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76B1 -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 Google Patents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76B1
KR101939676B1 KR1020180105325A KR20180105325A KR101939676B1 KR 101939676 B1 KR101939676 B1 KR 101939676B1 KR 1020180105325 A KR1020180105325 A KR 1020180105325A KR 20180105325 A KR20180105325 A KR 20180105325A KR 101939676 B1 KR101939676 B1 KR 10193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fixing
tension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량
박정우
유종혜
Original Assignee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to KR1020180105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해 매입된 긴장재의 단부를 정착 고정시키는 정착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긴장재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와, 정착구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발생하는 파열인장응력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구는 각 FRP재질의 원통형 압입관과 지압판 및 버트레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긴장재가 삽입된 튜브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LIGHTWEIGHT ANCHORAGE STRUCTURE WITH HIGH EFFICIENCY FUNCTION}
본 발명은 프리텐션 또는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기 위해 매입된 긴장재의 단부를 정착 고정시키는 정착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구조는 압축력에 강한 콘크리트와 인장력에 강한 강재의 각 장점이 효율적으로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꾀하면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인장력에 취약한 콘크리트의 특성상 균열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균열은 외관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누수, 철근 부식 등 내구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C)구조는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재에 미리 압축력을 부여하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통해 콘크리트 부재에 인장강도가 향상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PSC구조는 긴장재를 긴장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프리텐션(Pretension System)과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포스트텐션(Post-tension System) 방식이 있는데, 특히 포스트텐션방식에서는 일측의 고정정착구 및 긴장재가 삽입된 쉬스를 거푸집에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나타내면 긴장재를 긴장시킨 후 긴장정착구로 긴장재를 정착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부재에 대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완료시킨다.
상기한 정착구는 지압판(112)과 웨지홀이 구비되어 웨지에 의한 쐐기압으로 긴장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구상흑연주철을 주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재질의 정착구는 대략 한 개당 1.5 내지 2.5kg의 고중량을 가진다. 따라서 많은 양의 정착구에 대한 현장으로의 운반작업이 좋지 않을 뿐더러 시공 및 안전상에도 불리하여 시공효율이 좋지 못하며, 합판을 측면 거푸집으로 사용할 때 정착구 중량에 의해 거푸집이 변형되는 등 시공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아울러 정착구의 부식은 부재의 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에도 영향을 준다.
다른 한편으로 긴장재의 긴장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부재의 지압판(112) 뒷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축응력과 인장응력이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즉 지압판(112)의 뒷면 가까이의 국소 구역에서는 도 1의 (a)에서와 같이 집중하중에 의한 국부적인 압축응력이 발생되나, 일정거리 이격된 일반 구역에서는 도 1의 (b)에서와 같이 파열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응력에 대한 보강은 수직방향으로의 보강을 필요로 하게 되는 바, 일반적으로 철근을 ⊃형상으로 절곡시켜 설치함으로써 ⊃형상의 수직부분으로 하여금 상기한 인장응력을 보강하도록 하였다.
도 2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형상 철근 보강재 및 이들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형상 철근 보강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구의 설치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으로 다수 개가 연속 배치되는 바, 이들이 정위치에서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하의 각 귀퉁이에서 상기한 폭방향으로 상하부 고정용 철근이 각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상 철근 보강재에 의한 보강구조는 상하부 고정용 철근의 간섭에 의해 시공이 매우 번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현장 여건상 부재의 상부철근이 배근 완료된 후에 보강재의 설치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 경우 ⊃형상 철근 보강재의 설치는 더욱 어렵게 된다.
더욱이 보강기능을 하는 부분은 ⊃형상 철근 보강재의 수직부분에 불과함에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더 많은 철근이 배근됨에 따라 강재 사용 효율이 매우 낮아 비경제적인 보강구조라고 할 수 있다.
KR 10-1843904 B1 KR 10-1362978 B1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착구조의 경량화, 강재사용량의 최소화 및 시공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내식성 향상으로 내구성이 증대되고 보강부재의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여 경제적인 구조를 가지는 고효율의 경량 정착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긴장재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와, 정착구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발생하는 파열인장응력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구는 각 FRP재질의 원통형 압입관과 지압판 및 버트레스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와, 긴장재가 삽입된 튜브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부로 이루어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고효율 긴장재 정착부 구조가 제공된다.
