의 냄새 등의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별도의 건강보조재 형태보다는 식품에 상기의 약용식물을 첨가하여 보다 간편하게 대중화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구체적인 선행기술을 보면,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출원번호: KR 특1996-044038), 클로렐라 성분이 함유된 해조류와 야채류 혼합물의 분말 및 이를 첨가한 식품의 제조방법(출원번호: KR 특1996-076872), 식품 조미료의 제조방법(출원번호: 10-2000-0026257), 한방재료, 허브 및 해초를 함유한 한방식품 조성물(출원번호: KR 10-2000-0058151), 체중조절용 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출원번호: KR 10-2001-0017335), 약이 되는 물질을 함유한 곡류가공식품의 제조방법(출원번호: KR 10-2002-0010061), 약이 되는 물질을 함유한 생식분말식품의 제조방법(출원번호: KR 10-2002-0025168), 한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출원번호: KR 10-2002-0048657), 건강보조 조미료와 그 제조방법(출원번호: KR 10-2005-0075567),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출원번호: KR 10-2005-0101134), 한방의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식품첨가제(출원번호: KR 10-2005-0125028), 숯의 효능을 부가한 식품첨가제(출원번호: KR 10-2006-0027323), 남성용 또는 여성용 밥과 국(출원번호: KR 10-2009-0055367) 등이 있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약용식물 또는 한방재료를 단순히 식품화 한 것으로 그 중심을 건강증진 또는 특정한 효능을 목적에 둠으로서 식품으로 대중화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약용식물 또는 한약재의 사용에 따른 식품의 맛을 고려하지 않아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건강보조제를 넘어설 수 없는 태생적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첨가되는 약용식물 또는 한약재도 한가지 형태가 대부분이었으며, 혼합되는 경우에도 건강증진목적에만 초점을 두거나 단순히 건강에 효능이 좋다는 곡물을 더 첨가한 형태에 지나지 않았고, 제형 역시 종래의 엑기스(Ext.)형태 또는 분말형태로서 다양화되지 못하였는데, 이는 약용식물의 효능이 농축공정 또는 건조공정 하에서 파괴되거나 저감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품첨가제로서 식품의 식감과 풍미에 어울리면서도 혼합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그 건강증진효과를 누리면서 이와 더불어 가공공정에 있어서도 약용식물이 가진 효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형태의 약용식물을 이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을 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약식동원(藥食同原)의 관점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증진을 위해 효과가 알려진 약용식물을 혼합하여 조리하는 음식에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유동 엑기스(Ext.), 분무건조(SD)분말 또는 과립분말 형태의 첨가제(이하, 약선음식용 첨가제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첫째로는 약용식물자원의 활용성 확대를 제고하고, 약용식물을 혼합하여 조리된 음식(이하, 약선식품라 한다)의 상품화 및 대중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가지며, 또한 둘째로는 약선음식은 약용식물 자체 또는 우린 물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약재의 오남용 문제와 불균일한 품질 등 약선음식 개발 및 소비확대에 장애요소를 해소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특히 셋째로는 상기의 약선음식에 첨가되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는 식품에 함유되어 약용식물의 건강효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음식의 식감을 더 뛰어나게 하여 편리하면서도 보다 기호성 높은 약선음식첨가제로서 대중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한 가지의 약용식물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약용식물의 혼합하여 추출하고, 이를 제형화 한 것으로, 우선, 혼합약용식물의 구성을 보면,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NUGE),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진피(Aurantii bobilis Pericarpium)를 혼합 추출하여 제조되는 CLP-1,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백작약(Paeonia lactiflora RALL),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를 혼합 추출하여 제조되는 CLP-2,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 당귀(Angelica sinensis DIELS), 울금(Curcuma longa LINNE)을 혼합 추출하여 제조되는 CLP-3로 구성된다.
상기 세가지 구성의 혼합추출물에 있어서, 추출물의 제조는 약용식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정선 및 세척하한 다음, 원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전처리 단계를 거쳐 상압추출 또는 가압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농축단계를 거쳐 완성된다.
이 때, 상기 CLP-1, CLP-2, CLP-3의 배합비에 대하여 CLP-1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기 40 내지 60 중량%, 백출 20 내지 40 중량%, 진피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CLP-2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시호 10 내지 30 중량%, 백작약 20 내지 40 중량%, 황금 10 내지 30 중량%, 산사 20 내지 4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CLP-3의 경우에는 약선음식용 첨가제를 위한 혼합약용식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산조인 20 내지 40 중량%, 생지황 15 내지 35 중량%, 당귀 15 내지 35 중량%, 울금 10 내지 3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황기란, 콩과(―科 Fab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뿌리로 가늘고 긴 원뿔형·원구형 또는 몽둥이 모양이고, 교질, 점액질, 전분, 자당, 포도당, 섬유소, 비타민 B 등의 성분을 가진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단을 가지는 데, 주로 비경(脾經)·폐경(肺經)에 작용하며, 아울러 신경(腎經)·대장경(大腸經)·삼초경(三焦經)에도 작용한다. 황기의 효능으로는 보기승양(補氣升陽)·고표지한(固表止汗)·이수소종(利水消腫)·탁독배농(托毒排膿) 등이 있다.
