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568B1 -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568B1
KR100869568B1 KR1020080080498A KR20080080498A KR100869568B1 KR 100869568 B1 KR100869568 B1 KR 100869568B1 KR 1020080080498 A KR1020080080498 A KR 1020080080498A KR 20080080498 A KR20080080498 A KR 20080080498A KR 100869568 B1 KR100869568 B1 KR 10086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concrete
girder
opening
mo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근
박근화
노경범
Original Assignee
노윤근
박근화
노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근, 박근화, 노경범 filed Critical 노윤근
Priority to KR102008008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568B1/ko
Priority to PCT/KR2008/006479 priority patent/WO201002142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등 구조물의 거더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거더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분포에 따라 이에 저항할 수 있도록 특별한 제작방법에 의하여 각각 제작된 한쌍의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와의 사이에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설치하고, 이를 상호 연결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Opening steel-concrete composite steel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등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거더에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휨모멘트의 분포에 따라 저항하여 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의 제작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현장여건 및 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다양한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선택적으로 상호연결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재거더 또는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제작한 거더를 건축구조물등의 구조물에 사용하여 왔으나, 다양하게 작용하는 하중 또는 연장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역부족이 었으며, 특히, 기둥이 없는 건축구조물등에 적용할 경우 거더의 지간에 제한이 있어 원하는 구조물에 적용하는데 제약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하중의 작용상태와 크기 및 현장여건에 따라 거더의 제작방법을 다양하게 하여 제작한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강재거더를, 거더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분포도에 의하여 각각 설치하고 이들을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제작한다.
상기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구조물에 설치하고, 그 위에 상부슬래브를 설치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조건하여 제작되어 진 거더를 설치하므로서 보다 긴 지간의 거더를 제작할 수 있어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거더에 작용하는 압축 및 인장응력을 감소하여 강재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판인 강재를 개구제형으로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의 복부인 강재의 상단에 거푸집 겸용 U형강재를 설치하여 개구제형강재거더를 제작하고, 상기 U형강재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U형강재와 강합성한 U형강재단면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하여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제작한다.
한편, 강판인 강재를 개구제형으로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의 복부인 강재의 상단에 거푸집 겸용 U형강재를 설치하여 개구제형강재거더를 제작하고, 상기 U형강재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U형강재와 강합성한 U형강재단면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의 양측의 복부와 바닥 또는 바닥에만 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제작하거나,
상기 개구제형의 복부인 강재의 상단에 거푸집 겸용 L형강재를 설치하여 개구제형강재거더를 제작하고, 상기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L형강재와 강합성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폐합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하고, 양측의 복부 및 바닥 또는 바닥에만 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와의 사이에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설치하고,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를 제작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 강재거더는 강재와 콘크리트를 상호 일체화되어 일제거동할 수 있도록 강합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강재와 콘크리트를 강합성시키면서 부분적으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여 현장여건 및 시공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제작한 강재거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므로서, 작용하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켜 강재의 사용량을 감소시키면서 저비용으로 장지간의 거더의 설치를 가능하여 보 다 효율적으로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경제적이면서 시공성이 향상된 거더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4, 도 7, 도 10, 도 13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도 13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7은 도 16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8은 도 16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우선,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양측에 복부로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 재(2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양측 복부 및 바닥 또는 바닥만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던지 또는 바닥콘크리트(42)만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거나,
상기 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L 형강재(25)를 마주보고 설치하고, 상기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13)에 연결된 PS 강선(12)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상기 PS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폐합단면콘크리트(43)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거나 또는 바닥콘크리트(42)만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 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이하, 각각의 다양한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10)를 설명하도록 한다.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각각 설치한 경우,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L 형강재(25)를 마주 보고 설치하고, 상기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13)에 연결된 PS 강선(12)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 상기 PS 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폐합단면콘크리트(43)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 도 1내지 도 3이다.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특징은 거푸집겸용으로 활용되는 U형강재(23)를 복부인 측면강재(21) 상부에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여 위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면 서 측면강재(21)의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특징은 거푸집 겸용으로 활용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폐합단면콘크리트(41)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4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이며,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여 보다 강하게 부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43)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PS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에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던지 또는 쉬스를 설치하고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기히 설치된 쉬스 관내에 설치된 PS강선을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바닥 및 측면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44)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더의 단부에 설치된 정착구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단부마감강판이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것은 도 4내지 도 6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10)인 것이다.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L형강재(25)를 마주보고 설치하고, 상기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PS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폐합단면콘크리트(43)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미도시)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42)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특징은 거푸집겸용으로 활용되는 측면강재(21)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를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여 위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면서 측면강재(21)의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특징은 거푸집겸용으로 활용되면서 인접하여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폐합단면콘크리트(41)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41)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이며,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여 보다 강하게 부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더(10)가 사용되는 경우는 상기 도1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보다 강성이 약해 작용하는 하중에 적을 경우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에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던지 또는 쉬스를 설치하고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기히 설치된 쉬스 관내에 설치된 PS강선을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바닥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더의 단부에 설치된 정착구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단부마 감강판이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는 도 7 내지 도 9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10)이다.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41,42)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중에서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 설치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PS강선(12)을 상기 정착구에 연결한 후, 상기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4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슬래브에 프리스트레스도입을 위하여 상기 정착구에 연결된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것이다.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특징은 거푸집겸용으로 활용되는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를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여 위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면서 측면강재(21)의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특징은 거푸집겸용으로 활용되면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에 설치된 U형강재(23)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의 측면 및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41,42)를 설치한 것이며, 상부슬래브(11) 를 설치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에 대하여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도록 하여 부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더의 강성은 상기에서 설명된 거더의 강성에 중간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하중의 크기도 중간정도의 크기의 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 및 바닥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더의 단부에 설치된 정착구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단부마감강판이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는 도 10 내지 도 12에 의하여 제작된 거더(10)이다.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 작한다.