그중 상기 지지부는 서로 분리된 원통형 압입관과 지압판 및 버트레스를 각 구성하기 위한 고강도 FRP의 다수 개 심재를 저강도 FRP의 성형재로 피복 일체화시켜 구성시킴으로써 응력의 흐름방향 및 크기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최적의 단면구조 및 제작의 용이성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장섬유를 직조한 시트에 레진을 함침시켜 고강도 FRP를 구성시키고, 단섬유에 레진을 함침시켜 저강도 FRP를 구성시키는 방법으로 심재와 성형재를 각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다 높은 긴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원통형 압입관의 내면에 박판의 금속보강판을 부착시킴으로써 경제적이면서 큰 긴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정착부의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정착구로부터 이격된 파열인장응력부에 설치되는 보강재는, 파열인장력에 저항하는 수직방향의 보강지지판과, 상기 보강지지판의 하단에 구비된 위치고정판 및, 다수 개의 연속된 보강지지판을 각 상단에서 일체화시키는 연결고정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정착구를 FRP로 구성시켜 경량화 함으로서 운송의 비용을 절감하고 운반 및 현장 설치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섬유의 배치방향, 적층수 및, 섬유의 종류를 달리하여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단면의 구조를 가지게 하며, 전체가 하나의 균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정착구에 비하여 내부식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를 강재 박판으로 구성시키고, 역T형 단면이 연속된 단순한 형상만으로 이루어지는 자립구조의 것으로서,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철근등의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강재의 사용량을 대폭 절감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FRP 재질의 정착구와 더불어 정착부 구조를 경량화시켜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불필요하게 중량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에 개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상부철근이 이미 배근되어 있더라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므로 시공성이 매우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는 공장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하나의 강재 박판을 연속 절곡 가공함으로써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보강구조를 가지게 한다.
도 1은 정착구의 긴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종류 및 위치 등을 나타낸 응력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철근 보강재 및 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각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착부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정착부 구조의 일 구성인 정착구의 평면도, A-A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응력 흐름의 방향을 설명하는 정착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착구의 제작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착구에 관한 평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정착부 구조의 또 다른 구성인 보강재의 일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보강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거더, 슬래브 등의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긴장재 정착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긴장재(320)를 정착시키는 정착구(100)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내부를 보강하는 보강재(200)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착부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그 중 정착구(100)의 구조에 관한 실시예의 평면과 단면 및 측면을 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정착구(100)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된 쉬스 등의 튜브(310)를 통과한 긴장재(320)를, 상기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로 구성되는 지지부(110)와, 긴장재(320)가 삽입된 튜브(310)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부(12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지지부(110) 및 튜브고정부(120)는 FRP(섬유보강플라스틱, Fiber Reinforced Polymeric Plastic)재질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한다.
원통형 압입관(111)은 긴장재(320)를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웨지(14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그 내면은 상기 웨지(14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경사져있다.
지압판(112)은 판상부재로써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긴장력에 의해 정착구(100)에 발생된 반력을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로 분산시킨다.
그리고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사이에 설치되는 버트레스(113)는 원통형 압입관(111)을 통해 전달된 응력을 지압판(112)에 전달함과 더불어 상기 지압판(112)이 면외좌굴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정착구(100)에서의 상기한 응력흐름의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정착구(100)를 구성하는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는 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서로 달리하며 그 크기 역시 서로 다르다.
한편 강재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물리적 성질이 동일한 등방성이나, 구조용 FRP는 일반적으로 수지에 함침시킨 보강섬유를 가열장치가 되어 있는 작업대를 통하여 일정한 단면을 가진 성형몰드를 통과시켜 인발하면서 연속적으로 등단면 부재를 생산하는 방식에 의하는 특성상, 부재의 길이방향과 이에 수직인 나머지 방향에서의 각 물리적 성질이 다른 이방성을 가진다.
따라서 형상이 입체적으로 복잡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응력의 작용방향이 다양한 정착구(100)의 제작은 등방성의 강재를 주물로 성형해야 하며, 이방성의 FRP 재질로 구성하는 것은 쉽지 않아 비경제적이라는 것이 이 분야에서의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착구(100)는 각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달리함으로써 이방성의 FRP 재질을 적용하면서도 응력의 전달방향에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정착부 구조를 경량화시키고, 부식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착구(100)를 제작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지지부(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로 구성되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각 심재(a₁,a₂,a₃)는 서로 분리되어 제작된 후 성형재(b)에 의한 피복과정을 통해 일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 예컨대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가 일체화되어 하나의 정착구(100)를 구성하더라도 각 섬유의 방향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이방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들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의 각각에 대한 강도를 각기 요구되는 정도에 따라 달리 계획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단면설계로 인한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 실시예의 하나로,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의 각 심재(a₁,a₂,a₃)는 고강도 FRP로 구성시키고, 이들을 피복하여 일체화시키는 성형재(b)는 저강도 FRP로 구성시킨다. 이때 지압판(112)의 내측에 위치하는 튜브고정부(120) 역시 저강도 FRP로 구성시켜 상기한 피복 과정중에 일체로 성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강도 FRP는 장섬유를 직조한 시트에 레진을 함침시키는 방식으로, 또 저강도 FRP는 단섬유에 레진을 함침시키는 방식으로 쉽게 구성시킬 수 있다.