백출이란,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뿌리로서, 휘발성 정유와 비타민 A, 비타민 D를 함유하고 있다. 따뜻한 성질과 약간 향이 있고 독이 없으며, 맛은 약간 쓴맛을 가지는 단맛인데, 주로 비장과 위의 경락에 작용한다. 효능은 무력해진 소화기능을 도와 생기가 돌게 하고 몸을 무겁게 하는 여분의 습기를 말리며 소변이 잘 배출되도록 한다. 또 피부가 약해져서 헛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태반 및 태아를 안정시키는 작용 등을 한다. 또한, 사지가 붓거나 차고 얼굴색이 푸르며 식욕이나 기운이 없고 가만히 있어도 헛땀이 나는 등의 비장허약(脾臟虛弱) 증상을 다스리는 데, 특히 소아의 병후에 식욕부진·신체허약·자한 등의 증상이 있을 때 반드시 사용하는 중요한 한약재이다.
진피란, 귤나무의 성숙한 과실인 귤의 껍질을 말하는데, 휘발성 정유(精油), 헤스페리딘(플라본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 등을 함유하며,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쓰다. 주로 비경·폐경(肺經)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간경·위경(胃經)에도 작용한다. 이기건비(理氣健脾)·조습화담(燥濕化痰) 등의 효능이 있다. 진피는 소화불량에서 나타나는 복창완민(腹脹脘悶)·식욕부진·오심·구토 등 비위기체(脾胃氣滯)의 증상에 활용된다. 복부팽만이나 복통이 심할 때는 창출(瘡朮)·후박(厚朴)을 배합하는데 예를 들어 평위산(平胃散)을 사용한다. 또한, 가래가 많은 기침에도 쓰는데, 진한 백담(白痰)이 많이 나오고 흉복부가 편하지 못한 습담증상에는 진피로 이기화담(理氣化痰)하고 반하(半夏)를 배합하여 조습화담(燥濕化痰)의 효능을 증강시키며, 기관지염이나 상기도염에 쓰면 가래를 없애주고 기도(氣道)를 확장시키므로 호흡이 편해진다.
시호란,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한국 전역에 걸쳐 자생하고 일본·중국·만주·몽골·카프카스·시베리아에도 분포하는데, 한방에서는 뿌리를 시호라고 하여 말라리아, 황달의 치료 및 두통, 감기·고열·통증·흥분을 가라 앉히고, 간을 튼튼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백작약이란, 작약과(芍藥科 Paeon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산작약(Paeonia obovata)의 뿌리를 말하는데, 벤조산·수지·포도당·아스파라긴·전분 등을 함유하며, 찬기운이 약하게 있고 독이 없으며, 맛은 약간 매운맛이 도는 신맛을 가진다. 주로 간과 비(脾)의 경락에 들어가 작용하며, 주로 유간지통(柔肝止痛)·보혈보음(補血補陰)의 효능이 있다.
황금이란, 꿀풀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를 말하며, 식용·공업용·밀원용·관상용 등에 쓰이며 청열습조(淸熱濕燥)·사화해독·안태·위염·장염·진해 등에 사용하고 소염제·충혈제·해열제·건위제로 사용된다.
산사란, 장미과의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unge var. typica Schneider) 및 동속식물의 익은 열매를 말린 약재를 말하는데,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시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이는 비위를 따뜻하게 하여 소화를 촉진하며 고기를 먹고 체했을때 효과가 있고 복통, 구토, 설사, 위산과다, 만성장염등에 사용한다. 또한 혈분에 작용하여 혈의 흐름을 돕고 어혈을 없애주며, 약리작용으로 강심작용, 혈액순환개선 작용, 혈압강하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산조인이란, 갈매나무과의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의 씨로 만든 약재를 말하는데, 약한 기름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 이는 신경과민, 불면증, 건망증, 식은땀 등에 사용한다. 또한 비위를 튼튼하게 하고 빈혈에 효과가 있으며, 약리작용은 진정, 최면, 혈압강하, 진통, 체온강하작용, 항산화작용, 면역항진작용, 자궁흥분작용, 화상환부부종억제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생지황이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지황의 뿌리를 말한다. 자음(滋陰), 생혈(生血), 청열(淸熱), 양혈(凉血), 생진(生津), 소어(消瘀), 살충(殺蟲)하는 약재이다.
당귀란,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한약재인 당귀의 뿌리를 말하는데, 정유(精油), 자궁흥분성 성분, 자당, 비타민 E 등을 함유하며, 성질이 온(溫)하고 독이 없으며, 신맛과 단맛이 나는데 약간 쓴맛을 가진다. 보혈조경(補血調經)·활혈지통(活血止痛)·윤장(潤腸) 등의 효능을 가지는데, 특히 부인과의 주약(主藥)이며, 주로 월경조정에 사용한다. 또한, 생리통과 무월경, 생리불순에도 효과가 가지며, 동계(動悸)·건망·불면·정신불안 등의 심혈허(心血虛) 증상에는 당귀로 보혈하고 진정시키고, 비혈허(脾血虛)로 인해 몸이 마르고 초췌해 보일 때에는 당귀로 양혈건비(養血健脾)하며, 어지럽고 눈이 아물거리고 귀에서 소리가 나고 근육경련이 있을 때도 당귀를 써서 양혈(養血)·양간(養肝)한다. 어혈(瘀血)에 사용하는데 타박, 염좌(捻挫) 등의 외상이나 혈관질환으로 인해 생긴 내출혈, 혈류정체, 종장(腫腸), 통증에 대해서 혈액순환을 개선·진통시켜 치료에 효과를 가지며, 허한(虛寒)으로 인해 기혈어체(氣血瘀滯)가 되어 생긴 복통(腹痛)에도 적합하다.