한편,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42)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미도시) 또는 볼트너트(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중에서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구간에 설치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PS 강선(12)을 상기 정착구에 연결한 후, 상기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40)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슬래브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위하여 상기 정착구에 연결된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것이다.
상기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 40)의 특징은 거푸집 겸용으로 활용되는 측면강재(21)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를 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여 위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면서 측면강재(21)의 지지력이 보다 강화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인 경우에는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한 것이며, 상부슬래브(11)를 설치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슬래브(11)에 대하여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도록 하도록 하여 부모멘트에 저항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거더의 강성은 상기에서 설명된 거더의 강성에 중간정도의 강성을 갖는 것으로서 하중의 크기도 중간정도의 크기의 하중을 받는 구조물에 사용하도록 하면서 시공성을 고려하여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바닥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내지 도 15에 의한 강재거더인 것이다.
상기 강재거더는 도 1 내지 도 3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30)의 개구단면콘크리트(24)위에 별도로 일정한 높이의 정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31)를 일체로 설치하고,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바닥콘크리트(42) 위에 일정한 높이의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45)를 일체로 더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음에서 그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강재(2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다음, 다시 그 위에 일정한 높이로 정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31)를 일체로 더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인 복부의 상부에 L 형강재(25)를 설치한 경우,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13)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 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한 다음, 상기 바닥콘크리트(42) 위에 일체로 일정높이로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45)를 일체화시켜 더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특징은 도 1내지 도 3에 의하여 제작된 강재거더에 각각 정모멘트고강도 부가콘크리트와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를 더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가콘크리트를 더 설치한 것은 구조물에 상기 설치된 강제거더를 설치할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함이며, 추후 상부에 상부슬래브를 타설할 때 부거 콘크리트를 고강도하여 상부슬래브와 일체결합하면 보다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PS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에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던지 또는 쉬스를 설치하고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기히 설치된 쉬스 관내에 설치된 PS강선을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측면 및 바닥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더의 단부에 설치된 정착구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단부마감강판이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6 내지 도 18에 의한 강재거더(10)인 것이다.
상기 강재거더는 도 1 내지 도 3에 의하여 제작한 강재거더의 복부인 측면강재를 파형강재인 측면파형강재(51)를 이용하여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를 제작한 것이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바닥콘크리트(42)내에 PS강선(12)을 설치한 후, 긴장력을 도입하여 바닥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다음에서 그 제작방법을 설명하면,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강재를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측면파형강재(51)를 복부로 하여 양측에 설치하고, 상기 측면파형강재(51)의 하부에 강판인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파형강재(5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를 각각 제작한다.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에서 측면파형강재(51)인 복부의 상부에 U형강재(23)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U형강재(23)와 철근(미도시) 및 콘크리트가 일체합 성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의 양측단부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상기 정착구에 PS강선(12)을 상호 연결한 후, 상기 바닥강재(22)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한 후, 상기 바닥콘크리트(42)에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위하여 상기 PS강선(12)에 긴장력을 도입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한다.