물론 이들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의 각 심재(a₁,a₂,a₃)들 사이에서도 강도의 크기를 달리하여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각 구성요소마다 섬유의 적층 수를 달리할 수도 있고 섬유의 종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정착구(100)중 웨지(141)가 삽입되는 원통형 압입관(111)의 내면에는 가장 큰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국부보강을 통해 보다 큰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이러한 국부보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웨지(141)와 접하는 원통형 압입관(111)의 내면에 박판의 금속보강판(131)이 부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박판의 금속보강판(131)은 정착구(100)의 중량을 거의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경제적인 보강구조를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의 정착부 구조에는 정착구(100)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발생하는 파열인장응력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200)가 더 설치되며, 도 8은 이러한 보강재(200)의 일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강재(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지지판(210)과 위치고정판(220) 및 연결고정판(230)으로 이루어지는 역T형 단면이 병렬로 연속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 중 보강지지판(210)은 파열인장력에 저항하는 주된 구성요소로서 수직방향으로 정착구(100)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연속 설치된다.
상기 위치고정판(220)은 보강지지판(21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보강지지판(210)이 자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상하부 고정용 철근 등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연결고정판(230)은 다수 개의 연속된 보강지지판(210)의 각 상단에서 이들 보강지지판(21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체적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응력을 분산시켜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지게 한다. 이와 더불어 보강재(200)에는 관통공의 유공(231) 또는 요철(211) 등의 콘크리트 부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에 대한 보강재(200)의 부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보강재(200) 전체에 대하여 동일한 형상의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고, 보강지지판(210)과 그 외의 나머지 부분(위치고정판 및 연결고정판)에 대하여 서로 다른 형상의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보강재(200) 전체에 대하여 유공(231)과 요철(211)중 어느 하나만을 구비시킬 수도 있고, 보강지지판(210)의 각 표면에 대하여는 요철(211)을 구비시키고 위치고정판(220) 및 연결고정판(230)에 대하여는 유공(231)을 구비시킬 수 있다. 전자에 의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강재 박판을 연속 절곡하여 보강재(200)를 제작하는 방식에서 제작의 편의성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에는 보강지지판(210)과 연결고정판(230) 등을 분리 제작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강지지판(210)에 단면결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재(200)는 띠형상의 강재 박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를 구성하는 보강지지판(210)과 위치고정판(220) 및 연결고정판(230)의 각각을 각기 별도로 준비한 후 상호간에 용접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거나, 보강지지판(210)과 위치고정판(220) 및 연결고정판(230)이 절곡되어 형성된
Figure 112018087817318-pat00001
형상의 단위체를 다수 개 준비한 후, 이들 단위체 상호간에 용접 또는 볼트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띠형으로 된 하나의 강재 박판을 연속 절곡시켜 위치고정판(220)과 보강지지판(210) 및 연결고정판(23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순차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작성의 향상은 물론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강재 박판의 보강재(200)는 정착부에서의 하중 증가를 최소화하고, 강재의 사용량을 대폭 줄여 효율적인 보강수단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200)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횡단하는 방향만으로 하나의 판상형상을 가지면서 설치되는 단순한 구조여서 차지하는 공간이 적으면서도, 연속된 역T형 단면에 의한 하부의 연속된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재(200)와는 별도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배근되어야 하는 종,횡 방향의 상부철근(330)이 이미 배근된 상태에서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철근(330)에 의한 간섭없이 상부에서 보강재(200)를 상부철근(330)의 하부방향으로 쉽게 끼워 넣을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향상된다.