울금이란, 생강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덩이뿌리를 말하는데, 이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씹으면 침을 누렇게 물들이며 자극성을 나타내며, 찬 성질과 맵고 쓴 맛을 가진다. 또한 이는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통증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하며, 약리작용으로서 담즙분비, 배설 촉진, 관상동맥안의 반괴형성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CLP-1, CLP-2, CLP-3의 혼합약용식물의 추출물에 대한 제형으로는 상기 추출물을 40 내지 60°Bx로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유동엑기스(Ext.), 추출물을 12°Bx로 감압농축후 분무건조하여 제조 분무건조(SD)분말, 포도당을 부형제로 과립화한 후 40 내지 6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제조한 과립분말의 세가지 제형으로 각 상기 혼합추출물의 제형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건강 증진 효과가 널리 알려진 약용식물을 혼합추출 및 제형화 하여 상기의 약용식물의 성분이 함유된 별도의 음료나 엑기스 등을 섭취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보다 편리하게 조리용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가공에 있어서도 최대한 건강효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처리하여 보다 효과적인 약선 식품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의 CLP-1, CLP-2, CLP-3의 배합비는 관능평가를 통하여 우수한 관능적 기호도에 초점을 두었는 바, 상기의 편리성과 함께 이러한 약선식품 첨가제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는 약용식물자원의 활용성 확대 및 약선식품 상품화 기술 개발에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약재의 오남용과 불균일한 품질에 따른 그 부작용 제거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장래의 약선음식 개발에 밑거름이 되고, 소비확대에 중요한 초석이 될 수 있다.
도 1은 약용식물 적용형태별 약선음식(백미밥) 품질균일성 비교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첨가제용 원료추출물의 수율에 미치는 추출조건의 영향(60 °Bx 기준)에 관한 것으로 좌측의 그래프는 추출횟수의 효과, 우측의 그래프는 추출온동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추출조건에 따른 원료추출물의 갈색도 변화에 관한 것으로 좌측의 그래프는 추출온도조건, 우측의 그래프는 추출횟수조건을 나타낸다.
도 4는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별 종류 및 외관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약선음식용 첨가제가 제형별로 적용된 약선 밥에 대한 것으로 상측의 도면은 조리절차, 하측의 도면은 그 외관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약선음식용 첨가제가 제형별로 적용된 백미 죽에 대한 것으로 상측의 도면은 조리절차, 하측의 도면은 그 외관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약선음식용 첨가제가 제형별로 적용된 약선 우동(국물)에 대한 것으로 상측의 도면은 조리절차, 하측의 도면은 그 외관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백미밥의 색도에 미치는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효과에 대한 것이다.
도 9는 약선음식용 첨가제 농도가 백미밥의 항산화 활성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것으로 A는 폴리페놀 함량, B는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약선음식용 첨가제 농도가 백미밥의 수분함량(A)과 물결합력(B) 및 팽윤력(C)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도 11은 약선식품용 첨가제 제형별 포장방안에 관한 것으로 상측은 유리형태의 포장 사례이고, 하측은 필름 형태의 포장 예이다.
도 12는 약선식품용 첨가제 적용 가공식품 상품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약식동원의 관점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증진을 위해 효과가 알려진 약용식물을 혼합하여 조리하는 음식에 간편하게 이용가능한 유동 엑기스, 분무건조(SD)분말, 과립형태의 3종의 제형으로 한 약선음식용 첨가제에 대한 것이다.
약선음식용 첨가제에 원재료가 되는 약용식물은 황기, 백출, 진피의 혼합구성 CLP-1, 시호, 백작약, 황금, 산사의 혼합구성 CLP-2, 산조인, 생지황, 당귀, 울금의 혼합구성 CLP-3로서 3종의 혼합약용식물 구성으로 각각 상기 3가지 제형에 따라 약선음식용 첨가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1-1. 추출물의 제조와 배합비
약물식물자원 11종을 활용한 3종의 배합비(CLP-1, CLP-2, CLP-3)에 대하여, 원료를 정선하고, 세척한 뒤에 절단 및 혼합과정을 거친다. 이후 이를 추출 및 여과하여 추출물을 얻는 과정으로 상기 약선음식용 첨가제 제조를 위한 추출물이 얻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추출물에 대한 CLP-1, CLP-2, CLP-3의 바람직한 배합비와 첨가량 예시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추출물 제조를 위한 약용식물과 배합비
약용식물 배합비(w%) 첨가량 예시(g/100g 중량)

CLP-1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NUGE) 40~60 50
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20~40 30
진피(Aurantii bobilis Pericarpium) 10~30 20

CLP-2

시호(Bupleurum falcatum LINNE) 10~30 20
백작약(Paeonia lactiflora RALL) 20~20 30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10~30 20
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 20~40 30

CLP-3

산조인(Zizyphus jujuba MILL) 20~40 30
생지황(Rehmannia glutinosa LIBOSCH) 15~35 25
당귀(Angelica sinensis DIELS) 15~35 25
울금(Curcuma longa LINNE) 10~30 20
1-2. 구체적인 추출물의 제조 방법
약용식물자원 11종 활용 배합비 3종(CLP-1, CLP-2, CLP-3)을 재료로 하여 상압추출 또는 가압추출에 의하며 추출회수는 1 내지 4회 수행한다.
1-2-1. 시료의 전처리
약용식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정선하고, 생 시료 또는 필요한 경우 흐르는 물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탈수하여 원료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분말이나 너무 작게 세절할 경우 추출물이 혼탁해 질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 그 뒤에 원료 종류별로 평량하고 구성비에 따라 혼합한다.