한편, 상기 강재거더(20)의 측면파형강재(51)의 상부에 L 형강재(25)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파형강재(5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 강선(12)을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일반적으로 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정부휨모멘트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인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구조물에 설치한 후에, 상부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11)를 설치하여 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측면강재에 파형강재를 사용하여 제작한 강재거더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저항력이 강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의 바닥강재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바닥콘크리트를 설치하고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폐합단면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PS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한 후에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던지 또는 쉬스를 설치하고 폐합단면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기히 설치된 쉬스 관내에 설치된 PS강선을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측면 및 바닥콘크리트 단부에 설치된 단부마감강판은 콘크리트와 강재거더와의 합성력을 증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거더의 단부에 설치된 정착구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상기 단부마감강판이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0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3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3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종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단면 “A-A"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도 16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 11 ; 상부슬래브
12 ; PS 강선 13 ; 정착구
20 ; 개구제형강재거더 21 ; 측면강재
22 ; 바닥강재 23 ; U형강재
24 ; 개구단면콘크리트 25 ; L형강재
30 ;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
31 ; 정모멘트고강도부가 콘크리트
40 ;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
41 ; 복부콘크리트 42 ; 바닥콘크리트
43 ; 폐합단면콘크리트 44 ; 단부마감강판
45 ;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
50 ;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 51 ; 측면파형강재

Claims (12)

  1.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양측에 설치된 복부인 측면강재(21)와,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바닥강재(22)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와,
    상기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 상기 L형강재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개 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2.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설치된 복부인 측면강재(21)와,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바닥강재(22)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와,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마주보고 설치된 L 형강재(25)와의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42)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 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3.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설치한 복부인 측면강재(21)와,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바닥강재(22)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와,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와, 상기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와,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와,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4.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설치된 복부인 측면강재(21)와,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용접설치된 바닥강재(22)와,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와,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와, 상기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와,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설치된 U형강재(23)와,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바닥강재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미도시) 또는 볼트너트(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개구단면콘크리트(24)위에 정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31)를 일체로 더 설치하고,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바닥콘크리트(42) 위에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45)를 일체로 더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측면강재를 파형강재인 측면파형강재(51)를 이용하여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를 제작하여,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바닥콘크리트(42)내에 PS강선(12)을 설치하여 정착구에 연결한 다음 긴장력을 도입하여 바닥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7.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양측에 복부로 측면강재(21)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하여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하고,
    상기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설치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하고,
    상기 설치된 측면강재(21)의 상부에서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상기 거더(20)의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제작방법.
  8.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복부로 측면강재(21)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 또는 L형강재(25)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마주보고 설치된 L형강재(25)와의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배근하고, 길이방향의 양단에 정착구(13)를 설치하고, 양측단에 설치된 정착구에 PS강선(12)을 연결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PS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폐합단면콘크리트(43)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바닥강재(21)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제작방법.
  9.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복부로 측면강재(21)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하고,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 작하고,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하고,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측면강재(21)와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부(41) 및 바닥콘크리트(42)를 동시에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복부 및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 또는 볼트너트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제작방법.
  10. 위는 넓게, 하부는 좁게 복부로 측면강재(21)를 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하부에 바닥강재(22)를 용접설치하고, 상기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한 개구제형강재거더(20)를 제작하고,
    상기 각각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개구단면콘크리트(24)를 설치한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개구제형강재거더(20)에서 측면강재(21)의 상부에 U형강재(23)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 설치된 U형강재(23)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된 개구단면콘크리트(24)와, 상기 개구제형강재거더(20)의 내부인 바닥강재(22)의 내부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콘크리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바닥콘크리트 양단부에 단부마감강판(44)을 설치한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제작하고,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각각의 강재거더(30, 40)를, 정부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분포도에 의하여 정모멘트가 발생되는 양측에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를 각각 설치하고,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 구간에는 부모멘트개구제형콘크리트강재거더(40)를 설치한 후에, 이들을 상호 용접(미도시) 또는 볼트너트(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조립하여 제작한 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10)를 제작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제작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개구단면콘크리트(24)위에 정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31)를 일체로 더 설치하고, 부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40)의 바닥콘크리트(42) 위에 부모멘트고강도부가콘크리트(45)를 일체로 더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의 제작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측면강재를 파형강재인 측면파형강재(51)를 이용하여 개구제형파형강재거더(50)를 제작하여, 상기 정모멘트개구제형강합성콘크리트강재거더(30)의 바닥콘크리트(42)내에 PS강선(12)을 설치하여 정착구에 연결한 다음 긴장력을 도입하여 바닥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의 제작방법.