미설명부호 150은 수분이 정착구(100)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지(141)가 삽입된 원통형 삽입관(111)을 폐쇄시키기 위한 그리스캡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정착구 110; 지지부
111; 원통형 압입관 112; 지압판
113; 버트레스 120; 튜브고정부
131; 금속보강판 141; 웨지
150; 그리스캡 200; 보강재
210; 보강지지판 211; 요철부
220; 위치고정판 230; 연결고정판
231; 유공 240; 개방부
310; 튜브 320; 긴장재
330; 상부철근

Claims (7)

  1.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 거더, 슬래브 등의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긴장재 정착부 구조에 있어서,
    긴장재(320)를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정착 고정시키기 위한 정착구(100)와, 정착구(100)로부터 이격되어 철근콘크리트 부재 내부에 발생하는 파열인장응력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정착구(100)는 각 FRP재질의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10)와, 긴장재(320)가 삽입된 튜브(310)를 고정시키는 튜브고정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110)는 서로 분리된 원통형 압입관(111)과 지압판(112) 및 버트레스(113)를 각 구성하기 위한 고강도 FRP의 다수 개 심재(a₁,a₂,a₃)를 저강도 FRP의 성형재(b)로 피복 일체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고강도 FRP는 장섬유를 직조한 시트에 레진을 함침시켜 구성시키고, 저강도 FRP는 단섬유에 레진을 함침시켜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압입관(111)의 내면에는 박판의 금속보강판(131)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0)는, 파열인장력에 저항하는 수직방향의 보강지지판(210)과, 상기 보강지지판(210)의 하단에 구비된 위치고정판(220) 및, 다수 개의 연속된 보강지지판(210)을 각 상단에서 일체화시키는 연결고정판(2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지지판(210)의 각 표면에는 요철(211)이 구비되고, 위치고정판(220) 및 연결고정판(230)에는 유공(23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200)는 띠형상으로 된 하나의 강재 박판을 연속 절곡시켜 위치고정판(220)과 보강지지판(210) 및 연결고정판(23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순차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KR1020180105325A 2018-09-04 2018-09-04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KR10193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25A KR101939676B1 (ko) 2018-09-04 2018-09-04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25A KR101939676B1 (ko) 2018-09-04 2018-09-04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76B1 true KR101939676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25A KR101939676B1 (ko) 2018-09-04 2018-09-04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177A (ja) * 1997-09-22 1999-04-0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面安定化工法用の支圧部材
JPH11210163A (ja) *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KR101362978B1 (ko) 2012-03-06 2014-02-13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텐던 정착부의 콘크리트 인장파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
KR20140048487A (ko) * 2012-10-15 2014-04-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514773B1 (ko) * 2013-10-31 2015-04-24 한국토지주택공사 요철형 보강재에 의한 무량판 전단보강 시스템
KR20160132163A (ko) * 2015-05-06 2016-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포스트텐션 앵커
KR101843904B1 (ko) 2016-09-07 2018-03-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3177A (ja) * 1997-09-22 1999-04-06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法面安定化工法用の支圧部材
JPH11210163A (ja) * 1998-01-28 1999-08-03 Ps:Kk Frp緊張材の定着具
KR101362978B1 (ko) 2012-03-06 2014-02-13 주식회사 옥타곤엔지니어링 텐던 정착부의 콘크리트 인장파열방지를 위한 보강구조
KR20140048487A (ko) * 2012-10-15 2014-04-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스트텐션 강재 정착구 및 이를 채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1514773B1 (ko) * 2013-10-31 2015-04-24 한국토지주택공사 요철형 보강재에 의한 무량판 전단보강 시스템
KR20160132163A (ko) * 2015-05-06 2016-1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포스트텐션 앵커
KR101843904B1 (ko) 2016-09-07 2018-03-30 삼성물산 주식회사 아치형 거셋이 구비된 유선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61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피씨 강연선의 배치 구조
KR101752275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하여 내부에 t형 돌기를 갖는 기둥 영구거푸집
KR100869568B1 (ko)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EA002344B1 (ru) Секционные арматурные хомуты и гибкие связи для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1939676B1 (ko) 고효율 경량 정착부 구조
CN102124168A (zh) 复合面板、连接器和相关的方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JP5541521B2 (ja) 混合構造梁
KR101126042B1 (ko) 긴장재에 의해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JP2013163954A (ja) 中空コンクリート基盤の施工方法
KR102331802B1 (ko) 장스팬용 무지보 데크플레이트 구조
KR20160012670A (ko) 철근연결구 및 이의 콘크리트 매입 시공방법
KR101895898B1 (ko) 내다이아프램용 수평 철근콘크리트 블록이 내장된 cft기둥
KR100596072B1 (ko) 하부플랜지 매립 및 일체 연결 구조의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패널 합성빔
KR200700436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거푸집
CN111794377A (zh) 一种l形预制装配式梁柱节点
KR20080004172A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연결방법 및 구조
KR101223025B1 (ko) 코어가 선행되어 시공되는 구조물에 강연선 정착유닛을 매립시키는 방법
KR101223027B1 (ko) 비부착식 싱글 강연선용 매립형 정착유닛
CN218522059U (zh) 一种用于模块化建筑的钢筋混凝土叠合板
KR200166886Y1 (ko) 강콘크리트 구조
CN218562595U (zh) 一种装配式混凝土组合体
JP5118846B2 (ja) 穴あきpc板の床取付工法
CN212421730U (zh) 夹心板构件、立模及夹心板构件的成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