1-2-2. 추출공정
상업용 전자약탕기를 이용하여 상압추출에 의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원료 혼합물을 여과포에 담아 전자식 약탕기에 여과포에 담은 원료 혼합물과 물을 가한 다음 추출하는데, 추출 절차는 약탕기 제조사의 절차를 준수하고 별도의 끓는 물을 준비하여 추출과정 동안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한 수분손실을 보충한다. 이후 추출이 종료되면 그 즉시 여과체(400 mesh)를 이용하여 여과액을 여과한다. 여과액을 80℃ 이하에서 감압농축(760mmHg)에 의해 농축한다.
다음으로 환류냉각관 부착 추출기를 이용하여 상압추출에 의하는 경우에는 일정량의 원료 혼합물을 원형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원료 혼합물과 8배의 물을 가한 다음 환류 냉각관을 부착하고 80℃와 또95℃ 수조상에서 각각 8시간씩 추출한다. 이후, 추출이 종료되면 그 즉시 여과체(400 mesh)를 이용하여 여과액을 여과한다.상기의 과정을 4회 반복하고, 여과액을 80℃ 이하에서 감압농축(760mmHg)에 의해 농축한다.
또한 가압추출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료 혼합물과 10배의 물을 가한 다음 121℃에서 4시간 추출하며, 추출이 종료된 즉시 여과체(400 mesh)를 이용하여 여과액을 여과한다. 이후 여과액을 60℃ 이하에서 감압농축(760mmHg)에 의해 농축한다.
[ 실시예 2]
제형의 제조
2-1. 유동 엑기스(Ext.)의 제형 제조
상기 CLP-1, CLP-2, CLP-3 추출물에 대하여 30 내지 80°Bx까지 감압농축 하여 제조한다.
2-2. 분무건조(SD)분말의 제형 제조
상기 CLP-1, CLP-2, CLP-3 추출물에 대하여 5 내지 40°Bx까지 바람직하게는 12°Bx까지 감압농축한 후에 히터 161℃, 챔버 58℃, 배풍 88℃에서 분무 건조(노즐Type)하여 제조하며, 분말화 부형제로는 덱스트린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농축없이 상기 덱스트린에 용해한 후에 분무건조한다.
2-3. 과립분말의 제형 제조
상기 CLP-1, CLP-2, CLP-3 추출물에 대하여 30 내지 80°Bx까지 감압농축한 후에 포도당을 부형제로 혼합하여 과립화한 후 60℃에서 12시간 건조하여 제조한다.
2-4. 제형별 외관 및 관능적 기호도
상기 CLP-1, CLP-2, CLP-3 추출물을 원료로 유동엑기스, 분무건조분말, 과립형분말 제형으로서 도 4와 같이 제조하였는데, 과립형 첨가제의 관능적 기호도는 CLP-3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유동 Ext.의 적정 적용농도는 표 2와 같이 10%의 경우가 관능적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첨가제의 농도가 과립형 제제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추출물의 농도(60°Bx)
8% 10% 12%
6.5 ±1.3a 7.1±1.0a 6.3±1.5a
냄새 5.7 ±1.1a 5.9±1.2a 5.9±1.6a
단맛 6.0±1.9a 6.1±1.3a 5.2±1.4a
쓴맛 4.7±1.3a 4.9±1.6a 4.9±1.2a
신맛 4.4±1.1a 4.9±1.4a 4.5±1.6a
종합기호도 6.1±1.7a 6.5±1.3a 5.3±1.7a
[ 실시예 3]
약용식물 적용형태별 약선음식 ( 백미밥 ) 품질균일성 비교
약용식물 적용형태를 약용식물 원료자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약용식물의 마쇄분말을 적용하는 경우 첨가제(유동 엑기스)를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약용식물 적용형태별 약선음식(백미밥) 품질균일성 비교에 관한 도 1을 참고하며, 약용식물 적용형태별 약선음식(백미밥)의 외관적 품질은 첨가제 적용이 가장 우수하였는데, 이는 조리음식의 품질균일성과 원료이용율 측면에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며 액상형태 또는 용해성 높은 분말로서 조리음식 유형에 따른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 실시예 4]
약용식물 혼합원료의 추출특성
소정의 배합비에 의거하여 3종(CLP-1, CLP-2, CLP-3)의 약용식물자원 혼합물을 구성하고 추출온도와 추출차수에 따른 수율과 갈색도를 비교하였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용식물자원 혼합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차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총 수율은 CLP-2가 65%로 가장 많았으며 1차 추출에서 76%의 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온도에 따른 수율은 전자약탕기에 의한 상업적 추출이 CLP-1과 CLP-2의 경우 가장 낮았으나, 이와 달리 CLP-3는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상업적 추출은 시간대비 추출수율이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약용식물자원 혼합추출물의 갈색도는 도 3과 같이 95℃ 열수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높았고 추출 차수가 증가하면 갈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별 품질특성 비교
유동 엑기스(Ext.)형 첨가제의 폴리페놀함량은 표 3과 같이 CLP-2가 g당 11 내지 12 mg을 함유하여 가장 많았고, CLP-1과 CLP-3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동 엑기스(Ext.)형 첨가제는 99%의 용해도를 보였으며 투과도는 CLP-3가 52 내지 68%로 가장 낮았으며 색도는 추출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80℃보다 95℃에서 추출한 경우 적색도와 황색도가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동 엑기스(Ext.)형 첨가제의 품질특성
추출온도 (℃) 80 95 상업적 추출
첨가제 종류 CLP-1 CLP-2 CLP-3 CLP-1 CLP-2 CLP-3 CLP-1 CLP-2 CLP-3
폴리페놀 함량 (mg/g) 8.47 11.21 8.01 8.76 11.44 7.74 9.04 12.00 7.65
용 해 도 (%)* 99.0 99.1 99.3 99.3 99.1 98.9 99.4 98.9 98.9
투 과 도 (660 nm)* 84.37 84.74 52.63 88.03 81.25 62.19 79.99 85.59 68.3
갈 색 도(420 nm)* 1.67 2.45 2.94 2.38 1.95 2.71 2.94 2.38 1.70
색 도* 명 도(L) 83.12 70.00 56.33 80.23 84.07 64.41 79.95 82.38 69.30
적색도(a) 14.72 19.15 28.86 17.77 15.04 24.82 16.60 15.30 21.85
황색도(b) 61.81 61.43 71.60 67.71 66.61 64.88 63.64 63.79 63.26
색 차(ΔE) 65.74 71.01 88.70 72.74 70.12 78.06 68.76 67.92 73.64
(* 10% 용액으로 용해하여 분석한 결과)
분말형 첨가제의 폴리페놀 함량은 표 4와 같이 Powder A의 CLP-2 시료가 g 당 11 mg으로 가장 많았고 CLP-1 과립이 1.48 mg/g으로 가장 적게 함유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분말형 첨가제는 98 내지 99%의 용해도를 보였는데, 과립형 첨가제는 투과도와 명도가 높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 및 갈색도가 낮았다.