KR1020080080498A 2008-08-18 2008-08-18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86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98A KR100869568B1 (ko) 2008-08-18 2008-08-18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PCT/KR2008/006479 WO2010021428A1 (en) 2008-08-18 2008-11-04 Opening steel composite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98A KR100869568B1 (ko) 2008-08-18 2008-08-18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568B1 true KR100869568B1 (ko) 2008-11-21

Family

ID=402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498A KR100869568B1 (ko) 2008-08-18 2008-08-18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69568B1 (ko)
WO (1) WO2010021428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00B1 (ko) * 2008-12-02 2009-07-07 노윤근 강합성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8358B1 (ko) 2009-07-16 2010-03-22 노윤근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5539B1 (ko) 2010-01-11 2010-08-13 노윤근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9021B1 (ko) 2010-03-17 2010-12-09 김선기 변 단면 합성 플레이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034337B1 (ko) * 2010-01-13 2011-05-16 산이건설 주식회사 충전형 강성차등 강상자형교
KR101117497B1 (ko) * 2009-12-15 2012-0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경간의 아치형상 복합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72119B1 (ko) 2010-08-23 2013-06-07 권오근 연속 지점부의 강성이 증대된 교량용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KR101414801B1 (ko) * 2013-11-08 2014-07-04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거더
KR101470828B1 (ko) * 2013-01-30 2014-12-09 우경기술주식회사 Psc u거더교
KR20160063300A (ko) 2016-05-16 2016-06-03 우경기술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8165B (zh) * 2015-10-09 2017-01-11 西藏自治区交通勘察设计研究院 受拉面层复合增强的钢筋混凝土连续刚构桥及其施工方法
CN107338719A (zh) * 2017-06-26 2017-11-10 长沙理工大学 具有栅栏式腹板的箱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63Y1 (ko) 1998-11-04 2000-08-16 구민세 콘크리트 충진에 의한 내측지점부 부근의 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단면 구조
KR20060025853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포스코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KR100615471B1 (ko) 2005-08-23 2006-08-28 우경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스틸 플레이트 거더교 및그의 시공방법
KR100793158B1 (ko) 2006-12-21 2008-01-10 주식회사 포스코 후긴장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설치되는 거더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363Y1 (ko) 1998-11-04 2000-08-16 구민세 콘크리트 충진에 의한 내측지점부 부근의 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단면 구조
KR20060025853A (ko) * 2004-09-17 2006-03-22 주식회사 포스코 프리캐스트 패널을 갖는 이중합성 철도 판형교
KR100615471B1 (ko) 2005-08-23 2006-08-28 우경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스틸 플레이트 거더교 및그의 시공방법
KR100793158B1 (ko) 2006-12-21 2008-01-10 주식회사 포스코 후긴장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설치되는 거더교 시공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400B1 (ko) * 2008-12-02 2009-07-07 노윤근 강합성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1007990A2 (ko) * 2009-07-16 2011-01-20 No Yun Keun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8358B1 (ko) 2009-07-16 2010-03-22 노윤근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1007990A3 (ko) * 2009-07-16 2011-06-03 No Yun Keun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7497B1 (ko) * 2009-12-15 2012-02-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속경간의 아치형상 복합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WO2011083908A2 (ko) * 2010-01-11 2011-07-14 No Yun Keun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1083908A3 (ko) * 2010-01-11 2011-09-22 No Yun Keun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75539B1 (ko) 2010-01-11 2010-08-13 노윤근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4337B1 (ko) * 2010-01-13 2011-05-16 산이건설 주식회사 충전형 강성차등 강상자형교
KR100999021B1 (ko) 2010-03-17 2010-12-09 김선기 변 단면 합성 플레이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272119B1 (ko) 2010-08-23 2013-06-07 권오근 연속 지점부의 강성이 증대된 교량용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KR101470828B1 (ko) * 2013-01-30 2014-12-09 우경기술주식회사 Psc u거더교
KR101414801B1 (ko) * 2013-11-08 2014-07-04 주식회사 한국교량개발연구소 합성거더
KR20160063300A (ko) 2016-05-16 2016-06-03 우경기술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헌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428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568B1 (ko) 개구제형 강합성 콘크리트 강재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54761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의 피씨 강연선의 배치 구조
KR100889273B1 (ko) 라멘교 시공방법
US704770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KR101022853B1 (ko)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JP2004520511A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トラス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83909B1 (ko)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KR20030037259A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
CN110846996A (zh) 一种连续组合梁桥的施工方法及连续组合梁桥
KR100879305B1 (ko) 교량시공용 합성거어더
WO2005066419A1 (en) Method of applying prestress and connecting means used therein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 therefrom
CN109811948A (zh) 一种大跨度双预应力叠合框架及楼面体系与施工方法
KR101045929B1 (ko) 친환경 프리스트레스 장경간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68889B (zh) 预应力铝-混组合桁架梁及其施工方法
KR100689091B1 (ko) 하이브리드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
KR101264577B1 (ko) 철골 콘크리트 빔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950027B1 (ko) 교량용 합성거더
KR100871831B1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KR101240581B1 (ko) 십자형 정착판지지판을 이용한 단부지지체, 이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빔 및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빔 시공방법
KR20040001280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빔 및 그 제작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20080111973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0897060B1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구비한 연속 지점부 구조체 및 그시공방법
KR100462966B1 (ko) 합성형 거더교의 단면형상을 개선한 p.s.c u-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1

Year of fee payment: 12