분말 및 과립형 첨가제의 품질특성
제형 종류 SD 분말 A SD 분말 B** 과 립
첨가제 종류 CLP 1 CLP 2 CLP 3 CLP 1 CLP 2 CLP 3 CLP 1 CLP 2 CLP 3
폴리페놀 함량 (mg/g) 9.89 11.10 9.22 2.28 5.56 1.68 1.48 3.08 1.65
용 해 도 (%)* 99.3 99.2 98.9 99.2 99.2 99.3 99.4 99.2 99.1
투 과 도 (660 nm)* 73.65 79.2 47.54 95.31 95.75 92.62 97.23 96.55 92.85
갈 색 도(420 nm)* 2.868 5.014 3.284 0.367 0.726 0.289 0.197 0.369 0.233
색 도* 명 도(L) 72.10 74.11 50.71 96.01 95.20 93.79 97.57 97.15 94.57
적색도(a) 23.87 23.77 30.40 2.96 3.40 4.43 1.62 1.72 3.38
황색도(b) 77.65 81.51 69.83 19.96 28.44 18.19 12.09 16.52 14.52
색 차(△E) 85.89 88.77 90.72 20.57 29.04 19.72 12.44 16.85 15.86
(* 10% 용액으로 용해하여 분석한 결과. ** 부형제가 첨가된 SD(분무건조) powder sample)
[ 실시예 6]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음식유형별 조리적성
첨가제 3종의 음식유형별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도 5 내지 7과 같은 절차에 따라 밥과 죽 및 우동국물에 첨가하여 조리한 다음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첨가제 3종에 대한 유동엑기스(Ext.)와 분무건조(SD)분말의 약선조리식품 적용조건은 1일 3식 기준으로 1식 당 유동엑기스(Ext) (60°Bx)의 경우 3.3g, SD분말은 2g 으로 적용하였으며 대조구(비농축 전자약탕기 추출물)는 유동 엑기스(60°Bx) 3.3g에 상당량인 1식당 40g을 적용하였다(유효효능 섭취량 : 동결건조 추출물 6g/1일/3식/60 kg 성인).
첨가제 3종을 적용한 백미밥의 관능적 특성은 표 5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기호도를 나타냈고 대조구(비농축 전자약탕기 추출물)와 기호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SD분말을 적용한 밥의 기호도가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8 내지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첨가제 3종을 적용한 백미죽의 관능적 특성은 모든 평가항목에서 보통이상의 기호도를 나타냈고 대조구와 첨가제 제형에 따른 기호도의 차이는 없었다.
표 11 내지 13을 참고할 때, 우동국물에 대한 첨가제 3종을 적용성을 관능적으로 평가한 결과 CLP-1의 경우 대조구의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았고(p<0.05) CLP-2과 CLP-3는 대조구와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유동엑기스(Ext.)를 적용한 경우가 기호도가 높았으며, 상의 결과들을 통하여 약선 밥(갱)과 약선 죽(미) 및 약선면(우동국물)에 대한 첨가제의 조리편이성과 활용성을 제시하면서 가정 또는 생산업체에서 약선식품 제조에 활용가능한 신규 식품소재화 가공기술로서의 뛰어난 가치를 확인인할 수 있었다.
약선음식용 첨가제(CLP-1)의 제형에 따른 백미밥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찰기 경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5.3 ±1.4a 5.7 ±1.4a 5.5 ±1.5a 6.0 ±0.9a 5.7 ±0.9a 5.7 ±1.4a
유동 Ext. 5.9 ±1.4a 4.9 ±2.2a 6.1 ±1.4a 6.7 ±1.2a 6.1 ±0.9a 6.3 ±1.4a
SD 분말 5.8 ±1.4a 5.7 ±1.7a 6.3 ±1.4a 6.3 ±1.0a 6.1 ±1.1a 6.1 ±1.0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2)에 따른 백미밥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찰기 경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6.1 ±1.7a 5.7 ±1.8ab 5.9 ±1.2a 6.0 ±1.9a 6.2 ±1.7a 6.1 ±1.6a
유동 Ext. 5.5 ±1.6a 5.2 ±1.1b 5.8 ±1.9a 5.7 ±1.8a 6.1 ±1.6a 5.7 ±1.8a
SD 분말 6.4 ±1.1a 6.4 ±1.0a 6.9 ±1.3a 6.1 ±1.4a 6.4 ±1.2a 6.7 ±1.3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3)에 따른 백미밥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찰기 경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5.9 ±1.6a 5.7 ±1.5a 5.5 ±1.8a 5.9 ±1.2a 5.7 ±1.3a 5.7 ±1.4a
유동 Ext. 6.3 ±1.5a 5.3 ±1.8a 5.5 ±1.7a 5.5 ±1.8a 5.9 ±1.7a 5.3 ±1.5a
SD 분말 6.7 ±1.8a 5.4 ±1.6a 5.8 ±1.4a 6.4 ±1.7a 6.6 ±1.5a 6.0 ±1.5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1)에 따른 백미죽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점성 질감
대 조 구 6.7 ±1.8a 5.2 ±1.2a 5.3 ±1.0a 5.5 ±1.4a 5.7 ±1.3a
유동 Ext. 6.3 ±1.4ab 5.7 ±1.1a 5.5 ±1.4a 6.1 ±1.7a 6.2 ±1.6a
SD 분말 5.4 ±1.6b 5.8 ±1.9a 5.7 ±1.5a 5.7 ±1.6a 6.1 ±1.2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2)에 따른 백미죽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점성 질감
대 조 구 7.3 ±1.7a 6.4 ±1.7ab 6.4 ±1.6a 5.5 ±1.2a 6.1 ±1.4a
유동 Ext. 5.1 ±1.8b 5.4 ±1.5b 5.4 ±1.6a 5.7 ±1.9a 6.0 ±1.2a
SD 분말 6.1 ±1.5ab 6.7 ±1.7a 5.7 ±1.6a 6.0 ±1.4a 5.7 ±1.4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3)에 따른 백미죽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점성 질감
대 조 구 6.3 ±1.6a 5.7 ±1.6a 5.4 ±1.5a 5.6 ±1.3a 5.8 ±1.4a
유동 Ext. 5.7 ±1.3a 6.0 ±1.1a 5.7 ±1.8a 5.8 ±2.0a 5.7 ±1.3a
SD 분말 6.2 ±1.2a 5.9 ±1.2a 5.7 ±1.9a 6.3 ±1.6a 6.0 ±1.1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1)에 따른 약선우동(국물)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조화도 점도 투명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7.1 ±1.4a 6.5 ±0.9a 6.4 ±1.3a 6.1 ±1.4a 6.1 ±1.2a 7.2 ±0.8a 6.6 ±1.4a
유동 Ext. 5.7 ±1.4ab 4.1 ±1.2c 5.1 ±1.6b 4.6 ±2.1b 5.6 ±0.9b 5.4 ±1.1b 4.8 ±1.5b
SD 분말 6.4 ±1.6b 5.1 ±1.7b 5.8 ±1.6ab 5.8 ±1.5ab 5.8 ±1.3b 4.7 ±0.9a 5.5 ±1.5b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2)에 따른 약선우동(국물)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조화도 점도 투명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5.7 ±1.7a 5.1 ±1.3a 5.5 ±1.8a 5.1 ±1.6a 6.1 ±1.3a 5.4 ±1.3a 5.2 ±1.3a
유동 Ext. 5.7 ±1.7a 5.8 ±1.7a 5.6 ±1.9a 5.6 ±1.9a 6.1 ±1.5a 5.9 ±2.0a 5.5 ±1.9a
SD 분말 6.0 ±1.8a 5.0 ±1.4a 6.2 ±1.5a 5.9 ±1.5a 5.7 ±1.5a 5.4 ±1.3a 5.4 ±1.0a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제형(CLP-3)에 따른 약선우동(국물)의 관능적 기호도 차이
냄새 조화도 점도 투명도 종합기호도
대 조 구 6.2 ±1.6a 4.8 ±1.8ab 5.3 ±1.4a 5.3 ±1.5a 6.0 ±1.0a 6.0 ±1.4a 5.4 ±1.9a
유동 Ext. 4.9 ±1.8a 4.8 ±1.8a 5.8 ±1.8a 4.8 ±1.4a 5.8 ±1.1a 5.4 ±2.0a 5.0 ±1.4a
SD 분말 4.9 ±1.9a 3.9 ±1.4b 5.0 ±2.0a 4.3 ±1.4a 5.5 ±0.9a 4.4 ±1.2b 4.5 ±1.3a
[ 실시예 7]
백미밥의 외관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약선식품용 첨가제의 영향
도 8의 백미밥의 색도에 미치는 약선음식용 첨가제의 효과를 보면, 밥의 색도는 조리첨가제의 적용에 의하여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는데 명도와 황색도는 적용농도와 부의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첨가제 농도가 백미밥의 항산화 활성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A는 폴리페놀의 함량, B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다. 밥의 폴리페놀 함량은 첨가제 적용농도가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농도의존적인 양상을 보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도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본 첨가제가 보유한 항산화 활성 실용화 결과로서 첨가제 적용 즉석 포장 용기밥의 상품화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도 10의 첨가제 농도가 백미밥의 수분함량(A)과 물결합력(B) 및 팽윤력(C)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첨가제를 적용한 밥의 수분함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적었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감소하였고, 첨가제의 적용농도가 증가할수록 밥의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지만, 물결합력과 팽윤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예외적으로 CLP-3는 첨가제의 증량에 의한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표 14 내지 16은 첨가제 농도가 백미밥의 물성(조직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것인데, 첨가제 적용 백미밥은 경도, 부착성, 응집성, 검성 및 씹음성 등 조직감이 대조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첨가제의 종류와 농도 및 조직특성 항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또한, CLP-1을 적용한 밥의 경도,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 검성 및 씹음성은 첨가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CLP-2와 CLP-3도 같은 경향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전분 중의 아밀로오스와 첨가제의 phytochemical의 강한 결합으로 기여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응집성, 부착성, 씹힘성은 찰성이 요구되는 제품의 조직특성이라 할 수 있겠다.
첨가제(CLP-1)의 농도가 백미밥의 물성(조직감)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Hardness
(경도)
Adhesiveness
(부착성)
Springiness
(탄력성)
Cohesiveness
(응집성)
Gumminess
(검성)
Chewiness
(씹음성)
0 739.70±43.06a -37.72±12.37a 0.99±0.08a 0.43±0.02a 319.35±21.77a 315.52±22.24a
2 876.80±41.78b -25.46±10.04b 1.03±0.10a 0.44±0.01ab 389.52±19.85b 401.14±34.33b
4 907.83±57.39bc -24.45±7.47b 1.06±0.11a 0.45±0.01b 406.75±28.72b 434.32±60.40b
6 916.95±58.18c -6.83±2.60c 3.45±0.20b 0.49±0.01c 454.37±37.12c 1571.47±169.85c
첨가제(CLP-2)의 농도가 백미밥의 물성(조직감)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Hardness
(경도)
Adhesiveness
(부착성)
Springiness
(탄력성)
Cohesiveness
(응집성)
Gumminess
(검성)
Chewiness
(씹음성)
0 739.70±43.06a -37.72±12.37a 0.99±0.08a 0.43±0.02a 319.35±21.77a 315.52±22.24a
2 799.95±52.69b -30.20±10.60ab 1.00±0.04ab 0.43±0.03a 347.10±34.03b 348.71±39.70b
4 828.78±47.31b -28.25±10.79b 1.03±0.10ab 0.44±0.02a 365.22±24.64b 375.32±45.84b
6 880.88±50.65c -26.14±8.44b 1.05±0.12c 0.45±0.01a 392.52±29.22c 410.53±39.38c
첨가제(CLP-3)의 농도가 백미밥의 물성(조직감)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Hardness
(경도)
Adhesiveness
(부착성)
Springiness
(탄력성)
Cohesiveness
(응집성)
Gumminess
(검성)
Chewiness
(씹음성)
0 739.70±43.06a -37.72±12.37a 0.99±0..08a 0.43±0..02a 319.35±21.77a 315.52±22.24a
2 754.41±49.16a -23.04±5.76b 0.99±0..10a 0.42±0..02a 319.65±28.37a 318.68±53.96a
4 755.03±39.99a -22.51±4.83b 1.23±0..41a 0.43±0..02a 328.88±30.50a 409.49±76.14a
6 875.64±48.57b - 8.97±3.66c 3.28±0..35b 0.49±0..02b 426.34±25.75b 1400.35±187.98b
[ 실시예 8]
약선음식용 첨가제가 쌀가루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효과
표 17 내지 19는 첨가제 농도가 쌀가루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첨가제를 적용한 쌀가루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호화온도, 최고점도 및 강하점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치반점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는데, 호화온도의 증가는 쌀의 겔화를 지연하는 결과로 해석되며 최고온도와 강하점도 의 상승과 치반점도의 강하는 첨가제 적용에 의한 식미지수 상승을 의미한다. 또한, 쌀가루의 호화온도는 첨가제 종류와 농도에 따른 차이를 보여서 CLP-1과 CLP-3의 경우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호화온도가 높았으나 CLP-2는 농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CLP-1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쌀가루의 강하점도는 감소하였으나 CLP-3의 경우 첨가농도와 강하점도는 정의 효과를 보였고 CLP-2는 일률적인 경향이 없었으며, 가루의 치반점도는 CLP-1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CLP-2와 CLP-3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첨가제(CLP-1) 농도가 쌀가루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Viscosity
(max)
Viscosity
(min)
Break
-down
Viscosity (Final) Setback Peak
time
Pasting
temp.(℃)
0 161.4±1.94 93.3±2.34 68.1±2.04 185.2±2.51 91.9±0.17 6.0±0.04 63.8±1.26
2 164.3±1.58 93.5±2.47 70.8±1.06 181.0±2.75 87.4±0.32 6.1±0.03 65.2±0.41
4 162.2±0.18 91.5±0.30 70.8±0.47 173.8±0.41 82.3±0.12 6.0±0.05 66.2±0.64
6 160.1±2.12 91.0±0.18 69.1±2.30 169.5±0.65 78.5±0.82 6.1±0.00 66.9±0.57
첨가제(CLP-2) 농도가 쌀가루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Viscosity
(max)
Viscosity
(min)
Break
-down
Viscosity (Final) Setback Peak
time
Pasting
temp.(℃)
0 161.4±1.94 93.3±2.34 68.1±2.04 185.2±2.51 91.9±0.17 6.0±0.04 63.8±1.26
2 166.8±4.17 92.9±3.15 73.9±2.35 178.1±3.66 85.2±0.52 6.0±0.04 68.1±0.05
4 158.5±2.12 86.7±2.60 71.8±2.73 164.1±2.51 77.4±1.21 6.0±0.07 68.1±0.03
6 158.6±0.81 84.3±1.11 74.3±1.83 157.0±0.58 72.7±0.84 6.0±0.04 68.1±0.03
첨가제(CLP-3) 농도가 쌀가루의 호화특성에 미치는 효과
농 도
(g/100g)
Viscosity
(max)
Viscosity
(min)
Break
-down
Viscosity (Final) Setback Peak
time
Pasting
temp.(℃)
0 161.4±1.94 93.3±2.34 68.1±2.04 185.2±2.51 91.9±0.17 6.0±0.04 63.8±1.26
2 165.9±0.53 100.3±3.07 65.5±2.42 188.5±1.82 88.1±0.06 6.1±0.04 64.5±0.90
4 169.4±1.89 100.5±1.59 68.9±0.84 186.5±2.31 86.0±0.72 6.1±0.07 64.6±1.35
6 166.7±3.07 96.8±3.23 69.9±1.42 181.5±3.15 84.7±1.27 6.1±0.03 66.0±0.66
[ 실시예 9]
약선식품용 첨가제의 포장 및 상품화
약용식물자원의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유동 Ext와 SD분말 및 과립형태의 조리첨가제의 포장형태는 도 11과 같으며, 도 12와 같이 조리첨가제를 활용한 상품화 방안으로 용기포장밥, 인스턴트 우동, 레토르트형 죽 및 약선차를 제시할 수 있다.

Claims (8)

  1. 황기 40 내지 60 중량%, 백출 20 내지 40 중량%, 진피 10 내지 30 중량%가 포함된 혼합 약용식물이 95 내지 150℃에서 상압추출 또는 가압추출 되어 만들어지는 추출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Brix농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80°Bx 농축된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조리음식 첨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2. 시호 10 내지 30 중량%, 백작약 20 내지 40 중량%, 황금 10 내지 30 중량%, 산사 20 내지 40 중량%가 포함된 혼합 약용식물이 95 내지 150℃에서 상압추출 또는 가압추출 되어 만들어지는 추출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Brix농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80°Bx 농축된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조리음식 첨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3. 산조인 20 내지 40 중량%, 생지황 15 내지 35 중량%, 당귀 15 내지 35 중량%, 울금 10 내지 30 중량%가 포함된 혼합 약용식물이 95 내지 150℃에서 상압추출 또는 가압추출 되어 만들어지는 추출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Brix농도를 기준으로 30 내지 80°Bx 농축된 것이고,
    상기 추출물은 조리음식 첨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유동 엑기스(fluid extract)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분무건조 되어 분무건조분말 형태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7.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부형제로 덱스트린(dextrin)이 더 포함되고,
    분무건조 되어 분무건조분말 형태로 제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부형제로 포도당을 더 포함되고,
    과립화 되어 과립분말 형태로 제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KR1020100132156A 2010-12-22 2010-12-22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5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6A KR101250440B1 (ko) 2010-12-22 2010-12-22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6A KR101250440B1 (ko) 2010-12-22 2010-12-22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27A KR20120070727A (ko) 2012-07-02
KR101250440B1 true KR101250440B1 (ko) 2013-04-08

Family

ID=4670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156A KR101250440B1 (ko) 2010-12-22 2010-12-22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0473A (ko) 2022-11-30 2024-06-07 농업회사법인 한조주식회사 약용식물을 이용한 전통 닭백숙용 한방 조미료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668A (ko) * 2001-08-20 2001-09-28 조한주 한약재가 포함된 사상체질별 한방 라면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100503630B1 (ko) * 2002-05-23 2005-07-27 김영미 한방 오토계 찜닭 제조방법
KR100532663B1 (ko) 2003-06-11 2005-12-01 (주)세계물산 쌍화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540A (ko) * 2000-08-22 2002-02-28 김상근 치매관련 질환예방용 식품소재 및 이를 이용한 식품
KR20010088668A (ko) * 2001-08-20 2001-09-28 조한주 한약재가 포함된 사상체질별 한방 라면
KR100503630B1 (ko) * 2002-05-23 2005-07-27 김영미 한방 오토계 찜닭 제조방법
KR100532663B1 (ko) 2003-06-11 2005-12-01 (주)세계물산 쌍화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0473A (ko) 2022-11-30 2024-06-07 농업회사법인 한조주식회사 약용식물을 이용한 전통 닭백숙용 한방 조미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27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00114394A (ko) 천마경옥고 및 그 제조방법
CN103520577A (zh) 一种治疗尘肺、清肺养心的药食两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90110229A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6343343A (zh) 一种降三高的多穗柯苦荞组合物及其应用
CN110051815A (zh) 一种辅助降血糖食丸及其制备方法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32794B1 (ko) 흰점박이 꽃무지를 주재료로 하는 환의 제조방법
KR101447900B1 (ko) 한방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CN104068177A (zh) 天然植物保健益寿茶
KR20160013229A (ko) 쌍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2755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
KR101250440B1 (ko) 약용식물을 활용한 조리음식용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46547A (ko) 간 기능개선용 쌀국수의 제조방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362301B (zh) 香苓开胃颗粒
KR101940620B1 (ko) 쌍화차를 이용한 한방삼겹살 제조방법
CN104383431A (zh) 一种温胃散寒组合物
KR102501508B1 (ko) 생약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음료 또는 주류의 제조방법
KR102675725B1 (ko) 백작약 및 육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및 면역 증강용 한방 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106803A (zh) 荞麦果酱茶膏及其制备方法
CN108553598A (zh) 天然保健益寿茶
KR102396383B1 (ko) 파절이용 한방 숙성 양념의 제조방법
KR102189949B1 (ko) 녹용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용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